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875A -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875A
KR20240058875A KR1020247008950A KR20247008950A KR20240058875A KR 20240058875 A KR20240058875 A KR 20240058875A KR 1020247008950 A KR1020247008950 A KR 1020247008950A KR 20247008950 A KR20247008950 A KR 20247008950A KR 20240058875 A KR20240058875 A KR 2024005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imary
attached
sealing membran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보예오
세바스티안 들라노에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4005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12)의 한정하는 방식으로 국부적으로 중단된 상부 지지 벽(4)과 천장 벽(7)을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에 관한 것으로, 지지 구조물(1)은 개구(12) 주위 전체에서 상부 지지 벽(4)으로부터 돌출된 코밍(18)을 포함하고,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은 개구(12)의 에지(2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행한 스트레이크를 포함하며,
저장 시설은 상기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과 침니 벽(17)의 밀봉 멤브레인(22)에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31)을 포함하고,
저장 시설은 코너 절연 박스(34)를 포함하고, 코너 절연 박스는 천장 벽(7)과 침니 벽(17)의 단열 배리어의 연장부에 배치되며, 연결 브래킷은 코너 절연 박스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본 발명은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밀봉 및 단열 탱크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50Ž 내지 0Ž의 온도를 갖는 액화 석유 가스(LPG)의 운송 또는 대기압에서 약 -162Ž의 액화 천연 가스(LNG)의 운송을 위한 탱크와 같이 낮은 온도의 액화 가스의 저장 및/또는 운송을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탱크는 육상 또는 부유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부유 구조물의 경우, 탱크는 액화 가스의 수송을 위해 또는 부유 구조물의 추진을 위한 연료로서 역할을 하는 액화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과 지지 구조물에 배열된 밀봉 및 단열 탱크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예를 들어 문헌 EP3473915에 공지되어 있다.
본 문헌의 저장 시설은 탱크의 천장 벽이 구비되는 상부 지지 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 지지 벽은 코밍의 형태의 리퀴드 돔이라 불리는 위쪽으로 돌출된 공간을 갖는다. 리퀴드 돔은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부 지지 벽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코밍 지지 벽을 포함한다. 돔의 각 지지 벽은 탱크의 침니 벽이나 돔 벽을 지지한다. 리퀴드 돔은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의도된 수평 커버를 더 포함하고, 커버는 이를 통과하는 일련의 파이프를 갖는데, 이는 특히 탱크로/탱크로부터 액화 가스를 로딩 및 언로딩하도록 의도된다.
본 문헌에서, 탱크는 서로 병치되어 부착된 주름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2개의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천장 벽과 돔 벽은 교차점에서 돌출 코너 에지를 형성하며, 즉 탱크 내부에서 볼 때 코너 에지가 돌출되도록 180° 내지 360°, 예를 들어 270°의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코너 에지에서 천장 벽의 밀봉 멤브레인과 리퀴드 돔의 밀봉 멤브레인은 챔퍼를 포함하는 밀봉 브래킷에 의해 밀봉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은 돌출 코너 에지의 영역에서의 주름 멤브레인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인장력과 압축력을 흡수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설계로 인해 돌출 코너 에지에서 흡수될 힘을 특별히 제공할 필요가 없다.
사용된 밀봉 멤브레인이 "인장" 멤브레인으로 지칭되는 저장 시설, 예를 들어 스트레이크로 형성된 멤브레인을 갖는 출원인의 NO96®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저장 시설에서, 리퀴드 돔은 코밍에 배치되지 않고 천장 벽과 정렬되어 위치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플러시" 돔이라고 한다. 따라서 커버는 천장 벽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시설에는 돌출 코너 에지가 없다.
본 발명은 스트레이크로 형성된 것과 같은 "인장" 멤브레인의 경우, 탱크의 코너에서 탱크의 충전의 정도 및 선박의 빔의 굽힘과 관련된 선체의 변형, 열 수축으로 인한 인장력 및 압축력을 흡수할 필요가 있다는 관찰에 기초한다. 이는 이러한 밀봉 멤브레인은 주름 멤브레인과 달리 어느 한 방향에서 인장력 및 압축력을 흡수하기 위한 영역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돌출 코너에 배치된 연결 영역은 이러한 영역에서 밀봉 실패를 유발할 수 있는 상당한 압축력 및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아이디어는 저장 시설의 돌출 코너 에지와 같은 연결 영역에서 밀봉 멤브레인의 힘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키면서 이 영역에서 밀봉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 구조물 및 지지 구조물에 배열된 밀봉 및 단열 탱크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을 제공하는데, 지지 구조물은 상부 지지 벽을 포함하고, 탱크는 상부 지지 벽에 부착된 천장 벽을 포함하며, 상부 지지 벽과 천장 벽은 개구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국부적으로 중단되고, 지지 구조물은 개구 둘레 전체에서 상부 지지 벽으로부터 탱크의 외부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탱크로/탱크로부터 액화 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의해 통과되도록 의도된 통로를 정의하는 코밍을 포함하며, 코밍은 상부 지지 벽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코밍 지지 벽을 포함하고,
탱크는 코밍 지지 벽에 고정된 침니 벽을 포함하고, 침니 벽과 천장 벽은 개구의 에지에서 서로 연결되고,
천장 벽과 침니 벽은 각각 외부로부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두께 방향으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 및 단열 배리어에 배열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천장 벽 및 침니 벽의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각각 개구의 에지 근처에 형성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천장 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개구의 에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행한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 스트레이크는 평평한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2개의 융기 에지를 포함하며, 천장 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스트레이크는 반복적인 패턴으로 개구의 에지에 평행한 방향으로 병치되어 융기 에지에서 밀봉식으로 함께 용접되고, 상기 스트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에 의해 중단되고,
저장 시설은 제1 윙 및 상기 제1 윙에 연결되는 제2 윙을 포함하는 금속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제1 윙은 천장 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며, 제2 윙은 침니 벽의 밀봉 멤브레인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저장 시설은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코너 절연 박스를 포함하고, 코너 절연 박스는 개구의 에지에서 침니 벽의 단열 배리어 및 천장 벽의 단열 배리어의 연장부에 배치되며, 연결 브래킷은 코너 절연 박스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결 브래킷은 천장 벽과 침니 벽 사이의 탱크의 돌출 코너 에지에서 밀봉을 보장한다. 또한, 코너 절연 박스의 지지부는 돌출 코너 에지에서 밀봉 멤브레인의 압축력과 인장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저장 시설은 아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브래켓의 제1 윙은 평평하고 코너 절연 박스의 제1 평면을 덮고, 제1 평면은 상부 지지 벽에 평행하며, 연결 브래켓의 제2 윙은 평평하고 코너 절연 박스의 제2 평면을 덮고, 제2 평면은 코밍 지지 벽에 평평하고 제1 평면에 수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가 제1 평면과 제2 평면 각각에 부착되고, 제1 윙과 제2 윙은 각각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의 고정 플레이트에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벽의 단열 배리어는 개구의 에지에 인접한 단부 절연 블록을 포함하고, 천장 벽은 개구의 상기 에지를 따라 상부 지지 벽에 부착되고 단부 절연 블록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며, 각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는 상부 지지 벽에 용접된 풋 및 풋에 부착된 캡을 포함하고, 단열 배리어는 단부 절연 블록에 배열되는 정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밀봉 멤브레인의 단부 부분은 정지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 절연 블록 또는 2차 단부 절연 블록은 바닥 플레이트, 바닥 플레이트에 평행한 커버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커버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지지 