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815Y1 -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815Y1
KR200204815Y1 KR2020000018586U KR20000018586U KR200204815Y1 KR 200204815 Y1 KR200204815 Y1 KR 200204815Y1 KR 2020000018586 U KR2020000018586 U KR 2020000018586U KR 20000018586 U KR20000018586 U KR 20000018586U KR 200204815 Y1 KR200204815 Y1 KR 200204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implant
artificial teeth
implantation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riority to KR2020000018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를 턱뼈에 심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플랜트의 구성 요소인 어바트-픽스츄어를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수나사를 4줄나사로 구성하면서 몸체에 레이저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인공치아를 고정하는 어바트-픽스츄어와 턱뼈의 체결력을 높여 인공치아를 흔들림이 없이 견고성을 얻고 골이 아물게 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임플랜트의 어바트-픽스츄어를 원추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수나사를 4줄나사로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의 이식수술을 용이하게 진행되어 환자의 고통을 다소나마 줄여주고, 어바트-픽스츄어 수나사부에 다수의 미세한 돌기의 형성으로 턱뼈의 삽입홀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져 이식수술후 아물게 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됨에 따라 치료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The implant for the operation of transplanting artificial teeth}
본 고안은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턱뼈에 심는 어바트-픽스츄어를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수나사를 형성한 몸체에 레이저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어바트-픽스츄어와 턱뼈의 치밀골 또는 해면골과의 체결력을 높여 어바트-픽스츄어에 결합될 인공치아를 흔들림이 없이 견고성을 얻고 골이 아물게 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뼈의 치밀골과 해면골에 의해 구강내의 치아를 지지하여 주고 있으며, 잇몸에 염증이나 풍치가 발생되면 치아를 지지하고 있던 치밀골과 해면골의 지지력이 약해져 치아가 흔들리게 되어 충치로 인하여 치통으로 고생을 하게 된다.
치통은 인체에 비교적 심한 고통을 주게 되고, 따라서 치통으로 고생하는 충치를 빼내고 그 자리에 치아를 대신할 수 있도록 심는 것이 인공치아이다.
상기 인공치아를 심기 위해서는 턱뼈와 인공치아간에 보철용 임플랜트를 결합하는 바, 상기 임플랜트의 구성인 어바트-픽스츄어를 턱뼈에 심도록 되어 있으며, 턱뼈의 치밀골과 해면골에서 아물면서 어바트-픽스츄어를 지지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공치아를 턱뼈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임플랜트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 임플랜트는 어바트-픽스츄어, 어바트-실린더, 실린더스크루로 구분되며, 상기 어바트-픽스츄어에 어바트-실린더를 끼우고 상부에 실린더스크루를 체결하여서 임플랜트가 구성되며, 상기 어바트-픽스츄어에는 턱뼈에 고정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한줄 또는 두줄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본원보다 선출되어 공개된 실용신안등록출원제98-20535호 및 제99-16876호의 임플랜트에서, 턱뼈에 심기어 인공치아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어바트-픽스츄어는 수나사를 한 외주형상이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원통형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치밀골과 해면골에 체결하기 위하여 어바트-픽스츄어를 골의 입구에 위치시켜 체결하려는 시점에서 어바트-픽스츄어의 직경보다 골이 작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골을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어비트-픽스츄어의 하단부를 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테이퍼지게 구성하여 어바트-픽스츄어를 골에 심는 과정은 용이할지언정 어바트-픽스츄어의 제작에 테이퍼와 테이퍼를 구성하기 위하여 테이퍼부에 절개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이 별도로 소요되어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어바트-픽스츄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한줄 또는 두줄나사로 구성되어 있어 어바트-픽스츄어를 턱뼈의 골에 심을 때, 어바트-픽스츄어의 1회전으로 1피치 또는 2피치의 깊이로 이동하게 되므로 심는 작업이 느려지고, 어바트-픽스츄어의 나사산이 골의 나사골에 접촉되는 정도이므로 서로 면과의 접촉에 불과하여 견고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공치아를 이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플랜트의 어바트-픽스츄어 몸체를 원추형으로 구성하고 수나사를 4줄나사로 형성하여 임플랜트를 골에의 체결을 빠른 속도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한편 어바트픽스츄어와 골간 나사산과 나사골의 접촉면과는 별도로 접촉되는 면을 더 넓게 가질 수 있도록 어바트-픽스츄어의 몸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데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공치아 이식수술용으로 사용되는 임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랜트의 어바트-픽스츄어를 원추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어바트-픽스츄어의 몸체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4줄나사로 형성하면서 레이저로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어바트-픽스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를 확대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를 확대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를 확대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임플랜트 10. 어바트-픽스츄어
11. 랜치홈 12. 몸체
13. 돌기 20. 어바트-실린더
21. 통공 30. 실린더스크루
31. 요입부 40. 턱뼈
41. 치밀골 42. 해면골
43. 삽입홀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의 분해사시도로서, 어바트-픽스츄어, 어바트-실린더, 실린더스크루의 구성으로 구분되며,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임플랜트로 구성되고,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의 단면도로서, 상호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임플랜트를 턱뼈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임플랜트(1)는 인공치아를 턱뼈(40)에 지지하여 주는 어바트- 픽스츄어(10), 인공치아의 저부에 삽입되어 중간대 역할을 하는 어바트-실린더(20), 인공치아를 어바트-픽스츄어(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어바트-픽스츄어(10)에 나착되는 실린더스크루(30)로 구분되며, 이들의 결합으로 인공치아 이식수술용으로 사용되는 임플랜트(1)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본 고안인 어바트-픽스츄어(10)는 몸체(11)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실린더스크루(30)를 나착하기 위한 랜치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어바트-픽스츄어(10)의 몸체(11)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4줄나사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11)의 수나사부에 레이저로 다수의 미세한 돌기(13)를 형성되게 하였다.
