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766B1 -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766B1
KR102152766B1 KR1020200056477A KR20200056477A KR102152766B1 KR 102152766 B1 KR102152766 B1 KR 102152766B1 KR 1020200056477 A KR1020200056477 A KR 1020200056477A KR 20200056477 A KR20200056477 A KR 20200056477A KR 102152766 B1 KR102152766 B1 KR 10215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er
wire hoop
hoop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환
Original Assignee
오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환 filed Critical 오영환
Priority to KR102020005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의 상단면 위에 위치되되, 상기 교각의 상단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슈를 둘러싼 상태로 위치되는 제1와이어후프를 포함하는 교량점검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A bridge inspection equipment with increased safety}
본 발명은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교각, 슈 또는 슈에 받쳐지는 상부구조 등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설치된 교량점검시설에서 교량점검통로의 파손에 따른 점검자의 낙상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자 교각의 상단면 위에 이중적인 안전장치인 와이어후프를 구비시켜, 점검자가 교량점검통로를 통하여 이동할 경우 점검자에 장착되는 안전띠에 연결된 걸고리가 이러한 와이어후프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교량점검시설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교량은 상부구조인 상판을 하부구조인 교각이 슈(Shoe)를 매개로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교각, 슈 및 슈가 받치고 있는 상부구조 등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각각의 교각에는 교량점검시설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점점시설은 철재구조물인 고정지지대가 교각의 벽면에 통상 앵커볼트로서 고정되기 때문에 교각의 손상이 발생되기 쉬운데, 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교각에 고정된 앵커볼트가 헐거워지면서 교량점검통로의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교량점검통로가 흔들리는 등의 구조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추락의 위험성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즉,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앵커식 교량점검시설은 교량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수십 개의 앵커볼트를 교각에 먼저 삽입 시공하고 교각 측부의 지지대와 교각 주변의 점검통로를 서로 볼트 결합시켜 구성되는바, 설치 후 장시간이 흐르면서 시멘트인 교각에 결합된 앵커볼트의 파손과 부식이 발생하여 결국 교각의 내하력을 저하시켜 안전율이 저하됨은 물론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79059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앵커식이 아닌 걸이식으로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에 대해 단순 결합되는 거치식으로 교각 상부의 단차에 제한없이 개개의 구조물을 간단하게 서로 볼트고정시키는 결합방식으로 시공시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시 해체작업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으면서 구조적으로도 안정된 내구성을 갖도록 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이 기존의 교량점검시설보다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조립식으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여전히 교량점검시설이 교각의 벽면에서 또는 어떠한 손상으로 교각에서 분리될 위험성이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교량점검통로로 이동하는 점검하는 점검자의 안전성이 여전히 고려되어야 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점검자에 대한 이중적인 안전장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즉, 교량점검통로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더라도 점검자의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중적인 안전장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량점검통로의 파손에도 불굴하고 점검자가 낙상되지 않도록 점검자의 이중적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교량점검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중적인 안전장치에 따른 안정성 증대와 동시에 여전히 점검작업의 편리성의 유지되거나 증대될 수 있는 교량점검시설을 제공하고하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은, 교각(100)의 상단면 위에 위치되되,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슈(200)를 둘러싼 상태로 위치되는 제1와이어후프(4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의 각각의 코너 부분에 위치된 일정한 높이의 와이어포스트(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는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되면서 상기 교각(10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에 위치되되, 상기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와이어후프(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 중 각각의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된 부분에서 최단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에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연결와이어(43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200) 및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는 다수이며,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는 각각의 상기 슈(200)의 둘레마다 하나씩 밀착되며,
각각의 상기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 각각은 상기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되며,
다수의 상기 슈(200) 중 어느 하나의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슈(20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다른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다른 제2와이어후프(440)가 제2보조연결와이어(450)로 연결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슈(200) 중 일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와 마직막으로 위치된 슈(200)에만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 및 상기 마직막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만이 상기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교량점검통로가 파손되더라도 안전띠에 연결된 걸고리가 제1와이어후프에 걸린 상태에서 점검자가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에 따른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교량점검통로가 파손되더라도 점검자는 걸고리에 의해 제1와이어후프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점검자는 제1와이어후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낙상을 면할 수 있다.
