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11B1 -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11B1
KR101246611B1 KR1020120104020A KR20120104020A KR101246611B1 KR 101246611 B1 KR101246611 B1 KR 101246611B1 KR 1020120104020 A KR1020120104020 A KR 1020120104020A KR 20120104020 A KR20120104020 A KR 20120104020A KR 101246611 B1 KR101246611 B1 KR 10124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nut
belt
mot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로보
Priority to KR102012010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엑츄에이터와 같은 정밀한 모터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부피가 커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종래 갖추어진 구성요소를 형상변경하고, 서로 결합시켜 보다 정확한 텐션장치를 개발했으며, 그에 따라 그 내구성도 향상시킨 간단한 구조를 가진 엑츄에이터의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볼트를 회전시키는 작용만으로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단 조절된 벨트의 장력은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용이하도록하는 별도의 무두스크류를 갖춘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the symple tension unit of actuator}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엑츄에이터와 같은 정밀한 모터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부피가 커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종래 갖추어진 구성요소를 형상변경하고, 서로 결합시켜 보다 정확한 텐션장치를 개발했으며, 그에 따라 그 내구성도 향상시킨 간단한 구조를 가진 엑츄에이터의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볼트를 회전시키는 작용만으로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단 조절된 벨트의 장력은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용이하도록하는 별도의 무두스크류를 갖춘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와 같은 정밀 기기들은 모터의 회전을 위해서 별도의 감속기를 장착하고 있다. 모터의 회전에 변속을 위해서 치합되는 일련의 기어단을 갖추고 있는 것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모터플레이트에 모터샤프트와 볼스크류의 축을 관통시키고, 그 끝단에 풀리와 밸트를 결합시켜 변속을 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요한 점은 항상 일정한 속도로의 변속을 달성하면서도, 밸트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하고 고르며, 혹시 틀어진 상태라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명은 이러한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대다수의 텐션조절장치나 벨트텐션장치는 그 부피가 상당하여 기체의 부피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벨트에 작용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정한 범위로 연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벨트텐션장치는 벨트를 밀어주는 가압구와 그 가압구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야 하는 클램프 등이 반드시 갖추어 져야 하기에 부피가 커진다.
일반적인 기계에서 이러한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마련된 벨트텐션장치는 그 부피가 다소 커져도 무리가 없지만, 본 발명과 같이 고 정밀의 수평 연동운동을 달성하는 엑츄에이터의 경우 이러한 부피의 팽창도 생산공정에 무리를 가할 소지가 많다. 결국 본 발명과 같이 간단하면서도 또 그 텐션의 조절능력이 우수한 텐션장치는 그동안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진 벨트텐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엑츄에이터와 같은 정밀한 모터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부피가 커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종래 갖추어진 구성요소를 형상변경하고, 서로 결합시켜 보다 정확한 텐션장치를 개발했으며, 그에 따라 그 내구성도 향상시킨 간단한 구조를 가진 엑츄에이터의 벨트텐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볼트를 회전시키는 작용만으로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단 조절된 벨트의 장력은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용이하도록하는 별도의 무두스크류를 갖춘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는, 모터 샤프트(10)와 엑츄에이터(90)의 볼스크류(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20)와; 상기 모터 샤프트(10)와 볼스크류(11) 끝단에 고정되는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 상기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14); 상기 벨트(14)를 가압하는 텐션베어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텐션조절수단(K)을 통해서 상기 텐션베어링(15)이 벨트(14)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벨트(14)에 작용되는 텐션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에 따른, 텐션조절수단(K)은,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 사이를 지나는 벨트(14) 위치의 모터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1); 텐션베어링(1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텐션볼트(22); 상기 텐션볼트(22)의 끝단에 결합되는 텐션너트(23);가 포함되어, 텐션이 조절된 상태에서 텐션볼트(22)를 조여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 4각의 텐션너트(23)는,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 후방에서 그 두께만큼 수용될 수 있는 장공(21)보다 넓은 가이드홈(24)에 끼워지고 텐션너트(23)가 가이드수단도 되면서 텐션볼트(2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21) 전방에도, 4각의 가이드너트(26)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가이드홈(27)을 형성하여 텐션베어링(15)의 수직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에 따른 모터플레이트(20)는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의 두께를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으로 수용하면서, 중심부의 지지판부(28)의 