KR20220120558A -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558A
KR20220120558A KR1020227017687A KR20227017687A KR20220120558A KR 20220120558 A KR20220120558 A KR 20220120558A KR 1020227017687 A KR1020227017687 A KR 1020227017687A KR 20227017687 A KR20227017687 A KR 20227017687A KR 20220120558 A KR20220120558 A KR 2022012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upport
superstructure
implant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노 스핀들러
티모 로이터
Original Assignee
브루노 스핀들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노 스핀들러 filed Critical 브루노 스핀들러
Publication of KR2022012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중-부품 상부 구조물 지지체와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일 부분이 임플란트 나사 볼트를 통해 임플란트 본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때,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이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된 안착 지지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한 편으로는 간단한 사전 조립 및 최종 조립 중에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지지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부분- 또는 전체 보철물을 지지하는 임플란트 본체가 다수인 경우에 정적 과잉 결정에도 불구하고 지각할 수 있는 장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와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시스템 조립 인터페이스가 개선된다.

Description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중-부품 상부 구조물 지지체와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일 부분이 임플란트 나사 볼트를 통해 임플란트 본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치의학 이식학에서, 다른 무엇보다 보철물 단일 치아 대체품 제조의 범위 안에서는, 보철물을 지지하는 골내 임플란트 본체가 자주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일종의 나사 앵커인 임플란트 본체가 환자의 턱 안에 인공적으로 형성된 구멍 내부에 나사로 고정된다. 나사로 조여진 임플란트 본체는 최종 보철물에서 임플란트 포스트(implant post)를 수용한다. 임플란트 포스트는 특수한 클램핑 장치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본체 내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임플란트 포스트 상에는, 눈에 보이는 치아 크라운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물이 예를 들어 접착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안착된다. 치아 크라운 대신에 브리지, 부분 또는 전체 보철물이 필요한 경우, 후자는 임플란트 본체와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복수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된다.
WO 2012/039819 A1호에는, 임플란트 포스트가 없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가 지대주(abutment)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 상에 고정되는 치과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보철물을 지지하는 임플란트 포스트를 상부 구조물 본체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할 수 있기 위하여, 상부 구조물 지지체 상에는 임플란트 본체의 중심선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중앙 내부 나사산을 갖는 임플란트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 본체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3개 개구부에서 끝나는 2개의 다양한 보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는, 한 편으로는 간단한 사전 조립 및 최종 조립 중에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지지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부분- 또는 전체 보철물을 지지하는 임플란트 본체가 다수인 경우에 정적 과잉 결정에도 불구하고 지각할 수 있는 장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와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시스템 조립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려는 과제 설정이 기초가 된다.
상기 과제 설정은,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때,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이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된 안착 지지체로 이루어진다.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는 안착 지지체 쪽으로 그리고 임플란트 본체 쪽으로 개방된 리세스를 갖고 있다. 이 리세스 내에서 임플란트 본체 쪽을 향하는 리세스의 영역에는 내부 나사산이 배열되어 있다. 임플란트 나사 볼트는 간격이 있는 상태로 또는 간격이 없는 상태로 연속으로 배열된 2개의 외부 나사산을 구비하며, 그 중에 제1 나사산은 구동 외부 나사산이고, 제2 나사산은 클램핑 외부 나사산이다. 2개의 외부 나사산은 상이한 피치를 갖는다. 구동 외부 나사산은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의 리세스의 구동 내부 나사산에 맞고, 클램핑 외부 나사산은 임플란트 본체의 클램핑 내부 나사산에 맞는다. 안착 지지체는 상부 구조물 쪽으로 그리고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쪽으로 개방된 리세스를 갖고 있다. 