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772A -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 Google Patents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772A
KR20160015772A KR1020140098459A KR20140098459A KR20160015772A KR 20160015772 A KR20160015772 A KR 20160015772A KR 1020140098459 A KR1020140098459 A KR 1020140098459A KR 20140098459 A KR20140098459 A KR 20140098459A KR 20160015772 A KR20160015772 A KR 2016001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operator
height
scaffo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204B1 (ko
Inventor
김주근
정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4009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2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현장 또는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지면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사지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시설물 유지보수 작업 중 작업자의 불안전한 자세에서 비롯되는 비계틀의 전도 및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한편 원터치 형식으로 손쉽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은 원터치형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하나의 비계틀로 구성되어 비계틀의 이동시 결합프레임이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및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체결되어 높은 위치의 작업이 가능하고 단독으로 사용되어 낮은 위치의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Terrain slope safety scaffolding framework}
본 발명은 건축 공사현장 또는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지면의 높이차가 발생하는 경사지형에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시설물 유지보수 작업 중 작업자의 불안전한 자세에서 비롯되는 비계틀의 전도 및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한편 원터치 형식으로 손쉽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비계틀은 이동식 작업대 또는 고소작업대 등의 명칭으로 불리우며,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천장 등의 외장공사 등을 할 때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비계틀은 대체로 작업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발판과, 이 발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비계틀은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작업자의 키나 작업대상의 위치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대의 효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때, 발판에 별도의 받침판 등을 올려 사용하기도 하는데, 받침판이 발판에서 미끄러지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불안전한 자세와 외부 충격 및 각종 진동에 의해 비계틀이 전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비계틀(이하, 종래의 비계틀은 '고소작업대(100)'라 한다.)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 중공부에 인입되는 이송나사(120)를 숫나사가 형성된 볼트(130)를 조이거나 풀러주면서 수직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소작업대(100)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각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된 볼트(130)을 일일이 조이거나 풀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고소작업대(100)를 상기와 같은 장소들에 옮기면서 설치해야 할 때에는 수직프레임(110)의 높이를 수시로 변경해야 하므로, 상기 고소작업대(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고소작업대(100)는 작업 후 다른 곳으로 이동시 고소작업대(100)를 들어올리면 볼트(130)가 유동되어 이송나사(120)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송나사(120)가 이탈되어 작업자의 발이나 신체부위에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수직프레임(110)의 높이 조절시 길이를 결정짓는 이송나사(120)의 길이가 고소작업대(100)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 30cm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77761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715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고소작업대를 옮기면서 설치할 때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수시로 변경해야 하므로, 고소작업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과 작업 후 다른 곳으로 고소작업대를 들어올려 이동시 볼트가 유동되어 이송나사가 이탈되는 문제점과 이탈된 이송나사가 작업자의 발이나 신체부위에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 및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가 발생하여, 본 발명은 손쉽게 비계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비계틀의 이동시 작업자에게 이송나사 및 결합프레임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때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체결되어 사용되거나, 낮은 위치에서 작업할 때 단독으로 사용가능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직몸체(12)와 각각의 수직몸체(12)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10);와 하부 말단에 받침대(22)가 형성되고, 각각의 수직몸체(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되며, 수직몸체(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20); 및 수직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고, 결합프레임(20)을 관통되게 수용하는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면 이동식 비계틀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이 수평몸체(14)에 지지되어 안착되는 발판부재(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소작업대(100)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프레임(20)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고, 결합프레임(20)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일측에 고정축(31)을 구비하는 몸체(32);와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는 관통홈(33)과 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손잡이(34)를 구비하고, 고정축(31)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 및 고정축(31)에 고정되어 지지판(3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정축(31)은 지지판(35)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판(35)의 일측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수직축(31a);과 수직축(31a)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36)의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축(3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은 원터치형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하나의 비계틀로 구성되어 비계틀의 이동시 결합프레임이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및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체결되어 높은 위치의 작업이 가능하고 단독으로 사용되어 낮은 위치의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a)는 종래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의 정면도.
