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591A -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 Google Patents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591A
KR20190058591A KR1020197012049A KR20197012049A KR20190058591A KR 20190058591 A KR20190058591 A KR 20190058591A KR 1020197012049 A KR1020197012049 A KR 1020197012049A KR 20197012049 A KR20197012049 A KR 20197012049A KR 20190058591 A KR20190058591 A KR 2019005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group
reactive
segment
monom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235B1 (ko
Inventor
에릭 엘. 바톨로뮤
윌리엄 엘. 보토프
카일 알. 하임바흐
브랜든 에스. 밀러
마이클 티. 워터먼
마이클 자야츠코브스키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5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08F293/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using free radical "living" or "controlled" polymerisation, e.g. using a complex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2Stable Free Radical Polymerisation [SFRP]; Nitroxide Mediated Polymerisation [NMP] for, e.g. using 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TEMP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폴리머 구조 내에서 배치가 제어된 특정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코폴리머가 제공된다. 상기 코폴리머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아크릴 코폴리머는 제어된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를 통해서 제조된다. 상기 코폴리머는 접착제 및 엘라스토머의 제조에 있어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12,326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아크릴 폴리머, 특히 폴리머 구조 내에서의 배치가 제어된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코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폴리머는 접착제 및 엘라스토머의 제조에 유용하다.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는 50년 이상 연구되고 산업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넓은 범위의 모노머로 인해,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는 접착제 및 엘라스토머에의 적용에 매우 적합한 다양한 점탄성 특성을 나타낸다. (메타)아크릴과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코폴리머와 비교할 때, (메타)아크릴의 몇 가지 중요한 이점이 명백해진다. 예를 들면, 천연 고무 및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메타)아크릴 코폴리머에 비해 광학 투명성, UV 안정성, 및 온도 및 산화 내성이 우수하다. 최신의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는 고분자량 및 가교 반응으로 인해 많은 성능 특성을 충족시킨다. 다양한 공중합성 모노머로 인해,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맞춤 극성 및 다양한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메타)아크릴 코폴리머는 다량의 유기 용제로 처리된다.
점점 더, 용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자에 대해서 그 공정에서 유기 용제의 사용을 감소시키도록 상당한 경제적 및 규제적 압박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접착제 용도에 있어서의 용제 아크릴 폴리머에 대해서는 평균 30∼40%의 폴리머만의 용액으로부터 피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제는 증발되고 나서 수집되거나 소각되어야 하는데, 모두 에너지 집약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또한, 두꺼운 접착 필름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면 건조 접착제 필름에 결함이 생길 수 있다.
폴리머 아키텍처의 제어는 갈수록 더 어려워지는 적용에 대한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된다. 아크릴 폴리머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키텍처는 블록 코폴리머, 텔레킬릭 폴리머(telechelic polymers), 및 분자량이 제어된 랜덤 폴리머를 포함한다. 제어된 아키텍처의 발전이 많은 이점과 함께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특정 아키텍처 종류에는 각각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블록 코폴리머는 높은 처리 온도를 요구하는 높은 용융 점도를 가지며, 관능기의 반응성을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텔레킬릭 폴리머의 생산에는 종종 여러 단계를 수반한다. 텔레킬릭은 폴리머의 말단에 반응성 관능기를 배타적으로 배치하고 폴리머 백본의 다른 곳에는 반응성 관능기를 배치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머의 말단에 위치한 관능기는 자유 폴리머쇄 말단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선형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텔레킬릭 폴리머는 고강도 재료를 산출할 수 있지만 접착제 및 일부 엘라스토머 적용에 결정적인 점탄성 특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제어된 분자량의 랜덤 폴리머는 네트워크 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량의 가교를 필요로 한다.
지난 15∼20년 동안, (메타)아크릴 모노머의 우수한 아키텍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된 라디칼 중합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들 기술은 통상적으로 음이온 또는 관능기 이동 중합과 같은 이전의 기술과는 반대로 다양한 모노머 및 관능기에 대해 내성이 있다. 이들 종류의 중합을 이해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기초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Matyjewski에 의해 철저한 검토가 수행되었다. 가역적 첨가 세그먼트 연쇄이동(RAFT) 중합은 분자량 및 다분산도의 우수한 제어를 야기하는 다양한 (메타)아크릴 모노머와 함께 매우 잘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된 기술 중 하나이다. 제어된 중합에 대한 RAFT 메커니즘은 잘 이해되고 있으며, 광범위하게 보고되어 있다. 제어된 아키텍처 아크릴 PSA의 몇 가지 예가 보고되었지만, 반응성 관능기 배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주제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폴리머 세그먼트에 가교성 모노머를 배치함으로써 이전에 공지된 아키텍처된 폴리머와 관련된 문제점을 다룬다. 전체 분자량은 낮아서 바람직한 저점도, 높은 고형분의 용액 및 용융물을 생성한다.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고성능 엘라스토머 및 접착제가 가교시에 얻어진다. 특히, 가교성 모노머는 가교 밀도가 최적의 성능을 위해 제어되도록 폴리머 백본의 특정 세그먼트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교 이전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비균질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 이점은, 본 발명의 주제의 모든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하는 점탄성 및 표면 특성이 얻어지도록 폴리머쇄 말단이 보존된다는 것이다. 가교성 모노머의 배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자유 라디칼 공정과 대조적으로, 가교성 모노머의 배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제는 (A-B) 디블록 코폴리머,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A-B)n- 멀티블록 코폴리머,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A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이고, B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A-B) 디블록 코폴리머,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A-B)n- 멀티블록 코폴리머,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A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이고, B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A-B) 디블록 코폴리머,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A-B)n- 멀티블록 코폴리머,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및/또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고, 여기에서 A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이고, B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A-B) 디블록 코폴리머, (A-B-A) 트리블록 코폴리머, -(A-B)n- 멀티블록 코폴리머, 및 그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및/또는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로부터 유래된 감압성 접착제)의 사용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A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이고, B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i)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ii)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를 제공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거동 또는 단상 폴리머를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들의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적으로 혼화성이다. 즉,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2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 및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는 폴리머쇄 상에서 중간의 제 2 세그먼트(B)의 양측에 위치되어 ABA 구조를 규정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B)는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 및 제 2 세그먼트(B)에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 및 제 2 세그먼트(B)에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95중량%∼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 및 제 2 세그먼트(B)는 단상 거동 또는 단상 폴리머를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들의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적으로 혼화성이다. 즉,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2개의 제 2 세그먼트(B) 및 1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를 제공하고, 여기에서 세그먼트(B)는 폴리머쇄 상에서 중간의 세그먼트(A)의 양측에 위치되어 ABA 구조를 규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i)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ii)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99중량%, 또는 95중량%∼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거동 또는 단상 폴리머를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들의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적으로 혼화성이다. 즉,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불균일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감압성 접착제(PSA)에 대한 널리 수용 가능한 정량적인 설명은 달퀴스트(Dahlquist) 기준에 의해 제시되고, 이것은 시험 온도에서의 1-s 시간 스케일에서 3×106dynes/㎠(즉, 3×105Pa) 미만의 탄성률(G')을 갖는 재료는 PSA 특성을 가지지만. G'가 이 값을 초과하는 재료는 그렇지 않다. 경험적으로, 감압성을 나타내는 재료는 시험 온도에서의 1-s의 시간 스케일에서 3×105Pa(3×106dyn/㎠) 미만의 탄성률을 나타내는 충분히 연질의 재료인 것은 알려져있다. 이것은 다소 놀랍지만, 충분히 수용되는 경험적 기준은 "달퀴스트 기준"에 의해 처음 확립되었고, 일반적으로 "달퀴스트 기준"이라고 부른다. 도 12에 나타낸 순간 적용한 예시적인 PSA는 실온에서 3×106dynes/㎠(즉, 3×105Pa) 미만의 평탄 탄성/저장 탄성률(G')을 나타내고, 이것은 순간 적용에 있어서 고려되는 접착제가 PSA임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방법을 사용하여 중합시켜,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방법을 사용하여 중합시켜,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99중량%, 또는 95중량%∼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로부터 아크릴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아크릴 폴리머를 일정량의 가교제와 혼합함으로써 아크릴 폴리머를 가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t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거동 또는 단상 폴리머를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들의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적으로 혼화성이다. 즉,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단상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이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제는 (i)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ii)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만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2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즉,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제 2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전체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거동 또는 단상 폴리머를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 있어서의 그 특성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적으로 혼화성이다. 즉,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단상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균질한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균질한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실온은 약 15℃∼약 25℃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온에서 액상"이란 실온에서 일정 수준의 콜드 플로우를 겪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콜드 플로우는 작동 범위 내의 온도에서 연속 하중 하에 재료 내에서 발생하는 왜곡, 변형 또는 치수 변화이다. 콜드 플로우는 열 연화로 인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공정 및 시스템을 나타내는 공정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포함하는 테이프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테이프 물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테이프 물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테이프 물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테이프 물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는 밀봉 또는 밀폐 어셈블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샘플에 대한 접착력 대 적용량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샘플에 대한 불용성의 백분율 대 적용량의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1의 샘플에 대한 용융 흐름 점도 대 온도의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6의 샘플에 대한 용융 흐름 점도 대 온도의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1∼3, 5 및 6의 샘플에 대한 온도에 따른 탄성/저장 모듈러스의 플롯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1∼3, 5 및 6의 샘플에 대한 탄(델타) 대 온도의 플롯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와 같은 용어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특정 특징이 청구된 발명의 구조 또는 기능에 대해 결정적이거나 필수적이거나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될 수도 있고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들 수 있다", "갖고 있다", "갖는다", "함유한다" 및 그 변형어들은 추가적인 작용 또는 구조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제약이 없는 접속구, 용어 또는 단어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폴리머"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된 폴리머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용어 "폴리머"는 용어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모노머로부터 폴리머 세그먼트의 순차적 중합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 코폴리머가 제공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폴리머는 폴리머쇄 말단에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함유하고, 또 다른 폴리머쇄 말단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그먼트 또는 제 2 세그먼트를 함유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세그먼트도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세그먼트는 맞춤 특성을 위해 크기 및 배치가 제어된다. 예를 들면, 폴리머 분자 상의 바람직한 위치에 관능기를 선택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응집력과 접착력 사이의 향상된 균형을 나타내는 감압성 접착제를 생성하는 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머는 또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 3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폴리머에 기반한 접착제 조성물 및 폴리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고모듈러스 엘라스토머 및 고강도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모듈러스를 온도의 함수로서 나타낸다. 반대로, 고신장성, 강인한 엘라스토머 및 고점착성 및 박리성의 접착제는 종종 일정 정도의 점액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거동에 대한 하나의 경로는 폴리머의 특정 세그먼트에 반응성 관능기를 배치하여 가교 밀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폴리머 말단기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반응성 관능기를 배치하면 가교시 고모듈러스 및 고강도가 생성된다. 폴리머의 중앙 세그먼트(들)에 반응성 관능기를 배치하면 상당한 점성의 액체 특성이 생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머의 구조 및 구성을 제어함으로써 특이적이고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조성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을 제공한다.
