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959A - 덕트 패널 - Google Patents

덕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959A
KR20190039959A KR1020197005406A KR20197005406A KR20190039959A KR 20190039959 A KR20190039959 A KR 20190039959A KR 1020197005406 A KR1020197005406 A KR 1020197005406A KR 20197005406 A KR20197005406 A KR 20197005406A KR 20190039959 A KR20190039959 A KR 20190039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ounting flange
end cap
support lay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351B1 (ko
Inventor
콴헹 첸
Original Assignee
인스타드 프리 패브리케이션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타드 프리 패브리케이션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스타드 프리 패브리케이션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16L23/14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for rectangula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24F5/0092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ceilings, e.g. cool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덕트 패널,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덕트 섹션, 및 덕트의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덕트 패널은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및 단부 폭을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 및 상기 단부 폭에 부착되고 장착 플랜지에 커플링 되도록 구성된 단부 캡;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덕트 패널을 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부 캡 및 장착 플랜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덕트 패널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덕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덕트 섹션 및 덕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 덕트는 빌딩의 난방, 환기 및 공기조화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시스템과 함께 공기를 전달 및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에어 덕트는 함께 조립되는 여러 개의 짧은 섹션들 (multiple short section)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요구조건과 빌딩 규정에 따라서, 상이한 크기 및 유형의 에어 덕트가 빌딩에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 덕트는 현장 건설 작업의 일부로서, 현장에서 설치된다. 예를 들어, 판금(metal sheet)은 구부려져서 금속 덕트로 만들어지고, 절연층이 그 후에 이 금속 덕트 주변에 배치된다. 설치 작업은 통상적으로 수작업으로 수행된다. 에어 덕트의 품질은 기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재료의 낭비가 증가할 수 있고, 절연 성능(insulation performance)도 또한 위태로워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에어 덕트는 천장 높이(ceiling level)에 있고, 따라서 설치 작업은 높은 높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작업자에게 위험을 제기할 수 있고, 설치 작업의 저생산성(low productivity)을 야기할 수 있다. 기존 해결책에서, 에어 덕트는 현장으로 운송되기 전에, 현장 밖의 조립 작업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에어 덕트는 대부분 부피가 크다. 그러므로, 현장으로 에어 덕트를 운송하는 것은 어렵고 번거로울 수 있다. 더욱이, 에어 덕트는 다루기 곤란하고, 큰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의 적어도 일부에 대처하거나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하는 덕트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및 단부 폭(end width)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구조체(laminate structure); 및
상기 단부 폭에 부착되고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에 커플링(coupling) 되도록 구성된 단부 캡(end cap);을 포함하는 덕트 패널이 제공되는데,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덕트 패널을 장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부 캡 및 장착 플랜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랜지 및 제2 지지층은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PI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 캡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층은 덕트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아연 도금 스틸(galvanised steel),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층은 덕트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랜지는 제2 지지층에 대해 외향(outwardly)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제2 지지층에 제거 가능하게(removably)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캡은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대응하는 잠금 부재와 맞물리도록(engaging)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덕트 패널을 복수 개 포함하는 덕트 섹션이 제공되는데, 상기 덕트 패널은 둘러싸인 단면(enclosed cross-section)을 형성한다.
