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23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823B1
KR101669823B1 KR1020100057389A KR20100057389A KR101669823B1 KR 101669823 B1 KR101669823 B1 KR 101669823B1 KR 1020100057389 A KR1020100057389 A KR 1020100057389A KR 20100057389 A KR20100057389 A KR 20100057389A KR 101669823 B1 KR101669823 B1 KR 10166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member
conditioning case
door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448A (ko
Inventor
엄부용
백영기
박은주
원승식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8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타입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상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여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부재를 가변되게 설치함으로써, 전체 풍량의 감소 없이 좌,우 풍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로터리 타입 도어의 빈공간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고 구조도 간단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축(14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내측에 공기유동공간(145)을 갖는 로터리 타입(Rotary type)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상에 상기 회전축(141)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을 조절하는 에어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 타입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상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여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부재를 가변되게 설치함으로써, 전체 풍량의 감소 없이 좌,우 풍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로터리 타입 도어의 빈공간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고 구조도 간단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공조장치(1)의 일예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5)(16)(17)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벤트(12), 페이스벤트(13), 플로어벤트(14)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출구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유입구(11)측에는 송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2)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고, 페이스벤트(13)는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플로어벤트(14)는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벤트(12)(13)(14)측에는 차량 실내의 특정부위를 연통시키는 덕트(30)가 설치되어 각 벤트(12)(13)(1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차량 실내의 특정부위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로터리 타입(Rotary type)으로서, 이 외에도 플랫 타입(flat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의 작동위치에 따라 냉방모드, 난방모드, 믹싱모드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의 출구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의 출구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기는 냉풍통로(P1)에 있는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믹싱영역(MC)을 거쳐 상기 각 벤트(12)(13)(14)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의 출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의 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기는 가동 정지된 증발기(2)와 온풍통로(P2)에 있는 히터코어(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믹싱영역(MC)을 거쳐 상기 각 벤트(12)(13)(14)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아울러, 믹싱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절도어(20)는 상기 냉,온풍통로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냉풍통로(P1)의 출구와 온풍통로(P2)의 출구를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되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P1)에 있는 증발기(2)를 통과한 냉풍 중 일부는 냉풍 상태로 믹싱영역(MC)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온풍통로(P2)에 있는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온풍 상태로 믹싱영역(MC)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냉풍과 온풍은 상기 믹싱영역(MC)에서 혼합되어 섞인후, 상기 각 벤트(12)(13)(14)를 통해 차량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 즉, 운전석과 조수석측으로 토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벤트측에 연결되는 덕트(30)의 출구측에 풍량조절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기 덕트(30)의 출구측에 설치된 풍량조절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여 덕트(30)의 출구 개도를 조절함으로서 좌,우(운전석,조수석) 풍량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덕트(3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풍량조절장치로 좌,우 풍량을 조절할 경우 전체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풍량조절장치를 설치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구조도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리 타입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상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여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부재를 가변되게 설치함으로써, 전체 풍량의 감소 없이 좌,우 풍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로터리 타입 도어의 빈공간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고 구조도 간단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내측에 공기유동공간을 갖는 로터리 타입(Rotary type)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상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을 조절하는 에어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타입 온도조절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상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여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가이드부재를 가변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에어가이드부재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그 방향으로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풍량이 감소되지 않고, 온도조절도어의 빈공간(공기유동공간)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고 구조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체 풍량의 증가 없이 풍량이 덜 필요한 곳으로 부터 풍량이 더 많이 필요한 곳으로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풍량분배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조케이스의 