두께도 포함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 모터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장공(21)까지 관통하는 스크류공(29)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공(29)에 스크류체결되는 무두스크류(31)를 통해 텐션볼트(22)의 연동이 2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 텐션볼트(22)의 끝단만 스크류가 형성되어 텐션너트(23)와 스크류체결되고, 가이드너트(26)는 텐션볼트(23)가 관통될 수 있는 센터공(33)을 가져 수직 방향의 연동이 유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밸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엑츄에이터는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부피를 늘이지 않으면서도 고 정밀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볼트를 회전시켜 밸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 만으로 텐션장치의 모든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에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텐션볼트와 텐션너트를 고정하여 밸드의 텐션을 고정한 후에는, 별도의 무두스크류를 통해서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완적인 텐션유지 장치도 갖추고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어떠한 밸트로 구현되는 감속기에도 본 발명의 텐션장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작은 부피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에 사용 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플레이트에 텐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텐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텐션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텐션장치를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텐션장치를 측면에서 살펴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텐션장치에 엑츄에이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텐션장치에 엑츄에이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의 수평연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벨트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 구조의 간단함에 의해서 어떠한 감속기에 적용되어도 설치가 가능하다. 기존에 이미 실시된 엑츄에이터에 적용되어도 특별한 구성의 추가 없이 실시가 가능할 정도로 간단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모터 샤프트(10)와 엑츄에이터(90)의 볼스크류(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20)가 있고, 상기 모터 샤프트(10)와 볼스크류(11) 끝단에 고정되는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가 있으며, 상기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14)가 있다. 또한 상기 벨트(14)를 가압하는 텐션베어링(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텐션조절수단(K)을 통해서 상기 텐션베어링(15)이 벨트(14)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벨트(14)에 작용되는 텐션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하게 모터(M) 샤프트(10)와 엑츄에이터(90)의 볼스크류(11)의 끝단에 결합된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트(1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90)의 수평연동운동을 위해서 모터(M)가 사용됨은 일반적이며, 이 모터(M)의 변속을 위해서 감속기나 변속기가 그 축에 고정되어, 볼스크류(11)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때 계속되는 작동에 의해서 상기 볼스크류(11)의 회전속도는 변형이 될 소지가 있는데, 이는 밸트(14)의 경우 밸트(14)의 장력이 틀어졌을 경우가 많다.
밸트(14)의 텐션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별도의 텐션수단이나 장치를 감속기나 모터(M)에 별도로 고정해야 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였다. 즉 모터(M)와 엑츄에이터(90)의 볼스크류(11)가 고정되는 일측단에 모터플레이트(20)를 장착하고, 상기 볼스크류(11)의 샤프트(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간격을 벌인 상태에서 별도의 모터(M)가 고정될 모터풀리(12)를 장착한다. 즉, 볼스크류(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스크류풀리(13)는 모터(M)의 샤프트(10)가 회전할 때, 이 회전에 따라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풀리(12)를 장착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는 외주면에 밸트(14)가 걸린 상태이기에 상기 모터(M)의 회전은 밸트(14)를 통해서 볼스크류(11)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텐션장치는 바로 이 밸트(14)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벨트(14)의 텐션을 조절한다. 텐션베어링(15)이 그 외주면으로 밸트(14)와 면접하고 가압하여 하향하게 되면, 밸트(14)는 연동에는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장력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장점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텐션장치로서, 기존의 감속기에 적용하여, 특별히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부피를 확대시킴이 없이 정확하게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텐션조절수단(K)은,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 사이를 지나는 벨트(14) 위치의 모터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1)이 있고, 텐션베어링(1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텐션볼트(22)가 있으며 상기 텐션볼트(22)의 끝단에 결합되는 텐션너트(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결국 텐션이 조절된 상태에서 텐션볼트(22)를 조여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텐션조절장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모든 다른 형태의 텐션조절수단에 비하여 특별한 명확한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구조가 간단하다. 둘째, 별도의 텐션조절수단이나 텐션장치를 수용해야만 하는 부피가 필요없다. 아주 간단한 구조이고 종래 있어야만 하는 구성에 결합되어 텐션을 조절하지만 부피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는다.