스페이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박스의 형태로 제조되고, 박스는 절연 라이닝, 예를 들어 펄라이트,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실리카 에어로겔, 글래스 울 또는 락 울로 충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 절연 박스는 바닥 플레이트, 바닥 플레이트에 평행한 커버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커버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지지 스페이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박스의 형태로 제조되고, 박스는 절연 충전재, 예를 들어 펄라이트,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실리카 에어로겔 또는 글래스 또는 락 울로 충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배리어는 단부 절연 블록에 이웃한 절연 패널을 포함하고, 절연 패널은 두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한 층의 절연 폼 및 적어도 하나의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절연 패널은 바닥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한 층의 절연 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폼은 폴리머 폼,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폼은 100 kg/m3 초과, 바람직하게는 120 kg/m3 이상, 특히 130, 150 or 21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적 절연 폼은 보강 폼이며, 예를 들어 글래스 파이버와 같은 파이버로 보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 플레이트는 합판 또는 글래스 파이버를 갖는 복합재의 패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는 합판 또는 글래스 파이버를 갖는 복합재의 패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께 방향의 단부 절연 블록의 열 수축 계수는 절연 패널의 상기 두께 방향의 열 수축 계수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의 풋은 코너 절연 박스에 인접하여 한편으로는 상부 지지 벽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부착 플레이트는 코밍 지지 벽에 평행한 평면에 형성되며, 코너 절연 박스는 부착 장치에 의해 천장 벽의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니 벽의 밀봉 멤브레인은 개구의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평행한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 스트레이크는 평평한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 에지를 포함하며, 스트레이크는 반복적인 패턴으로 개구의 에지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치되어 융기 에지에 밀봉식으로 함께 용접되고, 상기 스트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에 의해 중단되며, 상기 중단된 스트레이크의 단부 부분은 연결 브래킷의 제2 윙에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니 벽의 중단된 스트레이크는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스트레이크의 단부에 배치된 단일 융기 에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니 벽의 단열 배리어는 개구의 에지에 인접한 단부 절연 블록을 포함하고, 침니 벽은 개구의 상기 에지를 따라 코밍 지지 벽에 부착되고 단부 절연 블록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 횡 방향 부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각 횡 방향 부착 지지부는 코밍 지지 벽에 용접된 풋 및 풋에 부착된 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 방향 부착 지지부의 풋은 코너 절연 박스에 인접하여 한편으로는 코밍 지지 벽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부착 플레이트는 상부 지지 벽에 평행한 평면에 형성되며, 코너 절연 박스는 부착 장치에 의해 침니 벽의 횡 방향 부착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 절연 박스는 돌기가 돌출된 사이드 면을 포함하고, 부착 장치는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스터드 및 스터드에 맞물리고 돌기의 베어링 표면에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단된 스트레이크는 밀봉 멤브레인의 단부 부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멤브레인은 2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단열 배리어는 2차 단열 배리어이고, 천장 벽과 침니 벽은 각각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배열된 1차 단열 배리어 및 1차 단열 배리어에 배열되고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금속 1차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벽의 단부 절연 블록은 2차 단부 절연 블록이고, 천장 벽의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단부 절연 블록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1차 절연 패널을 포함하며, 1차 절연 패널은 고정 장치에 의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니 벽의 단부 절연 블록은 2차 단부 절연 블록이고, 침니 벽의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단부 절연 블록과 나란하게 배치된 1차 절연 패널을 포함하며, 1차 절연 패널은 고정 장치에 의해 횡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시설은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를 포함하고,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는 개구의 에지에서 침니 벽의 1차 단열 배리어 및 천장 벽의 1차 단열 배리어의 연장부에 배치되며,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는 챔퍼링된 상부 면을 포함하고,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에 의해 코너 절연 박스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시설은 1차 코너 절연 조립체의 챔퍼링된 상부 면에 부착된 1차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1차 연결 브래킷은 한편으로는 천장 벽의 1차 밀봉 멤브레인에 용접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침니 벽의 1차 밀봉 멤브레인에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연결 브래킷은 1차 코너 절연 조립체의 챔퍼링된 상부 면에 형성된 금속 부분에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니 벽의 단열 배리어는 개구의 에지에 인접한 단부 절연 블록을 포함하고, 침니 벽은 개구의 상기 에지를 따라 코밍 지지 벽에 부착되고 단부 절연 블록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 횡 방향 부착 지지부를 포함하며, 각 횡 방향 부착 지지부는 코밍 지지 벽에 용접된 풋 및 풋에 부착된 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는 2차 정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고,
로딩/언로딩 개구에 의해 중단된 각 스트레이크의 단부 부분은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에 용접된다. 연결 브래킷의 제1 윙은 예를 들어 2차 부착 플레이트의 제1 부분에 용접되는 한편 스트레이크의 단부 부분은 2차 부착 플레이트의 제2 부분에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는 니켈을 갖는 철 합금, 예를 들어 인바(Invar), 망간을 갖는 철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벽 또는 침니 벽의 단열 배리어는 각각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 또는 횡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부착 지지부의 캡에 고정 장치에 의해 부착되는 1차 절연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절연 패널은 베어링 표면을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캡에 부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2차 밀봉 멤브레인에서 홀을 관통하여 밀봉식으로 통과하는 스터드, 및 스터드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 또는 횡 방향 부착 지지부에서 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1차 절연 패널의 베어링 표면에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스터드에 맞물리는 밀봉 와셔를 더 포함하고, 2차 밀봉 멤브레인에서 홀 주변에서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밀봉식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및 밀봉 와셔와 스터드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스터드에 밀봉 와셔를 밀봉식으로 연결하는 변형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스터드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스터드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2차 밀봉 멤브레인에서 홀 주변에서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밀봉식으로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경 가능한 밀봉부는 변경 가능한 벨로우즈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 가능한 벨로우즈는 중공이며 스터드를 따라 축 방향으로 그 주변에서 연장된다. 변형 가능한 벨로우즈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변형 가능한 밀봉부를 덮는 벨을 포함하고, 벨은 원통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절연 패널의 베어링 표면은 1차 절연 패널의 코너로부터 이격되거나 코너에 배치된다.
