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647A -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647A
KR20190046647A KR1020180124228A KR20180124228A KR20190046647A KR 20190046647 A KR20190046647 A KR 20190046647A KR 1020180124228 A KR1020180124228 A KR 1020180124228A KR 20180124228 A KR20180124228 A KR 20180124228A KR 20190046647 A KR20190046647 A KR 20190046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icket
ticket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아리사다
히데유키 이케다
마사히로 미나가와
김경범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과제) 단말로 입장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상태 데이터를 서버로 관리한다.
(해결 수단) 단말에,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와,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본 개시는 티켓을 표시하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벤트에 참가하기 위한 티켓을, 전자 티켓으로서, 해당 티켓을 구입한 사용자의 정보 처리 단말에 표시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사용자에 의한 티켓 구입 처리에 의해, 티켓 데이터가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단말에 다운로드된 티켓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화면상에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소정의 입력 지시를 검출하고, 해당 소정의 입력 지시의 검출을 조건으로 해당 티켓 데이터의 사용 이력을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갱신한다. 특허 문헌 1에는, 이것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단말이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티켓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제 2014-096137호 공보
상기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이력을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의 갱신을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단말로 행한다. 그 때문에, 상태 데이터를 서버로 집중 관리할 수 없고, 해당 상태 데이터의 개찬(改竄)에 의한 티켓 데이터의 부정 사용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처리 단말에 티켓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기술에서, 통신 환경이 나쁜 상태일지라도 입장 처리를 가능으로 하면서,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단말에,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와,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을 소정 시간마다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에,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소정의 조건이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내인지를 조건으로 하여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판정의 결과가 통신 가능인 경우에,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에, 전자 티켓과 함께,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된 대상(Object)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고, 제 1 이벤트에 대응된 제 1 전자 티켓에 대응지어진 제 1 대상과 제 2 이벤트에 대응된 제 2 전자 티켓에 대응지어진 제 2 대상은 서로 다른 대상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대상이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대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대상이 배경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에,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표시하게 한 이후에,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하기 이전에, 해당 조작 상태의 변경을 취소할 수 없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한 이후,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변경시키지 않아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한 이후,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표시하게 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소정의 조작이 티켓 데이터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조작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은, 소정의 조작이 정보 처리 단말의 화면에의 조작 입력, 음성 입력, 문자 입력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은,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와,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고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단말은,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취득 처리부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와,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접수 처리부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송신 처리부를 구비하되, 송신 처리부는,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서의 단말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법적 사항의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를 실시하는 경우는, 본 개시의 실시에 관한 실시국의 법적 사항을 준수한 후에 실시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이 접속된다. 서버(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20)에, 단말(20)간의 메세지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단말(2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단말(20)과 하나 이상의 서버(10)를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네트워크(30)는, 단말(20)이 서버(10)에 접속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 가운데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여도 좋다. 네트워크(30)는 한정되지 않고, 예로서, 애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전용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VPN),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무선 LAN(Wireless LAN: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무선 WAN(Wireless WAN:WWAN), 대도시권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의 일부, 휴대 전화망,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s,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위성 통신 등,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1개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은 각 실시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단말이면 어떤 단말이어도 좋다. 단말(20)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스마트폰, 휴대 전화(피처 폰), 컴퓨터(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디바이스, 시계형 디바이스 등), 또는 타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처리 단말로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A), 단말(20B) 및 단말(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말(20X)에 대응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X, 단말(20X)를 조작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X로서 설명한다. 또, 사용자 정보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대표하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의 어카운트에 대응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사용자 정보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명, 사용자 이미지, 사용자 연령, 사용자 성별, 사용자 주소, 사용자의 취미 취향이나, SNS 시스템에 의해 설정되는 사용자 식별자 등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이어도 좋다.
서버(10)는, 단말(20)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10)는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이면 어떤 장치여도 좋다. 서버(10)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서버 장치, 컴퓨터(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혹은 타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좋다.
<하드웨어(HW)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단말(20)은 제어 장치(21)(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 기억 장치(28), 통신 I/F(22, Interface), 입출력 장치(23), 표시 장치(24), 마이크(25), 스피커(26), 카메라(27)를 구비한다. 단말(2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버스 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해당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I/F(22)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 장치(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서버(1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장치(21)로 전달한다.
입출력 장치(23)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23)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해당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 장치(2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 장치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하드웨어 키(hardware key)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 카메라(동화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는 제어 장치(21)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 장치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음성 출력), 렌즈(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24)는 프레임 버퍼에 기입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장치(24)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모니터(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Head Mounted Display), 프로젝션 매핑, 홀로그램, 공기 중 등(진공이어도 좋음)에 화상이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이들 표시 장치(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다.
