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994A - 조성물 및 제품 - Google Patents

조성물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994A
KR20190051994A KR1020197007937A KR20197007937A KR20190051994A KR 20190051994 A KR20190051994 A KR 20190051994A KR 1020197007937 A KR1020197007937 A KR 1020197007937A KR 20197007937 A KR20197007937 A KR 20197007937A KR 20190051994 A KR20190051994 A KR 2019005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s
polymer
ac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구라시마
히데키 시미즈
고타 오시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9005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에 끈적임이 없고, 세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당해 조성물을 정발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발력을 가짐과 함께, 정발 가능한 시간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 및 제품
본 발명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정발료에 적용 가능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구비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화장료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사용감이나 정발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정발료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모발 화장료는 (a) 왁스와, 특정 구조식으로 나타내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과, (c) 이온성 비닐 폴리머와, (d) 알코올을 함유하고, 점도가 20,000∼100,000mPa·s이다. 특허문헌 1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유화형 정발료는 (a)성분: 특정 구조식으로 나타내는 장쇄 아실설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b)성분: 고급 지방족 알코올과, (c)성분: (c-1) 왁스류를 0.5∼50질량%, (c-2) 정발 수지를 0.1∼8질량%, (c-3) 분말 성분을 0.1∼8질량%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및 (d)성분: 물을 포함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29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3601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모발 화장료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고 있고, 사용시에 끈적임을 강하게 느낀다. 또한, 모발 화장료에 대한 세정성도 낮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유화형 정발료는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정발 가능한 시간이 짧아, 정발의 용이성에 과제가 있다.
그래서, 사용시에 끈적임이 없고, 세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성물을 정발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발력을 가지면서도 정발 가능한 시간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시점에 의하면,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시점에 의하면, 용기와, 용기 내에 존재하는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구비하는 제품이 제공된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여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품에 의하면, 사용자가 끈적임을 느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품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당해 정발료는 높은 정발력을 갖는다. 또한, 당해 정발료는 사용자가 정발 가능한 상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용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용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용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시험예 1, 시험예 2 및 시험예 14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이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3질량%이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이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3질량%∼4질량%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이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2질량%∼8질량%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5질량%∼55질량%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염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조성물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10질량%의 분말을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회합성 증점제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및/또는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이하의 구조식(I)을 갖는다.
R1-{(O-R2)k-OCONH-R3[-NHCOO-(R4-O)n-R5]h}m (I)
[식 (I) 중,
R1,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4의 탄화수소기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10의 탄화수소기이고;
R5는 탄소 원자수 8∼36의 탄화수소기이고;
m은 2 이상의 수이고;
h는 1 이상의 수이고;
k는 1∼500의 수이고;
n은 1∼200의 수임]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헥사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코폴리머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는 2-아크릴아미드-2-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가교 중합체 포함)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는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점도가 10,000mPa·s∼200,000mPa·s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조성물은 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이온성 폴리머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품은 용기에서 꺼낸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혼합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한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점도는 10,000mPa·s∼200,000mPa·s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용기는 개구를 갖는다. 개구에 대향하는 투영면에서 개구는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계면의 일부와 중복된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개구로부터 동시에 압출 가능하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1 조성물은 제1 성분을 추가로 함유한다. 제2 조성물은 제2 성분을 추가로 함유한다. 제1 성분과 제2 성분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 결합 및/또는 회합한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이온성 폴리머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1 성분은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머이다. 제2 성분은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음이온성 폴리머는 우레탄 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18)/알킬(C1-8)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양쪽성 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양쪽성 폴리머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1 및 폴리우레탄-10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2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정발료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발료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형이어도 되고, 유중수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한다.
[회합성 증점제]
회합성 증점제는 통상 소수부와 친수부를 갖는다. 회합성 증점제는 양단에 소수부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회합성 증점제는 양단의 소수부 사이에 친수부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느 회합성 증점제는 소수부끼리가 회합함으로써 네트워크(그물 구조)를 형성하고, 증점 작용을 발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회합성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및/또는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증점제의 증점 기구가 회합성이 아니어도 그 증점제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증점제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조식(I)을 갖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R1-{(O-R2)k-OCONH-R3[-NHCOO-(R4-O)n-R5]h}m (I)
구조식(I)에서 R1,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4의 탄화수소기이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2∼4의 알킬렌기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R3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10의 탄화수소기이면 바람직하다. R5는 탄소 원자수 8∼36의 탄화수소기이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2∼24의 탄화수소기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R1은 에틸렌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2는 에틸렌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3은 탄소 원자수 4∼8의 알킬렌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4는 에틸렌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5는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6∼32의 알킬기로 할 수 있다.