인접한 덕트 패널들이 잠금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각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사이에 절연층을 배치하여 단부 폭을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단부 캡을 상기 단부 폭에 부착하는 단계; 및
장착 플랜지를 상기 단부 캡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단부 캡 및 장착 플랜지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장착 플랜지 및 제2 지지층은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PIR)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단부 캡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층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층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서 정의된 덕트 패널을 복수 개 조립하여 덕트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장착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 섹션을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덕트 섹션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단지 예시로서, 도면과 함께 다음의 기술된 설명으로부터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더욱 잘 이해될 것이고,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양태에 따른 덕트 패널의 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덕트 패널의 다른 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4개의 덕트 패널을 갖는 4면의 덕트 섹션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은 양태에 따른, 함께 조립되어 덕트를 형성하고 있는 두 개의 인접한 4면의 덕트 섹션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4는 양태에 따른 두 개의 인접한 장착 플랜지의 조립의 확대된 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양태에 따른 덕트 패널(100)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덕트 패널(100)은 제1 금속층(105)으로 나타낸 제1 지지층(105)과 제2 금속층(106)으로 나타낸 제2 지지층(106)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104)를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02)를 포함한다. 라미네이트 구조체(102)는 도 1a 및 도 1b에서 제1 단부폭(108) 및 제2 단부폭(110)으로 나타낸 적어도 하나의 단부 폭을 가진다. 제1 단부 캡(112)은 제1 단부 폭(108)에 부착되고, 제2 단부 캡(114)은 제2 단부 폭(110)에 부착된다. 제1 단부 캡(112) 및 제2 단부 캡(114)은 제1 장착 플랜지(116) 및 제2 장착 플랜지(118)에 각각 커플링 되도록 구성된다. 제1 단부캡(112) 및 제2 단부 캡(114)은 제1 장착 플랜지(116) 및 제2 장착 플랜지(118)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제1 장착 플랜지(116) 및 제2 장착 플랜지(118)는 덕트 패널(100)을 외부의 구조 (미도시), 예를 들어, 인접한 덕트 섹션의 장착 플랜지에 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양태에서, 절연층(104)은 얇은 직사각형 층이고, 제1 표면(120) 및 제2 표면(122)을 가진다. 제1 표면(120)은 제1 금속층(105)에 부착되고, 제2 표면(122)은 제2 금속층(106)에 부착되어 라미네이트 구조체(102)를 형성한다. 절연층(104)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 측면들(length side)을 가진다. 두 개의 덕트 패널이 함께 조립되는 경우에, 각 길이 측면은 인접한 절연층 (미도시)의 대응하는 길이 측면에 접한다. 길이 측면들은 절연층(104)의 두께를 따라서 상이한 표면 구조, 예를 들어, 톱니 모양 또는 경사진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대응하는 길이 측면의 표면 구조에 대응한다. 표면 구조는 접하는 길이 측면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켜서 접합부(abutment)를 강화할 수 있다. 각 덕트 패널의 길이 측면의 접합부는 부착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더 강화될 수 있다. 절연층(104)이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삼각형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단부 폭과 두 개의 인접한 덕트 패널의 연결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절연층(104)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polyisocyanurate, PIR)로 만들어진다. PIR은 상대적으로 높은 열저항(thermal resistance), 높은 R-값 (인치당 R6) 및 낮은 K-인자 (0.023 w/m-k)를 가지기 때문에,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절연층(104)이 다른 재료 및 PIR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이 예시 중 하나라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PIR로 만들어진 절연층(104)은 20-40mm의 두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04)의 두께는 덕트 패널(100)의 폭과 함께 증가하는데, 그 이유는 더 넓은 덕트 패널이 통상적으로 더 높은 유량(flow rate)의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에 이용되어, 결국, 더 나은 절연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양태에서, PIR 절연층(104)의 밀도는 약 50kg/m3 ± 2kg/m3이다. 