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969A - 래비린스 시일 - Google Patents

래비린스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969A
KR20190046969A KR1020197009947A KR20197009947A KR20190046969A KR 20190046969 A KR20190046969 A KR 20190046969A KR 1020197009947 A KR1020197009947 A KR 1020197009947A KR 20197009947 A KR20197009947 A KR 20197009947A KR 20190046969 A KR20190046969 A KR 2019004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de
opposite direction
low
annular groove
labyrinth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269B1 (ko
Inventor
?스케 모리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9004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04D29/161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162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of a centrifugal flow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16J15/4472Labyrinth packings with axi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2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non-contact sealings, e.g. of labyrint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3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4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5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유체의 누설량을 억제할 수 있는 래비린스 시일을 제공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단차부(40)와, 고압측 핀(51)과, 저압측 핀(52), 환형 홈(70)을 구비한다. 단차부(40)는, 제2 부재인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Y1)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고압측 (X1)에 면한다. 고압측 핀(51)은, 단차부(40)보다도 고압측 (X1)에 배치된다. 저압측 핀(52)은,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에 배치된다. 환형 홈(70)은,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Y1) 부분에 형성되고,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핀(52)보다도 고압측 (X1)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래비린스 시일
본 발명은 래비린스 시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에 종래의 래비린스 시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 래비린스 시일은, 회전 기계를 구성하는 2개의 부재(예를 들어 회전체와 정지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도 1에 기재된 래비린스 시일은 단차부와,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핀 사이의 공간에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유체의 에너지 손실을 생기게 함으로써, 유체의 누설량을 억제하는 것이 도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 60-981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28014호 공보
특허문헌 2의 도 1에 기재된 소용돌이는, 핀과 부재(동 문헌에서는 회전체)의 간극의 근방에서, 부재에 분사된다. 그 때문에, 핀과 부재의 간극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기 쉽고, 유체의 누설량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체의 누설량을 억제할 수 있는 래비린스 시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래비린스 시일은, 회전 기계에 마련된다. 회전 기계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한다. 상기 간극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흐름 방향으로 고압측으로부터 저압측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대향하는 방향인 대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일방측이라 한다. 대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부재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타방측이라 한다. 래비린스 시일은, 단차부와, 고압측 핀과, 저압측 핀과, 환형 홈을 구비한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2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고압측에 면한다. 상기 고압측 핀은, 상기 단차부보다도 고압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저압측 핀은, 상기 단차부보다도 저압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환형 홈은, 상기 제2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보다도 저압측이고 또한 상기 저압측 핀보다도 고압측인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체의 누설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기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래비린스 시일 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L/G(도 2 참조)와 누설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D/H(도 2 참조)와 누설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 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기계(1)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기계(1)(유체 기계, 유체 회전 기계)는, 예를 들어 압축기이며, 예를 들어 터보 압축기 등이다. 회전 기계(1)는, 예를 들어 팽창기여도 되고, 예를 들어 팽창 터빈 등이어도 된다. 회전 기계(1)는, 원심식이다. 회전 기계(1)는, 정지체(10)(제1 부재)와, 회전체(20)(제2 부재)와, 간극(25)과, 래비린스 시일(30)과, 래비린스 시일(130)을 구비한다. 정지체(10)는, 예를 들어 케이싱이다. 정지체(10)는, 예를 들어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케이싱에 고정되는 부재여도 된다.
회전체(20)는, 정지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정지체(10)에 대해 회전축 A(중심축) 주위로 회전한다. 회전체(20)는, 예를 들어 임펠러이며, 예를 들어 슈라우드 구비 임펠러이다. 회전체(20)는, 정지체(10)에 대향한다. 회전체(20) 중, 래비린스 시일(30) 및 래비린스 시일(130)이 마련되는 부분은, 정지체(10)에 대향한다.
간극(2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체(10)와 회전체(20) 사이에 형성되고,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하기) 부분과,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하기)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가, 간극(25)을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흐름 방향 X의 고압측 X1로부터, 흐름 방향 X의 저압측 X2에, 간극(25)을 유체가 흐르도록, 간극(25)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름 방향 X는, 회전축 A에 직교하는 방향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회전 기계(1)가 압축기인 경우, 고압측 X1은, 회전축 A로부터 먼 측(회전축 A를 기준으로 한 직경 방향 외측)이며, 저압측 X2는, 회전축 A에 가까운 측(회전축 A를 기준으로 한 직경 방향 내측)이다. 회전 기계(1)가 팽창기인 경우, 고압측 X1은 회전축 A에 가까운 측이며, 저압측 X2는 회전축 A로부터 먼 측이다. 이하에서는 회전 기계(1)가 압축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지체(10)와 회전체(20)가 대향하는 방향을 대향 방향 Y로 한다. 대향 방향 Y는, 흐름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대향 방향 Y는, 회전축 A의 방향과 동등하다(또는 거의 동등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방향 Y에 있어서, 회전체(20)로부터 정지체(10)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일방측 Y1이라 하고, 정지체(10)로부터 회전체(20)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타방측 Y2라 한다. 간극(25) 중, 고압측 핀(51)(하기)과 저압측 핀(52)(하기) 사이의 영역(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사이)을, 공간(25a)이라 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고압측 X1로부터 저압측 X2로의,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이 누설을 억제함으로써, 회전 기계(1)(도 1 참조) 내에서의 유체의 순환을 억제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정지체(10)와 회전체(20)를 접촉시키지 않고(비접촉으로), 유체의 누설 흐름의 양(이하, 누설량이라고도 한다)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비린스 시일(30)은, 복수의 단위 구조(30a)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위 구조(30a)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단위 구조(30a)에 대해 설명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복수의 단위 구조(30a) 각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40)와, 핀(50)과, 환형 홈(70)을 구비한다.