이 리세스 내에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쪽을 향하는 리세스의 영역에는 내부 나사산 또는 나사 헤드 시트(seat) 표면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임플란트 본체를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안착 지지체를 통해 상부 구조물과 연결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가 생성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안착 지지체가 임플란트 본체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서 한 편으로는 조립 조인트 내에서 상호 피벗팅 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서로 상이한 각도를 갖는다는 점에 의해서만 상호 구분되는 복수의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안착 지지체가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임플란트 본체,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및 안착 지지체는, 나사 볼트 및/또는 나사를 통해 나란히 정렬되어 있고 - 일반적으로 직선 형태로는 진행하지 않고 - 2개의 조립 조인트를 갖는 하나의 지지체를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관 형상의 3개의 모든 부품이 단부 측 개구 - 자체 내부 나사산에서 상부 구조물이 나사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유지됨 - 를 제외하고는 사방으로 폐쇄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새로이 생성된 지지체를 따라서는 부품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노치 효과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물론, 제1 조립 조인트 내에서는 나사 볼트가 나사 헤드를 갖는 나사로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그리고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임플란트 지지형 전체 보철물의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를 절단한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부분 보철물 형상의 보철 의치를 절단한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다중으로 꺾인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를 절단한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긴 임플란트 나사 볼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안착 지지체 나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짧은 임플란트 나사 볼트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은 안착 지지체 나사 볼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원추형 포스트를 갖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구형 포스트를 갖는 직선형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안착 지지체 고정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각진 리세스를 갖고 있으며;
도 12는 도 11과 유사하지만, 더 큰 각도를 갖고 있고;
도 13은 지지 플레이트를 갖는 직선형 안착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각진 안착 지지체 포스트를 갖고 있고;
도 15는 도 14와 유사하지만, 더 강하게 각진 안착 지지체 포스트를 갖고 있으며;
도 16은 도 15에 대한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지지 플레이트가 없는 직선형 안착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8은 도 17과 유사하지만, 각진 안착 지지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도 19는 도 18과 유사하지만, 더 강하게 각진 상태이며;
도 20은 비틀림 방지 장치를 갖는 직선형 스타일러스(stylus)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전체 보철물 형상의 보철 의치(1)를 보여준다. 전체 보철물은 턱뼈(3) 내부에 나사로 고정된 다수의 임플란트 본체(10) 상에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턱뼈 단면은 - 환자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 턱의 오른쪽에 있는 어금니 영역에 놓여 있다. 이 단면은, 예를 들어 교합 평면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임플란트 본체(10) 내에서 원추형 시트(14) 내에는 예를 들어 각진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가 안착한다(도 9 참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는 특수한 나사 볼트(60)에 의해서 원추형 시트(14) 내에 고정된다. 개별적인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상에는 - 안착 지지체 나사(160)에 의해 나사 결합된 상태로 - 안착 지지체(240)가 안착한다. 안착 지지체(240)는 형상 안정적인 금속 또는 플라스틱 보강재(7)의 부분이다. 보강재(7) 내에는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제조된 크라운(9)이 고정되어 있다. 잇몸(4)과 크라운(9) 사이에서는, 보강재(7)가 크라운(9)을 둘러싸는 인공 잇몸(8)의 복제물로서의 탄성 플라스틱을 둘러싸고 있다.
세척 및 유지 관리의 목적으로, 전체 보철물은 예를 들어 6개월의 주기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안착 지지체 나사(160)에는 적은 노력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의치(1) 내에서 임플란트 본체(10) 위에 배열된 크라운(9)에는 각각 보어(121)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보어에는 도 1에 따라 예를 들어 보강재(7) 내에서 보어(122)가 연결된다. 보어(121) 및 보어(122)의 일 부분은 UV-광 하에서 경화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개(123)로 폐쇄되어 있다. 마개(123)와 상부 지지체 나사(160) 사이에서는, 안착 지지체(240)의 중앙 보어(244) 내에서 테플론 스트립(124)이 충전재로서 코킹되어 있다.
마개(123) 상에 아무 문제 없이 보어가 형성된 후에는, 추후에 안착 지지체 나사(160)를 풀 수 있기 위하여, 테프론 테이프(124)가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도 2는, 예를 들어 2개 내지 4개의 절치로 이루어진 브리지(2)를 보철 의치로서 보여준다. 아래 턱의 종단면은, 임플란트 본체(10)에 의해서 턱뼈(3) 내에 지지되어 있는 전방 절치들 중 하나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크라운(9)은 짧은 안착 지지체(240) 상에 직접 구성되어 있다. 보어(121, 122)의 폐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보철 의치(1)의 베이스는 턱뼈 내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는 임플란트 본체(10)이다. 임플란트 본체는 예를 들어 미터법이 아닌 외부 나사산과 같이 필요에 따라 자체 절단이 가능한 중공 나사이다. 대략 상반부에 임플란트 본체(10)는 3개의 구역으로 분할된 다단식 리세스(13)를 구비한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제1 구역(14) - 이 구역은 임플란트 본체(10)의 임플란트 숄더(12)의 영역에 놓여 있음 - 은 예를 들어 18도의 원추각을 갖는 내부 원뿔이다. 내부 원뿔(14)은 비틀림 방지 장치(44)로서 이용되는 제2 구역의 내부 육각 에지(15)로 천이된다. 내부 육각 에지(15) 대신에 예를 들어 이중 내부 육각 에지 또는 다른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비틀림 방지 기하학적 구조도 클러치 기하학적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역(14, 15)은 제1 조립 조인트(41)를 형성한다.