구조식(I)에서 m은 2 이상의 수이면 바람직하다. h는 1 이상의 수이면 바람직하고, 1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k는 1∼500의 수이면 바람직하고, 100∼30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n은 1∼200의 수이면 바람직하고, 10∼10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예를 들면, R1[(OR2)kOH]m으로 나타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R3(NCO)h+1로 나타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HO(R4O)nR5로 나타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 유래의 수산기의 비가 NCO:OH=0.8:1∼1.4:1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식 R1[(OR2)kOH]m으로 나타내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화합물은 m가의 폴리올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R1은 m가의 폴리올에 의해 결정된다. R2는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에 의해 결정된다. R1[(OR2)kOH]m의 분자량은 500∼10만이면 바람직하고, 1000∼5만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로는 2∼8가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올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트리옥시이소부탄, 1,2,3-부탄트리올, 1,2,3-펜타트리올, 2-메틸-1,2,3-프로판트리올, 2-메틸-2,3,4-부탄트리올, 2-에틸-1,2,3-부탄트리올, 2,3,4-펜탄트리올, 2,3,4-헥산트리올, 4-프로필-3,4,5-헵탄트리올, 2,4-디메틸-2,3,4-펜탄트리올, 펜타메틸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1,2,4-부탄트리올, 1,2,4-펜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3가 알코올; 펜타에리트리톨, 1,2,3,4-펜탄테트롤, 2,3,4,5-헥산테트롤, 1,2,4,5-펜탄테트롤, 1,3,4,5-헥산테트롤 등의 4가 알코올; 아도니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등의 5가 알코올; 디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등의 6가 알코올; 자당 등의 8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가시키는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은 특히 입수가 용이하고, 우수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 탄소 원자수 2∼4의 알킬렌옥사이드 또는 스티렌옥사이드이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은 단독 중합, 2종류 이상의 랜덤 중합 또는 블록 중합이면 된다. 부가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면 된다. 중합도 k는 0∼1000이면 바람직하고, 1∼500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0∼20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R2에서 차지하는 에틸렌기의 비율은 전체 R2에 대해 50∼100질량%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식 R3(NCO)h+1로 나타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닐메탄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프로필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톡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디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7-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수첨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페닐메탄의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메틸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2,5,2',5'-테트라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비스(4-이소시아나토페닐)메탄, 3,3'-디메톡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메탄-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에톡시디페닐메탄-3,3'-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5,5'-디메톡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디페닐디메틸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벤조페논-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페닐메탄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1-메틸벤젠-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5-트리메틸벤젠-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7-나프탈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4,6,4'-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칸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네이트메틸옥탄,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시클로헵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다이머, 트리머(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로서 사용되어도 되고, 또한, 아민과 반응시켜 뷰렛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을 반응시킨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로는 2∼8가의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R3(NCO)h+1로서 3가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HO(R4O)nR5로 나타내는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은 1가 알코올의 폴리에테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은 1가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을 부가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1가 알코올은 예를 들면, 하기 식 (Ⅱ), (Ⅲ) 및 (Ⅳ)로 나타낼 수 있다.
R6-OH (Ⅱ)
R7-CR8H-R9-OH (Ⅲ)
R10-CR11H-OH (Ⅳ)
R5는 상기 식 (Ⅱ)∼(Ⅳ)에서 수산기를 제외한 탄화수소기로 할 수 있다. R5로는 바람직하게는 R6, R7, R8, R10 및 R11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아릴기,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5의 탄소 원자수는 8∼36이면 바람직하고, 12∼24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타샤리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타샤리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틸, 팔미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이코실, 도코실, 테트라코실, 트리아콘틸, 2-옥틸도데실, 2-도데실헥사데실, 2-테트라데실옥타데실, 모노메틸 분기-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면, 비닐, 알릴,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이소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노네닐, 데세닐, 운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올레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아릴기로는 페닐, 톨루일, 자일릴, 쿠메닐, 메시틸, 벤질, 페네틸, 스티릴, 신나밀, 벤즈히드릴, 트리틸,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부틸페닐, 펜틸페닐, 헥실페닐, 헵틸페닐, 옥틸페닐, 노닐페닐, α-나프틸, β-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기 및 시클로알케닐기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펜틸, 메틸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헵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테닐, 메틸시클로펜테닐, 메틸시클로헥세닐, 메틸시클로헵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Ⅲ)에서 R9는 탄화수소기이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킬아릴렌기, 시클로알킬렌기, 시클로알케닐렌기 등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부가시키는 알킬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등은 단독 중합, 2종 이상의 랜덤 중합 또는 블록 중합이어도 된다. 부가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면 된다. 중합도 n은 0∼1000이면 바람직하고, 1∼200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0∼20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4에서 차지하는 에틸렌기의 비율은 전체 R4의 50질량%∼100질량%이면 바람직하고, 65질량%∼100질량%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폴리에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를 80∼90℃에서 1∼3시간 가열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A) R1[(OR2)kOH]m으로 나타내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 (B) R3(NCO)h+1로 나타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C) HO(R4O)nR5로 나타내는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을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식 (I)의 구조의 코폴리머 이외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경우, 주생성물로는 식 (I)로 나타내는 C-B-A-B-C형의 코폴리머가 생성되지만, 그 밖에, C-B-C형, C-B-(A-B)x-A-B-C형 등의 화합물이 부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특히 식 (I)형의 코폴리머를 분리하지 않고, 식 (I)형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상태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회합성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헥사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코폴리머(상기 식 (I)에 나타내는 코폴리머로서, R1, R2, 및 R4가 각각 에틸렌기, R3이 헥사메틸렌기, R5가 2-도데실도데실기이고, h가 1이고, m이 2이고, k가 120이고, n이 20임)(아데카놀(등록상표) GT-700, ADEKA사)를 사용할 수 있다.
회합성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 및/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우레이트계 고분자계 증점제로는, 2-아크릴아미드-2-프로판설폰산(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 또는 그 염(AMPS 구조)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가교 중합체 포함)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Aristoflex(등록상표) HMB, 클라리언트 재팬사)를 들 수 있다.
