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065A - 밀봉 및 단열 탱크 - Google Patents

밀봉 및 단열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065A
KR20190045065A KR1020180122678A KR20180122678A KR20190045065A KR 20190045065 A KR20190045065 A KR 20190045065A KR 1020180122678 A KR1020180122678 A KR 1020180122678A KR 20180122678 A KR20180122678 A KR 20180122678A KR 20190045065 A KR20190045065 A KR 2019004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aling
tank
corner pie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929B1 (ko
Inventor
프랑소와 듀란
윌리엄 르 루
요한 부간
빈센트 버거
세바스티앙 델라노
라파엘 프루니에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9004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55Insul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는, 제1벽(1)의 지지 구조체(5)와 제2벽(2)의 지지 구조체(25) 사이의 에지 코너(100)에서, 코너 구조체(1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구조체는, 한편으로는 제1 연결 피스(12)를 통해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연결 피스(212)를 통해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상기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 및 상기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밀봉 및 단열 탱크{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발명은 밀봉 및 단열 탱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별하게는, 발명은, 예를 들어, -50℃와 0℃ 사이의 온도에서 (LPG로 언급되기도 하는) 액화 석유 가스를 운반 또는 대기압, -162℃ 부근에서 액화 천연 가스(LNG)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들을 위한 탱크들과 같은 저온 액체의 저장 또는 운반의 맥락에서 밀봉 및 단열 탱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선박들을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들은 예를 들어 문헌 WO-A-2017064413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 문헌은 복수 개의 탱크 벽들을 포함하는 프로판 탱커 또는 메탄 탱커의 탱크를 기재한다. 탱크의 각각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멤브레인 및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를 포함한다.
문헌 JP2009079736은 극저온 액체를 위한 육지의 탱크를 제안하고, 이 탱크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지지 구조체 및 M 형상의 컴포넌트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단열 배리어의 두께에 조정하도록 된 M 형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단열 배리어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 M 형상의 컴포넌트는 복잡한 성형(shaping)을 요구한다.
발명의 일 목적은 탱크의 2개의 벽들 사이의 코너에서 하나 이상의 밀봉 멤브레인들을 지지할 수 있고 단열 배리어의 다양한 두께들에 조정할 수 있는 코너 구조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발명은 제1벽과 제2벽을 포함하는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를 제공하고, 제1벽 및 제2벽은, 두께 방향으로, 지지벽(bearing wall), 지지벽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 및 지지벽에 평행하고 단열 배리어에 고정된 밀봉 멤브레인을 각각 포함하고, 밀봉 및 단열 탱크는, 제1벽의 지지벽과 제2벽의 지지벽 사이의 에지 코너(edge corner)에서, 코너 구조체를 포함하고, 코너 구조체는 제2벽의 지지벽에 고정된 제1 앵커링 플랜지, 제1벽의 지지벽에 고정된 제2 앵커링 플랜지 및 한편으로는 제1 연결 피스를 통해 제1 앵커링 플랜지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연결 피스를 통해 제2 앵커링 플랜지에 고정된 밀봉 코너 피스를 포함한다. 밀봉 코너 피스는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과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고, 밀봉 코너 피스는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평면(plane)에서 연장하는 제1 플랫 브랜치(flat branch) 및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플랫 브랜치를 포함하고, 제1 연결 피스는 제1 앵커링 플랜지에 평행한 제1 플랫 브랜치 및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에 평행한 제2 플랫 브랜치를 포함하고, 제2 연결 피스는 제2 앵커링 플랜지에 평행한 제1 플랫 브랜치 및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에 평행한 제2 플랫 브랜치를 포함하고, 제1 연결 피스의 제1 플랫 브랜치는 제1 앵커링 플랜지에 용접(weld)되고, 제2 연결 피스의 제1 플랫 브랜치는 제2 앵커링 플랜지에 용접되고, 밀봉 코너 피스의 제1 플랫 브랜치는 제1 연결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에 용접되고, 밀봉 코너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는 제2 연결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에 용접되고,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밀봉 코너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에 용접되고,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밀봉 코너 피스의 제1 플랫 브랜치에 용접된다.
이 코너 구조체는 밀봉 코너 피스에게 바람직한 위치를 맞추기 위해 앵커링 플랜지들 상에 연결 피스들의 앵커리지(anchorage)의 위치를 조정(adapt)함으로써 코너 밀봉 멤브레인들의 위치를 조절(adjust)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밀봉 코너 피스의 위치의 조절은 탱크 벽들의 단열 배리어들의 두께를 맞추기 위해 코너 구조체를 조정하는 것을 쉽게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앵커링 플랜지 상의 제1 연결 피스의 제1 플랫 브랜치의 위치는 제1 연결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 및 제2벽의 지지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밀봉 코너 피스의 제1 플랜 브랜치 및 제2벽의 지지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앵커링 플랜지 상의 제2 연결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의 위치는 제2 연결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 및 제1벽의 지지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밀봉 코너 피스의 제2 플랫 브랜치 및 제1벽의 지지벽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러한 탱크는 하나 이상의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앵커링 플랜지는 제1벽의 지지벽에 고정되기도 하고, 제2 앵커링 플랜지는 제2벽의 지지벽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이 예에서 제1 앵커링 플랜지 및 제2 앵커링 플랜지는 제1벽 및 제2벽의 지지벽들의 접합부(junction)에서 고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밀봉 코너 피스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들은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주름진 커플링(corrugated coupling)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제1벽 및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에지 코너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develop)하는 일련의 주름부(corrugation)들을 각각 포함하고, 제1벽 및 제2벽의 각각의 주름부는 밀봉 코너 피스의 주름진 커플링과 정렬(align)된다. 그러한 주름진 커플링들은 제1벽의 주름부와 제2벽의 주름부를 생산하고 이들에 피팅(fit)되기에 심플하여 밀봉 코너 피스와 밀봉 멤브레인들 사이의 밀봉의 연속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밀봉 멤브레인들과 함께 변형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밀봉 코너 피스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cross section)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들은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주름진 커플링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제1벽 및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탱크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고 에지 코너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하는 일련의 주름부들을 각각 포함하고, 제1벽 및 제2벽의 각각의 주름부는 밀봉 코너 피스의 주름진 커플링과 정렬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름진 커플링은 중앙 파트, 제1 만곡 단부 및 제2 만곡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만곡 단부는, 한편으로는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주름부 위로 피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파트 위로 피팅하고, 제2 만곡 단부는, 한편으로는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주름부 위로 피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파트 위로 피팅한다. 