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803A - 안전점검시설 - Google Patents

안전점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803A
KR20190032803A KR1020170121086A KR20170121086A KR20190032803A KR 20190032803 A KR20190032803 A KR 20190032803A KR 1020170121086 A KR1020170121086 A KR 1020170121086A KR 20170121086 A KR20170121086 A KR 20170121086A KR 20190032803 A KR20190032803 A KR 2019003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rame body
pair
fram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834B1 (ko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평화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발판 플레이트, 상기 발판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앵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외측에 배치된 난간대 및 상기 앵글과 상기 난간대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수단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홈의 주변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안전점검시설{INSPECTING BRIDGE}
본 발명은 안전점검시설에 관한 것이다.
터널, 교량, 건물 등에는 각종 구조물이나 시설물 점검을 위한 점검로부와 작업자가 점검로부에 자유롭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점검로부와 연결된 사다리부를 포함하는 안전점검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점검로부와 사다리부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발판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외측에 장착된 난간을 각각 포함한다.
점검로부의 측면 프레임과 발판 프레임, 사다리부의 측면 프레임과 발판 프레임이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점검로부 형성 프레임과 사다리부 형성 프레임을 각각 준비해야 했다. 이에 안전점검시설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었다.
등록특허 제10-0554474호 (2006.02.16.) 등록특허 제10-0554473호 (2006.02.16.)
본 발명은 사다리부와 점검로부의 측면 프레임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여 안전점검시설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발판 플레이트, 상기 발판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앵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외측에 배치된 난간대 및 상기 앵글과 상기 난간대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수단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홈의 주변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결합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 및 상기 결합 홈 주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타면이 내부방향으로 사각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는 제3 홈과 제4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수직한 상기 제1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과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수직한 상기 제2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수직한 상기 제3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과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수직한 상기 제4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의 거리보다 길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3홈,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앵글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접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수직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는 각각 상기 결합수단의 관통홀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발판 프레임을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상기 앵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결합된다.
상기 안전점검시설은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위로 노출된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자일이 결합되는 안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홈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자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일은, 안전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롤러, 상기 롤러와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 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로프는 꼬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용 측면 프레임은,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일면과 타면에 각각 결합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 및 상기 결합 홈 주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타면이 내부방향으로 사각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는 제3 홈과 제4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수직한 상기 제1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과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수직한 상기 제2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수직한 상기 제3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과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수직한 상기 제4 홈의 가상의 중심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의 거리보다 길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3홈,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여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다리부와 점검로부의 측면을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 제3 홈과 제4 홈이 형성된 동일한 측면 프레임으로 형성하게 되어 사다리부의 측면 프레임과 점검로부의 측면 프레임을 각각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타면에 제3 홈과 제4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발판 플레이트와 난간대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프레임의 안전홈에 자일을 결합할 수 있다. 자일은 로프로 작업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점검로부를 따라 보행할 때 안전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점검로부 보행 중 발을 헛디뎌 발생할 수 있는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프레임과 발판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점검로부 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가이드 프레임에 안전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용 측면 프레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안전점검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안전점검시설용 측면 프레임이 적용된 안전점검시설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프레임과 발판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점검로부 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1)은 작업자가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보행이 가능한 점검로부(20) 및 점검로부(20)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점검로부(20)에 입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부(10)를 포함한다. 안전점검시설(1)의 사다리부(10)와 점검로부(20)는 각각 측면 프레임(11, 21), 발판 플레이트(12, 22), 앵글(13), 난간대(14) 및 결합수단(15)을 각각 포함하며, 점검로부(20)와 사다리부(10)의 측면 프레임(11, 21)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점검시설(1)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사다리부(10)의 측면 프레임(11)과 점검로부(20)의 측면 프레임(21)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하, 사다리부(10)의 측면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측면 프레임(11)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의 간격은 안전점검시설(1)의 설치 환경 및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은 프레임 본체(111), 보강바(113) 및 이탈방지편(114)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안전점검시설(1)의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 프레임(11)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레임 본체(111)를 정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비어 있다. 이에 프레임 본체(111)는 가볍고 기설정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11)의 일면(111c)과 타면(111d)에는 각각 외부둘레가 내부방향으로 사각형태로 함몰된 결합 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홈(112)은 일면(111c)에 형성된 제1 홈(112a), 제2 홈(112b) 그리고 타면(111d)에 형성된 제3 홈(112c) 및 제4 홈(112d)을 포함한다.