조성물에서의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이 0.1질량% 미만이면, 끈적임을 저감시킬 수 없다. 조성물에서의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3.5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이 3질량%를 초과하면 사용시에 끈적임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정발 용이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증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다른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캐롭검, 퀸스시드(마르멜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메틸에테르(PVM), PVP(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드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잔탄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 설포석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탐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드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6∼24의 아실타우린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실타우린염 중,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시의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정발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3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0.3질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유화물을 얻을 수 없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4질량% 이상, 0.5질량% 이상, 0.6질량% 이상 또는 0.7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4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4질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강해짐과 함께 안정적인 유화물을 얻을 수 없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2.5질량% 이하, 2질량% 이하, 1.5질량% 이하, 1.2질량% 이하 또는 1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기쇄 알코올(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중에서, 고급 알코올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α겔을 형성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2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0.2질량% 미만이면, 끈적임을 느끼는 등 사용감이 나빠진다.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8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6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8질량%를 초과하면 세정성이나 정발 용이성이 저하된다.
[유성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급 알코올과는 다른 유성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유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코올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POE는 폴리옥시에틸렌, POP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약어이고, POE 또는 POP 뒤의 괄호 안의 숫자는 당해 화합물 중에서의 POE기 또는 POP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액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행도유,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티오일, 비유, 쌀겨유, 중국 동유, 일본 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 왁스,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리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석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스테아록시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알킬렌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말단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 겔, 아크릴 실리콘,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실리콘 RTV 고무 등의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성분(고급 알코올을 포함함)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55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55질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증가함과 함께 세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정발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유성 성분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10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5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정발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분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하는 경우, 분체를 첨가함으로써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분체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소성 운모, 소성 탤크,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유리,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애퍼타이트, 히드록시애퍼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크 파우더, 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흑산화철, 카본 블랙, 저차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탤크, 착색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코퍼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체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분체를 0.1질량% 이상 첨가하면 정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체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10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분체를 10질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끈적임을 일으킨다.
[정발 수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발 수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정발 수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발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정발력을 보다 높이는 폴리머이다. 예를 들면, 정발 수지는 성막성을 갖는 폴리머로 할 수 있다.
정발 수지로는 예를 들면, 이온성 폴리머 및/또는 비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온성 폴리머는 음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쪽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정발 수지로는 한정은 되지 않지만, 이하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1)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의 베타인계 음이온성 폴리머(미츠비시 화학사의 유카포머(등록상표) 301 등)
(2) 폴리비닐피롤리돈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BASF사의 루비스콜 K-90, VA73 등)
(3)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알코올계 고분자 화합물(닛폰 고세이 화학사의 고세놀(등록상표), 덴키 화학 공업사의 덴카포발(등록상표) 등)
(4)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부틸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오사카 유기 화학사의 아니엘 BEM-42S, ISP사의 간트레츠 ES-225 등)
(5)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아미드·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BASF사의 루비머 100P, 울트라 홀드 스트롱, 미츠비시 화학사의 다이아 홀드(등록상표) HR-200, 고오 화학사의 프라사이즈(등록상표) L-53P 등)
(6)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산옥틸아미드·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등의 양성 아크릴산계 고분자 화합물(미츠비시 화학사의 유카포머(등록상표) AM-75, 니혼 NSC사의 암포머 28-4910 등)
(7)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디에틸 황산염액,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호모 폴리머,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함질소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아마콜사의 폴리머 JR-125, 라이온사의 레오가드(등록상표) GP, 니혼 NSC사의 셀코트 L-200, ISP사의 가후코트 734, 오사카 유기 화학사의 H.C. 폴리머 1N, 나루코사의 메르쿼트 550 등).
정발 수지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정발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정발 수지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8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3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정발 수지를 8질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끈적임을 일으킨다.
상기 정발 수지 중, 음이온성 폴리머 및 양쪽성 폴리머에 대해서는 그대로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 필요에 따라 관능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기 또는 유기 알칼리제로 중화하여 수용성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상기 중화를 목적으로서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무기 알칼리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암모니아, 모르폴린 등의 휘발성 알칼리제,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등의 알칸올아민류, L-아르기닌,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수성 용매, 유성 성분,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분체, 수용성 고분자,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보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이하에, 배합 가능한 다른 성분의 예를 열거한다. 하기 성분은 적어도 하나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수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물로는 화장료, 의약부외품 등에 사용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제수, 이온 교환수, 수돗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상은 목적에 따라 수용성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중합체,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당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및 이들의 유도체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2가 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 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코올(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트리톨 등); 5가 알코올(예를 들면, 자일리톨 등); 6가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쿠밀알코올, 세라킬알콜, 바틸알코올 등); 당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전분 분해당, 말토오스, 자일리토오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코올 등); 글리솔리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트리톨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오스, D-자일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루로오스, L-자일루로오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알도헵토오스, 헵토오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옥투로오스 등), 디옥시당(예를 들면, 2-디옥시-D-리보오스, 6-디옥시-L-갈락토오스, 6-디옥시-L-만노오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람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면, 자당, 겐티아노오스, 