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67A -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67A
KR20190033467A KR1020187033597A KR20187033597A KR20190033467A KR 20190033467 A KR20190033467 A KR 20190033467A KR 1020187033597 A KR1020187033597 A KR 1020187033597A KR 20187033597 A KR20187033597 A KR 20187033597A KR 20190033467 A KR20190033467 A KR 20190033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t cable
melting point
resin
polyphenylene sulf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395B1 (ko
Inventor
유따까 스즈끼
미찌마사 와따나베
하루끼 와따베
겐지 히로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457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3346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6Heat resist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embedding wires in plast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B3/3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16Tw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07Twin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10)은, 배열된 복수의 도체(11)와, 상기 도체(11)의 주위를 피막하는 절연층(12)을 갖고, 상기 절연층(12)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층(12)의 최외층(13) 및 상기 도체와 접하는 최내층(14)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내층(14)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최외층(13)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회전 커넥터 등에 사용되는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랫 케이블은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차량용의 회전 커넥터에는, 굴곡성이 우수한 플랫 케이블이 전기 배선체로서 내장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내의 플랫 케이블에 의해, 스티어링 장치와 차량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플랫 케이블은, 차량측으로부터의 신호나 전원을 스티어링 장치 내의 각종 스위치에 통전하는 역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고 시에 에어백을 기동시키기 위한 기폭 신호도 플랫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근년, 차량에 있어서의 정보 기술의 진전, 유저 요구의 다양화에 의해, 플랫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는 다회로화, 대용량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추운 날에도 스티어링 장치의 냉기를 느끼는 일이 없도록, 스티어링 장치를 따뜻하게 하는 스티어링ㆍ히터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가열용의 대전류가 플랫 케이블을 흐른다. 이와 같은 통전 전류의 다회로화,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높은 내열성, 난연성을 갖는 플랫 케이블에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이 수용되는 회전 커넥터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은 금후, 보다 한층 더 방열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의 사용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여름철의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한 경우, 소형의 회전 커넥터 내의 온도는 80℃ 정도에 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설령 상기한 스티어링ㆍ히터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차량이라도, 이와 같은 고온 영역에서도 사용 가능한 내열성, 난연성을 갖는 플랫 케이블이 필요로 된다.
종래의 플랫 케이블의 경우, 절연 피복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80℃의 고온에서는 변질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다. 폴리에스테르계의 재료는 유리 전이 온도가 70℃ 부근에 있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에 사용한 경우에 약 70℃를 초과하여 가열되면, 가열 후 다시 냉각된 경우에, 형상이 기억되는 현상(히트 세트 현상)이 발생해 버린다.
이 형상 기억성은,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인 70℃ 부근을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가 고무 상태로 되어 비결정부의 분자쇄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고, 냉각되면 유리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비결정부가 다시 구속되기 때문에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절연 피복이 히트 세트 현상을 발현한 플랫 케이블은, 형상 기억에 의해, 회전 커넥터 내에서 감기려는 성질이 갖게 된 상태로 된다. 회전 커넥터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랫 케이블이 배설되기 때문에(도 1에서는 4개), 감기려는 성질을 갖게 된 플랫 케이블끼리가 접촉하면, 이음을 발생시키거나, 권취 붕괴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절연 피막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염화비닐은 내열성이 낮고,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내약품성이 낮으며, 폴리에테르이미드는 굴곡성이 낮고, 폴리이미드는 매우 고비용인 것 등, 각각 과제가 있다. 융점이 약 250℃로 높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에 실장할 때에 사용하는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그리스)에 의해 팽윤해 버리기 때문에, 그 결과, 플랫 케이블의 막 두께가 불균일해져, 얇은 부분에 부하가 중점적으로 걸려, 내구성이 낮아져 버린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페닐렌술피드(PPS)계 수지를 절연 피막에 사용한 플랫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PPS는 유리 전이 온도가 90℃ 정도로 높기 때문에, 여름 철의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한 경우라도, 상기 히트 세트 현상을 발현하기 어렵다. PPS계 수지의 융점은 약 280℃로 높아, 내열성, 난연성, 굴곡성이 모두 높고, 윤활제에 의한 팽윤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에 내장한 경우의 내구성에서도 우수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032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플랫 케이블은, 압출 성형으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너무 높아 실용화가 매우 곤란하다. 압출 성형의 경우, 도체의 두께, 폭, 개수, 순서 등의 사양마다, 압출용 헤드 및 구금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사양의 플랫 케이블에 대응하기 위해, 다대한 설비 투자가 필요로 된다.
