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08A -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 Google Patents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08A
KR20190052408A KR1020170148074A KR20170148074A KR20190052408A KR 20190052408 A KR20190052408 A KR 20190052408A KR 1020170148074 A KR1020170148074 A KR 1020170148074A KR 20170148074 A KR20170148074 A KR 20170148074A KR 20190052408 A KR20190052408 A KR 2019005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ulley
crank
timing belt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도
서인재
송계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408A/ko
Priority to US15/986,988 priority patent/US10815880B2/en
Priority to DE102018113655.2A priority patent/DE102018113655B4/de
Priority to CN201810614349.2A priority patent/CN109751124B/zh
Publication of KR2019005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081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relating to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4Belt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크랭샤프트용 풀리장치는, 실린더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보기류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풀리;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타이밍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타이밍 풀리;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방벽에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 풀리의 일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진 타이밍 벨트 커버; 및 상기 크랭크풀리에서 이탈되는 보기류 벨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 및 상기 크랭크 타이밍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크랭크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PULLEY ARRANGEMENT FOR CRANKSHAFT}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풀리로부터 이탈한 보기류 벨트가 타이밍벨트 커버의 내부로 이동하여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감겨짐을 방지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료와 산화제(공기 등)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는 기관이다.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연료와 산화제의 발열반응으로 인해 높은 온도와 압력의 기체가 생성되어 엔진의 피스톤 및 축차가 움직이게 하여 엔진을 가동시킨다. 내연기관의 이러한 작동 방식은 기관 외부의 열을 이용하는 증기기관이나 스털링 기관과 같은 외연기관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내연기관은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가진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 헤드과, 각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과,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샤프트와, 각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팅로드(connecting rod)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샤프트(crankshaft)는 동력행정(power stroke)에서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고, 흡입 행정(intake stroke), 압축행성(compression stroke), 배기행정(exhaust stroke)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전달한다.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는 크랭크 풀리(crank pulley)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cracnk timing pulley)가 부착된다. 크랭크샤트프의 타단에는 4행정사이클의 맥동특성을 감소하도록 플라이휠(flywheel)이 부착된다.
보기류 벨트가 크랭크 풀리의 둘레에 감겨지고, 보기류 벨트는 워터펌프의 풀리, 알터네이터의 풀리, 압축기의 풀리 등을 구동시킨다. 타이밍 벨트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의 둘레에 감겨지고, 타이밍 벨트는 크랭크샤프트 및 캠샤프트의 회전을 동기화함으로써 흡기행정, 배기행정의 적절한 시간에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가 개방 및 폐쇄한다.(a timing belt, timing chain or cambelt synchronizes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and the camshaft(s) so that the engine's valves open and close at the proper times during each cylinder's intake and exhaust strokes.)
크랭크 타이밍 풀리는 타이밍 벨트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크랭크 풀리는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노출된다. 타이밍 벨트 커버는 개구를 가지며, 크랭크 풀리는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개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크랭크 풀리는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개구와 소정 틈새로 이격됨으로써 크랭크 풀리와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보기류 벨트의 오조립 등으로 인해 보기류 벨트가 파손되거나 보기류 벨트가 크랭크 풀리로부터 이탈하면, 적어도 일부의 보기류 벨트가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개구 내로 이동하고, 이에 보기류 벨트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감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기류 벨트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감겨짐에 따라 타이밍 벨트와 크랭크 타이밍 풀리 사이에서 치간 점핑(tooth jumping)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스톤 및 밸브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여 엔진이 전체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랭크 풀리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가 타이밍벨트 커버의 내부로 이동하여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감겨짐을 방지하는 크랭샤프트용 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샤프트용 풀리장치는,
실린더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보기류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풀리;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타이밍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타이밍 풀리;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방벽에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 풀리의 일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진 타이밍 벨트 커버; 및
상기 크랭크풀리에서 이탈되는 보기류 벨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 및 상기 크랭크 타이밍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크랭크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구조는 상기 크랭크 풀리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 풀리는 환형으로 구성된 림 및 상기 림에서 연장된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허브의 외면은 상기 개구의 내면 둘레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허브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개구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1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개구의 에지부 사이에는 일정한 제2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제2틈새는 상기 제1틈새 보다 작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개구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1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3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제3틈새는 상기 제1틈새 보다 작다.