주름진 커플링들이 3개의 파트들에 있다는 사실은 밀봉 멤브레인들과의 연결을 심플하게 하고, 주름부들 사이의 오정렬(misalignment)들을 바로잡는 것(rectify)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앵커링 플랜지는 제1벽의 지지벽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2 앵커링 플랜지는 제2벽의 지지벽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지 코너에서, 제1벽의 지지벽 및 제2벽의 지지벽은 탱크의 내부 상에서 철각(salient angle)을 함께 형성하고, 제1 앵커링 플랜지는 제1벽의 지지벽의 연속부(continuation)에서 연장하고, 제2 앵커링 플랜지는 제2벽의 지지벽의 연속부에서 연장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지 코너에서, 제1벽의 지지벽 및 제2벽의 지지벽은 탱크의 내부 상에서 요각(re-entrant angle)을 함께 형성하고, 제1 앵커링 플랜지는 제1벽의 지지벽에 평행하고 제1벽의 지지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제2 앵커링 플랜지는 제2벽의 지지벽에 평행하고 제2벽의 지지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벽 및/또는 제2벽의 단열 배리어는 복수 개의 래깅 요소(lagging element)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래깅 요소는 탱크의 내부를 향해 바라보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에지 코너와 경계를 이루는 래깅 요소의 내부면은 밀봉 멤브레인을 바라보는 불연속부(discontinuity)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는 불연속부에 수용되고 래깅 요소의 내부면 및 밀봉 코너 피스의 플랫 브랜치의 내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lie flush with), 밀봉 멤브레인은 그 내부면에 고정되어 밀봉 멤브레인을 위한 연속적인 플랫 지지 표면(flat support surface)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롯(slot)들은 제1 앵커링 플랜지 및/또는 제2 앵커링 플랜지에 형성되고, 그 슬롯들은 주름진 커플링들의 레벨(level)에서 위치된다. 이들 슬롯들은 적어도 일부분이 밀봉 코너 피스의 크로스 섹션들과 주름진 커플링들 사이의 용접부(weld)들에 의해 겪는 기계적 응력(stress)들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벽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는 이차 단열 배리어이고, 이차 단열 배리어에 고정된 밀봉 멤브레인은 이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제1벽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과 제2벽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밀봉 코너 피스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이고, 제1벽 및 제2벽은, 탱크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이차 단열 배리어와 이차 밀봉 멤브레인의 맨 위 부분(top) 상에서, 탱크에 담긴 액체와 접촉하도록 된 일차 단열 배리어 및 일차 밀봉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코너 구조체는 제1벽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 및 제2벽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일차 밀봉 코너 피스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차 밀봉 코너 피스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을 통해 이차 밀봉 코너 피스에 고정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차 밀봉 코너 피스의 외부면은 일차 스터드들을 지지(bear)하고, 각각의 스페이서는 일차 스터드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일차 스터드에 장착된 일차 너트에 의해 일차 밀봉 코너 피스의 외부면에 대해 눌리도록 유지되고, 이차 밀봉 코너 피스의 내부면은 이차 스터드들을 지지하고, 스페이서는 고정 탭들을 구비(exhibit)하고, 이차 스터드는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들의 고정 탭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 플레이트는 이차 스터드에 장착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그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들은 이차 스터드에 장착된 이차 너트에 의해 이차 밀봉 코너 피스의 내부면에 대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차 밀봉 멤브레인들은 복합 멤브레인(composite membrane)들이고, 이차 밀봉 코너 피스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들은 복합 밀봉 스트립(composite sealing strip)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합 밀봉 스트립들은 코너 피스들 사이에 접합(bond)된다.
그러한 탱크는, 예를 들어 액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육지의 저장 시설(on-shore storage facility)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해안의(in-shore) 또는 연안의(off-shore) 플로팅 구조체, 특히 메탄 탱커, LPG 캐리어, 플로팅 저장 및 재기화 유닛(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FSRU), 플로팅 생산 저장 및 오프로딩(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FPSO) 유닛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액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은 선체(hull) 및 선체에 배열된 상술한 탱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명은 그러한 선박으로부터 로딩 또는 오프로딩(offloading)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도 하고, 여기서 저온 액체 제품은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부터 선박의 선체로 또는 선박의 선체로부터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 단열 파이프들을 통해 운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명은 저온 액체 제품을 위한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기도 하고, 그 시스템은 상술한 선박 및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를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열된 단열 파이프들 및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 단열 파이프들을 통해 저온 액체 제품의 유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유일하게 주어지는 발명의 수 많은 특정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기재하는 동안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고 이의 추가적인 오브젝트들, 디테일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더욱 분명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탱크의 내부로부터 보이는 탱크 돔(dome)을 도시하는 도 1의 탱크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그 구조에서 다양한 스테이지(stage)들 동안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각 코너 구조체의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6의 코너 구조체의 크로스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단열 배리어들이 게재(intercalate)된 2개의 밀봉 멤브레인들을 포함하는 탱크를 위한 코너 구조체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특히, 도 9 및 도 10은 이차 밀봉 코너 피스에 일차 밀봉 코너 피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특정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0은 일차 밀봉 코너 피스에 고정된 2개의 스터드들의 평면에서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인 반면, 도 9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에 고정된 2개의 스터드들의 평면에서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b 내지 도 10f는 일차 밀봉 코너 피스에 수직하고 에지 코너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들이고, 이차 밀봉 코너 피스에 일차 밀봉 코너 피스를 장착하기 위한 특정 일 실시예의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이차 밀봉 코너 피스에 일차 밀봉 코너 피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밀봉 코너 피스의 프로파일 도면이다.
도 1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각 코너 구조체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를 포함하는 메탄 탱커 또는 프로판 탱커의 절단도(cutaway view)이다.
도 15는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철각 코너 구조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액화 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의 이중 선체(double hull)의 내부 벽들로 만들어진 지지 구조체(bearing structure)의 맥락에서 도면들이 서술된다. 특히, 그러한 지지 구조체는, 예를 들어 각기둥 형상의, 다면체 기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그러한 지지 구조체를 도시하고, 그 지지 구조체에서, 상부벽(104), 하부벽(105) 및 측벽(106, 107, 108, 109, 110, 111)들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의 종방향의 벽들은 선박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고, 선박의 종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각형의 섹션을 형성한다. 그러한 다면체의 탱크들이 장착된 선박의 전체적인 방향은 문헌 FR3008765의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서술된다.