또한, 도체가 수십㎛로 얇은 경우에는, 압출 성형에 의해 도체가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 성형의 속도를 억제하면, 제조에 요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다조의 플랫 케이블을 평행하여 압출 성형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그 경우에는 광폭의 구금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 장치가 대형으로 되어야만 하여, 설비 투자 비용이 더 늘어나 버린다.
일반적으로 PPS계 수지는, 종래품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에 비해, 원재료 그 자체가 고가이다. 그것에 더하여, 상기한 압출 성형에 의한 다대한 설비 투자비용이 필요로 되는 결과,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실용화는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또한, 압출 성형에 의한 제조는, 동일한 플랫 케이블에 두께나 폭이 상이한 도체를 복수 포함하는 경우에, 절연 피복으로 되는 수지를 균일하게 압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도체간의 거리가 넓은 영역에는 필요량 이상의 다량의 수지가 압출되고, 좁은 영역에는 필요량에 미치지 않는 소량의 수지밖에 압출되지 않는 등의 곤란성이 있다. 이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열성, 난연성, 굴곡성 및 내구성이 우수함과 함께,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의 PPS계 수지제의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해당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은, 배열된 복수의 도체와, 상기 도체의 주위를 피막하는 절연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층의 최외층 및 상기 도체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은, 배열된 복수의 광 파이버와, 상기 광 파이버의 주위를 보호 재료로 피복한 보호층을 갖고, 상기 보호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호층의 최외층 및 상기 광 파이버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최외층은 가교 처리층이며, 상기 최내층은 가교 미처리층이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커넥터는, 상기 플랫 케이블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의 외표면 및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가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3㎜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은 5.5A 이상의 전류를 통전 가능하고, 80℃ 이상 275℃ 이하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 이상,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에 의해 상기 최내층끼리를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을, 도체를 사이에 두고,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체에 대하여, 저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고, 열융착에 사용하는 가열 압착 장치에 대하여, 고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상기 도체 및 상기 수지 필름이 송출되는 공정과, 상기 송출된 도체 및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의해, 상기 도체에 접하는 층의 융점 이상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접하는 층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을, 광 파이버를 사이에 두고,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광 파이버에 대하여, 저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고, 열융착에 사용하는 가열 압착 장치에 대하여, 고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이 송출되는 공정과, 상기 송출된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의해, 상기 광 파이버에 접하는 층의 융점 이상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접하는 층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은, 미리 필름의 일부에 가교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상기 도체 및 상기 광 파이버에 대하여, 가교 미처리층이 접하고, 열융착에 사용하는 가열 압착 장치에 대하여, 가교 처리층이 접하도록, 상기 도체,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이 송출되는 공정과, 상기 송출된 도체,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의해, 상기 도체 및 상기 광 파이버에 접하는 층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5㎛ 이상 100㎛ 이하이며, 융점이 높거나 혹은 가교 처리를 받은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내열성, 난연성 및 굴곡성이 우수함과 함께,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의 플랫 케이블 및 회전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체로서 구리박을 매설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폭 방향 단면도이며, 광 파이버를 매설한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10)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20)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회전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며, 고정체인 스티어링 포스트와 회전체인 스티어링 휠(모두 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커넥터(20) 내의 플랫 케이블(10)에 의해, 스티어링 장치와 차량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플랫 케이블(10)은 차량측으로부터의 신호의 전송이나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스티어링 장치 내의 각종 스위치 및 장치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20)는 평평한 대략 원통 형상의 외장 케이스(21)와 회전부(22)를 갖고, 양자의 간극 S에 플랫 케이블(10)을 내장한다. 외장 케이스(21)는 스티어링 포스트측에 고정되고, 회전부(22)는 스티어링 휠측에 고정되며, 동축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은, 그 폭 방향을 외장 케이스(21) 및 회전부(22)의 축 방향을 따르게 하여 간극 S에 수용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를 외장 케이스(21)의 단자(21A)에, 다른 쪽의 단부를 회전부(22)의 단자(22A)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0)은, 단자(21A)에 접속된 일방측이 외장 케이스(21)의 내주면(21B)에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고, 단자(22A)에 접속된 타방측이 회전부(22)의 외주면에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양자의 권취 방향이 역방향이기 때문에, 어느 쪽에도 권취되지 않는 중간 영역의 플랫 케이블(10)에는 방향이 반전되는 굴곡부(10A)가 존재한다. 이 굴곡부(10A)에 의해, 스티어링 포스트(외장 케이스(21))에 대한 스티어링 휠(회전부(22))의 회전 범위 내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0)이 끝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 케이블(10)은 굴곡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굴곡부(10A)에 있어서의 최소 굴곡 반경은 3㎜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반경 8㎜ 이하로 굴곡할 수 없는 경우, 회전 커넥터(20)의 간극 S에, 굴곡부(10A)를 수용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무리하게 수용할 수 있었던 경우라도, 플랫 케이블(10)이 굴곡부(10A)에서 파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굴곡 반경은 8㎜ 이하이면, 보다 작은 쪽이 굴곡성은 보다 높아지지만, 3㎜ 미만이 되면 사실상 절곡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20)에 수용하는 데 있어서는, 최소 굴곡 반경 3㎜ 미만의 영역의 굴곡성은 비현실적이다.