나아가, 교량점검통로의 파손으로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면서 교각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제1와이어후프가 떨어지는 한쪽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로 인하여 제1와이어후프의 쏠림이 최소화되는 바,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정도를 최소화함에 따라 안전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점검자가 교량점검통로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걸고리가 걸리는 제1와이어후프가 교각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자리에 위치됨에 따라 점검자의 이동에 따라 걸고리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점검자의 점검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은 상부구조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에 대한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에 대한 제1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에 대한 제2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은 교량점검통로(300), 제1와이어후프(420) 및 제2와이어후프(440)를 포함한다.
교량점검통로(300)는 교각(100)의 상단면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통로(300)는 교각(100)의 상단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장착된 지지포스트(320), 교각(100)의 가장자리에서 지지포스트(320)에 연결됨과 동시에 교각(100)의 상단면 인근의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메인포스트(340), 메인포스트(340)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받침대(360), 받침대(360)의 타측에서 위로 세워지는 난간대(380)를 포함한다.
점검자가 지지되는 받침대(360) 및 난간대(380)는 메인포스트(3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메인포스트(340)는 교각(100)의 벽면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술한 지지포스트(320)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메인포스트(340)가 지지포스트(3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받침대(360) 등에 미치는 하중이 메인포스트(340)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메인포스트(340)는 교각(100)의 상단면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지지포스트(320)에 의해 지지된다.
교각(100)의 벽면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된 메인포스트(340)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앵커볼트 등의 낙후로 메인포스트(340)의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앵커볼트의 파손으로 메인포스트(340)가 교각(100)의 벽면에서 분리됨에 따라 점검자의 낙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앵커볼트 등에 고정된 메인포스트(340)와 달리, 교각(100)의 상단면에 가로 및 세로로 위치된 지지포스트(3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경우 지지포스트(320)가 파손되지 않은 이상 그 지지력이 지속되는 바, 점검자의 낙상 문제가 최소화된다.
이러한 교량점검통로(300)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재질이면 어느 재질이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유리섬유(GFRP)일 수 있다. 특히, 받침대(360)는 알루미늄이나 유리섬유(GFRP)가 바람직하다. 도로 제설작업 등으로 인하여 염화물 등이 교량점검통로(300)의 받침대(360)에 떨어지는 경우, 알루미늄이나 유리섬유가 아닌 재질의 경우 빠른 부식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량점검통로(300) 특히, 받침대(360)의 경우에는 알루미늄이나 유리섬유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교량점검통로(300)의 파손에 따른 점검자의 낙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이중적 안전장치인 제1와이어후프(420) 및 제2와이어후프(4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와이어후프(420) 및 제2와이어후프(440)는 일단에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이 이어진 후프 형태이다. 이러한 제1와이어후프(420) 및 제2와이어후프(440)는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의 일단과 타단을 와이어클립이나 기타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와이어후프(420)는 교각(100)의 상단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위치된다. 교량점검통로(300)가 파손되어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순간에, 점검자의 안전띠에 연결된 걸고리(500)가 제1와이어후프(420)에 걸려 있어 점검자가 낙상되는 위험이 최소화된다.
제1와이어후프(420)는 교각(100) 상단면에 위치되는 슈(200)를 둘러싼 상태에서 위치된다. 슈(200)에는 상부구조가 안착되는 바, 슈(200)를 둘러싼 제1와이어후프(420)가 연결된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더라고 제1와이어후프(420)가 슈(200)에 걸릴 수밖에 없는 바, 점검자가 걸고리(500)에 매달린 상태로 위치되어 낙상문제가 최소화된다.
교량점검통로(300)는 교각(100)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걸고리(500)가 너무 긴 경우 이동할 때마다 걸고리(500)를 별도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으로 교량점검통로(300)로 이동하는 점검자의 점검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걸고리(500)의 길이는 점검자의 이동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짧은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은 교각(100)의 상단면의 각각의 코너 부분에 위치된 일정한 높이의 각각의 와이어포스트(410)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제1와이어후프(420)가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되면서 교각(10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와이어포스트(410)는 교각(100)의 상단면의 코너 부분에 위치된다. 이러한 와이어포스트(410)에 제1와이어후프(420)가 거치된다. 즉, 제1와이어후프(420)가 교각(100)의 상단면 위에 위치되되, 와이어포스트(410)에 걸친 상태로 위치되는 바 교각(100) 상단면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짧은 걸고리(500)에도 불구하고 점검자가 교량점검통로(300)로 이동됨에 따라 점검자의 안전띠에 연결된 걸고리(500)가 이러한 제1와이어후프(420)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걸고리(5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아 점검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교각(100) 상단면의 가장자리와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슈와의 거리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제1와이어후프(420)는 교각(100) 상단면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된다.
