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25A -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25A
KR20190038325A KR1020180107684A KR20180107684A KR20190038325A KR 20190038325 A KR20190038325 A KR 20190038325A KR 1020180107684 A KR1020180107684 A KR 1020180107684A KR 20180107684 A KR20180107684 A KR 20180107684A KR 20190038325 A KR20190038325 A KR 2019003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crew
electrode member
thicknes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857B1 (ko
Inventor
코우이치 테라다
쇼우헤이 마츠이
코우지 카타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소다
Publication of KR2019003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57Conducting ro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보다 적합하게 대응 가능한 전주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금용 전극이 제공된다. 이러한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와, 그 전극부재가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재는,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Electrode for plating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metal foil}
본 발명은,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도금법으로 전해금속박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에 관한 것과 함께, 이러한 전극을 구비한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박은, 종래부터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전기·전자 분야에서 프린트 회로재로서 이용되거나, 전기화학 분야에서 전지의 집전체로서 이용되거나 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박의 종류로는, 기계적으로 압연하여 얻어지는 압연박 이외에, 전기화학적인 도금으로 얻어지는 전해금속박 등이 존재한다. 도금에 의하여 금속박을 제조하는 기술은, 전기주조(특히 "전주")라고도 불릴 수 있다. 전주에서는, 연속적인 금속박을 비교적 간이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면평활성 등의 금속박의 특성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여, 동박 또는 동합금박 등의 금속박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해금속박의 제조에서는, 전기도금의 원리가 이용되고, 도금용 전극이 이용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조(500)의 전해액(510)에 침지시킨 도금용 전극(520)과, 그것과 쌍을 이루는 드럼 형상의 대극(530)으로 이루어지는 전기도금장치가 이용된다. 도금용 전극(520)은, 드럼 형상의 대극(530)에 대하여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고, 드럼 형상의 대전극(530)의 "원형윤곽"을 따르도록 만곡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도금용 전극(520)과 드럼 형상의 대극(530) 사이로 통전시키면, 대극(530)의 표면에 금속성분을 전해석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 형상의 대극(530)을 도금용 전극(52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통전을 행하고, 전해석출에 기인하여 형성되는 금속층을 대극(530)으로부터 순차 박리함으로써 금속박(550)을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09396호 특허문헌 2: 일본공고특허공보 평6-47758호 특허문헌 3: 국제공개(WO) 제2010/067754호 특허문헌 4: 일본특허공보 제3468545호
본원 발명자는, 종전의 전해금속박의 제조에서는 극복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있는 것을 깨닫고, 그를 위한 대책을 취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과제가 있는 것을 본원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금속박의 전주제조에 있어서는, 도금용 전극으로서 불용성 양극을 이용하고, 이러한 양극을 개편(個片)화하는 방식이 있다. 개편화한 양극의 복수매가, 기체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전해액을 통하여 양극이 음극 드럼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는데, 본원 발명자들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가 멀면, 전해조의 전압이 보다 높아져 전력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현행의 전극구조에 따라서는 양극 상의 전류분포가 불균일해져, 전해금속박의 불량을 발생시킬 우려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특히, 개편 형상의 양극이 장착되는 기체는, 전해조의 벽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는, 그 벽의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연속적인 금속박 제조가 이루어지는 전주에서는, 코스트 및 핸들링의 관점뿐만 아니라, 만곡화시키는 관점이 통상 중시되므로, "얇은" 양극이 사용된다. 따라서, 전주의 당업자는, 그러한 만곡화에 바람직한 "얇은" 전극의 사용을 일반적으로 중요시하고 있으며,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먼 것을 통상 의식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보다 적합하게 대응 가능한 전주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연장선 상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향에서 대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과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상기 주된 목적이 달성된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의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이용하는 도금용 전극으로서,
전극부재와, 당해 전극부재가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고,
전극부재가,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전극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금용 전극을 적어도 가지고 이루어지는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기체에 장착되는 전극부재가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고 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어서의 전극간 거리의 점에서 보다 적합한 전주기술을 초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부재의 "두께증가면"에 기인하여, 금속박 제조의 전극간 거리가 보다 적합하게 감소되므로, 전해조의 전압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전력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극과 기체의 접촉면적이 향상되므로, 도금용 전극 상의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되기 쉬워져, 제조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을 줄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도 1의 (a): 두꺼운 전극의 사용, 도 1의 (b): 얇은 전극의 사용)
도 2는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도 2의 (a): 두꺼운 전극의 사용, 도 2의 (b): 얇은 전극의 사용)
도 3은 비스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4는 "두꺼운 전극의 태양"에 따른 두께증가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도 4의 (a): 전극 두께가 접시비스의 두부 치수 이상, 도 4의 (b): 전극 두께가 접시비스의 두부 치수와 동일)
도 5는 "부피 증가를 초래하는 굴곡진 얇은 전극의 양태"에 따른 두께증가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도 5의 (a): 전극의 부피가 접시비스의 두부 치수와 동일, 도 5의 (b): 전극의 부피가 접시비스의 두부 치수와 동일하며 스페이서 부속)
도 6은 본 발명의 두께증가에 기인하는 적합한 밀접상태를 "얇은 전극"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
도 7은 "두꺼운 전극의 양태"에 관한 바람직한 구체예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체예의 유의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예시적인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으로서, 기체에 대한 전극부재의 고정화 또는 안정화에 기여하는 홈을 구비하는 양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도 10의 (a): 스페이서 없음, 도 10의 (b): 스페이서 있음, 도 10의 (c): 특수 형상의 접시비스 사용)
도 11은 전기도금으로 연속적인 금속박을 제조하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방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지만, 도시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모식적 및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외관이나 치수비 등은 실물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단면시'라는 표현은, 도금용 전극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잘라낸 단면도에 상당하고, 실질적으로는 대상물을 측방에서 포착한 도면에 상당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말하면, '단면시'는, 도금용 양극과 쌍을 이루는 음극 드럼의 회전축이 법선이 되는 면으로 잘라낸 도면에 상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 관련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상(또는 상측)'은, 사용시에 대극(즉, 드럼 형상의 전극)에 보다 근접한 위치가 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있으며, 또한 그 역방향이 '하(또는 하측 혹은 바닥측)'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극이다. 이러한 도금용 전극은, 전주를 위한 전극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전주용 전극" 등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전해금속박'이라는 용어는, 전기도금의 원리로 제조되는 금속박을 실질적으로 가리키고 있다. 전해금속박으로서는, 동, 니켈 및 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여 이루는 금속박을 들 수 있다. 전형적인 예를 하나 들면, 전해금속박은 동박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100)은, 드럼 형상의 대극(200)과 대향하도록 이용되는 전극이다. 금속박 제조의 적합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100)은 "양극"에 상당하는 한편, 대극(200)이 "음극"에 상당한다. 전해금속박의 제조시에는 양극과 음극의 전극 사이가 통전됨으로써, 전해석출에 기인하여 음극 상에 금속박(보다 정확하게는, 금속박의 전구체가 되는 금속층)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사용되는 도금용 전극은, 이른바 불용성 양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 양극의 경우, 양극의 용해에 의하여 도금금속성분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전해조의 전해액에 원래 포함되는 성분이 도금금속성분의 제공원이 된다.