단차부(40)는,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에 형성된다. 단차부(40)는, 회전축 A(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한 환형(링형)이다. 회전축 A와 평행이면서 또한 회전축 A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회전 기계(1)의 단면을 「회전축 단면」이라 한다. 회전축 단면은, 대향 방향 Y 및 흐름 방향 X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이다. 도 1 및 도 2는,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의 회전 기계(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단차부(40)는, 대향 방향 Y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다. 즉, 단차부(40)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원통형이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단차부(40)는, 대향 방향 Y에 대해 경사지는 직선형이어도 된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경우, 단차부(40)는, 회전축 A(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곡면형이며,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하는 원뿔대의 외주부를 구성하는 곡면의 형상이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단차부(40)는, 곡선형이어도 된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경우, 단차부(40)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곡면형이다.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인 점은, 도 2에 도시하는 핀(50) 및 환형 홈(7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단차부(40)는, 고압측 X1에 면한다(향한다). 단차부(40)의 표면(단차 표면)은, 고압측 X1에 면한다. 회전체(20) 중 단차부(40)보다도 고압측 X1의 부분(고압측 단차부(46))보다도, 회전체(20) 중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의 부분(저압측 단차부(47))의 쪽이, 대향 방향 일방측 Y1에 배치되도록, 단차부(40)가 구성된다. 단차부(40)는, 고압측 단차부(46)의 저압측 X2 단부에 연결된다. 단차부(40)는, 저압측 단차부(47)의 고압측 X1 단부에 연결된다.
고압측 단차부(46)(고압측 평면)는,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에 형성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고압측 단차부(46)는, 흐름 방향 X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다. 즉, 고압측 단차부(46)는, 회전축 A(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평면형이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고압측 단차부(46)의 전부 또는 일부는, 흐름 방향 X에 대해 경사지는 직선 또는 곡선이어도 된다. 이 경우, 고압측 단차부(46)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곡면형(예를 들어 대략 평면형)이다.
저압측 단차부(47)(저압측 평면)는, 고압측 단차부(46)보다도 저압측 X2에 배치되고, 고압측 단차부(46)보다도 대향 방향 일방측 Y1에 배치된다. 저압측 단차부(47)의 형상은, 고압측 단차부(46)의 형상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저압측 단차부(47)는, 회전축 A(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평면형이다.
핀(50)은, 간극(25)을 구획하는 부분이다. 핀(50)은, 간극(25)을 완전하게는 구획하지 않고, 간극(25)을 좁히도록 배치된다. 핀(50)은,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연장되고,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 근방까지 연장된다. 핀(50)은, 정지체(10)와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핀(50)은, 정지체(10)와 별체여도 된다. 핀(50)은, 고압측 X1로부터 저압측 X2의 순으로, 고압측 핀(51)과, 저압측 핀(52)을 구비한다.
고압측 핀(51)은, 단차부(40)보다도 고압측 X1에 배치된다. 고압측 핀(51)은, 고압측 단차부(46)와 대향 방향 Y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고압측 핀(51)의 선단부(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위치는, 저압측 단차부(47)의 표면(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위치보다도, 대향 방향 타방측 Y2이다. 고압측 핀(51)의 선단부와 회전체(20) 사이에는, 대향 방향 Y의 간극δ1이 있다. 이와 같이, 고압측 핀(51) 각각의 선단부와, 저압측 단차부(47)가, 대향 방향 Y에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체가 핀(50) 및 단차부(40)에 닿지 않도록, 흐름 방향 X로 흐르는 것(블로바이)이 억제된다.
저압측 핀(52)은,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에 배치된다. 저압측 핀(52)은 저압측 단차부(47)과 대향 방향 Y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환형 홈(70)과 대향 방향 Y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저압측 핀(52)의 선단부와 회전체(20)사이에는, 대향 방향 Y의 간극δ2가 있다. 간극δ2는, 간극(25)으로부터의 유체의 유출 출구이다. 저압측 핀(52)은, 고압측 X1의 측면인 고압측 측면(52a)과, 저압측 X2의 측면인 저압측 측면(52b)을 구비한다. 고압측 측면(52a) 및 저압측 측면(52b)은, 흐름 방향 X에 직교하는 면이다. 상기 「직교」는, 대략 직교를 포함한다(이하 동일).
