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65B1 -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65B1
KR101998565B1 KR1020170180741A KR20170180741A KR101998565B1 KR 101998565 B1 KR101998565 B1 KR 101998565B1 KR 1020170180741 A KR1020170180741 A KR 1020170180741A KR 20170180741 A KR20170180741 A KR 20170180741A KR 101998565 B1 KR101998565 B1 KR 10199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sealing
lower plate
plat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937A (ko
Inventor
김병선
이원용
김우형
Original Assignee
(주)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7018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01M2/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하우징을 이루는 하판과 상판이 연결파이프 및 고정기구에 의해 차체에 결합되어 지지됨에 따라 하판의 지지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 및 상판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파이프와 상판은 실링브라켓에 의해 실링 기능이 확보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BATTERY CAS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배터리케이스의 강성을 확보하여 배터리케이스가 배터리 셀 유닛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문제, 고유가 등의 원인으로 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되도록 하는 전기차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로는 순수 전기차(battery powered EV), 연료 전지를 전동기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 전기차(fuel cell EV), 전동기와 엔진(engine)을 함께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V)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전기차의 경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이 구비되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하우징 내부에 다수개의 배터리 셀 유닛이 수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기차에서 요구하는 배터리 용량이 커짐에 따라 배터리 셀 유닛의 적층 개수도 증가되고, 그에 따라 전체 중량이 증가된다.
이렇게, 배터리 셀 유닛의 전체 중량이 증가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을 이루는 로워 판넬이 배터리 셀 유닛의 무게를 수용하지 못하고 하방으로 휘어지게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처럼, 배터리 하우징의 휨 발생시 부품 간의 연결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고, 최악의 경우 배터리 하우징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경우 강건한 구조를 이루어져야 하는데, 배터리 하우징의 강성 확보를 위해 단순히 두께를 늘릴 경우 제조단가 상승 및 무게 증가에 따른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104376 (2012. 09. 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 유닛의 하중에 의해 배터리케이스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는 내부에 고전압배터리가 수납되며,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판이 차체와 체결되며, 상판에 관통홀이 형성된 배터리 하우징;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하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단부는 상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상단부는 차체에 지지된 연결파이프; 상판의 관통홀과 연결파이프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파이프와 관통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브라켓; 및 연결파이프의 상단부를 차체에 고정함으로써 하판이 차체를 기준으로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배터리 하우징과 연결파이프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파이프의 하단부가 하판에 용접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기구는, 하판에서 연결파이프에 삽입되어 하판을 지지하고 연결파이프에 삽입시 차체측으로 노출되는 장볼트와, 차체에 구비되고 장볼트가 체결되어 장볼트가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볼트는 연결파이프의 하단부에 삽입시 하판에 지지되는 머리부와, 머리부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차체측에서 노출되어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판에는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연결파이프의 하단부가 함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판은 연결파이프와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부분에 개통홀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의 하단부 끝단에는 개통홀을 덮어 폐쇄하는 결합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캡은 연결파이프의 하단에 용접되고 개통홀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폐쇄부와, 폐쇄부에서 하판의 하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판의 하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브라켓은 연결파이프가 관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판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상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브라켓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의 하측으로 체결부가 연장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상단에서 체결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브라켓의 중앙홀 내주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둘레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가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가 가고정홈을 따라 삽입시 연결파이프가 실링브라켓에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브라켓의 중앙홀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내부실링홈이 형성되고, 내부실링홈에는 실링링이 마련됨으로써 실링브라켓과 연결파이프 사이가 실링링에 의해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링브라켓의 상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실링홈이 형성되고, 상부실링홈에는 실링가스켓이 마련됨으로써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실링브라켓 사이가 실링가스켓에 의해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파이프, 실링브라켓, 고정기구는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중앙영역에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하우징을 이루는 하판과 상판이 연결파이프 및 고정기구에 의해 차체에 결합되어 지지됨에 따라 하판의 지지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 및 상판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파이프와 상판은 실링브라켓에 의해 실링 기능이 확보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더불어, 하판과 상판이 연결파이프 및 고정기구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의 전체 강성이 증가되어 내구성 및 충돌 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에 구비되는 연결파이프, 실링브라켓, 고정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에 구비되는 연결파이프, 실링브라켓, 고정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전압배터리가 수납되며, 상판(12)과 하판(14)으로 구성되고, 상판(12)이 차체(A)와 체결되며, 상판(12)에 관통홀(121)이 형성된 배터리 하우징(10); 배터리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하판(1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단부는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상단부는 차체(A)에 지지된 연결파이프(20); 상판(12)의 관통홀(121)과 연결파이프(20)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파이프(20)와 관통홀(121)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브라켓(30); 및 연결파이프(20)의 상단부를 차체(A)에 고정함으로써 하판(14)이 차체(A)를 기준으로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기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 하우징(10)은 상판(12)과 하판(14)으로 이루어지며 하판(14)에 고전압배터리가 수납되고 상판(12)이 이를 덮어 밀폐공간을 만든다. 이러한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는 연결파이프(20)가 마련되며, 연결파이프(20)의 경우 하단부가 하판(14)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며, 고정기구(40)에 의해 차체(A)에 설치됨으로써 하판(14)이 차체(A)에 지지되도록 한다.