1차 밀봉 멤브레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 벽 및 침니 벽의 1차 밀봉 멤브레인은 서로 병치되어 용접된 복수의 주름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1차 밀봉 멤브레인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일련의 주름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일련의 주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 시설은 예를 들어 LNG를 저장하기 위한 육상 저장 시설일 수 있거나, 부유 구조물, 해안 또는 심해, 특히 액화 가스 캐리어,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원격 FPSO(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unit)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은 모든 유형의 캐리어에서 연료 탱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저장 시설은 부유 구조물의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부유 구조물의 이중 선체로 구성되며, 제1 방향은 부유 구조물의 길이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은 저온 액체 제품의 운송을 위한 캐리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저장 시설,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에 캐리어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절연 파이프라인, 및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캐리어의 탱크로, 또는 캐리어의 탱크로부터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저온 액체 제품의 흐름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저온 액체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저온 액체 제품이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캐리어의 탱크로, 또는 캐리어의 탱크로부터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이송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저장 시설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여러 특정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다른 목적,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이 더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액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 및 단열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장 시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탱크의 벽의 다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특히 저장 시설의 코밍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2차 밀봉 멤브레인의 부착 전, 개구의 에지에서 천장 벽과 침니 벽의 연결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확대한 것으로, 2차 밀봉 멤브레인의 부착 후 개구의 에지에서 천장 벽과 침니 벽의 연결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1차 밀봉 멤브레인의 부착 후, 개구의 에지에서 천장 벽과 침니 벽의 연결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특히 돌출 코너 에지에서 탱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 6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액화 가스 캐리어의 탱크와 이 탱크를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터미널을 부분 절개와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용적으로, 지구의 중력장에 대한 탱크 벽의 배향에 관계없이, "상" 또는 "위" 또는 "상부"는 탱크의 내부에 더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고, "하" 또는 "아래" 또는 "하부"는 캐리어의 지지 구조물에 더 가까운 위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지지 구조물(2) 및 지지 구조물(2)에 배열된 밀봉 및 단열 탱크(71)를 포함하는 저장 시설(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밀봉 및 단열 탱크(71)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지지 구조물(2)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벽,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 시설(1)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 벽(4)을 포함한다.
저장 시설(1)이 액화 가스 캐리어와 같은 캐리어에 배치되는 경우, 지지 구조물(2)은 캐리어의 이중 선체에 의해 형성되므로 내부 지지 구조물과 외부 지지 구조물로 형성된다. 내부 상부 지지 벽(4)은 따라서 캐리어의 내부 데크(4)라고 불리고, 외부 상부 지지 벽(3)은 캐리어의 외부 데크(3)라고 불린다.
탱크(71)는 바닥 벽(6), 천장 벽(7), 바닥 벽과 천장 벽(7)을 연결하며 저장 시설(1)이 캐리어에 배치될 때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2개의 코퍼댐 벽(8), 2개의 사이드 벽(9) 및 선택적으로는 사이드 벽을 바닥 벽(6) 또는 천장 벽(7)에 연결하는 2 내지 4개의 챔퍼 벽으로 형성된 메인 구조물(5)을 포함한다. 따라서 탱크(71)의 벽은 다면체 구조물을 형성하고 내부 저장 공간(11)을 한정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액화 가스를 탱크(71)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해, 저장 시설(1)은 로딩/언로딩 파이프(13)가 개구(12)를 통과함으로써 탱크(71)의 바닥에 도달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탱크(71)의 천장 벽(7)과 상부 지지 벽(4)을 국부적으로 중단시키는 로딩/언로딩 개구(12)를 포함한다.
저장 시설(1)은 또한 탱크(71)의 전체 높이에 걸쳐 로딩/언로딩 파이프(13)를 위한 그리고 펌프(미도시)를 위한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탱크(71) 내부에 개구(12)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로딩/언로딩 타워(14)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 시설(1)은 상기 개구(12)에서 내부 저장 공간(11)을 폐쇄하기 위해 로딩/언로딩 개구(12)에 배치되는 커버(15)를 포함한다. 커버(15)는 로딩/언로딩 파이프(13)가 커버(15)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홀을 포함한다.