음극이 되는 대극은, 전체적으로 드럼 형상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드럼 형상'이란, 대극이 금속박의 연속 제조에 이바지하는 원통 형상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한편, 양극이 되는 전극은, 드럼 형상의 음극과 이격하여 그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극의 도금용 전극은, 그 단면시에서 드럼 윤곽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도록 만곡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는 양태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해금속박 제조용의 전극(100)은, 단면시에서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와, 그 전극부재가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금용 전극(100)은, 대극(200)과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전극부재(10)를 가지는 동시에, 그 전극부재가 고정화되는 기체(20)를 가지며 이루어진다. 전극부재(10)는, 전주시에 있어서 양극으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불용성 양극으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가 특이한 표면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는, 전극부재가, 드럼 형상의 대극에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고 있다. 두께증가면은 표면 레벨(즉, 전극표면 높이)이 증가한 면인 바,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의 표면 레벨, 특히 쌍을 이루는 음극 드럼과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표면 레벨(즉, 상면 레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두께증가면'이란, 넓은 의미로는, 도금용 전극의 표면 레벨이, 대극에 의하여 가까워지도록 증가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실질적으로 의미하고 있다. 좁은 의미로는, '두께증가면'은,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의 전극부재의 상측 주면 레벨(기체와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바닥측 주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주면의 레벨)이 대극에 의하여 가까워지도록 증가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실질적으로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두께증가면'은, "리프트 레벨면" 또는 "바닥 올림면" 등으로 부를 수도 있다. 예시하면, 두께증가면은, 전극부재가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기체의 표면(전극부재에 대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의 설치 기체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예를 들어 2mm보다 큰 레벨, 바람직하게는 3mm보다 큰 레벨(하나의 예시로서 5mm보다 큰 레벨)에 위치하는 면이다. 이러한 이격거리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30mm, 20mm, 15mm, 10mm, 8mm 또는 5mm 등이다.
전극부재가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예시 양태로서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가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태양을 들 수 있다. 또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가 얇은 전극으로서, 그 얇은 전극이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져 있는 형태를 가지는 태양이어도 좋다. 전자는,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두께에 기인하여, 그 두꺼운 전극의 상측 표면이 "두께증가면"에 상당하게 되어 있고, 후자는, 얇은 전극의 부피가 증가한 굴곡 형태에 기인하여, 그 얇은 전극의 상측 표면이 "두께증가면"에 상당하고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금용 전극(100)은, 전극부재(10)를 기체(20)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30)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극부재(10)를 기체(20)에 고정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100)은, 비스(30)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비스(30)는 테이퍼 측면(35)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전극부재(10)의 측면 부분(12)(도 2의 (a)) 또는 두께증가면(15)(도 2의 (b))은, 비스(30)의 테이퍼 측면(35)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극부재와 비스의 정합성이 향상되고, 도금용 전극으로서 전체의 일체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어느 태양에서는, 그와 같은 상보적인 관계에 의하여, 보다 틈이 없는 적합한 전극면이 초래되는 동시에, 비스를 통한 적합한 방열이 초래되게 된다("방열"에 대하여는 나중에 상술함).
비스(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32)와 나사절삭부(37)로 적어도 구성되며, 이러한 두부(32)의 측면(35)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스(30)에 있어서는 두부(32)가 하측을 향하여(즉, 나사절삭부(37)를 향하여) 점차 폭치수를 줄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부재(10)의 측면 부분(12)은, 그 테이퍼 형상 측면(35)을 구비한 비스 두부(32)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2의 (a)를 참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부재(10)가 기체(2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전극부재(10)의 측면 부분(12)은, 비스(30)의 나사절삭부(37)에 접하지 않고 비스(30)의 두부(32)의 테이퍼 형상 측면(35)에 대하여 상보적으로 밀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서,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의 두께증가면(15)의 일부(15A)는, 그 테이퍼 형상 측면(35)을 구비한 비스 두부(32)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부재(10)가 기체(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전극부재(10)의 두께증가면(15)의 일부(15A)는, 비스(30)의 나사절삭부(37)에 접하지 않고 비스(30)의 두부(32)의 테이퍼 형상 측면(35)에 대하여 상보적으로 밀접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의 전극부재는, "두께증가면"에 기인하여, 전극 표면 레벨이 높아져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재에 있어서 두께증가면으로부터 '전극부재와 기체의 접속레벨'까지의 수직거리 치수가, 비스에 있어서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태양으로 말하자면, 두께증가면(15)을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전극부재(10)와 기체(20)의 접속 레벨'까지의 수직거리 치수(H1)가, 비스(30)의 테이퍼 높이 치수(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수직거리 치수'라는 용어에 관한 "수직"은, 두께증가면(특히, 비굴곡 부분에 있어서의 두꺼운 면)에 대하여 법선 또는 수직선이 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도 4의 (a) 및 (b)의 태양에 따라서 설명하면,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의 상측 표면 레벨로부터, 그 두꺼운 전극(10A)이 기체(20)와 접촉하는 면까지의 최단거리치수(H1)는, 비스(30)의 테이퍼 높이 치수(H2) 이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의 (a) 및 (b)의 태양에서는, 부피 증가한 굴곡 형태를 가지는 얇은 전극(10B)의 상측 표면 레벨로부터, 그 얇은 전극(10B)이 기체(20)와 접촉하는 포인트(18)에 있어서의 레벨까지의 최단거리치수(H1)가, 비스(30)의 테이퍼 높이 치수(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치수 특징을 가지는 "두께증가면"은, 금속박 제조에 있어서의 양극과 음극의 전극간 거리에 관하여 보다 적합하게 기여한다. 