절연층(104)은 대개 표준 길이, 예를 들어, 2 미터(metre) 미만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덕트 패널(100)의 제조 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절연층(104)의 두께 및 밀도 뿐만 아니라 길이도, 다른 양태에서, 예를 들어, 목적하는 절연 성능(insulation performance), 운송 또는 보관의 용이함 및 덕트 패널이 설치될 장소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1 금속층(105)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층(106)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실질적으로 내구성이 있고, 따라서 금속층(105), 금속층(106)은 통상적으로 상당히 얇으며, 그 두께는 예를 들어, 1mm 미만이다. 이러한 금속층(105), 금속층(106)은 유리하게는 절연층(104)을 지지하는-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는 통상의 덕트와 비교하여-더욱 강성인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금속층(105), 금속층(106)의 표면은 방청성(anti-corrosive)일 수 있다. 표면은 처리되어 (예를 들어, 도장될 수 있다) 덕트의 방청 특성 또는 미학적 특성을 더 강화할 수도 있다. 사용 시, 제1 금속층(105)은 덕트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고, 제2 금속층(106)은 덕트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제1 금속층(105) 및 제2 금속층(106)이, 예를 들어, 비용 및 빌딩 규정에 따라,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1 지지층 및 제2 지지층이 비슷한 열적 특성 및 구조적 특성을 갖는 비금속성 재료, 예를 들어, 복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과 상기에 제공된 재료가 단지 예시의 일부라는 것은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제2 금속층(106)이 스냅-잠금 부재(124) 형태의 잠금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시된다. 이 스냅-잠금 부재(124)는, 두 개의 인접한 덕트 패널이 함께 조립되는 경우에, 다른 덕트 패널의 대응하는 스냅-잠금 부재와 인터록 하도록(interlock) 구성된다. 인접한 덕트 패널들의 스냅-잠금 부재 사이의 인터록은 조립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인접한 덕트 패널들 사이의 더 밀착된 조립(tighter assembly)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스냅-잠금 부재(124)는 제1 금속층(105) 상에 배치될 수 있거나, 제1 금속층(105)과 제2 금속층(106)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예시에서, 제1 단부 캡(112) 및 제2 단부 캡(114)은 라미네이트 구조체(102)의 제1 단부 폭(108) 및 제2 단부 폭(110)에 각각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단부 캡 (112), 단부 캡(114)은 라미네이트 구조체(102)를 제1 금속층(105)과 제2 금속층(106)에서 그립(grip)한다.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의 각각의 측면(lateral side)은 통상적으로 절연층의 길이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구조화된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의 두 측면 모두는 경사진 구성을 가지는 길이 측면의 표면 구조에 대응하도록 경사진다. 양태에서,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은 텍스쳐링된 표면 (textured surface), 예를 들어, 톱니 모양의 표면 (saw-toothed surface)을 가진다. 텍스쳐링된 표면을 제1 단부 폭(108)에 부착하기 전에, 접착제가 텍스쳐링된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텍스쳐링된 표면은 유리하게는 더욱 안정한 부착(attachment)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 플랜지(116) 및 제2 장착 플랜지(118)는 제2 금속층(106)과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 및 제2 금속층(106)은 단일 판금으로부터 구부러질 수 있다. 다른 제조 과정,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출(aluminium extrusion)이 또한 이용되어 단일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장착 플랜지(114) 및 제2 장착 플랜지(116)는 제2 금속층(106)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 및 제2 금속층(106)은 모두 독립적인 구조체이다. 두 경우 모두에서, 천공들은 대개 덕트 패널(100)을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를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는 보통 실질적으로 연성인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도 1a 및 도 1b에서, 제1 단부 캡(112)은 제1 장착 플랜지(116)의 대응하는 잠금 부재(128)와 맞물리는 잠금 부재(126)를 가지며, 잠금 부재(126), 잠금 부재(128)는 인접한 제2 금속층(106)을 인터록한다. 제2 단부 캡(114)은 동일한 구성에서 제2 장착 플랜지(118)와 또한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제1 장착 플랜지(116) 및 제2 장착 플랜지(118)는 제2 금속층(106)에 대해 외향으로 연장한다.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이 다른 구성에서 각각의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와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는 나사와 같은 패스너(fastener)를 이용하여 단부 캡(112), 단부 캡(114)에 고정될 수 있다(fastened).