상기 스토퍼구조는 상기 크랭크 풀리에 내경방향으로 함몰된 스토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홈은 상기 개구의 내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외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과 같거나 크다.
상기 스토퍼의 외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 보다 작다.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허브의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의 에지부는 상기 허브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 풀리는 상기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로부터 이탈한 보기류 벨트가 타이밍벨트 커버의 내부로 이동한 후에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감겨짐을 방지함으로써 엔진이 전체적으로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랭크 풀리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결합됨으로써 보기류 장치가 실린더블록의 전면에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엔진 컴파트먼트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가 장착된 내연기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E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F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크랭샤프트용 풀리장치는 내연기관(10)의 실린더블록(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12)와, 크랭크샤프트(12)의 일단에 연결된 크랭크 풀리(14)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헤드(미도시)가 실린더블록(11)의 상부에 설치되고, 오일팬(미도시)이 실린더블록(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크랭크샤프트(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11)의 전방벽(11a, front wall)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블록(11)의 전방벽(11a)에는 전방커버(13)(또는 오일팬의 전방벽)가 체결구 등을 통해 밀봉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방커버(13)는 크랭크샤프트(12)의 일단이 통과하는 개구(13a, opening)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커버(13)의 개구(13a)의 내면에는 오일실(15, oil seal)이 장착될 수 있다. 오일실(15)에 의해 오일이 실린더블록(11)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됨이 방지될 수 있다.
크랭크샤프트(12)의 일단에는 크랭크 풀리(14, crank pulley)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16, cracnk timing pulley)가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 풀리(14)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크랭크샤트프(12)의 타단에는 4행정사이클의 맥동특성을 감소하도록 플라이휠(flywheel, 미도시)이 부착된다.
보기류 벨트(25)가 크랭크 풀리(14)의 둘레에 감겨지고(accessory belt(25) wraps around crank pulley(14)), 보기류 벨트(2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종동풀리(22, 23)를 구동시킬 수 있다.
크랭크 풀리(14)는 림(31)과, 림(31)의 외면에 부착된 탄성요소(32, elastomeric element)와, 탄성요소(32)의 외면에 부착된 외측부재(33, outer member)와, 림(31)에 연결된 허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림(31)은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림(31)은 굴곡부(31a, bend portion)를 가질 수 있고, 굴곡부(31a)는 림(31)의 중간부(middle portion)에서 외경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부(31a)에 의해 림(31)의 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탄성요소(32)는 림(3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탄성요소(32)는 림(31)의 외면에 부합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요소(32)는 림(31)의 굴곡부(31a)에 대응하는 굴곡부(32a)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림(31)의 굴곡부(31a)가 탄성요소(32)의 굴곡부(32a)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요소(32)가 림(31)과 외측부재(33)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크랭크 풀리(14)는 댐핑성능(damping performance)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크랭크 풀리(14)는 크랭크 댐퍼풀리(crank damper pulley)로 지칭될 수 있다.
외측부재(33)는 탄성요소(32)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외측부재(33)의 내면은 탄성요소(32)의 외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부재(33)는 탄성요소(32)의 굴곡부(32a)에 대응하는 결합홈(33b)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탄성요소(32)의 굴곡부(32a)가 외측부재(33)의 결합홈(33b)에 결합될 수 있다.
보기류 벨트(25)가 외측부재(33)의 둘레에 감겨지고, 외측부재(33)는 그 외면에 형성된 보기류 벨트(25)의 돌기가 치합(mesh with)되는 하나 이상의 홈(33a)을 가질 수 있다.