플랫 케이블(10)의 외표면 및 외장 케이스(21)의 내주면(21B)은 윤활제(도시하지 않음)가 도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의 표면 장력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의 일방측을 외장 케이스(21)의 내주면(21B)에 밀접한 상태에서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회전부(22))이 회전한 경우에도, 플랫 케이블(10)의 일방측의 권취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윤활제는 이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고, 내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리콘이나 불소를 함유하는 것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비용의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를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스티어링ㆍ히터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으로는, 회전 커넥터(20)에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10)은 가열용의 대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어, 적어도 5.5A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커넥터(20)에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10)은 여름철의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한 경우에 대비하여, 적어도 80℃의 고온에서도, 문제가 발생되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회전 커넥터(20)는 4개의 플랫 케이블(10)을 내장하고 있지만, 반드시 4개를 내장하고 있지는 않아도 된다. 차량이 필요로 하는 전기 배선의 수에 따라서, 1개 이상으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0)의 내장수가 1 내지 3개인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10)이 접속되지 않는 단자(21A 및 22A)에는, 보다 저렴한 더미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회전 커넥터(20)의 대칭성이 유지되어, 무게 중심의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차량의 한층 더한 다회로화에 따라서, 플랫 케이블(10)의 내장수는 5개 이상이어도 된다. 단, 도 1과 같이, 복수의 플랫 케이블(10)은 원주 상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플랫 케이블(10)의 굴곡부(10A)끼리가, 스티어링 휠(회전부(22))이 회전한 경우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에 의한 이음 발생 등을 방지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랫 케이블(1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플랫 케이블(10)의 폭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플랫 케이블(10)은, 배열된 복수의 도체(11)와, 도체(11)의 주위를 피복하는 절연층(12)을 갖는다. 도체(11)는 구리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도면에 있어서, 도체(11)는 동일한 단면 형상, 단면적을 구비하는 것이 2개 도시되어 있지만, 단면 형상 및 단면적은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고, 또한 매설되는 도체(11)의 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체(11)의 간격도, 도체(11)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면 되고, 원하는 사양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12)은 층 형상의 복수층을 포함하고 있고, 적어도, 외부와 접하는 최외층(13) 및 도체(11)와 접착하는 최내층(14)을 갖는다. 최외층(13) 및 최내층(14) 사이에는, 중간층(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최외층(13) 및 최내층(14)은 모두 PPS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중간층을 갖는 경우, 그 구성 재료는 PPS계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절연층(12)을 최외층(13)과 최내층(14)을 포함하는 복수층 구조로 하고, 또한 최내층(14)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의 융점(융점 X라 함)을, 최외층(13)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의 융점(융점 Y라 함)보다 5℃ 이상 낮게 하면, 융점 X 이상 융점 Y 미만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는, 최외층(13)의 PPS계 수지는 융해되지 않는 상태에서, 최내층(14)의 PPS계 수지를 융해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연층(12)이 되는 2매의 수지 필름(12a)을, 도체(11)를 사이에 두고 융점 X 이상 융점 Y 미만의 온도 영역에서 열융착한 경우에, 최내층(14)은 열융착에 의해 융해되어, 도체(11)의 주위를 간극없이 덮을 수 있는 한편, 최외층(13)은 융해되지 않기 때문에, 내장하는 도체(11) 등이 관통하여 플랫 케이블(10) 표면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최외층(13)과 최내층(14)은, 각각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의 조성 그 자체를 조정함으로써, 융점에 5℃ 이상의 차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PPS계 수지의 조성이 동일해도,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융의 유무에 차등을 둘 수 있다. 