종방향의 벽(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들은 선박의 종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의 지지벽(101, 103)들에 의해 선박의 종방향으로 차단(interrupt)된다. 종방향의 벽(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들 및 횡방향의 벽(101, 103)들은 요각 에지 코너들에서 만난다.
지지 구조체의 각각의 벽은 각각의 탱크 벽을 지지한다. 도 2 내지 도 7에서, 탱크 벽들의 각각은, 부탄, 프로판, 프로펜(propene) 등을 담고 있는 액화 석유 가스와 같은 탱크에 저장되고 예를 들어 약 -50℃와 0℃ 사이의 평형 온도(equilibrium temperature)를 구비하는 유체와 접촉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단열 배리어로 만들어진다.
상부 벽(104)은, 예를 들어 평행 육면체의 직사각형의, 위로 돌출하며, 탱크 돔(112)으로 언급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도 2에 더욱 잘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돔(112)은 2개의 횡방향의 벽들인 전방벽(113) 및 후방벽(114)에 의해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하며 상부 벽(104)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측벽(115, 116)들에 의해 규정된다. 탱크 돔(112)은 탱크 돔(112)의 전방벽(113), 후방벽(114) 및 측벽(115, 116)들 사이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된,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수평 커버를 더 포함한다. 수평 커버는 이전에 언급된 액체들 및 가스들을 로딩 또는 오프로딩하도록 된 수평 커버를 통과하는 일련의 파이프들을 구비한다. 종방향의 상부 벽(104) 및 탱크 돔(112)의 벽들은 철각 에지 코너(100)들에서 만난다. 탱크 돔(112)의 전방벽(113) 및 측벽(115, 116)들은 요각 에지 코너(201)들에서 만난다.
도 3은 제1탱크벽(1) 및 제2탱크벽(2)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벽(5) 및 제2지지벽(25) 사이의 철각 에지 코너(100)의 영역에서 탱크 코너의 탱크의 내부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제1지지벽(5) 및 제2지지벽(25)은 이들 사이에 각도(α)를 형성한다. 제1탱크벽(1) 및 제2탱크벽(2)은 탱크의 코너 구조체(10)에서 만난다.
특별하게는, 도 3 내지 도 6과 연관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코너 구조체(10)는 철각 코너 구조체(2개의 지지벽들 사이의 탱크의 내부를 향하는 각도(α)는 180˚와 360˚ 사이에 포함되고, 이는 에지 코너가 탱크의 내부로부터 바라볼 때 철각임을 의미함)일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종방향의 벽(104)과 탱크 돔(112)의 전방벽(113), 후방벽(114) 및 측벽(115, 116)들 중 하나의 벽 사이의 에지 코너에 대한 예이다. 도 3 내지 도 6은 270˚로 측정된 각도(α)의 특정 예를 도시한다.
도 13과 연관지어 설명될 바와 같이, 코너 구조체(10)는 요각 코너 구조체(그 각도(α)는 0˚와 180˚ 사이에 포함되어 탱크의 내부로부터 바라볼 때 그 에지 코너가 요각임)일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종방향의 벽(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들 및 횡방향의 벽(101, 103)들 사이의 에지 코너에 대한 예이다. 도 13은 90˚로 측정된 각도(α)의 특정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벽(1)은, 두께 방향으로, 지지벽(5), 지지벽(5)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6) 및 지지벽(5)에 평행한 밀봉 멤브레인(27)을 포함한다. 제2탱크벽(2)은, 두께 방향으로, 지지벽(25), 지지벽(25)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26) 및 지지벽(25)에 평행한 밀봉 멤브레인(7)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탱크벽(1)의 단열 배리어(6)는 제1지지벽(5)에 앵커링 된 복수 개의 래깅 요소(61)들로 만들어진다. 이들 래깅 요소(61)들은 밀봉 멤브레인(27)이 앵커링되는 플랫 표면(flat surface)을 함께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탱크벽(2)의 단열 배리어(26)는 제2지지벽(25)에 앵커링 된 복수 개의 래깅 요소(61)들로 만들어진다. 이들 래깅 요소(61)들은 밀봉 멤브레인(7)이 앵커링되는 플랫 표면을 함께 형성한다. 래깅 요소(61)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지지 구조체에 앵커링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깅 요소(61)들은 공보 WO-A-201706441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터드들에 의해 지지벽에 앵커링 된 박스 섹션들의 형태로 생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멤브레인(7, 27)은 오버랩하며 서로 나란히 놓이는 복수 개의 금속 플레이트들로 만들어진다. 이들 금속 플레이트들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이다. 금속 플레이트들은 서로 용접되어 밀봉 멤브레인의 밀봉을 보장한다. 금속 플레이트들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또는 0.5 내지 1.5mm 두께의 고니켈 또는 고망간 내용물을 구비한 철 기반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밀봉 멤브레인이 탱크에 의해 겪는 다양한 응력 로딩들에 응답, 특별하게는 탱크로 액화 가스를 로딩함에 기인한 열적 수축(thermal contraction)에 응답하여 변형하게 하기 위해서, 금속 플레이트들은 탱크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복수 개의 주름부(71, 72)들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밀봉 멤브레인(7)은 규칙적인 직사각형 패턴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1주름부(71)들 및 일련의 제2주름부(72)들을 포함한다. 일련의 제1주름부(71)들은 에지 코너(100)에 수직하고, 일련의 제2주름부(72)들은 에지 코너(100)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주름부(71, 72)들은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들의 에지들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일련의 주름부들의 2개의 연속적인 주름부(71, 72)들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300mm 내지 800mm 정도, 이상적으로는 600mm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구조체(10)는 제1탱크벽(1)의 지지벽(5)의 연속부로부터 그리고 그 연속부에서 연장하는 제1 앵커링 플랜지(11) 및 제2탱크벽(2)의 지지벽(25)의 연속부로부터 그리고 그 연속부에서 연장하는 제2 앵커링 플랜지(211)를 포함한다. 제1 앵커링 플랜지(11)가 제2벽(2)의 지지벽(25)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제1탱크벽(1)의 지지벽(5)의 연속부에서 연장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상기 지지벽(25)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지지벽(25)으로부터 연장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상기 지지벽(2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10 및 도 11에서,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지지벽(5, 25)들의 접합부로부터 그리고 지지벽(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row)은 제2 앵커링 플랜지(211) 및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래깅 요소(61)들의 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앵커링 플랜지(211)가 제1벽(1)의 지지벽(5)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 제2 앵커링 플랜지(211)가 제2탱크벽(2)의 지지벽(25)의 연속부에서 연장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상기 지지벽(5)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지지벽(5)으로부터 연장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벽(5)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10 및 도 11에서,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지지벽(5, 25)들의 접합부로부터 그리고 지지벽(2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2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은 제1 앵커링 플랜지(11) 및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래깅 요소(61)들의 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구조체(10)는 제1 연결 피스(12) 및 제2 연결 피스(212)를 포함한다. 