움벨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엄빌리신,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오스류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퀸스시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트라칸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잔탄검, 무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석시노글루칸, 콜라닌산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캠 E-10),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캠 P-10)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 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예를 들면, 모노 면실유 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스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플루로닉형(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말레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아미드;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콜라닌산, 아텔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 록스부르기 장미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메리롯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피막제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고중합체 등), 양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양이온화셀룰로오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 비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아미드, 고분자 실리콘, 실리콘 레진,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로 약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디모르폴리노피리다지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 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탐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멀션, 아크릴 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션,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천연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면, 락트산-락트산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 석신산-석신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보조제로는 예를 들면,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클로르페네신, 페녹시에탄올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백, 황련, 자근, 작약, 쓴풀, 자작 나무, 세이지, 비파 나무,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 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팅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페인, 탄닌, 베라파밀,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감초, 모과, 노루발 등의 각종 생약 추출물,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시르레틴산, 글리시리진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직산 등의 미백제, 아르기닌,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10,000mPa·s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10,000mPa·s 미만이면 용기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품에서 상이한 조성의 조성물끼리가 용기 내에서 혼합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200,000mPa·s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200,000mPa·s를 초과하면 신도가 나빠짐과 함께 사용자가 끈적임을 느낀다. 점도는 30℃에서의 브룩필드형 점도계(스핀들 번호 7, 회전수 10rpm)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 안정성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후에 손에 남은 조성물을 물에 의해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머리카락에 적용한 후에도 헤어 스타일을 조정 가능한 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정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정발료는 강한 정발력을 갖는다. 또한, 머리카락 위에서 고화된 후에도 당해 정발료는 샴푸에 의해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발료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사용시에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7903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73991호 참조). 이러한 2제를 각각의 용기에 충전하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각각의 용기로는 사용자가 사용시에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래서, 혼합하는 2개의 조성물을 1개의 용기에 충전 가능한 화장료가 요구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1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조성물과, 제2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을 갖는다. 화장료 조성물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혼합물을 화장료, 예를 들면, 정발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합물은 제1 조성물 단체 및 제2 조성물 단체보다 높은 헤어 스타일 유지력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제1 성분과 제2 성분은 혼합할 때 접착성이 높아지거나, 점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성분과 제2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을 정발료에 적용한 경우에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하여 머리카락에 도포한 후, 혼합물이 고화 또는 건조되었을 때 헤어 스타일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조합이면 바람직하다.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과 혼합했을 때 결합 및/또는 회합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성분과 제2 성분은 이온 결합하는 것, 및/또는 상반되는 전하에 의한 상호 작용, 친수부끼리의 상호 작용, 소수부끼리의 상호 작용 등에 의해 회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성분 및 제2 성분으로는 상술한 정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이온성 폴리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성분이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머이고, 제2 성분을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로 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우레탄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양쪽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양쪽성 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18)/알킬(C1-8)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프라사이즈(등록상표) L9909B 고오 화학 공업사),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코폴리머(AMPHOMER(등록상표) LV-71 아크조노벨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폴리쿼터늄-11(PDM 폴리머 오사카 유기 화학사), 폴리우레탄-10(요도졸 아크조노벨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쪽성 폴리머로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SM 폴리머 미츠비시 화학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합하면 즉,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합물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즉,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각각 회합성 증점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해도 된다. 제1 조성물 및/또는 제2 조성물은 유성 성분 및/또는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를 원용한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은 (혼련 없이, 물리적 교반없이) 직접 접하고 있을 때,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계면에서 양자의 혼합 내지 융합이 억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점도는 30,000mPa·s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50,000mPa·s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점도는 사용자가 혼련하기 쉽도록 150,000mPa·s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00,000mPa·s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사용자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련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적어도 일방은 착색제(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3개 이상의 조성물을 혼련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발료로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소정량, 손 등으로 혼련한다. 혼련은 사용 직전에 행하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혼련한 혼합물을 머리카락에 적용하여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세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따로 따로 머리카락에 도포한다. 다음으로, 머리 위에서 또는 머리와 함께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후, 또는 혼련하면서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세팅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하나의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정발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정발료는 보다 높은 헤어 스타일 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제품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은 용기와, 내용물로서 용기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2개의 조성물을 구비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용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3에 용기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은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도 3은 용기 내에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용기(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a)를 갖는다. 용기(1)는 길이 방향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개구(1a)는 길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길이축(X)은 용기(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개구(1a)는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1a)는 측면도에서, 가로 방향(좌우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개구(1a)는 측면도에서 세로 방향(상하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후술하는 적어도 2개의 조성물을 개구(1a)로부터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정도의 양으로 토출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용기(1)는 가요성을 가지면 바람직하다. 용기(1)는 내용물을 개구(1a)로부터 압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손으로 용기(1)의 체적(용적)을 용이하게 축소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용기(1)는 길이 방향의 개구(1a)와는 반대측의 타방의 단부를 향해, 길이축(X)에 수직인 단면적(용적 부분)이 축소 경향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타방의 단부에서 일방의 단부(개구(1a))를 향해 내용물을 압출하기 쉽기 때문이다.
용기(1)는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1a)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캡(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캡은 탈착 가능해도 된다.