탱크(71)는 또한 개구(12)에서 메인 구조물(5)에 배치되고 탱크 벽이 내부 데크(4)로부터 외부 데크(3)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허용하는 침니(16)를 포함하며, 이들 데크는 개구(12)에 의해 중단된다.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경우, 상기 커버(15)가 제공되는 침니(16)는 리퀴드 돔이라 불린다.
본 발명은 리퀴드 돔의 영역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가스 돔과 같은 탱크(71)의 다른 침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침니(16)는 서로 연결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침니 벽(17)을 포함한다. 침니 벽(17)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개구(12)의 경우 4개이다. 이러한 침니 벽(17)은 지지 구조물의 코밍(18), 특히 코밍 지지 벽(19)에 부착되어 내부 상부 지지 벽(4)을 외부 상부 지지 벽(3)에 연결한다.
침니(16)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코퍼댐 벽(8)의 연장부에 형성되어 개구(12)의 에지(20) 중 3개가 천장 벽(7)과 침니 벽(17) 중 하나 사이의 교차점에서 돌출 코너 에지를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침니는 개구(12)의 4개의 에지(20)가 돌출 코너 에지를 형성하도록 후방 코퍼댐 벽(8)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개구(12)와 전방 코퍼댐 벽 사이에 형성된 전방 길이 방향 단부 에지(20)만 상세히 설명된다. 돌출 코너 에지를 형성하는 다른 에지(20)는 유사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탱크 벽, 특히 천장 벽(7) 및 침니 벽(17)은 벽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된 2차 절연 요소를 포함하는 2차 단열 배리어(21), 2차 단열 배리어(21)의 2차 절연 요소에 고정된 2차 밀봉 멤브레인(22), 2차 단열 배리어(21)의 2차 절연 요소 또는 지지 구조물(2)에 부착된 1차 절연 요소를 포함하여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안착된 1차 단열 배리어(23), 및 1차 단열 배리어(23)의 1차 절연 요소에 고정되어 탱크에 저장된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밀봉 멤브레인(24)을 갖는다.
도 4 내지 도 8은 특히 개구(12)의 에지(20)에서 침니 벽(17)에 대한 천장 벽(7)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벽(7)의 2차 단열 배리어(21)는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부 지지 벽(4)에 고정되는 복수의 2차 절연 패널(25)을 포함한다. 2차 절연 패널(25)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길이 방향(L) 및 길이 방향(L)에 수직인 횡 방향(T)에서 평행한 열로 배열된다.
침니 벽(17)의 2차 단열 배리어(21)는 또한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코밍 지지 벽(19)에 고정되는 복수의 2차 절연 패널(25)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벽(7)과 침니 벽(1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은 융기 에지를 갖는 연속적인 층의 금속 스트레이크(26)를 포함한다. 스트레이크(26)는 2차 단열 배리어(21)의 2차 절연 패널(25)에 안착된 평평한 중앙 부분(27)을 포함하고, 또한 평평한 중앙 부분(27)의 양 사이드에 배열되고 중앙 부분에 대해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2개의 융기 에지(28)를 포함한다. 천장 벽(7)과 관련하여, 스트레이크(26)는 캐리어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한편 융기 에지(28)는 캐리어의 횡 방향(T)으로 평평한 중앙 부분(27)의 양 사이드에 배열된다. 침니 벽(17)과 관련하여, 스트레이크(26)는 저장 시설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개구(1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융기 에지는 저장 시설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캐리어의 높이 방향(H)으로 평평한 중앙 부분(27)의 양 사이드에 배열된다.
스트레이크(26)는 2차 밀봉 멤브레인(22)과 접촉하는 2차 절연 패널(25)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홈에 부착된 평행한 용접 지지부에 융기 에지(28)를 통해 용접된다. 스트레이크(26)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1.2 Х 10-6 내지 2 Х 10-6 K-1의 팽창 계수를 갖는 철과 니켈의 합금인 Invar®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서, 천장 벽(7) 및 침니 벽(17)의 1차 단열 배리어(23)가 고정 장치(52)에 의해 2차 단열 배리어(21)에 고정되는 복수의 1차 절연 패널(29)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차 절연 패널(29)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들은 2차 절연 패널(25)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다른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차 절연 패널(29)은 2차 절연 패널(25)에 대해 길이 방향(L)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횡 방향(T)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2차 절연 패널(25)과 1차 절연 패널(29)은 바닥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접착식으로 접착되는 하나 이상의 층의 절연 폴리머 폼을 포함한다. 절연 폴리머 폼은 특히 선택적으로 섬유, 특히 유리 섬유로 강화된 폴리우레탄계 폼일 수 있다.
1차 밀봉 멤브레인(24)은 서로 병치되어 용접된 복수의 주름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1차 밀봉 멤브레인(24)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주름과 제2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일련의 주름을 포함한다.
천장 벽(7)과 침니 벽(17) 사이의 개구(12)에서 밀봉 및 단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22, 24)과 단열 배리어(21, 23)는 각각 밀봉 멤브레인(22, 24)과 침니 벽(17)의 단열 배리어(21, 23)에 연결된다.
이에, 개구(12)의 에지(20)에서는 천장 벽(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이 침니 벽(1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2차 연결 브래킷(31)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2차 연결 브래킷(31)은 제1 2차 윙(32) 및 제1 2차 윙(32)에 연결되는 제2 2차 윙(33)을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차 윙(32)은 천장 벽(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연결되고 제2 2차 윙(33)은 침니 벽(1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2차 밀봉 멤브레인(22)은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작동과 관련된 압축력 및 인장력을 2차 연결 브래킷(3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특히 길이 방향(L)에서 침니(16)과 전방 코퍼댐 벽 사이에 배치된 개구(12)의 에지인 개구(12)의 전방 길이 방향 단부 에지(20)에서 크다. 구체적으로, 후방 코퍼댐 벽(8)에 가까운 침니(16)의 위치로 인해 침니(16)와 전방 코퍼 댐 벽 사이의 천장 벽(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길이 방향 치수는 침니(16)과 후방 코퍼댐 벽(8) 사이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길이 방향 치수보다 훨씬 더 크며, 이는 선체의 변형 또는 열 수축 시 전방 길이 방향 단부 에지(20)에서 더 큰 힘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방 방향 단부 에지(20)에 대한 이러한 힘은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배향으로 인해 특히 크다. 구체적으로, 2차 밀봉 멤브레인(22)은 스트레이크의 평평한 중앙 부분(27)이 캐리어(70)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이 방향으로 인장력과 압축력을 흡수할 영역이 없다.
