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691B1 -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691B1
KR101642691B1 KR1020150135740A KR20150135740A KR101642691B1 KR 101642691 B1 KR101642691 B1 KR 101642691B1 KR 1020150135740 A KR1020150135740 A KR 1020150135740A KR 20150135740 A KR20150135740 A KR 20150135740A KR 101642691 B1 KR101642691 B1 KR 10164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loading deck
deck
type loading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Priority to KR102015013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은 데크 양측의 H빔의 후단 절반부에 대한 고정이 한 조의 전산볼트와, 슬래브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호 대향하는 전산볼트의 상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하부 고정 플레이트는 슬래브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부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한 H빔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최대 지지 하중을 16톤까지 안전하게 증대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층고의 높이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가 있어 양중물의 반입 및 반출 작업을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도록 하며, 설치 후 해체하여 다른 층으로 신속히 이동 설치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METHOD FOR SLAB END OVERHANGING TYPE LOADING DECK}
본 발명은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로딩 데크의 단부를 신축 또는 리모델링 중인 빌딩의 외부로 돌출 고정함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양중(揚重:lifting)되는 건설 자재의 반입 및/또는 반출을 위한 임시적인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건설 자재의 반입 및/또는 반출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설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의 신축이나 리모델링에 있어서는 신속한 공정 진행을 위하여 타워크레인에 의해 건설 자재를 양중하여 각 공사 진행층으로 이송하여 반입시킴과 아울러, 폐자재나 잉여 자재 등을 반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크레인에 의해 양중된 하중물을 고층 빌딩의 해당층에서 크레인의 로프를 당겨 반입하여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작업원의 추락 위험성이 상존함과 아울러, 작업 효율성도 열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 특허등록 제10-1345143호(2013.12.19.)는 건축물의 발코니(60′)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발코니(60′) 보다 짧은 가로 길이를 갖고, 상기 건축물에 설치된 케이지가 벽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길이보다 긴 세로 길이로 된 데크 판(10′)과, 상기 데크 판(10′)의 둘레에 설치된 추락 방지 프레임(20′)과, 상기 데크 판(10′)과 타워크레인을 연결하는 인양고리와, 상기 데크 판(10′)의 하단에 설치되며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레일(40′)과, 상기 발코니(60′)에 고정되며 캠 형상의 낙하방지구가 설치된 슈(50′)가 구성되어 상기 데크 판(10′)의 레일(40′)과 상기 슈(50′)가 체결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레일(40′)과 슈(50′)가 체결된 상태로 타워크레인과 데크 판(10′)의 인양고리가 연결되어 상층으로 인양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 데크의 운용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지지대, 70은 갱폼이다.
상기한 운용 방법은 두 층 이상의 개방 벽체 구간에 슈(50′)가 고정되는 슈 설치단계와, 개방 벽체 구간 보다 짧은 가로 길이를 갖고, 건축물에 설치된 케이지가 벽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길이보다 긴 세로 길이로 된 데크 판(10′)과 레일(40′)과 인양고리(30′)가 구비된 안전 데크가 인양고리(30′)를 통해 타워 크레인에 연결되어 인양되고, 안전 데크의 레일(40′)이 슈(50′)와 체결되어 안전 데크가 상기 개방 벽체 구간에 밀착, 설치된 후 타워 크레인과 안전고리의 연결을 해체하는 데크 설치단계와, 상기 데크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안전 데크가 타워 크레인이 옮기는 물건의 선착장으로 운영되는 데크 운영단계와, 상기 안전 데크가 타워 크레인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층의 개방 벽체 구간에 설치된 슈(50′)가 분리되어 안전 데크가 인양될 층의 개방 벽체 구간에 이동 설치되는 슈 이동설치단계와, 상기 안전 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상층의 개방 벽체 구간에 설치된 슈(50′)와 안전 데크의 레일(40′)이 체결된 상태로 슈(50′)의 낙하방지구와 레일(40′)의 랙기어형의 돌기가 맞물리어 낙하가 방지되며 연결된 타워 크레인에 의해 다음층으로 안전 데크가 인양되는 데크 인양단계로 구성되어 최저층부터 차상층까지 이동하며 타워 크레인을 직접 이용하여 각 층에 자제를 공급하고, 각 층의 폐기물 수송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 데크의 운용 방법.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건축용 안전 데크 운용 방법은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발코니(60′)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 구조물을 필요로 하므로 아파트가 아닌 통상적인 고층 건축물에는 안전상 적용하기 곤란하며, 케이지 구조를 가지므로 건축물에 외벽에 임시로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구조물과 유사하여 상대적으로 큰 중량물이나 부피가 큰 건설 자재의 적재가 곤란하고, 레일(40′)과 슈(50′)가 체결된 상태로 타워크레인에 의해 양중되는 구조이므로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상층의 개방 벽체 구간에 설치된 슈(50′)와 안전 데크의 레일(40′)이 체결된 상태로 슈(50′)의 낙하방지구와 레일(40′)의 랙기어형의 돌기를 이용함으로 그 설치 및 운용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하여 고층 건물의 신축 또는 리모델링에 적용하여왔던 