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589A -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589A
KR20190051589A KR1020170147425A KR20170147425A KR20190051589A KR 20190051589 A KR20190051589 A KR 20190051589A KR 1020170147425 A KR1020170147425 A KR 1020170147425A KR 20170147425 A KR20170147425 A KR 20170147425A KR 20190051589 A KR20190051589 A KR 2019005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heavy
lift
building
heavy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섭
이재명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이장섭
이재욱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이재욱,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장섭
Priority to KR102017014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589A/ko
Publication of KR2019005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의 건물 신축 공사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업용 리프트에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손수레 등을 이용한 적재시 작업자의 노동력 감소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Heavy work bench for work lif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의 건물 신축 공사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업용 리프트에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손수레 등을 이용한 적재시 작업자의 노동력 감소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지면적에 비하여 건물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하여 빌딩, 아파트와 같이 고층으로 건물로 신축공사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층건물의 신축공사시 일차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설치한 후 고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이동시켜 1차적으로 건물높이를 올린다. 1차적으로 건물높이가 올라가면 설치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을 해체시키고, 건물 옆에 작업용 리프트를 설치하여 건물 내부 공사에 사용될 건축자재 물품을 이동시킨다.
건물 옆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작업용 리프트는 설치구조상 지면까지 내려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통 도 1과 같이 작업용 리프트(1)에 벽돌운반용 손수레 등과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건축자재 물품(3)을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경사로 구조물(2)을 설치하고 있다. 건축자재 물품(3)은 보통 지게차로 하역시킬 수 있도록 파렛트(4) 상측에 벽돌 또는 타일(5) 등이 적재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고중량의 건축자재 물품(3)인 벽돌 또는 타일(5)을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실은 후 작업자가 경사로를 타고 운반을 시켜야 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을 요구하는 한편,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도 2와 같이 많은 공사현장에서는 경사로 구조물(2) 옆에 운반할 건축자재 물품(3)을 적재시켜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를 형성시키고, 그 위에 지게차 등의 건설기기를 이용하여 건축자재 물품(3)을 올려 놓은 후 벽돌운반용 손수레 등으로 작업용 리프트(1)에 적재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경사로 구조물(2)의 높이와 일치될 수 있도록 건축자재 물품(3)의 상부에 위치한 일부의 벽돌 또는 타일(5a)을 제거하여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일부의 벽돌 또는 타일(5a)는 별도로 보관을 하다 관리의 부주의로 인하여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의 경우에는 모서리 부근에 있는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이 추락하거나 또는 상부에 놓여지는 건축자재 물품(3) 또는 중량물이 실린 손수레의 이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벽돌 또는 타일(5)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자재 물품을 이용한 작업대(3a)의 모서리 부근에서 추락된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 등에 의하여 공사현장이 번잡해지고, 추락된 상부의 벽돌 또는 타일(5)이 이동로를 막거나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K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층의 건물 신축 공사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벽돌, 타일 등과 같은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업과 작업용 리프트에 건축자재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 작업대는 건물 신축공사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놓여 사용되며,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다리를 가지는 다수의 빔이 결합형태로 이루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바닥판재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다리 하단에 설치된 암나사부재와, 상기 암나사부재와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용 나사축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 하측에 구비된 지지용 밑판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과 지지용 밑판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용 공구를 위한 삽입홀을 형성하는 한쌍의 간극부재용 빔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로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 작업대는 다수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측부분에는 작업용 리프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용 공간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로 설치되는 한쌍 중량물 작업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물 작업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의 결합용 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의 양측면에는 결합용 빔홈에 삽입되는 결합용 빔축이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지주용 중량물 작업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에 의하여 작업용 리프트가 삽입된 리프트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건물 신축공사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설치되어 중량의 건축자재 물품을 1차 하역시켜 적재시킨 후, 작업자가 안전하게 손수레와 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작업용 리프트에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방지 및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바닥에 굴러다니는 벽돌, 블럭 등을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장의 주변 환경을 유지시키기가 용이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 1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빌딩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신축공사시 고중량의 건축자재를 운반하고자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이다.
즉, 본 발명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작업용 리프트에 벽돌 또는 타일과 같은 건축자재를 손수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A)는 작업자가 작업용 리프트(1)에 벽돌 또는 타일과 같은 건축자재를 손수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작업용 리프트(1) 전방 부근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인 중량물 작업대(A)의 구성은 크게 높이조절장치(30)가 구비된 다수의 다리(11)를 가지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바닥판재(2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프레임(10)은 벽돌 또는 타일과 같은 고중량물인 건축자재(3)을 적재하여 임시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빔으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 다리(11)로 사용되는 다수의 빔과, 상기 다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바닥판재(20)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단 가로빔(12)과, 상기 다리(11)의 하측부분에 설치되어 다리(11)를 고정하는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다리고정빔(13)과,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빔(14)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각빔은 용접되어 일체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재(20)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30)는 각 다리(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특히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전용 공구(4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높이조절용 나사축(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높이조절장치(30)는 다리(11) 하단에 설치된 암나사부재(31)와, 상기 암나사부재(31)와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용 나사축(32)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32) 하측에 구비된 지지용 밑판(33)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32)과 지지용 밑판(33)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용 공구(40)를 위한 삽입홀(35)을 형성하는 한쌍의 간극부재용 빔(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나사부재(31)는 보통 너트를 이용한다.
상기 간극부재용 빔(34)은 고중량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봉부재로 이루어지며, 도 7에서와 같이 간극부재용 빔(34)은 환봉 또는 사각봉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용 공구(40)는 특별한 공구가 아니고, 삽입홀(35)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용 나사축(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봉이다.
이러한 중량물 작업대(A)는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다수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물 작업대(A)의 일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들어가도록 제작을 하여 작업용 리프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용 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격되게 설치되는 중량물 작업대(A) 사이에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중량물 작업대(A)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용 빔홈(6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의 양측면에는 결합용 빔홈(61)에 삽입되는 결합용 빔축(6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는 중량물 작업대(A)의 폭(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작업용 리프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용 공간부(50)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도 10과 도 11 참조).
상기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에는 중량물 작업대(A)의 바닥판재(20)와 같이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바닥판재용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는 작업용 리프트(1) 부근에 건축자재를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넓은 공간 제공 및 손수레를 이용한 운반시 경사면을 이동하지 않고 작업용 리프트(1)에 이동시켜 적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용 리프의 주변에서 벽돌 또는 타일 등이 굴러다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A : 중량물 작업대
B :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
10 : 프레임
20 : 바닥판재
30 : 높이조절장치