즉, 하판(14)에 고정된 연결파이프(20)가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차체(A)에 지지되고, 고정기구(40)에 의해 연결파이프(20)와 함께 하판(14)이 차체(A)에 고정됨으로써 하판(14)은 차체(A)를 기준으로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지지 강성이 확보된다. 이로 인해,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14)이 하측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여기서, 연결파이프(20)가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함에 따라 관통홀(121)과 연결파이프(20)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판(12)의 관통홀(121)과 연결파이프(20) 사이에 실링브라켓(30)이 마련됨으로써 관통홀(121)과 연결파이프(20) 사이가 기밀된다.
이치럼, 본 발명의 배터리 하우징(10)은 하판(14)이 연결파이프(20) 및 고정기구(40)에 의해 차체(A)측에 지지되어 지지강성이 확보되고, 연결파이프(20)가 구비됨에 따라 상판(12)의 관통홀(121)과 이격된 틈이 실링브라켓(30)에 의해 실링됨으로써 기밀성도 확보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 하우징(10)과 연결파이프(20)는 알루미늄 재질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가 하판(14)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 하우징(10)과 연결파이프(2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전체 중량이 저감되며,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와 하판(14)이 용접되어 강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파이프(20)와 하판(14)을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MIG 용접(Metal Inert Gas welding) 또는 TIG 용접(Tungsten Inert Gas welding)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구(40)는, 하판(14)에서 연결파이프(20)에 삽입되어 하판(14)을 지지하고 연결파이프(20)에 삽입시 차체(A)측으로 노출되는 장볼트(42)와, 차체(A)에 구비되고 장볼트(42)가 체결되어 장볼트(42)가 차체(A)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기구(40)는 장볼트(42)와 고정너트(44)로 구성되며, 장볼트(42)의 경우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로 삽입시 일측 끝단이 하판(14)에 접촉되어 하판(14)을 지지하고, 타측 끝단이 연결파이프(2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차체(A)측으로 노출되며, 장볼트(42)의 타측 끝단이 고정너트(44)에 의해 차체(A)에 고정됨으로써 하판(14)이 차체(A)를 기준으로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장볼트(42)는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에 삽입시 하판(14)에 지지되는 머리부(421)와, 머리부(421)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차체(A)측에서 노출되어 고정너트(44)에 체결되는 몸통부(4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볼트(42)가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에 삽입시 머리부(421)가 하판(14)에 접촉되어 하판(14)을 지지하고, 몸통부(422)가 연결파이프(20)의 상단부를 통해 차체(A)측으로 노출되어 고정너트(44)에 체결됨으로써 하판(14)이 차체(A)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머리부(421)의 경우 하판(14)에 접촉면적을 가지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통부(422)의 경우 머리부(421)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연결파이프(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너트(44)와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이처럼, 하판(14)이 고정기구(40)에 의해 차체(A)측에 고정되어 차체(A)에서 고정기구(4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하판(14)이 고전압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하판(14)에는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가 함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하판(14)에는 연결파이프(20)와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가 형성됨으로써 고정기구(40)가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에 삽입시 함몰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배터리 하우징(10)의 하판(14)은 차량의 지상고와 연관성이 있는데, 고정기구(40)가 하판(14)의 하측으로 노출될 경우 지상고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다. 