제3 구역(17)은 클램핑 내부 나사산(82)을 갖는 나사산 보어이며, 이 클램핑 내부 나사산은 조립 중에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를 고정하는 나사 볼트(60)를 수용한다. 우측으로 증가하는 클램핑 내부 나사산(82)은 예를 들어 DIN 13, 시트(sheet) 1에 따른 M 1.6 x 0.35-나사산이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주로 - 임플란트 본체(10) 내에 안착하면서 - 인공 치아 크라운(1, 2)을 위한 제1 베이스로서 이용되는 과제를 갖는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임플란트 본체(10)를 향하는 영역 및 안착 지지체(240)를 향하는 영역을 갖고 있다.
임플란트 본체(10) 쪽을 향하는 영역은 자체 외부 원뿔(43) 및 자체 외부 육각 에지(44)를 갖는 임플란트 넥(42)이다. 외부 원뿔(43) 및 외부 육각 에지(44)는 임플란트 본체(10)의 리세스(13) 내에 알맞게 안착한다. 임플란트 본체(10)의 팁(tip) 쪽을 향하는 축 방향에서는, 외부 육각 에지(44)의 전면이 리세스(13)와 접촉하지 않는다.
임플란트 넥(42) 위에서는, 필요에 따라 임플란트 넥(4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천이되는 임플란트 플레이트(31)가 연결된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또는 섹션 방식으로 평면의 형상 또는 절두 원뿔 재킷의 형상을 가지며, 이와 같은 절두 원뿔 재킷의 원추각은 치아 크라운(9) 쪽으로 개방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하부면은 또한 서로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테이퍼 원뿔(taper cone)로도 이루어지며, 이 경우 각각의 테이퍼 원뿔은 중심선(29)에 대해 다른 각도를 형성한다. 임플란트 플레이트(31)의 외부 에지(33)는 여기에서 중심선(29)에 대해 거리를 갖고 있으며, 이 거리는 중심선(29)을 중심으로 360° 회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4.5 ㎜에 달한다.
평평한 에지 상부면(37)을 갖는 임플란트 플레이트(31) 위에서는, 원뿔 형상의 임플란트 포스트(23)가 융기한다. 평평한 에지 상부면(37)은 필요에 따라 안착 지지체(240)를 위한 안착 표면을 형성한다. 임플란트 포스트(23)는 도 1 및 도 2에 따라, 외부 육각 에지 형상의 비틀림 방지 장치(238)를 구비하는 원뿔 포스트(24)이다. 외부 육각 에지의 표면은 중심선(59)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거나 6개의 에지를 갖춘 직선 피라미드의 부분 표면이다. 원뿔 포스트(24) 및 회전 방지 장치(238)는 센터링 제2 조립 조인트(239)를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에는 적어도 임플란트 플레이트(31) 위에 질화티타늄 코팅이 제공되어 있다. 이 코팅의 층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4 ㎛이다. 대안적으로, 그곳에는 또한 얇은 벽의 세라믹 또는 코폴리머 코팅이 도포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는 상부 영역에 예를 들어 11도의 꼬임 각도를 갖는 꼬임 지점을 구비하는 연속 리세스(51)를 갖고 있다. 최종 가공된 리세스(51)는 4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제1 구역(52) 및 제2 구역(53)은 나사 볼트(60)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1 하부 구역(52)은 원통형 보어이다. 제1 하부 구역의 중심선(49)은 중심선(29)과 일치한다. 이 구역에는 제2 구역(53)으로서 예를 들어 내부 오른 나사산(72)이 연결되며, 이 내부 오른 나사산은 DIN 13, 시트 2에 따라 M 1.8 x 0.2로 지칭된다. 평평한 스톱 칼라(54)는 내부 나사산(72)과 보어(52) 사이의 천이부를 형성한다.
제4 상부 구역(57)도 마찬가지로 내부 나사산(27)을 갖는 원통형 보어이다. 이 원통형 보어의 중심선(59)은 예를 들어 11도의 각도로 제3 구역(56) 내의 중심선(29)과 교차한다. 상부 구역(57)은 한 편으로는 나사 볼트(60)를 조이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른 한 편으로, 상부 구역은 또한 안착 지지체 나사(160)의 시트(seat)이기도 하다. 제3 구역(56)은 예를 들어 반구의 재킷 표면의 영역을 구비하는 둥근 천이 영역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시스템은 안착 지지체 측의 구형 포스트(25)에서 끝나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부(21b)를 사용한다. 임플란트 원뿔(43)은 접선 방향으로 - 도약부, 에지 또는 임플란트 플레이트 없이 - 구형 포스트(25)의 구 형상으로 천이된다. 중심선(59)은 교차점(36) 내에서 중심선(29)과 158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중심선(29)에 대한 중심선(59)의 꼬임 각도 또는 꺾임은 11도이다. 교차점(36)은 동시에 구형 포스트(25)의 구 형상의 중심점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외벽뿐만 아니라 자체 중앙 리세스의 벽과도 관련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상기 시리즈의 3개의 또 다른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a, 21c, 21d)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구형 포스트(25)의 중심선이 구조물 주 지지체(21a)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직선의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a)를 보여준다. 도 3에 따르면, 구형 포스트(25)는 안착 지지체(243) 쪽으로, 4개의 노치가 통합되어 있는 원뿔 시트(28)에서 끝난다. 중심선(59)의 일 지점에서 교차하는 원뿔 시트(28)의 재킷의 재킷 선은 구형 포스트(25)의 구 표면에 접선 방향으로 접한다.
