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585B1 -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585B1
KR100255585B1 KR1019970077086A KR19970077086A KR100255585B1 KR 100255585 B1 KR100255585 B1 KR 100255585B1 KR 1019970077086 A KR1019970077086 A KR 1019970077086A KR 19970077086 A KR19970077086 A KR 19970077086A KR 100255585 B1 KR100255585 B1 KR 10025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fitting hole
installa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7046A (ko
Inventor
정삼룡
김석호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7007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5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축물의 시공시 엘리베이트 핏트 내측벽면에 설치되어 제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바닥에서부터 지지되는 비계기둥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필요한 높이에만 간단히 설치하여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a) 그 내부에 핏트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벽체(10) 타설시에 일정위치마다 매립너트(20)를 매립하는 매립너트의 매립단계와, b) 상기 매립너트(20)에 고정볼트(31)로 부착되는 부착판부(32)와, 상기 부착판부(32)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개방되는 연결판부(33)와, 상기 연결판부(33)의 내측에 부착되며 파이프끼움공(34a)이 형성되는 클램프부(34)로 만들어지는 결속용클램프(30)를 부착하는 결속용클램프의 부착단계와, c) 상기 결속용클램프(30)의 파이프끼움공(34a)에 지지파이프(40)를 결속하는 지지파이프의 결속단계와, d) 상기 지지파이프(40)의 상부에 디딤발판(50)을 얹어서 고정하는 디딤발판의 설치단계로 완료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본 발명은 고층건축물의 시공시 엘리베이트 핏트 내측벽면에 설치되어 제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바닥에서부터 지지되는 비계기둥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필요한 높이에만 간단히 설치하여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시공할 때 안전사고 위험이 많지만, 특히 가장 많은 곳중의 하나가 엘리베이터 핏트이다. 엘리베이터 핏트는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할 때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한 후에 엘리베이터 설치까지는 바닥에서 상층부까지 통공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한번 실족으로 귀중한 생명을 잃게되는 위험한 부분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핏트 내부에서 수행되는 콘크리트벽체작업 등의 제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설작업판이 요구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트 핏트(Pit)내 가설작업판은 그 최하단부가 바닥에 지지되고 상부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클램프 등으로 결속되는 수직파이프들과, 상기 수직파이프들의 일정높이마다 수평으로 연결되어 역시 클램프 등으로 결속되는 수평파이프들과, 상기 수평파이프들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디딤발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수직파이프들이 바닥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결속되어야 하며, 일정높이마다 수평파이프들을 결속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가설자재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의 것은 가설자재가 많이 소요됨으로써 가설자재비가 증대되고 가설자재비를 반입 반출하는데 소요되는 자재운반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수직 및 수평파이프를 철거할 때 최상층에서부터 바닥까지 철거해야 하므로 철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수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서부터 상부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수직파이프들과 일정높이마다 설치되는 수평파이프들로 이루어지는 비계기둥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다만 작업이 필요한 층에서만 가설작업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가설자재비 및 운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주며, 셋째, 철거시에 철거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a)도 - 제1(d)도는 본 발명 가설작업판의 설치순서를 나타내는 공정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수평파이프 결속용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2(b)도는 제2(a)도의 요보확대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수직파이프 결속용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3(b)도는 제3(a)도의 요부확대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경사파이프 결속용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4(b)도는 제4(a)도의 요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벽체 20 : 매립너트
30 : 결속용클램프 30a : 수평파이프 결속용클램프
30b : 수직파이프 결속용클램프 30c : 경사파이프 결속용클램프
31 : 고정볼트 32 : 부착판부
32a : 장공 33 : 연결판부
