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869A -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 Google Patents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869A
KR20190035869A KR1020197006623A KR20197006623A KR20190035869A KR 20190035869 A KR20190035869 A KR 20190035869A KR 1020197006623 A KR1020197006623 A KR 1020197006623A KR 20197006623 A KR20197006623 A KR 20197006623A KR 20190035869 A KR20190035869 A KR 2019003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using
unit
actua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244B1 (ko
Inventor
랄프 한센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의 로킹 해제를 위한 로킹 해제 유닛(100)에 관한 것이다. 이 유닛은 스위치 유닛(13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과, 스위치 유닛(130)에 대해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1, 2)로 선회될 수 있는, 하우징(110)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유닛(130)은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a), b)]에 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로킹 해제 유닛(100)의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에는 정지 위치(0)로부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스위치 각도(α, ß)에 따라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할당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본 발명은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 특히 차량의 트렁크 덮개의 로킹 해제를 위한 로킹 해제 유닛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유닛과, 스위치 유닛에 대해 비-작동 정지 위치로부터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로 선회될 수 있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공개 공보 DE 10 2013 013 176 A1호로부터, 정지 상태로부터 개방된 활성화 상태로 선회될 수 있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의 폐쇄 요소를 개방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폐쇄 요소는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일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는 다양한 활성화 상태로 선회될 수 있고, 스위치 유닛은 복수의 스위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며, 여기서 스위치 단계에는 각각 작동 요소의 활성화 상태가 할당된다. 작동 요소는 각각의 활성화 상태에서 다른 각도 상태로 선회된다. 이 경우, 스위치 유닛은 복수의 스위치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위치 단계는 각각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활성화 상태에 대응한다. 언급된 공개 공보 DE 10 2013 013 176 A1호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 단계를 통해, 다양한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지 손으로 수동 개방하기 위한 폐쇄 요소의 로킹 해제 또는 폐쇄 요소의 자동 개방이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활성화 상태는 작동 요소의 다양한 선회 상태를 통해 생성되며, 여기서 작동 요소는 각각의 활성화 상태에서 다른 각도 상태로 선회된다.
폐쇄 요소, 특히 트렁크 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다양한 활성화 상태로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는 다른 맥락으로도 공지되어 있다.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는 로킹 해제 유닛의 스위치에서, 스위치가 위치 고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 부분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선회 각도에 따라 스위치 포인트를 생성한다. 하우징 부분 및 작동 요소는 조립 상태에서 예를 들어 폐쇄 요소, 특히 트렁크 덮개의 로킹 해제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장치를 형성한다. - 제1 조립 부품으로서 - 이미 하우징에 통합된 스위치와 하우징 부분의 조립체 및 - 제2 조립 부품으로서 - 이미 통합된 작동 부재와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조립체가 로킹 해제 유닛의 조립 상태로 간주된다. 즉, 2개의 조립 부품은 폐쇄 요소, 특히 트렁크 덮개의 로킹 해제 유닛을 형성하고, 조립 상태에서 트렁크 덮개에 설치된다.
실제로 다양한 차량에서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그러나 이미 설명된 공개 공보 DE 10 2013 013 176 A1호에서와 같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선회 각도에 의존하지 않고 생성될 수 있는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가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는 종래의 로킹 해제 유닛에서 스위치 포인트는 스위치가 위치 고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 부분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선회 각도에 따라 결정되지 않고, 작동 부재가 작동 요소에 상이한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구별되는 상이한 작동 요소가 제2 조립 부품으로 사용되고, 이에 의해 변하지 않는 작동 요소의 설치 시 스위치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작동 부재를 통해 구별되는 작동 요소의 동일한 선회 각도에서 하우징 부분 내에 통합된 스위치 상에서 하우징 부분에 대해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가 생성된다. 작동 요소 상의 작동 부재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하우징 부분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상이한 선회 각도 시에도 또한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가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단점을 요약하자면, 요구되는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상이한 차량에 대한 조립 라인에서 상이한 작동 요소가 제2 조립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유지되며, 따라서 실수 없이 항상 구조적으로 사용되는 제1 조립 부품이 하우징 부분에 할당되어,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로킹 해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발점은 차량의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의 로킹 해제를 위한 로킹 해제 유닛으로서,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스위치 유닛에 대해 비-작동 정지 위치로부터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로 선회될 수 있는, 하우징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로킹 해제 유닛의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에는 정지 위치로부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스위치 각도에 따라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할당될 수 있다.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는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이다. 로킹 해제 유닛은 트렁크 덮개 내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차량의 다른 구조 부품 내에 배치되어 트렁크 덮개의 로킹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는 임의의 덮개 유형일 수 있으며, 여기서 로킹 해제 유닛은 덮개의 로킹 해제를 위해 덮개 자체에 또는 다른 구조 부품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단일 스위치 유닛에 의해, 로킹 해제 유닛에서 스위치 유닛의 상이한 배치를 통해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로킹 해제 유닛은 차량 측에서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요구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각각의 차량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가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로킹 해제 유닛이 사용되기 전후에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이한 차량에 대해 서로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상이한 로킹 해제 유닛이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이제 단일 로킹 해제 유닛으로 대체되고, 이에 의해 부품 복잡성이 유리한 방식으로 감소한다.