교량점검통로(300)가 파손되어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우선적으로 와이어포스트(410)에 의해 떨어지는 점검자가 지지된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외력으로 와이어포스트(410)가 파손되는 경우, 제1와이어후프(420) 중 걸고리(500)가 연결된 부분에서 점검자가 떨어짐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쏠리게 되고, 제1와이어후프(420)의 다른 부분이 당겨짐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쏠리는 부분으로 이동되되, 슈(200)에 걸릴 때까지 이동된다. 최종적으로 슈(200)에 걸림에 따라 제1와이어후프(420)가 아래방향으로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따라서 점검자도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걸고리(500)를 거쳐 제1와이어후프(420)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점검자의 낙상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제1와이어후프(420)가 슈(200)에 걸리기까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점검자가 떨어지는 거리가 길면 길수록, 제1와이어후프(420)가 슈(200)에 걸리자마자 걸고리(500)에 걸린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이르는 순간의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충격 또한 점검자의 신체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점검통로(300)의 파손으로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더라도 그 떨어지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점검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시설은 제1와이어후프(420)와 연결된 제2와이어후프(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와이어후프(440)는 슈(200)에 밀착된 상태로 슈(200)를 둘러싼다. 따라서, 제2와이어후프(440)는 슈(20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는 바, 별도로 쏠리거나 이동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제1와이어후프(420)와 제2와이어후프(440)는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연결된다. 제1보조연결와이어(430)는 제1와이어후프(420) 중 각각의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된 부분에서 최단거리에 위치되는 제2와이어후프(440)에 최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와이어후프(420)와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의 연결부분을 와이어포스트(410)가 위치되는 부분에 한정시킬 수 있다.
걸고리(500)가 제1와이어후프(420)에 걸린 상태에서 점검자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바, 연결부분이 발생되어 별도로 걸고리(500)를 제1와이어후프(420)에서 풀고 이후 연결부분을 건너 다시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하는 작업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차피 와이어포스트(410)가 위치되는 지점에서는 걸고리(500)를 풀고 와이어포스트(410)를 지난 후 다시 제1와이어후프(420)에 걸어야 하기 때문에, 제1보조연결와이어(430)를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하되 와이어포스트(410)에 위치된 제1와이어후프(420) 부분에 연결한다.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된 제1와이어후프(420) 부분에서 제2와이어후프(440)로 연결되는 경우 최단거리로 제2와이어후프(440)에 연결되도록 한다. 교량점검통로(300)의 파손으로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1와이어후프(420)가 슈(200)에 걸릴 때까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보조연결와이어(430)가 이동될 수 있는 여지의 길이만큼만 떨어지도록 하여 그 떨어지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하기 위함이다. 교량점검통로(300)의 파손으로 초래할 수 있는 점검자의 신체손상을 최소화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와이어후프(420)와 제2와이어후프(440)를 연결하는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슈(200) 및 제2와이어후프(440)는 다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제2와이어후프(440)는 각각의 상기 슈(200)의 둘레마다 하나씩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 각각은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될 수 있다. 교량점검통로(300)가 파손되어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와이어포스트(410)가 파손된 상태에서 제1보조연결와이어(430)가 걸고리(500)가 위치된 제1와이어후프(420) 부분과 일직선이 될 때까지만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후프(420)가 슈(200)에 걸릴 때까지 떨어지는 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인 바, 점검자의 신체적 손상을 최소화한다.
