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870A -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870A
KR20190060870A KR1020197014677A KR20197014677A KR20190060870A KR 20190060870 A KR20190060870 A KR 20190060870A KR 1020197014677 A KR1020197014677 A KR 1020197014677A KR 20197014677 A KR20197014677 A KR 20197014677A KR 20190060870 A KR20190060870 A KR 2019006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uel
fuel injection
barrel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194B1 (ko
Inventor
요시히코 기노시타
고지 에도
히로아키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자판엔진코포레숀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1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pecially arranged lubricating system, e.g. by fuel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에 있어서, 펌프 케이스 (21) 와. 펌프 케이스 (21) 내에 배치되는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배럴 (22)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플랜저 (23) 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윤활유 (연료) 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 (81) 와, 플랜저 (23) 에 있어서의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에 오목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윤활유 저류부 (91, 96) 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본 발명은, 선박에 탑재되는 내연 기관에 사용되는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펌프가 적용되는 연료 분사 장치, 연료 분사 장치가 적용되는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탑재되는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장치는,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와, 연료 분사 밸브에 연료를 압송하는 플랜저가 형성된 연료 분사 펌프와, 플랜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압 관제 밸브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료 분사 펌프는, 펌프 케이스와,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와, 흡입 밸브와, 토출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료 분사 펌프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991359호
상기 서술한 종래의 연료 분사 펌프는, 플랜저가 플랜저 배럴 내에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 플랜저가 이동함으로써 연료를 승압시켜 토출하고 있다. 또, 연료 분사 펌프는,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윤활하고 있다. 선박이 정지하고 있을 때, 또, 선박이 저속으로 항행하고 있을 때, 내연 기관은 저부하로 구동하는 점에서, 연료 분사 펌프는, 내연 기관에 대한 연료의 공급량이 적어져, 플랜저 배럴에 대한 플랜저의 이동 스트로크도 적어진다. 이 때, 플랜저는, 외주면에 윤활유가 부착된 채의 상태가 되어, 윤활유의 온도가 저하되어 플랜저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윤활유로서 연료 (예를 들어, C 중유) 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온도의 저하에 의해 연료의 점도가 높아져, 플랜저의 외주면에 고착되기 쉬워진다. 내연 기관이 저부하에서 고부하로 이동하여 구동할 때, 연료 분사 펌프는, 내연 기관에 대한 연료의 공급량이 증가하여, 플랜저 배럴에 대한 플랜저의 이동 스트로크도 커진다. 이 때, 플랜저의 외주면에 윤활유가 고착되어 있으면, 고착된 윤활유가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의 사이에 물려, 플랜저의 작동 불량이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는, 펌프 케이스와, 상기 펌프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배럴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플랜저와,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와, 상기 플랜저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저 배럴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에 오목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윤활유 저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랜저가 플랜저 배럴 내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윤활유가 윤활유 공급 통로로부터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이 실시된다. 이 때,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공급된 윤활유는, 플랜저 배럴로부터 노출되는 플랜저의 표면으로 압출되고 부착되어,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고착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플랜저 배럴로부터 노출되는 플랜저에 오목 형상을 이루는 윤활유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윤활유가 이 윤활유 저류부에 모여 고착된다. 그 때문에, 플랜저의 외면에 부착된 윤활유가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착되기 어려워져, 플랜저의 스트로크가 증가하여 윤활유의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 내에 침입해도,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물리지 않아,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플랜저의 축 방향의 일방측에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수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저의 축 방향의 타방측에 연료 압축실이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한 윤활유의 공급 위치보다 상기 수압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 저류부가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한 윤활유의 공급 위치보다 수압부측에 형성되는 점에서, 윤활유 공급 통로로부터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공급된 윤활유가 윤활유 저류부에 의해 조기에 배출되지 않아, 윤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플랜저는, 축 방향의 일방측에 스프링 유지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펌프 케이스와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장설 (張設) 됨으로써 상기 플랜저가 상기 연료 압축실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의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 저류부가 스프링 유지 부재의 고정 위치로부터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점에서, 윤활유 저류부를 스프링 유지 부재의 고정 위치로부터 연료 압축실측 방향의 범위에 형성함으로써, 윤활유 저류부에 들어간 윤활유의 배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윤활유 저류부를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저부하시이고 플랜저의 리프트가 작은 경우에, 윤활유의 고착이 발생해도, 윤활유 저류부에 모을 수 있어,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플랜저는, 축 방향의 일방측이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플랜저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보다 