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765A -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765A
KR20190030765A KR1020197006714A KR20197006714A KR20190030765A KR 20190030765 A KR20190030765 A KR 20190030765A KR 1020197006714 A KR1020197006714 A KR 1020197006714A KR 20197006714 A KR20197006714 A KR 20197006714A KR 20190030765 A KR20190030765 A KR 2019003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s
inductor
magnetic material
layer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524B1 (ko
Inventor
귀욤 레스토쿠오이
Original Assignee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01F27/385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for reducing harmon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자속 제거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은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인덕터는 제1 에너지 소스에 대한 커플링을 위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인덕터는 제2 에너지 소스에 대한 커플링을 위해 구성된다. 자성 물질의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진동 전류로 구동될 때에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실질적으로 상기 자성 물질의 층 내의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본 발명은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8월 8월에 출원되었으며,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2/372,034호를 우선권으로 수반하는 출원이다.
인덕터들은 신호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다양한 전기 회로들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고도의 공진 무전 전력 전송 시스템들도 에너지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인덕터들은 또한 상기 시스템의 입력 및/또는 출력 전류들 내의 고조파들의 충분한 필터링을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 이상을 전송하는 고전력의 무전 전력 송신 시스템들을 위해, 상기 인덕터들은 원하는 동작 특성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가 될 수 있다. 임피던스 밸런싱(impedance balancing)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 인덕턴스는 상기 시스템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각각의 AC 라인들 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별도의 동일한 인덕터들을 구현하는 바와 같이 원하는 값의 절반의 두 개의 균등한 인덕터들로 분할된다.
전력 전송 시스템들은 정류기들, AC(교류)-DC(직류) 컨버터들, 임피던스 정합 회로들 그리고 전자 장치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특성들을 조절하거나, 모니터하거나, 유지하거나 및/또는 변경하는 다른 전력 전자 기기들과 같은 전자 회로들에 의존할 수 있다. 전력 전자 기기들은 동적 입력 임피던스 특성들을 갖는 부하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들은 원하는 필터링 및 동작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RF 초크 인덕터들과 같은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덕터 시스템은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 물질의 양을 공유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페라이트의 평면형 조각이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에 의한 페라이트 물질의 공유는 전체 체적, 중량 및 상기 페라이트 물질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별도의 인덕터/페라이트 배치들을 갖는 종래의 구성들에 비해 자기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임피던스들은 자속 제거를 제공하는 상기 공유 페라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적과 이에 따른 중량 및 비용을 최소화하고, 전류/전압 정격들, 열 관리 및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설계 제한들을 충족하면서 효율을 최대화하는 평형 인덕터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유 페라이트를 구비하는 쌍으로 된 인덕터 패키지들은 방산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키며, 효율적인 회로 동작을 증진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평형 또는 정합 인덕터들이 정확한 임피던스의 정합을 요구하지 않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유 페라이트를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은 상기 공유 페라이트층 내의 일부 자속 제거를 요구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주로 인덕터들 사이에 개재되는 페라이트층들과 함께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동작 주파수들에서 허용 가능한 투자율을 갖는 임의의 적합한 자성 물질이 특정 응용의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방성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시스템은 제1 에너지 소스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진동 전류(oscillating current)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인덕터, 제2 에너지 소스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인덕터, 그리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 물질의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진동 전류로 각기 구동될 때에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자성 물질의 층 내의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다음의 특징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상기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zero)이 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무선 공진 전력 전송기(wireless resonant power transmitter)의 소스 코일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 전송기는 충전 플랫폼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평면형 권선들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자성 물질의 층은 다른 회로 구성 요소들과 공유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방법은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자성 물질의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인덕터는 제1 에너지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덕터는 제2 에너지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자속에 의해 제거되도록 진동 전류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한다.