노치는 4개의 측면을 구비하며, 이들 측면의 표면 법선은 한 편으로는 중심선(59)과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하나의 평면에 놓여 있다. 이들 4개의 측면은 플레이트 세그먼트(32)로서 원뿔 시트(28)의 외피 기하학적 구조에 통합된 임플란트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의 에지 상부면(37)과 대등하다. 노치의 다른 4개 측면은, 중심선(59)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가상 큐브의 측면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에 놓여 있다. 중심선(59)으로부터 등거리로 떨어져 있는 이들 측면은 비틀림 방지 장치(238)를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c)는 30°-각진 부분을 갖는 한편, 도 12의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d)는 45°-각진 부분을 가리킨다. 물론, 이 시리즈의 11° 각도의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도 있다. 개별적인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의 각진 부분은 또한 3도 또는 5도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개별 나사 볼트(60, 61)는 일반적으로 4개의 영역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들 연결 영역(63), 구동 영역(70), 중간 영역(75) 및 클램핑 영역(80)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 정렬되어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연결 영역(63) 내에는 공구 리세스(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구 리세스는 도 5 및 도 7에 따라 예를 들어 1.28 ㎜의 키 폭(key width)을 갖는 내부 육각형 소켓(66)이다. 내부 육각형 소켓 대신에 내부 육각 에지, 내부 사각 톱니, 십자형 슬롯, 슬롯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구동 변형예는 외부 육각형 소켓 외부 또는 육각형 에지이다. 경우에 따라, 육각형 소켓 형상 또는 육각형 에지 형상은 축 방향으로 배럴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구동 영역(70)은 도 5 및 도 7에 따라 M 1.8 x 0.2 유형의 가는 나사산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M 2 x 0.25, M 1.8 x 0.2, M 1.6 x 0.25 또는 M 1.6 x 0.2와 같은 구동 나사(71, 72)와 다른 가는 나사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구동 영역(70)에 인접한 중간 영역(75)은 후속하는 클램핑 영역(80)에 대한 스페이서로서 이용된다. 도 5에 따르면, 중간 영역(75)은 실린더 핀(76) 및 정지 플랜지(78)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실린더 핀(76)의 외경은 구동 외부 나사산(71)의 코어 직경에 상응한다.
클램핑 영역(80) 쪽으로 실린더 핀(76)에는 디스크 형상의 정지 플랜지(78)가 연결된다. 정지 플랜지(78)는 예를 들어 1.8 ㎜의 외경에서 예를 들어 0.2 ㎜의 벽 두께를 갖는다. 정지 플랜지(78)는 나사 중심선과 평행한 노치(79)를 구비하며, 이 노치는 임플란트 본체(10)의 나사산 보어의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클램핑 영역(80)은 클램핑 외부 나사산(81)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클램핑 외부 나사산은 예를 들어 DIN 13, 시트 1에 따른 1.46 ㎜ 길이의 M 1.6 x 0.35-표준 나사산이다.
도 1은, 나사 볼트(60)가 삽입된 후의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를 보여준다. 조립을 위해, 나사 볼트(60)는, 나사 볼트(60)의 정지 플랜지(78)가 스톱 칼라(54)에 인접할 때까지, 자체 구동 외부 나사산(72)에 의해 구동 내부 나사산(72)의 영역 내로 나사 결합된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이제 나사 볼트(60)는 자체 후방 위치에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내에 분실 위험 없이 안착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서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와 나사 볼트(60)로 이루어진 조합체가 판매될 수 있다.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를 계단식 리세스(13) 내에 삽입한 후에는, 나사 볼트(60)를 우측으로 돌림으로써 클램핑 외부 나사산(81)이 임플란트 본체(10)의 클램핑 내부 나사산(82) 내에 나사 결합된다. 이로 인해서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가 임플란트 본체(10) 내부로 당겨진다. 임플란트 본체(10)의 내부 원뿔(14) 내에 임플란트 원뿔(43)이 단단히 안착 되자마자, 나사 결합 과정은 종료된다. 클램핑 외부 나사산(81)의 4개의 나사산 모두 클램핑 내부 나사산(82) 내에 안착한다. 마찬가지로, 구동 외부 나사산(71)의 대부분의 나사 피치는 구동 내부 나사산(72) 내에 있다.