사용 시, 제1 금속층(105)에 인접한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의 일부는 덕트 내 공기 흐름에 노출된다. 덕트 내 공기 흐름은 보통, 덕트 외부의 공기와 상이한 온도에 있다.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을 통한 열전달을 감소시키고, 덕트 패널(100) 내 잠재적인 열교(thermal bridge)를 예방하기 위해,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은 통상적으로 높은 열저항(thermal resistance)을 가진 재료,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olyvinyl chloride, PVC)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유리하게는 덕트 내 공기 흐름의 원치 않는 열획득 또는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이 적합한 열저항을 가진 다른 재료 및 PVC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것이 예시 중 하나라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4개의 덕트 패널(202a), 덕트 패널(202b), 덕트 패널(202c), 덕트 패널(202d)을 갖는 4면의 덕트 섹션(200)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1 덕트 패널(202a), 제2 덕트 패널(202b) 및 제3 덕트 패널(202c)이 함께 조립되었고, "C" 형태의 구조체를 가지는 덕트 섹션(200)의 삼면을 형성하는 것이 제시된다. 제4 덕트 패널(202d)은 "C" 형태의 구조체로 조립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접한 덕트 패널의 조립은 덕트 패널 내 절연층의 대응하는 길이 측면들이 서로 접하도록 한다. 이 예시에서, 제4 덕트 패널(202d) 내 절연층의 길이 측면은 제1 덕트 패널(202a) 및 제3 덕트 패널(202c) 내 절연층의 대응하는 길이 측면을 접촉하고 있다.
제4 덕트 패널(202d)은 제1 장착 플랜지(204a) 및 제2 장착 플랜지(204b)를 가진다. 제1 코너 피스(206a), 제2 코너 피스(206b), 제3 코너 피스(206c) 및 제4 코너 피스(206d)는 제1 장착 플랜지(204a) 및 제2 장착 플랜지(204b)의 각각의 측면(side)으로 각각 삽입된다. 코너 피스(206a), 코너 피스(206b), 코너 피스(206c), 코너 피스(206d)는 상이한 구성, 예를 들어, 단일 L-형 피스 또는 2개의 I-형 피스의 조합일 수 있다. 코너 피스(206a), 코너 피스(206b), 코너 피스(206c), 코너 피스(206d)는 패스너(미도시), 예를 들어, 나사 및 볼트의 삽입을 위한 관통-천공들(208)을 가질 수 있다. 코너 피스(206a), 코너 피스(206b), 코너 피스(206c), 코너 피스(206d)는 제1 덕트 패널(202a) 및 제3 덕트 패널(202c)의 대응하는 장착 플랜지로 실질적으로 삽입된다. 패스너들은 코너 피스(206a), 코너 피스(206b), 코너 피스(206c), 코너 피스(206d)를 각각의 장착 플랜지(202a), 장착 플랜지(202c), 장착 플랜지(202d)에 부착하거나, 아래에서 도 4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덕트 섹션(200)을 인접한 외부 구조체 (미도시), 예를 들어, 인접한 덕트 섹션으로 부착하기 위한 관통-천공들(208)로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덕트 패널(202a), 덕트 패널(202c), 덕트 패널(202d) 내 금속층의 스냅-잠금 부재들, 예를 들어, 210a, 210b는 인접한 덕트 패널(202a), 덕트 패널(202c), 덕트 패널(202d) 내 대응하는 스냅-잠금 부재들과 또한 인터록 할 수 있다.
도 3은 함께 조립되어 덕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인접한 4면의 덕트 섹션(302a), 덕트 섹션(302b)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1 덕트 섹션(302a)이 제2 덕트 섹션(302b)에 부착되고 있는 것이 제시된다. 각각의 덕트 섹션(302a), 덕트 섹션(302b)은 외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장착 플랜지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적합한 열저항을 가지는 씰(seal)이 제1 덕트 섹션(302a)의 장착 플랜지(304a), 장착 플랜지(304b), 장착 플랜지(304c), 장착 플랜지(304d)와 제2 덕트 섹션(302b)의 장착 플랜지(306a), 장착 플랜지(306b), 장착 플랜지(306c), 장착 플랜지(306d)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덕트 섹션(302a)의 장착 플랜지(304a), 장착 플랜지(304b), 장착 플랜지(304c), 장착 플랜지(304d)와 제2 덕트 섹션(302b)의 장착 플랜지(306a), 장착 플랜지(306b), 장착 플랜지(306c), 장착 플랜지(306d) 사이의 연결부를 실질적으로 유체-기밀하게(fluid-tight) 만들 수 있다.