용기(1)는 내용물을 구분하는 칸막이나 격벽을 내부에 갖지 않으면 바람직하다. 용기(1)의 내벽은 내용물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에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1)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1a)의 형상 및 치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1)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튜브로 불리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4∼도 6에 용기에 조성물을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도 6에서는 용기는 투명한 것으로 한다. 혹은, 도 4∼도 6은 투시도로 보아도 된다. 도 4∼도 6은 도 1∼도 3에 각각 대응한다. 도 7에 길이축(X)에 수직인 도 4의 Ⅶ-Ⅶ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도 11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용기(1) 및 내용물의 단면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부정형 등이어도 된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제품(10)은 용기(1)의 내용물로서,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을 갖는다.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길이축(X)을 따라 병렬적으로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은 용기(1) 내에서 칸막이나 격벽을 개재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은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의 계면(3)에서는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의 혼합이 억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계면(3)은 길이축(X)을 따라 연재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개구(1a)로부터 동시에 배출 가능하도록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투영면(개구(1a)에 면하는 정면도)에서 개구(1a)와 계면(3)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면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이 용기(1)의 용적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1) 내에서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 중 일방의 체적이 타방의 체적의 ±20% 이내이면 바람직하고, ±10% 이내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거의 동일한 체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이 용기(1) 내에 동일 체적 배치되고,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의 합계 체적이 용기(1)의 용적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1)로부터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을 압출했을 때, 개구(1a)로부터 나오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 중 일방의 체적이 타방의 체적의 ±20% 이내이면 바람직하고, ±10% 이내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거의 동일한 체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길이축(X)에 수직 방향의 단면에서,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의 단면은 예를 들면,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은 방사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용기(1)의 내부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에 의해 부채꼴로 4구획으로 분할되고, 바람직하게는 4등분되며, 제1 조성물(2a)과 제2 조성물(2b)은 각각 대향하는 구획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에서의 각 구획의 면적은 하나의 구획의 면적에 대해 ±20% 이내이면 바람직하고, ±10% 이내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구획은 거의 동일한 면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이 이루는 형상은 선 대칭 및/또는 점 대칭으로 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2개의 조성물,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이 용기(1) 내에서 4개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2개의 조성물은 3 이하 또는 5 이상의 구획으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 7과는 상이한 형태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제품(11)에서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각각 나뉘지 않고, 길이축(X)을 따라 병렬적으로 연재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에서 용기(1) 내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에 의해 2구획으로 분할되고, 바람직하게는 2등분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의 그 이외의 형태는 도 4∼도 7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9에 도 4∼도 8과는 상이한 형태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에서 부채꼴 형상 내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제품(12)에서는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조성물(2a)은 용기(1) 내에서 길이축(X)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성물(2b)은 용기(1) 내에서 길이축(X)을 따라 제1 조성물(2a) 주위에(제1 조성물(2a)의 외주를 따라)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형태의 그 이외의 형태는 도 4∼도 7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도 9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2개의 조성물을 갖는 제품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품은 3개 이상의 조성물을 가져도 된다. 도 10 및 도 11에 3개의 조성물을 갖는 제품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품(13, 14)은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에 추가하여, 제3 조성물(2c)을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품(13)에서는 조성물(2a∼2c)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부채꼴 형상 내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품(14)에서는 조성물(2a∼2c)은 도 9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형태의 그 이외의 형태는 도 4∼도 9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조성물이 4종류 이상이어도 동일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품(10∼14)에서는 가요성의 용기(1) 내의 공간을 축소시켜, 복수의 조성물을 개구로부터 동시에 압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단히 복수의 조성물을 손에 취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용기(1)의 내용물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를 원용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발료로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용기(1)를 변형시켜 용기(1)의 용적을 축소시킴으로써, 또는 용기(1)를 외부로부터 가압하여 내용물을 개구(1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의 개구(1a)로부터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을 내보낸다. 이 때, 제1 조성물(2a) 및 제2 조성물(2b)은 원하는 비율로 내보낼 수 있다. 그 이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품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간이한 구성으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1개의 간이한 용기에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형태에서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품에 대해 실시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품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이하에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각 시험예의 조성물을 정발료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발료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각 표에 나타내는 함유율의 단위는 질량%이다.
[시험예 1∼2]
시험예 1 및 2에 따른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1 및 2, 및 후술하는 시험예 14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롤링 마찰 시험에 의해 끈적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시험예의 시료를 수평 가동 플레이트 위에 올리고, 시료와 프로브가 서로 마찰되도록 플레이트를 단속적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이 때, 프로브에 작용하는 전동력(轉動力)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와 프로브 사이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변화를 끈적임도의 변화로서 측정하였다. 도 12에 시험예 1, 2 및 14에 따른 조성물의 구름 마찰 시험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예 1, 2 및 14에 따른 조성물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시험예 1에 따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회합성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다. 한편, 시험예 2에 따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만, 회합성 증점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시험예 14에 따른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를 함유하지만,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대신하여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도 12을 보면, 시험예 2에 따른 조성물은 시험예 1 및 14에 따른 조성물에 비해 시험 개시 직후의 끈적임도가 매우 높다. 이것은 시험예 1 및 14에서는 회합성 증점제의 존재에 의해 조성물의 신도, 즉 미끄러짐이 양호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회합성 증점제의 첨가에 의해 조성물의 끈적임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험예 2에 따른 조성물은 끈적임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있다. 이것은 시료가 건조되어 굳어진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험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발을 개시하고 바로 정발이 곤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시험예 1 및 14에서는 시험예 2와 같은 끈적임도의 급격한 저하는 측정되지 않았다. 이것은 회합성 증점제가 조성물의 고화를 억제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1과 시험예 14를 비교하면, 시험예 14에 따른 조성물은 시험을 개시하고 나서 끈적임도가 상승되고, 그 후 저하되어, 끈적임도의 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시험예 14에 따른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발료의 사용 중에 끈적임을 느끼고, 그 후 정발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시험예 1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끈적임도는 거의 일정하게 추이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시험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끈적임을 느끼기 어렵고, 또한 정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끈적임을 억제함과 함께, 정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회합성 증점제의 조합보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회합성 증점제의 조합을 사용하는 쪽이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시험예 1, 2 및 14에 따른 조성물을 정발료에 사용한 경우, 시험예 2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는 사용자는 정발료를 손에 취하여 머리카락에 묻힐 때, 강한 끈적임을 느끼고, 그리고 단시간에 재빠르게 헤어 스타일을 결정해야만 하는 것이 된다. 시험예 14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서는 끈적임이 있음과 함께, 정발력의 저하도 보여진다. 한편, 시험예 1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적당한 끈적임도가 사용 개시 직후부터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한창 정발하고 있는 도중에도 끈적임을 느끼기 어렵고, 게다가 시간을 들여 헤어 스타일을 세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pct00001
[시험예 3∼13]
3명의 평가자가 각 시험예에 따른 조성물을 정발료로서 사용하고, 끈적임이 없음, 정발 용이성, 정발력, 손에 묻은 조성물의 세정성 및 머리카락에 묻은 조성물의 세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각 평가 항목에 대해, 평가자는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점수를 매기고, 평균점을 산출하였다. 표에 각 평가 항목의 평가를 나타낸다.
