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34B1 - 건설용 조립식 발판 - Google Patents
건설용 조립식 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1834B1 KR101871834B1 KR1020170161274A KR20170161274A KR101871834B1 KR 101871834 B1 KR101871834 B1 KR 101871834B1 KR 1020170161274 A KR1020170161274 A KR 1020170161274A KR 20170161274 A KR20170161274 A KR 20170161274A KR 101871834 B1 KR101871834 B1 KR 101871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block
- foot
- support member
- footh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발판(100)에 관한 것으로서, U볼트 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발판블록(110)과; 레벨풋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판블록(110)의 하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부재(120)와; U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판(130)과; 상기 지지부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30)의 U볼트 체결공(131)과 발판블록(110)의 U볼트 체결공(111)에 삽입되고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141)에 고정 너트(14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를 고정하는 U볼트(140)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외주연에는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의 레벨풋 체결공(121)에 삽입되고 나사산(151)에 조절 너트(15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나사산(151)의 선단에 고정 너트(153)가 체결되어 지지부재(120)에 고정되는 레벨풋(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되 볼트, 너트 방식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통행로의 폭과 길이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한 건설 현장 요구사항에 대해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용 조립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설용 조립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건설 현장에서는 작업자와 작업 자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임시적으로 리프트(호이스트)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이러한 리프트는 대개 건물의 발코니 외측에 입설된 다수개의 지주에 설치되어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고, 발코니에는 리프트의 출입구에 작업자 및 작업 자재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 출입문이 설치된다. 따라서, 리프트에 작업자 또는 작업자재를 상차하거나 하차하기 위해서 리프트 출입문을 개방한 다음 상차 또는 하차가 진행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 출입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 또는 작업 자재를 상차 또는 하차시키게 되는데, 대개 발코니는 돌출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차 또는 하차에 불편함이 있다. 즉, 작업자가 돌출 단턱에 걸려 넘어져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또는 손수레를 사용하여 작업 자재를 이송시키는 경우 손수레의 바퀴가 턱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개의 건설현장에서는 리프트 출입문 통행로에 안전 발판을 설치하여 운반용 손수레 및 작업자가 안전하게 리프트 출입문을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안전 발판은 발코니의 돌출 단턱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평판형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지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서포트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지지판과 서포트부는 일반적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건설 현장에서는 발코니의 돌출 단턱의 높이가 각각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건설 현장에 적용된 안전 발판은 다른 건설현장에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된다. 또한, 안전 발판의 크기나 구조 또한 각 건설 현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게 요구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 발판은 지지판의 크기 및 서포트부의 결합 위치 등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재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리프트 출입문용 안전 발판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되고 있으며, 현장 사정에 따라 직접 현장에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 및 부피가 증가하여 운반 및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일부 제품은 건설 공정 중 바닥 방수작업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바닥 높이가 변동되면 별도 교체 및 조정을 통하여 대응 가능하도록 발판에 클립을 고정하고 높이를 맞춘 후 파이프에 고정하여 발판 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고 하중 시 클립 미끄러짐이나 풀림으로 발판 간 연결부가 이탈할 수 있어 사고위험이 있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방호울상에 호이스트 진입을 위해 수평발판대와 경사발판대를 구성하되, 상기 수평발판대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사각 형태의 수평프레임을 설치하여 프레임 상부로 다수의 발판을 조립 설치하고, 상기 경사발판대는 사각 형태의 경사프레임 상부로 다수의 발판을 조립 설치하여 상기 경사프레임 상측단에 형성된 걸고리로 수평발판대의 프레임 전방이나 측방에서 걸어 경사지게 조립 설치되는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폭과 길이가 다양한 건설 현장 요구사항에 대해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를 소형화 및 표준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현장 사정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설용 조립식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은,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에서 왕래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 발판으로서, U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발판블록과; 레벨풋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판블록의 하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U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을 지지함과 아울러 2개의 발판블록들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발판블록과 지지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판과; 상기 지지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의 U볼트 체결공과 발판블록의 U볼트 체결공에 삽입되고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고정 너트가 체결되어 발판블록과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U볼트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레벨풋 체결공에 삽입되고 나사산에 조절 너트가 체결되어 발판블록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나사산의 