로킹 해제 유닛의 스위치 유닛은, 로킹 해제 유닛의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유지 요소 내에 고정적으로 통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스위치 유닛이 유지 요소 내에 보호되어 배치되는 이점을 가지며, 또한 유지 요소 내에서의 스위치 유닛의 수용부의 간단한 조정을 통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스위치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유지 요소의 조정은 유리하게는 상이한 스위치 유닛에 따라 필요하지 않다.
또한, 로킹 해제 유닛의 하우징은 로킹 해제 유닛의 조립 상태에서 적어도 통합된 스위치 유닛에 의해 또는 유지 유닛 및 통합된 스위치 유닛에 의해 관통되는 수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위치 유닛은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비-작동 정지 위치에서 스위치 유닛이 적어도 2개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의 사전 설정 가능한 거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작동 요소에 대한 스위치 유닛의 조정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스위치 유닛이 수용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그 후 스위치 유닛이, 본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요소 내의 사전 설정 가능한 위치에 래칭되거나 또는 클리핑됨으로써, 유지 요소 내에서 스위치 유닛의 정밀한 조정이 구현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차체측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하우징의 내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지 요소에는 대응하는 가이드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요소는, 마찬가지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의 두 위치 모두에서 하우징의 각각 배치된 위치 설정 리세스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편으로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비-작동 정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스위치 유닛이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작동 시 제1 스위치 각도만큼 제1 작동 위치로 극복되는 제1 거리가 스위치 유닛과 작동 부재 사이에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동 부재와 스위치 유닛 사이에 제1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비-작동 정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스위치 유닛이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작동 시 제2 스위치 각도만큼 제2 작동 위치로 극복되는 제2 거리가 스위치 유닛과 작동 부재 사이에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동 부재와 스위치 유닛 사이에 제2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통합된 스위치 유닛을 갖는 유지 요소는 하우징의 수용 개구 내에서 하우징에 대해 변위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적은 노력으로 구현될 수 있고 특히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유리한 해결 방안이 제공되는데, 왜냐하면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유지 요소의 단지 하나의 공간적 변위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 및 스위치 유닛은 제1 사전 생산된 조립 부품으로서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식으로 존재하고,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 및 작동 부재는 제2 사전 생산된 조립 부품으로서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식으로 존재하며, 이들은 로킹 해제 유닛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되며, 작동 요소는 하우징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지 요소는 하우징의 수용 개구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이를 통해, 작업자가 조립 라인에서 단지 사전 생산된 조립 부품을 로킹 해제 유닛을 형성하도록 조립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적어도 배치된 유지 요소의 영역에서 원호 형상의 섹션을 포함하여, 하우징에 배치된 유지 요소는 통합된 스위치 유닛과 함께 하우징에 대해 원호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제공되며, 원호의 반경은 하우징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의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그 정지 위치에서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의 스위치 표면의 거리는 통합된 스위치 유닛을 갖는 유지 요소의 변위 경로에 따라 변위 경로가 작을 때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의 스위치 표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거리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 달성되는데, 왜냐하면 유지 요소의 원호 상에서의 이동은 기하학적으로 통합된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요소가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의 스위치 표면에 대해 보다 신속하게 접근하는 것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해제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로킹 해제 유닛의 스위치 유닛은 로킹 해제 유닛의 작동 요소에 대해 초기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 요소는 정지 위치에 배치된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로킹 