폴리머 및 가교성 조성물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제 2 세그먼트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를 제공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반응성 관능기가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반응성 세그먼트는 (i) 특정 세그먼트에 존재하는 모노머(즉, UV 활성, 반응성 및 비반응성 모노머)의 종류 및 (ii) 각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모노머의 비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무엇보다도 {(A)(B)(C)}-{(B)(C)}-{(C)(B)(A)} 구조 또는 {(A)(B)(C)}-{(C)}-{(C)(B)(A)} 구조, 또는 {(A)(C)}-{(C)}-{(C)(A)} 구조를 갖는 트리블록 아크릴 코폴리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및/또는 감압성 접착제(PSA)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A는 UV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내고, B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내고, C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낸다. 또한, {(A)(B)(C)} 및 {(A)(C)}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를 나타내는 반면, {(B)(C)} 및 {(C)}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들)를 나타낸다. 즉,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UV 활성 모노머, 반응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UV 활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반면, 제 2 반응성 세그먼트는 반응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반응성 모노머만을 포함한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전체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동일한 종류의 모노머(들) 또는 상이한 종류의 모노머(들)일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동일한 종류의 모노머(들) 또는 상이한 종류의 모노머(들)일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폴리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무엇보다도 {(A)(B)(C)}-{(B)(C)} 구조 또는 {(A)(C)}-{(C)} 구조를 갖는 디블록 아크릴 코폴리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및/또는 감압성 접착제(PSA)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A는 UV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내고, B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내고, C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나타낸다. 또한, {(A)(B)(C)} 및 {(A)(C)}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를 나타내는 반면, {(B)(C)} 및 {(C)}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들)를 나타낸다. 즉,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UV 활성 모노머, 반응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UV 활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반면, 제 2 반응성 세그먼트는 반응성 모노머 및 비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반응성 모노머만을 포함한다.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전체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 또는 약 5중량% 이하, 또는 약 4중량% 이하, 또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동일한 종류의 모노머(들) 또는 상이한 종류의 모노머(들)일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동일한 종류의 모노머(들) 또는 상이한 종류의 모노머(들)일 수 있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하나 이상의 비반응성 폴리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들)는 제 2 반응성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4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5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6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7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85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0중량%∼약 99중량%, 또는 약 95중량%∼약 99중량%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반응성 관능기"란 UV 활성성이 아닌 또 다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반응성 관능기"란 가교성이지만 UV 활성성이 아닌 관능기를 의미한다. 반응성 관능기의 예로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기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크기 및 위치가 제어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또는 제 2 세그먼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가교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다른 또는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한다.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의 관능기는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가교성 조성물의 아크릴 코폴리머는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폴리머 세그먼트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폴리머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코폴리머의 상술의 실시형태과 관련하여 기재된 추가적인 양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포함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코폴리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노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2-프로필 헵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등이다. 이들 부위는 통상적으로 약 3개∼약 20개의 탄소원자, 및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3개∼약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메타크릴레이트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이다. 이들 부위는 통상적으로 약 4개∼약 20개의 탄소원자,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3개∼약 1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아크릴 폴리머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분자량을 나타내므로 비교적 낮은 다분산도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폴리머는 1.0 초과, 또는 1.5 초과, 또는 2.0 초과, 또는 2.5 초과, 또는 3.0 초과, 또는 3.5 초과, 또는 4.0 초과의 다분산도(Pdi)를 나타낸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폴리머는 4.0 미만, 또는 3.5 미만, 또는 3.0 미만, 또는 2.5 미만, 또는 2.0 미만의 다분산도(Pdi)를 나타낸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머는 1.5 미만, 또는 약 1.4 정도로 낮은 다분산성을 나타낸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수 평균 분자량(Mn)이 약 5,000g/mol∼약 150,000g/mol, 또는 약 10,000g/mol∼약 150,000g/mol, 또는 약 40,000g/mol∼약 150,000g/mol, 또는 약 50,000g/mol∼약 110,000g/mol, 또는 약 30,000g/mol∼약 80,000g/mol, 또는 약 10,000g/mol∼약 30,000g/mol이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약 50,000g/mol∼약 1,000,000g/mol, 또는 약 100,000g/mol∼약 500,000g/mol, 또는 약 100,000g/mol∼약 250,000g/mol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값보다 크거나 작은 분자량 및/또는 다분산도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평균 분자량(Mw) 및 다분산성(PDI)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결정되었다. 샘플은 Waters Acquity Advance Polymer Chromatography 시스템에서 평가되었다. 사용된 용리액은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이었다. 측정은 35℃에서 실시되었다. 분리는 컬럼 HSP Gel RT MB-M(1,000∼4,000,000달톤 범위), HSP Gel HT MB-L/M(500∼4,000,000달톤 범위) 및 HSP Gel HR 1.0(100∼1,000달톤 범위)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샘플 농도는 2g/l, 유속은 0.7ml/min이었다. 측정은 폴리스티렌 기준으로 실시되었다.
반응성 세그먼트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제 2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4∼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된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4∼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반응성 관능기의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된 모노머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식(II)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R은 H 또는 CH3이고, X는 가교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한다.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제 2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식(II)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식 중, R은 H 또는 CH3이고, X는 가교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한다.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록실 관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에폭시 관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히 에폭시 관능성 모노머는 Synasia로부터 상품명 S-100으로 시판되어 있다. 그 모노머는 화학식 C11H16O3 및 분자량 196.2를 갖는 3,4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CAS 82428-30-6]이다.
산 함유 모노머는 예를 들면, 3∼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은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β-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2-아크로일옥시프로필숙시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인산이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무수물 함유 모노머는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등을 포함한다.
아크릴아미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및 그것의 N-치환 알킬 및 아릴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것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N-메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t-옥틸 아크릴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메타크릴아미드는 메타크릴아미드, 및 그것의 N-치환 알킬 및 아릴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것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비닐기는 예를 들면, 비닐에스테르, 비닐에테르, 비닐 아미드, 및 비닐 케톤을 포함한다. 비닐에스테르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 비닐발레레이트, 비닐버시테이트, 비닐이소부티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비닐에테르는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2-에틸헥실비닐에테르 등을 포함하는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닐에테르를 포함한다. 비닐아미드는 비닐피롤리돈 등을 포함하는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닐아미드를 포함한다. 비닐케톤은 에틸비닐 케톤, 부틸비닐 케톤 등을 포함하는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닐 케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머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제 2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는 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된 모노머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4∼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된 모노머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는 UV 활성 관능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UV 활성 관능기가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벤조페논, 이중결합, 및 그 조합에서 선택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하기와 같이 일반식(III)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6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아릴, 및 알킬의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라디칼이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또는 R2는 방향족 또는 치환 방향족기이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또는 R2는 페닐 또는 치환 페닐기이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 유도체, 벤질, 벤질 유도체, 티옥산톤, 티옥산톤 유도체, 크산톤, 크산톤 유도체, 벤조인 에테르, 벤조인 에테르 유도체, α-케톨, α-케톨 유도체,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UV-활성화기이고, 즉 폴리머의 가교를 활성화하는 반응종을 형성하도록 분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촉발시킨다.