상기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 저류부가 플랜저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보다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점에서, 윤활유 저류부의 형성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주변 부재의 변경점이 감소하여,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플랜저는, 상기 플랜저 배럴 내에 끼워 맞춰져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소경의 세경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부보다 소경의 세경부에 의해 윤활유 저류부를 구성하는 점에서, 비슬라이딩부가 되는 윤활유 저류부의 조도를 완화할 수 있어, 가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세경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부와 세경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점에서, 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와 세경부 사이의 단차의 에지가 플랜저 배럴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저 배럴의 손상이나 플랜저의 스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상기 연료 압축실은,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에 의해 구획되고, 외부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연료 압축실에 공급하는 연료 흡입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압축실에 공급되는 연료가 윤활유로서 상기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해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압축실에 공급되는 연료의 일부를 윤활유로서 윤활유 공급 통로로부터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공급하는 점에서, 별도 윤활유의 공급 통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연료 분사 장치는,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와, 상기 연료 분사 밸브에 연료를 공급하는 상기 연료 분사 펌프와, 상기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압 관제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로, 플랜저 배럴로부터 노출되는 플랜저에 오목 형상을 이루는 윤활유 저류부를 형성하는 점에서,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해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 사이에 공급된 윤활유는, 윤활유 저류부에 모여 고착되기 때문에, 윤활유의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과 플랜저의 사이에 물리지 않아,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대해 적당량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내연 기관은, 상기 연료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대해 적당량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고, 그 결과, 내연 기관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에 의하면,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플랜저의 풀 스트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연료 분사 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분사 장치 (10) 는,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 (내연 기관) 에 탑재되어 있다. 연료 분사 장치 (10) 는, 연료 분사 밸브 (11) 와, 연료 분사 펌프 (12) 와,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분사 밸브 (11) 는, 도시되지 않은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연료 (C 중유) 를 분사하는 것이다. 연료 분사 펌프 (12) 는, 이 연료 분사 밸브 (11) 에 연료를 압송하는 것이며, 연료 배관 (14)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은, 연료 분사 펌프 (12) 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고, 디젤 엔진의 실린더 블록 측면 등에 설치되고, 탑상으로 구성된 연료 분사 펌프 (12) 가 이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의 상부에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 (12)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플랜저의 풀 스트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연료 분사 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 (1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케이스 (21) 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와, 흡입 밸브 (24) 와, 토출 밸브 (25)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랜저 배럴 (22) 과 흡입 밸브 (24) 와 토출 밸브 (25) 는, 펌프 케이스 (21) 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상을 이루도록 직렬로 배치됨과 함께, 외벽면이 펌프 케이스 (21) 의 내벽면에 지지되어 있다.
펌프 케이스 (21) 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 본체 (31) 와, 원통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 장착대 (32) 와, 원 기둥 형상을 이루는 가압 부재 (33) 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 (31) 는, 플랜저 배럴 (22) 의 대부분과 흡입 밸브 (24) 와 토출 밸브 (25) 등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 (34) 와, 플랜저 (23) 등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용부 (34) 및 제 2 수용부 (35) 는, 연속한 공간부에 의해 구성되고, 제 1 수용부 (34) 가 제 2 수용부 (35)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제 1 수용부 (34) 의 내경 치수보다 제 2 수용부 (35) 의 내경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대 (32) 는, 상단부의 외주면이 케이스 본체 (31) 에 있어서의 하단부 (제 2 수용부 (35)) 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져 연결 볼트 (도시 생략)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 장착대 (32) 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플랜저 (23) 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공 (36)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 장착대 (32) 는, 하단부가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도 6 참조) 의 상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압 부재 (33) 는, 하단부의 외주면이 케이스 본체 (31) 에 있어서의 상단부 (제 1 수용부 (34)) 의 내주면에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가압 부재 (33) 는, 외경 치수가 케이스 본체 (31) 의 외경 치수와 동일하고, 케이스 본체 (31) 에 있어서의 제 1 수용부 (34) 의 상단부에 끼워 맞춰져 토출 밸브 (25) 를 압압하는 끼워 맞춤부 (37) 가 형성됨과 함께, 외주면측에 축 방향을 따른 장착공 (38) 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 (33) 는, 끼워 맞춤부 (37) 가 케이스 본체 (31) 의 제 1 수용부 (34) 에 끼워 맞춰지고, 케이스 본체 (31) 의 상단면에 밀착한 상태로, 복수의 체결 볼트 (39) 가 각 장착공 (38) 을 관통하고, 케이스 본체 (31) 에 형성된 나사 구멍 (40)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케이스 본체 (31) 에 고정된다.