한편, 일면(111c)과 수직한 제1 홈(112a)의 가상의 중심(C1)과 프레임 본체(111)의 하면(111b)과의 거리(L1)는 프레임 본체(111)의 일면(111c)과 수직한 제2 홈(112b)의 가상의 중심(C2)과 프레임 본체(111)의 상면(111a)의 거리(L2)보다 짧다. 그리고 제1 홈(112a)의 가상의 중심(C1)과 제2 홈(112b)의 가상의 중심(C2) 거리(L5)는 상면(111a)과 제2 홈(112a)의 가상의 중심(C2) 거리 보다 길다.
또한, 프레임 본체(111)의 타면(111d)과 수직한 제3 홈(112c)의 가상의 중심(C3)과 프레임 본체(111)의 하면(111b)과의 거리(L3)는 프레임 본체(111)의 타면(111d)과 수직한 제4 홈(112d)의 가상의 중심(C4)과 프레임 본체(111)의 상면(111a)의 거리(L4)보다 길다. 그리고 제1 홈(112a)과 제3홈(112b), 제2 홈(112c)과 제4 홈(112d)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며 그 외부둘레들은 서로 떨어져 있다.
보강바(113)는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프레임 본체(111) 내부에 배치되어 프레임 본체(111) 일면과 타면의 내부둘레를 연결한다. 보강바(113)와 프레임 본체(11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바(113)는 프레임 본체(111)의 상면과 하면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일면과 타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편(114)은 프레임 본체(111) 일면과 타면에 위치하여 제1 홈(112a), 제2 홈(112b), 제3홈(112c) 및 제4 홈(112d)의 내부둘레와 일면과 타면의 경계부분에서 가상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에 제1 홈(112a), 제2 홈(112b), 제3 홈(112c) 및 제4 홈(112d)에는 각각 한 쌍의 이탈방지편(114)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이탈방지편(114)의 간격은 이탈방지편(114)이 돌출된 길이보다 길다.
한편, 사다리부(10)를 이루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은 지면과 접하며 타측은 점검로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발판 플레이트(12)는, 기설정된 넓이와 길이를 갖는다. 발판 플레이트(12)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 사이에 위치하여 그 양단이 측면 프레임(11)의 내측면과 접한다. 발판 플레이트(12)는 상면이 평행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발판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 홀 등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발판 플레이트(12)는 측면 프레임(11)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판 플레이트(12)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은 강도 보강을 위해 복수 구부러져 있으며,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발판 플레이트(12)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21)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재(121)는 발판 플레이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발판 플레이트(12)와 보강부재(12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앵글(13)은 발판 플레이트(12)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발판 플레이트(12)를 측면 프레임(11)에 결합한다. 앵글(13)은 측면 프레임(11)과 접하는 제1 고정부(131) 제1 고정부(131)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발판 플레이트(12)의 하면과 접하는 제2 고정부(132)를 포함한다. 앵글(13)은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15)으로 측면 프레임(11) 및 발판 플레이트(12)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수단(15)의 볼트 머리부분은 결합 홈(112)의 제1 홈(112a)과 제2 홈(112b)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나사부분은 앵글(13)을 관통한다. 나사부분에는 너트가 결합된다. 볼트 머리부분은 제1 홈(112a)과 제2 홈(112b)을 따라 측면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홈(112a)의 결합수단과 제2 홈(112b)의 결합수단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결합수단(15)의 이동으로 발판 플레이트(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수단(15)의 볼트 머리부분은 폭과 길이를 가지며 폭은 한 쌍의 이탈방지편(114)의 간격보다 좁고 길이는 한 쌍의 이탈방지편(114)의 간격보다 길다. 이에 결합 홈(112)에 위치한 볼트 머리부분이 한 쌍의 이탈방지편(114)의 내부둘레와 접하면 결합수단(15)은 결합 홈(112)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난간대(14)는, 측면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사다리부(10), 점검로부(20)를 보행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포스트(141)와 복수의 레일(142)을 포함한다.