도 4는 두 개의 인접한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의 조립 예시의 확대된 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1 장착 플랜지(402a) 및 제2 장착 플랜지(402b)가 제1 덕트 패널(404a) 및 제2 덕트 패널(404b)에 각각 장착된 것이 제시된다. 이 양태에서, 제1 장착 플랜지(402a) 및 제2 장착 플랜지(402b)가 제1 금속층(406a) 및 제2 금속층(406b)과 각각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또한, 각 덕트 패널(404a), 덕트 패널(404b)은 덕트 패널(404a), 덕트 패널(404b)의 단부 폭에 부착된 단부 캡(408a), 단부 캡(408b)을 가진다. 각각의 단부 캡(408a), 단부 캡(408b)은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의 대응하는 잠금 부재(412a), 잠금 부재(412b)와 맞물리는 잠금 부재(410a), 잠금 부재(410b)를 가진다.
씰(414)은 제1 덕트 패널(404a) 및 제2 덕트 패널(404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제1 장착 플랜지(402a)는 나사(416) 및 너트(418)를 이용하여 제2 장착 플랜지(402b)에 장착된다. 스냅-핏 부재(420)는 이용되어,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를 함께 가압하여 장착부(mounting)를 더 강화할 수 있고, 덕트가 야외에 설치된 경우에, 물 또는 먼지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 다른 패스너가 이용되어 인접한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를 장착할 수 있다는 것과 나사 및 너트를 이용하는 것은 단지 예시 중 하나라는 것이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인접한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 사이의 조립이 다른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component), 예를 들어, 강화 부재를 플랜지 내에 포함하여 장착 플랜지(402a), 장착 플랜지(402b)의 파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통상의 덕트 패널을 수반하는 양태의 덕트 패널(100)과 비교하여, 양태의 덕트 패널(100)은 HVAC 시스템에서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의 더 나은 절연의 결과로서, 에너지 손실 또는 획득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 패널(100)은 단부 캡을 통한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PVC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을 가진다. 이는 덕트 패널 내 열교를 예방할 수 있어서, 덕트에서도 열교를 예방할 수 있다.
양태의 덕트 패널은 현장 밖에서 제조되고,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패널 형태로 현장으로 운송된다. 덕트 패널은 스냅-핏 맞물림(snap-fit engagement)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함께 조립되어 덕트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 캡(112), 단부 캡(114)은 잠금 부재를 이용하여 장착 플랜지(116), 장착 플랜지(118)에 커플링 된다. 덕트로의 추가의 절연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덕트 절연 작업 및 현장에서 발생된 소음 수준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는 유리하게는 통상의 덕트 보다 더 가볍고 강할 수 있다. 덕트 패널의 다른 이점은 감소된 수동 절연 작업(reduced manual insulation work)으로 인한 보다 적은 폐기물, 현장에서의 증가된 생산성, 포름알데히드 프리 재료(formaldehyde free material)의 사용으로 인한 친환경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변경 및/또는 변형이 전반적으로 기술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한 양태에서 제시된 본 발명에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양태는 모든 점에서 설명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Claims (18)

  1.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및 단부 폭(end width)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구조체(laminate structure); 및
    상기 단부 폭에 부착되고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에 커플링(coupling) 되도록 구성된 단부 캡(end cap);을 포함하는 덕트 패널로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덕트 패널을 장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부 캡 및 장착 플랜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랜지 및 제2 지지층은 단일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인, 덕트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PIR)를 포함하는 것인, 덕트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덕트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인, 덕트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은 덕트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지지층은 아연 도금 스틸(galvanised steel),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덕트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층이 덕트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 지지층이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덕트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제2 지지층에 대해 외향(outwardly)으로 연장하는 것인, 덕트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제2 지지층에 제거 가능하게(removably) 부착된 것인, 덕트 패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대응하는 잠금 부재와 맞물리도록(engaging) 구성된 것인, 덕트 패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덕트 패널을 복수 개 포함하는 덕트 섹션으로서, 상기 덕트 패널은 둘러싸인 단면(enclosed cross-section)을 형성하는 것인, 덕트 섹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한 덕트 패널들이 잠금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각 패널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인, 덕트 섹션.
