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470A -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470A
KR20140132470A KR1020130051637A KR20130051637A KR20140132470A KR 20140132470 A KR20140132470 A KR 20140132470A KR 1020130051637 A KR1020130051637 A KR 1020130051637A KR 20130051637 A KR20130051637 A KR 20130051637A KR 20140132470 A KR20140132470 A KR 2014013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fixture
screw
artificial teeth
surface treat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환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riority to KR102013005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470A/ko
Publication of KR2014013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7Production methods using sand bl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8Production method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를 턱뼈에 심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플랜트(1)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픽스쳐(10)를 대략 3등분하여 상부 1/3부분에 잔나사 (Micro Threads)를 형성하고 RBM표면처리를 함으로서 임플란트의 초기고정력을 높이고 주위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중간 및 하단 2/3부분(11b)에는 레이져을 사용하여 높은 수준의 미세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인공치아를 고정하는 픽스쳐와 턱뼈의 체결력을 높여 인공치아를 흔들림이 없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인공치아 매식수술이 완료된 후 아물게 되는 시간이 6주로 단축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NEXT GENERATION IMPLANT WITH HYBRID SURFACE TREATMENTS}
본 발명은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턱뼈에 심는 픽스쳐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픽스쳐의 전체 길이를 대략 3등분하여 상부의 1/3부분은 RBM ( Resorbable Blast Media : HA Poweder) 으로 표면처리를 하고, 나머지 중간 및 하부 2/3부분은 레이저에 의해 표면에 다수의 함몰부위를 형성함으로써, 표면 거칠기를 높여서 상기 픽스쳐와 턱뼈의 해면골과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인공치아를 흔들림 없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수술후 골이 아무는 시간을 줄여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RBM표면처리에 의하여 주위염의 형성도 미연에 방지하는 새로운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의 치아는 턱뼈의 해면골이 지지하여 주고 있기 때문에, 잇몸에 염증이나 풍치가 발생되면 치아를 지지하고 있던 치밀골과 해면골의 지지력이 약해져 치아가 흔들리게 되며 치통으로 고생을 하게 된다.
상기 인공치아를 심기 위해서는 턱뼈와 인공치아 사이에 보철용 임플란트를 결합하는 바, 상기 임플란트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픽스쳐를 턱뼈에 심도록 되어 있으며, 턱뼈의 치밀골과 해면골에서 아물면서 픽스쳐를 지지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공치아를 턱뼈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임플란트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 임플란트는 픽스쳐, 어버트먼트, 어버트먼트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끼우고 상부에 어버트먼트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임플란트가 구성되며, 상기 픽스쳐에는 턱뼈에 고정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3줄 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임플란트 픽스쳐 전체에 레이져 표면처리를 한 임플란트는 골결합력을 강하게 할수 있으나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수도 있으므로,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상부 잔나사 부위는 RBM으로 표면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종전의 임플란트에 있어서, 턱뼈에 매식되어 인공치아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픽스쳐는 수나사가 형성된 외주면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거나 원통형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전체적으로 RBM처리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를 하는바 임플란트의 잇몸뼈와의 결합력이 미흡하여 골결합을 이루는데 8주이상의 기간이 소요되어었고, 레이져로 처리하면 골결합력은 증가되어 그 기간을 6주로 단축시킬수 있으나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의 문제가 동반되었다.
또한 픽스쳐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한 줄 또는 두줄나사로 구성되어 있어 픽스쳐를 턱뼈의 골에 심을 때, 픽스쳐의 1회전으로 1피치 또는 2피치의 깊이로 이동하게 되므로 심는 작업이 느려지고, 픽스쳐의 나사산이 골의 나사골에 접촉되는 정도도 서로 면과의 접촉에 불과하여 견고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쳐의 전체 길이를 대략 3등분하여 상부의 3분의 1부분은 RBM ( Resorbable Blast Media) 으로 표면처리를 하고, 나머지 중간 및 하부 3분의 2부분은 레이저에 의해 표면에 다수의 함몰부위를 형성함으로써 픽스쳐와 골 사이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인공치아를 흔들림 없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수술후 골이 아무는 시간을 줄여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임플란트 매식부위 주위염 생성을 줄여서, 강한 골결합에 부수되는 주위염발생의 여지를 미연에 방지하는 임플란트의 골결합력 및 생체적합성을 높인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임플랜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임플랜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임플랜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임플랜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implant)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임플랜트가 개시되어 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랜트(1)는, 사전에 턱뼈(40)에 형성되는 삽입구멍(43) 내에 나사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픽스쳐(10; fixture), 인공치아의 저부에 삽입되어 중간대 역할을 하는 어버트먼트(20; abutment),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20)를 상기 픽스쳐(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쳐(10)에 나사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픽스쳐(10)의 상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마치 테이퍼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기 픽스쳐의 몸체(11)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 외주면의 나사홈은 3줄 나사이다.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픽스쳐 몸체(11)의 전체 길이를 대략 3등분한 것으로 가정하였을 경우(도 4 참조), 상기 결합구멍(12)에 인접한 상단 1/3부분(11a)의 표면은 잔나사 (Micro Thread)가공한 면을 만들고 RBM표면처리를 수행하며, 중간 부분 및 말단 부분(11b)의 표면은 테이퍼된 형상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Nd- Yag레이저를 이용하여 상단부분의 표면보다 더욱 거칠어지도록 형성되는 미세돌기(13)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픽스쳐 몸체(11)의 상단 1/3부분 (11a)부분의 표면처리방법은 입도 30-80Mesh의 HA Powder를 10초-12초 고압분사하여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키며, 중간 부분(11b) 및 하부 (11c)의 표면은 표면거칠기가 더욱 거칠어지도록 레이져에 의한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레이져분사조건은 이동거리 1마이크론미터, 시간 1000 마이크로세컨드, 모터회전속도 100 RPM으로 ?추어 티타늄임플란트 표면에 분사하였다.
레이져 표면처리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결과 직경이 34마이크론이고 깊이가 24 마이크론인 반구모양이 20마이크론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 벌집모양의 구조를 형성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상기 어버트먼트(20)에는, 외주면을 완만하게 경사지게 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는 상기 어버트먼트(20)의 관통구멍(21)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픽스쳐(1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의 상부에는 조임 스크류(도시 생략)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상기 픽스쳐(10) 상에 형성된 결합구멍(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수나사부(32)가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임플랜트(1)로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뼈(40)를 이루고 있는 치밀골(41)과 해면골(42)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구멍(43)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구멍(43)에 임플랜트(1)를 삽입 설치하게 된다.
우선 상기 픽스쳐(10)를 턱뼈(40)에 형성된 삽입구멍(43) 내에 삽입한 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픽스쳐(10)를 턱뼈(40)에 장착시킨다. 상기 픽스쳐(10)의 몸체(11)는 테이퍼형상으로서 말단부분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상기 삽입구멍(43)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쳐(10)를 조이는 작업도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픽스쳐(10)의 몸체(11)에는 3줄 나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픽스쳐(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삽입구멍(43)에 장착되는 과정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시간이 감축된다.
상기 픽스쳐(10)의 몸체(11)의 전체 길이를 대략 3등분하였을 때,상단 1/3부분(11a)의 표면은 잔나사 (Micro Thread)가공한 면을 만들고 RBM표면처리를 수행하며, 중간부분과 말단 부분의 표면에는 미세돌기(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구멍(43)과 픽스쳐(10) 사이의 접촉면적이 미세돌기(13)의 크기만큼 더 넓어지게 되고,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되어 픽스쳐(10)에 체결되는 인공치아의 견고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잔나사 부위에 대한 RBM처리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추기고정력이 향상되며, 주위염 발생을 미연에 발생할수 있는 강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턱뼈(40)의 삽입구멍(43)에 픽스쳐(10)를 장착, 고정시킨 후 종래와 같이 인공치아를 구비한 어버트먼트(20)를 픽스쳐(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어버트먼트 스크류(30)를 픽스쳐(10)의 결합구멍(12)에 체결하면 인공치아의 이식수술이 완료된다.
1: 임플랜트 10: 픽스쳐
11: 몸체 12: 결합구멍
13: 미세돌기 20: 어버트먼트
21: 관통구멍 30: 어버트먼트 스크류
31: 오목부 40: 잇몸
41: 치밀골 42: 해면골
43: 삽입구멍