즉, 전극부재의 "두께증가면"에 기인하여, 전극간 거리를 보다 줄일 수 있어, 전해조의 전압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금속박 제조시의 전력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간 거리를 보다 줄일 수 있으므로,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의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되기 쉬워져, 제조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을 줄이는 것도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두께증가면"에 기인하여,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의 단면윤곽 또는 두께증가면의 단면윤곽이 특징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느 적합한 태양에서는, 전극부재의 단면시에서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두께증가면의 윤곽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의 태양과 같이,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의 측면 부분(12)(특히, 비스와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측면 부분(12))의 단면윤곽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의 (a)의 태양과 같이, 부피가 증가한 입체 형태를 가지는 얇은 전극(10B)의 두께증가면(15)의 단면윤곽의 일부(15')(특히, 비스 꼭대기면에 인접하는 부분(15'))가 굴곡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굴곡진 형태는, 높은 레벨의 "두께증가면"에 기인하므로, 금속박 제조에 있어서의 양극과 음극 사이의 거리 저감에 의하여 적합하게 이바지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비스와 함께 사용되는 것인 바, 전극부재에 관련하여 적합한 설치형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스에 의하여 전극부재가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비스의 꼭대기면과 전극부재의 두께증가면이 면일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태양에 따라 말하자면,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의 상측 표면 레벨이 비스(30)의 꼭대기면 레벨(두부의 상측면 레벨)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태양에서는, 부피가 증가한 굴곡 형태를 가지는 얇은 전극(10B)의 상측 표면 레벨이 비스(30)의 꼭대기면 레벨(두부의 상측면 레벨)과 실질적으로 동일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일"에 의하여, 보다 매끄러운 전극면이 초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께증가면"이기 때문에, 전극부재에 있어서 두께증가면으로부터의 기체와의 접촉레벨까지의 수직거리치수(H1)가 비스(30)의 테이퍼 높이치수(H2) 또는 그보다 커지면서도, 비스(30)의 꼭대기면과 전극부재(10)의 두께증가면이 면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도 또한, 높은 레벨의 "두께증가면"에 기인하므로, 전주에 있어서의 전극간 거리 저감에 의하여 적합하게 이바지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 있어서의 '전극부재', '기체' 및 '비스'에 대하여 상술해 두겠다.
전극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시에서 실질적으로 양극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불용성 양극이다. 전극부재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밸브금속이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전극부재는, 탄탈, 니오브, 티탄, 하프늄, 지르코늄, 텅스텐, 비스무트 및 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어디까지나 예시이지만, 내식성 및/또는 범용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어느 적합한 양태에 따른 전극부재는 티탄 또는 티탄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부재는,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바, 그 두께증가면으로부터 기체와의 접촉면 또는 접촉레벨까지의 수직거리 치수(즉, 도 4 및 도 5의 "H1")는, 바람직하게는 2mm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거리 치수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쇼트방지 등의 관점에서 30mm, 20mm, 15mm, 10mm, 8mm 또는 5mm이어도 좋다.
한편, 전극부재의 표면은 전극촉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백금족 금속 또는 그 산화물이 전극부재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즉, 팔라듐, 로듐, 루테늄, 백금, 이리듐 및 오스뮴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백금족 금속, 및/또는 그들 백금족 금속의 산화물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촉매가 전극부재의 두께증가면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전극촉매층이 설치되는 경우, 촉매층이 실질적으로 두께증가면의 표면을 이룰 수 있다.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지만, 어느 적합한 양태에 따른 전극부재에는 이리듐원소 및 탄탈원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촉매가 사용된다.
기체는, 전극부재가 고정화되는 전주부재인 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전극기체가 밸브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즉, 전극부재가 고정화되는 기체는, 탄탈, 니오브, 티탄, 하프늄, 지르코늄, 텅스텐, 비스무트 및 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어느 적합한 태양에 따른 기체는 티탄 또는 티탄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티탄 또는 티탄합금은, 내식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기체의 두께는, 전주에 사용되는 전극부재의 고정화에 이바지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10mm~40mm 정도여도 좋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체(20)는 전해조(50)의 벽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전해액을 저장해 두는 것에 직접적으로 이바지는 전해조 내벽이 만곡 형태(특히, 단면시 원호 형상)를 가지고 있고, 그 만곡 형태의 전해조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기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비스는, 전극부재와 기체의 상호 고정화에 이용되는 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비스가 밸브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즉, 비스는, 탄탈, 니오브, 티탄, 하프늄, 지르코늄, 텅스텐, 비스무트 및 안티몬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어디까지나 예시이지만, 어느 적합한 태양에 따른 비스는, 내식성 및/또는 범용성 등의 관점에서 티탄 또는 티탄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30)는, 두부(32)와 나사절삭부(37)로 적어도 구성되며, 이러한 두부(32)의 측면(35)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테이퍼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1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이러한 테이퍼 측면은, 예를 들어 기계가공에 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시판의 테이퍼 부착 비스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테이퍼 측면(35)이 설치되어 있는 두부(32)의 높이 치수(H2)(도 3을 참조)는, 본 발명의 두께증가면의 실현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종전의 것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어느 적합한 태양에 따른 비스는, 당업자(특히,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있어서의 당업자)의 통상의 인식으로 크다고 여겨지는 높이 치수의 두부를 구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부(32)의 높이 치수(H2)는, 2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mm보다 크다. 이러한 비스의 두부의 높이치수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30mm, 20mm, 15mm, 10mm, 8mm 또는 5mm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은, 다양한 태양으로 구현화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술한 '두꺼운 전극의 태양' 및 '부피의 증가를 초래하는 굴곡진 얇은 전극의 태양'으로써 구현화할 수 있다.