종래의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2)과, 상기한 H빔(2) 사이의 하부 플랜지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미도시)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5b)가 형성되고 논슬립(non-slip) 표면(5a)을 가지는 랜딩 데크(5)와, 상기한 양단의 H빔(2) 사이에 위치하는 도어(8)와, 상기한 양측의 H빔(2) 상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7)과, 상기한 양측의 H빔(2) 각각의 내측 단부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위치하는 포스트(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포스트(60)는 외측 지주(61)와 그 내부에 상하로 신장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측 지주(62)와, 상기한 내측 지주(6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잭 스크루(63)로 구성되며, 상기한 각각의 H빔(2) 상의 내측 단부 및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포스트(60) 사이에는 핸드 레일(64)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외측 지주상에는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받침판(65)이 고정된다.
상기한 포스트(60) 각각의 내측 지주(62)는 상방으로 인출되어 잭 스크루(63)를 천정 슬래브(도면부호 미부여)에 지지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가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의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는 철골(steel)조, RC(reinforced concrete)조, SRC(steel reinforced concrete)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되어 자재 반입대, 비계 받침대, 임시 야적대, 낙하물 방지틀 등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가능하며, 이동 설치 가능하고, 공사중인 고층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최대 4.5m 까지 돌출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몸을 내밀어 위험하게 양중 자재를 끌어 들일 필요가 없어 안전하며, 탈착 및 설치가 용이하고 효율적 양중 작업으로 공기 단축에 기여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포스트의 내측 지주 단부에 설치된 잭 스크루로 천정 슬래브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최대 5톤 이상의 적재 하중을 지지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바닥으로부터 천정 사이의 층고가 높은 경우에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적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그 설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내측 지주(6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잭 스크루(63)를 들어올려 고정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각각의 H빔(2) 상의 내측 단부 및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포스트(60) 사이에는 핸드 레일(64)을 설치하여야 함과 아울러, 상기한 외측 지주 상에는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받침판(65)을 고정하여 두 명의 작업자가 협업을 하여야 하며, 상기한 핸드 레일(64)과 포스트(60)의 존재는 건설 자재 하역 시 작업 공간의 협소화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345143호(2013.12.19.)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5톤을 초과하여 최대 하중 16톤 까지 지지할 수가 있으며, 층고의 높이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개선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효율적인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포스트나 고정 와이어와 같은 장애물이 없어 양중물의 반입 및 반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효과적인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고층 건물의 신축이나 리모델링시 양중물의 반입 반출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포장된 자재 그대로 필요한 하역층에 하역한 후 리프팅 지게차로 이송 가능하므로 높은 이송 효율성을 보유하며, 크레인의 이동 반경이 축소되어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해체하여 지상으로 랜딩하거나 다른 층으로 이송 가능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해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과, 상기한 H빔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가 형성된 랜딩 데크를 포함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복수의 고정부 설치 개소의 슬래브를 천공하여 상호 대향하는 복수 조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한 홀을 통하여 로프를 내리고 아래층 슬래브 상에서 상기한 로프에,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을 가지는 전산볼트(full threads bolt)를 상기한 고리형 링과 로프 사이에 철선을 개재하여 체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 마다 하부 고정 플레이트를 끼운 후 너트로 고정하고, 상기한 로프를 당겨 올려 상기한 전산볼트의 상단부를 너트로 가고정하고, 상기한 로프를 제거하는 단계와, (D)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상기한 H빔 각각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이 상기한 슬래브 상에 형성된 상호 대향하는 각조의 홀에 가고정된 전산볼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E) 상기한 H빔 각각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전산볼트에 가고정된 너트를 풀고 상기한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에 상부 고정 플레이트를 끼우고 너트로 고정하여 고정부를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단계 (B)에 앞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대상층을 미리 선정하고 정확한 설치 위치를 측정한 후 천공 위치를 미리 마킹하여 둘 수 있다.