입출력 장치(23)가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 장치(23)와 표시 장치(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어도 좋다.
제어 장치(2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고,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 장치(21)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28)는 단말(2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 장치(28)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 각종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단말(20)은 프로그램 P를 기억 장치(28)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 장치(21)가 제어 장치(2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 장치(28)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P는, 단말(20)에, 제어 장치(2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마이크(25)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26)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27)는 동화상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서버(10)는 제어 장치(11)(CPU), 기억 장치(15), 통신 I/F(14)(Interface), 입출력 장치(12), 디스플레이(13)를 구비한다. 서버(1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버스 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제어 장치(1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고,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 장치(1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고,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여도 좋다. 다만, 본 개시에서, 제어 장치(11)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억 장치(15)는 서버(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 장치(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 각종 기록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다만, 본 개시에서, 기억 장치(15)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거쳐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해당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과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I/F(14)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단말(2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14)는 단말(20)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장치(11)로 전달한다.
입출력 장치(12)는 서버(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장치(1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해당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 장치(11)에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장치(12)는 대표적으로는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로 실현된다. 또, 입출력 장치(12)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화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만, 본 개시에서, 입출력 장치(12)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3)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 디스플레이(1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등이어도 좋다. 또, 이들 디스플레이(1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다. 다만,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13)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0)는 프로그램 P를 기억 장치(15)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 장치(11)가 제어 장치(1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 장치(15)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P는, 서버(10)에, 제어 장치(1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 및/또는 서버(10)의 CPU가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 단말(20)의 제어 장치(21), 및/또는, 서버(10)의 제어 장치(11)는 CPU 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 처리를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의 프로그램 P(소프트웨어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좋다. 기록 매체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의 매체」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적절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베이스의, 또는 다른 집적 회로(IC)(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특정 용도 전용 IC(ASIC)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하이브리드 하드 드라이브(HHD), 광디스크, 광디스크 드라이브(ODD), 광자기 디스크, 광자기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 자기 테이프, 고체 드라이브(SSD), RAM 드라이브, 시큐어 디지털 카드 혹은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록 매체,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기록 매체는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 P를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떤 디바이스 또는 매체여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를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그램 P는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 제공되어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는 프로그램 P가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단말(2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10)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 장치(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10)로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서버(1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20)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의 제어 장치(1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단말(20)로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의 판정의 구성은 필수가 아니고, 판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동작되거나 판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해도 좋다.
또, 본 개시의 프로그램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상표) 등의 대상 지향 프로그램 언어,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실장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전자 티켓이 사용된 경우, 단말에서 해당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 갱신을 행하지 않고, 해당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미사용으로부터 사용 완료로 변경되도록 표시 형태를 전환시키고, 서버에서 해당 전자 티켓의 사용 이력인 사용 상태를 미사용으로부터 사용 완료로 갱신하는 형태가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에서의 입장 조작과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 갱신을 분리하여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환경이 나쁜 환경에서도,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게 입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단말에서의 전자 티켓의 표시상의 사용 상태를 조작 상태라고 표현하고, 그 상태를 미조작, 및/또는, 조작 완료라고 표현한다.
또한, 서버에서의 전자 티켓의 실제 사용 상태를 사용 상태라고 표현하고, 그 상태를 미사용, 및/또는, 사용 완료라고 표현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의 갱신은 서버에서 행하기 때문에, 단말에서는 사용 상태의 갱신은 행해지지 않고, 표시 전환에 의해 조작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해당 전자 티켓을 사용했는지와 같은 UI/UX를 제공한다.
<기능 구성>
(1) 단말의 기능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단말(20A ~ 20C))은, 제어 장치(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취득 처리부(210)와 표시 처리부(211)와 접수 처리부(212) 및 송신 처리부(213)을 갖는다.
취득 처리부(210)는 서버(10)로부터 티켓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취득 처리부(210)는 소정 타이밍에서 서버(10)로부터 티켓 데이터를 취득한다. 소정 타이밍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단말(20)의 사용자가 티켓을 구입한 시점 등, 티켓 데이터가 해당 사용자와 관련지어진 타이밍이다. 또한, 소정 타이밍은 미리 정해진 티켓의 분배 타이밍이나, 공연 일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일 이전의 일시나 소정 시간 전의 일시여도 좋다. 또한, 소정 타이밍은 단말(20)이 서버(10)에 대하여 티켓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 타이밍이어도 좋다. 또, 소정 타이밍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타이밍이어도 좋고,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티켓 데이터는 이벤트의 입장권(티켓)에 관한 데이터이다. 티켓 데이터는 이벤트의 명칭이나 출연자, 해당 이벤트의 개최 일시나 개최 장소 등, 해당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티켓 데이터는 좌석의 종류나 위치 등, 해당 좌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티켓 데이터는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해당 티켓 데이터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표시 처리부(211)는 단말(20)의 사용자가 관련지어진 복수의 티켓 데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을 표시 장치(24)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211)는 취득한 티켓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티켓이 미조작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로, 해당 전자 티켓을 표시 장치(24)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로, 해당 전자 티켓을 표시 장치(24)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전자 티켓이 미조작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를 「미조작 표시」라고 표현하고, 전자 티켓이 조작 완료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를 「조작 완료 표시」라고 표현한다.