플랜저 배럴 (22) 은, 펌프 케이스 (21) 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 (31)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저 배럴 (22) 은, 상부측의 대경부 (41) 와 하부측의 소경부 (42) 가 형성되고, 대경부 (41) 와 소경부 (42) 사이에 대경부 (41) 의 외주면과 소경부 (42) 의 외주면을 연속시키는 경사면 (43)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펌프 케이스 (21) 는, 제 1 수용부 (34) 의 내주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중심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스토퍼) (44)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44) 는, 링 형상을 이루고, 상부에 경사면 (4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44) 의 경사면 (45) 은, 플랜저 배럴 (22) 의 경사면 (43) 과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플랜저 배럴 (22) 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플랜저 (23) 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공 (46)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랜저 배럴 (22) 은, 펌프 케이스 (21) 내에 배치되고, 경사면 (43) 이 돌출부 (44) 의 경사면 (45) 에 맞닿음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여기서부터 제 1 방향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A) 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플랜저 (23) 는, 상부측의 소경부 (47) 와 하부측의 대경부 (48) 가 형성되고, 소경부 (47) 의 상면이 가압면 (49) 이 되고, 대경부 (48) 의 하면이 수압면 (수압부) (50) 이 된다. 플랜저 (23) 는, 펌프 케이스 (21) 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 (31) 내에 배치되고, 소경부 (47) 가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함께, 대경부 (48) 가 케이스 장착대 (32) 의 지지공 (36)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플랜저 (23) 는, 리턴 스프링 (51) 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 (A) 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리턴 스프링 (51) 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플랜저 (23) 와 케이스 본체 (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저 (23) 는, 소경부 (47) 와 대경부 (48) 의 단부에 스프링 유지 부재 (52) 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 (31) 는, 제 1 수용부 (34) 의 내벽면과 제 2 수용부 (35) 의 내벽면 사이의 단부에 스프링 유지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 (51) 은, 하단부가 스프링 유지 부재 (52) 에 탄압되고, 상단부가 스프링 유지부 (53) 에 탄압됨으로써, 플랜저 (23) 를 제 1 방향 (A) 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플랜저 (23) 는,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도 6 참조) 에 의해 제 1 방향 (A) 과는 역 방향인 제 2 방향 (B)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 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 밸브 (24) 는, 흡입 밸브 본체 (61) 와, 밸브체 (62) 와, 압축 스프링 (63) 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 본체 (61) 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연료 통로 (64)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 (24) 는, 흡입 밸브 본체 (61) 의 하면이 플랜저 배럴 (22) 의 상면에 밀착함으로써, 흡입 밸브 (24) 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에 의해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연료 압축실 (65) 이 구획되어 있다. 또, 흡입 밸브 (24) 에 있어서의 흡입 밸브 본체 (61) 와 케이스 본체 (31) 사이에 연료 급배실 (66) 이 구획되어 있다. 이 연료 급배실 (66) 은, 링 형상을 이루는 공간부이고, 흡입 밸브 본체 (61) 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연료 흡입 통로 (67) 를 통하여 연료 압축실 (65) 에 연통되어 있다. 또, 펌프 케이스 (21) 는, 케이스 본체 (31) 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료 공급로 (68) 와 연료 배출로 (69) 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연료 공급로 (68) 및 연료 배출로 (69) 는, 일단부가 연료 급배실 (66) 에 연통되고, 타단부가 연료 공급 장치 (도시 생략) 에 연결되어 있다.
흡입 밸브 (24) 는,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로 (68) 를 통해 연료 급배실 (66) 에 공급된 연료를 연료 흡입 통로 (67) 로부터 연료 압축실 (65) 에 흡입할 수 있다. 즉, 밸브체 (62) 는, 흡입 밸브 본체 (61) 에 있어서의 연료 통로 (64) 에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흡입 밸브 시트에 압압되어, 연료 흡입 통로 (67) 와 연료 압축실 (65) 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연료 공급로 (68) 로부터 연료 급배실 (66) 에 공급되고, 연료 흡입 통로 (67) 로부터 밸브체 (62) 에 작용하는 연료의 압력이 높아지면, 밸브체 (62) 가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흡입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연료 흡입 통로 (67) 와 연료 압축실 (65) 이 연통된다. 그러면, 연료 급배실 (66) 의 연료가 연료 흡입 통로 (67) 를 통해 연료 압축실 (65) 에 흡입된다.
