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503A -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503A
KR20190047503A KR1020170141457A KR20170141457A KR20190047503A KR 20190047503 A KR20190047503 A KR 20190047503A KR 1020170141457 A KR1020170141457 A KR 1020170141457A KR 20170141457 A KR20170141457 A KR 20170141457A KR 20190047503 A KR20190047503 A KR 2019004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unit
blade portion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272B1 (ko
Inventor
이관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2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덕트부와 연결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레이드부와, 제1블레이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블레이드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를 연결하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연결되고, 연결부를 이동시켜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연결부가 이동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는 주로 냉난방장치에 적용되어 에어컨디셔너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냉난방 기류를 차량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류가 흐르는 에어덕트의 차실 방향 단부에 설치된다.
날씨가 더울 때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에어컨디셔너를 작동시키는데 에어벤트 방향을 조절하여 에어벤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직접 몸쪽으로 향하도록 사용한다.
종래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하 혹은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인하여 일방향으로만 공기가 배출되어 공기의 배출 경로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332호(2011.04.28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에어벤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어의 배출 경로를 집중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덕트부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블레이드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결합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조절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달기어부와 기어 방식으로 치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조절본체; 상기 조절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샤프트부; 및 상기 조절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달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조절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에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본체; 일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부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본체; 상기 제1가이드본체와 상기 제2가이드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 상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 상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3안착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4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3안착부에 결합되는 제3실링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4안착부에 결합되는 제4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안착부는 제1블레이드부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4안착부는 제2블레이드부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연결부의 이동에 따라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경로를 집중형 또는 확산형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달기어부의 상하측에 제1기어부, 제2기어부가 연결됨으로 인하여 전달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제1기어부, 제2기어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제1블레이드부와 제2블레이드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1유로부, 제2유로부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커버부로 인하여 하우징부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안착부, 제2안착부에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안착됨으로 인하여 에어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는 하우징부(100),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 연결부(400), 조절부(500), 가이드부(6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덕트부(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덕트부(10)를 통해 에어(A)가 유입되고,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가 탑승자 측으로 배출되도록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부(11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제1블레이드부(200)와 접촉 후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에어(A)의 경로를 제공한다.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제1유로부(110) 상에는 제3안착부(11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확산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부(200)가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 시 제3안착부(111)에 안착되고, 제3안착부(111)와 제1블레이드부(200)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유로부(12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제1유로부(110)의 하측(도 4 기준)에 형성되는 것으로 덕트부(10)로부터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가 제2블레이드부(300)와 접촉 후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에어(A)의 경로를 제공한다.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제2유로부(120) 상에는 제4안착부(12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확산 모드에서 제2블레이드부(300)가 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 시 제4안착부(121)에 안착되고, 제4안착부(121)와 제2블레이드부(300)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는 뒤에 설명할 가이드커버부(630)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유로부(110)는 가이드커버부(630),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본체(610)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제2유로부(120)는 제2가이드본체(620)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도 2,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제2블레이드부(300)의 상측(도 3 기준)에 설치된다.
제1블레이드부(200)는 좌우 방향(도 5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고, 차체의 실내측 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로부터 유입되는 에어(A)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1블레이드부(200)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뒤에 설명할 연결부(400)가 하우징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연결부(400)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한 개씩 2개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부(100)의 형상에 따라 2개를 초과하여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서 제1블레이드부(2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0도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에서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는 제1블레이드부(200)의 상면(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된다.
이를 본 발명에서 집중모드(MODE)로 정의한다. 집중모드에서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에어(A)가 평행하게 탑승자를 향해 배출되어 소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에어(A)가 배출되도록 한다.
집중모드에서의 제1블레이드부(200)는 뒤에 설명할 제2블레이드부(30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를 통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에어(A)가 직선형으로 탑승자를 향해 배출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중모드에서의 제1블레이드부(200)는 뒤에 설명할 가이드부(600),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본체(610) 상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611)에 안착된다.
제1안착부(611)는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의 상측(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부(110)를 통해 에어(A)가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2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1블레이드부(200)는 회전하여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범위 안에서 회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확산모드로 정의한다. 확산모드에서는 제1블레이드부(200)가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블레이드부(300)가 제1블레이드부(200)와 반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하여 집중모드와 달리 확산모드에서는 에어(A)가 탑승자의 상하 방향 측으로 각각 분산된다.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연결부(400)에 서로 반대 위상으로 회전된다.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연결부(400)가 이동됨에 따라 동일한 절대값의 각도로 반대 위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뒤에 설명할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기어치의 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달기어부(430)의 이동에 의해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기어비에 대응되도록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상이한 각도로 회전된다.