포스트(14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측면 프레임(11)의 외측면에 접하여 결합수단(16)으로 고정되어 있다. 포스트(141)는 측면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레일(142)은 이웃한 포스트(141)를 연결하며 포스트(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난간대(14)의 포스트(141)와 레일(142)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안전점검시설(1)의 난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점검로부(20)의 발판 플레이트(22) 배치는 사다리부(10)의 발판 플레이트(12) 배치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점검로부(20)의 발판 플레이트(22)는 측면 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발판 플레이트(22)의 넓이는 사다리부(10)의 발판 플레이트(11)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1)은 발판 지지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 지지대(27)는 점검로부(20)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21) 사이에 배치되어 발판 플레이트(22)를 지지한다. 발판 지지대(27)는 측면 프레임(21)의 제1 홈(112a)에 삽입된 결합수단(15)에 의해 측면 프레임(21)과 결합된다.
도 7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시설(1)은 가이드 프레임(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28)은 점검로부(20)에 위치하여 측면 프레임(21)과 발판 플레이트(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28)은 측면 프레임(21)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28)의 내측면에는 외측면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안전홈(281)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홈(281)에는 가이드 프레임(28)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지턱(282)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홈(281)에는 작업자와 로프(400)로 연결된 자일(300)이 결합될 수 있다. 자일(300)은 안전홈(281)을 따라 움직이고 회전할 수 있는 롤러(310), 롤러(310)와 연결된 샤프트(320)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로프(400)가 연결되는 링부재(330)를 포함한다. 한편 롤러(310)와 샤프트(320) 사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링부재(330)가 샤프트(320)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작업자가 보행할 때 로프(400)는 꼬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샤프트(320)와 링부재(330)는 복수의 링크로 연결되어 작업자 보행 시 링크는 구부러질 수도 있다.
자일(300)은 보행자가 점검로부(20)를 보행할 때 롤러(310) 회전으로 안전홈(28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자일(300)은 롤러(310)가 방지턱(282)에 접하므로 가이드 프레임(28)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자일이 로프를 통해 작업자와 연결되어 있어 점검로부(20)를 보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안전점검시설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전점검시설(1)을 설치할 장소에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 발판 프레임(12), 앵글(13), 난간대(14) 등을 배치할 수 있으며, 사다리부의 측면 프레임(11)과 점검로부의 측면 프레임(21)은 브래킷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다리부는 지면을 기준을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고 점검로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사다리부의 경사와 점검로부의 평행은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사다리부(10)의 경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 사이에 발판 플레이트(12)를 배치하며 앵글(13)과 결합수단(15)으로 발판 플레이트(12)를 측면 프레임(11)에 고정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의 외측면에 난간대(14)를 설치한다.
점검로부(20)의 경우 한 쌍의 측면 프레임(21) 사이에 발판 지지대(27)를 배치하여 한 쌍의 측면 프레임(21)과 결합하고 발판 지지대(27)위에 측면 프레임(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판 플레이트(22)를 배치한다. 발판 플레이트(22)는 발판 지지대(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결합수단으로 발판 지지대(27)와 결합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21)과 발판 플레이트(22) 사이에 가이드 프레임(28)을 배치한다. 한편, 도 7과 같이 가이드 프레임(28)에 안전홈(281)이 형성된 경우 안전홈(281)에 자일(300)을 결합할 수 있다. 자일이 로프를 통해 작업자와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가 점검로부(20)를 따라 보행할 때 자일은 안전홈(28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점검로부(20) 보행 중 발을 헛디뎌 발생할 수 있는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안전점검시설 10: 사다리부
20: 점검로부 11, 21: 측면 프레임
111: 프레임 본체 111a: 상면
111b: 하면 111c: 일면
111d: 타면 112: 결합 홈
112a: 제1 홈 112b: 제2 홈
112c: 제3 홈 112d: 제4 홈
113: 보강바 114: 이탈방지편
12, 22: 발판 플레이트 121: 보강부재
13: 앵글 131: 제1 고정부
132: 제2 고정부 14: 난간대
141: 포스트 142: 레일
15, 16: 결합수단 27: 발판 지지대
28: 가이드 프레임 281: 안전홈
282: 방지턱

Claims (10)

  1.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발판 플레이트,
    상기 발판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앵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외측에 배치된 난간대 및
    상기 앵글과 상기 난간대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수단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홈의 주변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안전점검시설.
  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결합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 및
    상기 결합 홈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편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타면이 내부방향으로 사각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
    안전점검시설.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는 제3 홈과 제4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111c)과 수직한 상기 제1 홈의 가상의 중심(C1)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111b)과의 거리(L1)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111c)과 수직한 상기 제2 홈의 가상의 중심(C2)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111a)의 거리(L2)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111d)과 수직한 상기 제3 홈의 가상의 중심(C3)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111b)과의 거리(L3)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111d)과 수직한 상기 제4 홈의 가상의 중심(C4)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111a)의 거리(L4)보다 길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3홈,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여 이격되어 있는
    안전점검시설.