환형 홈(70)은, 소용돌이 V2를 유입시키기 위한 홈이다. 환형 홈(70)은, 소용돌이 V2가 발생되는 부위(개소)에 마련되고, 환형 홈(70)에 둘러싸인 공간(환형 홈(70)의 내부)에 소용돌이 V2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환형 홈(70)은,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에 형성된다. 환형 홈(70)은,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핀(52)보다도 고압측 X1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환형 홈(70)은, 저압측 단차부(47)에 형성되고, 저압측 단차부(47)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오목하다. 환형 홈(70)의 일부는, 고압측 측면(52a)보다도 저압측 X2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고압측 X1 단부의 흐름 방향 X위치(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위치)는, 단차부(4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저압측 X2 단부보다도 저압측 X2이다.
이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저압측 X2 단부의 흐름 방향 X위치는, 다음의 [위치 a1] 내지 [위치 a5] 중 어느 것이다. [위치 a1] 고압측 측면(52a)의 선단(대향 방향 타방측 Y2의 단)보다도 고압측 X1. [위치 a2] 고압측 측면(52a)의 선단과 동일(또는 대략 동일한) 흐름 방향 X위치. [위치 a3] 고압측 측면(52a)의 선단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측면(52b)의 선단보다도 고압측 X1. [위치 a4] 저압측 측면(52b)의 선단과 동일(또는 대략 동일한) 흐름 방향 X 위치. [위치 a5] 저압측 측면(52b)보다도 저압측 X2.
이 환형 홈(70)은, 회전축 A(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환형이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환형 홈(70)에 둘러싸인 부분(환형 홈(70)의 내부)의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다. 도 2에 있어서, 「환형 홈(70)에 둘러싸인 부분」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환형 홈(70)은, 고압측 X1의 측면인 고압측 측면(70a)과, 저압측 X2의 측면인 저압측 측면(70b)과, 저면(70c)을 구비한다. 고압측 측면(70a) 및 저압측 측면(70b)은, 흐름 방향 X에 직교하는 면이다. 저면(70c)은,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부분의 면이며, 환형 홈(70)의 저부(저압측 단차부(47)의 표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저부)를 구성하는 면이다. 저면(70c)은, 대향 방향 Y에 직교하는 면이다.
래비린스 시일(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비린스 시일(30)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다. 래비린스 시일(30)의 단위 구조(30a)의 수는 5이며, 래비린스 시일(130)의 단위 구조(30a)의 수는 4이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대해서)
「제1 부재」는, 핀(50)이 마련되는 부재이다. 제1 부재는, 래비린스 시일(30)에서는 정지체(10)이며, 회전체(20)여도 된다. 「제2 부재」는, 단차부(40) 및 환형 홈(70)이 마련되는 부재이다. 제2 부재는, 래비린스 시일(30)에서는 회전체(20)이며, 정지체(10)여도 된다.
(유체의 흐름)
도 2에 도시하는 간극(25)을 흐르는 유체는 다음과 같이 흐른다. 유체는, 고압측 핀(51)보다 고압측 X1로부터, 간극δ1을 통과하여, 공간(25a)으로 유입되어, 소용돌이 V1을 형성한다. 소용돌이 V1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유체는, 고압측 단차부(46)의 표면(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을 거의 따르도록 저압측 X2에 직진(대략 직진을 포함)하여, 단차부(40)에 닿아(충돌하여), 대향 방향 일방측 Y1로 흐른다(전향한다). 이 흐름은,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의 면에 닿아,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의 면을 거의 따르도록 고압측 X1로 흐른다. 그리고, 이 흐름은, 고압측 핀(51)에 닿아, 고압측 핀(51)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흘러, 고압측 단차부(46)에 닿아, 저압측 X2로 흐른다. 이와 같이 소용돌이 V1이 형성된다.
단차부(40)에 닿아, 대향 방향 일방측 Y1로 흐르는 유체는, 소용돌이 V1과, 소용돌이 V1보다 저압측 X2의 소용돌이 V2로 분기된다. 소용돌이 V2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소용돌이 V1로부터 분기된 유체는,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의 면에 닿아,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의 면을 거의 따르도록 저압측 X2로 흐른다. 이 흐름은, 저압측 핀(52)의 고압측 측면(52a)에 닿고, 고압측 측면(52a)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다. 이 흐름은, 환형 홈(70) 내에 유입되고, 환형 홈(70)의 내면을 거의 따르도록 흐른다. 이 흐름은, 저압측 측면(70b)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타방측 Y2측으로 흘러, 저면(70c)을 거의 따르도록 고압측 X1로 흘러, 고압측 측면(70a)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일방측 Y1로 흘러, 환형 홈(70)으로부터 유출된다. 이와 같이 소용돌이 V2가 형성된다.
고압측 측면(52a)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 유체는, 소용돌이 V2와, 간극δ2로 향하는 흐름인 분기류 F로 분기된다. 분기류 F는, 간극δ2를 통과하고, 저압측 X2로 흘러, 공간(25a)의 외부로 유출된다(누설된다).
고압측 측면(52a)을 거의 따르도록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 유체가, 환형 홈(70)에 유입됨으로써, 분기류 F의 유량이 억제되므로, 공간(25a)으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량이 억제된다. 또한, 공간(25a)에 형성된 소용돌이 V1 및 소용돌이 V2에 의해 유체간 마찰이 발생하여, 유체의 에너지 손실이 생김으로써, 공간(25a)으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량이 억제된다. 이 유체간 마찰에는, 유체끼리의 마찰, 및 유체와 벽면의 마찰이 포함된다. 상기 벽면은, 유속이 제로인 유체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벽면에는, 예를 들어 환형 홈(70)의 표면 등이 포함된다.