따라서, 하판(14)에는 함몰부를 형성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가 함몰부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기구(40)가 연결파이프(20)의 삽입시 함몰부에 의해 하판(14)의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4)은 연결파이프(20)와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부분에 개통홀(142)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 끝단에는 개통홀(142)을 덮어 폐쇄하는 결합캡(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하판(14)과 연결파이프(20)를 분리 구성하고, 모자 형태의 결합캡(22)을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와 하판(14)에 용접함으로써 연결파이프(20)에 삽입되는 고정기구(40)가 하판(14)의 하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기구(40)가 하판(14)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판(14)에 함몰홈을 형성할 수 있는데, 하판(14)의 사출 성형으로 특정 함몰홈을 형성하는데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하판(14)과 연결파이프(20)를 분리 구성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에 결합캡(22)을 먼저 용접 후 연결파이프(20)가 결합된 결합캡(22)을 하판(14)에 용접함으로써 하판(14)과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 간에 갭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캡(22)은 연결파이프(20)의 하단에 용접되고 개통홀(142)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폐쇄부(221)와, 폐쇄부(221)에서 하판(14)의 하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판(14)의 하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캡(22)은 모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파이프(20)의 하단에 용접되는 폐쇄부(221)와 하판(14)의 하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22)로 구성됨으로써 결합캡(22)의 폐쇄부(221)가 하판(14)의 개통홀(142)을 폐쇄하여 기밀되도록 하고, 플랜지부(222)가 하판(14)의 하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판(14)에 용접됨에 따라 연결파이프(20)와 하판(14)이 강건하게 결합되고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지지력이 확보된다. 이로 인해, 연결파이프(20)는 결합캡(22)에 의해 하판(14)에 결합되되 결합캡(22)이 하판(14)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연결파이프(20)가 고정기구(40)에 의해 차체(A)에 결합시, 하판(14)이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지고 차체(A)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브라켓(30)은 연결파이프(20)가 관통되는 중앙홀(32)이 형성되고, 상판(12)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체결볼트(B)가 삽입되어 상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브라켓(30)은 연결파이프(20)가 상판(12)을 관통함에 따라 발생되는 틈을 기밀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12)의 상면을 관통하는 체결볼트(B)에 체결되어 상판(12)에 고정된다.
상세하게, 실링브라켓(30)에는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부분의 하측으로 체결부(34)가 연장 형성되고,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체결홀(36)이 상단에서 체결부(34)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링브라켓(30)의 경우 실링기능만 부여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링브라켓(30)에는 체결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됨에 따라 상판(12)에 고정되는데, 실링브라켓(30)에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체결 강건성이 확보되는바, 체결볼트(B)가 충분히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실링브라켓(30)에는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부분의 하측으로 체결부(34)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체결홀(36)의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링브라켓(30)의 상단에서 체결부(34)까지 연장된 체결홀(36)에 체결볼트(B)의 삽입시 실링브라켓(30)이 상판(12)에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브라켓(30)의 중앙홀(32)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21)가 돌출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둘레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가고정홈(24)이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321)가 가고정홈(24)을 따라 삽입시 연결파이프(20)가 실링브라켓(30)에 가고정되게 할 수 있다.