표시 처리부(211)는 미조작 표시의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전환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해당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하게 한다. 이벤트 스태프는 조작 완료 표시의 전자 티켓을 확인하고, 해당 전자 티켓을 보인 사용자에게 이벤트에의 입장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표시 처리부(211)가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하기 때문에, 티켓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단말의 통신 환경이 나쁜 상태에서도 입장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한 경우, 소정의 조작을 수취하지 않으면, 해당 전자 티켓을 미조작 표시로 표시시키지 않는다. 조작 완료 표시가 표시된 이후에는, 소정의 조작을 수취하지 않으면, 미조작 표시를 표시할 수 없게 제어하는 것에 의해, 악의가 있는 사용자의 부정 행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후술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해당 소정의 조작을 스태프 조작이라고 표현한다.
소정의 조작은 단말(20)의 표시 장치(24)인 화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소정의 조작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단말(20)의 표시 장치(24)인 화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궤적에 따라, 스와이프 조작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어도 좋고, 소정의 코드나 패스워드의 입력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조작은 단말(20)의 표시 장치(24)인 화면에 대한 조작일 필요는 없고, 미리 정해진 음성을 입력하는 것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조작은 이벤트마다, 티켓 타입마다, 또는 이벤트 개최일마다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한 경우, 소정의 조작을 수취하지 않으면, 해당 전자 티켓을 미조작 표시로 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한 전자 티켓은 소정의 조작을 파악하고 있는 사람(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이벤트 개최자나 이벤트 스태프)이 아니면, 미조작 표시로 전환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악의 있는 사용자 등에 의한 전자 티켓의 부정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로 한 경우에도, 해당 소정의 조작을 다른 사용자(예컨대, 이벤트 스태프)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오조작에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조건>
접수 처리부(212)는,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한다.
접수 처리부(212)는,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한다.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은 해당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시간(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관람 시간이나 공연 시간)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시간이나, 임의로 설정되는 시간이다.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전자 티켓에 대응된 이벤트의 관람 시간 이후이고 공연 시간 이전의 시간이나, 전자 티켓에 대응된 이벤트의 관람 시간 이후의 시간이다.
또한, 접수 처리부(212)는 단말(20)이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해도 좋다.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거리는 단말(20)이 전자 티켓에 대응된 이벤트 장소의 부근에 가까워진 경우라도 좋다. 이벤트 장소의 부근은 해당 이벤트 장소나, 해당 이벤트 장소에의 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이다. 소정 거리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1km나, 100m, 10m 등 어떤 거리여도 좋다. 단말(20)의 접수 처리부(212)는,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GPS 등에 의해, 단말(20)이 전자 티켓에 대응된 이벤트 장소 부근에 가까워졌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표시 처리부(211)는 이벤트 장소나 해당 이벤트 장소에의 입구로부터, 단말(20)이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정한 경우,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접수 처리부(212)는 이벤트 장소나 해당 이벤트 장소의 입구로부터, 단말(20)이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없게 한다.
또한, 접수 처리부(212)는 단말(20)이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단말(20)은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신호를,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서버(10)나, 이벤트 장소의 입구 부근에 마련된 임의의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다.
전술한 소정의 조건은 조합하여도 좋다.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소정 시간과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조합한 경우,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이, 단말(20)이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된 시간이나, 단말(20)이 해당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 시간에 근거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티켓 데이터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해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부터 조작 완료로 변경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조건을 소정 시간으로서 설명한다.
