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98A -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98A
KR20190037498A KR1020170126917A KR20170126917A KR20190037498A KR 20190037498 A KR20190037498 A KR 20190037498A KR 1020170126917 A KR1020170126917 A KR 1020170126917A KR 20170126917 A KR20170126917 A KR 20170126917A KR 20190037498 A KR20190037498 A KR 2019003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rface
panel
bracket
side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379B1 (ko
Inventor
김오성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7012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 B65D7/2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of skeleton or like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formed of wire mesh, of interconnected bands, bars, or rods, or of perforated sheet metal made of wire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절첩식 상자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브라켓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2측면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단 적재시 상자의 흔들림 없이 좌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Folding type box and bracket for a folding type box}
본 발명은 브라켓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2측면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철재 상자는 각종 제품들을 보관 또는 운반시에 사용하는 상자로서 철재로 제작하여 고하중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재 상자의 실시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9768호('절첩식 와이어 메시형 컨테이너', 2013.10.30)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 상자는 지지부재(23)가 와이어를 절곡한 형태로 되어 있어 측면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며, 잦은 절첩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지지부재(23)는 단순히 다단 적재시 상부의 받침부재(25)가 안착되는 기능만 하므로 측면 패널의 하단 힌지축의 장착을 위한 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측면 패널의 하단 힌지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힌지축이 이탈되거나 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2측면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브라켓으로 일체화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다단 적재시 상자의 흔들림 없이 좌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상부에 적재되는 절첩식 상자는 하부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적재될 수 있어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상자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은, 상자의 제1측면 패널 외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자의 제2측면 패널 외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에는, 상단에 제1측면핀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일직선상에 일직선상을 따라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제2측면핀이 관통할 수 있으며, 상단으로부터 측면까지 이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측면핀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에는, 상단에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절첩식 상자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에는,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일직선상에 일직선상을 따라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으로부터 측면까지 이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측면핀과,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제2측면핀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측면핀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에는, 상단에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는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브라켓의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에 각각 돌출면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켓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공에 삽입되어 브라켓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2측면핀 보다 제1지지면에 형성된 돌출면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 돌출면이 장공에 삽입된 제2측면핀의 풀림을 방지하고, 제2측면핀을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브라켓은,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측면핀과, 단측면 패널을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측면핀이 각각 조립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다단 적재시 상부에 위치한 지지대가 안착되는 기능을 하므로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브라켓에 일체화함으로써, 제조 공정비용을 줄이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절첩식 상자의 다단 적재시 브라켓의 함몰부에 지지대의 안착부가 안착됨으로써, 적재시 상자의 흔들림 없이 좌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부에 적재되는 절첩식 상자는 하부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적재될 수 있어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상자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절첩식 상자가 절첩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장측면 패널 하단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장측면 패널 상단 모서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일측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도 5의 절첩식 상자가 다단 적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제1측면 패널과 제2측면 패널이 절첩되어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완전히 눕혀지는 상자이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절첩식 상자를 철재 메쉬 컨테이너(mesh container)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0)과 제1측면 패널(200)과 제2측면 패널(300)과 브라켓(4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패널(100)은 정사각형 형태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긴 양변을 따라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200)이 되고, 제2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짧은 양변을 따라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300)이 된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제1측면 패널을 장측면 패널(200)로, 제2측면 패널을 단측면 패널(300)로 각각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패널(100)과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은 철제 메쉬(mesh)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 패널(1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패널(100)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 파이프(11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파이프(110)는 양측의 장측면 패널(200)과 양측의 단측면 패널(300)을 각각 가로지르며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강 파이프(110)는 사각 파이프 형상이나, 보강 파이프(110)의 형상 및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단측면 패널(300)이 배치되는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7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71)와 안착부(173)를 포함한다.
연장부(171)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서,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단측면 패널(300)이 배치되는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 양측 모서리보다 내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에 네 개의 지지대(170)가 마련되어 있다.
안착부(173)는 연장부(171)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하방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장측면 패널(200)이 배치된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173)는 '디귿자' 형상이고, 연장부(171)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부(173)의 일측과 연장부(171)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절곡된 절곡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장측면 패널(20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상면(210)과 하면(250)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면(210)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락킹수단(22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락킹수단(2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21)와 핀부(222)와 손잡이부(223)를 포함한다.