허브(35)는 복수의 스포크(34, a plurality of spokes)를 통해 림(31)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고, 허브(35)는 림(31)에서 축선방향에서 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풀리(14)는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를 매개로 크랭크샤프트(1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크랭크풀리(14)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는 크랭크샤프트(1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허브(35)는 개구(35a, opening)를 가질 수 있으며, 허브(35)의 개구(35a)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끼움결합(press-fit)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크랭크 풀리(14)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랭크 풀리(14)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결합됨으로써 보기류 장치(20)가 실린더블록(11)의 전면에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엔진 컴파트먼트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크랭크 풀리(14) 및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는 체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크랭크샤프트(12)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11)의 전방에는 보기류 구동장치(20, accessory drive)가 배치될 수 있고, 보기류 구동장치(20)는 크랭크샤프트(12)의 일단에 부착된 크랭크풀리(14)와, 크랭크풀리(14)에 인접한 복수의 종동풀리(22, 23)와, 크랭크풀리(14) 및 복수의 보기류 종동풀리(22, 23)를 연결하는 보기류 벨트(25)와, 보기류 벨트(25)를 긴장시키는 하나 이상의 텐션롤러(21, 24)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28) 또는 타이밍 체인이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의 둘레에 감겨지고, 타이밍 벨트(28)는 크랭크샤프트(12) 및 캠샤프트(미도시)의 회전을 동기화함으로써 흡기행정, 배기행정의 적절한 시간에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가 개방 및 폐쇄한다.
크랭크 타이밍 풀리(16)는 체결구(19)에 의해 크랭크샤프트(1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의 일 측면에는 결합돌기(16a)가 크랭크 풀리(14)를 향해 돌출하고, 크랭크 풀리(14)의 허브(35)에는 결합홈(14a)이 형성될 수 있다.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의 결합돌기(16a)가 크랭크 풀리(14)의 결합공(14a)에 결합됨으로써 크랭크 풀리(14)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블록(11)의 전방벽(11a)에는 타이밍 벨트 커버(18)가 장착될 수 있다. 크랭크 타이밍 풀리(16) 및 타이밍 벨트(28)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 inner space)에 위치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커버(18)는 크랭크 타이밍 풀리(16) 및 타이밍 벨트(28)를 커버할 수 있다. 크랭크 풀리(14)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외측공간(18b)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벨트 커버(18)는 크랭크풀리(14)의 허브(35)가 통과하는 개구(41, aperture)를 가질 수 있다. 개구(41)는 에지부(43, edge portion)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에지부(43)에 의해 개구(41)의 주변 강성이 강화될 수 있으며, 크랭크 풀리(14)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에지부(43)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허브(35)의 외면(35a)은 개구(41)의 내면(41a) 둘레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an outer circumference 35a of the hub 35 is spaced radially around an inner circumference 41a of aperture 41). 허브(35)의 외면(35a)과 개구(41)의 내면(41a) 사이에 일정한 제1틈새(g1, predetermined first gap)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틈새(g1)은 보기류 벨트(25)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한 보기류 벨트(25)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 내로 이동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틈새(g1)가 보기류벨트(25)의 두께 보다 작게 구성된 실시예일지라도, 보기류 벨트(25)의 오조립 등으로 인해 보기류 벨트(25)가 파손되거나 보기류 벨트(25)가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하면, 적어도 일부의 보기류 벨트(14)가 개구(41)를 통해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하고, 이에 보기류 벨트(41)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감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기류 벨트(25)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에 감겨지면 타이밍 벨트(28)와 크랭크 타이밍 풀리(16) 사이에서 치간 점핑(tooth jumping)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스톤 및 밸브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여 엔진이 전체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기류 벨트(25)가 개구(41)를 통해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함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구조가 크랭크 풀리(14)의 허브(35)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5)의 단부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1)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51)가 허브(35)의 단부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함에 따라, 스토퍼(51) 및 허브(35)의 외면 사이에는 보기류 벨트(25)가 수용가능한 스토퍼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1)의 외경(d1)은 개구(41)의 내경(D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고(d1≥D1), 스토퍼(51)는 개구(41)의 에지부(43)와 일정한 제2틈새(g2, predetermined second gap)로 이격될 수 있고, 제2틈새(g2)는 제1틈새(g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2틈새(g2)는 보기류 벨트(25)의 두께 보다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25)는 스토퍼(51)에 의해 차단되고(blocked) 스토퍼홈(52)에 수용됨으로써 보기류 벨트(25)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5)의 중간부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6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61)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외측공간(18b)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61)가 허브(35)의 중간부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함에 