UV 활성 관능기는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 광 활성 옥심, 및 아조계 개시를 포함하거나, 이들을 기초로 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또한,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하나 이상의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이중결합, 및/또는 이들과 그 외의 UV 활성 관능기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언급된 UV 활성 관능기 중 임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하나 이상의 광 개시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UV 활성 관능기를 대신하여, 또는 이와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UV 활성 관능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는 폴리머의 말단 세그먼트(들)를 따라 포함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60%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30%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70%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20%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80%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10%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90%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5%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95%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UV 활성 관능기(들)는 전체 폴리머 분자량의 3% 이하를 포함하는 동일한 말단 세그먼트(들) 내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갖는 말단 세그먼트 또는 말단 세그먼트들을 따라 전부 포함되어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내부 세그먼트(들)의 나머지 97% 이상은 UV 관능기를 갖지 않으며, 내부에 랜덤하게 포함된 반응성 관능기(들) 및/또는 비반응성 관능기(들)를 포함한다.
방법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에 의해 제공된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가교성 아크릴 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공정을 이용하여,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갖는 가교성 아크릴 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다단계 중합 공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머는 아크릴 모노머이다. 제 2 세그먼트는 제 1 세그먼트에 첨가되어 아크릴 코폴리머를 형성한다.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할 수 있고,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혼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분자 혼화성"이란 당업자에 의해 관찰 및/또는 측정될 수 있고, 단상 폴리머의 단상 거동을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성질을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단상 거동"이란 균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거동 또는 물리적 성질을 말한다. 상기 아크릴 코폴리머에 대하여, 단일 Tg의 관찰은 폴리머 세그먼트의 혼화성을 나타낸다. 상기 단일 Tg는 구성 폴리머 세그먼트들의 Tg들 사이의 중간이고, 각 세그먼트의 상대적인 양이 변화됨에 따라 이들 값들 사이에서 단조적으로 변화된다. 분자 혼화성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에 의해 입증된 단상 거동과는 대조적으로, 소정 온도에서의 상분리 화합물은 그 안에 존재하는 물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다수이고 독립적인 일련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련의 성질들은 물질의 Tg, 용해 파라미터, 굴절률 및 물리적 상태/상을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어 "상 분리된"이란 극성, 분자량, 폴리머 세그먼트의 상대적인 양, 및 Tg(물질의 상)에 달라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성질에 기인하여 분자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물질로서 정의된다.
ABA 블록 코폴리머와 같은 블록 코폴리머의 블록/세그먼트 간의 비혼화성/비상용성의 입증은 동적 기계 분석(DMA) 또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 등의 유동학적 측정 및 현미경으로 측정된 미세 구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혼화성 폴리머는 그 미세 구조에 있어서 비균질성이 없는 것(즉, 단상 폴리머)을 나타낸다. 폴리머 배합물의 혼화성/상용성의 정도는 DMA 또는 DSC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히 결정될 수 있다. 2개의 Tg의 존재는 비혼화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단지 하나의 Tg의 존재는 혼화성 배합물을 나타낸다. 서로 비상용성인 블록을 갖는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 상이한 블록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도메인이 별개의/상이한 Tg들을 나타내고, 비상용성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에는 또한 상기 DMA 및/또는 DSC 플롯에 있어서 별개의 Tg값이 관찰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 ABA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 경질 A블록 및 연질 B블록은 상당히 다른 용해 파라미터를 가져 열 역학적으로 서로 상용되지 않는다. 그 결과, 블록 코폴리머계 접착제는 B블록으로 구성된 연질의 연속상에 A블록이 임베딩된 경질상을 형성하는 특유의 미세상-분리된 형태를 갖는다. 즉, ABA 블록 코폴리머에 존재하는 2가지 형태의 블록의 빈번한 비혼화성/비상용성의 결과로서, 통상 블록 코폴리머는 상응하는 호모폴리머의 온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에서 2개의 별개의 유리 전이(DMA 이봉 tanδ 곡선)를 나타낸다. 그러나, P(MMA/MAA)-PBA-P(MMA/MAA) 등의 블록 코폴리머에 있어서의 산의 존재는 말단 블록의 Tg를 상승시키고, 또한 연질 아크릴레이트와 경질 PMMA 도메인 간의 상 분리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블록 코폴리머는 2-상 분리된 재료로부터 단일-상 균질 재료에 이르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아크릴 폴리머는 도 13에 나타내어진 단일 Tg 피크의 존재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균질한(단상)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된 자유 라디칼 공정을 통해 형성된 구조화된 폴리머이며, 가교 전의 균질한(단상) 폴리머를 가리킨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균질한 폴리머"란 동일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형태상을 갖는 블록 코폴리머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와 혼화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의 블록 코폴리머는 액체 상태에서 균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원자력 현미경(AFM) 또는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혼화성이란 2개 이상의 세그먼트의 블록 코폴리머가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한 단상 거동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상기 Tg는 도 13의 플롯에 있어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온도에 대한 tanδ(저장 탄성률에 대한 손실 탄성률의 비)의 동적 기계 열 분석기(DMTA) 트레이스 상에 단일의 뚜렷한 전이 온도로서 존재할 것이다. 그에 반해, 블록 코폴리머의 개별 세그멘트의 각각에 대한 온도에 통상적으로 상응하는 비혼화성 블록 코폴리머의 경우에 2개의 별개의 전이 온도가 관찰될 것이다. 따라서, DMTA 트레이스 상에 하나의 Tg가 나타내어져 있을 때, 블록 코폴리머는 혼화성이다. 혼화성 블록 코폴리머가 균질성인 반면에, 비혼화성 블록 코폴리머는 비균질성이다.
그에 반해, 용어 "비균질한 폴리머"란 동일하거나 상이한 상태에서 2개 이상의 형태상을 갖는 블록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의 매트릭스에 분산된 이산형 패킷을 형성하는 2개의 세그먼트의 블록 코폴리머는 비균질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균질한 폴리머는 블록 코폴리머 성분이 별개로 보이는 동시 연속적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어느 것이 연속상이고 어느 것이 불연속상인지는 불분명하다. 이러한 형태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또는 원자력 현미경(AFM)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연속상이란 비균질한 블록 코폴리머의 매트릭스상을 의미한다. 불연속상이란 비균질한 블록 코폴리머의 분산상을 의미한다.
DMA는 평행판 클램프가 장착된 TA Instruments AR2000 레오미터 상에서 행해졌다. 두께 1.0mm의 시료를 클램프에 배치하고 70℃에서 10분간 어닐링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확보했다. 그 후에 상기 시료를 -60℃로 냉각시켜 3℃/분의 승온 속도로 150℃까지 온도 스윕을 개시했다. 승온 시, 상기 시료는 10rad/초의 주파수로 진동되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머 및/또는 감압 접착제에 대한 유리 전이 온도(Tg) 범위의 대표적인 예는 약 15℃∼약 -115℃, 또는 약 0℃∼약 -80℃, 및/또는 약 -35℃∼약 -60℃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된 라디칼 중합
종래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대해, 반응성 자유 라디칼 말단기가 종결 또는 연쇄 이동 반응을 통해 파괴될 때 폴리머가 종결된다. 상기 종결 및 연쇄 이동 공정은 통상적으로 비가역적이며, 비활성인 폴리머를 생성한다. 그 결과, 이는 분자량 분포가 넓고, 폴리머 백본에 있어서 모노머의 분포에 대한 제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리빙" 중합은 분자량, 분자량 분포(다분산도), 관능성, 및 조성을 포함하는 폴리머 아키텍처를 제어할 수 있다. 리빙 중합 방법에 있어서, 조기 종결의 발생은 최소화되고, 모든 모노머가 소비되거나 의도적으로 종결될 때까지 경시에 따라 분자량이 선형적으로 진행한다. 제어된 라디칼 중합은 비가역적 종결 및 연쇄 이동이 거의 없는 가역적 라디칼 공정을 포함한다. 제어된 자유 라디칼 중합은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 가역적 부가-단편화 연쇄 이동(RAFT) 및 안정한 자유 라디칼 중합(SFRP)(그 중, 니트록시드 매개 중합(NMP)이 서브세트임)의 3가지 기본 기술을 포함한다. RAFT 및 SFRP는 다양한 관능기에 대한 내성 및 제어된 라디칼 중합 폴리머를 생산할 때의 효율성과 다양성 때문에 특히 유용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코폴리머는 임의의 조절된 라디칼 중합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는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 빠른 부가-단편화 연쇄 이동(RAFT); 및 안정한 자유 라디칼 중합(SFRP)을 포함한다. 니트록시드 매개 중합(NMP)이 SFRP 공정의 일례이다.
ATRP는 금속 할로겐화물종의 존재 하에서 할로겐화 유기종에 의한 자유 라디칼 중합의 연쇄 개시를 수반한다. 금속은 유기 할로겐화물로부터 할로겐화물을 추출하고 라디칼을 발생시켜 자유 라디칼 중합을 개시하는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갖는다. 개시 및 전파 후, 연쇄 활성의 연쇄 말단 상의 라디칼은 보다 높은 산화 상태의 촉매와 반응함으로써 가역적으로 종결된다(할로겐화물에 의해). ATRP 동안에 폴리머쇄의 가역적 활성화-불활성화를 위한 단순화된 메커니즘을 스킴 1에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레독스 공정은 휴면기(폴리머-할로겐화물)와 활동기(폴리머-라디칼) 쇄 간의 평형을 야기한다. 평형은 이분자 커플링을 제한하기에 충분히 낮은 레벨로 라디칼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휴면기 상태를 크게 선호하도록 설계된다.
ATRP에 있어서의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저분자량 활성화 유기 할로겐화물(RX, R=활성화 알킬, X=염소, 브롬, 요오드)이다. 그러나, 유기 유사 할로겐화물(예를 들면, X=티오시아네이트, 아지드) 및 약한 N-X(예를 들면, N-브로모숙신이미드) 또는 S-X(예를 들면, 술포닐 할로겐화물)를 갖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ATRP는 Ti, Mo, Re, Fe, Ru, Os, Rh, Co, Ni, Pd 및 Cu를 포함하는 다양한 금속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Cu의 착체는 다양한 매개체에서 광범위한 모노머의 ATRP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촉매를 제공한다. Cu ATRP 촉매와 함께 사용되는 통용의 질소계 리간드는 바이덴테이트 비피리딘 및 피리딘 이민의 유도체, 트리덴테이트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테트라덴테이트 트리스[2-아미노에틸렌]아민 및 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7
RAFT에 의한 제어된 중합은 성장하는 폴리머 라디칼과 휴면기 폴리머쇄 간의 빠른 연쇄 이동을 통해 일어난다. 개시 후, 조절제는 휴면기 폴리머쇄의 일부가 된다. RAFT의 주요 메커니즘적 특징은 스킴 2에 나타내어진다. 통상의 RAFT제는 티오카르보닐-티오기를 함유하며, 예를 들면, 디티오에스테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트리티오카보네이트 및 크산텐을 포함한다. 유용한 RAFT제의 예는 "The Chemistry of Radical Polymerization", Graeme Moad & David H. Solomon, 2nd rev. ed., 2006, Elsevier, 508-514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을 포함하고,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개시 및 라디칼-라디칼 종결은 종래의 라디칼 중합에서와 같이 일어나며, 중합의 초기 단계에서 티오카르보닐티오 화합물에 전파 라디칼(Pn)을 부가한 후 중간 라디칼의 단편화가 일어나서 중합성 티오카르보닐티오 화합물 및 신규한 라디칼(R)을 형성한다. 라디칼(R)과 모노머의 반응은 신규한 전파 라디칼(Pm)을 형성한다. 활성 전파 라디칼(Pn 및 Pm)과 휴면기 중합성 티오카르보닐티오 화합물 사이의 빠른 평형은 모든 쇄가 성장할 수 있는 동등한 확률을 제공하며 분산도가 좁은 폴리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Figure pct00008
SFRP, 특히 NMP의 제어는 휴면기의 알콕시아민과 활동기의 전파 라디칼 사이의 동적 평형에 의해 달성된다. 자유 라디칼 중합을 매개(즉, 제어)하기 위한 니트록시드의 사용이 광범위하게 개발되었다. 다수의 다른 종류의 니트록시드가 설명되었고, 현장에서 니트록시드를 제조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있다. 니트록시드 또는 그 생성 방법에 관계없이 NMP의 주요 메커니즘적 특징은 스킴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성장하는 폴리머쇄 라디칼(P)에 대한 니트록시드(즉, R2NO)의 가역적 커플 링이다.
Figure pct00009
유용한 NMP제의 예는 "The Chemistry of Radical Polymerization", Graeme Moad & David H. Solomon, 2nd Rev. ed., 2006, Elsevier, 473-475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이는 본원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시판되는 NMP제는 Arkema로부터 입수가능한, 개시제 및 조절제의 역할을 하는 알콕시아민 화합물인 BlocBuilder® 이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아크릴 폴리머를 형성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중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촉매는 예를 들면, 유기 주석 화합물, 금속 착체, 아민 화합물 및 다른 염기성 화합물, 유기 인산 화합물 및 유기산일 수 있다. 유기 주석 화합물의 예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에이트, 디부틸주석 프탈레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디부틸주석 메톡시드, 디부틸주석 디아세틸아세테이트 및 디부틸주석 디버사테이트를 포함한다. 금속 착체의 예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및 테트라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등의 티타네이트 화합물; 납 옥토에이트, 납 나프토에이트, 및 코발트 나프토에이트 등의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및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및 바나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등의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제를 포함한다. 아민 화합물 및 다른 염기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실란;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등의 제 4 급 암모늄염; 및 복수의 질소 원자를 각각 함유하는 직쇄 또는 환상 제 3 급 아민 또는 제 4 급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은 모노메틸 포스페이트, 디-n-부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유기산 촉매의 예는 메탄 술폰산 등의 알킬 술폰산, p-톨루엔 술폰산, 벤젠 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등의 아릴 술폰산 등을 포함한다.
접착제
다수의 특성을 갖는 접착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 및/또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성분과 가교 및 필요에 따라 결합되어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이다. 폴리머는 감압성 접착제의 응집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접착제의 후경화시 가교될 수 있다. 이것은 관능기 사이에서의 열, 화학 또는 전자빔 방사선과 같은 공유결합 가교 또는 금속계 이온성 가교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 세그먼트된 폴리머의 각종의 관능기에 대한 대표적인 가교제의 예를 열거한다.
가교제