(두꺼운 전극의 태양)
이러한 태양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가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으로 되어 있다. 즉, 전주(특히, 전해금속박의 제조)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얇다고 생각되는 전극 두께가 아니라, 이러한 당업자의 인식으로 통상 크다고 생각되는 두께의 전극이 전극부재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은, 그 두께가 비스에 있어서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로 되어 있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바꿔말하면,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두께는, 비스의 두부의 높이 치수 이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 말하자면, 두꺼운 전극의 두께는 비스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의하여 기체에 고정화되는 강도를 가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은,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두께는, 비스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에 의하여 기체로 고정화하기 위한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예를 들어 비스 두부(32)의 높이 치수(H2)의 50% 이상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은, 비스의 테이퍼 측면에 의한 지지로 두꺼운 전극을 기체로 고정화 또는 설치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두께로 되어 있어도 좋다(그 경우,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두께는, 예를 들어 비스 두부(32)의 높이 치수(H2)의 50% 이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두꺼운 전극의 두께는, 전극부재의 "두께증가면"의 실현에 적합하게 기여하고, 금속박 제조에 있어서의 양극과 음극의 전극간 거리에 관하여 보다 적합하게 기여한다. 즉, 이러한 두꺼운 전극의 두께에 기인하여, 전극간 거리를 보다 줄일 수 있고, 전해조의 전압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금속박 제조시의 전력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극간 거리를 보다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전극의 두께가 증가함으로써, 통전시의 도금용 전극 상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해지기 쉬워져, 제조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을 줄이는 것도 가능해질 수 있다.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구체적인 두께는, 예를 들어 2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mm보다 크다. 이러한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30mm, 20mm, 15mm, 10mm, 8mm 또는 5mm 등이어도 좋다. 당업자(특히,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있어서의 당업자)의 통상의 인식을 감안하면, 이와 같은 두께는,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이용하는 양극으로서는 큰 것이다. 종전의 전극 두께가 약 1mm 정도인 바, 본 발명에 따른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은, 종전의 도금전극의 적어도 2배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배보다 크다고 할 수 있고, 단적으로는 종전의 전극 두께의 2배~30배, 바람직하게는 3배~20배(예를 들어, 3배~10배, 3배~8배 또는 3배~5배) 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전보다 두꺼운 전극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보면, 가공(특히, 비스용 구멍을 위한 가공)이 통상 하기 어렵다고 상기되어, 종전에서는 전해금속박의 양극전극으로서 실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었다. 이러한 점,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종래의 상식에 사로잡히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큰 전극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적합한 태양에서는, 비스(30)에 의하여 두꺼운 전극(10A)이 기체(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두꺼운 전극(10A)이 기체(20)에 전면 접촉하고 있고, 특히 그들이 서로 밀접하고 있다(도 4를 참조).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꺼운 전극(10A)은 비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바, 이러한 두꺼운 전극(10A)의 하측 주면과 기체(20)의 상측 주면이 밀접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틈없이 액밀 상태로 두꺼운 전극의 하면 주면과 기체의 상측 주면이 서로 밀접하고 있다. 이것은, 전극부재가 얇은 전극인 경우와 비교하여 현재(顯在)화할 수 있는 특징이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한다. 만일 전극부재가 두껍지 않고 얇은 전극인 경우에는, 비스에 의한 전극부재를 기체에 고정화하는 데에 있어서는, 비스 고정의 점체결에 기인하여 얇은 전극부재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휘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도 6의 "얇은 전극의 경우"를 참조). 이에 따라, 기체에 장착된 얇은 전극부재에서는, 기체와의 사이에 미소한 틈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일반적으로 도시되는 양태에서는, 비록 밀접하고 있도록 그려져 있어도, 실제로는 미소한 틈이 발생하고 있거나, 또는 발생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음). 이러한 점, 본 발명에서는,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두께에 기인하여, 전극부재에 의하여 높은 강성이 초래되어, 비스 고정의 점체결에 의하여 전극부재가 휘어지기 어려워진다(도 6의 "본 발명"을 참조). 따라서, 두꺼운 전극(10)의 하측 주면과 기체(20)의 상측 주면이 서로 접합하게 밀접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틈없이 액밀하게 그들이 밀접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을 사용하면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해지기 쉬워져, 제조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을 줄이기 쉬워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두꺼운 전극(10A)의 경우, 애초에 두꺼운 전극 두께(종전의 얇은 전극보다 두꺼운 전극)에 기인하여 통전시의 전류분포가 양호해지므로, 보다 균일한 도금이 초래될 수 있다. 더욱이는, 두꺼운 전극(10A)의 경우, 전극부재가 기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측면과 비스의 두부 측면이 서로 밀접한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도 6의 "본 발명"을 참조), 그 점에서도 통전시의 전류분포가 양호해져 균일한 도금이 달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전극부재가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인 경우, 그 두께에 기인하여, 전극 측면과 비스가 특이적인 형상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꺼운 전극(10A)의 두꺼운 측면(12)에는 비스(30)의 테이퍼 측면(35)과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굴곡 형태를 가지는 두꺼운 전극(10A)의 두께증가화에 기여하는 측면과 비스(30)의 두부의 측면이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전극부재가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들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측면과 비스의 두부 측면이 서로 밀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두꺼운 전극의 측면을 통하여 적합한 방열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주시에 있어서는 통전에 기인하여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그 승온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두꺼운 전극과, 그 측면과 밀접하는 비스를 통하여 전해조 밖으로 적합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서 사용하는 두꺼운 전극은, 도전성의 모재를 알칼리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탈지 세정한 후, 블러스트 처리 등으로 기계적인 표면 처리 또는 산이나 알칼리를 사용한 화학적인 표면 처리 혹은 기계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를 양방 조합한 표면 처리를 거쳐, 기체에 전극촉매의 도포 소성을 행한다. 이러한 전극촉매의 구성으로서는, 백금족 금속 또는 그 산화물과 밸브금속(티탄, 탄탈, 니오브, 텅스텐, 지르코늄) 및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과의 혼합산화물이 적합하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이리듐-탄탈 혼합산화물, 이리듐-탄탈-티탄 혼합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전극활물질의 피복은, 상기와 같은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 건조, 소성의 순서로 실시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고, 소정의 촉매량까지 이러한 도포에서 소성까지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불용성 양극을 얻을 수 있다. 그와 같이 얻어진 두꺼운 전극에 대하여 기계가공 또는 화학에칭 등에 의하여 비스용 구멍을 설치하고, 그러한 구멍을 통하여 비스로 두꺼운 전극을 기체에 장착함으로써,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제공하는 도금용 전극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두꺼운 전극의 도전성 모재에 대하여 기계가공 또는 화학에칭 등에 의하여 비스 구멍용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전극부재가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이 되는 경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해 두겠다.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기체(20)에 대하여 스폿페이싱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스폿페이싱 구멍(26)은 테이퍼 형상 오목부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따라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비스와 마찬가지 형태를 가지는 오목부가 기체(2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스폿페이싱 구멍'은 "기체 오목부" 또는 "테이퍼 형상 오목부" 등으로 칭할 수 있음). 이와 같이 스폿페이싱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여도,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에 기인하여, 스폿페이싱 구멍(26)은 비스(30)로 완전히 채워져 있지 않다. 