해제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스위치 유닛은 로킹 해제 유닛의 작동 요소에 대해 초기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 요소는 제1 작동 위치에 배치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해제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로킹 해제 유닛의 스위치 유닛은 로킹 해제 유닛의 작동 요소에 대해 후기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 요소는 정지 위치에 배치된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로킹 해제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스위치 유닛은 작동 요소에 대해 후기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 요소는 제2 작동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은 로킹 해제 유닛의 하우징의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작동 요소의 시선 방향의 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본 로킹 해제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작동 요소의 선회 축의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작동 요소의 작동 부재 상에서 측방향으로 바라본 로킹 해제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각각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서 스위치 유닛의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로킹 해제 유닛의 상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각각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에서 스위치 유닛의 위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로킹 해제 유닛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의 설명을 위해, "-x"("마이너스 x")는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방향을 나타내며, "+x"("플러스 x")는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고, "y"는 x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평인 방향을 나타내고, "z"는 x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데카르트 좌표의 공간 방향 지정은 자동차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 시스템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 부품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 도면에서 이미 제시된 모든 부품은 참조 번호에 기초하여 다시 새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품의 이하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a 내지 도 2b 그리고 도 3을 개요로서 살펴볼 것이 권장된다.
도면은 도 1a 내지 도 2b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구조 요소(200) 내에 배치된 로킹 해제 유닛(100)을 도시한다.
구조 요소는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이다. 로킹 해제 유닛(100)은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 로킹 해제 유닛이다.
로킹 해제 유닛(100)은 구조 요소(200)와 고정적으로 연결(V)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 내에는 하우징(110)에 대해 Y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작동 요소(120)는 구조 요소(200)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핸들 덮개라고도 지칭되는 작동 요소(120)의 하단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작동 요소(120)의 비-작동 정지 위치(0)에서 결합 갭(E)이 제공된다. 로킹 해제 유닛(100)의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F)을 결합 갭(E)에 결합시킬 수 있고, 작동 요소(120)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특히 선회 축(Y)을 중심으로 복수의 작동 위치(1, 2) 중 하나로 선회시킬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더 논의될 것이다.
작동 요소(120)는 외부 윤곽을 포함하는 작동 부재(120-1)를 포함하며, 외부 윤곽의 부분 표면은 복수의 작동 위치의 각각의 작동 위치(1, 2)에서 스위치 유닛(130)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에 충돌하는 스위치 표면(120-11)을 형성한다. 작동 요소(120)의 작동 부재(120-1)는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캠이다.
이미 통합된 작동 부재(120-1)를 갖는 작동 요소(120)는 제2 조립 부품으로서 사전 생산되어 제공되고, 하우징(110) 내에 선회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작동 요소(120)의 핸들 덮개에 대해 통합된 작동 부재(120-1), 특히 스위치 캠의 위치는 제2 조립 부품의 조립 후에 더 이상 변경될 수 없다.
스위치 캠은 실질적으로 작동 요소(120)의 종방향 중심 축(X) 상에 배치되고, 종방향 중심 축(X)은 종방향 중심 축(X)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하는 작동 요소(120)의 선회 축(Y)을 가로지른다.
작동 요소(120)의 종방향 중심 축(X)의 연장부에 하우징(110)이 배치되므로, 작동 요소(120)의 종방향 중심 축(X)은 또한 실질적으로 하우징(110)의 종방향 중심 축(X)이다.
실질적으로 하우징(110)의 종방향 중심 축(X) 상에서 하우징(110) 내에는, 조립 상태에서 스위치(130)에 의해 관통되는 하우징 개구가 형성된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는 조립 상태에서 위치 고정적으로 유지 요소(140) 내에 배치되고, 특히 클리핑된다. 유지 요소(140) 및 스위치 유닛은 조립 후에 제1 조립 부품을 형성하며, 유지 요소(140)에 대한 스위치 유닛(130)의 위치는 조립 후에 더 이상 변경될 수 없다.