[평가 기준]
5점: 매우 양호함
4점: 양호함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
[평가]
A: 4점 이상
B: 3점
C: 2점
D: 1점
[끈적임이 없음]
평가자가 조성물을 손으로 머리카락에 도포하여 정발하는 동안에 느끼는 끈적임이 없음을 평가하였다.
[정발 용이성]
정발료가 머리카락에 잘 섞이는지, 또한 평가자가 조성물을 머리카락에 묻힌 후, 예를 들면, 바로 머리카락이 굳어지지 않는 등, 어레인지 가능한 상태가 적당히 지속되는지를 평가하였다.
[정발력]
머리카락을 자연스러운 흐름을 갖는 헤어 스타일로 세팅할 수 있고, 그 헤어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세정성(손)]
정발료를 사용 후, 손에 묻은 조성물을 물로 씻어 내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세정성(머리카락)]
머리카락에 부착된 건조 후의 정발료가 뜨거운 물과 샴푸로 용이하게 세정 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스트랜드(15㎝, 2g의 인모)를 뜨거운 물로 적시고, 샴푸를 0.1g 묻혀 주물렀을 때 거품이 생기는 지를 평가하였다.
계면 활성제 및 회합성 증점제를 함유하지 않은 시험예 13에 따른 조성물은 안정적인 수중유형 유화물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시험예와 비교하면, 유화 안정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계면 활성제가 필요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회합성 증점제 및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는 시험예 3∼7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평가 B 이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아니라,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시험예 14에서는 끈적임이 없음, 정발 용이성, 세정성(손) 및 세정성(머리카락)에 대해 높은 평가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시험예 3과 시험예 14를 비교하면 적당한 접착성을 지속시킴과 함께 세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보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쪽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8∼12에서는 회합형 증점 기구를 갖는 증점제가 아니라, 다른 증점 기구를 갖는 증점제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8의 성분(11), 시험예 9의 성분(12), 및 시험예 11의 성분(14)는 엉겨 붙음에 의한 증점 작용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10의 성분(13)은 정전 반발에 의한 증점 작용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12의 성분(15)는 카드 하우스 구조에 의한 증점 작용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8∼12에서는 사용자는 끈적임을 느낌과 함께, 정발 용이성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시험예 3∼7의 쪽이 시험예 8∼12보다 세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시험예 3∼7과 시험예 8∼12를 비교하면 회합성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어, 정발 용이성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세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5에서는 시험예 3, 4, 6 및 7에서 사용된 회합성 증점제와는 상이한 회합성 증점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시험예 3∼7에서는 동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회합성 증점제가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회합성 증점제를 0.2질량%∼2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3∼7에서는 어느 항목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회합성 증점제를 4질량% 첨가한 시험예 15에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았기 때문에, 머리카락에 대해 잘 섞이는 것이 저하됨과 함께 끈적임이 높아졌다. 또한, 정발력 및 세정성도 시험예 3∼7보다 전체적으로 저하되었다. 이로부터,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은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은 3.5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0.4질량%∼2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3∼7에서는 어느 항목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로써,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0.2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은 4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급 알코올을 1.3질량%∼5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3∼7에서는 어느 항목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시험예 16에서는 사용자는 끈적임을 강하게 느꼈다. 이것은 α겔의 형성이 없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발 용이성도 정발력도 저하되었다. 고급 알코올을 1.3질량% 및 2.5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3∼6에서는 끈적임이 저하됨과 함께, 정발 용이성 및 정발력이 개선되었다. 이로써,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은 0.2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급 알코올을 10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17에서는 정발 용이성이 낮고, 세정성도 나빴다. 한편, 고급 알코올을 5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7에서는 정발 용이성도 세정성도 개선되었다. 이로부터, 고급 알코올 함유율은 8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6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성 성분(고급 알코올을 포함함)을 26질량%∼50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3∼7에서는 어느 항목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유성 성분을 57.5질량% 함유하는 시험예 18에서는 끈적임이 증가됨과 함께 정발 용이성도 저하되었다. 또한, 세정성도 저하되었다. 이로부터, 유성 성분의 함유율은 55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성 성분의 함유율은 20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0.5질량%∼8질량%의 분말을 함유하는 시험예 4 및 시험예 6에서는 시험예 3과 비교하여 정발력을 높일 수 있었다. 분체의 함유율은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5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체의 함유율은 적어도 10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5에서는 정발 수지인 성분(15)를 첨가함으로써, 시험예 3과 비교하여 정발력을 높일 수 있었다. 이로부터, 정발력을 높이기 위해, 정발 수지의 첨가도 유효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시험예 19∼21]
용기 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주입한 제품을 제조하였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요성 용기(튜브)에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2종류의 조성물을 주입하였다. 2개의 조성물은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용기 내에 주입하고, 2종류의 조성물을 개구로부터 동시에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종류의 조성물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서, 부채꼴의 4구획에 번갈아 배치하였다. 표 5에 2종류의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낸다. 용기 내에서의 혼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방의 조성물에는 색재를 넣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색을 상이하게 하였다.