선단에 고정 너트가 체결되어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레벨풋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발판은, 복수개의 발판블록들이 통행로를 따라 연장 배치되어 조절 너트를 이용한 각 발판블록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수평 발판 또는 경사 발판을 형성하되, 수평 발판과; 상기 수평 발판의 이웃하는 수평 발판, 또는 수평 발판과; 상기 수평 발판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 또는 경사 발판과; 상기 경사 발판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은, 각각 경계부가 하나의 동일한 지지부재 및 받침판으로 동시 지지되고, 상기 레벨풋은, 조립식 발판의 하중이 레벨풋의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판블록은 응력 강화를 위한 보강대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되 볼트, 너트 방식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하면서 통행로의 폭과 길이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한 건설 현장 요구사항에 대해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표준화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클립이 아닌 볼트, 너트 방식에 의한 조립 구조로서 조립부품 간 슬립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벨풋을 적용하여 현장 사정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벨풋을 설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직하중에 최적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 안전 발판을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은,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통행로의 폭과 길이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한 건설 현장의 요구사항에 대해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의 소형화 및 표준화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현장 사정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은,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발판으로서, 크게 발판블록(110), 지지부재(120), 받침판(130), U볼트(140) 및 레벨풋(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블록(11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특수 설계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소정의 위치에 U볼트 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블록(110)은 응력 강화를 위하여 스틸 등의 보강대(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블록(110)의 표면에는 안전을 위하여 미끄럼 방지용 무늬나 요철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원형 파이프 등의 형태로서 상기 발판블록(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판블록(110)의 하측면에 밀착 설치되는데, 소정의 위치에 레벨풋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130)은 일종의 브래킷으로서 판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상기 발판블록(110)을 지지함과 아울러 2개의 발판블록(110)들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의 사이에 개재되는데, 소정의 위치에 U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볼트(140)는 U자 형태로 생긴 볼트로서, U자의 양측단에는 나사산(1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30)의 U볼트 체결공(131)과 발판블록(110)의 U볼트 체결공(111)에 삽입되고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141)에 고정 너트(14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U볼트(140)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30)의 U볼트 체결공(131)에 삽입되어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141)에 고정 너트(142)가 1차적으로 체결되어 발판블록 지지대 받침이 되고 다시 그 위에 상기 U볼트(140)가 상기 발판블록(110)의 U볼트 체결공(111)에 삽입되어 필요 시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141)에 고정 너트(142)가 2차적으로 체결되어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레벨풋(15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외주연에는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120)의 레벨풋 체결공(121)에 삽입되고 나사산(151)에는 조절 너트(15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고, 나사산(151)의 선단에는 고정 너트(153)가 체결되어 지지부재(1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은 복수개의 상기 발판블록(110)들을 통행로의 폭과 길이 및 높이에 따라 연장 배치하여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며, 레벨풋(150)에 의해 발판블록(11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수평 발판(100A)과 경사 발판(1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판블록(110)들이 통행로를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는데, 조절 너트(152)를 이용한 각 발판블록(1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수평 발판(100A) 또는 경사 발판(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발판들 즉,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수평 발판(100A), 또는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 또는 경사 발판(100B)과 상기 경사 발판(100B)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은, 이들 간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경계부가 하나의 동일한 지지부재(120) 및 받침판(130)으로 동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풋(150)은, 상기 조립식 발판(100)의 하중이 레벨풋(150)의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달되어 최적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판블록(110)들이 통행로를 따라 연장 배치될 수 있는데, 조절 너트(152)를 이용한 각 발판블록(1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수평 발판(100A) 또는 경사 발판(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발판들 즉,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수평 발판(100A), 또는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 또는 경사 발판(100B)과 상기 경사 발판(100B)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은, 이들 간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경계부가 하나의 동일한 지지부재(120) 및 받침판(130)으로 동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풋(150)은, 상기 조립식 발판(100)의 하중이 레벨풋(150)의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달되어 최적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식 발판(100)의 설치가 필요한 현장 즉,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서로 분리된 상태의 발판블록(110), 지지부재(120), 받침판(130), U볼트(140) 및 레벨풋(150)을 운반한다.