세그먼트된 폴리머의 관능기

가교제

히드록실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무수물, 에폭시, 티탄 에스테르류 및 킬레이트류
카르복실산, 인산
아지리딘류,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무수물, 에폭시, 카르보이미드류, 금속 킬레이트류, 티탄 에스테르류 및 옥사졸린류
이소시아네이트
자기 반응성, 카르복실산, 아민, 히드록실

비닐

실리콘 수소화물과 부가 반응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민, 메르캅탄, 라디칼 촉매(UV, 서멀)와 자기 반응성,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폭시

아민, 카르복실산, 인산, 히드록실, 메르캅탄

아민

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무수물, 에폭시, 아세토아세테이트

메르캅토(티올)

이소시아네이트, 메라민 포름알데히드, 무수물, 에폭시

아세토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아민

알콕시메틸올

산, 히드록실, 티올(메르캅토), 아민

환상 에테르류

히드록실, 아민류, 티올(메르캅토)
적합한 다관능성 아지리딘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2-메틸아지리디닐)프로피오 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아지리디닐부티레이트]; 트리스(1-아지리디 닐)-포스핀옥사이드; 트리스(2-메틸-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3-(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를 들 수 있다. 1개 초과의 다관능성 아지리딘의 조합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다관능성 아지리딘의 예로는 트리스[3-(2-메틸아지리디닐)-프로파노에이트]인 것으로 생각되는 Zeneca Resins제의 NEOCRYL CX-100, Bayer Material Science제의 Xama-2, Xama-7 및 Xama-220을 들 수 있다.
일반식(IV)을 갖는 다관능성 아지리딘 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 중, R은 알킬렌rl 또는 방향족기일 수 있고, R'는 수소 또는 알킬기일 수이고, x는 적어도 2일 수 있다. 적당한 다관능성 아지리딘 아미드의 예로서는 1,1'-(1,3-페닐렌디카르보닐)비스[2-메틸아지리딘]; 2,2,4-트리메틸아디포일 비스[2-에틸아지리딘]; 1,1'-아젤라오일 비스[2-메틸아지리딘]; 및 2,4,6-트리스(2-에틸-1-아지리디닐)-1,3,5-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는 아세틸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토아세토네이트와 Al, Fe, Zn, Sn, Ti, Sb, Mg 및 V 등의 다가 금속을 배위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 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예를 들면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클로로-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 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듀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2,4-벤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그 반응물을 들 수 있다.
다른 유용한 가교제는 Cytec제의 Cymel 303 및 370과 같은 모노머 및 폴리머 멜라민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는 통상적으로 접착제 고형분의 약 0.05중량%∼약 5중량%, 또는 약 0.075중량%∼약 2중량%, 또는 약 0.1중량%∼약 1.5중량%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무수물 관능성의 세그먼트된 폴리머는 아미노-, 메르캅토- 또는 히드록실-관능성 실란과 후중합 반응을 통해 실란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응성기로서 제 1 급 아미노기를 단독으로 갖는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의 예로는 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 β-아미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아미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과 같은 아미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 β-아미노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및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과 같은 (아미노알킬)-알킬디알콕시실란; 및 상응하는 아미노알킬디알킬(모노)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반응성기로서 제 1 급 아미노기 및 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 실란의 예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 및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의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알킬디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반응성기로서 제 2 급 아미노기를 단독으로 갖는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의 예로는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N-페닐-β-아미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및 N-페닐-β-아미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N-페닐-β-아미노에틸트리알콕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 -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및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등의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상응하는 N-페닐아미노알킬(모노 또는 디)알킬(디 또는 모노)알콕시실란; 및 페닐기로 치환된 제 2 급 아미노기를 갖는 상기 열거된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에 상응하는 N-알킬아미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 예를 들면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부틸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N-n-부틸-2-아미노에틸트리메톡시실란,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및 대응하는 N-알킬아미노알킬(모노 또는 디)알킬(디 또는 모노)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그 외로는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및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의 예로는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트리프로폭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트리부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및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등의 메르캅토알킬트리알콕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메르캅토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β-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이소프로폭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β-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에틸디프로폭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에틸디이소프로폭시실란 및 γ-메르캅토프로필에틸디부톡시실란 등의 (메르캅토알킬)알킬디알콕시실란; 및 상응하는 (메르캅토알킬)디알킬(모노)알콕시실란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실 관능성 실란의 예로는 일반식(V)을 갖는 히드록시메틸트리알콕시 실란을 들 수 있고:
Figure pct00011
식 중, R은 알킬기이고, n은 적어도 1이다. 상기 알킬기는 탄소원자 1∼6개 또는 탄소원자 1∼3개의 저급 알킬기일 수 있다. 알킬기가 메틸 또는 에틸인 실란, 즉 n이 1과 등가일 경우의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및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주제의 접착제는 안료, 필러, 가소제, 희석제, 산화방지제, 점착 부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안료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에 소망하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서 충분한 양으로 제공된다. 안료의 예로는, 한정하지는 않지만,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등의 고체 무기 필러, 및 유기 염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3수화물, 크리스토발라이트, 유리 섬유, 고령토, 침강 또는 퓸드 실리카, 구리, 석영,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수산화마그네슘, 실리케이트(예를 들면 장석), 탤크, 니켈, 및 탄산칼슘과 같은 추가적인 무기 필러도 유용하다. 알루미늄 3수화물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산화물이 난연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다양한 접착 부여제가 접착제의 점착 및 박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로진, 및 소나무의 올레오레진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로진계 물질을 포함한 로진 유도체뿐만 아니라, 로진 에스테르, 분획, 수첨, 탈수소 및 중합 로진과 같은 변성 로진, 변성 로진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에센셜 오일과 식물의 올레오레진에서 발생하는 일반식 C10H16의 탄화수소인 테르펜 수지, 및 알파 피넨, 베타 피넨, 디펜텐, 리모넨, 미레센, 보닐렌, 캄펜 등과 같은 페놀 변성 테르펜 수지가 채용되어도 좋다. Exxon Chemical Co.제의 ESCOREZ 1304와 같은 각종의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C9, C5, 디시클로펜타디엔, 쿠마론, 인덴,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 등을 기초로 한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첨 및 부분 수첨 수지, 예를 들면 Eastman Chemical Company제의 REGALREZ 1018, REGALREZ 1033, REGALREZ 1078, REGALREZ 1094, REGALREZ 1126, REGALREZ 3102, REGALREZ 6108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chenectady Chemical Inc.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타입 SP 560 및 SP 553, Reichold Chemical Inc.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Nirez 1100, 및 Hercules Corporation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Piccolyte S-100가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특히 유용한 점착 부여제이다. 다양한 혼합된 지방족 및 방향족 수지, 예를 들면 Hercules Corporation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Hercotex AD 11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지는 본 발명의 주제의 코폴리머에의 점착 부여에 매우 유용하지만, 소정의 포뮬레이션을 위해 선택된 특정 점착 부여 수지 및 양은 점착 부여될 아크릴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크릴계의 감압성 접착제에 점착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다수의 수지가 본 발명의 주제의 실행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주제의 범위가 이러한 수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atas, 감압성 접착제 기술의 핸드북, Von Nostrand Reinhold, Co, 제 20 장, pp.527∼584(1989년)(본원에 참조로 인용)에 기재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에 사용되는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코폴리머 및 점착 부여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에 따라 제조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접착 부여제를 총 중량으로 5∼약 60중량%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약 100℃∼약 150℃의 환구법에 의한 연화점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약 110℃∼약 120℃의 환구법에 의한 연화점을 갖는 테르펜 페놀계 점착 부여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 수지는 두가지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Eliokem제의 파라 크레졸과 디시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 반응 생성물인 평균 분자량 650의 Wingstay L*과 같은 수지를 점착 부여제 및 산화방지제 모두로서 쓰일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분자량 폴리머 첨가제는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폴리머 첨가제는 C1-C20 알킬 및 시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 C1-C20 알킬 및 시클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유리 라디칼 중합성 올레핀산,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모노머로부터 중합된다. 적합한 알킬 및 시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알킬 및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노닐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적당한 자유 라디칼 중합성 올레핀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다양한 양의 다른 에틸렌 불포화 모노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 폴리머 첨가제의 연화점은 약 40℃를 초과하고, 수 평균 분자량은 약 35,000 미만이다. 폴리머 첨가제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선택적 에틸렌-불포화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드, 메타 크릴아미드-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 첨가제의 사용량은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약 1중량%∼약 55중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US 특허 제 4,912,16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러한 저분자량 첨가제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비교적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고형분의 중량%는 50중량% 초과, 또는 적어도 60중량% 또는 적어도 70중량%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의 접착제 또는 조성물은 화학 방사선, 특히 자외선(UV) 방사선 또는 근UV 방사선에의 노광에 의해 중합 및/또는 가교된다. 또한, 전자빔 방사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사선에 충분히 노광시킴으로써 폴리머 중에 포함된 다양한 관능기가 관련된 중합 및 가교가 일어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양태를 이용함으로써 이어진 또는 추가의 화학 방사선, 특히 UV 방사선에의 노광에 의해 더 처리될 수 있는 예비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제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최초의 배치 또는 소망량의 예비 접착제가 벌크하게 중합 또는 적어도 일부 중합된 다음, 추후의 목적의 기재에 적용 또는 도포하기 위해 보존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접착제를 소망한 도포 중량으로 기재에 도포한 후, 도포된 기재를 활성 방사선, 특히 UV 방사선에 조사하여 가교된 접착제,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온 및 승온시에 높은 응집강도를 갖는 감압 접착제를 얻는다. 다양한 범위의 파장에 걸쳐 방출하는, 저압, 고압 및 중압 수은램프를 포함한 다양한 UV 광원이 공지되어 있다. 대부분의 착색 및 비착색 접착제는 약 240∼약 410nm 범위의 방출 대역을 갖는 중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빠르게 경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UV원 발광 스펙트럼이 접착제 내에 채용되는 개시제(들)의 흡수 스펙트럼과 겹치기만 하면, 더욱 좁은 범위의 파장을 방출하는 UV원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가 이산화티탄 또는 유사한 안료로 착색되는 경우, 바람직한 개시제가 근UV 영역에 흡수 밴드를 갖고, 적어도 이 영역에서 방출하는 UV원이 채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제에 따라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 접착제를 중합 및 가교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및 시스템(10)을 도시하는 프로세스 개략도이다. 시스템 (1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접착제, 폴리머, 및/또는 모노머를 공급 라인(14)을 통해서 블렌더 또는 믹서(22)에 도입하기 위한 디스펜서 또는 히터(12)를 포함한다. 또한, 소망량의 개시제, 선택적 성분 및/또는 기타 모노머, 및 보조 성분 또는 기타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개량할 수 있는 추가 공급 라인(16, 18 및 20)이 믹서(22)에 설치된다. 개시제는 접착제를 형성하는 모너머(들)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중합되는 중합성 모노머의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제, 폴리머 및/또는 모노머, 광개시제 및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혼합한 후, 생성된 예비 접착제를, 예를 들면 튜브 반응기의 형태일 수 반응기 (26)에 라인(24)을 통해 보내진다. 그러나, 반응기(26)는 다양한 상이한 형태일 수 있지만, 접착제 또는 예비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을 통상적으로 규정한다. 반응기(26)는 UV 방사선과 같은 화학 방사선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방사선원으로부터 반응기의 내부로 입사하도록 구성된다. 접착제 또는 예비 접착제가 반응기(26)를 통해 보내지고, 광개시제기 및/또는 개시제의 활성화 파장에 상응하는 파장을 갖는, 예를 들면 광선(29, 31)으로서 나타낸 UV광 또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UV 이미터(28, 30)로부터의 화학 방사선에 노광된다. 접착제 또는 예비 접착제의 반응기(26) 내에서의 유속, 즉 체류 시간; UV광의 강도; 및 기타 팩터가 라인(32)을 통해 반응기(26)에 존재하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합된 접착제를 생성하도록 조정된다. 모노머(들) 간의 중합은 주로 반응기(26) 내에서 일어난다. 모노머의 서멀계 중합이 방사선계 중합 대신에 또는 추가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라인(32) 내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합된 접착제는 라인(34)을 통해 이동 웹(42)(통상적으로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됨) 상의 하나 이상의 기재에 직접 침적 또는 적용되거나, 또는 라인(36)을 통해 추가 처리 및/또는 연속한 적용을 위한 저장 유닛(44)에 보내진다.
영역(46)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접착제의 침적시, 접착제가 가교되도록 통상적으로 이동 웹(42) 상의 접착제는 영역(46)에 대해 UV 광선(51)을 방출하는 스테이지(50)에 있어서의 또 다른 UV 이미터에 의해 조사된다. 가교된 접착제(52)가 얻어진다.
물품
본 발명의 주제는 상술한 조성물, 예비 접착제 및/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물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품의 예로는 양면 및 단면 테이프를 포함한 접착 테이프; 라벨 스톡; 라벨 구조체; 식품 패키지를 포함한 패키징 제품 및 어셈블리, 가정 용품 및 산업 용품용 패키징, 및 특히 재밀폐 가능한 패키지; 및 기타 아이템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제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물품(100)을 도시한다. 테이프 물품(100)은 롤 형태로 도시하지만, 테이프는 평편한 형태, 시트 형태 또는 Z폴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테이프 물품(100)은 일반적으로 제 1 면(112) 및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14)을 규정하는 기재(110)를 포함한다. 테이프(100)는 일면 또는 양면(112, 114)에 배치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접착제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이형 라이너 및/또는 낮은 표면에너지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면(112) 및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14)를 규정하는 기재(110)를 포함하는 테이프(100A)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테이프(100A)는, 예를 들면 면(114)과 같은 면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120)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낮은 표면 에너지 코팅이 기재(110)의 면(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면(112) 및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14)을 규정하는 기재(110)를 포함하는 테이프(100B)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테이프(100B)는, 예를 들면 면(114)과 같은 면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120)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낮은 표면 에너지 코팅이 기재(110)의 면(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 1 면(112) 및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14)을 규정하는 기재(110)를 포함하는 테이프(100C)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테이프(100C)는, 예를 들면 면(114)과 같은 면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120)의 제 1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100C)는 기재(110)의 면(112) 상에 배치된 접착제(125)의 제 2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6은 제 1 면(112) 및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14)을 규정하는 기재(110)를 포함하는 테이프(100D)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테이프(100D)는, 예를 들면 면(114)과 같은 면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120)의 제 1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100D)는 면(112) 상의 접착제(125)의 제 2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100D)는 접착제(120)를 피복하는 제 1 이형 라이너(130)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100D)는 접착제(125)를 피복하는 제 2 이형 라이너(135)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제에 따른 밀봉, 폐쇄, 또는 재폐쇄 어셈블리(20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어셈블리는 제 1 기재면(212)을 규정하는 제 1 기재(210), 제 2 기재면(214)을 규정하는 제 2 기재(230), 및 접착제면(222)을 규정하는 접착제(220)의 하나 이상의 층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접착제(220)는 하나 또는 2개의 기재면(212, 214) 상에 배치된다. 접착제(220)는 접착제면(222)과 기재면(212) 간의 접촉시 기재(210, 230)를 함께 밀봉 및/또는 부착하는 역활을 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22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접착제이다. 어셈블리(200)는, 예를 들면 식품 패키지, 가정 용품용 패키지, 산업 용품 패키지, 및 특히 재밀폐 가능한 패키지를 포함한 다양한 패키징 제품과 관련 및/또는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층은 특정 목적 또는 의도한 용도에 필요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약 10∼약 125, 또는 약 10∼약 75, 또는 약 10∼약 50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의 코팅 중량은 약 10∼약 50평방미터당그램(gsm),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20∼약 35gs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에 사용되는 이형 라이너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들 또는 추후 발견되는 것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이형 라이너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판의 실리콘 이형 코팅을 가진 폴리에틸렌 코팅지, 시판의 실리콘 이형 코팅을 가진 폴리에틸렌 피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이러한 필름의 제조와 동시에 패턴 또는 패턴들이 엠보싱되고, 그 후 시판의 실리콘 이형 코팅으로 피복될 수 있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들 수 있다. 예시적 이형 라이너는 실리콘 이형 코팅을 갖는 전방측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코팅을 갖고, 또한 후방측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코팅을 갖는 크래프트 종이이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이형 라이너도 접착제 물품에 사용되기 위해 선택된 감압성 접착제에 관한 이형 특징을 위해 선택되는 것이면 적합하고, 즉 접착제가 라이너보다 페이스스톡에 대해 친화성이 더 클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낮은 표면 에너지 코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접착제를 사용하는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 형상 테이프 제품에 대해서는 접착제와 접촉하는 기재 또는 테이프 성분의 배면을 따라 낮은 표면 에너지 에이전트의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낮은 표면 에너지 코팅의 에로서는 실리콘 에이전트, 프로필렌 또는 기타 폴리올레핀, 소정의 플루오로카본, 및 소정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제의 특정 접착제의 이점은 UV 방사선에의 지속적인 노광시 성능 기준의 메이터넌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종래의 UV 경화되어 무작위 가교된 접착제 네트워크의 문제점은 추가적 UV 노광에 의해 추가 가교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접착제 및/또는 그 성능에 바람직하지 않는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하류에서 UV 인쇄되는 클리어 또는 투명 라벨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의 접착제의 다수의 실시형태는 추가 UV 노광시 성능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각종의 아크릴 접착제의 접착 특성을 평가했다.
Figure pct00012
(a) 각각의 방향으로 5패스로 5파운드 롤러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패널에 적용된 샘플을 박리한다. 샘플을 23℃에서 조건화하여 시험했다.
(b) 각각의 방향으로 5패스로 5파운드 롤러를 이용하여 양면 테이프를 가진 경질 PVC 패널에 적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적용된 샘플을 박리한다. 샘플을 23℃에서 조건화하여 시험했다.
(c) 각각의 방향으로 5패스로 5파운드 롤러를 이용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적용된 샘플을 박리한다. 샘플을 23℃에서 조건화하여 시험했다.
(d) 각각의 방향으로 5패스로 5파운드 롤러를 이용하여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에 적용된 샘플을 박리한다. 샘플을 23℃에서 조건화하여 시험했다.
(e) % 불용성 폴리머: 0.05∼0.10g의 경화 폴리머를 5㎛ 다공질의 PFTE 멤브레인 필터 내에 밀봉하고, 1주일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중에서 텀블링시켰다. 소킹 전 및 소킹 후의 폴리머의 중량을 측정하여 THF에 불용인 폴리머의 %를 얻었다.
(f) 스테인리스강 2°콘 및 플레이트를 구비한 AR2000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멜트 플로우를 측정했다. 0.25sec-1 및 100㎛의 갭에서 실시예들을 평가했다. 온도는 개시 온도에서 10분간의 평형 시간 후 분당 0.5℃으로 승온시켰다.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해서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FRP 에이전트(쇄당 KH9-76-2)를 이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4.36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55.92g 부틸아크릴레이트
55.92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13g 아크릴산
6.00g 4-메타크릴 벤조페논