(치수에 대해서)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핀(52)보다도 고압측 X1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환형 홈(70)이 있으면, 환형 홈(70)에 의한 효과(누설량의 억제)가 얻어진다. 또한, 하기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환형 홈(70)에 의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 X에 관한 치수에는, 거리 L과, 거리 G와, 개구 폭 W와, 거리 E와, 두께 T가 있다. 이들 치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거리 L은, 단차부(40)와,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저압측 X2 단부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최단 거리, 사이의 거리)이다. 단차부(40)에 흐름 방향 X의 폭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단차부(40)가 대향 방향 Y에 대해 경사지는 경우 등)은, 거리 L의 고압측 X1의 기점은, 단차부(4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저압측 X2 단부로 한다(거리 G 및 거리 E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L은, 단차부(40)와, 저압측 측면(70b)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거리 G는, 단차부(40)와, 저압측 핀(52)의 선단부 또한 고압측 X1 단부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최단 거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G는, 단차부(40)와, 고압측 측면(52a)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개구 폭 W는, 환형 홈(70)의 개구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폭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 폭 W는,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에서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폭이다. 거리 E는, 단차부(40)와,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고압측 X1 단부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거리 E는, 거리 L로부터 개구 폭 W를 뺀 거리이다.
두께 T는, 저압측 핀(52)의 선단부에서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폭이다. 여기에서는, 「저압측 핀(52)의 선단부」는, 분기류 F가 직접 닿게 되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분기류 F는 저압측 측면(52b)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므로, 저압측 측면(52b)은 「저압측 핀(52)의 선단부」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의, 대향 방향 Y에 관한 치수에는, 높이 H와, 깊이 D가 있다. 이들 치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높이 H는, 단차부(40)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폭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H는, 고압측 단차부(46)의 표면(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의 저압측 X2 단부와, 저압측 단차부(47)의 표면(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의 고압측 X1 단부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깊이 D는,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폭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깊이 D는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예를 들어 저면(70c))와, 저압측 단차부(47)의 표면(대향 방향 일방측 Y1의 면)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개구 폭 W 및 거리 E에 관한 바람직한 조건)
개구 폭 W를 크게 함으로써, 소용돌이 V2가 환형 홈(70)으로 유입되기 쉬워지고, 또한, 소용돌이 V2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W/G>0.2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 E를 작게 함으로써, 소용돌이 V2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E/G <0.8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G 및 거리 L에 관한 바람직한 조건)
고압측 측면(52a)의 흐름 방향 X위치에 대해, 저압측 측면(70b)의 흐름 방향 X위치가, 동등한 위치(동일면 상) 또는 저압측 X2인 것이 바람직하다(G≤L이 바람직하다). G≤L로 함으로써, 저압측 핀(52)에 따라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 소용돌이 V2가, 환형 홈(70)에 유입되기 쉬워져, 분기류 F의 유량을 억제할 수 있다. 유체가 환형 홈(70)에 유입되기 쉬우므로, 소용돌이 V2의 유속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는 결과, 상기 에너지 손실을 크게 할 수 있다.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해석에 의해, 고압측 측면(52a)의 위치, 저압측 측면(70b)의 위치 및 누설량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G에 의해 누설량이 변화된다는 지견을 얻었다. 도 3의 「비교예」는, 도 2에 도시하는 환형 홈(70)을 구비하지 않는 래비린스 시일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종축의 누설량 단위를 무차원화하고, 구체적으로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누설량을 1로 하였다(도 4에 대해서도 동일).
도 2에 도시하는 고압측 측면(52a)에 대해 저압측 측면(70b)이 고압측 X1로 너무 이격되면, 저압측 핀(52)을 따라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 유체가, 환형 홈(70)에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누설량 억제의 효과는 작아진다. 또한, 고압측 측면(52a)에 비해 저압측 측면(70b)이 저압측 X2로 너무 이격되면, 저압측 핀(52)과 회전체(20)의 간극δ2가 커지므로, 유체가 간극δ2를 통과하기 쉬워져, 누설량 억제의 효과는 작아진다.
그래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0<L/G<1.2+T/G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확실하게 누설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0.6<L/G<1.2+T/G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누설량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높이 H 및 깊이 D에 관한 바람직한 조건)
CFD 해석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높이 H, 깊이 D 및 누설량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H에 의해 누설량이 변화된다는 지견을 얻었다. 도 2에 도시하는 깊이 D가 작으면, 환형 홈(70)에 유입할 수 있는 소용돌이 V2의 흐름이 적어지고, 분기류 F의 유량이 증가되므로, 누설량이 증가된다. 그래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6<D/H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확실하게 누설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0<D/H라면, 비교예에 비하여, 누설량 억제의 효과는 있다.