상기한 고정부를 H빔 각각의 중반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상기한 H빔 각각의 후단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하부 고정 플레이트의 전산볼트에의 고정은 평와셔를 개재한 너트의 고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의 전산볼트에의 고정은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개재한 너트의 고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한 고정부와 슬래브 사이에는 완충목으로서 합판을 삽지(揷止)하여 둘 수 있다.
상기한 단계 (D)에서는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양측단 H빔 후단부 사이에 견인 로프를 걸고, 상기한 견인 로프를 이용하여 크레인에 의해 양중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고정부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는,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의 저면에 H 형상의 스프레더 바가 설치되고, 상기한 양측 H빔의 상부 플랜지 상에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한 랜딩 데크의 선단부에는 양측 H빔을 연결하는 선단 지지대가 설치되고, 양측의 H빔의 상부 플랜지 선단부에 내측 열림 스윙도어가 설치되며, 양측의 H빔에 복수의 양중용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과, 상기한 각각의 H빔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가 형성된 랜딩 데크와, 상기한 각각의 H빔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의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한 각각의 고정부는 슬래브를 관통하여 상기한 H빔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며,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을 가지는 한 조의 전산볼트와, 상기한 한 조의 전산볼트의 상하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한 슬래브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한 전산볼트와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와, (B)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 상의 너트를 풀고 상부 고정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C) 크레인에 연결 지지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지상에 랜딩하거나 또는 다른 설치 개소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해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단계 (B)에서는, 상부 고정 플레이트 제거 후 너트를 전산볼트 상에 가고정하여 둘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후, 상기한 전산볼트 각각에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한 로프를 아래층으로 내려 아래층에서 너트를 풀어 하부 고정 플레이트와 전산볼트를 제거한 다음, 로프를 당겨 빈 로프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은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최대 지지 하중을 16톤까지 안전하게 증대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층고의 높이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가 있어 양중물의 반입 및 반출 작업을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도록 하며, 설치 후 해체하여 다른 층으로 신속히 이동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투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설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방법에 의하여 설치 완료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상태 저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건축용 안전 데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로딩 테크(loading deck)”라는 용어는 신축 또는 리모델링 중인 빌딩, 특히 고층 빌딩의 외부로 테크의 단부가 슬래브 외측으로 돌출 고정됨으로써, 크레인에 의해 양중(揚重:lifting)되는 건설 자재의 반입 및/또는 반출을 위한 임시적인 통로를 형성하여 건설 자재의 반입 및/또는 반출을 용이하게 및 효율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가 있는 임시적 또는 일시적인 건설 자재 하역 플랫폼(platform)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랜딩 테크(loading deck)”라는 용어는 상기한 “로딩 테크”에서 건설 자재의 임시적 또는 일시적인 하역이 이루어지는 바닥판을 지칭하는 한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상기한 “랜딩 데크”는 논슬립 패턴이 형성된 금속 강판으로 형성되고 내측 단부에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램프(ramp)가 형성되며, 상기한 램프 부분은 슬래브 상에 위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설치 방법 및 해체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투시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기본 구성은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2)과, 상기한 H빔(2)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2b)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3)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ramp)(5b)가 형성된 랜딩 데크(landing deck)(5) 및, 상기한 H빔(2) 각각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의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부(6)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복수의 고정부(6) 각각은 적어도 상하부에 나사부(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래브(20)를 관통하여 상기한 H빔(2) 각각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6a)와, 상기한 슬래브(2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호 대향하는 상기한 전산볼트(6a)의 상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6d,6e)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하부 고정 플레이트(6e)는 슬래브(20)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6d)는 상기한 H빔(2)의 상면을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상기한 랜딩 데크(5)는 후단부의 램프(5b)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이 신축 또는 리모델링 중인 고층 건축물의 슬래브(20) 외부의 허공으로 돌출 고정된다.