110.50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 Mn인 10,408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81.47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503.31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503.31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10.17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5.99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591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11.43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5.67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50.80g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2시간 유지의 종료시, 14.78g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미리 용해된 34.50g의 Foral 85LB를 상기 폴리머에 첨가한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2: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쇄당 KH9-68-4)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4.34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55.70g 부틸아크릴레이트
55.70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13g 아크릴산
11.95g 4-메타크릴 벤조페논
110.06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933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80.74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501.29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501.29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10.13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5.96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066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11.39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5.68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50.60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2시간 유지의 종료시, 15.23g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미리 용해된 35.54g의 Foral 85LB를 상기 폴리머에 첨가한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3: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쇄당 KH9-75-2.6)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4.35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55.85g 부틸아크릴레이트
55.85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13g 아크릴산
7.99g 4-메타크릴 벤조페논
110.35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408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81.23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502.64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502.64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10.15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5.98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591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11.42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5.68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50.74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4: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쇄당 KH9-21-1.3)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3.63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46.67g 부틸아크릴레이트
46.67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0.94g 아크릴산
3.34g 4-메타크릴 벤조페논
92.21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408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51.43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419.99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419.99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8.48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4.89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591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9.54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4.73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42.39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5: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쇄당 KH9-77-1.65)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4.36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55.96g 부틸아크릴레이트
55.96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13g 아크릴산
5.00g 4-메타크릴 벤조페논
110.57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408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81.59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503.65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503.65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10.17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5.99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591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11.44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5.67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50.84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2시간 유지의 종료시, 13.94g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미리 용해된 32.52g의 Foral 85LB를 상기 폴리머에 첨가한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6: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쇄당 KH9-81-2.3)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4.35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55.89g 부틸아크릴레이트
55.89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13g 아크릴산
7.00g 4-메타크릴 벤조페논
110.43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408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181.35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502.97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502.97g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10.16g의 아크릴산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한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5.99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는 118∼122℃에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7%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9,591g/mol이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90℃ 이하가 되는 즉시, 11.42g의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반응기에 첨가하고, 15분간 혼합시킨다. 폴리머가 85℃가 되면, 5.67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50.77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2시간 유지의 종료시, 15.26g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미리 용해된 35.61g의 Foral 85LB를 상기 폴리머에 첨가한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실시예 7: 실시예 3의 포뮬레이션 (AK9-97)
3% Foral 85LB를 폴리머와 점착 부여제의 비율이 97:3이 되도록 고형분 함량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3의 폴리머에 첨가했다.
실시예 8: 실시예 4의 포뮬레이션 (AK9-65)
3% Foral 85LB를 폴리머와 점착 부여제의 비율이 97:3이 되도록 고형분 항량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4의 폴리머에 첨가했다.
실시예 9: 상업적 공급 업체로부터의 비교예
이 접착제는 제제화된 고분자량 용제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실시예 10: 상업적 공급 업체로부터의 비교예
이 접착제는 제제화된 고분자량 용제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표 3은 실시예 1∼10을 요약한 것이다.
Figure pct00013
시험 결과
실시예 1, 2, 5, 6, 7, 및 8의 접착제를 100% 고형분의 백금 경화 실리콘 이형층을 갖는 2mil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상에 10∼12평방미터당 그램(gsm)으로 코팅하고, 주위 온도에서 15분간 건조 한 다음 50℃에서 15분간 건조하여 포뮬레이션을 용제로부터 분리했다. 건조 후, 코팅을 UV 방사선으로 다양한 에너지 밀도에서 경화시켜서 다양한 경화 레벨을 얻었다. 그 다음, 경화된 코팅을 2mil의 BOPP 필름에 적층하고, 50℃의 오븐에서 24시간 체류시킨 다음, 75℉ 및 50% 습도의 기후 조절실에서 24시간 체류시킨 후 시험했다.
비교예 9 및 10은 Avery Dennison으로부터 얻었다.
도 10 및 11은 다양한 실시예로부터 얻어진 샘플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4∼7은 예 1, 9 및 10으로부터 얻어진 샘플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90°박리 접착 시험을 비교한 것이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도 12 및 13은 실시예 1 및 6의 샘플의 멜트 플로우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SFRP 에이전트를 사용한 벤조페논 관능기를 갖는 세그먼트된 아크릴 폴리머의 제조(KH8-15-유사 텔레킬릭-> 쇄말단당 2.5)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에 위치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 코폴리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가열 재킷, 교반기, 환류 콘덴서, 공급 탱크 및 질소가스 주입구를 구비한 1500ml 반응기 내에 2.89g의 BlocBuilder MA(SFRP 에이전트)를 채운다. 그 다음,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시킨다. 공급 용기에 모노머 및 용제를 하기의 양으로 첨가하고, 질소로 0.5L/min으로 1시간 동안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상기 모노머와 용제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여,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한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74.62g 부틸아크릴레이트
6.65g 4-메타크릴 벤조페논
73.42g 프로필아세테이트
상기 채워진 반응기를 연속적으로 질소 퍼지하면서 환류 조건(반응기 재킷 125℃)으로 가열한다. 100℃에서 60분간의 유지를 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반응은 이러한 유지시 대략 112℃에서 환류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이론적인 Mn인 10,700g/mol의 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60분간 유지 동안, 활성 질소 퍼지와 함께 84.39g의 프로필아세테이트 및 671.62g의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시약 공급 혼합물을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불활성화했다. 최초 60분 유지 후, 반응기로의 시약 공급을 60분간에 걸쳐서 2g/min의 속도로 추가한다. 60분 공급 후, 그 혼합물이 고갈될 때까지 그 속도를 4.41g/min으로 올린다. 시약 공급시 반응 온도를 118∼122℃로 유지한다. 상기 반응 조건을 시약 공급 완료 후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적어도 90%가 달성될 때까지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환율은 92.3%이었다. 이것은 폴리머의 말단에 UV 관능성 세그먼트에 인접한 나머지의 비-UV 관능성 세그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UV 관능성 세그먼트의 총 이론적 Mn은 88,425g/mol이다.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92.3%가 되기 전에, 6.65g의 4-메타크릴 벤조페논, 74.62g의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42.00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공급 용기 내에서 칭량하고, 혼합물의 산소가 고갈될 때까지 질소로 0.5L/min으로 불활성화시킨다. 스파징 후, 반응기에의 시약 공급을 ∼g/min의 최대 공급 속도로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 92.3%로 추가한다.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95%가 될 때까지 반응을 118∼122℃에서 유지한다. 이때, 폴리머를 85℃로 냉각한다. 폴리머가 85℃가 되는 즉시, 3.80g의 3차 아밀퍼옥시피발레이트 및 33.76g의 프로필아세테이트를 100mL 공급 용기에서 혼합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0.5L/min으로 15분간 불활성화한다. 불활성화 후, 피발레이트 용액을 9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다. 피발레이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반응 온도를 2시간 동안 85℃∼9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 폴리머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토출한다. 이론적인 분자량은 109,825g/mol Mn이었고, 실제 측정된 분자량은 42,601g/mol Mn, 206,800g/mol Mw, 및 4.85PDI이었다.
Figure pct00018
다수의 다른 이점이 본 기술의 향후의 출원 및 개발에 의해 명백해질 것임이 틀림없다.
본 교시와 일치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다음의 번호 조항에 나타낸다.
[조항 1]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2]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3]
조항 1 또는 조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
조항 1 내지 조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7]
조항 1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8]
조항 1 내지 조항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중에 존재하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9]
조항 1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중에 존재하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10]
조항 1 내지 조항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19
[식 중, R은 H 또는 CH3이고, X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11]
조항 1 내지 조항 10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0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원자 4∼14개의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조항 12]
조항 1 내지 조항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모노머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13]
조항 1 내지 조항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1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원자 4∼14개의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조항 14]
조항 1 내지 조항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아크릴레이트, 또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15]
조항 1 내지 조항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16]
조항 1 내지 조항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17]
조항 1 내지 조항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상기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18]
조항 1 내지 조항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19]
조항 1 내지 조항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상기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20]
조항 1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는 상기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21]
조항 1 내지 조항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22]
조항 1 내지 조항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경화 전에는 분자 혼화성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3]
조항 1 내지 조항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4]
조항 1 내지 조항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단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5]
조항 1 내지 조항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폴리머인 것을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 특성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 혼화성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6]
조항 1 내지 조항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7]
조항 1 내지 조항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단상의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8]
조항 1 내지 조항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29]
조항 1 내지 조항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0]
조항 1 내지 조항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1]
조항 1 내지 조항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2]
조항 1 내지 조항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3]
조항 1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4]
조항 1 내지 조항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35]
조항 1 내지 조항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36]
조항 1 내지 조항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약 15℃∼약 -115℃의 범위 내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7]
조항 1 내지 조항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벤조페논, 이중결합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38]
조항 1 내지 조항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벤조페논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39]
조항 1 내지 조항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하기와 같은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2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아릴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라디칼이다.]
[조항 40]
조항 1 내지 조항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족기 또는 치환 방향족기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41]
조항 1 내지 조항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 또는 치환 페닐기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42]
조항 1 내지 조항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 유도체, 벤질, 벤질 유도체, 티옥산톤, 티옥산톤 유도체, 크산톤, 크산톤 유도체, 벤조인 에테르, 벤조인에테르 유도체, 알파-케톨, 알파-케톨 유도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3]
조항 1 내지 조항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4]
조항 1 내지 조항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산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45]
조항 1 내지 조항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다분산성은 3.0을 초과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6]
조항 1 내지 조항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약 5,000g/mol∼약 150,000g/mol의 범위 내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47]
조항 1 내지 조항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와 1개의 제 2 세그먼트(B)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8]
조항 47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A)는 폴리머쇄의 중간 세그먼트(B)의 양측에 위치되어 ABA 구조를 규정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49]
조항 1 내지 조항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개의 제 2 세그먼트(B)와 1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0]
조항 49에 있어서,
상기 블록(B)은 폴리머쇄의 중간 블록(A)의 양측에 위치되어 BAB 구조를 규정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1]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2]
조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모노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3]
조항 51 또는 조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내에 존재하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54]
조항 51 내지 조항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55]
조항 51 내지 조항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6]
조항 51 내지 조항 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57]
조항 51 내지 조항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58]
조항 1 내지 조항 50 또는 조항 51 내지 조항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조항 59]
조항 58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접착제 고형분의 약 0.05중량%∼약 5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조항 60]
조항 58 또는 조항 59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열, 화학 방사선, 전자빔 방사선 및 금속계 촉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활성화되는 접착제 조성물.
[조항 61]
조항 58 내지 조항 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약제, 살균제, 성장 인자, 창상 치유 성분, 방취제, 향료, 항균제, 항곰팡이제, 커팅제, 안료, 필러, 희석제, 난연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조항 62]
조항 58 내지 조항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의 중량%는 50%를 초과하는 접착제 조성물.
[조항 63]
조항 58 내지 조항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3×106dynes/㎠(3×105Pa)의 달퀴스트 기준치 미만의 탄성률/저장 탄성률(G')을 나타내는 접착제 조성물.
[조항 64]
조항 58 내지 조항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약 15℃∼약 -115℃의 범위 내인 접착제 조성물.
[조항 65]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로부터 아크릴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 폴리머와 상당량의 가교제를 혼합함으로써 아크릴 폴리머를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조항 66]
조항 6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RAFT 에이전트의 존재하에서 중합되는 방법.
[조항 67]
조항 65 또는 조항 6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SFRP 에이전트의 존재하에서 중합되는 방법.
[조항 68]
기재; 및
상기 기재에 배치된 조항 58 내지 조항 6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물품.
[조항 69]
조항 68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테이프의 형태인 접착제 물품.
[조항 70]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71]
조항 7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및 반응성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72]
조항 70 또는 조항 7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및 반응성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73]
조항 70 내지 조항 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내에 존재하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74]
조항 70 내지 조항 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75]
조항 70 내지 조항 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약 40%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76]
조항 70 내지 조항 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조항 77]
조항 70 내지 조항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조항 78]
조항 70 내지 조항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조항 79]
조항 78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접착제 고형분의 약 0.05중량%∼약 5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실시형태", "일부 실시형태" 또는 유사한 표현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언급은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한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는 유사한 표현의 구의 출현은 동일한 군의 실시형태를 반드시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기재된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제는 이미 공지된 조성물 및 방법과 관련된 다수의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제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기재 및 설명된 다양한 세부적 변화, 구성요소의 재료 및 배치, 및/또는 작동은 첨주된 청구범위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제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9)