즉, 가교 처리에 의해 용융시키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교 처리층을 최외층(13)으로 하고, 가교 미처리층을 최내층(14)으로 하면, 최외층(13)과 최내층(14)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를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최외층은 용융하지 않고, 최내층은 용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조 방법>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플랫 케이블(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체(11)로서 구리박을 사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제조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보빈(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도체(11)가 배열된 상태에서,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한편, 2개의 송출 롤 R로부터는,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12a)이 1매씩, 각각 화살표 i, j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수지 필름(12a)은, 도체(11)의 상면과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도체(11)와 함께 한 쌍의 가열 롤 HR의 롤면에 도입되고, 가열 압착되어 플랫 케이블(10)이 된다. 가열 압착된 플랫 케이블(10)은, 화살표 k의 방향에 있는 권취 롤(도시하지 않음)에 인장되면서 냉각되어, 해당 권취 롤에 권취된다. 가열 롤 HR은, 가열 압착 가능한 장치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열 프레스 등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12a)은, 융점이 상이한 PPS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복수층 포함하고 있다. 송출 롤 R로부터 송출될 때, 도체(11)에 대해서는 융점이 낮은(융점 X라 함)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고, 가열 롤 HR에 대해서는 융점이 높은(융점 Y라 함)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송출된다. 그와 같이 송출된 수지 필름(12a)이, 가열 롤 HR에 의해 융점 X 이상 융점 Y 미만의 온도 영역에서 가열되면, 가열 롤 HR에 접하는 층의 PPS계 수지는, 융점 Y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융해되지 않고, 도체(11)에 접하는 층의 PPS계 수지는, 융점 X 이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융해된다. 이에 의해 도체(11)에 접하는 층의 PPS계 수지는 융해에 의해 액상이 되고, 압착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11)의 주위에 돌아 들어가는 것 외에, 도체(11) 사이의 영역에서는 수지 필름(12a)끼리가 열융착된다(도 2의 점선부).
한편, 가열 롤 HR에 접하는 층의 PPS계 수지는 융해되지 않기 때문에, 도체(11)가 노출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가열 롤 HR에 접하는 층의 PPS계 수지가 융해되지 않기 때문에, 도체(11)가 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해 버려, 플랫 케이블(10)의 폭 방향 치수가 설계대로 제조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도체(11)와 접착된 층이 상기한 최내층(14), 가열 롤 HR 등 외부에 접하는 층이 상기한 최외층(13)이 된다.
융점 X는, 융점 Y보다 5℃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차가 5℃ 미만인 경우, 가열 롤 HR에 의해, 수지 필름(12a)을 융점 X 이상 융점 Y 미만의 온도 영역에서 가열하는 것은 제어가 어려워, 융점 Y 이상이 되어 어느 층도 융해되어 버리거나, 융점 X 미만이 되어 어느 층도 융해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가열 롤 HR이 접하는 층은, 최외층(13)이 찢어져 내장하는 도체(11) 등이 관통하여 플랫 케이블(10) 표면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12a)의 두께가 5㎛ 이상 100㎛ 이하이며, 융점이 높은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최외층)의 두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은, PPS계 수지의 조성 그 자체를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5℃ 이상의 차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전단계의 공정에 있어서, 조성이 상이한 2매의 PPS계 수지 필름을, 열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화학적인 접착 등에 의해 접합하여 수지 필름(12a)으로 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층이 최외층(13)과 최내층(14) 사이의 중간층(도시하지 않음)이 된다.
도 3에서 도시한 공정의 전단계에 있어서, 수지 필름(12a)의 한쪽의 면에, 가교제 배합에 의한 화학 가교나 전자선 조사 등에 의해 가교 처리를 실시하면, 용융되지 않는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융되는 면과 용융되지 않는 면을 갖는 PPS계 수지 필름(12a)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필름(12a)을 도체(11)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가열 압착함으로써, PPS계 수지를 절연층(12)에 사용한 플랫 케이블(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체(11)의 두께, 폭, 순서 등은, 송출할 때에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수지 필름(12a) 사이에 두고 압착하기 때문에, 도체(11)의 사양에 의한 제조 라인 등의 변경은 필요없다. 따라서, 도체(11)의 사양마다 구금이 필요한 압출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에 비해, 설비 투자 액수는 낮아, 저비용으로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체(11)를 사이에 두고 2매의 수지 필름(12a)을 가열 압착할 때에, 도체(11)의 주위에 융해된 PPS계 수지층이 균등하게 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두께나 폭이 상이한 도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절연층(12)(절연 피복)을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출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에서 보이는, 도체간의 거리가 넓은 영역과 좁은 영역에서, 수지가 균일하게 도입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도체의 두께, 폭, 순서, 간격 등의 설계의 자유도도 높다.