도 2,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1블레이드부(200)의 하측(도 3 기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블레이드부(300)는 좌우 방향(도 5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고, 차체의 실내측 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로부터 유입되는 에어(A)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2블레이드부(300)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레이드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400)가 하우징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연결부(400)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한 개씩 2개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부(100)의 형상에 따라 2개를 초과하여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레이드부(3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서 제2블레이드부(3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0도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에서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는 제2블레이드부(300)의 하면(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된다.
집중모드에서의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를 통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는 에어(A)가 직선형으로 탑승자를 향해 배출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중모드에서의 제2블레이드부(300)는 가이드부(600), 구체적으로 제2가이드본체(620) 상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621)에 안착된다. 제2안착부(621)는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의 상측(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부(110)를 통해 에어(A)가 배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산모드에서는 제2블레이드부(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블레이드부(200)가 제2블레이드부(300)와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1블레이드부(200)가 회전한 각도 값만큼 제1블레이드부(200)와 반대 위상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기어치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고, 연결부(400) 구체적으로 전달기어부(430)가 이동됨에 따라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회전 각도가 달라지고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상이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5,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400)는 제1기어부(410), 제2기어부(420), 전달기어부(430)를 포함한다. 연결부(400)는 하우징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연결부(400)의 좌우(도 5 기준)에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중앙부에 설치되는 연결부(400)를 조절하여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집중모드, 확산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41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1기어부(410)가 회전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부(200)도 회전된다.
제1기어부(410)는 뒤에 설명할 전달기어부(430)와 연결되어 전달기어부(430)의 이동으로 인해 회전되고, 제1블레이드부(20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420)는 제2블레이드부(3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제2기어부(420)가 회전됨에 따라 제2블레이드부(300)도 회전된다.
제2기어부(420)는 전달기어부(430)와 연결되어 전달기어부(430)의 이동으로 인해 회전되고, 제2블레이드부(30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기어부(430)는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와 연결되고, 뒤에 설명할 조절부(500)와도 연결되는 것으로, 조절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달기어부(430)는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도 7 기준)은 제1기어부(410)와 치합되고, 하측(도 7 기준)은 제2기어부(420)와 치합된다.
이로 인하여 전달기어부(430)가 전후방 측으로 이동 시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반대 위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도 2, 도 5,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500)는 연결부(4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부(400)를 이동시켜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조절부(500)는 전달기어부(430)와 기어 방식으로 치합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500)는 조절본체(510), 조절샤프트부(520), 조절기어부(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본체(510)는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부(100)의 측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앙부에 설치되는 연결부(400)와 연결되어 연결부(400), 구체적으로 전달기어부(4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본체(5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자는 조절본체(510)를 회전시켜 연결부(400)를 거쳐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부(500)가 기계식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결부(400)에 별도의 구동부(도면 미 도시)가 설치되고, 조절부(500)가 전자식으로 형성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도면 미 도시)에 전달하며, 제어부가 구동부를 제어하여 연결부(400)를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샤프트부(520)는 조절본체(51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샤프트부(520)는 조절본체(510)의 중심축과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본체(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탑승자가 조절본체(5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샤프트부(520)가 회전될 수 있다.
조절샤프트부(520)는 외주면의 형상이 뒤에 설명할 조절기어부(53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샤프트부(520)가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조절기어부(530)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사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샤프트부(52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본체(510)와 연결되어 하우징부(100)의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탑승자가 하우징부(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측면부에서 조절본체(510)를 조절하고, 조절본체(510)가 회전되면 회전력을 하우징부(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조절기어부(530)에 전달하며, 조절기어부(530)는 전달기어부(430)를 이동시켜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기어부(530)는 조절샤프트부(5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달기어부(430)에 맞물려 회전된다.
