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373Y1 -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 Google Patents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373Y1
KR200321373Y1 KR20-2003-0011529U KR20030011529U KR200321373Y1 KR 200321373 Y1 KR200321373 Y1 KR 200321373Y1 KR 20030011529 U KR20030011529 U KR 20030011529U KR 200321373 Y1 KR200321373 Y1 KR 200321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nsion member
upper plate
floo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학
Original Assignee
이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학 filed Critical 이정학
Priority to KR20-2003-0011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6Scaffold with cantilevered sections, e.g. to accommodate overhangs or recesses in the faca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또는 토목 시공시 자재의 층간 운반을 위해, 일부가 건축물 외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나와있는 플랫폼 설비(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에 일부가 걸쳐진 채 나머지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12) 및 그 상판부(12)의 저면에서 그 상판부를 가로질러 건축물의 플로어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14)를 일체로 갖는 가설대(10)와; 상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부재(14) 상에 수직지지력을 가하는 제 1 지지부(20)와; 일단이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건축물의 천정부근에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을 잡아 고정하는 제 2 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platform equipment for carrying materials between floors}
본 고안은 건축/토목 시공을 위한 플랫폼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의 시공시 건축물의 외부로 가설대가 수평되게 연장되어지도록 되어 있되, 그 가설대가 건축물에 견고히 지지되어 층간 자재 운반에 이용되어지는 플랫폼 설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건축/토목 시공시,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의 내측에서 시공에 이용된 예를 들면, 거푸집 등의 자재들을 상층 또는 하층으로 운반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에 대해, 건축물의 외벽부근에 자재 인양을 위한 플랫폼 설비를 설치한 후 크레인 등으로 자재를 인양하는 공정이 당업계에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공정에 설치되는 플랫폼은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크거나 작업상의 안전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고안자는 구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상의 안전이 보장된 플랫폼 설비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의 가설대가 일부 건축물 내측에서 일부 지지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안정된 구조를 이루며, 그 가설대의 설치가 매우 단순하고 설치비용이 매우 저렴한 층간자재 운반용 플랫폼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 플랫폼 설비의 측단면로서, 상기 플랫폼 설비의 상판부, 연장부재를 나나태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 플랫폼 설비의 측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부가 건축물 외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나와있는 플랫폼 설비를 제공하며, 이 플랫폼 설비는,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에 일부가 걸쳐진 채 나머지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 및 그 상판부의 저면에서 그 상판부를 가로질러 건축물의 플로어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를 일체로 갖는 가설대와; 상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부재 상에 수직지지력을 가하는 제 1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가설대의 선단 양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건축물의 천정부근에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가설대의 선단 양쪽을 잡아 고정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가설대의 저면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접하는 스톱퍼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그 스톱퍼가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판부는 상기 건축물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된 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재 상에 위치되어 그 연징부재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의 천장을 가압하고 있는 직립형의 지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재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앵커유닛(anchor unit)이며, 그 앵커유닛은, 콘크리트의 플로어에 미리 매립되어 있는 앵커너트와, 상기 연장부재에 부착된 채 상기 앵커너트에 체결되어지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이고, 도 2는 도 1 플랫폼 설비(1)의 상판부, 직선형 연장부재가 보여지도록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건축 또는 토목 시공시, 자재의 층간 운반에 이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설비(1)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플랫폼 설비(1)는 전체적으로 가설대(10), 그 가설대(1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20 및 30)을 포함하며, 가설대(10)는 건축물에 일부가 걸쳐진 채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수단(20 및 30)은 그 가설대(10)를 수평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설대(10)는, 크레인(미도시) 등에 의해 고층으로 용이하게 운반되어질 수 있도록, 2조 1세트로 이루어진 채 볼트 체결구(2)에 의해 조립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가설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2) 및 이 상판부(12)의 저면에 부착결합되어 있는 직선형의 연장부재(14)를 포함하고 있다.
상판부(12)는 소정두께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상판(12a) 및 이 상판(12a)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부착된 복수의 횡보강재(12b;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파이프)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2)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그 상판(12a)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난간(19)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한편, 직선형 연장부재(14)는 상기의 횡보강재(12b)에 교차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선단은 대략 상판(12a)의 우측면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고 그 기단은 상판(12a)의 좌측면을 지나 건축물의 내측 플로어(floor)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직선형 연장부재(14)는 상판부(12)를 가로질러 건축물의 내측 플로어까지 연장되어 있는 "ㄷ"형강재(14a, 14b)로 이루어져 있다.
이 "ㄷ"형강재(14a, 14b)는 서로 이격된 채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ㄷ" 형강재(14a, 14b) 사이에는 크레인의 후크(미도시됨)에 연결되는 연결고리(15)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ㄷ"형강재(14a, 14b)와 연결고리(15)의 부착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되어질 수 있다.
이 때, 이 연결고리(15)가 외부로 크레인 후크에 의해 걸려질 수 있도록 상판부(12)의 상판(12a)에는 그 연결고리(15)의 노출을 허용하는 개방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고리(121)는 상기의 플랫폼 설비(1)가 건축물에 가설되기 전 크레인에 의해 건축물의 상층으로의 보다 용이하게 운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판부(12)의 저면에는 상기 연장부재(14)와 평행하게 복수의 종보강재(13)가 부착되어 상판부(12)를 더욱 보강해주는데, 본 실시예에서, 그 종보강재(13) 또한 "ㄷ"형강재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 및 종부강재(13)의 저면에는 스톱퍼(17)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스톱퍼(17)는 건축물의 외벽(3)과 접하여, 상기의 상판부(10)를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과, 건축물의 내측에서 플로어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 나누는 기능을 한다.