제1 연결 피스(12)는, 앵커링 플랜지(11)에 고정되며 앵커링 플랜지(11)의 연속부에서 연장하는 제1 플랫 브랜치(122)와,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2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 및 제1 앵커링 플랜지(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지지벽(2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플랫 브랜치(121)를 포함한다. 특별하게는, 제1 연결 피스(12)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섹션(125)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피스(212)는, 앵커링 플랜지(211)에 고정되며 앵커링 플랜지(211)의 연속부에서 연장하는 제1 플랫 브랜치(2122)와,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 및 제1 앵커링 플랜지(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지지벽(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플랫 브랜치(2121)를 포함한다. 특별하게는, 제2 연결 피스(212)는 연속적인 복수 개의 섹션(215)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결 피스(12, 212)는 탱크벽(1 또는 2)의 단열 블록(61)들을 향해 바라보는 앵커링 플랜지(11, 211)의 그 면에 특별한 선호 없이(without preference) 용접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피스(12, 212)들은 이들의 강성(stiffness)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의 2개의 플랫 브랜치들 사이의 보강부(reinforc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앵커링 플랜지(11),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2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 제2 플랫 브랜치(121) 및 지지벽(25)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은 글라스 울(glass wool)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래깅 물질로 채워진다. 유리하게는, 제2 앵커링 플랜지(211),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단열 배리어(6)의 래깅 요소(61)들의 열, 제2 플랫 브랜치(211) 및 지지벽(5)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은 글라스 울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래깅 물질로 채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구조체(10)는, 한편으로는 제1 연결 피스(12)를 통해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연결 피스(212)를 통해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고정된 밀봉 코너 피스(13)를 더 포함한다.
밀봉 코너 피스(13)는 밀봉 멤브레인(7, 27)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의 플레이트,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이다. 밀봉 코너 피스(13)는 예를 들어 3mm와 10mm 사이의 두께를 구비한다. 이 두께는 자가 지지(self-supporting)하기에 충분한 강도(rigidity)를 제공하고, 이는 밀봉 멤브레인(7, 27)들의 경우에 반드시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밀봉 코너 피스(13)는 제2탱크벽(2)의 밀봉 멤브레인(7)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플랫 브랜치(131) 및 제1탱크벽(1)의 밀봉 멤브레인(27)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플랫 브랜치(132)를 포함한다. 제1 플랫 브랜치(131)는 제1 연결 피스(12)에 고정(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 피스(12)의 제2 플랫 브랜치(121)에 용접)되고, 제2 플랫 브랜치(132)는 제2 연결 피스(212)에 용접(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연결 피스(212)의 제2 플랫 브랜치(2121)에 용접)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코너 피스(13)는 그 외부면 상의 보강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코너 구조체는, 한편으로는 앵커링 플랜지(11, 211)들 상의 연결 피스(12, 212)들의 제1 플랫 브랜치(122, 2122)들의 앵커리지의 위치를,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피스(12, 212)들의 제2 플랫 브랜치(121, 2121)들에 대한 밀봉 코너 피스(13)의 플랫 브랜치(131, 132)들의 앵커리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밀봉 코너 피스(1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밀봉 코너 피스(13)의 위치의 조절은 단열 배리어(6, 26)들의 래깅 요소(61)들의 두께를 맞추기 위해 코너 구조체를 조정하는 것을 쉽게 가능하게 한다.
밀봉 코너 피스의 제1브랜치(131)는 제2탱크벽(2)의 밀봉 멤브레인(7)을 위한 플랫 지지부(flat support)를 형성하고, 밀봉 코너 피스의 제2브랜치(132)는 제1탱크벽(1)의 밀봉 멤브레인(27)을 위한 플랫 지지부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은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1브랜치(131) 상에 놓여 있다.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은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2브랜치(132) 상에 놓여 있다. 코너 구조체(10)의 영역에서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과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밀봉 코너 피스(13)는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 및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은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이 놓이는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1브랜치(131)에 용접될 수 있고,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은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이 놓이는 밀봉 코너 피스의 제2브랜치(132)에 용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코너 피스(13)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13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코너 피스를 위한 크로스 섹션(135)들은 제1 연결 피스(12)의 2개의 인접한 섹션(125)들 및 제2 연결 피스(212)의 2개의 인접한 섹션(215)들에 오버랩하며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135)들은 주름진 커플링(15)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벽 및 제2벽의 일련의 제1주름부(71)들의 각각은 밀봉 코너 피스의 주름진 커플링(15)과 정렬된다. 주름진 커플링(15)은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의 주름부(71) 위로 및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의 주름부(71) 위로 피팅(fit)한다. 주름진 커플링(15)들은 밀봉 코너 피스(13)가 밀봉 멤브레인(7, 27)들과 함께 변형하게 한다.
도 7에 더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주름진 커플링(15)은 중앙 파트(153), 제1 만곡 단부(151) 및 제2 만곡 단부(152)를 포함한다. 중앙 파트(153)는 2개의 횡방향의 탭들을 포함하고, 그 횡방향의 탭들 중 하나의 탭이 밀봉 코너 피스의 일 섹션(155)의 중앙 파트(133)에 용접되고, 다른 하나의 횡방향의 탭은 밀봉 코너 피스의 인접한 섹션(155)의 중앙 파트에 용접된다. 제1 만곡 단부(151)는, 한편으로는 제1벽의 주름부(71) 위로,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파트(153) 위로 피팅한다. 제1 만곡 단부(151)는 2개의 횡방향의 탭들을 포함하고, 그 횡방향의 탭들 중 하나의 탭은 밀봉 코너 피스의 일 섹션(155)에 용접되고, 다른 하나의 횡방향의 탭은 밀봉 코너 피스의 인접한 섹션(155)에 용접되고, 이 탭들은 제2탱크벽(2)의 밀봉 멤브레인(7) 및 밀봉 코너 피스(13) 사이의 오버랩 영역을 커버한다. 마찬가지로, 제2 만곡 단부(152)는 2개의 횡방향의 탭들을 포함하고, 그 횡방향의 탭들 중 하나의 탭은 밀봉 코너 피스의 섹션(155)에 용접되고, 다른 하나의 횡방향의 탭은 밀봉 코너 피스의 인접한 섹션(155)에 용접되고, 이 탭들은 제1탱크벽(1)의 밀봉 멤브레인(27) 및 밀봉 코너 피스(13) 사이의 오버랩 영역을 커버한다.
