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041A -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041A
KR20190048041A KR1020170142520A KR20170142520A KR20190048041A KR 20190048041 A KR20190048041 A KR 20190048041A KR 1020170142520 A KR1020170142520 A KR 1020170142520A KR 20170142520 A KR20170142520 A KR 20170142520A KR 20190048041 A KR20190048041 A KR 2019004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window
closing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587B1 (ko
Inventor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이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102017014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6Control means for actuating the roller blind, e.g. usin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버스의 내부 사이드 윈도우 측에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양측방향으로 개별개폐되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앞뒤좌석에 착석한 탑승객이 자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측방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라인드 개폐에 대한 개별요구사항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성 버스의 사이드윈도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틀 형상의 윈도우 노출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윈도우를 차단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부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를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회전밸트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에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스틱부와, 상기 회전밸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스틱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 사이를 왕복이동하되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가 연결되는 블라인드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INDIVIDUALLY OPENING AND SHUTTING SYSTEM OF BLIND FOR BUS}
본 발명은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버스의 내부 사이드 윈도우 측에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 윈도우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양측방향으로 개별개폐되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앞뒤좌석에 착석한 탑승객이 자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측방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라인드 개폐에 대한 개별요구사항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용 커튼은 버스 창문 내측 상, 하부 즉 내측 창틀 상하에 각각 일정길이의 안내레일을 설치한 다음 그 안내레일 양측부로 커튼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연결설치한 걸림고리를 걸어 커튼을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햇빛을 차단토록 구비된다.
또한, 위와 같은 커튼 외에 회전축에 커튼을 권취한 다음 승,하강 줄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커튼이 감김 내지는 풀림되면서 창문을 차단토록 하는 커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커튼장치는 그 작동 방향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시간별로 변화되는 햇빛의 투사각도에 적절해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시야를 일부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커튼의 경우 차량 탑승자가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수직방향을 개폐되는 커튼의 경우 커튼의 감김과 풀림을 승하강줄로 작동케 하고 있어 차량 운행시 승하강줄이 많이 흔들려 승객으로 하여금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고, 커튼의 수직방향 작동을 위하여 커튼 하단에 무게출을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창문 내지는 승객과의 충돌로 안전사고의 위험은 물론 소음발생의 문제로 쾌적한 탑승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8103호의 버스용 커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측에 블라이드 구동수단에 의해 사이드 윈도우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양측방향으로 개별 개폐되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측방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탑승자들의 블라인드 개폐 요구사항에 용이하게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성 버스의 사이드윈도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틀 형상의 윈도우 노출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윈도우를 차단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부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를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회전밸트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에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스틱부와, 상기 회전밸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스틱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 사이를 왕복이동하되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가 연결되는 블라인드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에 장착되되 상기 회전가이드부를 바라보는 일측에 상기 회전밸트의 인입출을 위한 개폐공이 마련된 바디구와, 상기 바디구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밸트가 연결되는 회전풀리가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밸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회전구와, 상기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되는 스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라인드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스틱부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내부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무빙구와, 상기 슬라이딩무빙구의 하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걸림을 위해 마련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무빙구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베어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 및 회전가이드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개폐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개폐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은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측에 설치된 한 쌍의 블라이드가 탑승자의 동작스위치 조작에 의해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탑승자의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블라인드가 기성버스의 사이드 윈도우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됨에 따라 블라인드의 조작이나 운행 중 블라인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블라인드의 신체접촉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된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된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은 기성버스의 사이드윈도우(4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틀 형상의 윈도우 노출프레임(100)과,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윈도우(40)를 차단하는 블라인드(300)를 포함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은 한 쌍의 구동부(400)와, 상기 한 쌍의 구동부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부(500)및 회전밸트(600),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에 연결되는 가이드스틱부(700)와,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블라인드개폐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별도로 마련되는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을 구동시켜 한 쌍의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스좌석의 앞뒤 승객이 자신의 착석위치에 해당하는 블라인드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 관해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은 기성 버스의 내부 사이드윈도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윈도우 노출프레임 사이에는 연결프레임(2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기성 버스의 내부에 사이드 윈도우(4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직립윈도우샤시(3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즉, 버스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이 마련되고, 그 좌석의 측면에는 상부샤시(10)와 하부샤시(20), 버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직립윈도우샤시(30)에 의해 외부 조망을 위한 사이드 윈도우(40)가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상기와 같이 버스의 내부에 상기 사이드 윈도우(4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직립윈도우샤시(3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을 상기 사이드 윈도우(4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여 버스 운행 중 차량 떨림으로 인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이 상기 사이드 윈도우(40)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윈도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00)을 상기 직립윈도우샤시(30)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200)을 관통하여 상기 직립윈도우샤시(30)에 연결되는 별도의 고정피스(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프레임(20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사이드윈도우(4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은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설치시 상기 사이드 윈도우(40)가 노출되게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설치시 상기 사이드윈도우(4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상하측에는 상기 상부샤시(10)와 하부샤시(20)에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을 상기 사이드윈도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상부이격부재(110)와 하부이격부재(120)가 설치되고, 상기 블라인드(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이격부재(120)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배면 하측사이에서 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사이드윈도우(40)가 보이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노출부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300)는 상기 사이드윈도우(40)와 윈도우 노출프레임(1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한 쌍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블라인드는 각각의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개별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동작스위치는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설치되어 개별탑승자가 자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블라인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차량 운전자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기성 버스의 내부에 설치된 모든 블라인드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동작스위치에는 상기 블라인드(300)를 상기 구동부(400)방향으로 접어상기 사이드윈도우(40)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조작부(미부호)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500)방향으로 펼쳐 상기 사이드윈도우(40)를 가리기 위한 가림조작부(미부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를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회전밸트(600)와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에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스틱부(700), 상기 블라인드(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블라인드개폐부(800)로 이루어진다.