조절기어부(530)의 내주면 형상은 조절샤프트부(5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고, 이로 인하여 조절샤프트부(520)의 회전 시 조절기어부(53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조절기어부(530)는 조절샤프트부(520)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00)의 내측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조절기어부(530)가 회전 시 조절기어부(5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전달기어부(430)가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조절기어부(530)가 반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되면 전달기어부(43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조절기어부(530)가 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되면 전달기어부(430)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덕트부(10)로부터 하우징부(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에어(A)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60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차체의 실내측을 향하는 일면은 하우징부(100)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가이드커버부(630)가 차체의 실내측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0)는 제1가이드본체(610), 제2가이드본체(620), 가이드커버부(630)를 포함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본체(610)는 제1블레이드부(200)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로부터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가 제1가이드본체(610), 제1가이드본체(610)와 마주보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부(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본체(620)는 제2블레이드부(300)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로부터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가 제2가이드본체(620), 제2가이드본체(620)와 마주보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부(1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커버부(630)는 제1가이드본체(610)와 제2가이드본체(6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가이드본체(610)와 제2가이드본체(620)는 덕트부(10) 측 단부가 서로 결합되고, 차체의 실내측 단부는 서로 이격된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600)는 '<'(도 3 기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커버부(630)가 이격되는 제1가이드본체(610), 제2가이드본체(62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본체(610), 제2가이드본체(620), 가이드커버부(630)는 서로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덕트부(10)에서 하우징부(100)로 유입되는 에어(A)가 가이드부(6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1가이드본체(610), 제2가이드본체(620)와 접촉되며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를 통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가이드커버부(630)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링부(71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접촉가능하도록 제1안착부(611)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1실링부(710)는 제1블레이드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집중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부(200)가 제1실링부(710)에 밀착되고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1안착부(611)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실링부(720)는 제2블레이드부(300)와 접촉가능하도록 제2안착부(621)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2실링부(720)는 제2블레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집중 모드에서 제2블레이드부(300)가 제2실링부(720)에 밀착되고 제2블레이드부(300)와 제2안착부(621)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실링부(73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접촉가능하도록 제3안착부(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3실링부(730)는 제1블레이드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확산 모드에서 제1블레이드부(200)가 제3실링부(730)에 밀착되고,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3안착부(111)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실링부(740)는 제2블레이드부(300)와 접촉가능하도록 제4안착부(121)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4실링부(740)는 제2블레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확산 모드에서 제2블레이드부(300)가 제4실링부(740)에 밀착되고, 제2블레이드부(300)와 제4안착부(121)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는 하우징부(100),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 연결부(400), 조절부(500), 가이드부(6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차체의 내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00)는 차량의 조수석 측 가니쉬(GARNISH)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니쉬(GARNISH)는 차체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장식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는 가니쉬 내부에 설치되어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탑승자는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부(500)를 조절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가 조수석의 전방 측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체의 실내에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덕트부(10)에서 하우징부(100)로 에어(A)가 유입되고, 에어(A)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과 가이드부(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를 통해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된다.
탑승자는 조절부(500), 구체적으로 조절본체(510)를 조작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집중모드로 정의되고, 이를 초기상태로 정의한다.
집중모드에서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블레이드부(200)의 상면(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제2블레이드부(300)의 하면(도 3 기준)과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로 에어(A)가 차체의 실내측으로 배출된다.
에어(A)는 탑승자를 향해 배출되고, 제1유로부(110)와 제2유로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A)의 간격이 확산모드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소정 범위를 향해 에어(A)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를 연결하여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좌우 방향(도 5 기준)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400)가 설치되는 하우징부(100)의 좌우 방향 중앙부 양측에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본체(510)를 조절하면 조절본체(510)와 결합된 조절샤프트부(520)가 회전된다. 조절샤프트부(520)의 회전력은 조절샤프트부(520)와 결합된 조절기어부(530)로 전달된다.
조절기어부(530)는 연결부(400), 구체적으로 전달기어부(430)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본 발명에서 전달기어부(430)는 평기어로 형성되어 조절기어부(53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직선 이동된다.
도 5, 도 8을 참조하면, 탑승자가 조절본체(510)를 반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기어부(530)도 반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된다.
조절기어부(530)가 회전되면, 전달기어부(430)는 우측(도 8 기준)으로 이동되고, 전달기어부(430)의 상측에서 연결되는 제1기어부(410)는 반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된다.
전달기어부(430)의 하측에서 연결되는 제2기어부(420)는 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제1기어부(410)와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부(200)는 반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기어부(420)와 결합되는 제2블레이드부(300)는 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된다.
제1블레이드부(200)는 제1가이드본체(610) 상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611)에 안착되고,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로 에어(A)가 직선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2가이드본체(620) 상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621)에 안착되고, 이로 인하여 제2블레이드부(300)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로 에어(A)가 직선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서로 반대 위상으로 회전되고,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탑승자에게 에어(A)가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기어치의 수에 따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거나, 상이한 각도로 회전된다.
도 6, 도 9를 참조하면, 탑승자가 조절본체(510)를 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기어부(530)도 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된다.
조절기어부(530)가 회전되면 전달기어부(430)는 좌측(도 9 기준)으로 이동되고, 전달기어부(430)의 상측에서 연결되는 제1기어부(410)는 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된다.