방법은 다음 특징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이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무선 공진 전력 전송기의 소스 코일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전력 전송기는 충전 플랫폼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평면형 권선들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자성 물질의 층은 다른 회로 구성 요소들과 공유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시스템은 제1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인덕터, 제2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 인덕터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는 제2 인덕터, 그리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 물질의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이 각각의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자성 물질의 층 내의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시스템은 다음 특징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상기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이거나 및/또는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 자체도 다음의 도면들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 1은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인덕터들을 가지는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의 회로 구현예의 개략도이며,
도 3은 공유 페라이트층을 구비하는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전력 수신기들 및 전력 전송기들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a는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페라이트층에 연결되는 코어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자속 제거를 위해 페라이트층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포함하는 인덕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동일한 임피던스를 갖는 별도의 인덕터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b는 함께 가압된 이상적인 별도의 인덕터들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c는 자속 제거를 위해 공유 페라이트층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6은 공유 페라이트 인덕터 시스템에 대한 온도 정보의 적외선 사진이고,
도 7은 다중의 자속 제거들을 구비하는 공유 페라이트 인덕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8은 자성 물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면형 조각들을 상에 위치하는 공진기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는 인터리브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전 전력 수신기의 회로 구현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0a는 인터리브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전 전력 수신기의 회로 구현예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0b는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도 10a의 무전 전력 수신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평형 인덕터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0c는 도 7과 유사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인터리브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진동 전류(oscillating current)로 구동될 때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인덕터(inductor)들의 각각의 권선들이 자성 물질층 내에 실질적인 자속 제거(magnetic flux cancellation)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 물질의 일부의 공유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인덕터들을 갖는 인덕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상기 인덕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상호 자속 제거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층의 페라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페라이트층 내의 자속 제거는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inductance) 값들 및/또는 임피던스(impedance)들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원하는 동작 특성들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공유된 페라이트를 요구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실질적인 자속 제거는 상기 공유 자성 물질 내에 발생되는 자속의 평균적으로 75%, 80%, 90%, 96%, 95% 또는 99% 이상이 자속을 대향시켜 제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자속 제거는 상기 공유 자성 물질의 일부들에서 일어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자속 제거는 상기 공유 자성 물질의 체적에 걸쳐 불균일하거나 일정하지 않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속은 실질적으로 상기 공유 자성 물질의 체적의 중심 부근에서 제거될 수 있는 반면, 일부 자속은 상기 공유 자성 물질의 체적의 에지들 부근에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이에 따라, 상기 공유 자성 물질의 체적의 일부 내에 일부 영(zero)이 아닌 순(net) 자속이 야기된다).