송신 처리부(213)는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서버(10)로 송신한다. 송신 처리부(213)는 조작 완료 표시의 전자 티켓을 표시한 것에 응답하여,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해도 좋다. 이와 같이, 송신 처리부(213)가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서버(10)로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어, 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 상태 데이터의 개찬(改竄)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 송신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또한,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 송신을 소정 시간마다 재시도하여도 좋다. 또한,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 송신을 소정 시간마다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다.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소정 시간마다 재시도하여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소정 시간마다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서버(10)에 대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에 더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 재시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서버(10)에 대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을 재시도한 회수나, 재시도한 시각을 송신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213)는, 서버(10)에 대하여,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재시도한 회수나, 재시도한 시각을 송신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재시도하기 때문에, 해당 재시도 회수나 시간을 집계하는 것에 의해, 이벤트를 개최하는 장소 주변의 통신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단말(20)에서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재시도의 상황으로부터, 통신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단말(20)의 대수나, 통신 환경이 마련되지 않는 시간대를 집계하는 것에 의해, 통신 환경이 열악한 이벤트 장소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벤트의 주최자나 개최자는 해당 이벤트 장소의 통신 환경 개선을 검토하거나 적절한 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2) 단말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화면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표시 처리부(211)가 단말(20)에 표시하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는, 단말(20)의 사용자가 관련된 복수의 티켓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일람인 전자 티켓 리스트(40)가 표시된다. 단말(20)의 사용자가 관련된 복수의 티켓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가 구입 또는 취득한 복수의 티켓 데이터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 리스트(40)에는, 복수의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가 표시된다. 전자 티켓 리스트(40)에는, 제 1 이벤트에 대응된 제 1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A)와, 제 2 이벤트에 대응된 제 2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B)를 포함한다. 제 1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A)와 제 2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B)는 표시 형태가 다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A)와 제 2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B)는 그 표시 형태로서의 배경이 서로 다르다. 또, 단말(20)과 관련된 티켓 데이터가 1개의 경우, 해당 1개의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이 표시된다.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 각각에는, 이벤트에 출연하는 출연자의 사진이나, 해당 이벤트의 아이콘 등, 해당 이벤트에 관한 대상(42, Object)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A)에 포함되는 대상(42A)과 제 2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B)에 포함되는 대상(42B)은 그 표시 형태가 서로 다르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를, 서로 다른 정보(41)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 각각에 대응시켜, 해당 이벤트를 공유한 친구에게 대응된 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해당 이벤트를 공유한 친구에게 대응된 정보란, 해당 이벤트의 정보를 송신한 친구, 또는 해당 이벤트의 전자 티켓을 분배한 친구, 또는 해당 이벤트의 전자 티켓을 소유하는 친구에 관한 정보이며, 대표적으로는 해당 친구의 아이콘이다.
또한,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 각각에는 이벤트에 관한 각종 정보가 텍스트 데이터(43)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43)는 이벤트의 타이틀이나 출연자, 해당 이벤트의 일시나 장소 등, 해당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도 좋다.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의 각각은, 이러한 정보 이외에도, 단말(20)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자 티켓의 각각을 서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 티켓에 관한 정보(41)를, 서로 다른 정보(41)로서, 식별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 리스트(40)에는,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한 리커멘드 정보(44)를 포함하여도 좋다. 리커멘드 정보(44)는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이다. 리커멘드 정보(44)는 전자 티켓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이나, 단말(20)의 사용자가 과거에 구입한 전자 티켓의 구입 이력, 단말(20)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좋다. 리커멘드 정보(44)는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의 이벤트 출연자가 다른 이벤트에 출연하는 경우, 해당 다른 이벤트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또한, 리커멘드 정보(44)는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의 이벤트(오케스트라의 이벤트)와 동종의 이벤트(다른 오케스트라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것 같은 이벤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이 가능해져, 새로운 전자 티켓의 구입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 정보(41)의 각각은 단말(20)의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단말(20)의 사용자가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의 정보(41)를 선택한 경우,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는, 선택된 전자 티켓의 정보(41)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이 표시된다.
도 3은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의 표시 장치(24)는 전자 티켓(50)을 표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은 단말(20)의 사용자가 전자 티켓 리스트(40)에 포함되는 전자 티켓의 정보(41)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은 해당 전자 티켓(50)이 미조작 표시로 표시되는 경우의 예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이벤트의 타이틀이나 출연자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역(51)을 포함한다. 전자 티켓(50)의 영역(51)은 이벤트에 출연하는 출연자의 사진이나, 해당 이벤트의 아이콘 등, 해당 이벤트에 관한 대상(52)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자 티켓(50)의 영역(51)은 이벤트의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53)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에서는, 텍스트 데이터(53)로서 「LIVE TOUR 20××」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전자 티켓(50)에 대응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자 티켓(50)의 영역(51)은 이러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20)의 사용자가 해당 전자 티켓(50)을 다른 전자 티켓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이벤트나 좌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54)을 포함한다. 전자 티켓(50)의 영역(54)은 이벤트의 일시나 장소 등, 해당 이벤트에 관한 상세한 정보인 이벤트 정보(55)를 포함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에서는, 이벤트 정보(55)로서 「공연일:20××년 6월 30일」, 「공연/개장:17:00/18:00」 및 「장소:××××」이 표시된다. 또한, 전자 티켓(50)의 영역(54)은 해당 전자 티켓(50)에 대응된 좌석에 관한 좌석 정보(56)를 포함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에서는, 좌석 정보(56)로서 「전석 지정」 및 「아레나A 1열 20번」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전자 티켓(50)에 대응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나, 좌석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소정의 대상(57)을 포함한다. 소정의 대상(57)은 소정의 일러스트나 소정의 아이콘, 소정의 애니메이션, 소정의 동영상 등, 어떤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은 반드시 소정의 일러스트나 소정의 아이콘 등일 필요는 없고, 전자 티켓(50)의 배경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은 정적인 것이어도 좋고, 동적인 것이어도 좋다.