  1.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인 아크릴 폴리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중에 존재하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중에 존재하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3

    [식 중, R은 H 또는 CH3이고, X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4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원자 4∼14개의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모노머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일반식(I)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5

    [식 중,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원자 4∼14개의 분기상 또는 비분기상의 포화 알킬기이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아크릴레이트, 또는 C1∼약 C20의 알킬, 아릴 또는 환상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되는 아크릴 폴리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상기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인 아크릴 폴리머.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UV 활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반응성 관능기와 비반응성인 아크릴 폴리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상기 폴리머쇄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아크릴 폴리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는 상기 폴리머쇄의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아크릴 폴리머.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경화 전에는 분자 혼화성인 아크릴 폴리머.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단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는 단상 폴리머인 것을 나타내는 벌크 상태에서의 그 특성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경화 전에는 분자 혼화성인 아크릴 폴리머.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단상의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단상의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균질한 액상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 아크릴 폴리머.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실온에서 비균질성을 나타내지 않는 아크릴 폴리머.
  36. 제 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약 15℃∼약 -115℃의 범위 내인 아크릴 폴리머.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벤조페논, 이중결합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벤조페논인 아크릴 폴리머.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하기와 같은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아크릴 폴리머.
    Figure pct00026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아릴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라디칼이다.]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족기 또는 치환 방향족기인 아크릴 폴리머.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 또는 치환 페닐기인 아크릴 폴리머.
  42. 제 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는 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유도체, 벤조페논, 벤조페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 유도체, 벤질, 벤질 유도체, 티옥산톤, 티옥산톤 유도체, 크산톤, 크산톤 유도체, 벤조인 에테르, 벤조인에테르 유도체, 알파-케톨, 알파-케톨 유도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43. 제 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히드록실, 카르복실, 카르보닐,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비닐, 아민, 아미드, 이미드, 무수물, 메르캅토(티올), 산, 아크릴아미드,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메틸올, 환상 에테르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44. 제 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산인 아크릴 폴리머.
  45. 제 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다분산성은 3.0을 초과하는 아크릴 폴리머.
  46. 제 1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약 5,000g/mol∼약 150,000g/mol의 범위 내인 아크릴 폴리머.
  47. 제 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와 1개의 제 2 세그먼트(B)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A)는 폴리머쇄의 중간 세그먼트(B)의 양측에 위치되어 ABA 구조를 규정하는 아크릴 폴리머.
  49. 제 1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제 2 세그먼트(B)와 1개의 제 1 반응성 세그먼트(A)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B)은 폴리머쇄의 중간 블록(A)의 양측에 위치되어 BAB 구조를 규정하는 아크릴 폴리머.
  51.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모노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 폴리머.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내에 존재하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54. 제 51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55. 제 51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40% 이하를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56. 제 5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57. 제 5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58. 제 1 항 내지 제 50 항 또는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접착제 고형분의 약 0.05중량%∼약 5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60. 제 58 항 또는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열, 화학 방사선, 전자빔 방사선 및 금속계 촉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활성화되는 접착제 조성물.
  61. 제 58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약제, 살균제, 성장 인자, 창상 치유 성분, 방취제, 향료, 항균제, 항곰팡이제, 커팅제, 안료, 필러, 희석제, 난연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62. 제 58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의 중량%는 50%를 초과하는 접착제 조성물.
  63. 제 58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3×106dynes/㎠(3×105Pa)의 달퀴스트 기준치 미만의 탄성률/저장 탄성률(G')을 나타내는 접착제 조성물.
  64. 제 58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약 15℃∼약 -115℃의 범위 내인 접착제 조성물.
  65. UV 활성 관능기,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반응성 관능기, 비반응성 관능기,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제어된 라디칼 중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상기 제 2 세그먼트로부터 아크릴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크릴 폴리머와 상당량의 가교제를 혼합함으로써 아크릴 폴리머를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RAFT 에이전트의 존재하에서 중합되는 방법.
  67. 제 65 항 또는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와 상기 제 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SFRP 에이전트의 존재하에서 중합되는 방법.
  68. 기재; 및
    상기 기재에 배치된 제 58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물품.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테이프의 형태인 접착제 물품.
  70.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분자량 및 위치가 제어된 제 2 세그먼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 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및 반응성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72. 제 70 항 또는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코모노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UV 활성 관능기 및 반응성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폴리머.
  73. 제 70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 내의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상기 제 2 반응성 세그먼트 내에 존재하는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인 아크릴 폴리머.
  74. 제 70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가교 전에는 균질한 폴리머인 아크릴 폴리머.
  75. 제 70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총 폴리머 분자량의 약 40%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76. 제 70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활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는 총 폴리머 중량의 약 10중량% 이하인 아크릴 폴리머.
  77. 제 70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 세그먼트는 상기 비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약 40중량%∼약 99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
  78. 제 70 항 내지 제 7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크릴 폴리머; 및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접착제 고형분의 약 0.05중량%∼약 5중량%인 접착제 조성물.
KR1020197012049A 2016-10-25 2017-10-25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KR10218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2326P 2016-10-25 2016-10-25
US62/412,326 2016-10-25
PCT/US2017/058284 WO2018081268A1 (en) 2016-10-25 2017-10-25 Block polymers with photoinitiator groups in backbone and their use in adhesive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591A true KR20190058591A (ko) 2019-05-29
KR102182235B1 KR102182235B1 (ko) 2020-11-24