즉, 연결파이프(20)를 실링브라켓(30)의 중앙홀(32)과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되도록 삽입하되 실링브라켓(30)의 걸림돌기(321)가 연결파이프(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고정홈(24)에 삽입된 후 걸리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연결파이프(20)는 실링브라켓(30)에 위치가 가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와 하판(14)을 용접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며, 연결파이프(20)의 가고정홈(24)에 실링브라켓(30)의 걸림돌기(321)가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추가적인 지지력이 확보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브라켓(30)의 중앙홀(32)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내부실링홈(322)이 형성되고, 내부실링홈(322)에는 실링링(323)이 마련됨으로써 실링브라켓(30)과 연결파이프(20) 사이가 실링링(323)에 의해 기밀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실링브라켓(30)의 중앙홀(32)에 형성된 내부실링홈(322)에 실링링(323)이 마련되어 중앙홀(32)을 관통하는 연결파이프(20)와 실링브라켓(30) 사이가 실링링(323)에 의해 실링된다. 이러한 실링링(323)은 O 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실링브라켓(30)과 연결파이프(20)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되게 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브라켓(30)의 상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실링홈(324)이 형성되고, 상부실링홈(324)에는 실링가스켓(325)이 마련됨으로써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실링브라켓(30) 사이가 실링가스켓(325)에 의해 기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링브라켓(30)은 상판(12)에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실링브라켓(30)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부실링홈(324)에 실링가스켓(325)이 마련되어 상판(12)과 실링브라켓(30) 사이가 실링가스켓(325)에 의해 실링된다. 이러한 실링가스켓(325)은 실링브라켓(3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실링홈(324)에 대응되는 부분이 돌출되게 형성하여 실링가스켓(325)의 상면과 상판(12)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실링브라켓(30)은 연결파이프(20)와 실링브라켓(30) 간에 실링이 확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파이프(20)가 상판(12)을 관통함에 따라 발생되는 틈이 제거되어 기밀 성능이 확보된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파이프(20), 실링브라켓(30), 고정기구(40)는 배터리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중앙영역에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하우징(10)에 수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14)이 하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배터리 하우징(10)을 이루는 상판(12)과 하판(14)은 테두리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하판(14)의 중앙영역은 별도로 지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14)이 하측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중앙영역에 연결파이프(20), 실링브라켓(30), 고정기구(40)가 마련됨에 따라 하판(14)의 지지강성을 확보하고, 그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연결파이프(20)는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전압배터리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하우징(10)을 이루는 하판(14)과 상판(12)이 연결파이프(20) 및 고정기구(40)에 의해 차체(A)에 결합되어 지지됨에 따라 지지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무게에 의해 하판(14) 및 상판(12)이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파이프(20)와 상판(12)은 실링브라켓(30)에 의해 실링 기능이 확보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더불어, 하판(14)과 상판(12)이 연결파이프(20) 및 고정기구(40)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배터리 하우징(10)의 전체 강성이 증가되어 내구성 및 충돌 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배터리 하우징 12:상판
14:하판 20:연결파이프
22:결합캡 30:실링브라켓
40:고정기구

Claims (13)

  1. 내부에 고전압배터리가 수납되며, 상판(12)과 하판(14)으로 구성되고, 상판(12)이 차체(A)와 체결되며, 상판(12)에 관통홀(121)이 형성된 배터리 하우징(10);
    배터리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하판(1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단부는 상판(12)의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상단부는 차체(A)에 지지된 연결파이프(20);
    상판(12)의 관통홀(121)과 연결파이프(20)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파이프(20)와 관통홀(121)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브라켓(30); 및
    연결파이프(20)의 상단부를 차체(A)에 고정함으로써 하판(14)이 차체(A)를 기준으로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기구(40);를 포함하며,
    실링브라켓(30)에는 연결파이프(20)가 관통되며 내주면에 걸림돌기(321)가 돌출된 중앙홀(32)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외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둘레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가고정홈(24)이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321)가 가고정홈(24)을 따라 삽입시 연결파이프(20)가 실링브라켓(30)에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 하우징(10)과 연결파이프(2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가 하판(14)에 용접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기구(40)는, 하판(14)에서 연결파이프(20)에 삽입되어 하판(14)을 지지하고 연결파이프(20)에 삽입시 차체(A)측으로 노출되는 장볼트(42)와, 차체(A)에 구비되고 장볼트(42)가 체결되어 장볼트(42)가 차체(A)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장볼트(42)는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에 삽입시 하판(14)에 지지되는 머리부(421)와, 머리부(421)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차체(A)측에서 노출되어 고정너트(44)에 체결되는 몸통부(4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판(14)에는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가 함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판(14)은 연결파이프(20)와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부분에 개통홀(142)이 형성되고,