유지 요소(140)는 수용 개구(110-1)에서 (도 3 내지 도 5 참조) 하우징(110)의 연결 링크와 유사하게 안내되는 연결 링크 형상의 가이드 요소(140-1)를 자체측에서 포함하므로(도 3 내지 도 5 참조), 유지 요소(140)가 하우징(11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도 또한 하우징(11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내지 도 2b의 양방향 화살표(P)는 스위치 유닛(130)의 통합된 스위치를 갖는 유지 요소(140)의 변위 가능성에 관련된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유지 요소(140)의 영역에서 반원 형상의 내부 윤곽을 포함하며, 유지 요소(140)는 유지 요소(140)의 반원 형상의 내부 윤곽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외부 윤곽을 포함하므로, 유지 요소(140) 및 이에 따라 스위치 유닛(130)의 통합된 스위치는 도 1a 내지 도 2b의 원형 경로 상에서 +/- z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스위치 유닛(130)의 이미 통합된 스위치를 갖는 유지 요소(140)는 제1 조립 부품으로서 사전 생산되고, 하우징(110) 내에 양방향 화살표(P)를 따라 가역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스위치 유닛(130)의 통합된 스위치를 갖는 유지 요소(140)의 위치는 로킹 해제 유닛(100)의 조립 후에 하우징(110)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작동 요소(120)의 스위치 캠에 대해 가변적이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는 작동 요소(120)가 비-작동 정지 위치(0)에 배치된 경우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에서 - 도 1a 참조 -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의 스위치 표면(120-1)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즉,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와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 사이의 제1 거리는 작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에서, 유지 요소(140)는 하우징(110)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형성하여, 유지 요소(140)의 원형 경로를 따른 변위는 양방향 화살표(P)를 따라 +z 방향으로(도 1a, 도 1b에서 상향으로), 유지 요소(140)가 상부 정지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부분에 충돌할 때까지 수행되고, 이에 의해 제1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는 정확하고 오류 없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a와 도 2a의 비교를 통해, 도 2a에 따른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는 작동 요소(120)가 비-작동 정지 위치(0)에 배치된 경우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서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의 스위치 표면(120-11)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즉,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와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 사이의 제2 거리는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가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에 있을 때의 제1 거리보다 크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서, 유지 요소(140)는 하우징(110)에 대해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형성하므로, 유지 요소(140)의 원형 경로를 따른 변위는 양방향 화살표(P)를 따라 -z 방향으로(도 2a, 도 2b에서 하향으로), 유지 요소(140)가 하부 정지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부분에 충돌할 때까지 수행되고, 이에 의해 제2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는 정확하게 그리고 오류 없이 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의 금속 캠 스위치이다.
로킹 해제 유닛(100)의 설명된 구성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기능이 생성된다: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가 도 1a, 도 1b에서 참조되는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에 위치하는지 또는 도 2a, 도 2b에서 참조되는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초기에 또는 후기에 도달된다.
도 1a에 따르면,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와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 사이의 제1 거리가 작으므로, 결합 갭(E) 내에 사용자의 손가락(F)의 결합을 통한 작동 요소(120)의 작동에 의해 (도 1b 참조) 선회 축(Y)을 중심으로 작동 요소(120)의 제1 선회 각도(α)를 설정한 후에 이미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의 스위치 표면(120-11)과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스위치의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로부터 시작하여 제1 스위치 각도는 α = 10°이다. 작동 요소(120)는 도 1b에 따르면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시작하여 α = 10°만큼 작동 요소(120)의 작동이 실행된 후에 제1 작동 위치(1)에 위치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결합 갭(E)에 결합하지 않고, 작동 요소(120)의 상부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작동 요소(120) 상으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압함으로써 작동이 또한 수행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이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조작 압력이 가해져야 하므로, 결합 갭(E)으로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인장력이 보다 편안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를 통해, 초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포함하는 로킹 해제 유닛(100)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는 작동 요소(120)의 작은 작동 이동을 통해 이미 스위치 포인트가 도달되는 편안한 조작과 관련된다. 도달된 초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에 따라, 대응하는 작동이 원하는 대로 시작되고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의 로킹 해제 메커니즘이 트리거링될 수 있으므로, 트렁크 덮개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된다.