(제1 발명의 효과)
도 2에 도시하는 래비린스 시일(3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래비린스 시일(30)은, 회전 기계(1)에 마련된다. 회전 기계(1)는, 정지체(10)와, 회전체(20)와, 간극(25)을 구비한다. 회전체(20)는, 정지체(10)에 대향한다. 간극(25)은, 정지체(10)와 회전체(20) 사이에 형성된다. 간극(25)은, 흐름 방향 X에 고압측 X1로부터 저압측 X2로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흐름 방향 X는, 대향 방향 Y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대향 방향 Y는, 정지체(10)와 회전체(20)가 대향하는 방향이다. 대향 방향 Y에 있어서, 회전체(20)로부터 정지체(10)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일방측 Y1이라 한다. 대향 방향 Y에 있어서, 정지체(10)로부터 회전체(20)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타방측 Y2라 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단차부(40)와, 고압측 핀(51)과, 저압측 핀(52)과, 환형 홈(70)을 구비한다.
[구성 1-1] 단차부(40)는,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고압측 X1에 면한다. 고압측 핀(51)은, 단차부(40)보다도 고압측 X1에 배치되고,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연장된다. 저압측 핀(52)은,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에 배치되고, 정지체(1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연장된다.
[구성 1-2] 환형 홈(70)은, 회전체(2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부분에 형성되고,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핀(52)보다도 고압측 X1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래비린스 시일(30)은, 주로 상기 [구성 1-1]을 구비한다. 따라서, 단차부(40)보다도 저압측 X2 또한 저압측 핀(52)보다도 고압측 X1에 소용돌이 V2가 생긴다. 그래서, 래비린스 시일(30)은, 상기 [구성 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소용돌이 V2가, 환형 홈(70)에 유입된다. 따라서, 환형 홈(7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소용돌이 V2를 크게 할 수 있고, 소용돌이 V2의 유량을 많이 할 수 있고, 소용돌이 V2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용돌이 V2와 그 주변의 유체간 마찰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유체의 에너지 손실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1]을 구비하는 래비린스 시일(30)에서는, 소용돌이 V2로부터, 저압측 핀(52)과 회전체(20)의 간극δ2로 향하여, 분기류 F가 분기된다. 여기서, 환형 홈(70)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저압측 핀(52)에 따라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른 유체가, 저압측 단차부(47)에 닿고(분사되어), 간극δ2로 향하기 쉽다( 분기류 F가 되기 쉽다). 그래서, 래비린스 시일(30)은, 상기 [구성 1-2]의 환형 홈(70)을 구비한다. 따라서, 소용돌이 V2가, 환형 홈(70)에 유입되기 쉽다. 따라서, 소용돌이 V2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류 F의 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효과)
L, G 및 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은, 단차부(40)와,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 또한 저압측 X2 단부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G는, 단차부(40)와, 저압측 핀(52)의 선단부 또한 고압측 X1 단부의 흐름 방향 X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T는, 저압측 핀(52)의 선단부에서의 흐름 방향 X의 폭이다.
[구성 4] 이 때, 0<L/G<1.2+T/G를 만족시킨다.
상기 [구성 4]에 의해, 1.2+T/G≤L/G의 경우에 비하여, 저압측 핀(52)과 회전체(20)의 간극δ2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δ2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어,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도 3 참조).
(제5 발명의 효과)
[구성 5] 0.6<L/G<1.2+T/G를 만족시킨다.
상기 [구성 5]에 의해, L/G≤0.6의 경우에 비하여, 환형 홈(70)에 유입되는 소용돌이 V2의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용돌이 V2에 있어서의 유체의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도 3 참조).
(제6 발명의 효과)
단차부(40)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폭을 H라 한다. 환형 홈(70)의 대향 방향 Y에 있어서의 폭을 D라 한다.
[구성 6] 이 때, 0.6<D/H를 만족시킨다.
상기 [구성 6]에 의해, D/H≤0.6의 경우에 비하여, 환형 홈(70)에 유입되는 소용돌이 V2의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용돌이 V2에 있어서의 유체의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230)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230) 중, 제1 실시 형태와의 공통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했다(공통점의 설명을 생략하는 점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설명도 동일하다). 상위점은, 대향 방향 Y에 대한 핀(50)의 기울기이다.
저압측 핀(52)의 선단부는, 저압측 핀(52)의 기단부(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고압측 X1에 배치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저압측 핀(52)은 직선형이며, 고압측 측면(52a)은 직선형이며, 저압측 측면(52b)는 직선형이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고압측 측면(52a)은, 대향 방향 Y에 대해 각도 α2만큼 기울인다. 또한,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저압측 핀(52)은, 만곡 형상이어도 되고, L자 형상 등의 굴곡 형상이어도 된다(고압측 핀(51)도 동일).
고압측 핀(51)은, 저압측 핀(52)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고압측 핀(51)의 고압측 X1의 측면은, 대향 방향 Y에 대해 각도 α1만큼 기울인다. 각도 α1 및 각도 α2가 서로 동등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각도 α1 및 각도 α2 증 어느 것이 0°여도 된다.
(제7 발명의 효과)
도 5에 도시하는 래비린스 시일(23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7] 저압측 핀(52)의 선단부는, 저압측 핀(52)의 기단부보다도 고압측 X1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 7]에 의해, 소용돌이 V2는, 저압측 핀(52)을 따라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흐르면서, 고압측 X1로 흐르기 쉽다. 따라서, 저압측 X2로 향하는 분기류 F의 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환형 홈(70)에 유입되는 소용돌이 V2의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330)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상위점은, 환형 홈(70)이 호형부(370d)를 구비하는 점이다.