따라, 스토퍼(61) 및 허브(35)의 외면 사이에는 보기류 벨트(25)가 수용가능한 스토퍼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61)의 외경(d2)은 개구(41)의 내경(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d2>D1), 스토퍼(61)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외면(18c)과 일정한 제3틈새(g3, predetermined third gap)로 이격될 수 있고, 제3틈새(g3)는 제1틈새(g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3틈새(g3)는 보기류 벨트(25)의 두께 보다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25)는 스토퍼(61)에 의해 차단되고 스토퍼홈(62)에 수용됨으로써 보기류 벨트(25)가 개구(41) 측으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61)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외측공간(18b)에 위치함에 따라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25)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구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52)의 외면(52a)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스토퍼홈(7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홈(72)은 개구(41)의 내면(41a)과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홈(72)이 허브(52)의 외면(52a)에서 함몰됨에 따라 스토퍼홈(72)의 반대면에 스토퍼(71)가 돌출될 수 있으며, 스토퍼(71)는 허브(52)의 외면에 대응하여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71)는 개구(41)의 내면(41a)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71)의 외경(d3)은 개구(41)의 내경(D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d3>D1). 스토퍼(71)는 개구(41)의 에지부(43)와 일정한 제4틈새(g4, predetermined second gap)로 이격될 수 있고, 제4틈새(g4)는 제1틈새(g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4틈새(g4)는 보기류 벨트(25)의 두께 보다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25)는 스토퍼(71)에 의해 차단되고 스토퍼홈(72)에 수용됨으로써 보기류 벨트(25)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구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5)의 단부에 용접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된 스토퍼 플레이트(81)를 포함하고, 스토퍼 플레이트(81)는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81)의 에지부(81a, edge portion)는 허브(35)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에지부(81a)가 허브(35)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함에 따라 에지부(81a)와 허브(35)의 외면 사이에 보기류 벨트(25)가 수용가능한 스토퍼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81)의 외경(d4)이 개구(41)의 내경(D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고(d4≥D1), 스토퍼 플레이트(81)의 에지부(81a)는 개구(41)의 에지부(43)와 일정한 제5틈새(g5, predetermined fifth gap)로 이격될 수 있고, 제5틈새(g5)는 제1틈새(g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5틈새(g5)는 보기류 벨트(25)의 두께 보다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풀리(14)로부터 이탈된 보기류 벨트(25)는 스토퍼 플레이트(81)의 에지부(81a)에 의해 차단되고 스토퍼홈(82)에 수용됨으로써 보기류 벨트(25)가 타이밍 벨트 커버(18)의 내측공간(18a)으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내연기관 11: 실린더블록
12: 크랭크샤프트 13: 전방커버
14: 크랭크 풀리 15: 오일실
16: 크랭크 타이밍 풀리
20: 보기류 구동장치 21, 24: 텐션롤러
22, 23: 종동풀리 25: 보기류 벨트
28: 타이밍 벨트 31: 림
32: 탄성요소 33: 외측부재
34: 스포크 35: 허브
41: 개구 51, 61, 71, 81: 스토퍼
52, 62, 72, 82: 스토퍼홈

Claims (15)

  1. 실린더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보기류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풀리;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둘레에 타이밍 벨트가 감겨지는 크랭크 타이밍 풀리;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방벽에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 풀리의 일부가 통과하는 개구를 가진 타이밍 벨트 커버; 및
    상기 크랭크풀리에서 이탈되는 보기류 벨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으로 이동함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벨트 및 상기 크랭크 타이밍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크랭크 풀리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위치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구조는 상기 크랭크 풀리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풀리는 환형으로 구성된 림 및 상기 림에서 연장된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허브의 외면은 상기 개구의 내면 둘레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허브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개구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1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개구의 에지부 사이에는 일정한 제2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제2틈새는 상기 제1틈새 보다 작은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측공간에 위치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면과 상기 개구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1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외면 사이에는 일정한 제3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제3틈새는 상기 제1틈새 보다 작은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구조는 상기 크랭크 풀리에 내경방향으로 함몰된 스토퍼홈을 포함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홈은 상기 개구의 내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외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과 같거나 큰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외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 보다 작은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조는 상기 허브의 단부에 결합된 스토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의 에지부는 상기 허브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 커버의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풀리는 상기 크랭크 타이밍 풀리에 결합되는 크랭크샤프트용 풀리 장치.