    연결파이프(20)의 하단부 끝단에는 개통홀(142)을 덮어 폐쇄하는 결합캡(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결합캡(22)은 연결파이프(20)의 하단에 용접되고 개통홀(142)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폐쇄부(221)와, 폐쇄부(221)에서 하판(14)의 하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판(14)의 하면에 용접되는 플랜지부(2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링브라켓(30)에는 상판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체결볼트(B)가 삽입되어 체결볼트(B)가 상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실링브라켓(30)에는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부분의 하측으로 체결부(34)가 연장 형성되고, 체결볼트(B)가 삽입되는 체결홀(36)이 상단에서 체결부(34)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실링브라켓(30)의 중앙홀(32)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내부실링홈(322)이 형성되고, 내부실링홈(322)에는 실링링(323)이 마련됨으로써 실링브라켓(30)과 연결파이프(20) 사이가 실링링(323)에 의해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실링브라켓(30)의 상단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부실링홈(324)이 형성되고, 상부실링홈(324)에는 실링가스켓(325)이 마련됨으로써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실링브라켓(30) 사이가 실링가스켓(325)에 의해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파이프(20), 실링브라켓(30), 고정기구(40)는 배터리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중앙영역에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KR1020170180741A 2017-12-27 2017-12-27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KR10199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41A KR101998565B1 (ko) 2017-12-27 2017-12-27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41A KR101998565B1 (ko) 2017-12-27 2017-12-27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37A KR20190078937A (ko) 2019-07-05
KR101998565B1 true KR101998565B1 (ko) 2019-07-11

Family

ID=6722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741A KR101998565B1 (ko) 2017-12-27 2017-12-27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020B2 (en) 2020-06-15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battery mount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13376B1 (pt) * 2017-12-29 2022-07-12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Retentor de bateria e veículo elétrico
KR102467866B1 (ko) * 2020-11-20 2022-11-18 주식회사 펌프킨 판토그라프용 컨택트 바
CN113427988B (zh) * 2021-05-31 2023-05-16 江苏金彭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更换动力电池的新能源汽车电池舱室结构
KR102414366B1 (ko) * 2021-06-14 2022-06-29 (주)에스엠경금속 전자제품 하우징 가공방법
KR102634678B1 (ko) * 2021-08-23 2024-02-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장착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107A (ja) 2010-12-16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シール構造
JP2012129074A (ja)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696B2 (ja) * 1996-03-05 2002-07-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構造
JP4371897B2 (ja) * 2003-09-04 2009-11-2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ーの固定構造
JP5408441B2 (ja) 2010-01-18 2014-0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KR101219836B1 (ko) * 2010-11-25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의 차량 설치구조
KR101241162B1 (ko) * 2011-04-07 2013-03-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의 차량 설치구조
KR101948180B1 (ko) * 2015-04-30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074A (ja) 2010-12-15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JP2012129107A (ja) 2010-12-16 2012-07-05 Mitsubishi Motors Corp シール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020B2 (en) 2020-06-15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battery mou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37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65B1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JP5013140B2 (ja) バッテリーケース
US8978804B2 (en) Battery box
CN104766982B (zh) 燃料电池堆
JP6115659B2 (ja) 電池容器
JP6065692B2 (ja) 電池パック
CN114174103B (zh) 用于机动车的蓄能器-底部组件
JP5298144B2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6094740B2 (ja) 電装ケース
JP2013129391A (ja) 電池パック
JP5516491B2 (ja) 車両の筐体取付構造
KR102585708B1 (ko) 실링성이 향상된 전극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터미널 커버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20220194197A1 (en) Assembly structure of battery case for electric vehicle
KR20220068645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체결유닛
JP2013071694A (ja) 車体構造
CN210110884U (zh) 电池包箱体、电池包、车辆
JP2014201277A (ja) 電気自動車など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搭載構造
JP2011251645A (ja) 電力制御装置の搭載構造および搭載方法
JP5541473B2 (ja)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6858465B2 (ja) 車両構造
JP2014024509A (ja) 電池モジュール固定構造
KR10252904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압력조정유닛
CN114302820A (zh) 用于机动车的蓄能器底板组件
KR10201634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체결장치
KR20210036458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