2차 연결 브래킷(31)을 완화시키기 위해, 횡 방향(T)으로 연장되는 전방 길이 방향 단부 에지(20)를 따라 특정 지지 구조물이 제공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이 특정 지지 구조물은 코너 절연 박스(34), 상부 지지 벽(4)에 고정된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 및 코밍 지지 벽(19)에 고정된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로 구성된다.
천장 벽(7)은 개구(12)의 에지(20)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횡 방향(T)으로 병치된 복수의 금속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니 벽(17)은 개구(12)의 에지(20)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횡 방향(T)으로 병치된 복수의 금속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를 포함한다.
저장 시설은 마지막으로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개구(12)의 에지(20)에서 침니 벽(17)의 2차 단열 배리어(21) 및 천장 벽(7)의 2차 단열 배리어(21)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코너 절연 박스(34)를 포함하며 코너 절연 박스(34)는 특히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와, 다른 한편으로는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와 병치된다.
각각의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풋(38)에 용접된 캡(37)을 포함한다. 풋(38)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상부 지지 벽(4)에 고정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는 지지 구조물에 대한 풋(38)의 부착부에서 측정했을 때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시트 길이를 가지며, 이 방향으로의 기울어짐 및 굽힘에 대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는 높이 방향(H)으로 연장되고 풋(38)에 용접된 캡(37)을 포함한다. 풋(38)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코밍 지지 벽(19)에 고정된다.
따라서, 2차 밀봉 멤브레인(22)이 2차 연결 브래킷(31)에 가장 큰 응력을 가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즉 스트레이크(26)가 개구(12)의 에지에 수직으로 연장될 때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가 배열되며 다른 영역에, 즉 스트레이크(26)가 개구(12)의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될 때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가 배열된다. 이것이 전방 길이 방향 단부 에지(20)에서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가 상부 지지 벽(4)에 배열되는 한편, 횡 방향 단부 에지에서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가 상부 지지 벽(4)에 배열되는 이유이다.
또한, 각 침니 벽(1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스트레이크(26)가 해당 개구(12)의 에지에 수직으로 연장됨에 따라,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가 각 코밍 지지 벽(19)에 배열된다.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풋(38)은 코너 절연 박스(34)에 인접하며 이하 부착 플레이트(39)로 지칭되는 제1 플레이트(39) 및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제1 플레이트(39)로부터 이격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H 빔(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H형 단면)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부 지지 벽(4)에서 제1 플레이트(39)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길이 방향(L)의 간격은 시트 길이에 대응된다.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의 풋(38)은 그 부분에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풋(38)보다 더 짧은 시트 길이를 갖고, 코너 절연 박스(34)에 인접한 부착 플레이트(39) 및 캡(37)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충분한 관성 모멘트를 제공하는 한 풋(38)에 대한 다른 단면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천장 벽(7) 및 침니 벽(17)의 2차 단열 배리어(21)는 2차 단부 단열 블록(40)을 포함한다. 각각의 2차 단부 단열 블록(40)은 횡 방향(T)으로 인접한 2개의 부착 지지부(35, 36) 사이에 삽입된다.
천장 벽(7)과 관련하여, 그리고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힘을 흡수하기 위해, 2차 정지 플레이트(41)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매스틱을 사용하여 각 2차 단부 절연 블록(4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천장 벽(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은 또한 2차 정지 플레이트(41)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는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42)를 갖는다. 따라서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연결 브래킷(31)의 제1 2차 윙(32)은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42)의 제1 부분에 용접되는 한편 개구(12)에 의해 중단된 스트레이크(26)는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42)의 제2 부분에 용접된다. 2차 정지 플레이트(41)는 그 부분에 대해 예를 들어 2개의 스터드에 의해 캡(37)에 횡 방향 단부 각각에서 부착된다.
또한, 길이 방향(L)으로 2차 정지 플레이트(41)의 변위를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는 캡(37)에 부착된 정지 장치(43)를 포함한다. 따라서 2차 정지 플레이트(41)은 한편으로는 정지 장치(43)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풋(38)의 부착 플레이트(39)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2차 정지 플레이트(41)는 길이 방향(L) 및 두께 방향으로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데, 이는 작동 시 천장 벽(7)의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절연 박스(34)는 한편으로는 제1 부착 장치(44)에 의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부착 플레이트(39)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2 부착 장치(48)에 의해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의 부착 플레이트(39)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코너 절연 박스(34)의 사이드 면(45)은 제 1 돌기(46)와 제 2 돌기(47)를 포함한다. 제 1 부착 장치(44)는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부착 플레이트(39)에 부착되는 스터드(49)와, 스터드(49)에 장착되고 제1 돌기(46)의 지지 표면에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50)를 포함한다. 제2 부착 장치(48)는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의 부착 플레이트(39)에 부착된 스터드(49)와 스터드(50)에 장착되고 제2 돌기(47)의 지지 표면에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코너 절연 박스(34)는 부착 지지부(35, 36)를 통해 지지 구조물(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2차 연결 브래킷(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절연 박스(34)에 대해 배치되어, 제1 2차 윙(32)은 코너 절연 박스(34)의 면 중 하나에 대해 배치되고 제2 2차 윙(33)은 코너 절연 박스(34)의 면 중 다른 하나에 대해 배치된다. 제1 2차 윙(32)과 제2 2차 윙(33)은 각각 도 5에 도시된 고정 플레이트(51)에 의해 코너 절연 박스(34)에 부착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벽(7)과 침니 벽(17)의 1차 단열 배리어(23)는 2차 단부 단열 블록(40)과 나란히 배치된 1차 절연 패널(29)을 포함한다.