그 다음에, U볼트(140)와 고정 너트(142)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20)와 받침판(130)을 고정시키되 수평 발판용 또는 경사 발판용에 따라 받침판(130)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정한다. 이때, 지지부재(120)와 받침판(130)은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보관되어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현장 상황에 따른 경사를 만들기 위해 받침판(130)의 설치 각도만 조정하면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에 조절 너트(152)와 고정 너트(153)를 이용하여 레벨풋(150)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발판블록(110)의 U볼트 체결공(111)에 앞서 조립된 U볼트(140)를 삽입함으로써 조립식 발판(100)을 조립하며, 필요 시 추가로 U볼트(140)에 고정 너트(142)를 체결하여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통행로를 따라 복수개의 발판블록(110)들을 연장 배치하여 조립식 발판(10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조절 너트(152)를 이용하여 각 발판블록(11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평 발판과 경사 발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발판(100)에서 경사를 필요로 하는 발판의 경우, 지지부재(120)와 받침판(130)의 조립 시 원하는 경사각을 만들어 주어 지지부재(120)에 레벨풋(150)의 조립 시 레벨풋(150)을 설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사 발판인 경우에도 발판의 수직하중에 최적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설치 방식 중 클립 체결 방식에서의 경사 발판인 경우 발판에 수직으로 지지대가 설치될 수 밖에 없어 반대로 설치 바닥면과는 경사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바닥면과의 경사로 인해 발판의 수직하중에 최적 대응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 발판의 경우, 수평 발판-경사 발판 및 경사 발판-경사 발판 간에 소정의 고리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이들이 쉽게 이탈하여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100)의 경우, 수평 발판과 이웃하는 경사 발판을 하나의 동일한 지지부재(120) 및 받침판(130)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들을 연결하므로 연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되어 이탈이나 기울어짐 등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설치 후, 조립식 발판(100)의 해체가 필요한 경우, 지지부재(120)로부터 발판블록(110)을 해체함과 아울러 레벨풋(150)을 분리하여, 크게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 받침판(130) 및 U볼트(140)로 이루어진 지지 모듈과, 레벨풋(150)의 총 3가지 부품으로 분리하여 편리하게 운반되고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되 볼트, 너트 방식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작업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통행로의 폭과 길이 및 높이에 따라 다양한 건설 현장 요구사항에 대해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표준화에 따른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적용했던 클립이 아닌 볼트, 너트 방식에 의한 조립 구조로서 조립부품 간 슬립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대로서 레벨풋을 적용하여 현장 사정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벨풋을 설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직하중에 최적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조립식 발판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립식 발판 110 : 발판블록
111 : U볼트 체결공 112 : 보강대
120 : 지지부재 121 : 레벨풋 체결공
130 : 받침판 131 : U볼트 체결공
140 : U볼트 141 : 나사산
142 : 고정 너트 150 : 레벨풋
151 : 나사산 152 : 조절 너트
153 : 고정 너트
111 : U볼트 체결공 112 : 보강대
120 : 지지부재 121 : 레벨풋 체결공
130 : 받침판 131 : U볼트 체결공
140 : U볼트 141 : 나사산
142 : 고정 너트 150 : 레벨풋
151 : 나사산 152 : 조절 너트
153 : 고정 너트
Claims (3)
- 건설용 리프트와 건물 내부 사이의 통행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발판(100)으로서,
U볼트 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발판블록(110)과;
레벨풋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판블록(110)의 하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부재(120)와;
U볼트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발판블록(110)을 지지함과 아울러 2개의 발판블록(110)들의 연결을 위해 상기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의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판(130)과;