  12.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사이에 절연층을 배치하여 단부 폭을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단부 캡을 상기 단부 폭에 부착하는 단계; 및
    장착 플랜지를 상기 단부 캡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단부 캡 및 장착 플랜지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장착 플랜지 및 제2 지지층은 단일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PIR)로 만들어진 것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층은 아연 도금 스틸,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인, 덕트 패널의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덕트 패널을 복수 개 조립하여 덕트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장착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덕트 섹션을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덕트 섹션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의 설치방법.
KR1020197005406A 2016-07-25 2017-07-25 덕트 패널 KR102228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606130V 2016-07-25
SG10201606130VA SG10201606130VA (en) 2016-07-25 2016-07-25 A Duct Panel
PCT/SG2017/050377 WO2018021969A1 (en) 2016-07-25 2017-07-25 A duct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59A true KR20190039959A (ko) 2019-04-16
KR102228351B1 KR102228351B1 (ko) 2021-03-16

Family

ID=5732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06A KR102228351B1 (ko) 2016-07-25 2017-07-25 덕트 패널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1549719B2 (ko)
EP (1) EP3488158B1 (ko)
JP (1) JP6821787B2 (ko)
KR (1) KR102228351B1 (ko)
CN (1) CN109716038B (ko)
AU (2) AU2016101773A4 (ko)
BR (1) BR112019001380B1 (ko)
CL (1) CL2019000176A1 (ko)
DK (1) DK3488158T3 (ko)
ES (1) ES2923928T3 (ko)
MY (1) MY197433A (ko)
PH (1) PH12019500174A1 (ko)
PL (1) PL3488158T3 (ko)
RU (1) RU2768776C2 (ko)
SG (1) SG10201606130VA (ko)
TW (1) TWI754655B (ko)
WO (1) WO2018021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606130VA (en) 2016-07-25 2018-02-27 Instad Pre Fabrication Pte Ltd A Duct Panel
JP7202564B2 (ja) * 2018-11-22 2023-01-12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断熱ダクト、断熱ダクトの製造方法、及び、断熱ダクトの据付方法
JP7340345B2 (ja) * 2019-03-26 2023-09-07 フジモリ産業株式会社 空調部材
KR102487083B1 (ko) * 2020-07-01 2023-01-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서셉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E202020104104U1 (de) 2020-07-16 2021-10-20 Bevego Byggplåt & Ventilation AB Luftkanal mit rechteckigen Luftkanalelementen
KR102399282B1 (ko) * 2021-12-02 2022-05-18 주식회사 태동폴리텍 단열 및 흡음 성능이 우수한 공조용 덕트
KR102598675B1 (ko) * 2023-03-22 2023-11-03 설상열 이중 케이싱 덕트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495A (ja) * 2007-08-03 2009-02-19 Kume Sekkei:Kk 折り畳み式ダクトおよび折り畳み式ダクト用ハゼ継手
KR100976079B1 (ko) * 2009-05-18 2010-08-16 덕유패널 주식회사 연속식 페놀폼 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공조기용 덕트
KR20110006405U (ko) * 2009-12-18 2011-06-24 진영강업 (주)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로 제작된 제연 및 냉난방용 덕트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0494A (fr) 1971-10-25 1973-02-15 Nordiske Kabel Traad Dispositif de montage pour la fixation d'un boitier isolant contenant un dispositif electrique a un conduit electrique apparent
US4662661B1 (en) * 1978-01-26 1997-05-13 Ductmate Ind Inc Flange type duct joint assembly and seal arrangement therefor
CA1105521A (en) * 1979-05-04 1981-07-21 Georg Mez Air-conducting passages
US4304423A (en) * 1979-05-21 1981-12-08 George Mez Apparatus for air conducting duct
DE3512669A1 (de) * 1985-04-06 1986-10-09 Karl Meinig KG, 7201 Rietheim-Weilheim Luftkanalabschnitt mit angeformtem verbindungsflansch
NL8503491A (nl) * 1985-12-18 1987-07-16 Casparus Wilhelmus De Waal Inrichting voor het stompverbinden van gasvormig mediumvoerende kanalen.