소정의 대상(57)이 동적인 경우, 해당 소정의 대상(57)의 표시 형태는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으로 변경된다. 소정의 대상(57)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표시된 위치에서,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회전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과 같은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이 동적인 경우, 해당 소정의 대상(57) 일부의 표시 형태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소정의 대상(57)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표시된 위치에서,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특정 동작(웃거나, 울거나, 이야기하거나, 제자리 걸음하는 등, 어떠한 동작이어도 좋음)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표시 형태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은 전자 티켓(50)에서의 해당 소정의 대상(57)의 표시 위치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도 3에서, 소정의 대상(57)은 전자 티켓(50)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고 있지만,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해당 전자 티켓(50)의 다른 장소에 표시해도 좋다. 소정의 대상(57)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하나의 표시 위치로부터 다른 표시 위치로 이동해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57) 자체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도 3에서, 소정의 대상(57)은 「곰」을 본뜬 일러스트이지만, 「고양이」 등 다른 일러스트로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은 배경이어도 좋고, 해당 소정의 대상(57)이 동적인 경우, 해당 전자 티켓(50)의 배경이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화한다. 소정의 대상(57)이 배경인 경우, 해당 배경의 색이나 형태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화해도 좋다. 또, 소정의 대상(57)은 전자 티켓(50)의 배경 전체일 필요는 없고, 배경의 일부여도 좋다. 소정의 대상(57)이 배경의 일부인 경우, 해당 배경의 일부 색이나 형태가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이 소정의 대상(57)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말(20)의 사용자는 전자 티켓(50)의 개찬이나 복제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져, 전자 티켓(50)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이 동적인 대상인 경우에는, 해당 소정의 대상(57)이 소정의 주기 또는 랜덤하게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전자 티켓(50)이 개찬 또는 복제된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자 티켓(50)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소정의 대상(57)을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것에 의해, 해당 소정의 대상(57)이 표시되는 화면이 녹화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대상(57)은 전자 티켓(50)마다 다른 것이라도 좋다. 제 1 이벤트에 대응된 제 1 전자 티켓(50A)과, 제 2 이벤트에 대응된 제 2 전자 티켓(50B)은 표시되는 소정의 대상(57)이 다른 것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는 해당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각각을 서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티켓(50)마다 소정의 대상(57)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전자 티켓(50)을 개찬 또는 복제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 티켓(50)마다 개찬 또는 복제해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되어, 전자 티켓(50)의 부정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입장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58)을 포함한다. 영역(58)은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서, 단말(20)의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수 처리부(212)가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 입장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58)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영역(58)이 액티브로 되면, 단말(20)의 사용자는 해당 영역(58)을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미조작 표시의 전자 티켓(50)이 표시되는 화면으로부터 전환되어, 해당 입장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의 영역(58)이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 단말(20)의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의 개최가 가까운 시일 내로 된 시점에서 입장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 이벤트의 개최와는 무관계한 타이밍에 오동작에 의해 입장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 티켓(50)의 입장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58)이 선택된 경우에,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예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59)과 소정의 조작을 수취하기 위한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이 표시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의 영역(51)이나 영역(54)은, 도 3에 나타내는 영역(51)이나 영역(54)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59)은, 텍스트 데이터로서, 「입장 스태프에게 이 화면을 제시해 주세요」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하여, 전자 티켓(50)을 이벤트 장소의 입장 스태프에게 제시할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은 단말(20)의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은 「입장 화면으로」라고 하는 문자열이 표시되어도 좋다.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은, 표시된 이후,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언제라도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고,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만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접수 처리부(212)가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에,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이 액티브하게 되면, 단말(20)의 사용자는 해당 조작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을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환시키기 위한 영역(60)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예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에는 소정의 조작을 수취하기 위한 조작 화면(61)이 표시된다. 