핀부(222)는 상면(210)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면(210) 상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회전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따라서, 핀부(222)는 상면(21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이러한 핀부(222)는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어 상면(210)의 외측 상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21)는 지지대(221a)와 고정대(221b)를 포함하며, 하나의
지지대(221a)는 핀부(222)의 외측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고정대(221b)는 지지대(221a)를 상면(210)에 고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대(221a)와 고정대(221b)는 하나의 선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즉, 지지대(221a)는 상면(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대(221b)는 지지대(221a)의 끝단으로부터 핀부(2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되다가 핀부(222)의 상측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시 핀부(2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곡되며, 고정대(221b)의 끝단에서 상면(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대(221a)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221)에 의해 핀부(222)는 상면(210) 상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회전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핀부(222)의 외측에는 핀부(222)를 회전 또는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손잡이부(223)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223)는 지지부(221)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킹수단(220)의 핀부(222)는 상면(210)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하며, 돌출된 핀부(222)는 하기에서 설명할 단측면 패널(300)에 형성된 락킹홀(351)에 수용되며,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한편, 상면(210)과 하면(2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면(210)의 하단과 하면(250)의 상단이 코일 형태의 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상면(210)의 하단과 하면(250)의 상단의 양측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클립부(245)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하면(250)의 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코일 형태의 연결부(27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베이스 패널(100)과 하면(250) 사이에는 유격이 있으므로 베이스 패널(100)로부터 절첩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하면(250)의 상단 양측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안착홈부(330)에 안착되는 제3측면핀(28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기립된 상태의 상면(2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회전하여 하면(25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기립된 상태의 하면(250)은 내측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단측면 패널(300)은 하기에서 설명할 브라켓(400)에 제2측면핀(320)으로 연결되어 있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0)로부터 절첩 가능함과 동시에 상부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2측면핀(320)은,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핀(321)과 제2핀(3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기에서 설명할 브라켓(400)에 형성된 장공(415)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제1핀(321)과, 장공(415)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핀(3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핀(321)은 단측면 패널(3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브라켓(400)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제2핀(323)은 단측면 패널(300)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브라켓(400)의 장공(415)을 관통하여 브라켓(400)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측면핀(31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면핀(3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측면핀(310)은 하기에서 설명할 브라켓(400)에 형성된 안착홈(413)에 안착된다.
단측면 패널(300)의 중간부분 양측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의 제3측면핀(280)이 안착되는 안착홈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안착홈부(330)는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 안착홈부(330) 내에 장측면 패널(200)의 하면(250)에 마련된 제3측면핀(280)이 안착될 수 있다.
단측면 패널(300)의 상단 양측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부(222)가 수용될 수 있는 락킹홀(35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측면 패널(300)의 상단 양측에 보강부(350)가 마련되어 있다. 보강부(350)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측으로 단측면 패널(300)의 상단 가장자리가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300)의 내측면 측으로 배치되는 보강부(350) 보다, 단측면 패널(300)의 외측면 측으로 배치되는 보강부(350)의 가로 길이가 더 길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300)의 내측면 측으로 배치되는 보강부(350)에는 락킹홀(3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락킹홀(35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41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킹홀(351)에는 장측면 패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부(222)가 수용될 수 있다.
단측면 패널(300)의 상단 양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370)가 마련되어 있다. 고리부(370)는 단측면 패널(30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손가락 등을 걸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리부(370)에 손가락을 걸면, 단측면 패널(300)을 상부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브라켓(40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면(410)과 제2지지면(450)을 포함하며, 제1지지면(410)과 제2지지면(450)에 의해 장측면 패널(200) 및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 모서리 외측이 각각 지지된다.