US5103872A (en) * 1990-09-18 1992-04-14 Jyh Long Chang Structure of air conduit flange and shock-absorbing connector
US5352000A (en) 1993-01-25 1994-10-04 Mez Industries, Inc. Flange connector for air duct with detent adjacent sealing material
US5358013A (en) * 1993-09-24 1994-10-25 Engel Industries, Inc. Deflection-resistant safety flange for integrally-flanged duct sections
NL9500127A (nl) * 1994-04-22 1995-12-01 Waal Staal Bv De Inrichting voor het stomp verbinden van gasvormig medium voerende kanalen met een rechthoekige of vierkante dwarsdoorsnede.
US5653482A (en) * 1995-12-15 1997-08-05 Ficchi, Jr.; Vincent Seal system for duct network
CZ5245U1 (cs) * 1996-08-21 1996-09-27 Zvvz A.S. Profilová příruba, zejména ke vzduchovým potrubím
TW467239U (en) * 2001-05-10 2001-12-01 Su-Yin Guo Structure for air duct
KR100548861B1 (ko) * 2001-07-13 2006-02-02 캐리어 코포레이션 공기 조절기 캐비닛용 열장벽
US7163030B2 (en) * 2002-07-11 2007-01-16 Jeffrey Allen Hermanson Rectangular and square double wall ducting systems
ES1054578Y (es) * 2003-02-04 2003-12-01 Saint Gobain Cristaleria S A Panel de lana mineral provisto de velo de recubrimiento por ambas caras.
US7195290B2 (en) * 2003-11-13 2007-03-27 William Christopher Duffy Apparatus for a fire-rated duct
CN1587848A (zh) * 2004-08-03 2005-03-02 支洋波 金属通风管道制作安装新工艺
CN2737870Y (zh) * 2004-10-19 2005-11-02 王何生 改进的通风管道
CN2751204Y (zh) * 2004-10-25 2006-01-11 靳成文 风管连接机构
US7234734B2 (en) * 2005-01-31 2007-06-26 Met-Coil Systems, Llc Integral transverse flanges for a duct connecting system
US8107238B2 (en) 2005-09-19 2012-01-31 Chatsworth Products, Inc. Ducted exhaust equipment enclosure
US7651390B1 (en) 2007-03-12 2010-01-26 Profeta Jeffery L Ceiling vent air diverter
CN101509590A (zh) 2009-03-23 2009-08-19 唐达理 聚氨酯改性硬质聚异氰脲酸酯泡沫塑料pir节能保温板
RU101784U1 (ru) * 2010-06-25 2011-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ВЕНТО" (ООО "ПРОВЕНТО") Воздуховод
CN202065570U (zh) * 2011-05-20 2011-12-07 华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密封式中央空调通风管
CN102330855A (zh) 2011-09-05 2012-01-25 江苏兆胜建材有限公司 复合风管无冷桥外置内插法兰
DE102012217815B4 (de) * 2012-09-28 2016-12-29 Obo Bettermann Gmbh & Co. Kg Leitungskanal
GB2517476B (en) * 2013-08-22 2020-02-12 Ronald Dalgarno Michael Fire resistant ducting systems
CN104534207A (zh) 2014-12-11 2015-04-22 浙江中创科技有限公司 风管法兰、风管法兰拼接结构及中央空调
SG10201606130VA (en) 2016-07-25 2018-02-27 Instad Pre Fabrication Pte Ltd A Duct Panel
US10533689B2 (en) * 2016-09-28 2020-01-14 Ductmate Industries, Inc. Double wall duct connector