Family

ID=6048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049A KR102182235B1 (ko) 2016-10-25 2017-10-25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0595B2 (ko)
EP (1) EP3532520A1 (ko)
KR (1) KR102182235B1 (ko)
CN (1) CN110099939B (ko)
WO (1) WO2018081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92478B2 (en) * 2017-12-19 2023-03-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st-polymerization functionalization of pendant functional groups
KR102152241B1 (ko) * 2018-10-30 2020-09-04 (주)이녹스첨단소재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7289148B2 (ja) * 2019-01-16 2023-06-09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架橋性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ホットメルト粘着剤
JPWO2020149385A1 (ja) * 2019-01-16 2021-02-18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架橋性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コーティング剤
JPWO2020149387A1 (ja) * 2019-01-16 2021-02-18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架橋性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伸縮性部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674A (ko) * 2011-03-18 2014-02-0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가교성 광개시제 기를 함유하는 블록-공중합체

Family Cites Families (1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7402A (en) 1971-06-25 1972-10-10 Grace W R & Co Photocurable liquid polyene-polythiol polymer composition
US3993549A (en) 1974-07-12 1976-11-23 W. R. Grace & Co. Curable solid adducts of polyene-polythiol compositions with urea
US4279590A (en) 1976-06-23 1981-07-21 Gte Products Corporation Lamp with protective coating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4118595A (en) 1977-06-06 1978-10-0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rossover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4232058A (en) 1978-10-13 1980-11-04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of coating a lamp with a U.V. curable resin with fibers therein
US4291087A (en) 1979-06-12 1981-09-22 Rohm And Haas Company Non-woven fabrics bonded by radiation-curable, hazard-free binders
WO1986004547A1 (en) 1985-02-05 1986-08-14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facestocks and liners
US4740532A (en) 1985-04-30 1988-04-26 Amp Incorporated Photocurable dielectric composition of acrylated urethane prepolymer
US5028661A (en) 1986-10-14 1991-07-02 Loctite Corporation Adhesion promoters for thiolene adhesive formulations
US4912169A (en) 1987-10-14 1990-03-27 Rohm And Haa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additives
US4916184A (en) 1988-01-13 1990-04-10 Loctite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maleic acid peroxy compounds as adhesive promoters
EP0383842B1 (en) 1988-02-12 1996-07-24 Loctite Corporation Stabilized polymerizable compositions
GB8806527D0 (en) 1988-03-18 1988-04-20 Ward Blenkinsop & Co Ltd Benzophenone derivatives
US5178710A (en) 1988-11-02 1993-01-12 U.S. Philips Corporation Bonding using a difunctional liquid crystalline monomer adhesive under an applied force field
US4952711A (en) 1989-05-25 1990-08-28 Loctite Corporation Crosslinking of (meth) acryloxyalkenylene functional siloxane prepolymers
EP0428342B1 (en) 1989-11-13 1997-01-15 LOCTITE (IRELAND) Ltd. Stable thiol-ene compositions
DE4020767C1 (ko) 1990-06-29 1992-03-05 Basf Ag, 6700 Ludwigshafen, De
US5102924A (en) 1990-08-16 1992-04-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c mixtures and process therefor
US5268396A (en) 1990-11-02 1993-12-07 Lai Juey H Organosilicon soft denture liners
US5217654A (en) 1992-01-30 1993-06-08 The C. A. Lawton Company Two-stage mat forming preforming and molding process
WO1994007958A1 (en) 1992-09-30 1994-04-14 Ppg Industries, Inc. Pigmen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radiation curable coatings of very low gloss
US5324078A (en) 1992-12-28 1994-06-28 Moore Business Forms, Inc. Removable linerless label zigzag and shingled constructions
WO1995029513A1 (en) 1994-04-20 1995-11-02 Valence Technology, Inc. Radiation curable frame for stacked cell construction and for edge sealing of electrochemical cells to retard dendritic short-circuits
DE4417366A1 (de) 1994-05-18 1995-12-07 Schmidt Gebr Druckfarben Verfahren zum qualitätskontrollierten Veredeln einer Oberfläche mit einer strahlungsgehärteten Oberflächenveredelung
JP3075090B2 (ja) 1994-07-29 2000-08-07 凸版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感光性記録材料およびホログラム感光性記録媒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ホログラム製造方法
AU7343296A (en) 1995-11-03 1997-05-22 Dsm N.V. A solvent-free, radiation-curable, optical glass fiber coating composition and solvent-free method for making solvent-free, radiation-curable, optical glass fiber coating composition
DE69714533T2 (de) 1996-04-09 2003-04-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bauelements
TW494263B (en) 1996-05-17 2002-07-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mpensator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oil
JPH10147632A (ja) 1996-11-19 1998-06-02 Sekisui Chem Co Ltd 硬化型粘接着シート及び部材の接合方法
JP2000507369A (ja) 1997-01-24 2000-06-13 ボーデン・ケミ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剥離可能な第一次被覆を有する被覆光ファイバー及び前記繊維を製造し利用する方法
US6008264A (en) 1997-04-30 1999-12-28 Laser Med, Inc. Method for curing polymeric materials, such as those used in dentistry, and for tailoring the post-cure properties of polymeric materials through the use of light source power modulation
US5932113A (en) 1997-09-04 1999-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temperature encapsulation system
JP3147156B2 (ja) 1997-11-18 2001-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記憶媒体、画像書き込み方法および画像書き込み装置
KR100398741B1 (ko) 1998-11-20 2003-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수지의제조방법
JP4572006B2 (ja) * 1998-12-08 2010-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粘着シ―ト類
DE19919581A1 (de) 1999-04-29 2000-11-02 Espe Dental Ag Dentalmaterialien, Verfahren zu ihrer Aushärtung und deren Verwendung
US6448337B1 (en) 1999-10-07 2002-09-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ossessing high load bearing capability
CN1258830C (zh) 1999-11-11 2006-06-07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含凝胶电解质的锂电池
US6649259B1 (en) 2000-02-29 2003-11-18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Adhesives for thermally shrinkable films or labels
US6624915B1 (en) 2000-03-16 2003-09-23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lographic recording and micro/nanofabrication via ultrafast holographic two-photon induced photopolymerization (H-TPIP)
DE60029015T2 (de) 2000-04-03 2007-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Dentalmaterialien mit verlängerter verarbeitungszeit, kits und verfahren
WO2001077255A2 (en) 2000-04-05 2001-10-1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olymers for control of orientation and stability of liquid crystals
US6551439B1 (en) 2000-06-06 2003-04-22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Ultraviolet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
US7074295B2 (en) 2000-06-06 2006-07-11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Labe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visual adhesive defects
MXPA02012125A (es) 2000-06-06 2004-03-16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Aparato de etiquetado y metodo que emplea adhesivo curable por radiacion.
KR20020026364A (ko) 2000-06-06 2002-04-09 요트.게.아. 롤페즈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7229517B2 (en) 2000-06-06 2007-06-12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radiation curable adhesive
US6632535B1 (en) 2000-06-08 2003-10-14 Q2100, Inc. Method of forming antireflective coatings
US6524881B1 (en) 2000-08-25 2003-02-2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 bare semiconductor die
US6897915B1 (en) 2000-09-27 2005-05-24 Kent State University Non-lithographic photo-induced patterning of polymers from liquid crystal solvents with spatially modulated director fields
US6890625B2 (en) 2001-02-05 2005-05-10 Awi Licensing Company Surface covering having gloss in-register and method of making
GB0104142D0 (en) 2001-02-20 2001-04-11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Polymerisation process
US7073902B2 (en) 2001-03-30 2006-07-11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jet printing
DE10129609A1 (de) * 2001-06-20 2003-01-09 Tesa Ag Haftklebemasse insbesondere für unpolare Oberflächen
EP1273619A1 (en) 2001-07-04 2003-01-08 Ucb S.A. Composite compositions
JP2004534146A (ja) 2001-07-10 2004-1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ポリマーネットワークと無機材料との混合物を有する異方性複合材料
US6628875B2 (en) 2001-07-20 2003-09-30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s possessing a primary coating with a higher degree of cure and methods of making
US7038670B2 (en) 2002-08-16 2006-05-02 Sipix Imaging, Inc.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dual mode switching
US7300688B2 (en) 2001-09-24 2007-11-27 Stichting Dutch Polymer Institute Alignment layer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sublayer
US6743852B2 (en) 2001-11-13 2004-06-01 Henkel Corporation Benzoxazines, thermosetting resins comprised thereof,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6777584B2 (en) 2002-02-22 2004-08-1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Selective coupling of terminal olefins with ethylene to manufacture linear α-olefins
US7157535B2 (en) 2002-06-19 2007-01-0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Polymeric photoinitiators
US6836371B2 (en) 2002-07-11 2004-12-28 Ophthonix, Inc. Optical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DE10234369A1 (de) 2002-07-27 2004-02-12 Henkel Kgaa Strahlungsvernetzbare Schmelzhaftklebstoffe
US20040029044A1 (en) 2002-08-08 2004-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hotocurable composition
US7271947B2 (en) 2002-08-16 2007-09-18 Sipix Imaging, Inc.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dual-mode switching
NL1024722C2 (nl) 2002-11-07 2005-12-23 Corning Inc Laag uitgassend rubberachtig polymeermateriaal dat hardbaar is door een licht- of elektronenbundel, alsmede de bereiding en het gebruik daarvan.
US7232595B2 (en) 2002-11-07 2007-06-19 Corning Incorporated Device comprising low outgassing photo or electron beam cured rubbery polymer material
US7176044B2 (en) 2002-11-25 2007-02-13 Henkel Corporation B-stageable die attach adhesives
US20060086448A1 (en) 2002-12-30 2006-04-27 Koninikjkle Phillips Electronics N.V. Liquid crystal component
US6767974B1 (en) 2003-02-03 2004-07-27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ming particles with functional groups
US20040191420A1 (en) 2003-03-24 2004-09-30 Rearick Brian K. Protective coatings for microporous sheets
EP1477511A1 (en) 2003-05-15 2004-11-17 DSM IP Assets B.V. Radiation curable thiol-ene composition
WO2004107330A1 (en) 2003-05-28 2004-1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recording medium
AU2003903838A0 (en) 2003-07-23 2003-08-07 Orica Australia Pty Ltd Aqueous polymer dispersion
EP1682930B1 (en) 2003-11-06 2011-01-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Dichroic guest-host polarizer comprising an oriented polymer film
US20050119366A1 (en) 2003-11-28 2005-06-02 Ashland Inc. UV-curing thiolenes for pressure sensitive and hotmelt adhesives
GB0328586D0 (en) 2003-12-10 2004-01-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integrator
GB0328588D0 (en) 2003-12-10 2004-01-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llimator
US7339579B2 (en) 2003-12-15 2008-03-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ring harness and touch sensor incorporating same
US20050136077A1 (en) 2003-12-18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hydrogels with two initiators
CA2552143A1 (en) 2004-01-12 2005-08-04 James Hardie International Finance B.V. Composite fiber cement article with radiation curable component
WO2005083771A1 (en) 2004-02-17 2005-09-0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Assembly of a semiconductor die attached to substrate with oxazoline derivative bearing an electron donor or acceptor functionality
KR20070013268A (ko) 2004-03-01 2007-01-3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경사 광축을 구비한 복굴절 층
JP4344638B2 (ja) 2004-03-26 2009-10-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
