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358A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358A
KR20190053358A KR1020170149133A KR20170149133A KR20190053358A KR 20190053358 A KR20190053358 A KR 20190053358A KR 1020170149133 A KR1020170149133 A KR 1020170149133A KR 20170149133 A KR20170149133 A KR 20170149133A KR 20190053358 A KR20190053358 A KR 20190053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outer cover
battery
fram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538B1 (ko
Inventor
윤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앤지 주식회사
윤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지 주식회사, 윤정훈 filed Critical 에스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캡을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접 고정 방식에 비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켜 배터리를 보호하고, 고정캡은 프레임보강부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배터리 케이스의 내구성을 보강하고, 배터리 케이스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마감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이물질, 발열, 소음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고, 절연체를 삽입하여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안정성도 향상시키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Caps of the battery case for a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캡을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접 고정 방식에 비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켜 배터리를 보호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프레임보강부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배터리 케이스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배터리 케이스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마감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이물질, 발열, 소음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절연체를 삽입하여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안정성도 향상시키는 발명이다.
문명과 기술이 발달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도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특히, 자동차의 매연을 통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자동차는 휘발유, 경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며, 자동차의 내연기관은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기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는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에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개발을 위한 우대정책들이다.
전기자동차의 개발역사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슷한 19세기에 이미 개발되었지만, 당시 기술의 한계로 인한 기술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보급과 대중화가 늦어졌다.
하지만, 기술발전과 환경오염이라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보급과 대중화가 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세계 유명 자동차 제조사들이 경쟁적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에 참여하면서, 순수 전기차, 연료 전지 전기차, 하이브리드 전기차가 개발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의 성능에 근접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 전기자동차의 대중화에 걸림이 되는 것은 고가의 배터리로 인한 경제성과 배터리 충전의 효율성에 관한 기술적인 문제로서, 전기자동차의 미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화석연료에 해당되는 배터리에 달려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활발한 보급과 대중화를 위해서 배터리 관련 기술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2922호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형 전지 모듈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형 전지 모듈로서, 전지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136호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일부 구성품들의 기능 및 구조를 통합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도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고, 배터리 팩 하우징과 배터리 팩 커버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내부 빈공간은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해 내부에서 보강하는 구성이 없어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2741호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및 그것의 제조방법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 배터리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도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캡을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에 간접적으로 고정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프레임보강부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배터리 케이스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발열, 소음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절연체를 삽입하여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배터리 케이스 양측을 마감하고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은,
개방된 배터리 케이스 측단을 마감하기 위해 배터리 케이스 측단에 결합되고, 배터리 케이스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과 진동을 분산시키며,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커버(100)와;
상기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고, 외측커버(10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보강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프레임보강부(200)와;
상기 외측커버(100)에 삽입 결합되어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와 상기 외측커버(100)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이나 용접 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캡을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접 고정 방식에 비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켜 배터리를 보호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케이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프레임보강부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배터리 케이스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발열, 소음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안정성도 높이고, 전기자동차의 주행능력도 안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캡은 절연체를 삽입하여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전기자동차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일 실시예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일 실시예 분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다른 실시예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외측커버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1
도 5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2
도 5c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3
도 5d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절연커버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부분 단면도 1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부분 단면도 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양측에 고정캡을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에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직접 고정 방식에 비해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감소시켜 배터리를 보호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케이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고정캡은 프레임보강부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한 배터리 케이스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의 조립구조에 의한 경량구조 제작이 가능하고,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의 형상, 소재, 두께의 변화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한 모듈화가 가능하고, 모듈화 및 공수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일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일 실시예 분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다른 실시예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설치 예시도이다.
상기 도 1a, 1b에 도시된 본 발명 고정캡의 일 실시예는 상기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고, 외측커버(10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보강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프레임보강부(200)가 적용된 실시예이고, 상기 도 2a, 2b에 도시된 본 발명 고정캡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고,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프레임보강부(200)가 적용된 실시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이하 ‘고정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 양측을 마감하고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캡이며,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일반 배터리 케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형은 도 1a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며 도면 이외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고정캡은 도 1b와 같이 외측커버(100), 프레임보강부(200), 절연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강력을 제공하는 보호가이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캡은 외측커버(100)의 배면에 프레임보강부(200), 보호가이드(400), 절연커버(300) 순으로 결합된 후 도 3과 같이 배터리(10)가 삽입된 배터리 케이스(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20)의 내부를 마감하여 배터리(10)를 방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20)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볼트, 리벳, 코킹, 억지 끼워 맞춤 등) 이나 용접 결합 중에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용접결합 방식을 설명한다.