즉, 기성 버스의 좌석에 착석한 탑승작 자신의 위치에 있는 블라인드를 개폐하기 위해 동작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상기 회전밸트(600)가 회전하게 그와 동잇에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가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이동되면서 블라인드가 개폐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구동부(400)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개별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40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에 장착되되 상기 회전가이드부(500)를 바라보는 일측에 상기 회전밸트(600)의 인입출을 위한 한 쌍의 개폐공(411)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바디구(410)와, 상기 바디구(4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밸트(600)가 연결되는 회전풀리(421)가 설치된 구동모터(4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구(410)는 상기 구동모터(420)를 수용하도록 박스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공(411)사이의 면부에 상기 가이드스틱부(700)의 단부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부(500)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상측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밸트(600)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의 단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부(50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밸트(6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회전구(510)와, 상기 가이드스틱부(700)가 연결되는 스틱지지부재(5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510)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밸트(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밸트(60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한 쌍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밸트를 가이드하는 회전구를 한 쌍씩 구비하여 상기 회전밸트(600)의 회전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스틱지지부재(520)는 상기 회전구(510)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틱지지부재(520)의 일 실시예로써 내부에 상기 다수개의 회전구(510)가 직립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521)이 마련된 박스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부(400)를 바라보는 일 면에 상기 회전밸트(600)의 인입출을 위한 한 쌍의 노출공(522)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는 상기 노출공(522) 사이의 상기 스틱지지부재(520)의 면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는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가이드스틱(710,72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스틱(710)은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상부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은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하부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2가이드스틱(710,720)으로 인해 블라인드 개폐로 인한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이동시 상기 블라인드(300)가 연결되는 하부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에는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걸림고리(310)가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림체(7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걸림체(721)중 상기 구동부(400) 방향에 위치하는 최외각의 걸림체(721)는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가 두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는 상기 회전밸트(6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 사이를 왕복이동하되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가 연결된다.
즉,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에는 상기 구동부(400)방향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부(500)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고리(310)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걸림고리(310)는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에 설치된 걸림체(721)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고리(310)중 상기 회전가이드부(500)방향에 위치하는 마지막 걸림고리를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에 걸림하여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이동시 상기 블라인드(300)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가이드스틱부(700)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무빙구(810)와,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의 하측에 상기 걸림고리(310)의 걸림을 위해 마련되는 걸이구(8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는 상기 제1가이드스틱(710)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821)이 형성된 상측바디(820)와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83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걸이구(860)가 설치되는 하측바디(8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관통공(821,831)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가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이동시 효과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베어링부재(8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에는 상기 회전밸트(600)에 연결되는 연결편(850)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상기 회전밸트(600)의 회전시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이동을 통한 상기 블라인드(300)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에서는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500)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이동을 감지하는 개폐부감지센서(9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슬라이딩무빙구(810)가 상기 회전밸트(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500)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40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500)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상기 개폐부감지센서(900)에서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를 감지하여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400)가 정지하여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300)의 개폐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부감지센서(900)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이나 상기 상부샤시(10)등에 상기 구동부(400)와 회전가이드부(500)에 인접되게 설치되거나 상기 상부이격부재(110)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걸림체(721)는 상기 제2가이드스틱(720)에 마련된 상기 걸림고리(310)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300)의 상단과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100)의 배면으로 숨겨져 외부노출이 