상기한 고정부(6)의 설치 개소 및 설치 수효는 본 발명에 있어 임의 선택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는 상기한 H빔(2) 각각의 중반부와 후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H빔(2) 각각의 중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6)는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2개 설치되고, 상기한 H빔(2) 각각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고정부(6)는 1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한 H빔(2) 각각의 중반부에 위치하는 고정부(6)는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한 H빔(2) 각각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고정부(6)도 1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한 고정부(6)의 설치 개소 및 설치 수효는 지지 하중과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중량, 너비, 돌출 길이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6d,6e)에 의한 상기한 H빔(2)의 지지 고정은 상기한 전산볼트(6a)의 나사부(6c)에 대한 와셔(9a) 및 너트(9)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상부 고정 플레이트(6d)에 의한 상기한 H빔(2)의 지지 고정은 풀림 방지를 통한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한 전산볼트(6a)의 나사부(6c)에 대한 평와셔(9a) 및 스프링 와셔(9b)(도 8 참조)와 너트(9)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고, 슬래브(20) 저면에 밀착되는 상기한 하부 고정 플레이트(6e)에 의한 상기한 H빔(2)의 지지 고정은 상기한 전산볼트(6a)의 나사부(6c)에 대한 평와셔(9a) 및 너트(9)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적절한 종류의 다른 다양한 와셔를 채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슬래브(20)와 H빔(2)의 고정부(6) 사이에는 건설 자재 하역 시 충격 완화를 위한 합판을 지지 완충목으로서 삽지(揷止)하여 둘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전산볼트(6a)는 상부 및 하부에 일정 길이의 나사부(6c)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편의성 또는 적용 다양성을 위하여 전산볼트(full threads bolt)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S45C와 같이 열처리하여 강성을 강화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전산볼트(6a)의 헤드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오목부로 형성되는 한편, 고리형 링(6b)은 그 기부 외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고리형 링(6b)이 상기한 전산볼트(6a)의 상기한 헤드 내에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고 나사결합 해제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설치 및 해체 편의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는 각관(3a)을 용접하여 형성되며,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의 양측 단부는 상기한 H빔(2)의 하부 플랜지(2b) 상에 놓여진 상태로 용접 고정되어 랜딩 데크(5)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랜딩 데크(5)의 견고한 지지를 더욱 담보할 수 있도록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의 대략 중앙부에 H 형상의 스프레더 바(spreader bar)(4)를 더욱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랜딩 데크(5) 상방의 상기한 H빔(2)의 상부 플랜지(2a) 상에는 부주의로 인한 하역물의 낙하 방지 또는 작업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상의 이유로 사이드 패널(7)이 설치되며, 상기한 사이드 패널(7)의 설치는 내측 하단부를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한 H빔(2)의 상부 플랜지(2b)에 끼운 후, 하방으로부터 너트(미도시)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한 랜딩 데크(5)의 선단부에는 양측 H빔(2)을 연결하는 선단 지지대(8a)가 설치되고, 양측의 H빔(2)의 상부 플랜지(2a) 선단부에는 내측 열림 스윙 도어(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H빔(2)에는 크레인에 의한 양중 시 균형을 맞출 수가 있는 적절한 복수 개소, 바람직하게는 4개소에 양중용 고리(도면부호 미부여: 도 9 참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랜딩 데크(5)의 표면에는 안전상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non-slip) 패턴(5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안전펜스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방법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설치 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준비 단계: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2)과, 상기한 H빔(2)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2b)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3)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5b)가 형성된 랜딩 데크(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미리 제작하여, 신축 중또는 리모델링 중인 고층 빌딩 공사 현장으로 이송하여 준비시킨다.
(B) 슬래브(20) 천공 단계: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대상층 및 설치 위치를 선정한 후, 복수의 고정부(6) 설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천공 위치를 마킹한 후, 천공기를 이용하여 슬래브(20) 상에 마킹된 천공 위치에서 천공하여 상호 대향하는 복수 조의 홀(21)을 형성한다.