도 7의 나사 볼트(61)는 임플란트 본체(10) 내에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a, 21b, 21c, 21d)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 나사 볼트(61)는 나사 볼트(60)와 전반적으로 유사하다. 실질적으로, 중간 영역(75)은 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는, 3개의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로 이루어진 안착 지지체 그룹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각각은 베이스 섹션(225), 상부 구조물(1, 2)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 지지체 플레이트(228) 및 안착 지지체 포스트(233)를 구비한다.
상기 그룹의 모든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1a 내지 21d) 상에 배열되기에 적합하다. 개별적인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와 그 위에 안착된 안착 지지체 사이에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안착 나사 볼트(161)가 있다.
안착 나사 볼트(161)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안착 나사 볼트는 나사 볼트(60, 61)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동 영역(170)과 클램핑 영역(180) 사이에는 정지 플랜지(178)가 있으며, 이 정지 플랜지의 직경은 클램핑 영역(180)의 최대 나사산 직경보다 크다. 구동 외부 나사산(171)은 DIN 13에 따라 M 1.6 x 0.2-나사산에 상응한다. 더 큰 직경의 클램핑 외부 나사산(181)은 M 1.8-표준 나사산이다. 구동 영역(170) 내로 가공된 공구 리세스는 예를 들어 내부 육각형 소켓이다.
실시예에 도시된 모든 나사산은 DIN 13에 따른 미터법 나사산이다. 미터법 나사산 대신에 사다리꼴 나사산, 플랫 나사산, 버트레스-나사산(buttress thread), 원형 또는 밀크 나사산, 파이프 나사산, 휘트워스 나사산, UNF/UNC-나사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나사 볼트(60, 61)는 예를 들어 TiAL6V4 또는 TiAl6V4 ELI로 제조되었다.
개별 안착 지지체의 베이스 섹션(225)은 하부 전면으로부터 안착 지지체 플레이트(228) 쪽으로 확장된다. 안착 지지체 플레이트 위에 있는 안착 지지체 포스트(233)는 실질적으로 위쪽으로 - 다시 말해 안착 지지체(22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 좁아지는 직선 원뿔 형상을 갖는다. 안착 지지체 포스트(233)는 하부 1/3 지점에, 측면으로 돌출하는 비틀림 방지 바(234)에 의해 중단되는 복수의 환상 홈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서는, 지지 될 상부 구조물(1, 2)을 위한 비틀림 방지 베이스가 생성된다.
모든 안착 지지체(221 내지 123)는, 하부 영역에 원뿔 시트(226)를 구비하는 연속적인 다중 계단식 리세스(251)를 갖고 있다(도 16 참조). 원뿔 시트(226) 내에는, 예를 들어 비틀림 방지 장치(32, 238)의 노치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적합한 4개의 웹(227)이 있다. 원뿔 시트(226)는 안착 나사 볼트(161)의 클램핑 영역(180)을 수용하기 위한 짧은 원통형 리세스 내부로 개방된다(도 3 참조). 원통형 리세스에는 구동 내부 나사산(172)이 연결되며, 이 구동 내부 나사산 내부에는 안착 나사 볼트(161)의 구동 외부 나사산(171)이 맞물린다. 원통형 리세스의 직경은 안착 나사 볼트(161)의 구동 내부 나사산(172)의 코어 직경보다 크다. 이로 인해서는, 안착 나사 볼트(161)의 사전 조립 중에 안착 나사 볼트의 스톱 플랜지(178)가 정지하게 되는 스톱 칼라가 생성한다.
안착 지지체(222)의 베이스 섹션(225)은 안착 지지체 포스트(233)에 대하여 11도만큼 꺾여 있다. 안착 지지체(223)의 경우, 상기 각진 부분은 22도에 달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안착 지지체(241 내지 243)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모든 안착 지지체는, 하부 영역에 매끄러운 벽이 있고 상부 영역에 예를 들어 환상 홈(246)이 장착된 직선형 또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진다. 이 관은 외경은 예를 들어 3.24 ㎜의 외경을 갖는다. 홈은 실시예에서 0.45 ㎜의 반경을 갖는다. 홈으로부터 홈까지의 피치는 1.1 ㎜이다. 관의 최소 내경은 1.62 ㎜이다.