Claims (2)

  1. 사전에 턱뼈(40)에 형성되는 삽입구멍(43) 내에 나사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픽스쳐(10; fixture), 인공치아의 저부에 삽입되어 중간대 역할을 하는 어버트먼트(20),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20)를 상기 픽스쳐(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쳐(10)에 나사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1)로서,

    상기 픽스쳐(10)의 상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3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픽스쳐(10)의 몸체(11)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픽스쳐 몸체(11)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였을 때, 상기 결합구멍(12)에 인접한 상단 1/3부분(11a)의 잔나사표면은 RBM표면처리를 하고, 중간부분과 하단부2/3(11b)부분의 표면은 레이저에 더욱 거칠어지도록 형성되는 미세돌기(1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 외주면의 나사홈은 3줄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20130051637A 2013-05-08 2013-05-08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KR20140132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37A KR20140132470A (ko) 2013-05-08 2013-05-08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37A KR20140132470A (ko) 2013-05-08 2013-05-08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70A true KR20140132470A (ko) 2014-11-18

Family

ID=5245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637A KR20140132470A (ko) 2013-05-08 2013-05-08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4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5844A (zh) * 2017-12-29 2018-06-01 天天诺齿科技术(天津)有限公司 义齿基台
CN109846567A (zh)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种植导板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KR20190064565A (ko) * 2016-07-20 2019-06-10 브루노 스핀들러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KR20190064564A (ko) * 2016-07-20 2019-06-10 브루노 스핀들러 특정한 내측 및 외측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565A (ko) * 2016-07-20 2019-06-10 브루노 스핀들러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KR20190064564A (ko) * 2016-07-20 2019-06-10 브루노 스핀들러 특정한 내측 및 외측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CN108095844A (zh) * 2017-12-29 2018-06-01 天天诺齿科技术(天津)有限公司 义齿基台
CN109846567A (zh)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种植导板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46B1 (ko) 치과용 삽입물
AU2004241822C1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4301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JP200950969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CN101621970A (zh) 牙齿植入体、基台结构和用于植入牙齿植入体的方法
AU2010266567A1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KR20140132470A (ko)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US20070111164A1 (en) Dental implant
US20090155743A1 (en) Improved Dental Implant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200386077Y1 (ko)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10112788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1609137B1 (ko) 세포 및/또는 약물 주입용 임플란트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CN101357079B (zh) 一种具有横根的牙种植体
KR100564096B1 (ko) 치과용 핀 임플란트
KR200204815Y1 (ko)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JP4226609B2 (ja) 歯科コンポーネントインプラント
JP6166610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030038098A (ko)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