특히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차 단부 절연 블록(40)과 나란한 천장 벽(7)의 1차 절연 패널(29)은 고정 장치(52)에 의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 중 하나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1차 절연 패널(29)은 폼, 바닥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에서 1차 절연 패널(29)의 코너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홀을 갖고, 코너는 코너 절연 박스(34)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배튼은 바닥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고정 장치(52)는 배튼에서 지지되고 상기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캡(37)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홀에 배열된다.
고정 장치(52)는 캡(37)에 부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서 홀을 관통하여 밀봉식으로 통과하는 스터드, 및 스터드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에 1차 절연 패널(29)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튼의 지지 표면에서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를 포함한다. 베어링 요소는 예를 들어 너트를 사용하여 스터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서 홀은 2차 금속 부착 플레이트(4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 장치(52)는 스터드에 맞물리는 밀봉 와셔를 더 포함하고,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서 홀 주위에서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밀봉식으로 부착된 플랜지와 밀봉 와셔와 스터드 사시에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스터드에 밀봉 와셔를 밀봉식으로 연결하는 변경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스터드는 스터드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고정 숄더를 갖는다. 또한 변형 가능한 밀봉부는 한편으로는 밀봉 와셔에, 다른 한편으로는 스터드의 고정 숄더에 밀봉식으로 용접되어 2차 밀봉 멤브레인(22)을 관통하는 스터드의 밀봉 통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밀봉 멤브레인(22)과 스터드 사이의 밀봉 연결은 유연하며, 이는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대한 1차 절연 패널(29)과 2차 단부 절연 블록(40)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따라서 상기 2차 밀봉 멤브레인(22)의 밀봉의 열화의 위험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 가능한 밀봉부를 보호하기 위해, 고정 장치(52)에는 또한 스터드가 통과되는 홀을 갖고 상기 변형 가능한 밀봉부를 덮는 벨이 구비된다.
2차 단부 절연 블록(40)과 나란한 침니 벽(17)의 1차 절연 패널(29)은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고정 장치(52)에 의해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 중 하나의 캡(37)에 부착된다.
저장 시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의 에지(20)에서 침니 벽(17)의 1차 단열 배리어(23) 및 천장 벽(7)의 1차 단열 배리어(23)의 연장부에 배치되는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를 포함한다.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는 코너 절연 박스(34)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2차 연결 브래킷(31)에 대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는 2차 연결 브래킷(31)의 형상에 맞춰지도록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하부 면(54)을 포함하고, 하부 면(54)은 제1 2차 윙(32)과 나란한 고정 장치(52) 및 제2 2차 윙(33)과 나란한 고정 장치(52)에 의해 코너 절연 박스(34)에 부착된다.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는 또한 135°의 각도를 형성하는 챔퍼링된 상부 면(55)을 포함한다. 저장 시설은 또한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의 챔퍼링된 상부 면(55)에 부착된, 도 6 및 7에 도시된 1차 연결 브래킷(56)을 포함한다. 1차 연결 브래킷(56)은 한편으로 천장 벽(7)의 1차 밀봉 멤브레인(24)에 용접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침니 벽(17)의 1차 밀봉 멤브레인(24)에 용접된다. 1차 코너 단열 조립체(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조립된 2개의 절연 요소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조립된 3개의 절연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고정 장치(52)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52)는 여기서 스터드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즉 플랜지는 스터드의 나머지 부분과 동시에 질량체로 이루어져 이들이 단일 피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플랜지는 스터드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서 홀 주위에서 2차 밀봉 멤브레인(22)에 밀봉식으로 용접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52)는 어떠한 변형 가능한 밀봉부 또는 벨 또는 고정 숄더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부분 절개와 함께 액화 가스 캐리어(70)의 도면은 캐리어의 이중 선체(72)에 장착된 일반적으로 각기둥 형태의 밀봉 및 절연 탱크(71)를 도시한다. 탱크(71)의 벽은 탱크에 저장된 LNG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밀봉 배리어, 1차 밀봉 배리어와 캐리어의 이중 선체(72) 사이에 배열된 2차 밀봉 배리어, 및 1차 밀봉 배리어와 2차 밀봉 배리어 사이, 그리고 2차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72) 사이에 각각 배열된 2개의 절연 배리어를 포함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캐리어의 상부 데크에 배열된 로딩/언로딩 파이프라인(73)은 적절한 커넥터에 의해 LNG의 화물을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71)로 전달하기 위한 해상 또는 항만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로딩 및 언로딩 스테이션(75), 수중 파이프(76) 및 육상 시설(77)을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의 예를 도시한다. 로딩 및 언로딩 스테이션(75)은 이동 가능한 암(74) 및 이동 가능한 암(74)을 지지하는 타워(78)를 포함하는 고정식 해상 시설이다. 이동 가능한 암(74)은 로딩/언로딩 파이프라인(73)에 연결될 수 있는 한 다발의 절연 연성 파이프(79)를 구비한다. 지향 가능한 이동 가능한 암(74)은 액화 가스 캐리어의 모든 크기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미도시)는 타워(78) 내부로 연장된다. 로딩 및 언로딩 스테이션(75)은 육상 시설(77)로부터 또는 육상 시설(77)로 액화 가스 캐리어(70)의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한다. 이 시설은 액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80) 및 수중 파이프(76)에 의해 로딩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75)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81)를 포함한다. 