방지되어 기성 버스의 미려한 내부상태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기성 버스의 좌석에 착석한 탑승자가 자신의 위치에 해당하는 블라인드를 개방하는 경우, 탑승자의 인접거리에 위치한 동작스위치의 개방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20)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밸트(6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밸트(6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밸트(600)에 연결편(850)을 매개로 연결된 상기 블라인드개폐부(800)의 슬라이딩무빙구(810)가 상기 가이드스틱부(70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블라인드(300)를 접어 상기 사이드윈도우(4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무빙구(810)가 상기 구동부(400)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부(400)에 인접되게 설치된 상기 개폐부감지센서(900)에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420)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사이드 윈도우(40)를 개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샤시 20: 하부샤시
30: 직립윈도우샤시 40: 사이드윈도우
100: 윈도우 노출프레임 110: 상부이격부재
120: 하부이격부재 200: 연결프레임
300: 블라인드 310: 걸림고리
400: 구동부 410: 바디구
411: 개폐공 420: 구동모터
421: 회전풀리 500: 회전가이드부
510: 회전구 520: 스틱지지부재
521: 수용공간 522: 노출공
600: 회전밸트 700: 가이드스틱부
710: 제1가이드스틱 720: 제2가이드스틱
721: 걸림체 800: 블라인드개폐부
810: 슬라이딩무빙구 820: 상측바디
821: 제1관통공 830: 하측바디
831: 제2관통공 840: 베어링부재
850: 연결편 860: 걸이구
900: 개폐부감지센서

Claims (6)

  1. 기성 버스의 사이드윈도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틀 형상의 윈도우 노출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배면 상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사이드윈도우를 차단하는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구동수단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부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를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회전밸트와,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에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스틱부와, 상기 회전밸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스틱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이드부 사이를 왕복이동하되 상기 블라인드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고리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가 연결되는 블라인드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윈도우 노출프레임에 장착되되 상기 회전가이드부를 바라보는 일측에 상기 회전밸트의 인입출을 위한 개폐공이 마련된 바디구와, 상기 바디구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밸트가 연결되는 회전풀리가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밸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회전구와, 상기 가이드스틱부가 연결되는 스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개폐부는, 상기 가이드스틱부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내부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무빙구와, 상기 슬라이딩무빙구의 하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걸림을 위해 마련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무빙구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베어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회전가이드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개폐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개폐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성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KR1020170142520A 2017-10-30 2017-10-30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KR10198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20A KR101988587B1 (ko) 2017-10-30 2017-10-30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20A KR101988587B1 (ko) 2017-10-30 2017-10-30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41A true KR20190048041A (ko) 2019-05-09
KR101988587B1 KR101988587B1 (ko) 2019-06-12

Family

ID=6654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20A KR101988587B1 (ko) 2017-10-30 2017-10-30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5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809A (ja) * 1994-12-02 1996-06-18 Maruman Sangyo Kk カ−テンの開閉装置
KR20090009404U (ko) * 2008-03-14 2009-09-17 조종만 버스용 커튼의 자동 개폐 장치
JP2015221181A (ja) * 2014-05-23 2015-12-10 茂雄 池田 伸縮可能な電動カーテンレール
KR101666210B1 (ko) * 2016-04-08 2016-10-24 옥영수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용 롤블라인드 장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809A (ja) * 1994-12-02 1996-06-18 Maruman Sangyo Kk カ−テンの開閉装置
KR20090009404U (ko) * 2008-03-14 2009-09-17 조종만 버스용 커튼의 자동 개폐 장치
JP2015221181A (ja) * 2014-05-23 2015-12-10 茂雄 池田 伸縮可能な電動カーテンレール
KR101666210B1 (ko) * 2016-04-08 2016-10-24 옥영수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용 롤블라인드 장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587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33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扉開閉装置
KR20180126526A (ko)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 방법
JP5736154B2 (ja) ゲート装置
KR101988587B1 (ko) 기성 버스용 블라인드 측방개별 개폐시스템
KR101992065B1 (ko)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JP5650549B2 (ja) ゲート装置
JP2012106586A (ja) ゲート装置
KR101960386B1 (ko) 유리창문과 방충창문이 구비되는 차량용 창문 승강 장치
JP6297241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853263B2 (ja) 自動車の座席、構成要素、及び方法
KR101666210B1 (ko)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용 롤블라인드 장착시스템
US11242224B2 (en) Elevator door device
JP568390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30011112A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1488344B1 (ko) 창문 리프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JP20131892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WO201807389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201007034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装置
JP4390952B2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KR20120090522A (ko) 승강장용 난간형 스크린 도어
JP4454766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JP4138460B2 (ja) エレベータ
JP3658535B2 (ja) 車両用窓開閉装置
JP2006075526A (ja) 観覧車の乗り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