도 2a에 따르면,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와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 사이의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크므로, 결합 갭(E) 내로의 사용자의 손가락(F)의 결합을 통한 작동 요소(120)의 작동에 의해 (도 2b 참조) 선회 축(Y)을 중심으로 작동 요소(120)의 제2 선회 각도(ß)를 설정한 후에만 스위치 캠(120-1)의 외부 윤곽의 스위치 표면(120-11)과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의 능동 스위치 요소(130-1)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스위치의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로부터 시작하여 제2 스위치 각도(ß) = 27.5°이다. 작동 요소(120)는 도 2b에 따르면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시작하여 ß = 27.5°만큼 작동 요소의 작동이 실행된 후에 제2 작동 위치(2)에서 위치된다.
이를 통해, 후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포함하는 로킹 해제 유닛(100)이 구현될 수 있다. 후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는 탑승자 공간과 분리되는 트렁크를 갖지 않는 차량에서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충돌의 경우,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선회 축(Y)을 중심으로 한 작동 요소(120)의 선회 이동이 후기에만 또는 후기에, 즉 큰 제2 스위치 각도 또는 제1 스위치 각도(α)에 비해 더 큰 제2 스위치 각도(ß)의 경우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도달된 후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통해, 초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와 유사하게 원하는 대로 대응하는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렁크 덮개의 로킹 해제 메커니즘은 후기에, 즉 후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에 도달한 후에만 트리거링될 수 있어, 트렁크 덮개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된다.
설명된 정지부들 사이에서 하우징(110)에 대해 유지 요소(140)의 조절 범위 내에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은 가변적이고, 스위치 각도의 각도 표시(α, ß)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 3은 로킹 해제 유닛(100)의 하우징(110)의 방향으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작동 요소(120)의 시선 방향으로 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비스듬히 바라본 로킹 해제 유닛(100)의 사시도에서 보완적으로 추가의 기술적 상세 정보를 도시한다.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을 갖는 유지 요소(140)는 하우징(110)의 수용 개구(110-1)를 통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스위치의 금속 캠 스위치인, 스위치 캠(120-1)을 향하는 능동 스위치 요소(130-1)를 볼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140)의 래칭 요소(140-2)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스위치 유닛(130)의 스위치는 조립 상태에서 유지 요소(140)와 위치 고정식으로 래칭/클리핑된다.
도 4는 작동 요소(120)의 선회 축(Y)의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작동 요소(120)의 작동 부재(120-1) 상으로 측방향으로 바라본 로킹 해제 유닛(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10)은 단면으로 도시되고, 하우징(110)의 단면은 도 3에서 참조 번호 110-S로 표시되어 있다. 유지 요소(140)는 도 2a 및 도 2b에서와 유사하게 도 3에서는 다시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유지 요소(140)는 래칭 요소(140-2) 외에도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명백해지고, 각각 측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요소(140-1)가 배치된다.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 수용 개구(110-1)의 에지를 따라 유지 요소(140)를 안내한다.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는 조립 상태에서 에지 위로 연장되고, 하우징(110)의 수용 개구(110-1)는, 유지 요소(140)의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가 삽입될 수 있고 이어서 위치 설정될 수 있는 삽입 영역을 포함하므로,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는 수용 개구(110-1)의 에지 위로 연장된다. 이 경우, 측방향 가이드 요소(140-1)는 하우징(110)의 수용 개구(110-1)의 에지에 배치되는, 윤곽이 대응하는 위치 설정 리세스(110-2)에 결합하는 하우징 측 단부 윤곽을 포함한다.
유지 요소(140)의 도시된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서 각각 2개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요소(140-1)는 각각 2개의 위치 설정 리세스(110-2)에 결합되고, 유지 요소(140)의 보이지 않는 후방 측면 상에 유사한 구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공은 위치가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고정되고 작업자가 하우징(110)에 대한 유지 요소(140)의 일종의 래칭 이동에 의해 올바른 위치를 인식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로부터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로 우측으로 변위되는 경우, 작업자에게는 우선 유지 요소(140)의 래칭 해제 이동이 인식 가능하게 되고, 이는 유지 요소(140)의 변위 이동이 수행된 후에, 다른 제공된 위치 설정 리세스(110-2) 내로의 래칭 이동을 발생시킨다.