그러한 주름진 커플링(15)들은 제조하기에 심플하고, 제1벽의 주름부(71) 위로 및 제2벽의 주름부(71) 위로 피팅하기에 심플하여 밀봉 코너 피스(13) 및 밀봉 멤브레인(7, 27)들 사이의 밀봉의 연속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밀봉 멤브레인(7, 27)들과 함께 변형 가능하다. 주름진 커플링(15)들이 3개의 파트들에 있다는 사실은 밀봉 멤브레인(7, 27)들로의 연결을 심플하게 하고, 주름부(71)들 사이의 오정렬을 바로잡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슬롯(119)들은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는, 슬롯(2119)들은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형성된다. 특별하게는, 슬롯(119 및/또는 2119)들은 에지 코너(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앵커링 플랜지(11, 211)의 단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고, 특별하게는 그 방향으로 앵커링 플랜지(11, 211)의 치수의 1/2과 2/3 사이와 동일한 거리로 연장할 수 있다. 특별하게는, 슬롯(119 및/또는 2119)들은 주름진 커플링(15)들의 영역에, 다시 말하면 전형적으로 매 600mm마다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슬롯(119, 2119)들은 주름진 커플링(15)들 및 밀봉 코너 피스(13)의 크로스 섹션(135)들 사이의 용접부들에 의해 겪는 기계적 응력들을 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래깅 요소(61)는 탱크의 내부를 향해 바라보는 커버 패널을 포함한다. 관례상, 지구의 중력장에 대한 탱크 벽의 배향이 어떻든 간에, 형용사들 "내측(inside)의" 또는 "내부의(interior)"는 탱크의 구성요소에 적용될 때 탱크의 내부를 향해 바라보는 이 구성요소의 파트를 가리키고, 형용사들 "외측(outside)의" 또는 "외부(exterior)의"는 탱크의 외부를 향해 배향된 이 구성요소의 파트를 가리킨다. 코너 구조체(10)에 바로 인접한 래깅 요소(61)들의 측 상에서, 커버 패널의 내측면은 연결 피스(12, 212)를 바라보는 불연속부(62)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63)는 불연속부(62)에 수용되고, 래깅 요소(61)의 내부면과 밀봉 코너 피스의 플랫 브랜치(132)의 내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 그 내부면에 밀봉 멤브레인(27)이 고정되어 밀봉 멤브레인(27)을 위한 연속적인 플랫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아울러, 연결 플레이트(63)는 탱크의 제조 중 발생할 수 있는 제조 움직임(construction play)을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63)는 그 외부면 상에서 불연속부를 구비할 수 있고, 밀봉 코너 피스의 플랫 브랜치(132)가 고정되는 연결 피스(212)의 제1브랜치(2122)는 연결 플레이트(63)의 불연속부에 박히게(lodge) 된다. 결국, 연결 플레이트(63)는 래깅 요소(61)의 내부면과 연결 피스(212)의 제1브랜치(2122)의 내부면에 대해 모두 지지한다. 연결 플레이트(63)는 제1탱크벽(1)과 연관지어 설명되나, 유사한 연결 플레이트가 제2탱크벽(2)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단일의 밀봉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탱크를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기술은 다양한 타입의 탱크에, 예를 들어 메텐 탱커 등과 같은 육지의 시설에서 또는 플로팅 구조체에서 액화 천연 가스(LNG)를 위한 이중 멤브레인 탱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술한 도면들에 도시된 밀봉 멤브레인은 이차 밀봉 멤브레인이라는 점 및 일차 단열 배리어와 일차 밀봉 멤브레인도 이러한 이차 밀봉 멤브레인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기술은 서로 위에 중첩(superpose)되는 복수 개의 단열 배리어들 및 밀봉 멤브레인들을 구비하는 탱크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지 코너(100)에서의 탱크의 2개의 벽들을 도시하고, 여기서 제1탱크벽(1)은, 탱크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전술한 도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단열 배리어(6)에 대응하는 이차 단열 배리어(6), 전술한 도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밀봉 멤브레인(27)에 대응하는 이차 밀봉 멤브레인(27), 단열 배리어(6) 및 탱크에 담긴 액체와 접촉하도록 된 일차 밀봉 멤브레인(9)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탱크벽(2)은, 탱크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전술한 도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단열 배리어(26)에 대응하는 이차 단열 배리어(26), 전술한 도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밀봉 멤브레인(7)에 대응하는 이차 밀봉 멤브레인(7), 일차 단열 배리어(26) 및 탱크에 담긴 액체와 접촉하도록 된 일차 밀봉 멤브레인(29)을 포함한다.