토출 밸브 (25) 는, 토출 밸브 본체 (71) 와, 밸브체 (72) 와, 압축 스프링 (73) 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본체 (71) 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연료 통로 (74) 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이 흡입 밸브 (24) 의 상면에 밀착함으로써, 각 연료 통로 (64, 74) 가 직렬로 연통되어 있다. 토출 밸브 (25) 는, 연료 압축실 (65) 에 공급된 연료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즉, 밸브체 (72) 는, 토출 밸브 본체 (71) 에 있어서의 연료 통로 (74) 에 배치되고,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 스프링 (73) 의 탄성력에 의해 토출 밸브 시트에 압압하여, 연료 통로 (64) 와 연료 통로 (74) 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또, 가압 부재 (33) 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에 연료 토출 통로 (75) 가 형성됨과 함께, 연료 토출 통로 (75) 의 주위에 스프링 수용부 (76) 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토출 통로 (75) 는, 일단부가 연료 통로 (74) 에 연통되고, 타단부에 연결 플러그 (77) 가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 (76) 는, 토출 밸브 (25) 측으로 개구되고, 압축 스프링 (73) 이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랜저 (23) 가 제 2 방향 (B) 으로 이동하여,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 압력이 상승하면,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 압력이 연료 통로 (64) 를 통해 밸브체 (72) 에 작용한다. 그리고,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 압력이 더욱 높아지면, 밸브체 (72) 가 압축 스프링 (7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토출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연료 통로 (64) 와 연료 통로 (74) 가 연통된다. 그러면,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가 연료 통로 (64) 를 통해 연료 통로 (74) 에 흐르고, 연료 토출 통로 (75) 를 통해 연결 플러그 (77) 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또, 연료 분사 펌프 (12) 는, 연료 (C 중유) 를 윤활유로서 플랜저 (23) 에 공급하고 있다. 플랜저 배럴 (22) 은, 플랜저 (23) 의 외주면과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의 내벽면에 윤활유로서의 연료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 (81) 가 형성되어 있다. 윤활유 공급 통로 (81) 는, 플랜저 배럴 (22) 의 축 방향을 따른 제 1 통로 (82) 와, 직경 방향을 따른 제 2 통로 (83)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통로 (82) 와 제 2 통로 (83) 는, 각 일단부가 연통되고, 제 1 통로 (82) 의 타단부가 플랜저 배럴 (22) 의 상면에 개구되고, 제 2 통로 (83) 의 타단부가 플랜저 배럴 (22) 의 내벽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통로 (82) 는, 타단부의 개구가 플랜저 배럴 (22) 의 상면과 흡입 밸브 본체 (61) 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통로 (도시 생략) 를 통하여 연료 급배실 (66) 에 연통되어 있다.
플랜저 (23) 는, 소경부 (47) 에 둘레 방향을 따른 오일홈 (84) 이 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 형성되어 있다. 각 오일홈 (84) 은, 플랜저 (23) 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윤활유 공급 통로 (81) 를 구성하는 제 2 통로 (83) 의 타단부가 일시적으로 연통되어, 윤활유를 각 오일홈 (84) 에 공급할 수 있다. 윤활유 공급 통로 (81) 로부터 각 오일홈 (84) 에 공급된 윤활유는, 플랜저 (23) 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플랜저 (23) 의 외주면과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의 내벽면 사이에 공급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케이스 장착대 (32) 도, 플랜저 배럴 (22) 과 마찬가지로, 플랜저 (23) 의 외주면과 케이스 장착대 (32) 의 지지공 (36) 의 내벽면에 윤활유로서의 연료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저 (23) 는,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에 오목 형상을 이루어 윤활유 저류부 (9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저 (23) 는, 소경부 (47) 와 대경부 (48) 가 형성되고, 소경부 (47) 는,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에 끼워 맞춰져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윤활유 저류부 (91) 는, 소경부 (47) 보다 소경의 세경부 (92) 로서 형성되고, 둘레 방향을 따른 홈부이다.
윤활유 저류부 (91) 는, 플랜저 (23) 의 소경부 (47) 에서, 축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 (길이), 요컨대, 각 오일홈 (84) 보다 하방 (수압면 (50) 측) 이고, 또한, 대경부 (48) 보다 상방 (가압면 (49) 측, 연료 압축실 (65) 측) 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윤활유 저류부 (91) 는, 윤활유 공급 통로 (81) 에 의한 윤활유의 공급 위치보다 수압면 (50)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저 (23) 가 제 2 방향 (B) 으로 풀 스트로크 이동하여 스프링 유지 부재 (52) 가 플랜저 배럴 (22) 에 맞닿아도, 윤활유 공급 통로 (81) 의 제 2 통로 (83) 가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저 (23) 는, 스프링 유지 부재 (52) 를 관통하고, 소경부 (47) 와 대경부 (48) 사이에 형성된 나사부 (47a) 가 스프링 유지 부재 (52) 의 관통공 (52a)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플랜저 (23) 와 스프링 유지 부재 (52) 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윤활유 저류부 (91) 는, 이 스프링 유지 부재 (52) 의 고정 위치 (나사부 (47a)) 보다 연료 압축실 (65) 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저 (23) 는, 나사부 (47a) 의 상부에 단 (段) 형성부 (47b) 가 형성되고, 소경부 (47) 의 하단부가 단 형성부 (47b) 의 상면부에 연결되어 있다. 