또한, 가열 프레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을, 각각 따로따로의 수지 필름(12a1, 12a2)으로서 준비하고, (1) 수지 필름(12a1), (2) 수지 필름(12a2), (3) 도체(11), (4) 수지 필름(12a2), (5) 수지 필름(12a1)의 순으로 겹쳐, 가열 압착해도 된다. 또한, 가열 롤 HR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1) 내지 (5)를 따로따로 송출하고, 가열 롤 HR에 도입할 때에, (1) 내지 (5)의 순으로 겹치도록 하면, 동일한 플랫 케이블(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11) 대신에, 광신호를 전파하는 광 파이버(15)를 보호층(17)에 매설해도 된다(도 4 참조). 또한, 동일한 플랫 케이블(10) 내에, 구리박과 광 파이버 등의 상이한 종류의 것을 조합하여 매설해도 된다.
또한,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1매의 수지 필름(12a)에,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구리박을 접합하여 구리로 피복된 필름을 제작하고, 이 구리로 피복된 필름을 에칭 가공함으로써, 수지 필름(12a) 상에 배열된 도체(11)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지 필름(12a) 상에 배열된 도체(11)와, 다른 1매의 수지 필름(12a)을,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도체(11)에 접하도록 가열 롤 HR 등에 의해 가열 압착하면, 본 실시 형태의 플랫 케이블(10)을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상기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 플랫 케이블(10) 및 이것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20)와 동등한 것이며, 이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조건 1) 최외층 및 최내층이 PPS계 수지를 포함한다.
(조건 2) 최내층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의 융점은, 최외층을 구성하는 PPS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다. 혹은 최외층이 가교 처리층이고, 최내층이 가교 미처리층이다.
(조건 3) 수지 필름의 두께가 5㎛ 이상 100㎛ 이하이며, 최외층의 두께는 1㎛ 이상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고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을, 각각 따로따로의 수지 필름(12a1, 12a2)으로서 준비하고, (1) 수지 필름(12a1), (2) 수지 필름(12a2), (3) 도체(11) 또는 광 파이버(15), (4) 수지 필름(12a2), (5) 수지 필름(12a1)의 순으로 겹쳐, 가열 프레스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상위점은 최외층, 최내층의 수지 필름(12a1, 12a2)의 막 두께만이다.
<실시예 4>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8㎛의 알루미늄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5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최내층과 최외층의 수지 필름(12a2, 12a1) 사이에, 표 1에 나타내는 접착제(중간층)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77℃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최외층은 사전에 전자선 조사에 의한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융되지 않는 상태로 한 것이다. 최내층은 가교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8>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광 파이버(15)로서, 외경 약 1㎜, 코어(15A)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PMMA), 클래드(15B)가 불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실시예 9>
표 1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표 1에 나타내는 PPS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중간층도 형성하였다.
즉, 상기한 (1) 수지 필름(12a1)과 (2) 수지 필름(12a2) 사이, (4) 수지 필름(12a2)과 (5) 수지 필름(12a1) 사이에, 각각 중간층이 되는 수지 필름(12b)을 삽입하였다.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가 되는 플랫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비교예는, 실시예와 달리, 상기한 3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상기한 조건 1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수지 필름으로서, 최외층이 융점 250℃의 폴리에스테르(PET)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최내층이 융점 120℃의 난연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2층 구조의 필름이며, 표 2에 나타내는 막 두께의 것을 사용하였다. 최외층인 PET계 수지 필름 상에, 용제에 녹인 난연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2매 준비하고, 그 사이에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끼우고, 160℃에서 가열 압착함으로써, 플랫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상기한 조건 3의 전단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고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을, 각각 따로따로의 수지 필름(12a1, 12a2)으로서 준비하고, (1) 수지 필름(12a1), (2) 수지 필름(12a2), (3) 도체(11), (4) 수지 필름(12a2), (5) 수지 필름(12a1)의 순으로 겹쳐, 가열 프레스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제작하였다.