즉, 어느 적합한 일례에서는, 비스 두부(32)가 전극부재(10)의 테이퍼 측면에 걸리는 것과 같은 형태로 비스(30)가 기체(20)의 스폿페이싱 구멍면(26')(스폿페이싱 구멍(26)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면(26'))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전극부재(10)가 기체(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비스(30)(특히, 비스 두부(32))와 전극부재(10)와 기체(20)로 둘러싸인 영역에 공간(28)(특히, 테이퍼 형상 스폿페이싱 구멍에 기인한 테이퍼 공간(2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시하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밀접한 비스 두부(32)와 전극부재(10)의 조합이, 스폿페이싱 구멍의 형성영역에 공간(28)(부가적으로는, 기체의 나사절삭 구멍의 영역에도 공간(29))을 남기면서 또는 제공하면서 기체(20)와 일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이어도, 바람직하게는 비스(30)의 꼭대기면과 전극부재(10)의 두께증가면(15)이 면일해져 있다. 또한, 두꺼운 전극(10A)의 두꺼운 측면(12)은 비스(30)의 테이퍼 측면(35)과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은, 그 두께가 비스에 있어서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로 되어 있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단,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1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스 두부가 전극의 테이퍼 측면에 걸리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이라면, 도 7의 하측 괄호 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꺼운 전극(10A)이 테이퍼 높이 치수 미만으로 되어 있어도 좋음. 한편, 이와 같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폿페이싱 구멍이 테이퍼 형상이라면, 비스 두부와의 간섭을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으므로 비스를 전극부재 두께에 따라 보다 하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음).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도 7의 양태에 따른 전극부재(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3~8mm 정도여도 좋다.
기체(20)에 스폿페이싱 구멍(26)이 형성된 태양에 따른 본 발명의 이점에 대하여, 얇은 전극부재의 경우와 비교하여 설명해 두겠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전극부재(11)(예를 들어, 티탄으로 이루어지는 1mm 정도 두께의 전극부재)는, 실제로는 비스 계합부에서 예각 형상으로 구부려지기 어렵게 되어 있어, 접점이 한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즉, 그와 같이 구부러진 얇은 전극부재(11)는, 비스 계합부에 있어서의 접점이 한정되는 경우가 있고(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한정되어 버릴 경우가 있고), 기체와의 접촉 관점에서는 원하는대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얇은 전극부재는, 통전시의 전류분포의 점에서 더욱 향상을 도모할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본 발명의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의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스 계합부에 있어서의 접점은 실질적으로 같아지므로, 통전시의 전류분포의 점에서 바람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더욱 말하자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태양은, 전극부재(10)와 기체(20)의 서로의 설치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스(30)(특히, 비스 두부(32))의 하방에 공간(26)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비스를 보다 하방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보다 강하게 체결할 수 있고, 두꺼운 전극(10)의 하측 주면과 기체(20)의 상측 주면을 서로 보다 강하게 밀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틈없이 액밀하게 그들은 밀접시킬 수 있다(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두꺼운 전극은, 그 두꺼운 두께에 기인하여, 전극부재에 보다 높은 강성이 초래되어 있으므로, 보다 강하게 체결하여도 전극부재 자체가 휘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음).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제조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이 감소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부피 증가를 초래하는 굴곡진 얇은 전극의 태양)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태양의 전극부재(10)는, 얇은 전극(10B)으로 되어 있고, 특히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진 얇은 전극(10B)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해진 얇은 전극(10B)이 굴곡짐으로써 전극부재가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여 있다(즉, 일정 두께의 전극부재가 굴곡져 도금용 전극의 부피가 증가하여 있다고 할 수 있음). 이러한 양태에서는, 전주(특히, 전해금속박의 제조)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얇다고 생각되는 전극 두께이지만, 그 얇은 전극이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도록 부분적으로 굴곡진 형태로 되어 있다. 얇은 전극(10B)의 두께 자체는, "박판"이므로, 3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이고, 예를 들어 1.5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이다(하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0.2mm, 0.5mm, 0.7mm 정도이어도 좋음). 이와 같이 얇은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도록 부분적으로 굴곡진 얇은 전극은, 그 최상 레벨과 최하 레벨 사이의 치수가 바람직하게는 비스의 테이퍼 높이 치수로 되어 있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진 얇은 전극의 최대 입체 두께는, 비스의 두부의 높이 치수 이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도록 일부 굴곡져 있는 것에 기인하여, 전극부재가 비스로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얇은 전극과 기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형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얇은 전극(10B)의 비굴곡부와 기체(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에 의하여 전극부재(10)의 "두께증가면"이 초래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입체적으로 전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진 얇은 전극에서는, 얇은 전극과 기체 사이의 공간이 "두께증가면"의 실현에 적합하게 기여하여, 금속박 제조의 양극와 음극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유의한 역할을 다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태양이어도 전극간 거리를 보다 줄일 수 있어, 전해조의 전압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금속박 제조시의 전력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두께증가면"이므로, 즉 얇은 전극의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굴곡 형태이므로, 비스에 의하여 전극부재가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얇은 전극의 두께(얇은 전극 자체의 두께)와 이격공간의 두께의 합이, 바람직하게는 비스에 있어서의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로 되어 있거나, 또는 그보다 커져 있다. 이것은,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굴곡 형태를 가지는 얇은 전극의 두께(얇은 전극 자체의 두께)와 이격공간의 두께의 합이 비스의 두부의 높이 치수 이상으로 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하여 굴곡진 얇은 전극의 태양에서는, 기체의 표면과 얇은 전극의 두께증가면(즉, 전극의 상측 주면)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2m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mm보다 크다. 이러한 거리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30mm, 20mm, 15mm, 10mm, 8mm 또는 5mm여도 좋다. 예시에 불과하지만 얇은 전극 자체의 두께가, 예를 들어 1mm 이하인 경우, 얇은 전극과 기체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있어서의 틈 치수(전극의 비굴곡 부분의 두께를 따른 방향의 치수)는, 1mm 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가 될 수 있다(그 상한값은, 예를 들어 29mm, 19mm, 14mm, 9mm, 7mm 또는 4mm가 될 수 있음).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서 이용되는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얇은 전극은, 예를 들어 전해금속박의 양극전극으로서 상투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얇은 두께의 전극을 외력을 이용하여 국소적인 구부림 형성 또는 국소적인 오목부 형성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와 같이 얻어진 부피가 증가한 얇은 전극에 대하여 기계가공 또는 화학에칭 등에 의하여 비스용 구멍을 형성하고(특히 국소적인 구부림부·오목부의 부분에 비스용 구멍을 형성), 그러한 구멍을 통하여 비스로 얇은 전극을 기체에 장착하면,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제공하는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비스용 구멍의 형성에 국소적인 외력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비스용 구멍의 형성시에 국소적인 구부림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굴곡진 얇은 전극의 양태는, 이격공간(40)에 스페이서(60)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도 5의 (b)를 참조). 즉, 비스(30)에 의하여 전극부재(10)가 기체(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박판전극(10B)의 비굴곡부와 기체(20) 사이의 공간(40)을 부분적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서(60)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스페이서가 형성됨으로써, 전주시에 있어서 박판전극의 부피가 증가한 형태가 경시적으로 보다 적합하게 유지되기 쉬워진다.