일차 단열 배리어(6, 26) 및 일차 밀봉 멤브레인(29, 9)은 이차 단열 배리어(6, 26) 및 이차 밀봉 멤브레인(27, 7)과 유사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형태에서, 일차 밀봉 멤브레인(9, 29)들은 이차 밀봉 멤브레인(7, 27)들과 다르다. 예를 들어, 이차 밀봉 멤브레인(7, 27)의 주름부들은 탱크 벽의 외부를 향해 바라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형태에서, 이차 밀봉 멤브레인(9, 29)들 및 이차 밀봉 멤브레인(7, 27)은 탱크 벽의 외부를 향해 바라보는 주름부들을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형태에서, 이차 밀봉 멤브레인(7, 27)들은 복합 밀봉 배리어들이다. 복합 연결 스트립은, 일 측 상에서 제2 플랫 브랜치(132) 상의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접합되고, 다른 측 상에서 단열 블록(61)들의 맨 위 부분 상에 존재하는 복합 밀봉 배리어에 접합된다. 대안적으로, 복합 연결 스트립은, 일 측 상에서 제2 연결 피스(212)에 접합될 수 있고, 다른 측 상에서 단열 블록(61)들의 맨 위 부분에 존재하는 복합 밀봉 배리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차 배리어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복합 밀봉 스트립들은 코너 피스(135)들 사이에 접합된다. 특별하게는, 복합 밀봉 배리어는 3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복합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3개의 층들 중 2개의 외부 층들은 섬유유리 직물(fiberglass fabric)들이고, 중간 층은 얇은 금속 포일,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0.1mm 두께의 알루미늄 포일이다. 이러한 금속 포일은 이차 밀봉 배리어를 구성하고, 단열 배리어(6, 26)의 단열 블록(61)들에 접합된다. 특별하게는, 복합 연결 스트립들 및 복합 밀봉 스트립들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도 3 내지 도 6과 연관지어 설명한 밀봉 코너 피스(13)에 대응하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된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도 3 내지 도 6과 연관지어 설명한 밀봉 코너 피스(13)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제1탱크벽(1)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29) 및 제2탱크벽(2)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9)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를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하는 다양한 가능한 방식들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하게는,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앵커링 부재(30)들에 의해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부재(30)들은 스페이서(32)들 및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되기 전에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은 용접 및/또는 나사 고정(screwing)에 의해 고정된 이차 스터드(31)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된 2개의 스터드(31)들의 평면에서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특별하게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각각의 크로스 섹션(135)은 2개의 스터드(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터드(31)는 탱크의 내부를 향해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중앙 파트(133)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외부면은 용접 및/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 일차 스터드(35)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에 고정된 2개의 스터드(35)들의 평면에서의 섹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특별하게는,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각각의 크로스 섹션은 2개의 스터드(35)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터드(35)는 탱크의 외부를 향해 일차 밀봉 코너 피스의 중앙 파트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를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장착하는 일 방식은 도 10b 내지 도 10f와 연관지어 이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각각의 크로스 섹션(9135)은 하나 이상의 일차 스터드(35)들을 포함한다.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에 대해 스터드들의 반대편 단부는 나사 스레드를 지지한다. 각각의 스페이서(32)는 그 내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322)를 포함한다. 특별하게는, 각각의 스페이서(32)는 그 내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오리피스(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페이서(32)는 그 스페이서의 각각의 오리피스(322)가 이를 통과하는 스터드(35)를 구비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터드(35)들에 장착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51)는 각각의 스터드(35)의 스레드 된 단부에 장착된다. 결국, 스페이서(32)의 내부면은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외부면에 대해 상기 너트(351)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된다. 스터드(31)가 통과하는 오리피스와 일직선을 이루는(in line with) 스페이서(32)에 만들어진 보어(bore)(321)는 너트(351)가 스터드 상으로 나사 고정되게 하고, 너트(351)가 나사 고정된 후에 보어(321)에는 단열부(insulator)로 채워진다.
도 10e 및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스페이서(32)의 외부면(이는 일차 밀봉 코너 피스(931)에 대해 스페이서(32)의 반대편 면을 말하는 것을 의미함)은 임의의 수단, 예를 들어 접합(bonding), 리벳 고정(riveting) 또는 나사 잠금(screw fastening)에 의해,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각각의 크로스 섹션(135)은 하나 이상의 스터드(31)들을 포함한다.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대해 스터드(31)들의 반대편 단부는 나사 스레드를 지지한다. 스페이서(32)는 스페이서의 외부면과 정렬하도록 연장하는 고정 탭(323)들을 구비한다. 스터드(31)는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32)들의 고정 탭(323)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 10f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33)는 스터드(31)에 장착된다. 너트(311)는 스터드(31)의 스레드 된 단부에 장착된다. 결국,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32)들은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에 대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33)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이차 밀봉 코너 피스(31)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드(31)들은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에서의 홀(hole)들을 통과하고, 너트는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내부면에 장착되고, 결국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스페이서(32)의 내부면에 대해 상기 너트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되고, 스페이서(32) 그 자체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에 대해 상기 너트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2개의 플랫 브랜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이들 사이에서 에지 코너의 지지벽들 사이의 각도(α), 다시 말하면 도 11에 도시된 경우에서 90˚와 동일한 각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각도(α)와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는 지지부(37)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지지부(37)는 2등변 삼각형 크로스 섹션을 구비한 빔일 수 있고, 그 삼각형의 베이스는 스페이서(32)의 외부면에 고정된다.
유사한 코너 구조체가 탱크의 요각 에지 코너(201)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3은 90˚ 정도의 내부 각도(α)를 형성하는 2개의 탱크 벽들 사이의 탱크 에지 코너를 도시한다. 그러한 탱크 에지 코너는 도 2 내지 도 6과 연관지어 설명한 바와 같은 코너 구조체(10)와 유사한 코너 구조체(510)를 포함하고, 그 차이는 제1 앵커링 플랜지(11)가 제1탱크벽(1)의 지지벽(5)에 평행하게 그리고 지지벽(5)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이어진다는 점 및 제2 앵커링 플랜지(211)가 제2탱크벽(2)의 지지벽(25)에 평행하게 그리고 지지벽(25)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이어진다는 점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탄 탱커 또는 프로판 탱커(1070)의 절단도는 선박의 이중 선체(1072)에 장착된 전체적으로 각기둥 형상의 밀봉 및 단열 탱크(1000)를 도시한다. 탱크의 벽은 탱크에 담긴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배리어 및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1072)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를 포함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에서, 선박의 상부 데크 상에 배열된 로딩/오프로딩 파이프(1073)들은, 탱크(1000)로부터 또는 탱크(1000)로 액화 가스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적절한 커넥터들에 의해, 해양 또는 포트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 수중 파이프(1076) 및 육지의 시설(1077)을 포함하는 해양 터미널의 일 예를 도시한다.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은 이동식 아암(1074) 및 이동식 아암(1074)을 지지하는 타워(1078)를 포함하는 고정된 연안의 시설이다. 이동식 아암(1074)은 로딩/오프로딩 파이프(1073)들에 연결될 수 있는 일 다발의 연성 단열 파이프(1079)들을 지지한다. 배향 가능한 이동식 아암(1074)은 메탄 탱커의 모든 사이즈들에 맞추기 위해 조정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 파이프는 타워(1078) 내부로 연장한다.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은 육지의 시설(1077)로부터 또는 육지의 시설(1077)로 선박(1070)의 로딩 및 오프로딩을 허용한다. 그 시설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1080)들 및 수중 파이프(1076)에 의해 로딩 또는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1081)들을 포함한다. 수중 파이프(1076)는 장거리로, 예를 들어 5km로 로딩 또는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과 육지의 시설(1077) 사이에 액화 가스가 운반되게 하고, 이는 로딩 및 오프로딩 작업 중에 선박(1070)이 장거리로 해안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유지되게 한다.
액화 가스를 운반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박(1070)의 선상에 운반된 펌프들 및/또는 육지의 시설(1077)이 장착된 펌프들 및/또는 로딩 및 오프로딩 스테이션(1075)이 장착된 펌프들이 이용된다.
발명이 수 많은 특정 실시예들과 연관지어 설명되었지만, 어떤 방식으로도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 및 전술한 수단의 모든 등가물들 및 이의 조합물들이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점은 상당히 자명하다.