  4. 제1항에서,
    상기 앵글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접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수직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관통하는
    안전점검시설.
  5. 제4항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발판 프레임을 지지하는 발판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 지지대는 상기 앵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결합된
    안전점검시설.
  6. 제5항에서,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위로 노출된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안전점검시설.
  7. 제6항에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자일이 결합되는 안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홈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자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안전점검시설.
  8. 제7항에서,
    상기 자일은,
    안전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롤러,
    상기 롤러와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 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링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로프는 꼬이지 않는
    안전점검시설.
  9.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일면과 타면에 각각 결합 홈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 내부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바 및
    상기 결합 홈 주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편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과 타면이 내부방향으로 사각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
    안전점검시설용 측면 프레임.
  10. 제9항에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 제1 홈과 제2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는 제3 홈과 제4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111c)과 수직한 상기 제1 홈의 가상의 중심(C1)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111b)과의 거리(L1)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면(111c)과 수직한 상기 제2 홈의 가상의 중심(C2)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111a)의 거리(L2)보다 짧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111d)과 수직한 상기 제3 홈의 가상의 중심(C3)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면(111b)과의 거리(L3)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111d)과 수직한 상기 제4 홈의 가상의 중심(C4)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111a)의 거리(L4)보다 길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3홈, 상기 제2홈과 상기 제4홈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여 이격되어 있는
    안전점검시설용 측면 프레임.
KR1020170121086A 2017-09-20 2017-09-20 안전점검시설 KR10199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86A KR101994834B1 (ko) 2017-09-20 2017-09-20 안전점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86A KR101994834B1 (ko) 2017-09-20 2017-09-20 안전점검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03A true KR20190032803A (ko) 2019-03-28
KR101994834B1 KR101994834B1 (ko) 2019-07-01

Family

ID=6590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86A KR101994834B1 (ko) 2017-09-20 2017-09-20 안전점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53Y1 (ko) * 2019-04-04 2019-10-02 진효순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01Y1 (ko) * 2002-07-11 2002-10-09 최두영 비탈면 점검로
KR100554473B1 (ko) 2003-07-15 2006-03-03 이기재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0554474B1 (ko) 2003-07-15 2006-03-03 이기재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0651823B1 (ko) * 2005-07-20 2006-12-01 고재용 교량 점검로 지지구
KR20100005772U (ko) * 2008-11-27 2010-06-07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1024412B1 (ko)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교량 점검통로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01Y1 (ko) * 2002-07-11 2002-10-09 최두영 비탈면 점검로
KR100554473B1 (ko) 2003-07-15 2006-03-03 이기재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0554474B1 (ko) 2003-07-15 2006-03-03 이기재 도로 비탈면 전면부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0651823B1 (ko) * 2005-07-20 2006-12-01 고재용 교량 점검로 지지구
KR20100005772U (ko) * 2008-11-27 2010-06-07 강세민 건설현장용 작업발판 보호대
KR101024412B1 (ko) * 2010-10-06 2011-03-23 김옥형 교량 점검통로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53Y1 (ko) * 2019-04-04 2019-10-02 진효순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34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72B1 (ko) 승객 수송기용 트러스 구조물
JP6430569B2 (ja) 乗客コンベア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CN107848769B (zh) 运输装置特别是自动扶梯或移动步道
KR101994834B1 (ko) 안전점검시설
JP6433624B1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げ支援装置
JP5398619B2 (ja)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KR101186710B1 (ko) 신축이음장치를 구비한 교량용 종방향 점검로
JP6889630B2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ITUB20150688A1 (it) Dispositivo di guida per transenne provvisorie di ponteggi
JP2019206872A (ja) 繊維強化樹脂製歩廊
JP6024605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KR101839600B1 (ko) 경강선 보강을 이용한 일체형 안전교량점검로
KR20200120184A (ko) 작업용 발판
KR101867332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설치방법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JP2016175740A (ja) 乗客コンベア
KR102376323B1 (ko) 고소 앵글 구조물에 대한 안전 이동용 발판 체결수단
KR100758111B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JP6273995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6541628B2 (ja) 乗客コンベア、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据付方法
JP2018162127A (ja) 乗客コンベア
WO2021240649A1 (ja) 乗客コンベアの簡易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