구조상 좌,우 풍량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풍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온도조절도어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를 액츄에이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온도조절도어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노브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와이어의 설치경로를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온도조절도어의 회전축에서 에어가이드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에어가이드부재의 가변 위치에 따른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에어가이드부재에 위치복원수단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온도조절도어의 내측에 에어가이드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직접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온도조절도어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를 액츄에이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온도조절도어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노브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와이어의 설치경로를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온도조절도어의 회전축에서 에어가이드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에어가이드부재의 가변 위치에 따른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에어가이드부재에 위치복원수단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온도조절도어의 내측에 에어가이드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직접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디프로스트벤트(121), 페이스벤트(122), 플로어벤트(123)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에 연결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 및 외기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송풍하도록 하나의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서로 분할된 좌,우측케이스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상에는 회전축(14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내측에 공기유동공간(145)을 갖는 로터리 타입(Rotary type) 도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도어(140) 또는 모드도어(12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온도조절도어(1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가 온도조절도어(140)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40)는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를 좌,우 방향(운전석,조수석 방향)으로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141)과, 상기 회전축(14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축(141)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공간(14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42)와, 상기 회전축(141)과 상기 플레이트(142)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14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40)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공기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냉풍과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상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41) 방향으로 가변되는 에어가이드부재(1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141) 방향으로 가변되는 에어가이드부재(150)에 의해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되며, 이로인해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측 풍량을 상대적으로 증가(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우측 풍량을 상대적으로 증가(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에 가변되는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그 방향으로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풍량이 감소되지 않고, 온도조절도어(140)의 빈공간(공기유동공간)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으며 구조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변수단(160)을 통해 회전각도가 가변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상기 회전축(14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사각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되는데, 물론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는, 상기 회전축(141)의 외주면에 결합공(141a)을 직각방향으로 관통 형성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일단부 중앙에는 상기 결합공(141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151)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상기 회전축(141)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 설치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2개 설치한 경우만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변수단(160)은, 일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공조케이스(110) 외부에서 구동수단(170)과 연결되는 와이어(161)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수단(170)을 통해 상기 와이어(161)를 밀고 당기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161)가 복수개의 에어가이드부재(150)에 모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61)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회전축(141) 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170)과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온도조절도어(140)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와이어(161)로 연결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회전축(141)의 일단부 내부에 와이어(161)가 통과하는 통로(141b)를 형성한 후 상기 통로(141b)를 통해 와이어(161)를 통과시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축(141)을 통하지 않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와이어(161)가 통과하는 관통공(115)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공(115)을 통해 와이어(161)를 통과시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회전작동시 상기 와이어(161)도 함께 움직여야 하므로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15)을 일정 반경의 호 형태로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70)으로는, 도 3과 같이 액츄에이터(Actuator)(171)를 사용하여 액츄에이터(171)의 풀리(172)에 상기 와이어(161)를 감거나 푸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161)를 당기거나 밀수 있으며, 또는 도 4와 같이 차량 컨트롤러(175)의 노브(Knob)(176)와 함께 회전하는 풀리(172)에 상기 와이어(161)를 연결하여 탑승자가 직접 노브(176)를 움직여서 상기 와이어(161)를 당기거나 밀수 있다.