도 4는 Y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볼 때 외부로 향하는 유지 요소(140)의 플레이트(140-3)가 배치되어 있는 고정 요소(140-31)를 도면의 하부 에지에서 도시한다. 고정 요소(140-31)는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위치 포인트 위치[a) 또는 b)]에 따라 하우징(110) 내에 형성된 고정 리셉터클(110-3) (도 6 참조) 내로 결합되고, 이에 대해 도 6의 설명과 관련하여 더 논의된다. 고정 요소(140-31) 중 하나는 고정 리셉터클(110-3)에서의 결합을 통해 항상 각각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a) 또는 b)]에서 하우징(110)에 대한 유지 요소(140)의 위치를 유리한 방식으로 고정시키므로, 하우징(110)에 대한 유지 요소(140)의 원하지 않는 변위를 통해 바람직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의 변경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4는 위치 설정 러그(140-4)를 도시한다. 위치 설정 러그(140-4)는 작업자에게 스위치 포인트 위치 [a) 또는 b)]를 가리키는데, 왜냐하면 하우징(110)의 수용 개구(110-1)의 에지 상에서 위치 설정 화살표(110-4)(도 6 참조)에 의해 각각의 스위치 각도(α 또는 ß)의 대응하는 각도 표시가 언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6에서, 위치 설정 화살표(110-4) 상의 위치 설정 러그(140-4)가 도시되고, 여기에는 후기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따른 스위치 각도(ß)(예를 들어, 27.5°)가 제공된다.
도 5는 유지 요소(140)에 대한 측방향 시선 방향을 갖는 도 4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된 제공을 유지 요소(140)의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한 번 더 도시한다. 도 5에서, 관찰자는 유지 요소(140) 및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 및 능동 스위치 요소(130-1) 상으로 Y 선회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주시한다.
도 6은 작업자가 각각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a) 또는 b)]에서 스위치 유닛(130)의 위치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또 다른 사시도로 설명한다. 위치 설정 러그(140-4) 및 위치 설정 화살표(110-4)는 이미 논의되었고, 도 4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유지 요소(140)는 도 6에서 도 2a 및 도 2b와 유사하게 다시 스위치 각도(ß)(예를 들어 ß = 27.5)를 갖는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배치된다.
플레이트(140-3) 상에 배치된 고정 요소(140-31)는 래칭된 상태에서 고정 리셉터클(110-3)에 결합되고, 유지 요소(140)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수용 개구(110-1)의 종방향으로 볼 때 수용 개구(110-1)를 따른 변위에 대해 스위치 유닛(130)을 고정시킨다. 스위치 각도(ß)를 갖는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로부터 스위치 각도(α)를 갖는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로의 조절은 유지 요소(140)의 고정 레버(140-5)의 작동 표면 상에서 작업자의 가압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고정 레버(140-5)는 플레이트(140-3)의 부분이고, 고정 레버(140-5)가 고정 리셉터클(110-3)로부터 멀어져 블레이드 평면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 요소(140-31)는 고정 리셉터클(110-3)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레버(140-5)의 도움으로 유지 요소(140)를 스위치 각도(α)를 갖는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로 변위시키고, 그 위치에서 다른 고정 요소(140-31)는 위치 고정식 고정 리셉터클(110-3)에 결합되므로, 유지 요소(140)는 다시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본 설명에 따라 2개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a) 및 b))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2개의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생성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2개 초과의 스위치 포인트 위치 및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는데, 왜냐하면 유지 요소(140) 및 이에 따라 스위치 유닛(130)은 하우징 측 수용 개구(110-1)의 내부에서 각각 임의의 위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0 : 로킹 해제 유닛 110 : 하우징
110-S : 단면 110-1 : 수용 개구
110-2 : 위치 설정 리세스 110-3 : 고정 리셉터클
110-4 : 위치 설정 화살표 120 : 작동 요소
120-1 : 작동 부재(스위치 캠) 120-11 : 스위치 표면
130 : 스위치 유닛 130-1 : 스위치 요소
140 : 유지 요소 140-1 : 가이드 요소
140-2 : 래칭 요소 140-3 : 플레이트
140-31 : 고정 요소 140-4 : 위치 설정 러그
140-5 : 고정 레버 200 : 구조 요소
E : 결합 갭 F : 손가락
V : 연결 0 : 작동 요소의 정지 위치
1 : 제1 작동 위치 2 : 제2 작동 위치
a) :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 α : 제1 스위치 각도
b) :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 ß : 제2 스위치 각도
P : 양방향 화살표
-x :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방향으로의 방향
+x : 일반적인 주행 방향인(-x)에 반대되는 방향
X : 작동 요소 및 하우징의 종방향 중심 축
y : x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수평인 방향
Y : 작동 요소의 선회 축
+z : x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상향으로 수직인 방향
-z : x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하향으로 수직인 방향

Claims (10)

  1. 차량의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의 로킹 해제를 위한 로킹 해제 유닛(100)으로서, 스위치 유닛(13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스위치 유닛(130)에 대해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적어도 2개의 작동 위치(1, 2)로 선회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를 포함하는 상기 로킹 해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130)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a), b)]에 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로킹 해제 유닛(100)의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에는 상기 정지 위치(0)로부터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스위치 각도(α, ß)에 따라 상이한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할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130)은, 상기 로킹 해제 유닛(100)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스위치 