34 : 클램프부 34a : 파이프끼움공
40 : 지지파이프 41 : 수평파이프
42 : 수직파이프 43 : 경사파이프
50 : 디딤발판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은 제1(a)도 내지 제1(d)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 그 내부에 핏트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벽체(10) 타설시에 일정위치마다 매립너트(20)를 매립하는 매립너트의 매립단계와, b) 상기 매립너트(20)에 고정볼트(31)로 부착되는 부착판부(32)와, 상기 부착판부(32)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개방되는 연결판부(33)와, 상기 연결판부(33)의 내측에 부착되며 파이프끼움공(34a)이 형성되는 클램프부(34)로 만들어지는 결속용클램프(30)를 엘리베이트벽체(10)에 부착하는 결속용클램프의 부착단계와, c) 상기 결속용클램프(30)의 파이프끼움공(34a)에 지지파이프(40)를 끼워서 결속하고 그 지지파이프(40)에 장선등을 설치하는 지지파이프의 결속단계와, d) 상기 지지파이프(40)의 직상부에 디딤발판(50)을 얹어서 고정하는 디딤발판의 설치단계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서부터 필요한 층까지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지지되는 비계기둥을 설치하여 자재비 및 운반비를 증대시키며 철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엘리베이트벽체(10)를 시공할 때에 매립너트(20)를 미리 매입시켜서 결쇽용클램프(30)를 그 매립너트(20)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고, 지지파이프(40)들을 결속용클램프에 결속시킨 후, 그 지지파이프 상부에 디딤발판(50)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필요한 층에서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립너트(20)는 제1(c)도 내지 제4(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10)내부에 어느정도 정착길이를 특수제작하여 벽체(10)를 시공할 때 필요한 높이마다 매립시키게 된다.
상기 결속용클램프(30)는 제1(b)도, 제2(b)도, 제3(b)도, 제4(b)도에서 매립너트(20)에 고정볼트(31)로 부착되는 부착판부(32)와, 상기 부착판부(32)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개방되는 연결판부(33)와, 상기 연결판부(33)의 내측에 부착되며 파이프끼움공(34a)이 형성되는 클램프부(34)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속용클램프(30)는 부착판부(32)에 뚫려진 장공(32a)을 통하여 고정볼트(31)로 매립너트(2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파이프끼움공(34a)을 통하여 지지파이프(40)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속용클램프(30)를 고정볼트(31)로 매립너트(20)에 고정할 때 연결판부(33)의 하부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고정볼트의 조임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용클램프(30)는 상기 클램프부(34)의 파이프끼움공(34a)의 형태에 따라 기능이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즉, 제2(a)도 및 제2(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이프끼움공(34a)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수평파이프(41)를 결속하는 것을 예시해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상기 제1(a)도 내지 제1(d)도에서 예시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 같은 수평파이프 결속용클램프(30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파이프(41)에 직접적으로 디딤발판(5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이프끼움공(34a)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직파이프(42)를 결속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해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수직파이프 결속용클램프(30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직파이프(42)에 다시 수평파이프(41) 및 경사파이프(43)를 지지시킨 후에, 그 수평파이프(41)상에 디딤발판(50)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제4(a)도 및 제4(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이프끼움공(34a)이 360˚ 회전가능하게 만들어져서 경사파이프(43)를 결속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해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경사파이프 결속용클램프(30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단, 박공지붕 등의 경사가 이루어지는 곳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클램프부(34)가 360˚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수평파이프 결속용클램프 및 수직파이프 결속용클램프의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경사파이프 결속용클램프(30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4(a)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파이프(43)상에 설치되는 작업발판(50)은 계단식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가설작업판의 철거작업은 설치순서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디딤발판(50)을 걷어내고, 파이프끼움공(34a)을 풀어서 지지파이프(40)를 철거하고, 고정볼트(31)를 풀어서 결속용클램프(30)를 떼어 냄으로써 철거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매립너트(20)는 1회용으로 엘리베이트벽체(10) 내부에 매립되며, 결속용클램프(30)는 상부층 설치시에 재사용 된다.