도 1은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속 제거를 위해 공유 페라이트를 갖는 인덕터 시스템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고수준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에 대한 입력 전력은, 예를 들면, AC/DC 컨버터 블록(102)에서 DC로 전환되는 벽의 전력(wall power)(AC 메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DC 전압은 배터리 또는 다른 DC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 블록(102)은 역률 보상(power factor correction: PFC) 스테이지가 될 수 있다. 상기 PFC는 상기 AC 입력(예를 들면, 50㎐ 또는 60㎐)을 DC로 전환시키는 것 이외에도 전류가 전압과 실질적으로 위상이 같아지도록 상기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고효율 스위칭 인버터(switching inverter) 또는 증폭기(amplifier)(104)는 상기 DC 전압을 소스 공진기(source resonator)(106)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AC 전압 파형으로 전환시킨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AC 전압 파형의 주파수는 8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AC 전압 파형의 주파수는 10㎑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C 전압 파형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FCC 및 CISPR 규정들로 인해 15㎑의 대역 이내에서 변화될 수 있는 약 6.78㎒이다. 소스(전송기)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pedance matching network: IMN)(108)는 상기 인버터(104) 출력을 상기 소스 공진기(106)에 효율적으로 연결하며, 효율적인 스위칭 증폭기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클래스 D 또는 E 스위칭 증폭기들이 많은 응용들에서 적합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효율을 위해 유도 부하 임피던스(load impedance)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소스 IMN(108)은 상기 소스 공진기 임피던스를 이와 같은 상기 인버터(104)를 위한 임피던스로 변환시킨다. 상기 소스 공진기 임피던스는, 예를 들면, 장치(수신기) 공진기(110) 및/또는 출력 부하(load)에 대한 연결에 의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소스 공진기(106)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은 상기 장치 공진기(11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압이 유도된다. 이러한 에너지는, 예를 들면, 부하에 직접 전력을 인가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장치 공진기(110)의 출력에 연결된다. 장치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N)(112)는 상기 장치 공진기(110)로부터의 에너지를 부하(114)에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소스 공진기(106) 및 장치 공진기(110) 사이의 전력 전송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최적의 효율을 위한 부하 인가에 보다 가깝게 정합되는 상기 장치 공진기(110)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적인 부하 임피던스로 변환시킬 수 있다. DC 전압을 요구하는 부하들을 위하여, 정류기(rectifier)(116)는 상기 수신된 AC 전력을 DC로 전환시킨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스(전송기)(118) 및 장치(수신기)(120)는 각기 필터들, 센서들 및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N)들(108, 112)은 원하는 주파수(예를 들어, 80㎑-90㎑, 100㎑-200㎑, 6.78㎒)에서 상기 부하(114)에 전달되는 전력을 최대화하거나, 전력 전송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IMN들(108, 112) 내의 임피던스 정합 구성 요소들은 공진기들(106, 110)의 높은 큐 인자(quality factor: Q) 값을 보존하기 위해 선택되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IMN들(108, 112)의 구성 요소들은, 예를 들면, 커패시터 또는 커패시터들의 네트워크들, 인덕터 또는 인덕터들의 네트워크들, 혹은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다이오드들, 스위치들 및 레지스터들의 다양한 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N들의 구성 요소들은 조정 가능하거나 및/또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의 효율과 동작점(operating point)에 영향을 미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은 가변 커패시턴스, 가변 인덕턴스, 상기 공진기의 연결점의 제어, 자성 물질의 투자율의 조정, 바이어스 자기장(bias field)의 제어, 여기 주파수의 조정 및 이들과 유사한 것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고정 주파수, 고정 입력 전압 등을 갖는 고정 정합(예를 들어, 고정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등)을 구비하는 시스템은 여전히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가변 주파수, 입력 전압 구성 요소의 효과적인 값은 상기 정합 및/또는 상기 출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은 임의의 숫자의 버랙터(varactor)들, 버랙터 어레이들, 스위치된 요소들, 커패시터 뱅크들, 스위치되고 조정 가능한 요소들, 역바이어스 다이오드들, 에어 갭 커패시터들, 압축 커패시터들, 바륨 지르코늄 타이타네이트(BZT) 전기 조정 커패시터들, 미세 전자 기계(MEMS)-조정 가능 커패시터들, 가변 전압 유전체들, 변압기 연결 조정 회로들 및 이들과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결합을 사용할 수 있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구성 요소들은 기계적으로 조정되거나, 전기적으로 조정되거나, 압전적으로 조정되거나, 이와 유사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의 요소들은 실리콘 장치들, 갈륨 나이트라이드 장치들, 실리콘 카바이드 장치들 및 이들과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은 높은 전류, 높은 전압, 높은 전력, 또는 전류, 전압 및 전력의 임의의 결합을 견디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은 높은 큐(Q) 계수의 요소들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진동 전자기 에너지를 자속 제거를 갖는 평형(balanced) 인덕터들(L3da, L3db)을 구비하는 장치 또는 수신기측 회로(장치 공진기 및 장치 IMN를 포함함)(206)에 연결하는 결합 인자(coupling factor)(k)를 갖는 소스 또는 전송기측 회로(소스 공진기 및 소스 IMN를 포함함)(204)에 전력을 인가하는 인버터(202)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2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덕터는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속 