시험예 19에서는 제1 조성물에 양쪽성 폴리머를 첨가하고, 제2 조성물에 양쪽성 폴리머를 첨가하였다. 시험예 20에서는 제1 조성물에 양쪽성 폴리머를 첨가하고, 제2 조성물에 음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였다. 시험예 21에서는 제1 조성물에 양쪽성 폴리머를 첨가하고, 제2 조성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였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점도는 각각 약 100,000mPa·s였다.
[외관 안정성 및 정발 수지의 혼합 작용]
용기 내에서의 외관 안정성 및 2개의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의 상호 작용에 대해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외관 안정성]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직접 접한 상태에서의 용기 내의 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A: 용기 내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경계가 명확하였음
B: 용기 내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경계는 전반적으로 명확하지만, 일부 경계의 희미함이나 색의 혼합이 존재하였음
C: 용기 내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경계가 불명확하였음
[정발 수지의 혼합 작용]
각 시험예에 첨가되어 있는 성분(15)∼(18) 중 2개(예를 들면, 시험예 19에서는 성분 (15)와 성분 (16))를 질량비 1:1로 혼련했을 때의 상호 작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A: 헤어 스타일 유지력이 크게 향상되었음
B: 헤어 스타일 유지력이 향상되었음
C: 헤어 스타일 유지력의 향상은 없었음
[끈적임이 없음, 정발 용이성, 정발력, 세정성(손) 및 세정성(머리카락)]
용기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동시에 꺼내고, 손바닥으로 혼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혼합물에 대해, 끈적임이 없음, 정발 용이성, 정발력, 세정성(손) 및 세정성(머리카락)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시험예 1∼18과 동일하다.
용기 내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혼합은 보이지 않았다. 즉,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의 계면(접촉면)은 명확하게 보였다.
각 시험예에 첨가되어 있는 정발 수지끼리를 혼합하면, 응집, 증점, 백탁 등의 변화가 생기고, 당해 혼합물에 의한 정발료는 시험예 3∼18, 특히 시험예 3∼7보다 세팅한 헤어 스타일을 유지하는 지속력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정발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추가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제 혼합 타입의 정발 수지가 유용한 것도 알 수 있었다.
각 시험예에서,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련하여 제조한 혼합물은 끈적임이 없음, 정발 용이성, 정발력, 세정성(손) 및 세정성(머리카락)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시험예 3∼18보다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제품, 및 이들의 사용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 개시 요소(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요소를 포함함)에 대해 각종 변형, 변경 및 개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각 개시 요소의 다양한 조합·치환 내지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 목적 및 형태(변경 형태 포함)는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체 개시 사항으로부터도 명확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범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경우여도 당해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 내지 범위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하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부기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각 청구항과 조합할 수도 있다.
[부기 1]
제1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조성물과,
제2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성분과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 결합 및/또는 회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부기 2]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이온성 폴리머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3]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혼합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4]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의 점도는 10,000mPa·s∼200,000mPa·s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5]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머이고,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6]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우레탄 폴리머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7]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18)/알킬(C1-8)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8]
상기 양쪽성 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9]
상기 양쪽성 폴리머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10]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1 및 폴리우레탄-10 중 적어도 하나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11]
정발료인,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부기 12]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된, 부기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여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품.
[부기 13]
상기 용기에서 꺼낸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혼합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4]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 조성물 단독 및 상기 제2 조성물 단독보다 높은 유지력을 갖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5]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병렬적으로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6]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의 계면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7]
상기 용기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투영면에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의 계면의 일부와 중복되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8]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개구로부터 동시에 압출 가능한,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19]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20]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부기에 기재된 제품.
[부기 21]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인, 부기에 기재된 제품.
이하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하의 처방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의 배합률은 전부 질량%를 의미한다.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손으로 직접 사용하는 화장료·피부 외용제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나 머리카락에 도포하거나, 문질러 바르는 화장료·피부 외용제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는 파운데이션(예를 들면, O/W 젤파운데이션 등), 밤(예를 들면, 고부향 밤이나 바디 밤 등) 등을 들 수 있다.
1: 용기
1a: 개구
2a: 제1 조성물
2b: 제2 조성물
2c: 제3 조성물
3: 계면
10, 11, 12, 13, 14: 제품
X: 길이축

Claims (26)

  1.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합성 증점제의 함유율이 상기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3질량%이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이 상기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3질량%∼4질량%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이 상기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2질량%∼8질량%인,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의 함유율은 상기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5질량%∼55질량%인,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염인,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10질량%의 분말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합성 증점제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및/또는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인,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이하의 구조식(I)을 갖는, 조성물.