상기 풀리(172)와 와이어(161)의 연결 구조 및 작동방법은 본 출원인이 선출한 공개특허 제10-2009-0128831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방법 외에도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와이어(161)를 사용할 경우에는, 차량 컨트롤러(175)에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레버(미도시)와 상기 와이어(161)를 연결하여 와이어(161)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에는 상기 구동수단(170)의 제어가 없을 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초기 위치(공기유동방향에 영향을 주지않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복원수단(190)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복원수단(190)은 탄성력을 갖는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스프링(191)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하였지만, 비틀림 스프링 외에도 다양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91)은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부(151)에 끼움설치되며, 이때 스프링(191)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141)의 하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9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19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상기 구동수단(170)의 제어가 없을 시, 상기 위치복원수단(190)을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에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하단부에 구동수단(180)을 직접 설치한 것으로서, 구동수단(180)을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80)으로는 액츄에이터나 서보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80)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플레이트(142)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에 가변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풍량 감소 없이 좌,우 풍량을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좌,우 풍량을 균일하게 하고 싶은데 공조케이스(110)의 구조상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이용하여 좌,우 풍량을 균일하게 맞출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21), 페이스벤트(122), 플로어벤트(123)측에는 각 벤트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로 토출할 수 있도록 덕트(130)가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각 벤트(121)(122)(123)를 개폐하도록 모드도어(120)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를 좌,우 공기통로로 구획하는 분리벽(미도시)이 설치되며, 아울러,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와 모드도어(120)가 좌,우 공기통로상에 각각 독립 제어 가능하게 설치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모드로써 냉방모드(도 2참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P2)를 폐쇄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공조케이스(110)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되며,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후, 상기 모드도어(120)에 의해 개방된 벤트(121)(122)(123)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기유동공간(145)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각도)에 따라 그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수단(160)을 통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각도)를 가변시키게 되면 탑승자가 원하는 좌,우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각도)이 공기유동방향과 동일하게(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로서,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좌,우측(운전석,조수석측) 풍량이 균일하게 되고,
도 8은 가변수단(160)을 통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각도)을 우측으로 일정각도 가변시킨 경우로서,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우측(조수석측) 풍량이 증가되게 되며,
도 9는 가변수단(160)을 통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각도)을 좌측으로 일정각도 가변시킨 경우로서,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좌측(운전석측) 풍량이 증가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조절도어(140)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상에 에어가이드부재(150)를 가변되게 설치한 것으로서,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 쓰리 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제어 공조장치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한 구성 및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20: 모드도어
121: 디프로스트 벤트 122: 페이스 벤트
123: 플로어 벤트 130: 덕트
140: 온도조절도어 141: 회전축
141a: 결합공 141b: 통로
142: 플레이트 143: 측면판
145: 공기유동공간 150: 에어가이드부재
151: 후크부 160: 가변수단(160)
161: 와이어 170,180: 구동수단
171: 액츄에이터 172: 풀리
175: 컨트롤러 176: 노브
190: 위치복원수단 191: 스프링
192,193: 고정부

Claims (7)

  1. 내부에 공기통로를 갖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축(14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특정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내측에 공기유동공간(145)을 갖는 로터리 타입(Rotary type)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 공기유동공간(145)상에 상기 회전축(141)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을 조절하는 에어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변수단(160)을 통해 회전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상기 회전축(14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160)은, 일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구동수단(170)과 연결되는 와이어(161)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161)를 통해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는 상기 구동수단(170)의 제어가 없을 시, 상기 에어가이드부재(15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복원수단(1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141)과,
    상기 회전축(14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축(141)과의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공간(14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42)와,
    상기 회전축(141)과 상기 플레이트(142)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판(1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00057389A 2010-06-17 2010-06-1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89A KR101669823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89A KR101669823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48A KR20110137448A (ko) 2011-12-23
KR101669823B1 true KR101669823B1 (ko) 2016-10-27

Family

ID=4550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389A KR101669823B1 (ko) 2010-06-17 2010-06-1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382A1 (ko) * 2017-10-19 2019-04-2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hvac 모듈의 공기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hvac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628A (ja) 2002-09-17 2004-04-08 Denso Corp カーエアコンのための空気通路切り替え装置
JP2005231511A (ja) * 2004-02-19 2005-09-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191A (ko) * 2007-11-20 2009-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hvac 공기혼합장치
KR101529214B1 (ko) * 2008-12-09 2015-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모드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628A (ja) 2002-09-17 2004-04-08 Denso Corp カーエアコンのための空気通路切り替え装置
JP2005231511A (ja) * 2004-02-19 2005-09-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48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09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4196492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08122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slotted mode cam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5368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98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788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0562004A (zh) 车辆用空调装置
JP4032987B2 (ja) 車載用空調装置
JP5243674B2 (ja) 車両用配気装置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1047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8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80443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KR1017379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29671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244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62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5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9249020A (ja) 車載用空調装置
JP4512467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