Claims (5)

  1. 중량물 작업대(A)는 건물 신축공사시 외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축자재 물품을 운반하는 작업용 리프트 부근에 놓여 사용되며,
    높이조절장치(30)가 구비된 다수의 다리(11)를 가지는 다수의 빔이 결합형태로 이루진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바닥판재(2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높이조절장치(30)는, 다리(11) 하단에 설치된 암나사부재(31)와, 상기 암나사부재(31)와 나사결합된 높이조절용 나사축(32)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32) 하측에 구비된 지지용 밑판(33)과, 상기 높이조절용 나사축(32)과 지지용 밑판(33)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용 공구(40)를 위한 삽입홀(35)을 형성하는 한쌍의 간극부재용 빔(3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작업대(A)는 다수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작업대(A)의 일측부분에는 작업용 리프트(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용 공간부(50)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설치되는 한쌍 중량물 작업대(A)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물 작업대(A)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다수의 결합용 빔홈(6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의 양측면에는 결합용 빔홈(61)에 삽입되는 결합용 빔축(6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주용 중량물 작업대(A)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용 중량물 작업대(B)에 의하여 작업용 리프트(1)가 삽입된 리프트용 공간부(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KR1020170147425A 2017-11-07 2017-11-07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KR20190051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5A KR20190051589A (ko) 2017-11-07 2017-11-07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5A KR20190051589A (ko) 2017-11-07 2017-11-07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89A true KR20190051589A (ko) 2019-05-15

Family

ID=6657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25A KR20190051589A (ko) 2017-11-07 2017-11-07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586A (ko) 2022-07-29 2024-02-06 연화건설 주식회사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586A (ko) 2022-07-29 2024-02-06 연화건설 주식회사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3612B2 (ja) 型枠台システムを積み重ねて操作されるリフトトラック及びその操作方法
US20130223962A1 (en)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AU2021102347A4 (en) Device for establishing a platform for landing goods
KR20190051589A (ko)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KR20150086190A (ko) 로터 피봇 시스템
US10526179B2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KR101796643B1 (ko) 트롤리커넥터용 승강식 이동셋팅장치
US7014011B1 (en) Scaffolding lift system
KR20160015772A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20140006180U (ko) 조인트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334703B1 (ko) 중량물 인양용 이동식 지지부재
KR101642691B1 (ko)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CN116568627A (zh) 用于提升竖立模板的点加载式提升叉
AU2016101598A4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 Racking System
JP2011094456A (ja) 荷重支持架台、支持材、及び荷重支持方法
JP2018202877A (ja) 搬送据付調整装置
GB2564411A (en) Containerised system with modules
JP7032901B2 (ja) コンテナ支持架台
KR20170036500A (ko) 개구부 양걸침용 로딩 데크
AU2016277682A1 (en) Transport Device
CN220745231U (zh) 升降搬运装置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JP6920173B2 (ja) ベルトコンベア支持装置
CN206033127U (zh) 一种用于建筑机械的升降载物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