종래나 본 발명이나 대부분의 텐션조절장치(=수단)는 벨트를 가압하기 위해서 별도의 롤을 구성하고, 이 롤이 고정되어야 하는 구성요소가 필요했다. 또한 밸트가 느슨해지면 롤을 가압하고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수단이 필요했다. 그런데 종래의 텐션조절장치(=수단)는 항상 이 구성요소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핸드폰 부품 생산이나 조립공정에 투입되는 엑츄에이터(90)나 반도체 조립공정 중에 투입되는 엑츄에이터(90)와 같이 정밀한 수평이송 동작을 달성하는 로봇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크다. 조금의 부피의 팽창이나 확대는 제조시스템의 팽창을 가져오고 이는 생산량을 급격히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욱이 작은 부피의 엑츄에이터(90)는 생산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환경적응능력의 향상을 초래하기에 그 부피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런데 종래 이 텐션조절장치는 일정한 부피를 항상 차지하기에, 부피를 줄일 수 없는 구성으로 치부되어 왔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종래 항상 텐션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당연시 여겨왔던 사고를 전환시키고, 기존 엑츄에이터에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구성인 모터플레이트(20)를 형상변형하여 모터플레이트(20) 내부에 수용시키는 방향으로 부피를 축소했으며, 그에 따라 기능성도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이를 위주로 상세한 작동의 설명을 한다.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 내지 4에서처럼, 모터플레이트(20)의 내측에 장공(21)을 성형한다. 이 장공(21)의 길이는 밸트(14)를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연동공간으로 작용을 하는 것이다. 텐션베어링(15)의 외주면으로 벨트(14)를 가압하여 텐션을 맞추고 나서 일정한 사용시간이 흐르면, 벨트(14)는 느슨해질 소지가 있다. 이때 또 다시 텐션베어링(15)으로 벨트(14)를 더 깊숙히 가압하여 텐션을 일정한 수준으로 맞추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연동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의 보상을 위해서 장공(21)을 형성한 것이다. 이 장공(21)의 길이만큼 텐션베어링(15)은 하향하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텐션베어링(15)의 중심부는 텐션볼트(22)가 삽입되어 텐션너트(23)와 체결됨으로 고정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텐션볼트(22)는 텐션베어링(15)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의 기능도 담당하면서, 상기 장공(21)을 타고, 승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1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한다. 텐션볼트(22)의 끝단에 텐션너트(23)를 고정시킴으로 일단 위치확보된 텐션볼트(22)는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이에 따라 그 외곽부인 텐션베어링(15)은 외주면으로 벨트(14)를 가압하여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텐션볼트(22)는 그 끝단에 고정되는 텐션너트(23)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일단 위치가 확보되면 의도치 않으면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4각의 텐션너트(23)는,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 후방에서 그 두께만큼 수용될 수 있는 장공(21)보다 넓은 가이드홈(24)에 끼워지고 텐션너트(23)가 가이드수단도 되면서 텐션볼트(2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텐션너트(23)를 모터플레이트(20) 내측으로 삽입시킴으로 사실상의 부피 증가가 없도록 한다. 텐션너트(23)가 연동할 수 있는 가이드홈(24)을 장공(21)의 외곽부로 형성하여 사실상 가이드홈(24)이 텐션너트(23)를 수용하면서도, 텐션너트(23)가 수직 승하강을 하면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도록 한다. 기존의 텐션장치는 일측에 텐션베어링이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를 고정하고, 이 샤프트를 풀어 회전시키고, 그 회전된 각도만큼 벨트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졌다. 사실상 텐션은 조절할 수 있지만 회전에 따라 벨트가 가압되는 위치와 힘이 다소 차이가 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체결하고, 이를 수용해야만 하는 부피가 반드시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터플레이트(20)의 내측에 가이드홈(24)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4)에 텐션너트(23)를 수용시켜 사실상의 부피 확대를 차단했으며, 그 부피의 수용과 함께 가이드홈(24)을 타고 수직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장점을 만들어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성적인 결합형태의 진보로 인하여 일시에 두 가지의 기능과 장점을 발휘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텐션너트(23)와 가이드홈(24)은 이렇게 텐션을 조절함에 있어서, 그 구성으로 인한 부피의 확대가 전혀 없다는 점과, 그 부피를 수용하는 가이드홈(24)이 텐션볼트(22)와 텐션너트(23)의 수직연동을 인도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21) 전방에도, 4각의 