윤활유 저류부 (91) 는, 플랜저 (23) 의 소경부 (47) 의 하단부를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더욱 세경화하여 세경부 (92) 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윤활유 저류부 (91) 는, 소경부 (47) 와 세경부 (92) 사이에 경사부 (9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 (93) 는, 플랜저 (23) 의 축방 방향의 소경부 (47) 측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93a) 와, 세경부 (92) 측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부 (93b) 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경사부 (93a) 는, 제 2 경사부 (93b) 보다 플랜저 (23)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고, 또한, 플랜저 (23) 의 축 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세경부 (92) 와 단 형성부 (47b) 사이에 경사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 경사부 (93) 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직선 형상을 이루는 평면이지만, 오목부 형상 또는 볼록부 형상을 이루는 곡면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윤활유 저류부 (91) 는, 플랜저 (23) 가 제 2 방향 (B) 으로 풀 스트로크 이동했을 때, 제 2 통로 (83) 의 개구보다 하방의 위치로부터 단 형성부 (47b) 의 위치까지 형성했지만, 이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있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유 저류부 (96) 는, 플랜저 (23) 에 있어서의 스프링 유지 부재 (5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보다 연료 압축실 (65) 측에 형성되어 있다. 윤활유 저류부 (96) 는, 소경부 (47) 보다 소경의 세경부 (97) 로서 형성되고, 둘레 방향을 따른 홈부이다. 윤활유 저류부 (96) 는, 플랜저 (23) 가 제 2 방향 (B) 으로 풀 스트로크 이동하여 스프링 유지 부재 (52) 가 플랜저 배럴 (22) 에 맞닿아도, 윤활유 공급 통로 (81) 의 제 2 통로 (83) 가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저 (23) 는, 나사부 (47a) 가 스프링 유지 부재 (52) 의 관통공 (52a)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스프링 유지 부재 (52) 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윤활유 저류부 (96) 는, 이 스프링 유지 부재 (5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윤활유 저류부 (96) 는, 세경부 (97) 의 상하 단부와 소경부 (47) 사이에 경사부 (98, 99)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98) 는, 플랜저 (23) 의 축방 방향의 소경부 (47) 측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98a) 와, 세경부 (97) 측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부 (98b)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분사 펌프 (12) 및 연료 분사 장치 (10) 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분사 펌프 (12) 에 있어서, 연료 분사 장치 (10) 에 의해 연료 공급로 (68) 및 연료 흡입 통로 (67) 를 통해 흡입 밸브 (24) 의 밸브체 (62) 에 소정 압력의 연료가 공급되면, 이 밸브체 (62) 가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연료 흡입 통로 (67) 와 연료 압축실 (65) 이 연통하기 때문에, 연료 급배실 (66) 의 연료가 연료 흡입 통로 (67) 로부터 연료 압축실 (65) 에 흡입된다. 이 상태로,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에 의해 플랜저 (23) 를 제 2 방향 (B) 으로 이동하여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가 가압되고, 연료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하면, 토출 밸브 (25) 의 밸브체 (72) 가 압축 스프링 (73)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연료 통로 (64) 와 연료 통로 (74) 가 연통되기 때문에, 연료 압축실 (65) 내의 연료가 연료 통로 (64) 를 통해 연료 통로 (74) 에 흐르고, 연료 토출 통로 (75) 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면, 연료 분사 밸브 (11) 는,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할 수 있다.
또, 연료 급배실 (66) 에 공급된 연료는, 일부가 윤활유 공급 통로 (81) 로부터 복수의 오일홈 (84) 에 공급된다. 각 오일홈 (84) 에 공급된 연료 (윤활유) 는, 플랜저 배럴 (22) 에 대한 플랜저 (23) 의 이동에 의해 플랜저 (23) 의 외주면과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의 내벽면 사이에 공급되어 윤활된다. 그리고, 플랜저 (23) 와 플랜저 배럴 (22) 사이를 윤활한 연료는, 자중에 의해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플랜저 (23) 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다. 이 때, 플랜저 (23) 의 표면을 따라 흘러 떨어지는 연료는, 윤활유 저류부 (91 (96)) 를 지나 다시 흘러 떨어져, 도시되지 않은 저류부에 저류된다.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은, 일반적으로 소정 부하로 운전되고 있고, 연료 분사 펌프 (12) 는, 그 부하에 알맞은 연료를 토출하고 있다. 플랜저 (23)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가 연료를 토출하고 있지 않은 초기 위치 (정지 위치) 이며, 도 3 에 나타내는 위치가 연료를 최대량 토출하고 있는 풀 스트로크 위치이며, 도 4 에 나타내는 위치가 연료를 소정 부하만큼 토출하고 있는 스트로크 위치이다. 이 때, 플랜저 (23) 는, 전체가 플랜저 배럴 (22) 내에 들어가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 발생한다. 그러면, 플랜저 (23) 의 표면에 부착된 연료는, 플랜저 배럴 (22) 에 의해 긁혀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부착되어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윤활유로서 C 중유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온도의 저하에 의해 연료의 점도가 높아져, 플랜저 (23) 의 외주면에 고착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저 (23) 가 노출된 외주면에 세경화한 윤활유 저류부 (91 (96))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플랜저 (23) 의 표면을 흘러 떨어지는 연료는, 윤활유 저류부 (91 (96)) 에 들어가 고착된다. 이 윤활유 저류부 (91 (96)) 는, 소경부 (47) 보다 세경인 점에서, 연료가 들어가 고착되어도, 고착된 연료의 외경이 소경부 (47) 의 외경보다 커질 때까지는 소정 기간이 걸린다. 그 때문에,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의 부하가 증가하여 연료 분사 펌프 (12) 에 의한 연료의 토출량이 증가하여, 플랜저 (23) 가 풀 스트로크 위치까지 이동해도, 윤활유 저류부 (91 (96)) 에 들어가 고착된 연료의 외경이 소경부 (47) 의 외경보다 커질 때까지는, 고착된 연료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물리는 경우는 없다.