표 2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상기한 조건 3의 후단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수지 필름으로서, 최외층이 없고(최외층의 두께가 0), 최내층이 융점 250℃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1층 구조의 필름이며, 표 2에 나타내는 막 두께의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상기한 조건 1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높은 융점의 내열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외층과, 저융점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최내층을, 각각 따로따로의 수지 필름(12a1, 12a2)으로서 준비하고, (1) 수지 필름(12a1), (2) 수지 필름(12a2), (3) 도체(11), (4) 수지 필름(12a2), (5) 수지 필름(12a1)의 순으로 겹쳐, 가열 프레스에 의해 플랫 케이블(10)을 제작하였다.
표 2에 나타내는 융점 및 막 두께의 수지 필름, 도체(11)로서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사용하여, 260℃에서 가열 압착하였다.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표 2에 나타내는 접착제(중간층)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상기한 조건 1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수지 필름으로서, 최외층을 융점 280℃의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최내층이 융점 120℃의 난연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2층 구조의 필름이며, 표 2에 나타내는 막 두께의 것을 사용하였다. 최외층인 PPS계 수지 필름 상에 용제에 녹인 난연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지 필름을 2매 준비하고, 그 사이에 폭 0.5 내지 10㎜, 두께 35㎛의 구리박을 복수개 끼워, 160℃에서 가열 압착함으로써, 플랫 케이블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플랫 케이블을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한 후, 내굴곡 시험, 내연성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이들 플랫 케이블을 도 1과 같이 내장하고, 플랫 케이블 및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에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를 도공한 회전 커넥터에 대하여, 내구성 시험 및 여름철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 후의 동작 시험을 행하였다. 이들 시험 결과를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낸다.
<플랫 케이블의 내굴곡 시험>
굴곡 시험은, 상온(25℃), 80℃, 130℃에서, 8㎜의 굴곡 반경으로 플랫 케이블을 구부리거나 곧게 펴거나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내부의 도체가 파단될 때까지의 횟수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는 시험 결과의 숫자가 클수록, 내굴곡성이 우수하게 된다.
<플랫 케이블의 난연성 시험>
난연성 시험은 UL1581의 VW-1(수직 연소 시험)에 따랐다.
<회전 커넥터의 내구성 시험>
내구성 시험은, 80℃, 130℃에서, 회전 커넥터를 매초 1회전의 속도로 좌우로 2회씩 회전시켜, 플랫 케이블의 단선에 이를 때까지의 횟수를 측정하였다. 표 1 내지 표 2 중, 비교예 1(종래품)에서의 측정값을 1.0으로 한 경우의 횟수비를 표기하고 있고, 따라서, 표 1, 표 2에 나타내는 시험 결과의 숫자가 클수록, 내구성이 우수하게 된다.
<회전 커넥터의 여름철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 후의 동작 시험>
한여름의 직사광선을 받는 주차장 내에 방치되는 자동차를 상정하고, 회전 커넥터를 80℃ 항온조 내에 8시간 방치한 후, 급랭하고, 커넥터 전체의 온도가 -30℃까지 내려간 후에 회전축을 돌려, 그 동작을 확인하였다. 회전 토크 과대나 플랫 케이블의 권취 붕괴 등에 의해 잘 동작하지 않거나, 플랫 케이블이 회전 커넥터의 외장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부상할 때에 발생하는 이음이 발생한 경우를 ×, 부상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2회전씩 동작한 경우를 ○로 정의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플랫 케이블은, 내굴곡성 시험, 난연성 시험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이들 플랫 케이블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는, 내구성 시험, 여름철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 후의 동작 시험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들 시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실시예 1, 2, 5, 6, 7, 9는, 플랫 케이블의 내굴곡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최량품으로서 ◎로 하고, 그 이외의 실시예는 양품으로서 ○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2
이에 반해, 표 2의 비교예 1의 플랫 케이블을 내장한 회전 커넥터는, 여름 철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 후의 동작 시험에 있어서, 이음이나 권취 붕괴가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종합 평가는 ×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2의 플랫 케이블은 80℃, 130℃에서의 굴곡 횟수가 각각 20만회, 10만회로서, 회전 커넥터에 내장하는 사양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종합 평가는 불량품으로서 ×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3의 플랫 케이블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 내장하는 도체(11) 등이 관통하여 플랫 케이블(10) 표면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제조 그 자체를 할 수 없었으므로, 종합 평가는 ×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4의 플랫 케이블은, 난연성 시험이 불합격으로 되었다. 또한, 회전 커넥터에 내장한 경우, 플랫 케이블이 외표면에 도공된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에 의해 팽윤하여, 두께가 불균일해진 결과, 회전 커넥터의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이 때문에, 종합 평가는 ×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5의 플랫 케이블은, 여름철 염천하 시에 장시간 주차 후의 동작 시험에 있어서, 이음이나 권취 붕괴가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종합 평가는 불량품으로서 ×로 평가하였다.