    R1-{(O-R2)k-OCONH-R3[-NHCOO-(R4-O)n-R5]h}m (I)
    [식 (I) 중,
    R1,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4의 탄화수소기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10의 탄화수소기이고;
    R5는 탄소 원자수 8∼36의 탄화수소기이고;
    m은 2 이상의 수이고;
    h는 1 이상의 수이고;
    k는 1∼500의 수이고;
    n은 1∼200의 수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헥사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코폴리머인,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는 2-아크릴아미드-2-프로판설폰산 또는 그 염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가교 중합체 포함)인,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는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인,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도가 10,000mPa·s∼200,000mPa·s인,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온성 폴리머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폴리머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인, 조성물.
  15.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존재하는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은 적어도 일부가 접하여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은
    회합성 증점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을 함유하는, 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서 꺼낸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련한 혼합물을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제품.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의 점도는 10,000mPa·s∼200,000mPa·s인, 화장료 조성물.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에 대향하는 투영면에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의 계면의 일부와 중복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을 상기 개구로부터 동시에 압출 가능한, 제품.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제1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제2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제1 성분과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제1 조성물과 상기 제2 조성물을 혼합했을 때 결합 및/또는 회합하는, 제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은 이온성 폴리머인, 제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음이온성 폴리머이고,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양쪽성 폴리머 및/또는 양이온성 폴리머인, 제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우레탄 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18)/알킬(C1-8)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중 적어도 하나인, 제품.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인, 제품.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폴리머는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인, 제품.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1 및 폴리우레탄-10 중 적어도 하나인, 제품.
  26.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정발료인, 제품.
KR1020197007937A 2016-09-16 2017-09-15 조성물 및 제품 KR20190051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2141 2016-09-16
JPJP-P-2016-182141 2016-09-16
PCT/JP2017/033612 WO2018052146A1 (ja) 2016-09-16 2017-09-15 組成物及び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994A true KR20190051994A (ko) 2019-05-15

Family

ID=6161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937A KR20190051994A (ko) 2016-09-16 2017-09-15 조성물 및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42743B2 (ko)
KR (1) KR20190051994A (ko)
CN (1) CN109689019B (ko)
TW (1) TW201813623A (ko)
WO (1) WO20180521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9B1 (ko) * 2020-10-26 2021-07-12 주식회사 엔베코코스메틱 모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0590A1 (en) * 2017-12-22 2019-06-27 Lvmh Recherche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JP7133418B2 (ja) 2018-09-28 2022-09-08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JP7220682B2 (ja) * 2020-01-27 2023-0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ゲル状組成物
KR20240059685A (ko) * 2022-10-25 2024-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포타슘알룸 및 폴리우레탄-10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17582377B (zh) * 2023-11-01 2024-05-14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可形成稳定α-凝胶的乳化剂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96A (ja) 2004-08-25 2006-03-09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09173601A (ja) 2008-01-25 2009-08-06 Shiseido Co Ltd 乳化型整髪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279B2 (ja) 2000-12-27 2010-07-21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255740A (ja) * 2001-03-05 2002-09-11 Kose Corp 多色状化粧料
JP4133017B2 (ja) * 2002-06-20 2008-08-13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処理用組成物
FR2865642A1 (fr) 2004-01-29 2005-08-05 Oreal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traitement cosmetique a partir de fluide sous pression, de ceramides, de cires et/ou de silicones
WO2006102113A2 (en) 2005-03-21 2006-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visually distinct phases
US20070014823A1 (en) 2005-07-12 2007-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 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compositions having similar rheology profile in different phases
JP5035948B2 (ja) 2006-04-26 2012-09-26 株式会社 資生堂 増粘組成物及び化粧料
JP2010070492A (ja) 2008-09-18 2010-04-02 Nippon Fine Chem Co Ltd 化粧料
CN103124754A (zh) 2010-09-01 2013-05-29 巴斯夫欧洲公司 用于含水制剂的缔合性增稠剂
JP2013018751A (ja) * 2011-07-13 2013-01-31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113695B2 (ja) * 2014-10-31 2017-04-12 株式会社 資生堂 弾力ジェル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96A (ja) 2004-08-25 2006-03-09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09173601A (ja) 2008-01-25 2009-08-06 Shiseido Co Ltd 乳化型整髪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9B1 (ko) * 2020-10-26 2021-07-12 주식회사 엔베코코스메틱 모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3623A (zh) 2018-04-16
JP7042743B2 (ja) 2022-03-28
WO2018052146A1 (ja) 2018-03-22
CN109689019A (zh) 2019-04-26
JPWO2018052146A1 (ja) 2019-07-25
CN109689019B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1994A (ko) 조성물 및 제품
CN111032815B (zh) 非水系用增稠剂和增稠组合物
KR20190071693A (ko) 세정제 조성물
EP3006018B1 (en) Gel-like composition for cosmetic preparations
JP2015027953A (ja) 皮膚用化粧料
KR100826503B1 (ko) 피부 외용제
JP7210462B2 (ja) 超微細エマルジョンを用いた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1205902A1 (ja) ラメラゲル含有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WO2018079717A1 (ja) 水中油型皮膚外用組成物
KR20190084277A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7114164B2 (ja) 粉体含有水系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JP7169879B2 (ja) 整髪料組成物
JPWO2019203040A1 (ja) 洗浄剤組成物
JP2003155223A (ja) パック化粧料
JP7368349B2 (ja) 洗浄剤組成物
WO2021182430A1 (ja) 洗浄料
WO2022259877A1 (ja) 化粧料
WO2021215420A1 (ja) 洗浄料
JP2021070637A (ja) 油性固形化粧料
CN113164801A (zh) 洗涤剂组合物
JP2006213697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2302469A (ja) ネオペンタン酸アルキルポリグリコ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