스페이서의 재질은, "이격공간"의 유지에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따라서, 스페이서는, 금속재, 수지재 및/또는 세라믹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이격공간"이 보다 적합하게 유지되기 쉬운 점에서 말하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예시하면, 스페이서는 속이 채워진 금속블록이어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는, 이른바 "철수세미"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도 좋고, 스페이서에 적절한 탄력특성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다. 스페이서의 재질이 금속재인 경우, 얇은 부재와 스페이서와 기체를 통과하는 방열경로가 바람직하게는 형성될 수 있고, 전주시에 전해액에서 발생하는 열을 스페이서를 통하여 전해조 밖으로 보낼 수 있다. 스페이서의 고정수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별개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화되어 있어도 좋지만, 비스에 기인하여 얇은 전극의 비굴곡부와 기체 사이에 주어진 협지력으로 스페이서가 고정화되어도 좋다.
비스에 의하여 전극부재가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굴곡진 얇은 전극은, 그 비굴곡 부분이 기체와 이격되어 있지만, 굴곡부가 기체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나타내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부피가 증가한 굴곡진 얇은 전극(10B)의 굴곡부(10B굴곡)는, 비스의 테이퍼 측면(35)과 서로 밀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체적인 부피에 기여하는 얇은 전극(10B)의 굴곡부(10B굴곡)와, 비스(30)의 두부(32)의 측면(35)이 액밀상태에서 서로 밀접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전극의 굴곡부를 통하여 적합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주시에는 통전에 기인하여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승온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데, 얇은 전극의 굴곡부, 및 그 굴곡부와 밀접한 비스를 통하여 전해조 밖으로 적합하게 열을 보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얇은 전극의 굴곡부(10B굴곡)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30)에 접하고 있는 동시에 기체(20)에도 접하고 있다. 따라서, 얇은 전극의 굴곡부는, 비스를 통하여 뿐만 아니라, 기체를 통하여도 전주시에 전해액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적합하게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면, 얇은 전극의 굴곡부는, 전기도금 방열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서는, 상술한 '두꺼운 전극의 태양' 및 '부피를 초래하는 굴곡진 얇은 전극의 태양'의 무엇인지에 상관없이, 전극부재가 개편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전극부재(10)가 복수의 개편화된 서브전극(10')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그 서브전극(10')의 각각이 기체(20)에 장착되는 형태여도 좋다(도 9를 참조). 이러한 경우, 그 서브전극(10')의 각각이 비스(30)에 의하여 기체(20)에 고정화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브전극의 양태에서는, 전극의 촉매활성이 실활 혹은 박리되거나, 또는 전극부재가 부식 혹은 손상되거나 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그 대상이 되는 서브 전극만을 교환할 수 있다. 즉, 개편화된 서브전극의 태양에서는, 도금용 전극의 보수(保守) 또는 보수(補修) 등의 점에서 편이성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전극(10')의 각각이 기체의 만곡 형상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바꿔말하면, 서브전극(10')의 각각은, 기체에 고정화하였을 때(또는 장착된 경우)에 기체 만곡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서브전극이 서로 조합되어 얻어지는 전극부재는, 전체적으로 대극의 드럼윤곽과 양극의 이격거리를 같게 유지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전극(10A)을 개편화한 서브전극(10')이 기체의 만곡형상을 따르는 형태를 가짐으로써(도 9를 참조), 비스(30)에 의하여 서브전극(10')을 기체(20)에 고정화하면, 서브전극(10)과 기체(20)를 틈없이 밀접시킬 수 있다. 하지만, 서브전극(10')의 두께가 얇은 얇은 전극(10B)에 있어서는, 서브전극(10')을 비스(30)에 의하여 기체(20)에 고정화함으로써 서브전극(10')이 기체형태에 추종 변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만곡형상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지 않아도 좋다(예를 들어, 서브전극의 각각이 비만곡 형태 또는 플랫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좋음).
<<본 발명의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본 발명의 장치는, 전해금속박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술한 도금용 전극을 적어도 가지고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해금속박의 장치는, 양극으로서 상술한 도금용 전극(100), 및 음극으로서 드럼 형상의 대극(200)을 가지고 이루어진다(도 9를 참조).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양극으로서 이용되는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와 그것이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양극의 전극부재가, 음극의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두께증가면"에 기인하여, 양극의 도금용 전극이 음극의 대극에 대하여 보다 가까워진 위치관계 또는 보다 근방의 위치관계를 가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전해조의 전압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어, 전력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양극으로서 도전성 모재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통전시에 도금용 전극 상의 전류분포가 보다 균일화되기 쉬워져, 제조되는 금속박의 불량 발생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의 전해금속박의 장치에서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격거리(양 전극의 근위면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5~2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15mm(예를 들어, 6mm~10mm 정도)로 되어 있다.