포인트 위치[a), b)]에 가역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유지 요소(140) 내에 고정적으로 통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로킹 해제 유닛(100)의 조립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에 의해 또는 상기 유지 유닛(140) 및 상기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에 의해 관통되는 수용 개구(110-1)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유닛(130)은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상기 비-작동 정지 위치(0)에서 상기 스위치 유닛(130)이 적어도 2개의 상기 스위치 포인트 위치[a), b)]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작동 부재(120-1)의 사전 설정 가능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상기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스위치 유닛(130)이 제1 스위치 포인트 위치[a)]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작동 시에 상기 제1 스위치 각도(α)만큼 제1 작동 위치(1)로 극복되는 제1 거리가 상기 스위치 유닛(130)과 상기 작동 부재(120-1) 사이에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작동 부재(120-1)와 상기 스위치 유닛(130) 사이에 제1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상기 비-작동 정지 위치(0)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스위치 유닛(130)이 제2 스위치 포인트 위치[b)]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의 작동 시에 제2 스위치 각도(ß)만큼 제2 작동 위치(2)로 극복되는 제2 거리가 상기 스위치 유닛(130)과 상기 작동 부재(120-1) 사이에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작동 부재(120-1)와 상기 스위치 유닛(130) 사이에 제2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을 갖는 상기 유지 요소(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수용 개구(110-1) 내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변위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140) 및 상기 스위치 유닛(130)은 제1 사전 생산된 조립 부품으로서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식으로 존재하고, 상기 선회 가능한 작동 요소(120) 및 상기 작동 부재(120-1)는 제2 사전 생산된 조립 부품으로서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식으로 존재하며, 이들은 상기 로킹 해제 유닛(100)을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작동 요소(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지 요소(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수용 개구(110-1)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적어도 상기 배치된 유지 요소(140)의 영역에 원호 형상의 섹션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배치된 상기 유지 요소(140)는 상기 통합된 스위치 유닛(130)과 함께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원호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호의 반경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선회 가능한 상기 작동 요소(120)의 선회 축(Y)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해제 유닛(100)은 상기 차량의 구조 부품(200), 특히 개방될 수 있는 폐쇄 요소, 특히 상기 차량의 트렁크 덮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 해제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킹 해제 유닛(100)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품(200)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97006623A 2016-09-22 2017-09-18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KR102155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8206.4 2016-09-22
DE102016218206.4A DE102016218206A1 (de) 2016-09-22 2016-09-22 Entriegelungseinheit mit einem variablen Auslöse-Schaltpunkt
PCT/EP2017/073427 WO2018054817A1 (de) 2016-09-22 2017-09-18 Entriegelungseinheit mit einem variablen auslöse-schaltpun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869A true KR20190035869A (ko) 2019-04-03
KR102155244B1 KR102155244B1 (ko) 2020-09-11

Family

ID=6002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23A KR102155244B1 (ko) 2016-09-22 2017-09-18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9734B2 (ko)
EP (1) EP3516140B1 (ko)
JP (1) JP6820410B2 (ko)
KR (1) KR102155244B1 (ko)
CN (1) CN109715899B (ko)
DE (1) DE102016218206A1 (ko)
WO (1) WO2018054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8313B1 (ja) * 2017-12-15 2019-05-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取付構造
CN110005285A (zh) * 2019-04-11 2019-07-12 河北新宇宙电动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后背门开启机构
CN111456571B (zh) * 2020-04-30 2024-01-02 东阳市甘特电气有限公司 车门用拉线组件
EP4026972A1 (en) * 2021-01-06 2022-07-13 U-Shin Italia S.p.A. Electronic vehicle handle assembly including a mechanical swi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8050A (ja) * 2003-03-13 2004-10-07 Alps Electric Co Ltd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6481A (en) * 1945-11-08 1949-04-05 John M Royal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CN1014384B (zh) * 1989-08-17 1991-10-16 刘世华 具有动能制动的交流无触点开关
DE19620984C2 (de) 1996-05-24 1998-04-02 Webasto Karosseriesysteme Variables Schaltrad für den Antrieb eines verstellbaren Teils in einem Fahrzeug
DE19961246A1 (de) * 1999-05-18 2001-06-2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Wirksamsetzen einer Öffnungs- und/oder einer Schließhilfe für verschließbare Teile an Fahrzeugen, wie Klappen, Türen od. dgl.