호형부(370d)는, 환형 홈(70)의 저부에 마련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의 호형부(370d)의 단면(윤곽)은,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돌출되는 호형이며, 원호형이고, 반원호형(원호의 중심각이 180°)이다. 원호의 중심각은 180°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원호형」에는, 대략 원호형(예를 들어 대략 반원호형)이 포함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의 호형부(370d)의 단면은, 타원호형(타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곡선형)이어도 되고, 반타원호형이어도 된다. 상기 「타원호형」에는, 대략 타원호형(예를 들어 대략 반타원호형)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하는 고압측 측면(70a) 및 저압측 측면(70b)은, 도 6에 나타내는 호형부(370d)와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호형부(370d)가 마련되는 경우, 고압측 측면(70a) 및 저압측 측면(70b)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제2 발명의 효과)
도 6에 나타내는 래비린스 시일(33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2] 대향 방향 Y 및 흐름 방향 X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환형 홈(70)의 저부(호형부(370d))의 단면은, 대향 방향 타방측 Y2로 돌출되는 호형이다.
상기 [구성 2]에 의해,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환형 홈(70)의 내부가 직사각 형상인 경우(도 2 참조) 등에 비하여, 환형 홈(70)의 형상이, 소용돌이 V2의 흐름의 형태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따라서, 환형 홈(70)의 저부를 따라 소용돌이 V2가 흐르기 때문에, 환형 홈(70)에서 소용돌이 V2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용돌이 V2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대할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330)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상위점은, 환형 홈(70)의 형상이다. 환형 홈(70)은, 고압측 경사부(470e)(경사부)와, 저압측 경사부(470f)(경사부)를 구비한다.
고압측 경사부(470e)는, 환형 홈(70)의 고압측 X1 부분에 마련된다. 고압측 경사부(470e)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는, 고압측 경사부(470e)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저압측 X2(환형 홈(70)의 흐름 방향 X 중심측)에 배치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고압측 경사부(470e)는, 직선형이며, 대향 방향 Y에 대해 각도 θ만큼 기울인다.
저압측 경사부(470f)는, 환형 홈(70)의 저압측 X2 부분에 마련된다. 저압측 경사부(470f)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는, 저압측 경사부(470f)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고압측 X1(환형 홈(70)의 흐름 방향 X 중심측)에 배치된다.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저압측 경사부(470f)는, 직선형이며, 대향 방향 Y에 대해 각도 φ만큼 기울인다. 또한, 고압측 경사부(470e) 및 저압측 경사부(470f)의 양쪽이 마련되어도 되고, 한쪽만이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각도 θ 및 각도 φ가 서로 동등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3 발명의 효과)
도 7에 나타내는 래비린스 시일(43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환형 홈(70)은, 환형 홈(70)의 고압측 X1 부분 및 저압측 X2 부분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마련되는 경사부(고압측 경사부(470e) 및 저압측 경사부(470f) 중 적어도 어느 것)를 구비한다. 래비린스 시일(430)은, 다음 [구성 3-1] 및 [구성 3-2]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구비한다.
[구성 3-1] 고압측 경사부(470e)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는, 고압측 경사부(470e)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환형 홈(70)의 흐름 방향 X 중심측(저압측 X2)에 배치된다.
[구성 3-2] 저압측 경사부(470f)의 대향 방향 타방측 Y2 단부는, 저압측 경사부(470f)의 대향 방향 일방측 Y1 단부보다도, 환형 홈(70)의 흐름 방향 X 중심측(고압측 X1)에 배치된다.
래비린스 시일(430)이 상기 [구성 3-1]을 구비하는 경우, 회전축 단면에 있어서 환형 홈(70)의 내부가 직사각 형상인 경우(도 2 참조) 등에 비하여, 환형 홈(70)의 형상이, 소용돌이 V2 흐름의 형태에 가까운 형상이 된다. 따라서, 소용돌이 V2의 흐름이 고압측 경사부(470e)에 따라 흐르므로, 환형 홈(70)에서 소용돌이 V2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소용돌이 V2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대할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 동일하게, 래비린스 시일(430)이 상기 [구성 3-2]를 구비하는 경우, 소용돌이 V2의 흐름이 저압측 경사부(470f)를 따라 흘러, 소용돌이 V2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보다 증대할 수 있으므로,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8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의 래비린스 시일(530)에 대해 설명한다. 래비린스 시일(530)은, 도 1에 도시하는 단위 구조(30a)와 동일한 단위 구조(30a)를 복수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단위 구조(30a)의 수는 5이며, 이 수는 변경되어도 된다. 단위 구조(30a)는, 흐름 방향 X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흐름 방향 X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흐름 방향 X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단위 구조(30a)는, 제2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제8 발명의 효과)
도 8에 나타내는 래비린스 시일(530)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 8] 단차부(40), 고압측 핀(51), 저압측 핀(52) 및 환형 홈(70)을 구비하는 구조(단위 구조(30a))는, 흐름 방향 X로 배열되어 복수 배치된다.