10 : 플랫 케이블
11 : 도체
12 : 절연층
12a : 수지 필름
13 : 최외층
14 : 최내층
15 : 광 파이버
17 : 보호층
20 : 회전 커넥터
21 : 외장 케이스
21B :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
22 : 회전부
HR : 가열 롤(가열 압착 장치)

Claims (14)

  1. 배열된 복수의 도체와, 상기 도체의 주위를 피막하는 절연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층의 최외층 및 상기 도체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2. 배열된 복수의 광 파이버와, 상기 광 파이버의 주위를 보호 재료로 피복한 보호층을 갖고, 상기 보호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호층의 최외층 및 상기 광 파이버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은,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보다 5℃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3. 배열된 복수의 도체와, 상기 도체의 주위를 피막하는 절연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층의 최외층 및 상기 도체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외층은 가교 처리층이며, 상기 최내층은 가교 미처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4. 배열된 복수의 광 파이버와, 상기 광 파이버의 주위를 보호 재료로 피복한 보호층을 갖고, 상기 보호층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호층의 최외층 및 상기 광 파이버와 접하는 최내층은 모두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외층은 가교 처리층이며, 상기 최내층은 가교 미처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의 외표면 및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탄화수소계 재료를 함유하는 윤활제가 도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3㎜ 이상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은 5.5A 이상의 전류를 통전 가능하고, 80℃ 이상 275℃ 이하의 내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되는 플랫 케이블은 5.5A 이상의 전류를 통전 가능하고, 80℃ 이상 250℃ 이하의 내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 이상,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에 의해 상기 최내층끼리를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11.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을, 도체를 사이에 두고,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체에 대하여, 저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고, 열융착에 사용하는 가열 압착 장치에 대하여, 고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상기 도체 및 상기 수지 필름이 송출되는 공정과,
    상기 송출된 도체 및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의해, 상기 도체에 접하는 층의 융점 이상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접하는 층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12.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을, 광 파이버를 사이에 두고,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광 파이버에 대하여 저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고, 열융착에 사용하는 가열 압착 장치에 대하여, 고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접하도록, 상기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이 송출되는 공정과,
    상기 송출된 광 파이버 및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의해, 상기 광 파이버에 접하는 층의 융점 이상 상기 가열 압착 장치에 접하는 층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이 상이한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층 형상으로 포함하는 2매의 수지 필름은, 미리 필름의 일부에 가교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상기 고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대신에 가교 처리층을 배치하고,
    상기 저융점의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대신에 가교 미처리층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5㎛ 이상 100㎛ 이하이며, 융점이 높거나 혹은 가교 처리를 받은 PPS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두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1020187033597A 2016-08-23 2017-07-21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KR102237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2514 2016-08-23
JP2016162514A JP6678540B2 (ja) 2016-08-23 2016-08-23 フラットケーブル、こ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PCT/JP2017/026438 WO2018037793A1 (ja) 2016-08-23 2017-07-21 フラットケーブル、こ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67A true KR20190033467A (ko) 2019-03-29
KR102237395B1 KR102237395B1 (ko) 2021-04-07

Family

ID=6124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97A KR102237395B1 (ko) 2016-08-23 2017-07-21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4011B2 (ko)
EP (1) EP3506322A4 (ko)
JP (1) JP6678540B2 (ko)
KR (1) KR102237395B1 (ko)
CN (1) CN109196603B (ko)
WO (1) WO2018037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0768A (zh) * 2019-06-19 2019-10-08 芜湖航天特种电缆厂股份有限公司 耐屈挠、耐弯曲疲劳的带状电缆及其制备方法
CN112151211A (zh) * 2020-08-10 2020-12-29 中亚世纪(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扁平型超薄柔性射频通信线缆
WO2023162409A1 (ja) * 2022-02-23 2023-08-31 株式会社クラベ コード状ヒータと面状ヒー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34A (ja) * 2001-07-16 2003-01-31 Hitachi Cable Ltd 耐屈曲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1151A (ko) * 2005-05-24 2008-05-09 사우쓰와이어 컴퍼니 마찰계수가 감소된 표면을 갖는 전기 케이블