그런데, 윤활유 저류부 (91 (96)) 는, 소경부 (47) 를 세경화하여 세경부 (92 (97)) 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하고 있는데, 그 축 방향 길이와 직경 방향 깊이는, 연료의 성상 (점도 등) 을 고려하여, 실험 등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은, 소정 기간마다 분해하여 메인터넌스를 실시하지만, 메인터넌스 동안에 퇴적되는 연료의 고착량을 실험 등에 의해 파악하여, 연료의 고착량이 소경부 (47) 의 외경을 넘지 않도록 윤활유 저류부 (91 (96)) 의 축 방향 길이와 직경 방향 깊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이 탑재된 선박이 약 5000 시간 운항 후에 연료 분사 펌프 (12) 를 점검하면, 외경이 40 ㎜ 의 플랜저 (23) 의 외주면에, 길이 15 ㎜ 이고, 두께 0.05 ㎜ 정도의 슬러지 (연료의 고착물) 가 퇴적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윤활유 저류부 (91 (96)) 의 직경 방향 깊이는, 플랜저 (23) 의 외경의 1.0 ㎜ ∼ 2.0 ㎜ 의 범위에서, 윤활유 저류부 (91 (96)) 의 축 방향 길이는, 적어도 15.0 ㎜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펌프 케이스 (21) 와, 펌프 케이스 (21) 내에 배치되는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배럴 (22)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플랜저 (23) 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윤활유 (연료) 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 (81) 와, 플랜저 (23) 에 있어서의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에 오목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윤활유 저류부 (91 (96))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공급된 연료 (윤활유) 는,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노출되는 플랜저 (23) 의 표면에 압출되고, 윤활유 저류부 (91 (96)) 에 모여 고착되기 쉬워지지만, 윤활유 저류부 (91) 가 오목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고착된 연료가 플랜저 (23) 의 외주면보다 외방으로 돌출되기 어려워져, 플랜저 (23) 의 스트로크가 증가하여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 (22) 내에 침입해도,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물리지 않아, 플랜저 (23) 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플랜저 (23) 의 축 방향의 일방측에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수압면 (50) 이 형성되고, 플랜저 (23) 의 축 방향의 타방측에 연료 압축실 (65) 이 배치되고, 윤활유 저류부 (91) 는, 윤활유 공급 통로 (81) 에 의한 연료의 공급 위치보다 수압면 (50)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 통로 (81) 로부터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공급된 연료가 윤활유 저류부 (91) 에 의해 조기에 배출되지 않고, 윤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플랜저 (23) 에 스프링 유지 부재 (52) 를 고정시키고, 펌프 케이스 (21) 와 스프링 유지 부재 (52) 사이에 리턴 스프링 (51) 을 장설함으로써 플랜저 (23) 를 연료 압축실 (65)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윤활유 저류부 (91) 를 스프링 유지 부재 (52) 의 고정 위치보다 연료 압축실 (65) 측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 저류부 (91) 를 스프링 유지 부재 (52) 의 고정 위치로부터 연료 압축실 (65) 측 방향의 범위에 형성함으로써, 윤활유 저류부 (91) 에 들어간 윤활유의 배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윤활유 저류부 (91) 를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저부하시이고 플랜저의 리프트가 작은 경우에, 윤활유의 고착이 발생해도, 윤활유 저류부 (91) 에 모을 수 있어, 플랜저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플랜저 (23) 가 스프링 유지 부재 (52) 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윤활유 저류부 (91) 를 플랜저 (23) 에 있어서의 스프링 유지 부재 (52) 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보다 연료 압축실 (65) 측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윤활유 저류부 (91) 의 형성 영역을 한정함으로써 주변 부재의 변경점이 감소하여,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윤활유 저류부 (91) 를 소경부 (47) 보다 소경의 세경부 (92 (97)) 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비슬라이딩부가 되는 윤활유 저류부의 조도를 완화할 수 있어, 가공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펌프에서는, 소경부 (47) 와 세경부 (92 (97)) 사이에 경사부 (93 (98))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 (93 (98)) 에 의해 형성되는 소경부 (47) 와 세경부 (92 (97)) 사이의 단차의 에지가 플랜저 배럴 (22) 의 지지공 (46) 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플랜저 배럴 (22) 의 손상이나 플랜저 (23) 의 스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연료 분사 장치에 있어서는,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 (11) 와, 연료 분사 밸브 (11) 