한편, 상기 외측커버(100)의 재질은 배터리 케이스(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합금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20)의 재질은 철강 소재(스틸, 스테인리스강 등) 또는 비철합금(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이 적용된다.
일례로, 배터리 케이스(20)가 알루미늄 합금인 A6063을 적용 할 경우에, 외측커버(100)는 동일 재질인 A6063이나 유사 합금 재질인 A6061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의 재질도 철강 또는 비철합금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이 적용되며, 상기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의 재질은 상호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에 적용되는 재질은 철강 소재(스틸, 스테인리스강 등) 또는 비철합금(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를 동일한 재질인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적용하거나, 또는 외측커버(100)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적용하고 프레임보강부(200)는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 고정캡은 일체형 주소방식으로 제작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고정캡은 조립구조 방식으로 제작되어 기존 고정캡에 비해 경량화 가능, 외측커버(100)와 프레임보강부(200) 형상, 소재, 두께의 변화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한 모듈화 가능, 모듈화 및 공수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외측커버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1이고, 도 5b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2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3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프레임보강부 실시예 4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절연커버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커버(100)는 개방된 배터리 케이스(20) 측단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20) 측단에 결합되는 일종의 커버이며, 외측커버(100)는 외부를 향해 일정 하게 돌출되어 배터리 케이스(20)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과 진동을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100)는 외측면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구(110)가 각각 형성되며, 또 다른 일측에는 단자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고정캡은 개방된 배터리 케이스(20) 측단을 마감한 후 상기 체결구(110)에 체결부재(30)를 사용하여 배터리 케이스를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고정 결합시킨다.
도 4의 하단 그림은 상기 외측커버(100)의 배면을 나타내며, 외측커버(100)의 내측면 일측에 프레임보강부(200)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삽입 결합된 프레임보강부(200)를 통해, 외측커버(100)는 고정 결합된 전기자동차의 차체에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견딜 수 있는 보강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단자구(120)는 배터리 케이스(20)에 삽입된 배터리(10)의 단자, 전선 등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전기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상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 빔프레임(210)과 좌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부재 삽입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도 4의 하단 그림에 도시된 외측커버(100)의 배면의 내측 공간에 삽입 결합되어, 배터리 케이스(20)가 체결부재(30)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외측커버(100)에 대한 구조적 보강력과 체결부재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로 빔프레임(21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가로 방향으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관(22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구(221)가 형성되어, 가로 빔프레임(210)의 관통구(211)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구(221)를 관통하게 된다.
결국, 체결부재는 외측커버(100)에 형성된 체결구(110)와 가로 빔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구(211)와 체결부재 삽입관(220)에 형성된 관통구(221)를 관통하여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됨으로 배터리 케이스(20)가 전기자동차의 차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외측커버(100)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과 보강력을 가로 빔프레임(210)과 체결부재 삽입관(220)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b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세로 빔프레임(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더 우수한 내구성과 보강력을 외측커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로 빔프레임(23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세로 방향으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며 복수개가 형성되고, 도 5b의 확대도와 같이 가로 빔프레임(210)과 세로 빔프레임(230) 일측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홈(212, 232)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세로 빔프레임(230)은 외측커버(100)를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가로 빔프레임(210)과 체결부재 삽입관(220)의 결합 구조에서 1차적으로 분산시키고, 상기 세로 빔프레임(230)을 통해 2차적으로 분산시켜 배터리 케이스(20)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최소화 한다.
도 5c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상기 가로 빔프레임(210)이나 세로 빔프레임(230) 대신 격자형 빔프레임(24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격자형 빔프레임(240)은 격자 구조를 가진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가로방향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41)가 형성되어 가로 빔프레임(210)에 세로 빔프레임(230)이 결합되어 프레임보강부(200)를 형성하는 구조 보다 내구성과 보강력이 더 우수하다.