도 18에 따르면, 안착 지지체(242)의 매끄러운 벽 영역은 홈이 장착된 영역에 비해 11도만큼 꺾인 상태로 구현되어 있다. 도 19에서 각진 부분은 22도이다. 안착 지지체(241 내지 243)의 제2 조립 조인트의 기하학적 형상은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의 기하학적 구조에 상응한다. 이와 같은 내용은 도 20에 도시된 스캐닝 게이지(270)(scanning gauge)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스캐닝 게이지는 자체 자유 단부에 일 측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스캐닝 치아(271)를 구비한다. 스캔 가능한 2.5 ㎜ 두께의 스캐닝 치아(270)는 2개의 평행한 전면 및 40° 각도를 형성하는 2개의 치아 측면을 갖고 있다.
직선형 또는 각진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와 직선형 또는 각진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는, 지지체가 또한 상호 비틀린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임플란트 본체와 안착 지지체의 위치 사이에서 다수의 많은 각도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른 경우에 개별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와 개별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 사이에서 비틀림 방지 장치가 생략되면, 각도 위치의 수도 증가한다.
1: 의치, 보철물, 부분 또는 전체 보철물, 상부 구조물
2: 의치, 보철물, 브리지, 상부 구조물
3: 턱뼈
4: 잇몸
7: 골조, 보강재
8: 잇몸 모조품, 탄성적
9: 크라운
10: 임플란트 본체
12: 임플란트 숄더
13: 리세스, 계단형
14: 내부 원뿔, 제1 구역, 원뿔, 원뿔 시트
15: 내부 육각 에지, 제2 구역, 클러치 기하학적 형상
17: 나사산 보어, (82)를 위한 제3 구역
20: 나사 볼트(60)에 대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21a: 나사 볼트(61)에 대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직선형
21b: 나사 볼트(61)에 대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22° 각도
21c: 나사 볼트(61)에 대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30° 각도
21d: 나사 볼트(61)에 대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 45° 각도
23: 임플란트 포스트
24: 원뿔 형상, 중공 원뿔, 원뿔 포스트
25: 구 형상, 중공 구, 구형 포스트
27: (160)을 위한 내부 나사산
28: 원뿔 시트, 일 노치의 부분, 비틀림 방지 장치
29: 중심선
31: 임플란트 플레이트
32: 플레이트 세그먼트, 일 노치의 부분
33: 에지
36: 중심점, 교차점
37: 에지 상부면, 평평함
41 : 제1 조립 조인트
42: 임플란트 넥
43: 임플란트 원뿔, 외부 원뿔
44: 비틀림 방지 장치, 외부 육각 에지, 클러치 기하학적 구조
51: 리세스, 필요에 따라서는 꼬여 있음
52: 제1, 하부 구역, 하부 리세스
53: 제2 구역, 하부 리세스
54: 스톱 칼라
56: 제3 구역, 반구형 재킷 표면
57: 제4, 상부 구역; 보어, 원통형
59: (56, 57)의 중심선
60: 스톱 플랜지를 갖는 긴 나사 볼트
61: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나사 볼트
63: 연결 영역
65: 공구 리세스
66: 내부 육각 소켓, 내부 육각 에지
70: 구동 영역
71: 구동 외부 나사산, 외부 나사산, 구동 나사산, 왼 나사산
72: 구동 내부 나사산, 내부 나사산, 구동 나사산, 왼 나사산
73: 구동 페어링(pairing), 구동 나사산, 페어링
75: 중간 영역
76: 실린더 핀
78: 스톱 플랜지, 스톱 칼라
79: 노치
80: 클램핑 영역
81: 클램핑 외부 나사산, 외부 나사산, 클램핑 나사산
82: 클램핑 내부 나사산, 내부 나사산, 클램핑 나사산
83: 클램핑 페어링, 클램핑 나사산, 페어링
121: (9) 내에 있는 보어
122: (7) 내에 있는 보어
123: (9) 및/또는 (240)을 위한 마개
124: 충전 재료, 접착되지 않음; 테프론 테이프
151: 리세스, 필요에 따라서는 꺾여 있음
160: 헤드를 갖는 짧은 안착 지지체 나사
161: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안착 나사 볼트; 안착 지지체 고정 수단
162: 나사 헤드 시트 표면, 원추형
165: 공구 리세스
166: 내부 육각 에지
167: 나사 헤드, 방사상 외부에서 원통형
168: 외부 나사산
170: 구동 영역
171: 구동 외부 나사산, 외부 나사산, 구동 나사산, 왼 나사산
172: 구동 내부 나사산, 내부 나사산, 구동 나사산, 왼 나사산
173: 구동 페어링, 구동 나사산, 페어링
178: 스톱 플랜지, 스톱 칼라
180: 클램핑 영역
181: 클램핑 외부 나사산, 외부 나사산, 클램핑 나사산
182: 클램핑 내부 나사산, 내부 나사산, 클램핑 나사산
183: 클램핑 페어링, 클램핑 나사산, 페어링
185: 외부 나사산, 오른 나사산
221: 플레이트를 갖는 안착 지지체, 직선형
222: 11° 각진 부분을 갖는 안착 지지체
223: 22° 각진 부분을 갖는 안착 지지체
225: 베이스 섹션
226: 원뿔 시트
227: 웹
228: 안착 지지체 플레이트
233: 안착 지지체 포스트
234: 비틀림 방지 바
238: 비틀림 방지 장치, 외부 사각 에지, 클러치 기하학적 구조
239: 제2 조립 조인트
240: 홈을 갖는 짧은 안착 지지체, 직선형
241: 홈을 갖는 긴 안착 지지체, 직선형
242: 11° 각진 부분을 갖는 긴 안착 지지체
243: 22° 각진 부분을 갖는 긴 안착 지지체
244: 보어, 중앙
246: 홈
251: 리세스, 필요에 따라서는 꺾여 있음
270: 스캐닝 게이지
271: 스캐닝 치아

Claims (13)

  1. 상부 구조물(1, 2)을 지지하는 다중-부품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21a 내지 21d; 221 내지 223; 240 내지 243)와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21a 내지 21d; 221 내지 223; 240 내지 243)의 일 부분이 임플란트 나사 볼트(60, 61)를 통해 임플란트 본체(10)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 이때, 상기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21a 내지 21d; 221 내지 223; 240 내지 243)는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 및 이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된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로 이루어지며,