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분사 펌프 (12) 와, 연료 분사 펌프 (12) 에 있어서의 플랜저 (23) 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압 관제 밸브 블록 (13) 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분사 펌프 (12) 로, 플랜저 배럴 (22) 로부터 노출되는 플랜저 (23) 에 오목 형상을 이루는 윤활유 저류부 (91) 를 형성하는 점에서, 윤활유 공급 통로 (81) 에 의해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공급된 연료가 윤활유 저류부 (91) 에 모여 고착되기 때문에, 연료 고착부가 플랜저 배럴 (22) 과 플랜저 (23) 사이에 물리지 않고, 플랜저 (23) 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대해 적당량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연료 분사 장치 (10) 를 구비하므로, 연료 분사 펌프 (12) 에 있어서의 플랜저 (23) 의 작동 불량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디젤 엔진의 연소실에 대해 적당량의 연료를 분사할 수 있고, 그 결과, 디젤 엔진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윤활유 저류부 (91, 96) 를 소경부 (47) 보다 소경의 세경부 (92, 97) 로 했지만, 윤활유 저류부는,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윤활유 저류부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오목부로 해도 된다. 또, 세경부를 축 방향을 따라 서서히 깊게 하거나 얕게 하거나 부분적으로 깊게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윤활유를 연료로 했지만, 연료와는 다른 윤활유를 형성해도 된다.
10 : 연료 분사 장치
11 : 연료 분사 밸브
12 : 연료 분사 펌프
13 : 축압 관제 밸브 블록
21 : 펌프 케이스
22 : 플랜저 배럴
23 : 플랜저
24 : 흡입 밸브
25 : 토출 밸브
31 : 케이스 본체
32 : 케이스 장착대
33 : 가압 부재
46 : 지지공
47 : 소경부
48 : 대경부
49 : 가압면
50 : 수압면 (수압부)
51 : 리턴 스프링
52 : 스프링 유지 부재
53 : 스프링 유지부
61 : 흡입 밸브 본체
62 : 밸브체
63 : 압축 스프링
64 : 연료 통로
65 : 연료 압축실
66 : 연료 급배실
67 : 연료 흡입 통로
68 : 연료 공급로
69 : 연료 배출로
71 : 토출 밸브 본체
72 : 밸브체
73 : 압축 스프링
74 : 연료 통로
75 : 연료 토출 통로
81 : 윤활유 공급 통로
82 : 제 1 통로
83 : 제 2 통로
84 : 오일홈
91, 96 : 윤활유 저류부
92, 97 : 세경부
93, 98, 99 : 경사부
93a, 98a : 제 1 경사부
93b, 98b : 제 2 경사부

Claims (9)

  1. 펌프 케이스와,
    상기 펌프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배럴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플랜저와,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 통로와,
    상기 플랜저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저 배럴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에 오목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윤활유 저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저의 축 방향의 일방측에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는 수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저의 축 방향의 타방측에 연료 압축실이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한 윤활유의 공급 위치보다 상기 수압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저는, 축 방향의 일방측에 스프링 유지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펌프 케이스와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장설됨으로써 상기 플랜저가 상기 연료 압축실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의 고정 위치보다 상기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저는, 축 방향의 일방측이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플랜저에 있어서의 상기 스프링 유지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위치보다 상기 연료 압축실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저는, 상기 플랜저 배럴 내에 끼워 맞춰져 축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 저류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소경의 세경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세경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압축실은,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에 의해 구획되고, 외부로부터의 연료를 상기 연료 압축실에 공급하는 연료 흡입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 압축실에 공급되는 연료가 윤활유로서 상기 윤활유 공급 통로에 의해 상기 플랜저 배럴과 상기 플랜저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펌프.
  8.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와,
    상기 연료 분사 밸브에 연료를 공급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분사 펌프와,
    상기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축압 관제 밸브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장치.