나아가, 다수의 슈(200) 중 어느 하나의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와, 어느 하나의 슈(20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다른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다른 제2와이어후프(440)가 제2보조연결와이어(450)로 연결될 수 있다.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의 회전을 제한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일례를 설명하면, 걸고리(500)가 위치된 점검자가 아래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좌측에 있는 제1보조연결와이어(430)가 걸고리(5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해진 외력으로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연결된 제2와이어후프(440)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에 있는 제2와이어후프(440)에도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2보조연결와이어(450)의 연결로 인하여 좌측 및 우측에 있는 제2와이어후프(440)의 회전력에 대항하는 바, 결국 제2와이어후프(440)의 회전이 제한된다. 결국,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와이어후프(420)와 제2와이어후프(440)를 연결하는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슈(200) 및 제2와이어후프(440)는 다수인 상태에서,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슈(200) 중 일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와 마직막으로 위치된 슈(200)에만 제2와이어후프(440)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 및 마지막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만이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일례를 설명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보조연결와이어(430)가 걸고리(500)가 위치된 제1와이어후프(420) 부분과 일직선이 될 때까지만 떨어지게 되며, 나아가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제1보조연결와이어(430)가 걸고리(500)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쏠리는 바 제2와이어후프(44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교각
200: 슈
300: 교량점검통로
320: 지지포스트 340: 메인포스트 360: 받침대 380: 난간대
410: 와이어포스트 420: 제1와이어후프 430: 제1보조연결와이어 440: 제2와이어후프 450: 제2보조연결와이어
500: 걸고리

Claims (5)

  1. 교각(100)의 상단면 위에 위치되되,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슈(200)를 둘러싼 상태로 위치되는 제1와이어후프(420)를 포함하며,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의 각각의 코너 부분에 위치된 일정한 높이의 와이어포스트(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는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되면서 상기 교각(10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에 위치되되, 상기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와이어후프(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 중 각각의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된 부분에서 최단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에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연결와이어(4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슈(200) 및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는 다수이며,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는 각각의 상기 슈(200)의 둘레마다 하나씩 밀착되며,
    각각의 상기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제2와이어후프(440) 각각은 상기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되며,
    다수의 상기 슈(200) 중 어느 하나의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슈(20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다른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다른 제2와이어후프(440)가 제2보조연결와이어(450)로 연결되는 교량점검시설.
  2. 교각(100)의 상단면 위에 위치되되,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슈(200)를 둘러싼 상태로 위치되는 제1와이어후프(420)를 포함하며,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의 각각의 코너 부분에 위치된 일정한 높이의 와이어포스트(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는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되면서 상기 교각(10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에 위치되되, 상기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와이어후프(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 중 각각의 상기 와이어포스트(410)에 거치된 부분에서 최단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에 최단거리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1보조연결와이어(4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각(100)의 상단면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슈(200) 중 일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와 마직막으로 위치된 슈(200)에만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며,
    상기 처음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 및 상기 마직막으로 위치된 슈(200)의 둘레에 밀착된 상기 제2와이어후프(440)만이 상기 제1보조연결와이어(430)에 의해 상기 제1와이어후프(420)에 연결되는 교량점검시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6477A 2020-05-12 2020-05-12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KR10215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77A KR102152766B1 (ko) 2020-05-12 2020-05-12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477A KR102152766B1 (ko) 2020-05-12 2020-05-12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766B1 true KR102152766B1 (ko) 2020-09-07

Family

ID=7247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477A KR102152766B1 (ko) 2020-05-12 2020-05-12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446A (zh) * 2022-05-25 2022-07-22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下承式可自动升降的桥墩高空施工防坠装置
KR20220131867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103B1 (ko) * 2005-08-30 2007-01-19 김병규 교량 점검대
KR100684173B1 (ko) * 2005-04-19 2007-02-20 주식회사 엘엔비 교량 점검용 자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73B1 (ko) * 2005-04-19 2007-02-20 주식회사 엘엔비 교량 점검용 자켓
KR100672103B1 (ko) * 2005-08-30 2007-01-19 김병규 교량 점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867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시공방법
KR20220131866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CN114775446A (zh) * 2022-05-25 2022-07-22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下承式可自动升降的桥墩高空施工防坠装置
CN114775446B (zh) * 2022-05-25 2023-08-18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下承式可自动升降的桥墩高空施工防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766B1 (ko) 안전성이 증대된 거치식 교량점검시설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JPS59501465A (ja) 片持ばり工法による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橋の分割注型装置
KR101527782B1 (ko)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US20220178092A1 (en) Wind-resistant suspension bridge
CN110835889B (zh) 单柱墩式高架桥加固装置
KR20070030728A (ko) 네비게이션 채널 횡단 통로용 교량
KR100974192B1 (ko) 갱폼추락방지구
KR100592196B1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KR100838317B1 (ko) 타워크레인의 타워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3091917A (ja) 進入規制装置
JP3349463B2 (ja) 増設桁の架設方法
KR101346702B1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EP1206611B1 (en) Scaffolding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1871834B1 (ko) 건설용 조립식 발판
JP2017166268A (ja) 落橋防止構造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20020025131A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교량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NZ336959A (en) Scaffolding
KR102612270B1 (ko) 원격시공용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KR200181651Y1 (ko) 교량 상판 거푸집 해체용 이동식 작업대
KR102605012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CN108263973B (zh) 一种支架吊装机构及吊装系统
KR102276215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교량의 지점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