KR1020170148074A 2017-11-08 2017-11-08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KR20190052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74A KR20190052408A (ko) 2017-11-08 2017-11-08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US15/986,988 US10815880B2 (en) 2017-11-08 2018-05-23 Pulley system for crankshaft
DE102018113655.2A DE102018113655B4 (de) 2017-11-08 2018-06-08 Scheibe-System für eine Kurbelwelle
CN201810614349.2A CN109751124B (zh) 2017-11-08 2018-06-14 用于曲轴的皮带轮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74A KR20190052408A (ko) 2017-11-08 2017-11-08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08A true KR20190052408A (ko) 2019-05-16

Family

ID=6617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074A KR20190052408A (ko) 2017-11-08 2017-11-08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5880B2 (ko)
KR (1) KR20190052408A (ko)
CN (1) CN109751124B (ko)
DE (1) DE102018113655B4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043A (en) * 1978-02-17 1980-02-19 Twin Disc, Incorporated Automatic self-adjusting plate type clutch
JPS56101024A (en) * 1980-01-17 1981-08-1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section of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872620A (ja) * 1981-10-23 1983-04-30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エンジンの付属部品取付構造
JPS5997392A (ja) * 1982-11-24 1984-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シヤフト軸受装置
JP2880401B2 (ja) * 1994-03-18 1999-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端状動力伝達帯の歯飛び防止構造
JP3075105B2 (ja) * 1994-11-29 2000-08-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タイミングベルトの防水構造
KR100282916B1 (ko) 1997-11-07 2001-09-28 정몽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JPH11264324A (ja) * 1998-03-18 1999-09-2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タイミングベルトカバー支持構造
JP3318292B2 (ja) * 1999-09-03 2002-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軸駆動用無端可撓部材の収容室構造
KR20030007902A (ko) * 2000-06-08 2003-01-23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통합형 동력 전달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11237002A (ja) 2010-05-12 2011-11-24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ブプーリ取付構造体
JP5939613B2 (ja) * 2012-01-31 2016-06-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プーリ及び内燃機関
KR101246611B1 (ko) 2012-09-19 2013-03-25 주식회사아이로보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CN203603996U (zh) * 2013-10-25 2014-05-21 内蒙古欧意德发动机有限公司 发动机正时轮系及发动机
JP6711036B2 (ja) 2015-03-31 2020-06-17 日本精工株式会社 一軸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一軸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614308B1 (ko) 2015-08-18 2016-04-29 세화자동차주식회사 동력출력장치 및 동력출력장치가 탑재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3655B4 (de) 2021-10-07
US20190136758A1 (en) 2019-05-09
DE102018113655A1 (de) 2019-05-09
CN109751124A (zh) 2019-05-14
CN109751124B (zh) 2022-04-05
US10815880B2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3876B1 (en) Exhaust emission control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655348B2 (ja) 内燃機関
KR20190052408A (ko) 크랭크샤프트용 풀리장치
US10006535B2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system for engine
CN201334932Y (zh) 引擎减压装置
JP6214005B2 (ja) ロータリーバルブ内燃機関
JP6210089B2 (ja)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JP2003206770A (ja) パワートレーン
JP7092561B2 (ja) 内燃機関
JP2000008987A (ja)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ポンプ配置構造
US10480616B2 (en) Crankshaft damp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5088347A1 (en)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cylinder
JPH08177511A (ja) カム式エンジン
WO2020054276A1 (ja) 内燃機関の吸気弁
US20230143774A1 (en)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373404C2 (ru) Механизм газораспределения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267612C2 (ru) Роторно-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6126282B2 (ja) エンジン及び圧縮機
KR20230028477A (ko) 블로바이 가스 교환 및 가변 연소실을 갖는 2행정 엔진
Lawes 59 The Rotating Cylinder Valve 4-Stroke Engine A Practical Alternative
JP4494186B2 (ja) タイミングベルトの保護装置
JP2003003807A (ja) バルブ休止機構付き4ストローク内燃機関
CN110939686A (zh) 一种曲轴减振器
WO2024057077A1 (en) Cylinder head of four-stroke engines with cylindrical valves with a discontinuous rotary motion
KR20030076095A (ko) 축동 피스톤식 가솔린엔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