  9. 제 8 항에 기재된 연료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KR1020197014677A 2016-12-13 2017-11-17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KR102253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1298 2016-12-13
JP2016241298A JP6837327B2 (ja) 2016-12-13 2016-12-13 燃料噴射ポンプ、燃料噴射装置、内燃機関
PCT/JP2017/041515 WO2018110206A1 (ja) 2016-12-13 2017-11-17 燃料噴射ポンプ、燃料噴射装置、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870A true KR20190060870A (ko) 2019-06-03
KR102253194B1 KR102253194B1 (ko) 2021-05-17

Family

ID=6255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677A KR102253194B1 (ko) 2016-12-13 2017-11-17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7327B2 (ko)
KR (1) KR102253194B1 (ko)
CN (1) CN110062846B (ko)
WO (1) WO2018110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949A1 (ja) * 2022-04-28 2023-11-02 日立Astemo株式会社 燃料ポンプ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761U (ko) * 1989-10-25 1991-06-21
JPH0579429A (ja) * 1991-06-13 1993-03-30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20070100632A (ko) * 2006-04-08 2007-10-11 맨 비앤드더블유 디젤 악티엔게젤샤프트 연료 소기식 피스톤 펌프
JP2012188954A (ja) * 2011-03-09 2012-10-04 Denso Corp 高圧燃料ポンプ
KR20130069451A (ko) * 2011-12-15 2013-06-26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대형 터보 과급 2-행정 디젤엔진을 위한 연료펌프
KR20140069080A (ko) * 2011-09-30 2014-06-09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연료 분사 펌프 장치 및 내연 엔진을 작동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459A (ja) * 1983-05-28 1984-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ポンプ
JPH087096Y2 (ja) * 1990-03-23 1996-02-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デイ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装置のユニツトインジエクター
JPH10266927A (ja) *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ポンプ
JP4013199B2 (ja) * 2003-05-16 2007-11-28 ボッシュ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CN200943554Y (zh) * 2006-09-10 2007-09-05 郑国璋 多种燃料柴油机喷油泵
JP4650403B2 (ja) * 2006-11-27 2011-03-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プライポンプ
CN201050430Y (zh) * 2007-06-30 2008-04-23 重庆红江机械厂 柴油机用等压强化喷油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761U (ko) * 1989-10-25 1991-06-21
JPH0579429A (ja) * 1991-06-13 1993-03-30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20070100632A (ko) * 2006-04-08 2007-10-11 맨 비앤드더블유 디젤 악티엔게젤샤프트 연료 소기식 피스톤 펌프
JP4991359B2 (ja) 2006-04-08 2012-08-01 エムアーエヌ・ディーゼル・エスエー 燃料洗浄ピストン
JP2012188954A (ja) * 2011-03-09 2012-10-04 Denso Corp 高圧燃料ポンプ
KR20140069080A (ko) * 2011-09-30 2014-06-09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연료 분사 펌프 장치 및 내연 엔진을 작동하는 방법
KR20130069451A (ko) * 2011-12-15 2013-06-26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대형 터보 과급 2-행정 디젤엔진을 위한 연료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206A1 (ja) 2018-06-21
KR102253194B1 (ko) 2021-05-17
JP2018096277A (ja) 2018-06-21
CN110062846B (zh) 2021-05-14
JP6837327B2 (ja) 2021-03-03
CN110062846A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458B2 (en) High-pressure fuel pump
US7794216B2 (en) High-pressure pump
US9188096B2 (en) Fuel pump and fuel supply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70175422A1 (en)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actuator in piston
US7048521B2 (en) High pressure fuel supply pump with an intake valve member and a discharge valve member aligned along a plunger axis
US6071089A (en) Hydraulic diaphragm pump
KR20190060870A (ko) 연료 분사 펌프, 연료 분사 장치, 내연 기관
CN109723587B (zh) 一种用于共轨系统的蓄压腔式单缸共轨供油泵
CN102654093A (zh) 泵压头
KR102244311B1 (ko) 연료 펌프
JP6546807B2 (ja) 燃料噴射ポンプ、燃料噴射装置、内燃機関
US20090269226A1 (en) Pump drive cartridge assembly
JP5984303B2 (ja) 燃料噴射補助装置及び燃料噴射補助装置を備える燃料噴射ポンプ
CN210033689U (zh) 一种用于共轨系统的蓄压腔式单缸共轨供油泵
KR100420588B1 (ko) 대형 선박용 윤활유 분사노즐 및 윤활유 공급 시스템
KR100215408B1 (ko) 윤활장치의 오일젯 결합구조
JP6239094B2 (ja) 燃料噴射ポンプ
US4488857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injection barrel in housing of fuel injection pump
JPH0341090Y2 (ko)
KR102189061B1 (ko) 연료분사펌프
JPH0742522A (ja) シリンダ注油装置
JPS6316567B2 (ko)
JP2572267Y2 (ja) ユニットインゼクタ
KR20110062403A (ko) 고착 발생 억제구조를 갖는 연료 분사펌프
JP2005083299A (ja)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