US11333390B2 (en) * 2020-03-25 2022-05-17 Durasystems Barriers Inc. Fire-rated ventilation duct and improvements there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495A (ja) * 2007-08-03 2009-02-19 Kume Sekkei:Kk 折り畳み式ダクトおよび折り畳み式ダクト用ハゼ継手
KR100976079B1 (ko) * 2009-05-18 2010-08-16 덕유패널 주식회사 연속식 페놀폼 보드 및 이를 이용한 공조기용 덕트
KR20110006405U (ko) * 2009-12-18 2011-06-24 진영강업 (주)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로 제작된 제연 및 냉난방용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53390A1 (en) 2019-11-21
US11549719B2 (en) 2023-01-10
RU2019104701A (ru) 2020-08-25
CL2019000176A1 (es) 2019-05-10
SG10201606130VA (en) 2018-02-27
EP3488158A1 (en) 2019-05-29
KR102228351B1 (ko) 2021-03-16
MY197433A (en) 2023-06-19
EP3488158A4 (en) 2020-02-26
AU2017302396A1 (en) 2019-03-07
BR112019001380A2 (pt) 2019-04-30
AU2016101773A4 (en) 2016-11-24
RU2768776C2 (ru) 2022-03-24
WO2018021969A1 (en) 2018-02-01
PH12019500174A1 (en) 2019-07-29
CN109716038B (zh) 2021-06-18
RU2019104701A3 (ko) 2020-11-11
CN109716038A (zh) 2019-05-03
JP6821787B2 (ja) 2021-01-27
TW201816340A (zh) 2018-05-01
AU2017302396B2 (en) 2022-07-21
JP2019527334A (ja) 2019-09-26
TWI754655B (zh) 2022-02-11
DK3488158T3 (da) 2022-07-25
ES2923928T3 (es) 2022-10-03
BR112019001380B1 (pt) 2023-12-12
PL3488158T3 (pl) 2022-09-12
EP3488158B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351B1 (ko) 덕트 패널
KR100538079B1 (ko) 벽구조
US9371941B1 (en) Exterior ductwork system
CN109072607B (zh) 防水组件和包括防水组件的预制墙面板
SE501456C2 (sv) Väggarrangemang
FI91990C (fi) Menetelmä elementtirakenteen valmistamiseksi ja elementtirakenne
AU2014393626B2 (en) Ducting systems
JP6626324B2 (ja) 断熱改修施工方法および断熱構造
RU2220266C2 (ru) Декоративная утепляющ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й утепляющей панели
CN112771234B (zh) 建筑系统和方法
AU2018102156A4 (en) A cladding for application to a structure and an assembly of the cladding with the structure
US20240167280A1 (en) Vented Weather Resistant Barriers
JP2023117125A (ja) 建材パネルの施工方法
JP2009139042A (ja) 軽量不燃性ダクト
FI124475B (fi) Ilmanvaihtokanavan osa ja menetelmä ilmanvaihtokanavan lämmöneristekerroksen muodostamiseksi
WO2019217992A1 (en) A cladding for application to a structure and an assembly of the cladding with the structure
JP2007056625A (ja) 建築用パネル及び天井
EP2024578A1 (en) Outer wall of building and metal honeycomb structure for use therein
JP2002013237A (ja) 吊り天井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