수중 파이프(76)는 먼 거리, 예를 들어 5 km에 걸쳐 로딩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75)과 육상 시설(77) 사이에서 액화 가스의 이송을 허용하는데, 이는 로딩 및 언로딩 작업 동안 액화 가스 캐리어(70)를 해안으로부터 먼 거리에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화 가스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캐리어(70)에 탑재된 펌프 및/또는 육상 시설(77)에 장착된 펌프 및/또는 로딩 및 언로딩 스테이션(75)에 장착된 펌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이 여러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뿐만 아니라 그 조합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동사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및 이들의 활용형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외에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참조 기호가 청구범위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지지 구조물(2) 및 지지 구조물(2)에 배열된 밀봉 및 단열 탱크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1)로서, 지지 구조물(2)은 상부 지지 벽(4)을 포함하고, 탱크는 상부 지지 벽(4)에 부착된 천장 벽(7)을 포함하며, 상부 지지 벽(4)과 천장 벽(7)은 개구(12)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국부적으로 중단되고, 지지 구조물(2)은 개구(12) 둘레 전체에서 상부 지지 벽(4)으로부터 탱크의 외부를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탱크로/탱크로부터 액화 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13)에 의해 통과되도록 의도된 통로를 정의하는 코밍(18)을 포함하며, 코밍(18)은 상부 지지 벽(4)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코밍 지지 벽(19)을 포함하고,
    탱크는 코밍 지지 벽(19)에 고정된 침니 벽(17)을 포함하고, 침니 벽(17)과 천장 벽(7)은 개구(12)의 에지(20)에서 서로 연결되고,
    천장 벽(7)과 침니 벽(17)은 각각 외부로부터 탱크의 내부를 향해 두께 방향으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21) 및 단열 배리어(21)에 배열된 금속 밀봉 멤브레인(22)을 포함하고, 천장 벽(7) 및 침니 벽(17)의 금속 밀봉 멤브레인(22)은 각각 개구(12)의 에지(20) 근처에 형성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22)은 개구(12)의 에지(2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행한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 스트레이크는 평평한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에 대해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2개의 융기 에지를 포함하며,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22)의 스트레이크는 반복적인 패턴으로 개구(12)의 에지(20)에 평행한 방향으로 병치되어 융기 에지에서 밀봉식으로 함께 용접되고, 상기 스트레이크(26)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12)에 의해 중단되고,
    저장 시설(1)은 제1 윙(32) 및 상기 제1 윙에 연결되는 제2 윙(33)을 포함하는 금속 연결 브래킷(31)을 포함하고, 제1 윙은 천장 벽(7)의 밀봉 멤브레인(22)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며, 제2 윙은 침니 벽(17)의 밀봉 멤브레인(22)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저장 시설은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코너 절연 박스(34)를 포함하고, 코너 절연 박스(34)는 개구(12)의 에지(20)에서 침니 벽(17)의 단열 배리어(21) 및 천장 벽(7)의 단열 배리어(21)의 연장부에 배치되며, 연결 브래킷(31)은 코너 절연 박스(34)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브래켓(31)의 제1 윙(32)은 평평하고 코너 절연 박스(34)의 제1 평면을 덮고, 제1 평면은 상부 지지 벽(4)에 평행하며, 연결 브래켓(31)의 제2 윙(33)은 평평하고 코너 절연 박스(34)의 제2 평면을 덮고, 제2 평면은 코밍 지지 벽(19)에 평평하고 제1 평면에 수직인,
    저장 시설(1).
  3. 제 2항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51)가 제1 평면과 제2 평면 각각에 부착되고, 제1 윙(32)과 제2 윙(33)은 각각 제1 평면 및 제2 평면의 고정 플레이트(51)에 용접되는,
    저장 시설(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너 절연 박스(34)는 바닥 플레이트, 바닥 플레이트에 평행한 커버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커버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지지 스페이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박스의 형태로 제조되고, 박스는 절연 충전재로 충전되는,
    저장 시설(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장 벽(7)의 단열 배리어(21)는 개구(12)의 에지(20)에 인접한 단부 절연 블록(40)을 포함하고, 천장 벽(7)은 개구(12)의 상기 에지(20)를 따라 상부 지지 벽(4)에 부착되고 단부 절연 블록(40)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며, 각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는 상부 지지 벽(4)에 용접된 풋(38) 및 풋에 부착된 캡(37)을 포함하고, 단열 배리어(21)는 단부 절연 블록에 배열되는 정지 플레이트(41)를 포함하며, 밀봉 멤브레인(22)의 단부 부분은 정지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금속 부착 플레이트(42)를 포함하고, 연결 브래킷(31)의 제1 윙(32)은 금속 부착 플레이트(42)의 제1 부분에 용접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단된 스트레이크(26)는 금속 부착 플레이트(42)의 제2 부분에 용접되는,
    저장 시설(1).
  6. 제5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풋(38)은 코너 절연 박스(34)에 인접하여 한편으로는 상부 지지 벽(4)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39)를 포함하고, 부착 플레이트는 코밍 지지 벽(19)에 평행한 평면에 형성되며, 코너 절연 박스는 부착 장치(44, 48)에 의해 천장 벽의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7. 제6항에 있어서,
    코너 절연 박스(34)는 돌기(46)가 돌출된 사이드 면을 포함하고, 부착 장치(44, 48)는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35)의 부착 플레이트(39)에 부착되는 스터드(49) 및 스터드(49)에 맞물리고 돌기(46)의 베어링 표면에 지지되는 베어링 요소(50)를 포함하는,
    저장 시설(1).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단된 스트레이크(26)는 밀봉 멤브레인(22)의 상기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저장 시설(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니 벽(17)의 밀봉 멤브레인(22)은 개구(12)의 에지(20)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평행한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 스트레이크는 평평한 중앙 부분(27) 및 중앙 부분에 대해 탱크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 에지(28)를 포함하며, 스트레이크는 반복적인 패턴으로 개구(12)의 에지(20)에 수직인 방향으로 병치되어 융기 에지에 밀봉식으로 함께 용접되고, 상기 스트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는 개구(12)에 의해 중단되며, 상기 중단된 스트레이크의 단부 부분은 연결 브래킷의 제2 윙에 용접되는,
    저장 시설(1).