도 1 b)는 종래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부의 종단면 및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이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이 종래의 고소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결합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일반적으로 비계틀은 작업대, 이동식 작업대, 고소작업대 및 이동식 비계 등으로 명명되어 건축 공사현장 또는 각종 작업현장에서 높은 위치의 작업이 필요할 때 작업자의 지지대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계틀은 종종 지면의 높이가 다른 계단 등과 같은 경사지형에서 사용될 때, 작업자의 불안전한 자세에서 비롯되는 비계틀의 전도 및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 공사현장 또는 작업현장의 경사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한편 원터치 형식으로 손쉽게 높이조절이 가능한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직몸체(12)와 각각의 수직몸체(12)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10);와 하부 말단에 받침대(22)가 형성되고, 각각의 수직몸체(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되며, 수직몸체(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20); 및 수직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고, 결합프레임(20)을 관통되게 수용하는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작업자가 손이 닿는 위치보다 높지만 종래의 비계틀(이하, '고소작업대(100)'라 한다.)의 높이보다 작은 곳을 작업할 때, 양측이 수평몸체(14)에 지지되어 안착되는 발판부재(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경사지면 이동식 비계틀(이하, '비계틀'이라 한다.)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위치가 경사지형에 있고, 고소작업대(100)의 높이보다 높은 곳을 작업할 때, 고소작업대(100)의 높이를 높이면서 경사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소작업대(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비계틀이 하부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면, 고소작업대(100)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프레임(20)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고, 결합프레임(20)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일측에 고정축(31)을 구비하는 몸체(32);와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는 관통홈(33)과 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손잡이(34)를 구비하고, 고정축(31)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 및 고정축(31)에 고정되어 지지판(3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일측에 고정축(31)을 구비하는 몸체(32);와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는 관통홈(33)과 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손잡이(34)를 구비하고, 고정축(31)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 및 고정축(31)에 고정되어 지지판(3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2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몸체(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직몸체(12)와 각각의 수직몸체(12)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고소작업대(100)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몸체(12)와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의 결합 및 결합되는 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4개의 수직몸체(12)가 직사각형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두개의 면에 수평몸체(14)가 각각의 수직몸체(12) 사이에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큰 두개의 면에 크로스프레임(16)이 각각의 수직몸체(12) 사이에 결합되어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때, 수직몸체(12)의 상부 말단 부분에 결합되는 한쌍의 수평몸체(14)는 이후에 설명될 발판부재(18)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수평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직몸체(12)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있어 이후에 설명될 결합프레임(20)이 상기 중공을 통해 상하로 이동되어 본 발명의 비계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0)은
하부 말단에 받침대(22)가 형성되고, 각각의 수직몸체(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되며, 수직몸체(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것으로서, 수직몸체(12)의 갯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고, 다르게 설명하면 결합프레임(20)이 지면에 안착된 후 몸체(10)가 결합프레임(20)의 상하로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200)에 결합프레임(20)이 안착될 때 몸체(10)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가 각기 다른 지면(200)의 상부에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결합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0)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높이조절부(30)의 지지판(35)에 의해 고정지지되는데, 이때, 결합프레임(2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결합프레임(20)의 외주연에 요철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요철부(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또는 격자식의 요철이 형성되며, 요철부(24)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요철부(24)의 요철이 너무 크게 형성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비계틀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재(18)를 수평몸체(14)의 상부에 안착시켜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프레임(20)의 상부 즉, 수직몸체(12)의 상부로 돌출된 결합프레임(20) 부분이 고소작업대(100)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인입되어 결합된 후 더 높은 곳의 작업위치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고소작업대(100)가 본 발명의 비계틀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수직몸체(12)의 상부와 고소작업대(100)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에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 후 볼트에 의해 고정체결되어 그 결합을 견고히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고, 결합프레임(20)을 관통되게 수용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일측에 고정축(31)을 구비하는 몸체(32)와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는 관통홈(33)과 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손잡이(34)를 구비하고, 고정축(31)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 및 고정축(31)에 고정되어 지지판(3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몸체(10)에도 지지판(35)이 하강되었을 때 일치되는 관통홈(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손잡이(34)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미표시)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홈(33)이 형성되어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스프링(36)에 의해 상부로 지지되는 지지판(35)이 결합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되지 못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면(200)의 높이가 각기 다른 곳에 본 발명의 비계틀을 위치시킨 후 손잡이(34)를 지면(200) 방향으로 누르면 지지판(35)과 몸체(3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33)이 일치되어 결합프레임(20)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되어 지면(200)의 높이에 따라 결합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가 다른 지면(200)에 본 발명의 비계틀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다.