또, 전자 티켓(50)의 다른 영역은 도 3이나 도 4에 표시하는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61)은 텍스트 데이터(62)와 전자 티켓(50)을 미조작 표시로부터 조작 완료 표시로 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영역(63)과, 취소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영역(64)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61)은 전자 티켓(50)에 중첩하는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또, 조작 화면(61)은 중첩하는 표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티켓(50)의 영역의 일부로서 표시되어도 좋고, 조작 화면(61)만 표시되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61)은 전자 티켓(50)을 사용 완료로 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영역(63)을 포함한다. 영역(63)은 「OK」라는 문자열이 표시되어도 좋다. 영역(63)은 단말(20)의 입출력 장치(23)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영역(63)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50)은 조작 완료 표시로 전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61)은 취소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영역(64)을 포함하여도 좋다. 영역(64)은 「취소」라는 문자열이 표시되어도 좋다. 단말(20)의 표시 장치(24)는 영역(64)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조작 화면(61)의 표시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으로의 전환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좋다. 또, 단말(20)의 표시 장치(24)는 영역(64)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입장 화면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화면(61)은 텍스트 데이터(60)로서 「입장 완료로 합니다(입장 스태프 조작용). “OK”를 누르면 이 티켓을 입장 완료로 합니다. 한 번 이 조작을 하면 취소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자열을 포함한다. 「입장 스태프 조작용」이라는 문자열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하여, 조작 화면(61)이 이벤트 장소의 입장 스태프 조작용 화면인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한 번 이 조작을 하면 취소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자열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하여, 전자 티켓(50)을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한 이후에, 해당 화면의 전환을 취소할 수 없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말(20) 사용자 등의 오조작에 의해, 해당 전자 티켓(50)이 조작 완료 표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20)의 표시 장치(24)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5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조작 화면(61)의 영역(63)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은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된 전자 티켓(50)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완료 표시된 전자 티켓(50)은 「CONFIRMED」라는 문자가 더해진 소정의 대상(65)을 포함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전자 티켓(50)의 영역(51)이나 영역(54)은 도 3에 나타내는 영역(51)이나 영역(54)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CONFIRMED」라는 문자가 더해진 소정의 대상(6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CONFIRMED」라는 문자가 더해진 소정의 대상(65)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조작 완료로 표시된다. 또, 소정의 대상(65)에 포함되는 문자는 전자 티켓(50)이 조작 완료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이면, 어떤 문자여도 좋다. 또, 소정의 대상(65)은, 전자 티켓(50)이 조작 완료인 것을 식별 가능하면, 반드시 문자열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소정의 대상(65)은 소정의 일러스트나 소정의 아이콘 등, 어떤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65)은 반드시 소정의 일러스트나 소정의 아이콘일 필요는 없고, 전자 티켓(50)의 배경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대상(65)은 정적인 것이어도 좋고, 동적인 것이어도 좋다. 또, 소정의 대상(65)은 「CONFIRMED」라는 문자가 더해진 이외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소정의 대상(57)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티켓(50)은 「CONFIRMED」라고 하는 문자가 더해진 소정의 대상(65)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되기 때문에, 단말(20)의 사용자나 입장 스태프 등에 대하여, 전자 티켓(50)이 조작 완료인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3) 서버의 기능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는 제어 장치(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송신 처리부(110)과 수신 처리부(111)를 갖는다.
송신 처리부(110)는 단말(20)에 대하여 티켓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송신 처리부(110)는 소정 타이밍에서, 단말(20)에 대하여, 티켓 데이터를 송신한다. 소정 타이밍은,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단말(20)의 사용자가 티켓을 구입한 시점 등, 티켓 데이터가 해당 사용자와 관련지어진 타이밍이다. 또한, 소정 타이밍은 미리 정해진 티켓의 분배 타이밍이나, 공연 일시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 날짜 이전의 일시라도 좋다. 또한, 소정 타이밍은 단말(20)로부터 티켓 데이터의 송신 요청을 수신한 타이밍이어도 좋다. 또, 소정 타이밍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타이밍이어도 좋다.
또한, 송신 처리부(110)는 단말(20)에 대하여, 전자 티켓(50)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송신 처리부(110)는 특정의 이벤트에 대응된 복수의 전자 티켓(50) 각각이 다운로드된 복수의 단말(20)에 대하여, 일제히, 전자 티켓(50)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송신 처리부(110)는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전자 티켓(50)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수신 처리부(111)는 단말(20)로부터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다. 수신 처리부(111)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기억 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를, 「미사용」으로부터 「사용 완료」로 변경한다.
도 7은 서버(10)의 기억 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해당 티켓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말(20)을 일의(一意)로 식별할 수 있는 단말 ID를 포함한다. 또한,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타이틀이나 출연자, 해당 이벤트의 일시나 장소 등, 해당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좌석의 종류나 위치 등, 해당 좌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해당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는 「미사용」또는 「사용 완료」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 시간이나, 단말(20)이 사용 상태 변경 요청 송신을 재시도 한 회수를 포함해도 좋다.