  10. 제9항에 있어서,
    침니 벽(17)의 중단된 스트레이크는 단부 부분에 반대되는 스트레이크의 단부에 배치된 단일 융기 에지(28)를 포함하는,
    저장 시설(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니 벽(17)의 단열 배리어(21)는 개구(12)의 에지(20)에 인접한 단부 절연 블록(40)을 포함하고, 침니 벽(17)은 개구(12)의 상기 에지(20)를 따라 코밍 지지 벽(19)에 부착되고 단부 절연 블록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금속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를 포함하며, 각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는 코밍 지지 벽(19)에 용접된 풋(38) 및 풋(38)에 부착된 캡(37)을 포함하는,
    저장 시설(1).
  12. 제11항에 있어서,
    횡 방향 부착 지지부(36)의 풋(38)은 코너 절연 박스(34)에 인접하여 한편으로는 코밍 지지 벽(19)에 부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에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39)를 포함하고, 부착 플레이트는 상부 지지 벽(4)에 평행한 평면에 형성되며, 코너 절연 박스는 부착 장치(44, 48)에 의해 침니 벽(17)의 횡 방향 부착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멤브레인(22)은 2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단열 배리어(21)는 2차 단열 배리어이고, 천장 벽(7)과 침니 벽(17)은 각각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배열된 1차 단열 배리어(23) 및 1차 단열 배리어에 배열되고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금속 1차 밀봉 멤브레인(24)을 포함하는,
    저장 시설(1).
  14. 제5항과 제13항의 조합에 있어서,
    천장 벽(7)의 단부 절연 블록은 2차 단부 절연 블록이고, 천장 벽(7)의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단부 절연 블록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1차 절연 패널(29)을 포함하며, 1차 절연 패널(29)은 고정 장치(52)에 의해 길이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15. 제11항과 제13항의 조합에 있어서,
    침니 벽(17)의 단부 절연 블록은 2차 단부 절연 블록이고, 침니 벽(17)의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단부 절연 블록과 나란하게 배치된 1차 절연 패널(29)을 포함하며, 1차 절연 패널(29)은 고정 장치(52)에 의해 횡 방향 부착 지지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시설은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를 포함하고,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는 개구(12)의 에지(20)에서 침니 벽(17)의 1차 단열 배리어 및 천장 벽(7)의 1차 단열 배리어의 연장부에 배치되며, 1차 코너 절연 조립체는 챔퍼링된 상부 면(55)을 포함하고, 1차 코너 절연 조립체(53)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52)에 의해 코너 절연 박스(34)에 부착되는,
    저장 시설(1).
  17. 제16항에 있어서,
    저장 시설은 1차 코너 절연 조립체의 챔퍼링된 상부 면에 부착된 1차 연결 브래킷(56)을 포함하고, 1차 연결 브래킷은 한편으로는 천장 벽(7)의 1차 밀봉 멤브레인(24)에 용접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침니 벽(17)의 1차 밀봉 멤브레인(24)에 용접되는,
    저장 시설(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 구조물의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부유 구조물의 이중 선체(72)로 구성되며, 제1 방향은 (L)은 부유 구조물의 길이 방향(L)인,
    저장 시설(1).
  19. 제18항에 따른 저장 시설,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에 부유 구조물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71)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절연 파이프라인(73, 79, 76, 81), 및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부유 구조물의 탱크로, 또는 부유 구조물의 탱크로부터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저온 액체 제품의 흐름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저온 액체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20. 저온 액체 제품이 절연 파이프라인(73, 79, 76, 81)을 통해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로부터 부유 구조물의 탱크(71)로, 또는 부유 구조물의 탱크(71)로부터 외부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로 이송되는,
    제18항에 따른 저장 시설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방법.
KR1020247008950A 2021-09-07 2022-09-06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KR20240058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9371 2021-09-07
FR2109371A FR3126688B1 (fr) 2021-09-07 2021-09-07 Installation de stockage pour gaz liquéfié
PCT/EP2022/074721 WO2023036769A1 (fr) 2021-09-07 2022-09-06 Installation de stockage pour gaz liquéf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875A true KR20240058875A (ko) 2024-05-03

Family

ID=7853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950A KR20240058875A (ko) 2021-09-07 2022-09-06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58875A (ko)
CN (1) CN117940699A (ko)
FR (1) FR3126688B1 (ko)
WO (1) WO20230367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36B1 (ko) * 2011-03-04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퀴드돔 방벽 설치구조물
FR3072759B1 (fr) 2017-10-20 2021-04-3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77617B1 (fr) * 2018-02-07 2022-08-19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tallation pour le stockage et le transport d'un gaz liquef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6688B1 (fr) 2024-05-10
FR3126688A1 (fr) 2023-03-10
CN117940699A (zh) 2024-04-26
WO2023036769A1 (fr)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0554B (zh) 配备有波纹金属板的拐角布置的次密封膜的密封隔热罐
KR102209265B1 (ko) 코너부를 포함하는 밀봉된, 열 절연 선박
US11674643B2 (en) Corner structure for a sealed, thermally insulated tank
KR102498803B1 (ko) 밀봉 및 단열된 탱크
CN114568030B (zh) 密封且热绝缘的罐、船、转移系统及对船进行装卸的方法
KR102614343B1 (ko) 복수의 영역을 갖는 밀폐 및 단열 탱크
CN109073158B (zh) 热隔离密封罐
JP7408679B2 (ja) 密閉断熱タンク
KR102438160B1 (ko) 유체 밀폐되고 단열된 유체 저장용 탱크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20230012570A (ko) 액화 가스 저장 설비
KR102596193B1 (ko) 선박 상의 극저온 유체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JP7443329B2 (ja) 自立型密閉タンク壁
KR20230011995A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탱크의 리퀴드 돔
KR20240058875A (ko)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시설
KR102622457B1 (ko) 액화가스 저장 설비
RU2812589C1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KR20240035996A (ko) 액화 가스용 저장 설비
KR102361421B1 (ko) 코너 구조체 및 이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30098056A (ko) 액화가스 저장설비
KR20240052773A (ko) 액화 가스용 저장 설비
KR20230066072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20220167318A (ko) 액화가스 저장 설비
KR20240029398A (ko) 리퀴드 돔 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23544598A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を組み立てる、および設置するため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