또한, 상기 격자형 빔프레임(240)을 형성하는 프레임들 중 가로 방향의 프레임들의 양측단에 관통구(241)들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방향의 프레임들 사이에 관 형상의 체결부재 삽입관(220)이 결합되어 지지해준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삽입관(220)이 없이 일체형 가로 빔프레임(250)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가로 빔프레임(250)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커버(100)의 구조적 보강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면(252)과 일체형 가로 빔프레임(250)가로 방향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a ,2b에 도시된 본 발명인 고정캡의 다른 실시예는 프레임보강부(200)가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관 형상의 복수의 체결부재 삽입관(2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인 고정캡의 다른 실시예는 프레임보강부(200)의 구성적 특징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적 특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의 절연커버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부분 단면도 1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부분 단면도 2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커버(300)는 외측커버(100)의 배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20)의 사이에서 충격과 진동을 추가적으로 차단해 줌과 동시에 외측커버(100)와 배터리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절연커버(300)는 도 8의 상단과 하단 그림과 같이 외측커버(100)를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배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절연커버(300)는 결합을 위해 외측커버(100)의 크기보다는 조금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300)는 배터리 케이스(20) 내부에 위치한 배터리(10)와 외측커버(100)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재질은 전기적 절연을 위한 일반적 재질이면 본 발명에서는 충분하고, 특히 절연과 구조체 보강을 위한 경우 절연커버(300)의 절연재질은 절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절연커버(300)는 단자구(310), 가이드부(320), 내열부재(330), 설치홈(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자구(310)는 도 6의 상단 그림과 같이 절연커버(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케이스(20) 내부에 위치한 배터리(10)의 단자 또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320)는 절연커버(300)의 테두리 둘레에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도 8과 같이 상기 가이드부(320)는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의 용접 결합 시 발생하는 용접파편 또는 이물질이 배터리 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만약, 상기 가이드부(320)가 형성되지 않아 배터리 케이스(20)의 내부로 용접파편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면, 배터리 케이스(20) 내부의 배터리(10)가 파손되거나 기능상 이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도 8의 확대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접 결합을 위해 외측커버(100)의 일측단과 배터리 케이스(20)의 일측단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접촉 부위에 용접을 하게되면 용접 파편등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커버(100)의 일측단과 배터리 케이스(20)의 일측단이 상호 접한 부분의 하단에 가이드부(320)가 형성되면 용접 파편등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캡은 가이드부(320)를 통해 평상시 또는 용접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안정성도 높이고, 전기자동차의 주행능력도 안정시킨다.
도 8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단턱면인 가이드부(320)가 배터리 케이스(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커버(100)와 베터리 케이스(20)가 용접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단턱면인 가이드부(320)의 재질은 절연커버(300)의 재질과 동일한 금속이 아닌 절연 재질이기 때문에 용접 열에 의해 가이드부(32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20)의 단턱면에는 용접에 의한 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부재(330)가 도 8과 같이 부착되며, 상기 내열부재(330)는 절연 내열부재인 운모 테이프 또는 유리섬유 테이프 이거나 또는 금속 내열부재인 알루미늄 테이프 또는 스테인리스 테이프 일 수 있다.
도 6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커버(300)의 배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설치홈(340)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340)은 배터리(10)의 단자 또는 전기적인 부품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캡은 보호가이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가이드(400)는 외측커버(100)와 절연커버(300)의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캡의 구조적 보강력을 강화시키거나,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파편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보호가이드(400)는 도 7의 확대도와 같이 외측커버(100)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 삽입된다. 삽입된 보호가이드(400)는 외측커버(100)의 일측단과 배터리 케이스 일측단이 접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의 용접 결합 시 발생하는 용접파편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가이드(400)는 외측커버(10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보강 구조물로 작용하여 고정캡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고정캡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캡은 배터리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케이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기자동차 보급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일 실시예
2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또 다른 실시예
10 : 배터리
20 : 배터리 케이스
30 : 체결부재
100 : 외측커버 110 : 체결구 120 : 단자구
200 : 프레임보강부
210 : 가로 빔프레임 211 : 관통구
220 : 체결부재 삽입관 221 : 관통구
230 : 세로 빔프레임 231 : 결합홈
240 : 격자형 빔프레임 241 : 관통구
250 : 일체형 빔프레임 251 : 관통구
300 : 절연커버 310 : 단자구
320 : 가이드부 330 : 내열부재 340 : 설치홈
400 : 보호가이드

Claims (9)

  1. 배터리 케이스 양측을 마감하고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에 있어서,
    개방된 배터리 케이스 측단을 마감하기 위해 배터리 케이스 측단에 결합되고, 배터리 케이스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과 진동을 분산시키며,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커버(100)와;
    상기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고, 외측커버(10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보강력을 제공하고,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프레임보강부(200)와;
    상기 외측커버(100)에 삽입 결합되어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와 상기 외측커버(100)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20)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이나 용접 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100)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 삽입되고,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의 용접 결합 시 발생하는 용접파편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측커버(10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보강력을 제공하는 보호가이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300)의 테두리 둘레에는 단턱 형상의 가이드부(3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단턱 형상의 가이드부(320)의 단턱면에는 용접에 의한 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부재(330)가 부착되며,