(C) 고정부(6) 가고정 단계:
상호 대향하는 복수 조의 홀(21) 중 상호 대향하는 각 조의 홀(21) 마다 로프(10)를 아래층으로 내리고(도 4 참조), 아래층 슬래브(20 상에서 상기한 로프(10)에,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6b)을 가지는 전산볼트(full threads bolt)(6a)를 상기한 고리형 링(6b)과 로프(10) 사이에 철선(11)을 개재하여 체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6a)들을 하부 고정 플레이트(6e)를 끼운 후 밑에서 와셔(9a)를 개재하여 너트(9)로 고정하고(도 5 참조), 이어서 위층의 슬래브(20) 상에서 상기한 로프(10)를 당겨 끌어 올리고(도 6 참조), 홀(21)이 형성된 위층의 슬래브(20) 상으로 끌어 올려진 상기한 한 조의 전산볼트(6a)의 상단부를 평와셔(9a) 및 스프링 와셔(9b)를 개재하여 너트(9)로 가고정하여 상기한 고정부(6)를 홀(21)이 형성된 위층의 슬래브(20) 상에 가고정한 다음, 상기한 로프(10)를 제거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한 전산볼트(6a)에 대한 로프(10)의 체결은 상기한 전산볼트(6a)의 헤드에 나사결합된 전술한 고리형 링(6b)을 이용한 철선(11)을 개재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적절한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D)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 위치 단계:
준비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크레인(도 10의 도면부호 30 참조)으로 양중하여 상기한 H빔(2) 각각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을 상기한 상호 대향하는 각조의 홀(21)에 가고정된 전산볼트(6a) 사이에 위치시킨다(도 9 참조).
이 때 필요하다면, 상기한 양측 H빔(2)의 후단부 사이에 견인 로프(34)를 연결하여 작업자들이 상기한 견인 로프(34)를 슬래브(20) 안쪽에서 안전하게 견인함으로써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는 크레인에 의하여 여전히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도르래를, 32는 후크를, 33은 양중 와이어를, 40은 골조를 각각 나타낸다.
(E) 고정부(6) 고정 단계:
크레인으로 지지된 상태로 지정 위치에 안착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양측의 각각의 H빔(2) 양측에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전산볼트(6a)(도 8 및 도 9 참조)를 상방으로 당긴 후, 가고정 너트(9)를 풀고 상기한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6a)들에 상부 고정 플레이트(6d)를 끼우고, 평와셔(9a) 및 스프링 와셔(9b)를 개재한 상태로 너트(9)를 조여 고정함으로써, 상기한 하부 고정 플레이트(6e)는 슬래브(20)의 저면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6d)는 상기한 H빔(2)의 상면, 즉 상부 플랜지(2a)를 위로부터 지지 고정한다.
상기한 전산볼트(6a)에 대한 로프(10)의 체결은 전산볼트(6a)의 헤드에 고리형 링(6b)을 나사 결합한 후, 철선(11)을 이용하여 상기한 고리형 링(6b)과 로프(10)를 상호 연결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0)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의 저면에 H 형상의 스프레더 바(4)가 형성되고, 상기한 랜딩 데크(5) 상방의 상기한 H빔(2) 상에 사이드 패널(7)이 설치되며, 상기한 랜딩 데크(5)의 선단부에 양측 H빔을 연결하는 선단 지지대(8a)가 형성되고 양측의 H빔(2) 선단부에 내측 열림 스윙도어(8)가 설치되며, 상기한 랜딩 데크(5)의 표면은 논슬립(non-slip) 패턴 형성면으로 형성됨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설치 방법에 따라 설치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는 크레인에 의해 건설 자재가 하역되면 지게차(미도시)의 앞바퀴가 랜딩 데크(5)의 램프(5b)까지 진입하여 건설 자재를 포장 상태 그대로 반입할 수 있으며, 반출 작업 또한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건설 자재의 반입 및 반출이 매우 효과적으로 신속히 수행될 있다.