통상과 같이 상기 어바트-실린더(20)는 외주면을 완만하게 경사지게 한 상부에 통공(21)을 형성하여 내경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스크루(30)는 상부에 조임스크루(도시되지 않았음)를 나착할 수 있도록 요입부(31)를 형성하여 나사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어바트-픽스츄어(10)의 랜치홈(12)에 나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수나사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임플랜트로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뼈(40)를 이루고 있는 치밀골(41)과 해면골(42)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43)에 임플랜트(1)가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임플랜트(1)는 턱뼈(40)의 삽입홀(43)에 임플랜트(1)의 구성 요소인 어바트-픽스츄어(10)의 나착으로 설치된다.
상기 삽입홀(43)에 어바트-픽스츄어(10)를 위치시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임으로 설치되는 바, 상기 어바트-픽스츄어(10) 몸체(11)가 원추형으로 되어 있어 상기 삽입홀(43)에 어바트-픽스츄어(10)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조여지게 되므로 조임에 용이하다.
또한, 어바트-픽스츄어(10)의 회전으로 삽입홀(43)에 나착되는 과정에 어바트-픽스츄어(10)의 몸체(11)에 형성된 수나사가 4줄나사로 되어 있어 1회전으로 4피치(나사산과 나사산의 거리를 1피치이라 함)로 이동하게 되므로 삽입홀(43)에 어바트-픽스츄어(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어바트-픽스츄어(10)의 회전은 종래에 비해 그 회전수가 적어 체결에 용이함을 주고 있다.
특히, 어바트-픽스츄어(10)의 몸체(11)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다수의 미세한 돌기(13)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홀(43)과 어바트-픽스츄어(10)간에 접촉되는 면적이 돌기(13)부분의 크기 만큼 더 넓어지게 되고, 따라서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지력이 상승하여 어바트-픽스츄어(10)에 체결되는 인공치아의 견고성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높다.
이와 같이 턱뼈(40)의 삽입홀(43)에 어바트-픽스츄어(10)를 나착 고정시킨 후 종래와 같이 인공치아를 구성한 어바트-실린더(20)를 어바트-픽스츄어(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실린더스크루(30)를 어바트-픽스츄어(10)의 랜치홈(12)에 체결하면 인공치아의 이식수술을 완료하게 된다.
인공치아의 이식수술이 완료되면, 턱뼈(40)의 치밀골(41)과 해면골(42)에 형성된 삽입홀(43)과 어바트-픽스츄어(10)간에 나착부분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아물게 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따라서 인공치아 이식수술후 치료기간이 단축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인공치아 이식수술용으로 사용되는 임플랜트의 어바트-픽스츄어를 원추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수나사를 4줄나사로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의 이식수술을 용이하게 진행되어 환자의 고통을 다소나마 줄여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임플랜트의 어바트-픽스츄어 수나사부에 다수의 미세한 돌기의 형성으로 턱뼈의 삽입홀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져 이식수술후 아물게 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따라서 치료기간이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인공치아 이식수술용으로 사용되는 임플랜트가 어바트-픽스츄어, 어바트-실린더, 실린더스크루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턱뼈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어바트-픽스츄어의 몸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레이저로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바트-픽스츄어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4줄나사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바트-픽스츄어의 몸체를 원추형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2020000018586U 2000-06-29 2000-06-29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200204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6U KR200204815Y1 (ko) 2000-06-29 2000-06-29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86U KR200204815Y1 (ko) 2000-06-29 2000-06-29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815Y1 true KR200204815Y1 (ko) 2000-12-01

Family

ID=1966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86U KR200204815Y1 (ko) 2000-06-29 2000-06-29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8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098A (ko) * 2001-11-08 2003-05-16 조성암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0817642B1 (ko) 2006-06-16 2008-03-27 허영구 임플란트
KR101446188B1 (ko) 2012-05-11 2014-10-01 주식회사 덴티스 픽스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098A (ko) * 2001-11-08 2003-05-16 조성암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0817642B1 (ko) 2006-06-16 2008-03-27 허영구 임플란트
KR101446188B1 (ko) 2012-05-11 2014-10-01 주식회사 덴티스 픽스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866B2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ES2300690T3 (es) Sistema de implante en una sola etapa.
US5759034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AU2003300196B2 (en) Dental implant system
JP3488493B2 (ja) 骨組織内に固定するためのアンカ要素
US20040038179A1 (en) Healing abutment
JPH0341174B2 (ko)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20038136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ES2325954T5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200204815Y1 (ko)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1136695B1 (ko) 개량된 매식구성을 갖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40132470A (ko)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KR200243870Y1 (ko)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20030038098A (ko) 인공치아 매식수술용 임플랜트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KR200357422Y1 (ko)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130096341A (ko) 임프란트용 곡면 픽스처
JP5706976B1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KR20020004581A (ko)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