동사들 "포함(comprise)", "구비(exhibit)" 및 "포함(include)" 및 이의 활용 형태들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열거된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 외의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또는 단계에 대한 부정관사(a, an)의 사용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그러한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 개가 있다는 점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의 어떤 도면부호도 청구범위에 제한을 가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5)

  1.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1000)에 있어서,
    제1벽(1) 및 제2벽(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벽(1) 및 상기 제2벽(2)은, 두께 방향으로, 지지벽(5, 25), 상기 지지벽(5, 25)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6, 26) 및 상기 지지벽(5, 25)에 평행하고 상기 단열 배리어(6, 26)에 고정된 밀봉 멤브레인(7, 27)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밀봉 및 단열 탱크(1000)는,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 및 상기 제2벽(2)의 지지벽(25) 사이의 에지 코너(100, 201)에서, 코너 구조체(1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구조체는,
    - 상기 제2벽(1)의 지지벽(5)에 고정된 제1 앵커링 플랜지(11),
    - 상기 제1벽(2)의 지지벽(25)에 고정된 제2 앵커링 플랜지(211),
    - 한편으로는 제1 연결 피스(12)를 통해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연결 피스(212)를 통해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고정되는 밀봉 코너 피스(13) -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상기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 및 상기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상기 제2벽(2)의 밀봉 멤브레인(7)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플랫 브랜치(131) 및 상기 제1벽(1)의 밀봉 멤브레인(27)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플랫 브랜치(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피스(12)는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평행한 제1 플랫 브랜치(122) 및 상기 제2벽(2)의 밀봉 멤브레인(7)에 평행한 제2 플랫 브랜치(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피스(212)는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평행한 제1 플랫 브랜치(2122) 및 상기 제1벽(1)의 밀봉 멤브레인(27)에 평행한 제2 플랫 브랜치(2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피스(12)의 제1 플랫 브랜치(122)는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연결 피스(212)의 제1 플랫 브랜치(2122)는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에 용접되고,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1 플랫 브랜치(131)는 상기 제1 연결 피스(12)의 제2 플랫 브랜치(121)에 용접되고,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2 플랫 브랜치(132)는 상기 제2 연결 피스(212)의 제2 플랫 브랜치(2121)에 용접되고,
    상기 제1벽(1)의 밀봉 멤브레인(27)은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2 플랫 브랜치(132)에 용접되고,
    상기 제2벽(2)의 밀봉 멤브레인(7)은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의 제1 플랫 브랜치(131)에 용접되는 탱크(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135)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135)들은 상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주름진 커플링(15)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벽 및 상기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27, 7)은 상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에지 코너(100, 20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develop)하는 일련의 주름부(71, 271)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벽 및 상기 제2벽의 각각의 주름부(71)는 상기 밀봉 코너 피스의 주름진 커플링(15)과 정렬되는 탱크(10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135)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135)들은 상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주름진 커플링(15)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벽 및 상기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27, 7)은 상기 탱크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에지 코너(100, 20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하는 일련의 주름부(71, 271)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벽 및 상기 제2벽의 각각의 주름부(71)는 상기 밀봉 코너 피스의 주름진 커플링(15)과 정렬되는 탱크(10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주름진 커플링(15)은 중앙 파트(153), 제1 만곡 단부(151) 및 제2 만곡 단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 단부(151)는, 한편으로는 상기 제1벽의 밀봉 멤브레인(27)의 주름부(71) 위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중앙 파트(153)의 위로 피팅하고, 상기 제2 만곡 단부(152)는, 한편으로는 상기 제2벽의 밀봉 멤브레인(7)의 주름부(71) 위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중앙 파트(153) 위로 피팅하는 탱크(10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상기 제2벽(2)의 지지벽(2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탱크(10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코너(100)에서, 상기 제1벽의 지지벽(5) 및 상기 제2벽의 지지벽(25)은 상기 탱크의 내부 상에서 철각(salient angle)(α)을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의 연속부에서 연장하고,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상기 제2벽(2)의 지지벽(25)의 연속부에서 연장하는 탱크(1000).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 및/또는 상기 제2벽의 지지벽(25)은 상기 탱크의 내부 상에서 요각(re-entrant angle)(α)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앵커링 플랜지(11)는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에 평행하게 및 상기 제1벽(1)의 지지벽(5)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연장하고, 상기 제2 앵커링 플랜지(211)는 상기 제2벽(2)의 지지벽(25)에 평행하게 및 상기 제2벽(2)의 지지벽(25)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연장하는 탱크(10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1) 및/또는 상기 제2벽(2)의 단열 배리어(6, 26)는 복수 개의 래깅 요소(61)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래깅 요소(61)는 상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바라보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에지 코너(100)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래깅 요소(61)의 내부면은 상기 밀봉 멤브레인(27)을 바라보는 불연속부(62)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63)는 상기 불연속부(62)에 수용되며 상기 래깅 요소(61)의 내부면 및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의 플랫 브랜치(132)의 내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게 놓이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27)은 상기 내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밀봉 멤브레인(27)을 위한 연속적인 플랫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탱크(10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5, 25)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6, 26)는 이차 단열 배리어이고, 상기 이차 단열 배리어(6, 26)에 고정된 상기 밀봉 멤브레인(7, 27)은 이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상기 제1벽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27) 및 상기 제2벽의 이차 밀봉 멤브레인(7)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밀봉 코너 피스(13)는 이차 밀봉 코너 피스이고, 상기 제1벽(1) 및 상기 제2벽(2)은, 상기 탱크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상기 이차 단열 배리어(6, 26) 및 상기 이차 밀봉 멤브레인(7, 27)의 맨 위 부분 상에서, 상기 탱크에 담긴 액체와 접촉하도록 된 일차 단열 배리어(8, 28) 및 일차 밀봉 멤브레인(7, 27)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구조체(10)는 상기 제1벽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9) 및 상기 제2벽의 일차 밀봉 멤브레인(29)에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를 더 포함하는 탱크(10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2)들을 통해 상기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에 고정된 탱크(10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외부면은 일차 스터드(35)들을 지지(bear)하고, 각각의 스페이서(32)는 일차 스터드(35)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32)는 상기 일차 스터드(35)에 장착된 일차 너트에 의해 상기 일차 밀봉 코너 피스(913)의 상기 외부면에 대해 눌리도록 유지되고, 상기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은 이차 스터드(31)들을 지지하고, 스페이서(32)는 고정 탭(323)들을 구비하고, 이차 스터드(31)는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32)들의 고정 탭(323)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 플레이트(33)는 상기 이차 스터드(31)에 장착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인접한 스페이서(32)들은 상기 이차 스터드(31)에 장착된 이차 너트(311)에 의해 상기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의 내부면에 대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33)에 의해 눌리도록 유지되는 탱크(100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밀봉 멤브레인(27, 7)들은 복합 멤브레인들이고, 상기 이차 밀봉 코너 피스(13)는 복수 개의 크로스 섹션(135)들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크로스 섹션(135)들은 복합 밀봉 스트립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탱크(1000).