이하, 설치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0)를 보관 장소로의 이송 또는 타 위치로의 설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0)의 해체 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크레인 지지 단계: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2)과, 상기한 각각의 H빔(2)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2b)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3)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3)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5b)가 형성된 랜딩 데크(5)와, 상기한 각각의 H빔(2)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의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부(6)를 가지며, 상기한 각각의 고정부(6)가 슬래브(20)를 관통하여 상기한 H빔(2)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며,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6b)을 가지는 한 조의 전산볼트(6a)와, 상기한 한 조의 전산볼트(6a)의 상하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한 슬래브(2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6d,6e)와, 상기한 전산볼트(6a)와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6d,6e)를 고정하는 너트(9) 및 와셔(9a)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크레인(30)에 연결하여 지지한다.
(B) 고정 해제 단계: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6d) 상의 너트(9)를 풀어 상부 고정 플레이트(6d)를 제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C) 크레인(30) 양중 이송 단계:
크레인(30)에 연결 지지된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를 지상에 랜딩하거나 또는 다른 설치 개소로 이동시킨다.
위의 상기한 단계 (B)에서는, 상부 고정 플레이트(6d)를 제거한 후, 전산볼트(6a)에 너트(9) 및 와셔(9a)를 가고정하여 상기한 전산볼트(6a)가 밑으로 빠지지 않게 임시 고정하여 두는 것이 작업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1)가 크레인(30)에 의해 이송되어 위치 이탈하면, 상기한 전산볼트(6a) 각각에 로프(10)를 연결한 후, 상기한 로프(10)를 내리고 아래층에서 너트(9)를 풀어 하부 고정 플레이트(6e)와 전산볼트(6a)를 제거한 다음, 로프(10)를 당겨 빈 로프(10)를 제거함으로써, 고정부(6)를 완전히 해체한다.
또한 부연하면, 상기한 전산볼트(6a)에 대한 로프(10)의 체결은 헤드에 고리형 링(6b)을 나사결합한 후 철선(31)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
2: H빔
2a: 상부 플랜지 2b: 하부 플랜지
3: 격자상 구조체 3a: 각관
4: 스프레더 바(spreader bar)
5: 랜딩 데크(landing deck)
5a: 논슬립(non-slip) 표면 5b: 램프(ramp)
6: 고정부
6a: 전산볼트 6b: 고리형 링
6c: 나사부 6d: 상부 고정 플레이트
6e: 하부 고정 플레이트
7: 사이드 패널 8: 스윙 도어
8a: 선단 지지대
9: 너트
9a: (평)와셔 9b: 스프링 와셔
10: 로프 11: 철선
20: 슬래브 21: 홀
30: 크레인
31: 도르래 32: 후크
33: 양중 와이어 34: 견인 로프
40: 골조
50: 안전펜스 51: 낙하물 방지망

Claims (12)

  1.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A)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과, 상기한 H빔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가 형성된 랜딩 데크를 포함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제공하는 단계:
    (B) 복수의 고정부 설치 개소의 슬래브를 천공하여 상호 대향하는 복수 조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한 홀을 통하여 로프를 내리고 아래층 슬래브 상에서 상기한 로프에,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을 가지는 전산볼트(full threads bolt)를 상기한 고리형 링과 로프 사이에 철선을 개재하여 체결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 마다 하부 고정 플레이트를 끼운 후 너트로 고정하고, 상기한 로프를 당겨 올려 상기한 전산볼트의 상단부를 너트로 가고정하고, 상기한 로프를 제거하는 단계;
    (D)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상기한 H빔 각각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이 상기한 슬래브 상에 형성된 상호 대향하는 각조의 홀에 가고정된 전산볼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E) 상기한 H빔 각각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전산볼트에 가고정된 너트를 풀고 상기한 상호 대향하는 한 조의 전산볼트에 상부 고정 플레이트를 끼우고 너트로 고정하여 고정부를 설치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B)에 앞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대상층을 선정하고 정확한 설치 위치를 측정한 후 천공 위치를 마킹하여 두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를 H빔 각각의 중반부에는 적어도 2개 설치하고, 상기한 H빔 각각의 후단부에는 적어도 1개 설치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고정 플레이트의 전산볼트에의 고정이 평와셔를 개재한 너트의 고정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의 전산볼트에의 고정이 평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개재한 너트의 고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와 슬래브 사이에 완충목으로서의 합판을 삽지하여 두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D)에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양측단 H빔 후단부 사이에 견인 로프를 걸고, 상기한 견인 로프를 이용하여 크레인에 의해 양중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고정부 위치에 안착시키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의 저면에 H 형상의 스프레더 바가 설치되고, 상기한 양측 H빔의 상부 플랜지 상에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며, 상기한 랜딩 데크의 선단부에는 양측 H빔을 연결하는 선단 지지대가 설치되고, 양측의 H빔의 상부 플랜지 선단부에 내측 열림 스윙도어가 설치되며, 양측의 H빔에 복수의 양중용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방법.