수신 처리부(111)는 단말(20)로부터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10)의 기억 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상태 정보를 「미사용」으로부터 「사용 완료」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20)로부터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티켓 A」의 사용 상태 정보를 「미사용」으로부터 「사용 완료」로 변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10)가 단말(20A)로부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을 행하기 때문에,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서버(10)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어 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한 해당 사용 상태 데이터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예>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의 송신 처리부(110)가 소정 타이밍에서 티켓 데이터를 단말(20)로 송신한다(S101).
단말(20)의 표시 처리부(211)는, 수신한 티켓 데이터에 근거하여, 티켓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티켓을, 미조작 표시로 표시 장치(24)에 표시하게 한다(S102).
서버(10)의 송신 처리부(110)는 단말(20)에 대하여, 전자 티켓(50)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한다(S103).
단말(20)의 접수 처리부(212)는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인지를 체크하고(S104), 소정 시간 내라고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한다(S105).
단말(20)의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50)을 입장 완료로 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61)(도 5 참조)을 표시하고(S106), 전자 티켓(50)을 입장 완료로 하는 조작을 한 것에 응답하여, 조작 완료 표시로 해당 전자 티켓(50)을 표시 한다(S107).
단말(20)의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판정하고(S108), 송신 가능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한다(S109). 또,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이라고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서버(10)의 수신 처리부(111)는 단말(20)로부터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기억 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티켓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 상태 정보를 「사용 완료」로 변경한다(S110).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단말(20)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의 표시 처리부(211)는 수신한 티켓 데이터에 근거하여, 티켓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자 티켓을 미조작 표시로 표시 장치(24)에 표시하게 한다(S201).
접수 처리부(212)는 티켓 데이터에 따른 소정 시간 내인지를 체크한다(S202). 접수 처리부(212)는 소정 시간 내라고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S202의 예),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한다(S203). 한편, 접수 처리부(212)는 소정 시간 내라고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S202의 아니오),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없게 하고(S204), 단계 S202로 돌아간다.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50)을 입장 완료로 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61)(도 5 참조)을 표시한다(S205). 표시 처리부(211)는 전자 티켓(50)을 입장 완료로 하는 조작을 행한 것에 응답하여, 조작 완료 표시로 해당 전자 티켓(50)을 표시한다(S206).
송신 처리부(213)는,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판정한다(S207). 송신 처리부(213)는 송신 가능한 것으로 응답하여(S207의 예),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한다(S208). 한편,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불가능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S207의 아니오), 단계 S207로 돌아간다. 또한, 송신 처리부(213)는 통신 가능 여부의 판정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여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효과>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20)이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을 조작 완료 표시로 표시하고, 서버(10)에 대하여,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하는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한다. 그 때문에,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티켓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단말(20)의 통신 환경이 나쁜 상태에서도 입장 처리를 할 수 있고,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 상태 데이터를 서버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 상태 데이터의 개찬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 티켓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단말(20)은,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재시도하기 때문에, 해당 재시도의 회수나 시간을 집계하는 것에 의해, 이벤트를 개최하는 회장 주변의 통신 환경을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 이벤트의 주최자나 개최자는 해당 이벤트 장소의 통신 환경의 개선을 검토하거나 적절한 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이나 실시예에 근거해 설명했지만, 당업자이면 본 개시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것임을 주의시키고 싶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유의하고 싶다. 한정이 아니라, 예컨대,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은 분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10 서버(정보 처리 장치)
11 : 제어 장치
110 : 송신 처리부
111 : 수신 처리부
12 : 입출력 장치
13 : 디스플레이
14 : 통신 I/F
15 : 기억장치
20 : 단말(정보 처리 단말)
21 : 제어 장치
210 : 취득 처리부
211 : 표시 처리부
212 : 접수 처리부
213 : 송신 처리부
22 : 통신 I/F
23 : 입출력 장치
24 : 표시 장치
25 : 마이크
26 : 스피커
27 : 카메라
28 : 기억 장치
30 : 네트워크

Claims (15)

  1. 정보 처리 단말에,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상기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되,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고 상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을 소정 시간마다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의 송신을 소정 회수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내인지를 조건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가 통신 가능한 경우에, 상기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전자 티켓과 함께, 해당 전자 티켓에 대응된 대상(object)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되,
    제 1 이벤트에 대응된 제 1 전자 티켓에 대응지어진 제 1 대상과, 제 2 이벤트에 대응된 제 2 전자 티켓에 대응지어진 제 2 대상은 서로 다른 대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변화하는 대상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배경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단말에,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표시하게 한 이후에,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하기 이전에, 해당 조작 상태의 변경을 취소할 수 없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한 이후,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표시하게 한 이후,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미조작으로 표시하게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미리 대응되어 있는 조작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정보 처리 단말의 화면에의 조작 입력, 음성 입력, 문자 입력 중 어느 하나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4.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상기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되,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며 상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정보 처리 방법.