DE19930861A1 (de) * 1999-07-05 2001-01-25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IT1310150B1 (it) 1999-08-31 2002-02-11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IT1320426B1 (it) * 2000-06-09 2003-11-26 Fiat Aut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US6672760B2 (en) 2000-06-19 2004-01-06 Kabushiki Kaisha Toshiba Onboard X-ray CT apparatus, container for mounting X-ray CT apparatus, and motor vehicle for mounting X-ray CT apparatus
US7057124B2 (en) * 2003-04-22 2006-06-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ush switch apparatus
DE102005040761A1 (de) * 2005-08-26 2007-03-15 Webasto Ag Verschlußbetätigung mit einer Tasterklappe
DE102006048371A1 (de) 2006-10-09 2008-04-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schwenken eines beweglichen Teils
DE102006048373A1 (de) 2006-10-09 2008-04-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bar gelagerten Kameraeinheit
DE102008010966B4 (de) 2008-02-25 2019-11-14 Volkswagen Ag Anordn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ntriegelungsvorrichtung und einer Kamera
JP6048232B2 (ja) * 2013-03-12 2016-12-21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ゲート部材の操作ハンドル装置
DE102013013176A1 (de) 2013-08-08 2014-02-27 Daimler Ag Vorrichtung zum Öffnen eines Verschlusselementes eines Fahrzeugs
US9004570B1 (en) * 2014-03-24 2015-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latch assembly
CN106683933B (zh) * 2015-11-06 2020-06-30 福特环球技术公司 一种开关总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8050A (ja) * 2003-03-13 2004-10-07 Alps Electric Co Ltd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8206A1 (de) 2018-03-22
CN109715899A (zh) 2019-05-03
US20190218832A1 (en) 2019-07-18
CN109715899B (zh) 2021-05-07
WO2018054817A1 (de) 2018-03-29
KR102155244B1 (ko) 2020-09-11
EP3516140B1 (de) 2021-08-18
US11319734B2 (en) 2022-05-03
EP3516140A1 (de) 2019-07-31
JP2019534962A (ja) 2019-12-05
JP6820410B2 (ja)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869A (ko) 가변적인 트리거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로킹 해제 유닛
US9261988B2 (en) Operator control apparatus in a motor vehicle
EP2537705B1 (en) Lock mechanism for automobile rear seat
CN1970342A (zh) 杂物箱装置
CN106437302B (zh) 把手单元
JP6483301B1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のためのスライド装置
WO2014035550A2 (en) Collapsible fuel door housing for a vehicle
US20190211916A1 (en) Shift device
JPH10223079A (ja) スイッチ装置
KR20170007973A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US20060249982A1 (en) Side door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KR102414227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KR102277317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US20080297929A1 (en) Door Mounting Plate with Built-in Rear-View Mirror Function
CN111919008A (zh) 把手装置
US7750262B2 (en) Rocker switch
CA3196498C (en) Watercraft drain plug system
US6121558A (en) Steering column switch
US11069489B2 (en) Multifunctional switch manipulator
US20220314802A1 (en) Instrument panel
CN219548670U (zh) 把手结构及车辆
KR20160054282A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EP3501901B1 (en) Storage housing, especially for glasses, and roof module comprising such a storage housing
CN108691469B (zh) 用于车辆行李箱盖铰链的盖组件
EP3028889A1 (en) Cancella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