  10.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해체 방법:
    (A) 양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H빔과, 상기한 각각의 H빔의 선단부에서 중반부에 이르는 영역의 하부 플랜지 상에 위치하는 격자상 구조체와, 상기한 격자상 구조체 상에 위치하며 후단부에 램프가 형성된 랜딩 데크와, 상기한 각각의 H빔의 중반부에서 후단부에 이르는 영역의 복수 개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한 각각의 고정부는 슬래브를 관통하여 상기한 H빔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며, 헤드 내측의 나사산이 형성된 오목부 내에 나사 결합된 고리형 링을 가지는 한 조의 전산볼트와, 상기한 한 조의 전산볼트의 상하 단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한 슬래브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한 전산볼트와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단계;
    (B) 상기한 상부 고정 플레이트 상의 너트를 풀고 상부 고정 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크레인에 연결 지지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를 지상에 랜딩하거나 또는 다른 설치 개소로 이동시키는 단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B)에서, 상부 고정 플레이트 제거 후 너트를 전산볼트 상에 가고정하여 두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해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후, 상기한 전산볼트 각각에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한 로프를 아래층으로 내려 아래층에서 너트를 풀어 하부 고정 플레이트와 전산볼트를 제거한 다음, 로프를 당겨 빈 로프를 제거하는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해체 방법.

KR1020150135740A 2015-09-24 2015-09-24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64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740A KR101642691B1 (ko) 2015-09-24 2015-09-24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740A KR101642691B1 (ko) 2015-09-24 2015-09-24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691B1 true KR101642691B1 (ko) 2016-08-10

Family

ID=5671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740A KR101642691B1 (ko) 2015-09-24 2015-09-24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325A (zh) * 2020-09-25 2021-01-05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施工悬挑模板结构
KR20240028644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중하중 적재 데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071A (ko) * 2002-05-11 2002-06-21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장치.
KR200321373Y1 (ko) * 2003-04-15 2003-07-31 이정학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KR200370431Y1 (ko) * 2004-09-17 2004-12-14 박재민 리프팅 소켓
KR20120000921U (ko) * 2010-07-28 2012-02-08 이상선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101345143B1 (ko) 2011-11-29 2014-01-16 권종규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071A (ko) * 2002-05-11 2002-06-21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장치.
KR200321373Y1 (ko) * 2003-04-15 2003-07-31 이정학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KR200370431Y1 (ko) * 2004-09-17 2004-12-14 박재민 리프팅 소켓
KR20120000921U (ko) * 2010-07-28 2012-02-08 이상선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101345143B1 (ko) 2011-11-29 2014-01-16 권종규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7325A (zh) * 2020-09-25 2021-01-05 山西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施工悬挑模板结构
KR20240028644A (ko)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중하중 적재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US20150152653A1 (en) Platform
KR101642690B1 (ko)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42691B1 (ko)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US7836656B2 (en) Tower module, system and method
US10337194B2 (en) Work platform system configured for use structure with internal cavity, and relate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JP4237445B2 (ja) 構造物の取扱方法
CN208966003U (zh) 一种外悬挑式移动操作平台
JP5589183B2 (ja) 円筒状構築物の足場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CN106320716B (zh) 高层建筑施工用可调式分区卸料平台
WO2011072328A1 (en) A loading platform
WO2014192564A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1733948B1 (ko) 개구부 양걸침용 로딩 데크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JP4180615B2 (ja) 建物解体工法
KR101871834B1 (ko) 건설용 조립식 발판
JP5948828B2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KR20240028644A (ko) 중하중 적재 데크
CN220184583U (zh) 一种新型巨柱钢构操作平台
CN113863647B (zh) 一种适用于多口径的自提升电梯井防护操作平台
RU2107131C1 (ru) Способ демонтажа и монтажа плит покрыт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