금속박의 제조시에는 전기도금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전해조를 더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해조 내에 '양극으로서 도금용 전극' 및 '음극으로서 드럼 형상의 대극'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해조의 벽(50)의 적어도 일부가 도금용 전극의 기체(20)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해조의 벽의 일부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고, 그와 같이 만곡한 벽이 도금용 전극의 기체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전해조에서는, 음극으로서 드럼 형상의 대극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음극이 회전 드럼으로서 전해조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극의 회전 드럼의 대략 하반부 이상이 전해조의 전해액(즉, 도금액)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형상의 음극 자체는, 전해금속박 제조에 상투적인 것이어도 좋다. 금속박 제조시에 있어서는, 음극의 드럼이 회전하고, 그것이 전해액에 접촉할 때에 전착이 이루어진다. 드럼의 회전에 기인하여, 전해액에 접촉한 음극 드럼의 일부가 공기중으로 노출되게 되는데, 그때에 드럼 표면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전착층이 박리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금속박을 얻을 수 있다. 금속박은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그것을 감기 위한 적당한 릴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전극으로의 급전을 위한 부스바를 더 가지고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부스바가 도금용 전극의 전극부재 및/또는 기체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부스바에 의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직류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원하는 전주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체 등은, 전해액의 공급에 이바지하는 공급구(예를 들어, 간극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공급구를 통하여, 소비되는 도금 성분을 적절히 보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보다 상세한 사항, 더욱 구체적인 태양 등 그 밖의 사항은, 상술한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태양을 설명해 왔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되는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다양한 양태가 당업자에 의하여 구현화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10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부재(10)의 고정화 또는 안정화를 위한 홈(25)이 기체(2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극부재(10)가 기체(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전극부재(10)에 있어서의 "비스 구멍의 근접부분(19)"이 삽입되는 홈(25)이 기체(2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전극부재(10)(특히, 얇은 전극(10B))의 근방부분(19)이 비스(30)와 기체(20) 사이에서 협지되게 되므로, 기체에 장착되는 전극부재의 고정화 또는 안정화가 조력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25)은, 어느 태양에서는 기체(20)에 대하여 스폿페이싱 구멍에 상당할 수 있으므로, 도 10의 (a)~(c)에 나타내는 태양은, 전극부재(10)(특히 얇은 전극(10B))의 고정화 또는 안정화에 스폿페이싱 구멍이 적합하게 이용된 태양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30)의 두부에 비테이퍼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비스(30)와 기체(20) 사이에서 협지되는 전극부재(10)(특히, 얇은 전극(10B))의 부분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즉, 도시하는 태양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스(30)와 기체(20) 사이에서 협지되는 전극부재(10)(10B)의 근방부분(19)을 증가시킬 수 있음). 따라서, 기체에 장착되는 전극부재의 고정화 또는 안정화가 이 점에서도 조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이용하는 도금용 전극으로서,
상기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와, 상기 전극부재가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재가,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을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3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께증가면에서 상기 기체와의 접촉 레벨까지의 수직 거리 치수가, 상기 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제4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의 단면시에서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윤곽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의 윤곽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고 있는 도금용 전극.
·제5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3 실시형태 또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비스의 꼭대기면과 상기 전극부재의 상기 두께증가면이 면일이 되는 도금용 전극.
·제6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는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인 도금용 전극.
·제7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화하는 강도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8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6 실시형태 또는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제9 실시형태: 상기 제6 실시형태 내지 제8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2mm보다 큰 도금용 전극.
·제10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6 실시형태 내지 제9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두꺼운 전극이 상기 기체에 밀접하고 있는 도금용 전극.
·제11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6 실시형태 내지 제10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측면은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도금용 전극.
·제12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6 실시형태 내지 제11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는 스폿페이싱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밀접한 비스 두부와 전극부재와의 조합이, 스폿페이싱 구멍의 영역에 공간을 남기면서 상기 기체와 일체화하고 있는 도금용 전극.
·제13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종속하는 상기 제3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가 얇은 전극으로서, 상기 얇은 전극이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져 있고,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얇은 전극과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14 실시형태: 상기 제1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 스페이서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15 실시형태: 상기 제13 실시형태 또는 제1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얇은 전극의 두께와 상기 이격공간의 두께와의 합이, 상기 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및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제16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1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가, 복수의 개편화된 서브전극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전극의 각각이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되는 도금용 전극.
·제17 실시형태: 상기 제16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극의 각각이 상기 기체에 고정화하였을 때에 기체 만곡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제18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17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전극이 양극이며, 상기 대극이 음극인 도금용 전극.
·제19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18 실시형태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금용 전극을 적어도 가지고 이루어지는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전극은, 전기도금이 실시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전기도금으로 금속박을 제조하는 전주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지만, 프린트 회로재 또는 이차전지의 전극집전체에 이용되는 금속박을 제조하는 전해장치의 양극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전극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전극부재
10': 개편화된 서브전극
10A: 두꺼운 전극
10B: 얇은 전극
12: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15: 두꺼운 면
20: 기체
30: 비스
40: 공간(이격공간)
35: 비스의 테이퍼 측면
60: 스페이서
100: 도금용 전극
200: 대극
H1: 두께증가면으로부터 기체와의 접촉 레벨까지의 수직 거리 치수
H2: 비스의 테이퍼 높이 치수

Claims (19)

  1. 전해금속박의 제조에 이용하는 도금용 전극으로서,