제1지지면(4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의 하단 모서리 외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1지지면(410)의 상단에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홈(413)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300)의 하단에 마련된 제1측면핀(310)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413)의 양측벽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안착홈(413)의 양측벽 중 제2지지면(450)이 연장된 측에 배치된 측의 측벽보다 나머지 측의 측벽의 높이가 더 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높이가 더 낮도록 형성된 안착홈(413)의 측벽으로부터 경사면(417)이 이어져 있다. 즉, 경사면(417)은 제1지지면(410)의 상단으로부터 측면까지 이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안착홈(413)과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면(417)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면(410)의 상단 즉, 안착홈(413)으로부터 이어지는 제1경사면(417a)과, 제1경사면(417a)으로부터 제1지지면(410)의 측면까지 이어지는 제2경사면(417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지지면(410)의 측면과 제1경사면(417a)이 이루는 각도는, 제1지지면(410)의 측면과 제2경사면(417b)이 이루는 각도보다 더 크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417)은 보다 급하게 경사진 제1경사면(417a)과, 보다 완만하게 경사진 제2경사면(417b)에 의해 2단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안착홈(413)에 안착된 제1측면핀(310)은 안착홈(413)으로부터 이탈하여 경사진 경사면(417)을 따라 가이드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면(410)에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413)의 일직선상에 일직선상을 따라 길게 장공(4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공(415)은 제1지지면(410)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제1지지면(410)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4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면(410)에 형성된 돌출면(411)은 제1돌출면(411a)과 제2돌출면(41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돌출면(411a)은 장공(415)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지지면(410)의 중간 부분부터 하단까지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돌출면(411b)은 제1지지면(41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1지지면(410)의 일측면 중간 부분부터 하단까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2돌출면(411b)은 장공(41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1돌출면(411a)과 제2돌출면(411b)에 의해 돌출면(411)은 '니은자' 형상을 이룬다.
제2지지면(45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면(41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지지면(410)과 제2지지면(450)에 의해 브라켓(400)은 '기역자' 형상을 이룬다. 제2지지면(4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의 하단 모서리 외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지지면(45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4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면(450)에 형성된 돌출면(451)은 제2지지면(45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지지면(450)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4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함몰부(453)는 제2지지면(450)의 상단 중간 부분부터, 제2지지면(450)의 양측 중 제1지지면(410)과 인접하게 배치된 측의 반대 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함몰부(453)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0)의 하단에 마련된 지지대(17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400)의 제1지지면(410)과 제2지지면(450)에 각각 돌출면(411, 451)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켓(40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415)에 삽입되어 브라켓(4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2측면핀(320) 보다 제1지지면(410)에 형성된 돌출면(411)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어, 돌출면(411)이 장공(415)에 삽입된 제2측면핀(320)의 풀림을 방지하고, 제2측면핀(320)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절첩식 상자의 장측면 패널(200)의 외측에 다른 절첩식 상자를 놓았을 때 제2측면핀(320)을 보호할 수 있으며, 돌출면(411)은 제1돌출면(411a)과 제2돌출면(411b)에 의해 '니은자' 형상을 이루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어, 절첩식 상자가 조금 옆으로 이동하여 비스듬하게 놓이거나 작업자가 아주 정확하게 절첩식 상자를 정렬하지 않아도 돌출면(411)과 제2측면핀(320)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나아가, 브라켓(400)은, 힌지축 역할을 하는 제2측면핀(320)과, 단측면 패널(300)을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측면핀(310)이 각각 조립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다단 적재시 상부에 위치한 지지대(170)가 안착되는 기능을 하므로 두 개의 부품을 하나의 브라켓에 일체화함으로써, 제조 공정비용을 줄이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접식 상자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이 베이스 패널(100)에 대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절첩식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 장측면 패널(200)과 단측면 패널(300)을 절첩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200)의 상면(210)을 하면(250)의 외측면 측으로 절첩한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210)에 마련된 락킹수단(220)의 핀부(222)를 회전시킨 다음, 단측면 패널(300)에 형성된 락킹홀(351)에 수용되어 있던 핀부(222)의 끝단을 락킹홀(35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면(210)을 하면(250)의 외측면 측으로 절첩한다.
그런 다음, 하면(25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부(330)에 안착되는 제3측면핀(280)이 안착홈부(330)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로써, 도 3과 같이 하면(250)은 내측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즉,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는 장측면 패널(200)의 하면(250)과 상면(210)이 차례로 포개진 상태로 놓여진다.