상기 지지부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30)의 U볼트 체결공(131)과 발판블록(110)의 U볼트 체결공(111)에 삽입되고 양측단에 형성된 나사산(141)에 고정 너트(14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과 지지부재(120)를 고정하는 U볼트(140)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외주연에는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의 레벨풋 체결공(121)에 삽입되고 나사산(151)에 조절 너트(152)가 체결되어 발판블록(110)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나사산(151)의 선단에 고정 너트(153)가 체결되어 지지부재(120)에 고정되는 레벨풋(150)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발판(100)은,
복수개의 발판블록(110)들이 통행로를 따라 연장 배치되어 조절 너트(152)를 이용한 각 발판블록(11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수평 발판(100A) 또는 경사 발판(100B)을 형성하되,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수평 발판(100A), 또는
수평 발판(100A)과;
상기 수평 발판(100A)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 또는
경사 발판(100B)과;
상기 경사 발판(100B)의 이웃하는 경사 발판(100B)은, 각각 경계부가 하나의 동일한 지지부재(120) 및 받침판(130)으로 동시 지지되고,
상기 레벨풋(150)은, 상기 조립식 발판(100)의 하중이 레벨풋(150)의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설치되는 건설용 조립식 발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블록(110)은 응력 강화를 위한 보강대(1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조립식 발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274A KR101871834B1 (ko) | 2017-11-29 | 2017-11-29 | 건설용 조립식 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274A KR101871834B1 (ko) | 2017-11-29 | 2017-11-29 | 건설용 조립식 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1834B1 true KR101871834B1 (ko) | 2018-06-27 |
Family
ID=6278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1274A KR101871834B1 (ko) | 2017-11-29 | 2017-11-29 | 건설용 조립식 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18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638B1 (ko) * | 2018-08-23 | 2020-02-18 | 최명수 | 비계 설치를 위한 비계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149Y1 (ko) * | 2000-12-12 | 2001-05-15 | 김성덕 | 호이스트 출입문 통행로의 발판 지지대 |
-
2017
- 2017-11-29 KR KR1020170161274A patent/KR1018718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149Y1 (ko) * | 2000-12-12 | 2001-05-15 | 김성덕 | 호이스트 출입문 통행로의 발판 지지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638B1 (ko) * | 2018-08-23 | 2020-02-18 | 최명수 | 비계 설치를 위한 비계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5330B1 (ko) |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 |
KR101654483B1 (ko) |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 |
US6715729B2 (en) | Overhanging form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JP2009541612A (ja) | 建設現場用階段 | |
US20060027726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US20080017448A1 (en) |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 |
JP2010059632A (ja) | 吊足場 | |
US7836656B2 (en) | Tower module, system and method | |
KR102152766B1 (ko) |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 |
EP3453643A1 (en) | Modular skid assembly and method of transporting an electrical module | |
KR101871834B1 (ko) | 건설용 조립식 발판 | |
US3927518A (en) | Site assembled multi-story stair | |
JPH08199580A (ja) | 斜面昇降装置 | |
KR102558279B1 (ko) |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 |
KR101168205B1 (ko) |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 |
EP1206611B1 (en) | Scaffolding | |
KR200298436Y1 (ko) |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해체 이동카 | |
KR101642691B1 (ko) |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 |
JP5807883B1 (ja) | 吊足場 | |
KR200397402Y1 (ko) |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 |
JP4317673B2 (ja) |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 | |
CN110644781B (zh) | 预制叠合板安装调整装置及方法 | |
KR100554474B1 (ko) |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 |
GB2550562A (en) | Scaffold | |
KR102597764B1 (ko) | 인양시스템 일체식 낙하방지망 및 그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