가이드너트(26)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가이드홈(27)을 형성하여 텐션베어링(15)의 수직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2 내지 4에서처럼 본 발명은 모터플레이트(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도의 제2가이드홈(27)과 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 모터플레이트(20) 전후방에서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가 테션볼트의 가이드제일 역할을 하면서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텐션너트(23)와 동일하게 4각의 형태를 가진 가이드너트(26)를 모터플레이트(20)의 전방에 형성한 가이드홈(24)에 삽입하고, 이 제2가이드홈(27)을 타고 가이드너트(26)가 수직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가이드는 물론 일단 위치가 고정되면 흔들리지 않고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마치 모터플레이트(20)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모터플레이트(20)를 면접하여 움겨잡은 상태에서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을 타고 수직방향으로 연동을 하는 텐션볼트(23)는 정확한 수직연동을 유지하면서도, 모터플레이트(2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텐션에 따라 힘을 받아도 그 각도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벨트(14)의 폭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정한 힘을 전면적으로 가압하는 텐션볼트(22)의 텐션베어링(15)은 텐션볼트(22)에 체결되는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의 체결력에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의 폭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를 가진 4각의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는 수직연동이 용이하도록 배려된 4각형의 형태이지만, 이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의 너트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모터플레이트(20)는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의 두께를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으로 수용하면서, 중심부의 지지판부(28)의 두께도 포함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플레이트(20)의 전방과 후방에 일정한 홈인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엑츄에이터(90)가 본 발명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모터플레이트(20)의 두께를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제2가이드홈(27)은 모터플레이트(20)를 감싸는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기에 모터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즉, 가이드너트(26)가 모터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27)에 1/3 정도만 수용되어도 무방하다. 2/3는 외부로 노출되어도 가이드너트(26)에 의해서 부피가 확대되어 시스템에 무리를 초래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텐션너트(23)의 경우 모터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4)에 완벽하게 수용되어도 무방하며, 약 2/3 정도 수용되도 무방하다. 일정한 작은 두께가 돌출되어도 크게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십분 살려서 본 발명의 모터플레이트(20)의 두께를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모터플레이트(20)는 도시된 도 3과 4에서처럼 모터플레이트(20)의 전방과 후방에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를 수용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가 면접하게 될 지지판부(28)를 형성하다. 결국 본 발명의 모터플레이트(20)의 두께는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의 두께에 지지판부(28)의 두께까지 고려하여 선택되야 한다. 이렇게 모터플레이트(20)에 가이드너트(26)와 텐션너트(23)를 완벽하게 수용시키는 형태로 제작되는 모터플레이트(20)는 이 3가지 구성요소의 두께를 합한 두께로 제작되야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된 것처럼 더 얇는 형태의 모터플레이트(20)를 제작하고자 한다면, 가이드너트(26)의 1/3 두께와 지지판부(28)의 두께 및 텐션너트(23)의 2/3 두께가 합해진 모터플레이트(20)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들은 설치되는 엑츄에이터(90)의 작업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이 기준을 지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장공(21)까지 관통하는 스크류공(29)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공(29)에 스크류체결되는 무두스크류(31)를 통해 텐션볼트(22)의 연동이 2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텐션장치와는 다소 차별화를 두어 별도의 텐션유지수단을 가지고 있다. 벨트(14)를 가압하는 텐션베어링(15)을 고정시키기 위한 텐션볼트(15)와 텐션너트(23)의 결합에 더하여, 또 하나의 위치고정수단을 가진 것이다.