마지막으로, 기립된 상태의 단측면 패널(300)을 절첩하기 위하여 단측면 패널(30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400)의 장공(415)에 삽입된 제2측면핀(320)은 장공(415)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안착홈(413)에 안착되어 있던 제1측면핀(310)은 안착홈(413)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단측면 패널(300)을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측면핀(310)은 브라켓(400)의 경사면(417)을 따라 가이드되며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단측면 패널(300)이 도 5와 같이 절첩된다. 즉, 베이스 패널(100)의 상면에 놓여진 장측면 패널(200)의 상면에 단측면 패널(300)이 놓여진다.
도 5와 같이 절첩된 상태의 절첩식 상자는,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다단으로 적재 가능하다.
이렇게, 다수의 절첩식 상자 적재시 상부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의 지지대(170) 안착부(173)가, 하부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400)에 형성된 함몰부(453)에 안착된다.
이렇게, 절첩식 상자의 다단 적재시 브라켓(400)의 함몰부(453)에 지지대(170)의 안착부(173)가 안착됨으로써, 적재시 상자의 흔들림 없이 좌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부에 적재되는 절첩식 상자는 하부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적재될 수 있어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상자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패널 170 : 지지대
200 : 장측면 패널 300 : 단측면 패널
310 : 제1측면핀 320 : 제2측면핀
400 : 브라켓 410 : 제1지지면
411 : 돌출면 413 : 안착홈
415 : 장공 417: 경사면
450 : 제2지지면 451 : 돌출면
453 : 함몰부

Claims (6)

  1. 상자의 제1측면 패널 외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자의 제2측면 패널 외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에는,
    상단에 제1측면핀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일직선상에 일직선상을 따라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제2측면핀이 관통할 수 있으며,
    상단으로부터 측면까지 이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측면핀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에는,
    상단에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4.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
    상기 제1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 패널의 하단 외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에는,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의 일직선상에 일직선상을 따라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으로부터 측면까지 이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과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측면핀과,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제2측면핀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측면핀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면에는, 상단에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이 배치된 상기 베이스 패널의 하단에는, 상기 함몰부에 안착되는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1020170126917A 2017-09-29 2017-09-29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KR10201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17A KR102015379B1 (ko) 2017-09-29 2017-09-29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17A KR102015379B1 (ko) 2017-09-29 2017-09-29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98A true KR20190037498A (ko) 2019-04-08
KR102015379B1 KR102015379B1 (ko) 2019-08-28

Family

ID=6616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17A KR102015379B1 (ko) 2017-09-29 2017-09-29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3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619A (ko) * 2004-08-02 2004-09-04 박혜경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DE102005019899A1 (de) * 2005-04-29 2006-11-02 Jürgens, Walter, Dr.-Ing. Zusammenklappbare Transportbehälter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619A (ko) * 2004-08-02 2004-09-04 박혜경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DE102005019899A1 (de) * 2005-04-29 2006-11-02 Jürgens, Walter, Dr.-Ing. Zusammenklappbare Transportbehälter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379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157B2 (en) Stillage for transport and display of articles
US9415898B2 (en) Bulk container with angled side wall to base installation
US8317150B2 (en) Truncated pyramid shaped shipping base
US20170137212A1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US8056723B2 (en) Collapsible container
WO2016115937A1 (zh) 拼接式多功能塑料托盘
JP200200269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の積載構造
US20100065558A1 (en) Collapsible crate with multiple position support
CN102826274B (zh) 周转箱及其折叠使用方法
EP1295800A1 (en) Shipping base for appliances
JP6791503B2 (ja) 折畳み容器
KR20190037498A (ko) 절첩식 상자 및 절첩식 상자의 브라켓
US7347340B2 (en) Folding container
JP7220496B1 (ja) 組立式物品棚
US7066332B2 (en) Foldable accommodating box
JP431768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508126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TWI663103B (zh) 包裝箱的連接層結構
JP6813305B2 (ja) 搬送用パレット
JP5442651B2 (ja) 箱型容器
JP4866172B2 (ja) 運搬用容器
TWM631300U (zh) 置物箱本體及具有該置物箱本體的置物箱
TWM588664U (zh) 置物籃堆疊構造
JP3250167B2 (ja) 容 器
JP4499869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