상기 [구성 8]에 의해, 단위 구조(30a)가 하나만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간극(25)으로의 유체의 누설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각 실시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일부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수가 변경되어도 된다. 서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끼리 조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호형부(370d)를 구비하는 환형 홈(70)에, 도 7에 나타내는 고압측 경사부(470e) 및 저압측 경사부(470f) 중 적어도 어느 것이 부가되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6년 10월 1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6-201949)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회전 기계
10: 정지체(제1 부재)
20: 회전체(제2 부재)
25: 간극
30, 230, 330, 430, 530: 래비린스 시일
40: 단차부
50: 핀
51: 고압측 핀
52: 저압측 핀
70: 환형 홈
370d: 호형부
470e: 고압측 경사부(경사부)
470f: 저압측 경사부(경사부)
X: 흐름 방향
X1: 고압측
X2: 저압측
Y: 대향 방향
Y1: 대향 방향 일방측
Y2: 대향 방향 타방측

Claims (9)

  1.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흐름 방향으로 고압측으로부터 저압측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간극
    을 구비하는 회전 기계에 마련되는 래비린스 시일이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대향하는 방향인 대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일방측이라 하고
    대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부재를 향하는 측을 대향 방향 타방측이라 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고압측에 면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보다도 고압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고압측 핀과,
    상기 단차부보다도 저압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으로부터 대향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저압측 핀과,
    상기 제2 부재의 대향 방향 일방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보다도 저압측 또한 상기 저압측 핀보다도 고압측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환형 홈
    을 구비하는,
    래비린스 시일.
  2. 제1항에 있어서, 대향 방향 및 흐름 방향의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환형 홈 저부의 단면은, 대향 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되는 호형인,
    래비린스 시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홈은, 상기 환형 홈의 고압측 부분 및 저압측 부분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대향 방향 타방측 단부는, 상기 경사부의 대향 방향 일방측 단부보다도,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 홈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래비린스 시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홈은, 상기 환형 홈의 고압측 부분 및 저압측 부분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대향 방향 타방측 단부는, 상기 경사부의 대향 방향 일방측 단부보다도,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 홈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래비린스 시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환형 홈의 대향 방향 일방측 단부 또한 저압측 단부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L,
    상기 단차부와, 상기 저압측 핀의 선단부 또한 고압측 단부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를 G,
    상기 저압측 핀의 선단부에서의 흐름 방향의 폭을 T
    라 했을 때, 0<L/G<1.2+T/G를 만족시키는,
    래비린스 시일.
  6. 제5항에 있어서, 0.6<L/G<1.2+T/G를 만족시키는,
    래비린스 시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H,
    상기 환형 홈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D
    라 했을 때, D/H>0.6을 만족시키는,
    래비린스 시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측 핀의 선단부는, 상기 저압측 핀의 기단부보다도 고압측에 배치되는,
    래비린스 시일.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상기 고압측 핀, 상기 저압측 핀 및 상기 환형 홈을 구비하는 구조는 흐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복수 배치되는,
    래비린스 시일.
KR1020197009947A 2016-10-13 2017-09-29 래비린스 시일 KR102218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1949A JP6623138B2 (ja) 2016-10-13 2016-10-13 ラビリンスシール
JPJP-P-2016-201949 2016-10-13
PCT/JP2017/035617 WO2018070279A1 (ja) 2016-10-13 2017-09-29 ラビリンスシ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969A true KR20190046969A (ko) 2019-05-07
KR102218269B1 KR102218269B1 (ko) 2021-02-22

Family

ID=6190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947A KR102218269B1 (ko) 2016-10-13 2017-09-29 래비린스 시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5541B2 (ko)
JP (1) JP6623138B2 (ko)
KR (1) KR102218269B1 (ko)
DE (1) DE112017005203T5 (ko)
WO (1) WO2018070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0915B2 (ja) * 2015-07-03 2019-05-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JP6637385B2 (ja) * 2016-05-31 2020-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JP6665043B2 (ja) * 2016-06-22 2020-03-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US20190072185A1 (en) * 2017-09-07 2019-03-0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Labyrinth seal and labyrinth seal structure
DE102018132978A1 (de) * 2018-12-19 2020-06-25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Turboverdichter mit angepasster Meridiankontur der Schaufeln und Verdichterwand
KR20210112653A (ko) * 2020-03-05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6808872B1 (ja) * 2020-04-28 2021-01-06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シール装置及び回転機械
KR102571417B1 (ko) * 2021-06-09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 압축기
US11674406B2 (en) * 2021-08-06 2023-06-13 Pratt & Whitney Canada Corp. Variable gap between impeller rotor and static structure
FI20225796A1 (fi) * 2022-09-13 2024-03-14 Apugenius Oy Turbokon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818A (en) * 1935-07-11 1938-07-12 Wegmann Ernst Labyrinth packing