모터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서는 스크류공(29)을 형성하되, 도시된 도 2 내지 4에서처럼 장공(21)까지 관통하는 스크류공(29)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스크류공(29)에는 무두스크류(31)를 체결하여 사실상 모터플레이트(20)를 관통하는 텐션볼트(22)의 끝단을 가압하는 것이다. 텐션 벨트(14)는 잦은 사용에 따라 그 길이가 축소되기 보다는 늘어나는 경향이 높다. 날씨나 계절에 따라서 부피가 축소되는 흔치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텐션이 약해지는 장력이 느슨해지는 경향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벨트에서 작용되는 텐션에 의해서 항상 텐션베어링(15)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 받기에, 텐션볼트(22)는 텐션너트(23)의 체결력이 떨어지게 되면 상승할 우려가 있다. 바로 이러한 점을 본 발명에서는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물론 모터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부피를 완벽하게 수용시킬 수 있는 무두스크류(31)를 이용하여, 텐션볼트(22)의 끝단을 가압함으로 텐션볼트(22)가 상승할 수 있는 우려를 완벽하게 차단한다.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텐션의 제어를 담당하면서도, 특별히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점을 차단했다.
마지막으로 상기 텐션볼트(22)의 끝단만 스크류가 형성되어 텐션너트(23)와 스크류체결되고, 가이드너트(26)는 텐션볼트(23)가 관통될 수 있는 센터공(33)을 가져 수직 방향의 연동이 유연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텐션볼트(22)에 결합되어 텐션볼트(22)와 텐션베어링(15)의 수직연동을 가능하게 유도하는 구성이 전술된 것처럼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이다. 모두 텐션볼트(22)와 스크류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방하지만, 체결의 간소화를 유지하면서도 정확한 체결과 견고한 체결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이드너트(26)는 내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센터공(33)을 형성시킨다. 텐션볼트(22)의 외주면을 그대로 관통시킬 수 있는 센터공(33)이다. 사실상 텐션볼트(22)와 스크류 체결되는 너트는 텐션너트(23)만으로 한정을 하여 체결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견고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물론 모터플레이트(20)의 전후방에서 텐션볼트(22)와 텐션베어링(15)의 수직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효과도 배려되어 있기에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로 사용된다.
10; 샤프트 11; 볼스크류
12; 모터풀리 13; 볼스크류풀리
14; 벨트 15; 텐션베어링
20; 모터플레이트 21; 장공
22; 텐션볼트 23; 텐션너트
26; 가이드너트 27; 제2가이드홈
28; 지지판부 29; 스크류공
33; 센터공

Claims (7)

  1. 엑츄에이터의 수평연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벨트텐션장치에 있어서,
    모터 샤프트(10)와 엑츄에이터(90)의 볼스크류(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20)와; 상기 모터 샤프트(10)와 볼스크류(11) 끝단에 고정되는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 상기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14); 상기 벨트(14)를 가압하는 텐션베어링(15); 모터풀리(12)와 볼스크류풀리(13) 사이를 지나는 벨트(14) 위치의 모터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21)과 텐션베어링(1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텐션볼트(22)와, 상기 텐션볼트(22)의 끝단에 결합되는 텐션너트(23)가 포함되어, 텐션이 조절된 상태에서 텐션볼트(22)를 조여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텐션조절수단(K)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텐션베어링(15)이 벨트(14)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벨트(14)에 작용되는 텐션을 조절하도록 하되;
    4각의 텐션너트(23)는,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 후방에서 그 두께만큼 수용될 수 있는 장공(21)보다 넓은 가이드홈(24)에 끼워지고 텐션너트(23)가 가이드수단도 되면서 텐션볼트(2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모터플레이트(20)의 장공(21) 전방에도, 4각의 가이드너트(26)가 수용될 수 있는 제2가이드홈(27)을 형성하여 텐션베어링(15)의 수직 연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플레이트(20)는 텐션너트(23)와 가이드너트(26)의 두께를 가이드홈(24)과 제2가이드홈(27)으로 수용하면서, 중심부의 지지판부(28)의 두께도 포함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장공(21)까지 관통하는 스크류공(29)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공(29)에 스크류체결되는 무두스크류(31)를 통해 텐션볼트(22)의 연동이 2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텐션볼트(22)의 끝단만 스크류가 형성되어 텐션너트(23)와 스크류체결되고, 가이드너트(26)는 텐션볼트(23)가 관통될 수 있는 센터공(33)을 가져 수직 방향의 연동이 유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KR1020120104020A 