JP2013030327A (ja) 2011-07-27 2013-02-07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7163A (ja) * 2012-07-10 2014-01-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3579A (en) * 1986-04-29 1988-11-08 Amp Incorporated Flat multi-conductor power cable with two insulating layers
JP2870348B2 (ja) * 1992-05-18 1999-03-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US6042902A (en) * 1997-10-20 2000-03-28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Adhesives for making multilayer films comprising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carbonate
US6452138B1 (en) * 1998-09-25 2002-09-17 Thermosoft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conductor soft heating element
US6563094B2 (en) * 1999-05-11 2003-05-13 Thermosoft International Corporation Soft electrical heater with continuous temperature sensing
JP2003016851A (ja) * 2001-07-04 2003-01-17 Hitachi Cable Ltd 環境調和型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US20060249298A1 (en) * 2004-07-13 2006-11-09 David Reece Electrical cable having a surface with reduced coefficient of friction
JP4947943B2 (ja) * 2005-09-20 2012-06-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76281A (ja) * 2007-09-19 2009-04-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フラットケーブル
JP5105242B2 (ja) * 2008-04-09 2012-1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8987599B2 (en) * 2009-08-05 2015-03-24 Prysmian S.P.A. Flat energy cable
JP2011204503A (ja) * 2010-03-26 2011-10-13 Hitachi Cable Fine Tech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CN102280181A (zh) * 2010-06-10 2011-12-14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扁平电缆的制造方法
JP5664525B2 (ja) 2011-04-07 2015-02-0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5699971B2 (ja) * 2012-03-28 2015-04-15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電線
CN103650068B (zh) * 2012-06-15 2017-09-0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扁平电缆用绝缘膜以及扁平电缆
JP5712993B2 (ja) * 2012-12-10 2015-05-07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2015147413A (ja) * 2014-01-10 2015-08-20 東レ株式会社 積層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フィルム
JP7032038B2 (ja) * 2016-05-02 2022-03-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34A (ja) * 2001-07-16 2003-01-31 Hitachi Cable Ltd 耐屈曲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1151A (ko) * 2005-05-24 2008-05-09 사우쓰와이어 컴퍼니 마찰계수가 감소된 표면을 갖는 전기 케이블
JP2013030327A (ja) 2011-07-27 2013-02-07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7163A (ja) * 2012-07-10 2014-01-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603B (zh) 2021-11-16
WO2018037793A1 (ja) 2018-03-01
EP3506322A4 (en) 2020-08-19
EP3506322A1 (en) 2019-07-03
KR102237395B1 (ko) 2021-04-07
CN109196603A (zh) 2019-01-11
US10804011B2 (en) 2020-10-13
JP2018032486A (ja) 2018-03-01
JP6678540B2 (ja) 2020-04-08
US20190189308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5408B2 (ja) 同軸線ハーネス
KR20190033467A (ko) 플랫 케이블, 이것을 사용한 회전 커넥터 및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EP2701460B1 (en) Spiral tube-like heater
KR20040090487A (ko) 도전성 부여 수지계 재료로 제조된 염가의 차폐 케이블
EP0569217A2 (en) Fiberglass cloth resin tape insulation
JP707240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KR101609675B1 (ko) 전열케이블
JPH10511502A (ja) 難燃性フラットケーブル製造の装置および方法
EP0880302B1 (en) Heating cable and method producing the same
JP201419188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0625784B1 (en) A coaxial electrical cable
RU2641654C2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процесса сшивания или вулканизации удлиненного элемента
JP2011187388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5595754B2 (ja) 超極細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27243B2 (ja) 絶縁シート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494794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409118B (zh) 电导线及其生产方法
WO2020044850A1 (ja) 電気絶縁ケーブル
CN112886493A (zh) 一种电力电缆中间接头熔接制作工艺及制品
JP2016152137A (ja) ヒューズ機能付き電線
CN112567479A (zh) 电绝缘线缆
JP2580413Y2 (ja) 絶縁電線および同軸ケーブル
US20160086690A1 (en) Cabl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91639A (ja) 端子付電線及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WO2023127114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