    상기 내열부재(330)는 운모 테이프 또는 유리섬유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절연 내열부재이거나, 알루미늄 테이프 또는 스테인리스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금속 내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부(320)는 상기 외측커버(100)와 배터리 케이스의 용접 결합 시 발생하는 용접파편이 배터리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100)의 재질은 배터리 케이스와 동일한 재질이거나 유사 합금재질로 형성되되, 철강 소재 또는 비철합금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보강부(200)의 재질은 철강 소재 또는 비철합금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300)의 절연재질은 절연과 구조체 보강을 위한 절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가로 방향으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211)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로 빔프레임(210)과,
    상기 가로 빔프레임(210)들 양 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가로 빔프레임(210)들을 지지해 주고,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관 형상의 체결부재 삽입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세로 방향으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세로 빔프레임(2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 빔프레임(210)과 세로 빔프레임(230) 일측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홈(212, 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서 외측커버(100)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가로방향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41)가 형성되는 격자형 빔프레임(240)과,
    상기 격자형 빔프레임(240)을 형성하는 프레임들 중 가로 방향의 프레임들의 양 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가로 방향의 프레임들을 지지해 주고, 배터리 케이스를 차체에 고정 결합시키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배터리 케이스가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 결합될 때 결합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관 형상의 체결부재 삽입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부(200)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 외측커버(100)가 견딜 수 있도록 외측커버(100)의 내측 공간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측커버(100)의 구조적 보강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면(252)과 가로 방향 양 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251)가 형성되는 일체형 가로 빔프레임(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KR1020170149133A 2017-11-10 2017-11-1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KR10204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33A KR102041538B1 (ko) 2017-11-10 2017-11-1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33A KR102041538B1 (ko) 2017-11-10 2017-11-1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358A true KR20190053358A (ko) 2019-05-20
KR102041538B1 KR102041538B1 (ko) 2019-11-06

Family

ID=6667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133A KR102041538B1 (ko) 2017-11-10 2017-11-1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090A4 (en) * 2019-02-26 2021-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WO2022097951A1 (ko) * 2020-11-03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84B1 (ko) 2020-10-28 2023-02-06 최원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922A (ko)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개방형 전지 모듈
JP2011124101A (ja) * 2009-12-10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ーケース
JP2011146289A (ja) * 2010-01-15 2011-07-2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KR20150057261A (ko) * 2013-11-19 2015-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53429A (ko) *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20170095136A (ko)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102741A (ko) 2016-03-02 2017-09-12 김윤환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및 그것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922A (ko)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개방형 전지 모듈
JP2011124101A (ja) * 2009-12-10 2011-06-23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ーケース
JP2011146289A (ja) * 2010-01-15 2011-07-2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KR20150057261A (ko) * 2013-11-19 2015-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70053429A (ko) * 2015-11-06 201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20170095136A (ko) 2016-02-12 201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102741A (ko) 2016-03-02 2017-09-12 김윤환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및 그것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형 전지 모듈로서, 전지 시스템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발명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일부 구성품들의 기능 및 구조를 통합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 및 이 배터리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도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고, 배터리 팩 하우징과 배터리 팩 커버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내부 빈공간은 외부에서 오는 충격에 대해 내부에서 보강하는 구성이 없어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도 차량과 배터리 케이스가 직접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 케이스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090A4 (en) * 2019-02-26 2021-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WO2022097951A1 (ko) * 2020-11-03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38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358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고정캡
US7824210B2 (en) Connector
CN109941083B (zh) 车辆用电池组保护结构及具备其的车辆
KR101586481B1 (ko) 전원연결박스
JP5326771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5036971B2 (ja) バッテリボックス構造
KR101998565B1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JP2023527211A (ja) 電池パックケース、電池パック及び車両
JP2023547948A (ja) バッテリケース、駆動用バッテリ、自動車
KR101529067B1 (ko) 전원 연결 박스
JP5353590B2 (ja) 車両のバッテリ冷却構造
KR10228177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JP2006347261A (ja)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JP5824240B2 (ja) 車両用高圧タンク
US20200274129A1 (en) Connection module
JP2010015952A (ja) 蓄電装置
WO2021079937A1 (ja) 蓄電装置
KR20220099307A (ko) 파워 일렉트릭 모듈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차체
CN219497971U (zh) 一种车辆电池保护外壳和车辆电池包
CN114633809A (zh) 电动车辆的连接结构
CN219321504U (zh) 电池箱组件及车辆
JP7484126B2 (ja) 蓄電装置
RU2794731C1 (ru) Корпус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для электромобилей
JP7316508B2 (ja) 車両の下部構造
JP7400339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