AT500618B1 (de) 2004-04-02 2006-02-15 Physikalisches Buero Steinmuel Target für maldi/seldi-ms
JP4052592B2 (ja) 2004-04-22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ォームギヤ機構及びウォームギヤ機構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602005019870D1 (de) 2004-04-30 2010-04-22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e zusammensetzungen und gegenstände mit polyetheroligomer
US7232540B2 (en) 2004-05-02 2007-06-19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Radiation-curable coatings for plastic substrates from multifunctional acrylate oligomers
DE102004023637A1 (de) 2004-05-10 2005-12-08 Tesa Ag UV-vernetzende Blockcopolymere
US7632625B2 (en) 2004-05-25 2009-12-15 Roberts David H Method of pre-exposing relief image printing plate
US7745505B2 (en) 2004-12-29 2010-06-29 Henkel Ag & Co. Kgaa Photoinitiators and UV-crosslinkable acrylic polymer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R2884254B1 (fr) 2005-04-08 2007-05-25 Arkema Sa Copolymere sequence a fonctions acides modulables et composition adhesive et thermoplastique le contenant
DE102005016762A1 (de) 2005-04-11 2006-10-19 Kettenbach Gmbh & Co. Kg Photopolymerisierbares Einkomponenten-Kronen- und Brückenmaterial
CN1855095A (zh) 2005-04-27 2006-11-01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播放基于smil的多媒体内容的系统、方法及引擎
US7786183B2 (en) 2005-06-20 2010-08-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ated glass articles
US7781493B2 (en) 2005-06-20 2010-08-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tective coating for window glass
JP4937252B2 (ja) 2005-06-27 2012-05-23 住友化学株式会社 二色性ゲスト−ホスト偏光子
DE102005043222A1 (de) 2005-09-09 2007-03-15 Tesa Ag Reaktor zur kontinuierlichen Bestrahlung einer Flüssigkeit mit elektromagnetischen Strahlen oder Elektronenstrahlen
HUE042928T2 (hu) 2005-12-21 2019-07-29 Carl Zeiss Vision Australia Holdings Ltd Bevonatok optikai elemekhez
US20070219307A1 (en) 2006-03-17 2007-09-20 Yong Yang Emulsion polymer blend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halky substrate adhesion
US7837941B2 (en) 2006-04-07 2010-11-23 Agamatr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lter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in a liquid sample
US20070257238A1 (en) 2006-05-05 2007-11-08 Transitions Optical, Inc. Polymerizable photochromic compositions with multiple initiators
US7540627B2 (en) 2006-05-08 2009-06-02 Innovative Lighting, Inc. Channel light system with pivotable connector
US8057659B2 (en) 2006-06-27 2011-11-15 Agamatrix, Inc. Detection of analytes in a dual-mediator electrochemical test strip
US8349410B2 (en) 2006-08-17 2013-01-08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odification of surfaces with polymers
EP1905415B1 (de) 2006-09-27 2009-07-01 Ivoclar Vivadent AG Polymerisierbare Zusammensetzungen mit Acylgermanium-Verbindungen als Initiatoren
US20080093776A1 (en) 2006-10-05 2008-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olding ultraviolet cured microstructures and molds
US8609579B2 (en) 2006-10-26 2013-12-17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Composition capable of radiation activated catalysis and radiation curable urethane containing the composition
FR2907680B1 (fr) 2006-10-27 2012-12-28 Scras Utilisation therapeutique d'au moins une neurotoxine botulique dans le traitement de la douleur induite par au moins un agent anti-cancereux
WO2008057495A2 (en) 2006-11-06 2008-05-15 Josef Feldman Laminated identification document
EP2122638B1 (en) 2006-12-19 2012-11-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mproved composites and methods for conductive transparent substrates
CN101553351B (zh) 2006-12-19 2012-09-05 陶氏环球技术公司 包封的嵌板组件及其制造方法
DE102007007914A1 (de) 2007-02-14 2008-08-21 Giesecke & Devrient Gmbh Prägelack für mikrooptische Sicherheitselemente
EP2142582B1 (en) 2007-04-24 2020-03-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primer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80312354A1 (en) 2007-05-23 2008-12-18 Karina Anne Krawczyk Removable Radiation Cure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tecting A Micro-Fluid Ejection Head
US8083321B2 (en) 2007-05-23 2011-12-2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movable radiation cured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tecting a micro-fluid ejection head
US8236480B2 (en) 2007-05-24 2012-08-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e,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Fabrication method of topographically modulated microstructures using pattern homogenization with UV light
US8420704B2 (en) 2007-07-20 2013-04-1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Nano-structured polymer composit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WO2009048968A1 (en) 2007-10-09 2009-04-16 Kraton Polymers U.S. Llc End use applications prepared from certain block copolymers
US20090096136A1 (en) 2007-10-12 2009-04-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iol-ene based poly(alkylsiloxane) materials
JP2009110785A (ja) 2007-10-30 2009-05-21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51887B4 (de) 2007-10-31 2023-07-20 Carl Zeiss Ag Diffraktives optisches Element sowie Verwendung eines optischen Klebstoffs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R101587666B1 (ko) 2007-12-18 2016-01-2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유리 결합용 접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개선된 창 유리용 보호 코팅
WO2009102795A1 (en) 2008-02-15 2009-08-20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Monomers and polymers with covalently-attached active ingredients
CN102037091B (zh) * 2008-03-20 2014-09-03 艾利丹尼森公司 具有官能团的控制位置的丙烯酸聚合物
GB0805452D0 (en) 2008-03-26 2008-04-30 Univ Cranfield Methods for the formation of conjugated polymers
US20090288771A1 (en) 2008-05-23 2009-11-26 Loctite (R&D) Limited Surface-promoted cure of one-part radically curable compositions
EP2548546A1 (de) 2008-08-13 2013-01-23 Ernst Mühlbauer GmbH & Co.KG Röntgenopaker Infiltrant
US8964297B2 (en) 2008-09-18 2015-02-24 Travel Tags, Inc. Thin film high definition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0103082A (ja) 2008-09-26 2010-05-06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396976B2 (ja) 2008-09-29 2014-01-22 凸版印刷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415010B2 (en) 2008-10-20 2013-04-09 Molecular Imprints, Inc. Nano-imprint lithography stack with enhanced adhesion between silicon-containing and non-silicon containing layers
KR101637619B1 (ko) 2008-10-29 2016-07-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긴 개방 시간을 갖는 하도제를 함유하는 저 표면 에너지 결합 시스템
EP2364223A4 (en) 2008-11-17 2012-11-07 Bwe I Malmoe Ab PROCESS FOR COATING A GROUND
US8968733B2 (en) 2009-02-21 2015-03-03 Sofradim Production Functionalized surgical adhesives
US8735506B2 (en) 2009-04-03 2014-05-27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Ultraviolet radiation curable pressure sensitive acrylic adhesive
CN102448621B (zh) 2009-04-15 2014-10-29 3M创新有限公司 可减少涂层缺陷的涂布方法和设备
WO2010120468A1 (en) 2009-04-15 2010-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a nanovoided article
US8686060B2 (en) 2009-08-03 2014-04-01 Morgan Adhesiv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for easy application and improved durability
KR101650693B1 (ko) 2010-03-09 2016-08-25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압력 감응성 접착제를 위한 양이온성 uv­가교성 아크릴 중합체
WO2011146450A1 (en) 2010-05-19 2011-11-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Ordered architectures in acrylic polymers
CN103108689A (zh) 2010-06-01 2013-05-15 3M创新有限公司 带涂层的多孔材料
JP5843326B2 (ja) 2010-06-30 2016-01-13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D1479安定液体bap光開始剤および放射線硬化性組成物におけるその使用
JP5539830B2 (ja) 2010-09-28 2014-07-02 住友化学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GB201018555D0 (en) 2010-11-03 2010-12-15 Albagaia Ltd Fluid treatment apparatus
WO2012074994A1 (en) 2010-11-29 2012-06-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Novel thermoreversible network scaffold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US20150299475A1 (en) 2011-01-25 2015-10-22 Nano Safe Coatings Incorporated (A Florida Corporation 3 P14000024914 Uv cured benzophenone terminated quarternary ammonium antimicrobials for surfaces
WO2012148608A1 (en) 2011-04-26 2012-1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mixed photocrosslinking system
GB2491643A (en) 2011-06-10 2012-12-12 Lambson Ltd Method of forming a polymeric material on a substrate
US8586397B2 (en) 2011-09-30 2013-11-19 Sunpower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diffusion regions in a silicon substrate
EP3357518B1 (en) 2011-10-03 2020-12-02 Hyalex Orthopaedics, Inc. Polymeric adhesive for anchoring compliant materials to another surface
EP2766404B1 (en) 2011-10-14 2019-11-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ntrolled architecture polymers
CN102702987B (zh) 2012-03-21 2015-02-1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封框胶组合物、防止液晶污染方法、液晶面板及显示装置
WO2013170857A1 (en) 2012-05-16 2013-11-21 Coloplast A/S Novel polymeric photoinitiators and photoinitiator monomers
KR20130130927A (ko) 2012-05-23 2013-1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
US9622939B2 (en) 2012-07-09 2017-04-18 Patricia Buxton-Dakides Dial cap for medicine bottle
US9334423B2 (en) * 2012-08-31 2016-05-10 Basf Se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rylic block copolymer and a UV-curable copolym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4078115A1 (en) 2012-11-16 2014-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including pendant (meth) acryloyl groups, article, and method
CN105073849A (zh) 2012-12-11 2015-11-18 粘合剂研究股份有限公司 反应性膜粘合剂
US9376516B2 (en) 2013-02-04 2016-06-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orous polymer structures and methods and articles relating thereto
JP6126857B2 (ja) 2013-02-12 2017-05-10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てなる画像表示装置
EP2970547A4 (en) 2013-03-11 2016-10-26 Ndsu Res Foundation MONOMERS AND POLYMERS DERIVED FROM NATURAL PHENOLS
KR102299794B1 (ko) 2013-03-29 2021-09-09 앳슈랜드 라이센싱 앤드 인텔렉츄얼 프라퍼티 엘엘씨 자외선 경화성 감압성 접착제
JP2014213572A (ja) 2013-04-26 2014-11-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プロパティズカンパニー 硬化粘着シートを含む積層体の製造方法
US10202479B2 (en) 2013-06-07 2019-02-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oly(cyclohexylethylene)-polyacrylate block copolymer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N106459617A (zh) 2014-03-21 2017-02-22 艾利丹尼森公司 双阶段固化的丙烯酸组合物和相关方法
US9587062B2 (en) 2014-12-15 2017-03-07 Henkel IP & Holding GmbH and Henkel AG & Co. KGaA Photocrosslinkable block copolymers for hot-melt adhesives
AU2016258589B2 (en) 2015-05-01 2020-04-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Acrylic emulsion adhesives
EP3091043B1 (en) 2015-05-07 2019-07-03 Henkel AG & Co. KGaA Uv curable adhesives based on acrylic polymers
CN105131849A (zh) 2015-08-21 2015-12-09 华东师范大学 一种紫外光固化压敏胶膜的制备方法
WO2017040074A1 (en) * 2015-08-31 2017-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ressings comprising (meth)acry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enhanced adhesion to wet surfa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674A (ko) * 2011-03-18 2014-02-0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가교성 광개시제 기를 함유하는 블록-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235B1 (ko) 2020-11-24
WO2018081268A1 (en) 2018-05-03
EP3532520A1 (en) 2019-09-04
US10640595B2 (en) 2020-05-05
US20180112021A1 (en) 2018-04-26
CN110099939A (zh) 2019-08-06
CN110099939B (zh) 2022-09-06
WO2018081268A8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1784A1 (en) Acrylic Polymers Having Controlled Placement of Functional Groups
KR102182235B1 (ko) 백본에 광개시제기를 갖는 블록 폴리머 및 접착제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용도
US11117994B2 (en) Controlled architecture polymers
CN108929639A (zh) 粘合片及该粘合片中所使用的粘合剂组合物
EP3728361B1 (en) Post-polymerization functionalization of pendant functional groups
AU2014268205B2 (en) Acrylic polymers having controlled placement of functional groups
AU2012322689B2 (en) Controlled architecture polymers
BR112020012160B1 (pt) Composição que compreende um precursor e um agente de reação e método para formar uma composi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