전달기어부(430)의 하측에서 연결되는 제2기어부(420)는 반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제1기어부(410)와 결합되는 제1블레이드부(200)는 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기어부(420)와 결합되는 제2블레이드부(300)는 반시계 방향(도 9 기준)으로 회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서로 반대 위상으로 회전되고, 제1블레이드부(20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블레이드부(300)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탑승자에게 에어(A)가 집중모드에 비해 넓은 범위로 확산 배출된다.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1기어부(410)와 제2기어부(420)의 기어치의 수에 따라 동일한 절대값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각도를 달리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부(200)는 제1가이드본체(610) 상에 형성되는 제1안착부(611)로부터 이격되고,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1가이드본체(610) 사이로 에어(A)가 확산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블레이드부(300)는 제2가이드본체(620) 상에 형성되는 제2안착부(621)로부터 이격되고, 이로 인하여 제2블레이드부(300)와 제2가이드본체(620) 사이로 에어(A)가 확산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의 내측에서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 사이에 가이드부(600)가 배치되고, 제1가이드본체(610)가 차체의 실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가이드본체(620)가 차체의 실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제2블레이드부(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이드부(600)의 상, 하단부와 하우징부(100)의 내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를 통해 에어(A)가 집중 또는 확산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제1유로부(110), 제2유로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커버부(63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블레이드부, 제2블레이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안착부(111)는 제1블레이드부(200)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블레이드부(200)가 확산 모드에서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을 향해 반시계 방향(도 10 기준)으로 회전 시 제3안착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비해 더 밀착되도록 하여 제1블레이드부(200)와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제3안착부(111) 사이로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4안착부(121)는 제2블레이드부(300)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블레이드부(300)가 확산 모드에서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을 향해 시계 방향(도 10 기준)으로 회전 시 제4안착부(121)가 형성되지 않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비해 더 밀착되도록 하여 제2블레이드부(300)와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제4안착부(121) 사이로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3안착부(111), 제4안착부(121)가 오목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블레이드부(200), 제2블레이드부(300)의 단부가 걸쳐지도록 걸림턱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안착부(111), 제4안착부(121)의 각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 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 에어
10: 덕트부 100: 하우징부
110: 제1유로부 111: 제3안착부
120: 제2유로부 121: 제4안착부
200: 제1블레이드부 300: 제2블레이드부
400: 연결부 410: 제1기어부
420: 제2기어부 430: 전달기어부
500: 조절부 510: 조절본체
520: 조절샤프트부 530: 조절기어부
600: 가이드부 610: 제1가이드본체
611: 제1안착부 620: 제2가이드본체
621: 제2안착부 630: 가이드커버부
710: 제1실링부 720: 제2실링부
730: 제3실링부 740: 제4실링부

Claims (12)

  1. 덕트부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블레이드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결합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조절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전달기어부와 기어 방식으로 치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는 조절본체;
    상기 조절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샤프트부; 및
    상기 조절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달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조절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에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본체;
    일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부를 마주보며 차체의 실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본체;
    상기 제1가이드본체와 상기 제2가이드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 상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 상에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1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1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3안착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시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안착되는 제4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3안착부에 결합되는 제3실링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4안착부에 결합되는 제4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안착부는 제1블레이드부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4안착부는 제2블레이드부와 마주보는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회전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170141457A 2017-10-27 2017-10-27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KR10229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57A KR102294272B1 (ko) 2017-10-27 2017-10-27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57A KR102294272B1 (ko) 2017-10-27 2017-10-27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03A true KR20190047503A (ko) 2019-05-08
KR102294272B1 KR102294272B1 (ko) 2021-08-26

Family

ID=6658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457A KR102294272B1 (ko) 2017-10-27 2017-10-27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64B1 (ko) 2022-02-21 2023-11-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563591B1 (ko) 2022-02-23 2023-08-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601A (ja) * 2001-09-07 2003-03-19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JP2004217088A (ja) * 2003-01-15 2004-08-05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8006928A (ja) * 2006-06-28 2008-01-17 Nippon Plast Co Ltd 吹出しグリ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601A (ja) * 2001-09-07 2003-03-19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JP2004217088A (ja) * 2003-01-15 2004-08-05 Howa Kasei Kk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8006928A (ja) * 2006-06-28 2008-01-17 Nippon Plast Co Ltd 吹出し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272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1946B2 (ja) 風向調整装置
US9937774B2 (en) Remote outlet vane control system
JP200023363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90014042A (ko) 하나의 액추에이터로 온도 및 모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hvac 운동학
EP3068644A1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air distribution flaps of a heating and/or air-conditioning unit of a motor vehicle
KR20190047503A (ko)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KR20180058188A (ko)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공기 처리 시스템
KR20200028131A (ko) 차량용 에어벤트
US9956852B2 (en) Air vent apparatus for vehicle
JP38558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022583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5542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000363B1 (ko) 통풍시트 유닛의 제어를 통한 차량 뒷좌석의 냉난방 효율 증대방법 및 공기토출장치
KR102460930B1 (ko) 자동차용 풍향가변형 공조덕트
KR10044983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2598164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42856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12972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183804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3182146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16698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6537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8207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501678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081802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