  15. 티켓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취득 처리부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된 전자 티켓을, 해당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상태와 함께 표시하는 표시 처리부와,
    상기 티켓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취할 수 있게 하는 접수 처리부와,
    사용자의 상기 조작 상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를 조작 완료로 변경하는 송신 처리부
    를 구비하되,
    상기 송신 처리부는,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변경된 이후에, 상기 티켓 데이터의 사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 상태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전자 티켓의 조작 상태가 조작 완료이며 상기 상태 변경 요청이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티켓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정보 처리 단말.
KR1020180124228A 2017-10-26 2018-10-18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KR20190046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7560A JP6388702B1 (ja) 2017-10-26 2017-10-26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JP-P-2017-207560 2017-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47A true KR20190046647A (ko) 2019-05-07

Family

ID=6351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228A KR20190046647A (ko) 2017-10-26 2018-10-18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29672A1 (ko)
JP (1) JP6388702B1 (ko)
KR (1) KR20190046647A (ko)
CN (1) CN1097270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1825B2 (ja) * 2018-10-26 2021-09-29 イジゲン株式会社 定額制プラン提供装置、定額制プラン提供システムおよび定額制プラン提供プログラム
JP6913124B2 (ja) * 2019-04-08 2021-08-04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457997B2 (ja) 2019-09-12 2024-03-29 ビリ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チケット管理装置、チケット管理方法、および、チケット管理プログラム
CN112270526A (zh) * 2020-10-26 2021-01-26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变电倒闸现场操作方法及系统
US11227481B1 (en) * 2021-01-13 2022-01-18 Plantronics, Inc.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with health safety status determination
CN114004662B (zh) * 2021-12-31 2022-04-15 浙江口碑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核销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6137A (ja) 2012-03-29 2014-05-22 Live Styles株式会社 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602A (ja) * 2001-11-26 2003-06-06 Toshiba Corp 電子チケット運用システム、電子チケット運用方法、電子チケット運用サーバ、および電子チケットプログラム
JP2004021722A (ja) * 2002-06-18 2004-01-22 Ntt Docomo Inc チケット認証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チケット認証方法
JP2008146512A (ja) * 2006-12-13 2008-06-26 Nec Corp 電子クーポ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ユーザ端末
JP6053731B2 (ja) * 2014-04-02 2016-12-27 株式会社イープラス 電子チケット管理方法および電子チケット管理プログラム
JP6063420B2 (ja) * 2014-07-18 2017-01-18 ヤフー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電子チケット処理システム、電子チケット処理方法、および電子チケット処理プログラム
JP6333692B2 (ja) * 2014-09-29 2018-05-30 ぴあ株式会社 携帯端末、電子チケット処理プログラム、電子チケット処理方法
JP2017004488A (ja) * 2014-11-26 2017-01-05 株式会社ジェイティービー 電子チケット管理装置及び電子チケット管理方法
JP6399549B2 (ja) * 2015-01-05 2018-10-03 Kddi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の誤使用を防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6137A (ja) 2012-03-29 2014-05-22 Live Styles株式会社 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8702B1 (ja) 2018-09-12
JP2019079430A (ja) 2019-05-23
US20190129672A1 (en) 2019-05-02
CN109727013A (zh)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647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KR102510316B1 (ko)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CN105052108A (zh) 自动欺骗性数字证书检测
JP2020503585A (ja) 論理マップを通じた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データベースの走査
KR20150064063A (ko) 컴퓨팅 장치의 보안 식별 및 보안 식별 방법
CN106663018A (zh) 在容器化工作空间环境中修改android应用生命周期以控制其执行的方法
KR102535312B1 (ko) 정보처리 방법,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처리 단말
CN107533618A (zh) 保护数据免受未经授权的访问
US20210327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et acceptance method, and program
KR20230114332A (ko) 정보처리 방법,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처리 프로그램
JP700716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785934B1 (ja) サーバの情報処理方法、サーバ、プログラム、端末
KR20200015893A (ko) 정보처리 방법, 정보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90040132A (ko)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JP675372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JP2021047869A (ja) サーバの情報処理方法、サーバ、プログラム、端末
CN108111374A (zh) 同步设备列表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JP6872193B2 (ja) サーバ装置、電子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498823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79499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2020047057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20824B2 (ja) 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6159782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TWI787408B (zh) 程式、資訊處理方法、及資訊處理終端
CN115268740B (zh) 虚拟角色抽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