    - 이때, 상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는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 쪽으로 그리고 임플란트 본체(10) 쪽으로 개방된 리세스(51)를 갖고 있으며,
    - 이때, 상기 리세스(51) 내에서 임플란트 본체(10) 쪽을 향하는 리세스의 영역에는 내부 나사산(72)이 배열되어 있으며,
    - 이때, 임플란트 나사 볼트(60, 61)는 간격이 있는 상태로 또는 간격이 없는 상태로 연속으로 배열된 2개의 외부 나사산(71, 81)을 구비하며, 그 중에 제1 나사산은 구동 외부 나사산(71)이고 제2 나사산은 클램핑 외부 나사산(81)이며,
    - 이때, 2개의 외부 나사산(71, 81)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 이때, 상기 구동 외부 나사산(71)은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의 리세스의 구동 내부 나사산(72)에 맞고, 클램핑 외부 나사산(81)은 임플란트 본체(10)의 클램핑 내부 나사산(82)에 맞으며,
    - 이때, 상기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는 상부 구조물(1, 2) 쪽으로 그리고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 쪽으로 개방된 리세스(151)를 갖고 있으며,
    - 이때, 상기 리세스(151) 내에서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 쪽을 향하는 리세스의 영역에는 내부 나사산(172) 또는 나사 헤드 시트 표면(168)이 배열되어 있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가 임플란트 포스트(23)를 구비하고,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임플란트 원뿔(43)에 대하여 각진 상태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의 임플란트 포스트(23)가 원추 형상 또는 원뿔 형상(24, 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가 임플란트 포스트(23)의 직선형 중공 연장부이거나 각진 관 형태의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10) 및 상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가, 제1 조립 조인트(41)의 비틀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보적인 클러치 기하학적 구조(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 주 지지체(20, 21a 내지 21d) 및 상기 안착 지지체(221 내지 223; 240 내지 243)가 제2 조립 조인트(239) 내에서 비틀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보적인 클러치 기하학적 구조(2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개별 부품(20, 21a 내지 21d; 221 내지 223; 240 내지 243)의 리세스(51, 151)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동 나사산(71, 72; 171, 172)이 하나의 구동 페어링(73, 173)을 형성하고, 상기 2개의 클램핑 나사산(81, 82, 181, 182)이 하나의 클램핑 페어링(83, 183)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2개 페어링(73, 83; 173, 183)의 나사산은 피치 연산 부호가 동일한 경우에 상이한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9. 제1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페어링(73, 173)의 나사산(71, 72; 171, 172)이 - 나사산(71, 72, 81, 82; 171, 172, 181, 182)의 피치 연산 부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 클램핑 페어링(83, 183)의 나사산(81, 82; 181, 182)보다 작은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10. 제1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페어링(73, 83; 173, 183)의 나사산(71, 72, 81, 82; 171, 172, 181, 182)이 상이한 피치 연산 부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11. 제1항, 제8항 및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페어링(73, 173)의 나사산(71, 72; 171, 172)이 각각 음의 피치 연산 부호를 갖는, 다시 말해 왼 나사산(71, 72; 171, 1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12. 제1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73, 83; 173, 183)의 나사산이 상이한 나사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볼트(60, 61; 160, 161)가 외부 나사산(71, 81; 171, 181) 사이에 또는 - 클램핑 나사 결합 방향으로 - 외부 나사산(71, 81; 171, 181) 뒤에 정지 칼라(54, 78; 154, 17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KR1020227017687A 2019-11-04 2020-11-02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KR20220120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007624.9 2019-11-04
DE102019007624.9A DE102019007624A1 (de) 2019-11-04 2019-11-04 Systemmontageschnittstelle
PCT/DE2020/000264 WO2021089067A1 (de) 2019-11-04 2020-11-02 Systemmontageschnittst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558A true KR20220120558A (ko) 2022-08-30