  13. 저온 액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1070)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선체(1072) 및 상기 선체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탱크(1000)를 포함하는 선박(1070).
  14. 저온 액체 제품을 위한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3항에 따른 선박(1070), 상기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1071)를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1077)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열된 단열 파이프(1073, 1079, 1076, 1081)들 및 상기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부터 상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상기 선박의 탱크로부터 상기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로 상기 단열 파이프들을 통해 저온 액체 제품의 유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
  15. 제13항에 따른 선박(1070)을 로딩 또는 오프로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저온 액체 제품은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1077)로부터 상기 선박의 선체로 또는 상기 선박의 선체로부터 플로팅 또는 육지의 저장 시설(1077)로 단열 파이프(1073, 1079, 1076, 1081)들을 통해 운반되는 방법.
KR1020180122678A 2017-10-20 2018-10-15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247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9934 2017-10-20
FR1759934A FR3072759B1 (fr) 2017-10-20 2017-10-20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65A true KR20190045065A (ko) 2019-05-02
KR102472929B1 KR102472929B1 (ko) 2022-12-02

Family

ID=6100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678A KR102472929B1 (ko) 2017-10-20 2018-10-15 밀봉 및 단열 탱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73915B1 (ko)
KR (1) KR102472929B1 (ko)
CN (1) CN109695819B (ko)
ES (1) ES2928289T3 (ko)
FR (1) FR3072759B1 (ko)
SA (1) SA118400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226B1 (fr) * 2019-07-23 2023-03-24 Gaztransport Et Technigaz Membrane d’étanchéité pour cuve étanche de stockage de fluide
FR3102138B1 (fr) * 2019-10-17 2022-05-20 Gaztransport Et Technigaz Poutre de raccordement pour une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de stockage de gaz liquéfié
FR3102532B1 (fr) * 2019-10-25 2023-1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de gaz naturel à l’état liquide d’un navire
FR3106193B1 (fr) * 2020-01-10 2023-11-24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tallation de stockage pour gaz liquéfié
CN111924048B (zh) * 2020-09-18 2021-01-19 上海蓝魂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海洋结构物的船体舱室中容纳液态气体装置
FR3126688B1 (fr) 2021-09-07 2024-05-10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tallation de stockage pour gaz liquéfi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736A (ja) * 2007-09-27 2009-04-16 Ihi Corp 低温タンクのコーナ部用メンブレンアンカー
FR3008765A1 (fr) * 2013-07-19 2015-01-23 Gaztransp Et Technigaz Structure d'angle pour cuve isolante et etanche
WO2017064413A1 (fr) * 2015-10-13 2017-04-2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9431A (en) * 1966-05-25 1967-05-1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ouble walled cryogenic tank
JPS597678Y2 (ja) * 1979-03-24 1984-03-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コ−ナ−部保持構造
FR2683786B1 (fr) * 1991-11-20 1994-02-18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KR101195802B1 (ko) * 2004-07-06 2012-11-05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액화 가스의 저장 용기
US7204195B2 (en) * 2004-12-08 2007-04-17 Korea Gas Corporation Ship with liquid tank
KR100499710B1 (ko) * 2004-12-08 2005-07-05 한국가스공사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용 탱크 구조 및 탱크 제조방법
FR3004509B1 (fr) * 2013-04-12 2016-11-25 Gaztransport Et Technigaz Structure d'angle d'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de stockage d'un fluide
FR3009745B1 (fr) * 2013-08-15 2016-01-29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piece d'angle
JP6446773B2 (ja) * 2013-11-19 2019-01-09 株式会社Ihi 低温タン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736A (ja) * 2007-09-27 2009-04-16 Ihi Corp 低温タンクのコーナ部用メンブレンアンカー
FR3008765A1 (fr) * 2013-07-19 2015-01-23 Gaztransp Et Technigaz Structure d'angle pour cuve isolante et etanche
WO2017064413A1 (fr) * 2015-10-13 2017-04-2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929B1 (ko) 2022-12-02
CN109695819A (zh) 2019-04-30
FR3072759B1 (fr) 2021-04-30
EP3473915B1 (fr) 2022-08-10
CN109695819B (zh) 2021-12-24
SA118400104B1 (ar) 2022-06-05
FR3072759A1 (fr) 2019-04-26
JP2019078406A (ja) 2019-05-23
ES2928289T3 (es) 2022-11-16
EP3473915A1 (fr)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755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having a secondary sealing membrane equipped with a corner arrangement with corrugated metal sheets
KR102472929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2258028B1 (ko) 직교 폴드들로 주름진 금속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밀 및 단열 탱크
AU2016373295B2 (en) Insulating block suitable for manufacturing an insulating wall in a sealed tank
RU2631746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а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стенка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AU2014252958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KR102209265B1 (ko) 코너부를 포함하는 밀봉된, 열 절연 선박
RU2697074C2 (ru) Резервуар, снабжённый стенкой, имеющей отдельно зону, через которую проходит сквозной элемент
CN110088522A (zh) 密封且热绝缘的罐的角部结构及其组装方法
US20170158291A1 (en) Corner panel for ultra-low temperature fluid storage tank, and ultra-low temperature fluid thermal insulation system having same
AU2014252951B2 (en) Insulating block for producing a sealed and insulated tank wall
KR102498803B1 (ko) 밀봉 및 단열된 탱크
KR102387173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90도 코너 부의 단열 구조, 및 그 단열 구조를 구비하는 화물창
US11719388B2 (en) Thermally insulating sealed tank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20210021022A (ko) 액체 돔에 연속 주름을 갖는 밀봉 및 단열 베셀
JP2023544835A (ja) 密閉断熱タンク
KR20230012570A (ko) 액화 가스 저장 설비
JP7497137B2 (ja) シールされた断熱タンク
RU2810174C2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герметичный резервуар
RU2812589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RU2815750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KR20240058875A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TW202314156A (zh) 液化氣體之儲存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