한편, 본명세서에서 상기 콘크리트벽체(10)와 엘리베이트벽체(10)는 상호 동일하게 사용되는 용어임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트벽체(10)를 시공할 때에 그 엘리베이트벽체 내부에 필요한 위치마다 매립너트(20)들을 미리 매립시키고, 그 매립너트(20)들에 결속용클램프(30)들을 견고하게 부착시키고, 그 결속용클램프(30)들의 파이프끼움공(34a)들에 지지파이프(40)들을 결속시키고, 그 지지파이프(40) 상부에 디딤발판(50)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첫째,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도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가설자재비 및 운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철거시에 철거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은 엘리베이트벽체(10)를 시공할 때에 매립해 둔 매립너트(20)에 결속용클램프(30)를 견고하게 부착시켜서 그 결속용클램프(30)들의 파이프끼움공(34a)에 지지파이프(40)를 결속시킨 후에, 그 지지파이프(40)의 직상부에 디딤발판(50)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바닥에서부터 지지되는 비계기둥이 없이도, 필요한 층에서만 간편하게 가설작업판을 설치하여 핏트내부의 제반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a) 그 내부에 핏트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벽채(10) 타설시에 일정위치마다 매립너트(20)를 매립하는 매립너트의 매립단계와, b) 상기 매립너트(20)에 고정볼트(31)로 부착되는 부착판부(32)와, 상기 부착판부(32)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개발되는 연결판부(33)와, 상기 연결판부(33)의 내측에 부착되며 파이프끼움공(34a)이 형성되는 클램프부(34)로 만들어지는 결속용클램프(30)를 부착하는 결속용클램프의 부착단계와, c) 상기 결속용클램프(30)의 파이프끼움공(34a)에 지지파이프(40)를 결속하고 그 지지파이프(40)에 장선등을 설치하는 지지파이프의 결속단계와, d) 상기 지지파이프(40)의 상부에 디딤발판(50)을 얹어서 고정하는 디딤발판의 설치단계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4)의 파이프끼움공(34a)이 수평방향으로 만들어져서 수평파이프(41)를 결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4)의 파이프끼움공(34a)이 수직방향으로 만들어져서 수직파이프(42)를 결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34)의 파이프끼움공(34a)이 360。 회전가능하게 만들어져서 경사파이프(43)를 결속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KR1019970077086A 1997-12-29 1997-12-29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KR10025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86A KR100255585B1 (ko) 1997-12-29 1997-12-29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086A KR100255585B1 (ko) 1997-12-29 1997-12-29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046A KR19990057046A (ko) 1999-07-15
KR100255585B1 true KR100255585B1 (ko) 2000-05-01

Family

ID=1952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086A KR100255585B1 (ko) 1997-12-29 1997-12-29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835B1 (ko) * 2001-01-30 2004-02-05 이창남 지하실 철근콘크리트 영구 합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04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585B1 (ko)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JPS639622Y2 (ko)
KR200317236Y1 (ko) 난간지주 고정구
KR200321373Y1 (ko)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JPH0536042Y2 (ko)
JP2503452Y2 (ja) 工業化住宅の施工用足場構造
JP2000073561A (ja) 外部支柱の設置方法
CN113216536B (zh) 一种钢结构建筑楼梯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180006Y1 (ko) 수평파이프 결속용 클램프
KR830002140B1 (ko) 건물의 조립방법
KR200180008Y1 (ko) 경사파이프 결속용 클램프
JPH0522765U (ja) 吊り足場枠
KR19980010326U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H0449322Y2 (ko)
JP3125149U (ja) 屋根用落下防止装置
KR19990029986U (ko) 수직파이프 결속용 클램프
KR910006600Y1 (ko)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JPH028025Y2 (ko)
JPH0438030Y2 (ko)
EP0229460B1 (en) Improved building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JPS647150Y2 (ko)
JP6619918B2 (ja) ガードポスト
KR920004955Y1 (ko) 비계 발판용 재치대
JP2023142340A (ja) 下がり壁の底型枠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