Family

ID=7364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687A KR20220120558A (ko) 2019-11-04 2020-11-02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87145A1 (ko)
EP (1) EP4054477A1 (ko)
JP (1) JP2023502881A (ko)
KR (1) KR20220120558A (ko)
CN (1) CN115052552A (ko)
BR (1) BR112022008613A2 (ko)
DE (1) DE102019007624A1 (ko)
WO (1) WO2021089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9247A (zh) * 2019-06-25 2022-01-14 诺贝尔生物服务公司 牙科组件和对齐牙科组件的方法
US20230233294A1 (en) * 2022-01-25 2023-07-27 Dan Rosen Tie-base with conical screw for dental impla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622B1 (en) * 1987-11-18 1994-09-27 Nobelpharma Ab Spacer
US5104318A (en) * 1990-09-20 1992-04-14 2848-4293 Quebec Inc. Implant assembly for anchoring an artificial tooth
DE10101907B4 (de) * 2001-01-17 2006-10-05 Rainer Hamann Zahnimplantat
US6939135B2 (en) * 2002-06-03 2005-09-06 Schubert L. Sapian Growth factor releasing biofunctional dental implant
DE20303653U1 (de) * 2002-11-22 2004-04-01 Dentamechanik svo Verbindungsanordnung
JP5195285B2 (ja) * 2007-11-01 2013-05-08 日立金属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キーパー及びその組立体
EP2255746B1 (en) * 2009-05-30 2014-08-06 Young Ku Heo Implant fixture remover
WO2012039819A1 (en) 2010-09-24 2012-03-29 Zimmer Dental, Inc.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EP2868291A1 (en) * 2012-06-29 2015-05-06 Dentoz Co., Ltd. Dental implant
MX2017004494A (es) * 2014-10-12 2017-08-08 T A G Medical Devices - Agriculture Coop Ltd Cojunto de pilar dental angular.
DE102016008669B4 (de) *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CH712802A1 (de) * 2016-08-12 2018-02-15 Lakeview Innovation Ltd Einheitsverbinder und Einheitsverbindungssystem für Dentalimplantate.
US10531937B2 (en) * 2016-10-25 2020-01-14 Chi Keung Lee Dental implant system with positive abutment screw locking and retrieval mechanism
US20180280121A1 (en) * 2017-03-30 2018-10-04 Ico Dental, Inc.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WO2021045845A1 (en) * 2019-09-08 2021-03-11 BioClean Dental, LLC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9067A1 (de) 2021-05-14
JP2023502881A (ja) 2023-01-26
EP4054477A1 (de) 2022-09-14
US20220387145A1 (en) 2022-12-08
BR112022008613A2 (pt) 2022-08-09
DE102019007624A1 (de) 2021-05-06
CN115052552A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389B1 (ko)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DK2436336T3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2440721B1 (ko) 특정한 내측 및 외측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KR100921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20120558A (ko)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CN101815479B (zh) 牙植入物和基牙之间的连接装置
BRPI0808750B1 (pt) Pivô dentário incluindo filete, conjunto dentári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JPS6266852A (ja) 義歯の装着に用いるドリルと固定ほぞ要素との組合セツト
JP6896067B2 (ja) 歯科補綴システム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BR112019019288B1 (pt) Sistema de implante
US20220183798A1 (en) Assembly interface between a superstructure and an implant body
US9532856B2 (en) Screw head
EP1096895B1 (en) Device for a dental prosthesis arrangement
KR20035060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록킹 어버트먼트
KR20210083662A (ko)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4155799A (ja) セラミック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セラミック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を備えるセット
US20240033051A1 (en) Implant system for a denture
KR20220024989A (ko) 치과용 스크류 및 치과용 고정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