    상기 도금용 전극은, 전극부재와, 상기 전극부재가 장착되는 기체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부재가, 드럼 형상의 대극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두께증가면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께증가면에서 상기 기체와의 접촉 레벨까지의 수직 거리 치수가, 상기 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의 단면시에서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윤곽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의 윤곽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고 있는 도금용 전극.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비스의 꼭대기면과 상기 전극부재의 상기 두께증가면이 면일이 되는 도금용 전극.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는 속이 채워진 두꺼운 전극인 도금용 전극.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고정화하는 강도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또는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께가 2mm보다 큰 도금용 전극.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두꺼운 전극이 상기 기체에 밀접하고 있는 도금용 전극.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전극의 두꺼운 측면이 상기 비스의 상기 테이퍼 측면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도금용 전극.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체에는 스폿페이싱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서로 밀접한 비스 두부와 전극부재와의 조합이, 스폿페이싱 구멍의 영역에 공간을 남기면서 상기 기체와 일체화하고 있는 도금용 전극.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를 상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한 비스를 더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비스가 테이퍼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전극부재의 측면 부분 또는 상기 두께증가면이 상기 테이퍼 측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극부재가 얇은 전극으로서, 상기 얇은 전극이 부피가 증가하도록 굴곡져 있고,
    상기 전극부재가 상기 비스에 의하여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얇은 전극과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가지는 도금용 전극.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 스페이서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전극의 두께와 상기 이격공간의 두께와의 합이, 상기 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퍼 측면의 설치부분에 상당하는 테이퍼 높이 치수 및 그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도금용 전극.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가, 복수의 개편화된 서브전극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전극의 각각이 상기 기체에 상기 장착되는 도금용 전극.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극의 각각이 상기 기체에 고정화하였을 때에 기체 만곡을 따르는 형태를 가지는 도금용 전극.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용 전극이 양극이며, 상기 대극이 음극인 도금용 전극.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금용 전극을 적어도 가지고 이루어지는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KR1020180107684A 2017-09-29 2018-09-10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KR10252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1163A JP6946911B2 (ja) 2017-09-29 2017-09-29 めっき用電極および電解金属箔の製造装置
JPJP-P-2017-191163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25A true KR20190038325A (ko) 2019-04-08
KR102525857B1 KR102525857B1 (ko) 2023-04-26

Family

ID=6591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84A KR102525857B1 (ko) 2017-09-29 2018-09-10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46911B2 (ko)
KR (1) KR102525857B1 (ko)
CN (1) CN109576739B (ko)
TW (1) TWI7605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89B1 (ko) * 2023-02-07 2023-05-31 주식회사 웨스코일렉트로드 동박 제조용 양극 어셈블리
EP4361315A1 (en) 2022-10-25 2024-05-01 Wesco Electrode Co., Ltd. Method of removing lead materials to regenerate anode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558B2 (ja) * 2019-06-10 2022-01-21 日鉄工材株式会社 金属箔製造装置
CN112251780B (zh) * 2020-09-07 2021-11-05 浙江大学 一种改进的平板电沉积铜箔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758A (ja) 1992-07-31 1994-02-22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209396A (ja) 1994-12-30 1996-08-13 Ishifuku Metal Ind Co Ltd 電解用複合電極
JP2002038291A (ja) * 2001-09-03 2002-02-06 Daiso Co Ltd 金属箔製造用陽極
JP3468545B2 (ja) 1993-04-30 2003-11-17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解用電極
WO2010067754A1 (ja) 2008-12-08 2010-06-17 株式会社昭和 電解用電極
JP2013204042A (ja) * 2012-03-27 2013-10-07 Daiso Co Ltd 不溶性電極構造体、及び、不溶性電極構造体の補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219B2 (ja) * 1991-12-26 1997-11-12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金属箔連続製造装置用陽極の再活性化方法
JP2963266B2 (ja) * 1992-01-28 1999-10-18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不溶性電極構造体
JP3207973B2 (ja) * 1993-06-10 2001-09-1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電気めっき方法および電気めっき用分割型不溶性電極
JP4642120B2 (ja) * 2009-04-01 2011-03-02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電解金属箔製造装置並びに電解金属箔製造装置に用いる薄板状不溶性金属電極の製造方法及びその電解金属箔製造装置を用いて得られた電解金属箔
CN202482454U (zh) * 2012-02-07 2012-10-10 宝鸡天邦钛镍有限公司 一种用于电解铜箔生箔机的dsa整体钛阳极
CN205088315U (zh) * 2015-09-16 2016-03-16 沈阳中科惠友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加厚弧形钛阳极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758A (ja) 1992-07-31 1994-02-22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468545B2 (ja) 1993-04-30 2003-11-17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電解用電極
JPH08209396A (ja) 1994-12-30 1996-08-13 Ishifuku Metal Ind Co Ltd 電解用複合電極
JP2002038291A (ja) * 2001-09-03 2002-02-06 Daiso Co Ltd 金属箔製造用陽極
WO2010067754A1 (ja) 2008-12-08 2010-06-17 株式会社昭和 電解用電極
JP2013204042A (ja) * 2012-03-27 2013-10-07 Daiso Co Ltd 不溶性電極構造体、及び、不溶性電極構造体の補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1315A1 (en) 2022-10-25 2024-05-01 Wesco Electrode Co., Ltd. Method of removing lead materials to regenerate anode for manufacturing copper foil
KR102538289B1 (ko) * 2023-02-07 2023-05-31 주식회사 웨스코일렉트로드 동박 제조용 양극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76739B (zh) 2022-09-27
TW201920779A (zh) 2019-06-01
JP2019065339A (ja) 2019-04-25
KR102525857B1 (ko) 2023-04-26
JP6946911B2 (ja) 2021-10-13
CN109576739A (zh) 2019-04-05
TWI760564B (zh)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325A (ko) 도금용 전극 및 전해금속박의 제조장치
KR100391839B1 (ko) 전해용복합전극
JP2963266B2 (ja) 不溶性電極構造体
JP5414257B2 (ja) 電解用電極
US5135633A (en) Electrode arrangement for electrolytic processes
KR102500973B1 (ko) 전극구조체
TWI785154B (zh) 金屬箔製造裝置及電極板安裝體
TW201510285A (zh) 電解金屬箔的連續製造方法及電解金屬箔連續製造裝置
KR102548837B1 (ko) 전해동박 제조를 위한 불용성 양극어셈블리
CN215440740U (zh) 不溶性阳极及脉冲电镀设备
US5626730A (en) Electrode structure
JP2002004095A (ja) 不溶性陽極及びその給電方法
JP2002038291A (ja) 金属箔製造用陽極
JP2022536258A (ja) 電気化学的プロセス用の電極アセンブリ
CN110528054B (zh) 一种pcb板不停槽电沉积镍的装置和方法
JP3468545B2 (ja) 電解用電極
KR100516484B1 (ko) 다수의 전원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장치 및 그를 이용한도금방법
JP3028969U (ja) 電極構造体
KR20070093797A (ko) 광폭 방향의 중량편차 저감을 위한 금속박막 제박기
KR100727270B1 (ko) 인쇄 회로 기판 제작을 위한 도금 전극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해 도금 장치
CN215925131U (zh) 用于镀膜机的钛蓝、钛蓝组件及镀膜机
JP2004315937A (ja) 金属箔製造用不溶性電極
CN113106527A (zh) 不溶性阳极及脉冲电镀设备
GB2291070A (en) Fixing electrode to electrode substrate by welding metal filled in a plurality of holes in the electrode to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JPH11200098A (ja) 電気錫メッ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