이후, 손잡이(34)와 지지판(35)은 스프링(36)에 의해 다시 상부로 이동되고,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고정축(31)의 수직축(31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35)은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게 상승되어 지지판(35)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33)과 몸체(10)의 관통홈(33)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지지판(35)의 관통홈(33)의 내주면이 결합프레임(2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지지판(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어 결합프레임(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지지하게 되고, 지지판(35)과 결합프레임(20)의 재질은 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판(35)과 결합프레임(20)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결합프레임(20)을 지지판(35)이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손잡이(34)도 지지판(35)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몸체(32) 하부면 일측에 구비된 고정축(31)은
지지판(35)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판(35)의 일측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수직축(31a)과 수직축(31a)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36)의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축(3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31a)에 의해 지지판(35)의 일측이 일정높이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판(35)의 타측 즉,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있는 곳이 지지판(35)의 일측보다 높게 상승되어 결합프레임(20)을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고정축(31)의 수평축(31b)은 스프링(36)의 일측이 결합되어 스프링(36)을 고정지지하고, 스프링(36)이 수평축(31b)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판(35)을 하부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30)의 몸체(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의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며, 구형의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비계틀은 경사지형의 상부에서 작업을 해야하고, 종래에 사용되던 고소작업대(10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의 작업위치가 발생되었을 때, 발판부재(18)를 설치하여 단독으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던 고소작업대(10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의 작업위치가 발생되었을 때, 본 발명의 비계틀의 상부에 고소작업대(10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고소작업대(100)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나사(120)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을 하기 때문에 이송나사(120)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는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유동적으로 길이가 큰 이송나사(120)를 설치하게 되면 이동이 잦은 고소작업대(100)의 무게가 무거워져 고소작업대(100)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결합프레임(20)의 내부가 종래의 고소작업대(100)에 쓰이는 프레임처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강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길이의 제한이 이송나사(120)에 비해 적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30)의 손잡이(34)를 원터치 형식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쉽게 결합프레임(20)을 이동시킬 수 있어 비계틀의 높이조절이 용이하며 비계틀의 이동시 지지판(25)에 의해 결합프레임(20)이 지지되기 때문에 수직몸체(12)에서 이탈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몸체
12 : 수직몸체 14 : 수평몸체
16 : 크로스프레임
18 : 발판부재
20 : 결합프레임
22 : 받침대 24 : 요철부
30 : 높이조절부
31 : 고정축 31a : 수직축
31b : 수평축 32 : 몸체
33 : 관통홈 34 : 손잡이
35 : 지지판 36 : 스프링
100 : 고소작업대
110 : 수직프레임 120 : 이송나사
130 : 볼트
200 : 지면

Claims (5)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수직몸체(12)와 각각의 수직몸체(12)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몸체(14) 및 크로스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10);와
    하부 말단에 받침대(22)가 형성되고, 각각의 수직몸체(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되며, 수직몸체(12)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프레임(20); 및
    수직몸체(12)의 상부에 구비되고, 결합프레임(20)을 관통되게 수용하는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형 이동식 비계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면 이동식 비계틀은
    양측이 수평몸체(14)에 지지되어 안착되는 발판부재(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형 이동식 비계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면 이동식 비계틀은
    고소작업대(100)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프레임(20)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고, 결합프레임(20)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형 이동식 비계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수직몸체(12)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하부면 일측에 고정축(31)을 구비하는 몸체(32);와
    결합프레임(20)이 관통되는 관통홈(33)과 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손잡이(34)를 구비하고, 고정축(31)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프레임(20)을 고정지지하는 지지판(35); 및
    고정축(31)에 고정되어 지지판(3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형 이동식 비계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1)은
    지지판(35)이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판(35)의 일측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수직축(31a);과
    수직축(31a)의 하부 외주연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36)의 일측이 결합되는 수평축(3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20140098459A 2014-07-31 2014-07-31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161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59A KR101619204B1 (ko) 2014-07-31 2014-07-31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59A KR101619204B1 (ko) 2014-07-31 2014-07-31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72A true KR20160015772A (ko) 2016-02-15
KR101619204B1 KR101619204B1 (ko) 2016-05-11

Family

ID=5535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459A KR101619204B1 (ko) 2014-07-31 2014-07-31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299A (zh) * 2019-01-16 2019-04-02 南京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节高度及在斜面使用的脚手架
CN115110738A (zh) * 2022-06-30 2022-09-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治沉降脚手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19U (ko) 2016-10-13 2018-04-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립형 비계
USD968626S1 (en) 2020-08-07 2022-11-01 Recensmedical, Inc. Medical coo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249B2 (ja) * 2000-03-02 2004-06-07 株式会社アルフア 梯子の支持装置
US8640827B2 (en) * 2010-06-04 2014-02-04 Justin B. Breithaupt, JR. Adjustable scaffold b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299A (zh) * 2019-01-16 2019-04-02 南京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节高度及在斜面使用的脚手架
CN115110738A (zh) * 2022-06-30 2022-09-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治沉降脚手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204B1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204B1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1670368B1 (ko) 베어링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대형 플랜지 가공기의 턴테이블
KR20170112789A (ko)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US10815729B2 (en) Ladder landing support apparatus
CN102335801A (zh) 法兰组对装置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100961862B1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200484259Y1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KR20140000271U (ko) 이동식 사다리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20210022804A (ko) 비계시스템
KR20130034496A (ko) 이동식 작업대의 유동방지 클램프
JP2002120094A (ja) 開先合せ用架台
JP3232403U (ja) 作業足場
JP3200577U (ja) 室外機仮置き台
CN210413296U (zh) 多工位烤炉焊接工作台
US10336593B2 (en) Jack operated toilet lifting device
JP4091947B2 (ja) 塔状構造物の解体に使用される仮連結治具及びこの仮連結治具を使用した塔状構造物の解体工法
KR200480884Y1 (ko) 작업대 승강장치
KR102167512B1 (ko) 모듈형 비계
KR20220023552A (ko) 옥외 작업용 외벽 거치형 안전 구조물
KR20190051589A (ko) 작업용 리프트를 위한 중량물 작업대
KR102525665B1 (ko)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