결국, 이 스톱퍼(17)는 가설대(10)의 일부가 건축물의 플로어에 대략 반쯤 걸쳐진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하의 지지수단(20 및 30)과 함께 보다 견고히 상기 가설대(1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수단은 연장부재(14)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지주로 되어 있는 제 1 지지부(20)와,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을 잡아주는 와이어(30)로 되어 있는 제 2 지지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지주(supporter)로 되어 있는 제 1 지지부(20)는 일단이 연장부재(14) 상에 위치되고 타단이 건축물의 천정을 가압하도록 위치되는 직립상태로 설치되어, 상기의 연장부재(14)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누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 1 지지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장부재(14) 상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 때, 연장부재(14)는 자체의 상면에 목재로 되어진 고정목(16)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고정목(16)은 지주와 실질적으로 접하는 부분으로서 연장부재 상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앵글(16a)에 의해 부착고정된다.
이 고정목(16)은 강재(steel material)로 되어 있는 연장부재의 본체에 비해 지주에 대한 마찰력 또는 수직방향 변형이 더욱 커서 가설대의 보다 견고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2 지지부인 한 쌍의 와이어(30)는, 일단이 건축물의 천정부근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 1 지지부(20)와 함께 가설대(10)의 바람직한 수평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설비(1)가 설명되어질 것이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고,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 생략되어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설비(1)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플랫폼 설비(1)의 제 1 지지부(20)가 앞선 실시예와 달리 앵커 유닛임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앵커 유닛(20)은 앞선 실시예의 지주와 달리 건축물의 천정과 상호작용없이 직접 연장부재(14)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건축물 내 작업공간의 감소를 방지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앵커유닛(20)은 너트구멍 입구만을 제외하고 건축물의 플로어에 미리 매립되어 있는 앵커너트(32)와, 연장부재(14)에 고정부착된 채 상기 앵커너트(32)와 체결되어지는 앵커볼트(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앵커너트(32)는, 연결볼트(33)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1)에 미리 부착되어지며,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에 부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에 미리 매립된다.
그 후, 연장부재(14)를 관통한 앵커볼트(34)가 상기의 앵커너트(32)에 체결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의 앵커유닛(30)은 연장부재(14) 상에 수직지지력을 가하게 된다. 이 때, 앵커볼트(34)와 앵커너트(32) 사이에는 판형의 앵커와셔(35)가 함께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자재 운반용 플랫폼 설비는, 건축 및 토목공사시 건축물 또는 토목구조물에 대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가설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건축 또는 토목 시공시 자재의 층간 운반을 위해, 일부가 건축물 외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되어 나와있는 플랫폼 설비(1)로서,
    상기 건축물의 플로어에 일부가 걸쳐진 채 나머지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12) 및 그 상판부(12)의 저면에서 그 상판부를 가로질러 건축물의 플로어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14)를 일체로 갖는 가설대(10)와;
    상기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연장부재(14) 상에 수직지지력을 가하는 제 1 지지부(20)와;
    일단이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건축물의 천정부근에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가설대(10)의 선단 양쪽을 잡아 고정하는 제 2 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대(10)의 저면에는 건축물의 외벽(3)에 접하는 스톱퍼(17)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그 스톱퍼(17)가 상기 건축물의 외벽(3)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판부(12)는 상기 건축물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된 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설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20) 일단이 상기 연장부재(14) 상에 위치되어 그 연장부재(14)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의 천장을 가압하고 있는 직립형의 지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설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20)는 상기 연장부재(14를 건축물의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앵커유닛(anchor unit)이며,
    그 앵커유닛은, 콘크리트의 플로어에 미리 매립되어 있는 앵커너트(32)와, 상기 연장부재(14)에 부착된 채 상기 앵커너트(32)에 체결되어지는 앵커볼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대(10)는,
    크레인에 의해 고층으로 용이하게 운반되어지도록 2조 1세트로 이루어져 있고,
    그 크레인의 후크에 걸려지는 연결고리(15)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설비.
KR20-2003-0011529U 2003-04-15 2003-04-15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KR200321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29U KR200321373Y1 (ko) 2003-04-15 2003-04-15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29U KR200321373Y1 (ko) 2003-04-15 2003-04-15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373Y1 true KR200321373Y1 (ko) 2003-07-31

Family

ID=4941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529U KR200321373Y1 (ko) 2003-04-15 2003-04-15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3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91B1 (ko) * 2015-09-24 2016-08-10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20190120954A (ko) 2018-04-17 2019-10-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설 플랫폼을 이용한 철도 성토노반 보강 공법
KR20210113896A (ko) 2020-03-09 2021-09-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임시 플랫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691B1 (ko) * 2015-09-24 2016-08-10 주식회사 삼기슈퍼데크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20190120954A (ko) 2018-04-17 2019-10-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설 플랫폼을 이용한 철도 성토노반 보강 공법
KR20210113896A (ko) 2020-03-09 2021-09-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임시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195B2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200321373Y1 (ko)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JP4203441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0757321B1 (ko) 천정거푸집용 멍에 받침대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JP2006347721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JP3011939U (ja) 押し引きサポートの取付用治具および取付構造
US1763677A (en) Falsework clamp
EP0473609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MPOSITE POS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1290853A (ja) 合成床板
US20040261339A1 (en) Safety barrier
KR100255585B1 (ko)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KR102524591B1 (ko)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JP4445366B2 (ja) タワークレーン架台設置部の補強方法
CN217812263U (zh) 一种电梯井用脚手架支撑结构
KR200428552Y1 (ko) 상승식 가설대용 고정슈
KR200277918Y1 (ko)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KR940008490Y1 (ko) 건축용 가설 난간지주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0137976Y1 (ko) 버팀대 받침용 가설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