JPS53104803U (ko) * 1977-01-31 1978-08-23
JPS6098196A (ja) 1983-11-02 1985-06-01 Hitachi Ltd 遠心羽根車のラビリンスシ−ル装置
JP2001032948A (ja) * 1999-07-21 2001-02-06 Hitachi Ltd 回転流体機械
JP2002228014A (ja) 2001-02-05 2002-08-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ビリンスシール
US7445213B1 (en) * 2006-06-14 2008-11-04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Stepped labyrinth seal
JP2011174451A (ja) * 2010-02-25 2011-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
JP2011220522A (ja) * 2010-04-08 2011-11-04 General Electric Co <Ge> 漏れ流れを減少させるためのロータ及びアセンブリ
JP2015108301A (ja) * 2013-12-03 2015-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及び回転機械
JP2016133113A (ja) * 2015-01-22 2016-07-2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タービン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6958A (en) * 1928-10-03 1930-05-0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astic-fluid turbine
US3231285A (en) * 1962-12-17 1966-01-25 Allis Chalmers Mfg Co Rotary shaft seal
JPS5182855A (ja) * 1975-01-16 1976-07-20 Hitachi Ltd Jikufusochi
DE2931714A1 (de) * 1979-07-05 1981-01-15 Bbc Brown Boveri & Cie Labyrinthdichtung
US5244216A (en) * 1988-01-04 1993-09-14 The Texas A & M University System Labyrinth seal
US5029876A (en) * 1988-12-14 1991-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Labyrinth seal system
US6168377B1 (en) * 1999-01-27 2001-01-02 General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hermal bowing of steam turbine rotors
US6467773B1 (en) * 2000-08-31 2002-10-22 Atlas Copco Comptec Inc. Liquid seal
US20120027582A1 (en) * 2010-08-02 2012-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Floating packing ring assembly
US8434766B2 (en) * 2010-08-18 2013-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engine seals
US20120091662A1 (en) * 2010-10-19 2012-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Labyrinth seal system
DE202011105609U1 (de) * 2011-09-12 2011-10-13 Alstom Technology Ltd. Labyrinthdichtung
JP6296649B2 (ja) 2014-03-04 2018-03-2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ル構造、及び回転機械
JP5911151B2 (ja) * 2014-12-15 2016-04-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タービン
JP2016201949A (ja) 2015-04-13 2016-12-01 日新電機株式会社 配電盤
FR3037117B1 (fr) * 2015-06-05 2018-01-12 Danfoss A/S Machine a fluide comportant un joint a labyrinthe
JP6510915B2 (ja) * 2015-07-03 2019-05-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JP6209200B2 (ja) * 2015-12-09 2017-10-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ップシール,シール構造,ターボ機械及びステップシールの製造方法
JP2017145813A (ja) * 2016-02-19 2017-08-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機械
JP6712873B2 (ja) * 2016-02-29 2020-06-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ル構造及びターボ機械
JP6637385B2 (ja) * 2016-05-31 2020-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JP6665043B2 (ja) * 2016-06-22 2020-03-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JP6650383B2 (ja) * 2016-10-13 2020-02-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ラビリンスシール
US20190072185A1 (en) * 2017-09-07 2019-03-0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Labyrinth seal and labyrinth seal structur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818A (en) * 1935-07-11 1938-07-12 Wegmann Ernst Labyrinth packing
JPS53104803U (ko) * 1977-01-31 1978-08-23
JPS6098196A (ja) 1983-11-02 1985-06-01 Hitachi Ltd 遠心羽根車のラビリンスシ−ル装置
JP2001032948A (ja) * 1999-07-21 2001-02-06 Hitachi Ltd 回転流体機械
JP3705026B2 (ja) * 1999-07-21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流体機械
JP2002228014A (ja) 2001-02-05 2002-08-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ビリンスシール
US7445213B1 (en) * 2006-06-14 2008-11-04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Stepped labyrinth seal
JP2011174451A (ja) * 2010-02-25 2011-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
JP2011220522A (ja) * 2010-04-08 2011-11-04 General Electric Co <Ge> 漏れ流れを減少させるためのロータ及びアセンブリ
JP2015108301A (ja) * 2013-12-03 2015-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及び回転機械
JP2016133113A (ja) * 2015-01-22 2016-07-2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ター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3138B2 (ja) 2019-12-18
US11085541B2 (en) 2021-08-10
KR102218269B1 (ko) 2021-02-22
US20190234416A1 (en) 2019-08-01
DE112017005203T5 (de) 2019-07-04
WO2018070279A1 (ja) 2018-04-19
JP2018063005A (ja)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969A (ko) 래비린스 시일
KR102126246B1 (ko) 래비린스 시일
US11035472B2 (en) Labyrinth seal
KR102188474B1 (ko) 래비린스 시일
KR102244406B1 (ko) 래비린스 시일 및 래비린스 시일 구조
US10570768B2 (en) Labyrinth seal
JP6975672B2 (ja) ラビリンスシール構造
KR20160091406A (ko) 시일 구조 및 회전 기계
JPWO2014010052A1 (ja) 軸流流体機械
US20190048734A1 (en) Rotary machine
CN107850221B (zh) 非接触环状密封件及具备该非接触环状密封件的旋转机械
JP7445495B2 (ja) ラビリンスシール及びガスタービン
JP6654453B2 (ja) ラビリンスシール
CN108779676B (zh) 旋转机械
JP6824862B2 (ja) ラビリンスシール、および、ラビリンスシール構造
EP4130453A1 (en) Labyrinth seal, and gas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