2012-09-19 2012-09-19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KR10124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20A KR101246611B1 (ko) 2012-09-19 2012-09-19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020A KR101246611B1 (ko) 2012-09-19 2012-09-19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611B1 true KR101246611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020A KR101246611B1 (ko) 2012-09-19 2012-09-19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6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5880B2 (en) 2017-11-08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Pulley system for crankshaft
CN114314183A (zh) * 2021-12-19 2022-04-12 宜兴市博宇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电机功率可控的新能源张力机
KR20230030120A (ko) 2021-08-24 2023-03-06 이노6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US11858119B2 (en) 2020-11-17 2024-01-02 Semes Co., Ltd. Moving devic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chemical liquid having a mov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654A (ko) * 1998-11-30 2000-06-26 김태구 자동차엔진부 벨트시스템의 벨트텐셔닝용 브라켓
KR200248319Y1 (ko) * 2001-07-06 2001-10-31 주식회사 지.아이.씨 카드리더라이터의 장력조절장치
KR100679148B1 (ko) * 2005-10-14 2007-02-05 이익재 아이스크림 제조장비용 업다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654A (ko) * 1998-11-30 2000-06-26 김태구 자동차엔진부 벨트시스템의 벨트텐셔닝용 브라켓
KR200248319Y1 (ko) * 2001-07-06 2001-10-31 주식회사 지.아이.씨 카드리더라이터의 장력조절장치
KR100679148B1 (ko) * 2005-10-14 2007-02-05 이익재 아이스크림 제조장비용 업다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5880B2 (en) 2017-11-08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Pulley system for crankshaft
US11858119B2 (en) 2020-11-17 2024-01-02 Semes Co., Ltd. Moving devic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chemical liquid having a moving device
KR20230030120A (ko) 2021-08-24 2023-03-06 이노6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KR102625937B1 (ko) * 2021-08-24 2024-01-19 이노6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CN114314183A (zh) * 2021-12-19 2022-04-12 宜兴市博宇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电机功率可控的新能源张力机
CN114314183B (zh) * 2021-12-19 2024-05-14 宜兴市博宇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电机功率可控的新能源张力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11B1 (ko)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CA1196201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preliminary anchoring of a wire rope bolt
DE112006003708T5 (de) Hohle Motorantriebsvorrichtung
EP1894759A3 (de) Führungsloses Fensterrollo mit verbesserten Gleitern
CN105522378B (zh) 一种用于对位的自回中旋转纠偏机构和旋转压入装置
KR200485332Y1 (ko) 스프링 성형기용 서보 회전형 풀 기능 커터 조립체
DE102012006266A1 (de) In einer T-Nut befestigbarer Zylinderschalter, der aus dem Klemmzustand lösbar ist
US8141694B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and/or machining of panels
CN208235521U (zh) 钢板桩导向架
CN210553522U (zh) 一种覆膜机
CN202271479U (zh) 压辊位移调节装置
CN205414198U (zh) 冷弯成型机导向装置
US10174817B2 (en) Device for locking a belt at predetermined belt tension
CN107138596A (zh) 数控滚冲成型机
CN204371843U (zh) 一种可游动的安装固定装置
CN208529821U (zh) 一种调整压力机滑块装模高度的链条涨紧结构
KR20230040229A (ko) 미세 간극 조절 기능을 가지는 라미네이팅 장치
CN207551540U (zh) 一种拉线装置
CN207188521U (zh) 一种快速再启动精密矫直器
WO2008062337A3 (en) Clamping cell with forced open function
JP2018084243A (ja) 一軸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205571094U (zh) 一种滚槽机
JP4837398B2 (ja) 金型の回転駆動装置
CN205371494U (zh) 一种皮带张紧轮调节机构
CN104454814A (zh) 一种可游动的安装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