제거뿐만 아니라 디커플링(decoupling)과 원하는 필터링 및 저지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평형 인덕터들(L3Sa, L3Sb)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장치측 인덕터(L3d)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L3da 및 L3db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기 내의 전압 조정은 고주파, 와이파이(WiFi) 및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구현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신기와의 통신은 상기 전력 전송기가 상기 증폭기를 구동시키는 DC 버스 전압을 변화시켜 그 공진기들의 자기장 강도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상대적으로 느린 WiFi 루프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에너지는 이후에 상기 정류기(208)에 의해 전환된다. 상기 소스측 회로(204) 구성 요소들은 소스 공진기 코일(Ls)(210), 직렬 커패시터들(C1sa)(212)(위치 1에서), 병렬 커패시터(C2s)(214)(위치 2에서), 그리고 커패시터들(C3sb)(216)과 인덕터(L3sa, L3sb)(218)(위치 3에서)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패시터(C1sa)(21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열거된 각각의 상기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위치 1 및 위치 3에서의 구성 요소들이 평형이 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이나 구성 요소들의 그룹들을 나타낼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장치측 회로(206) 구성 요소들은 장치 공진기 코일(Ld)(222), 직렬 커패시터들(C1da)(224)(위치 1에서), 병렬 커패시터(C2d)(226)(위치 2에서), 그리고 커패시터들(C3db)(228)과 인덕터(L3da, L3db)(230)(위치 3에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3sa)(216)는 PWM 제어 커패시터, 커패시터들의 스위치된 뱅크 및 버랙터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변 커패시터들은 분리되거나 연속적인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들이 될 수 있다. 특정 응용의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임의의 커패시터가 가변 커패시턴스를 구비할 수 있거나 구비하는 커패시터들이 없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소스 및/또는 장치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N)들이 특정 응용을 위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임피던스를 갖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는 넓은 범위의 회로 구현들을 가질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Kesl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461,719호에는, 예를 들면 도 28a-도 37b에서와 같은 다양한 조정 가능한 임피던스 네트워크들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임의의 실질적인 숫자의 스위치된 커패시터들이 원하는 동작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스 및/또는 장치측 상에 사용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시한 실시예들이 고도의 공진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들과 함께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상호 자속 제거를 제공하도록 감긴 각각의 제1 및 제2 인덕터 권선들 사이에 개재된 페라이트(또는 다른 물질)층을 갖는 인덕터들이 공간 감소, 디커플링 및/또는 효율적인 회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회로들에 적용 가능한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평형 인덕터들(L3sa, L3sb)은 각기 약 25mH의 인덕턴스를 제공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들은 약 50A의 전류까지 견딜 수 있다.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평형 인덕터들(L3sa, L3sb)은 자속 제거를 제공하기 위해 자성 물질의 층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평형 인덕터들의 형상과 치수들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낮은 프로파일 인덕터가 상기 인덕터를 전력 전송기 PT의 소스 코일 아래에 배치하고(도 3),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인덕터는 교류가 상기 인덕터의 코일을 통해 흐를 때에 자기장 내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동 2단자 장치를 언급한다. 상기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상기 도체 내에 전압을 유도하는 시변(time-varying) 자기장을 가져온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덕터는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도록 철이나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 또는 준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 코어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성 코어는 이의 보다 높은 자기 투자율로 인해 상기 자기장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천의 인자들에 의해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강자성 코어 코일을 통한 전류가 특정 레벨에 도달할 경우, 상기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남지 않도록 상기 자성 코어가 포화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보다 높은 주파수 응용들을 위해, 인덕터 코어들은 통상적으로 비도전성 세라믹 준강자성 물질인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변압기가 일차 권선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차 권선들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장치로 언급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일차 권선은 상기 일차 권선 내의 변화하는 전류가 연결된 이차 코일 내에 전압을 유도하는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에너지 소스에 연결된다. 상기 변압기의 일차 및 이차 권선들은 연결되어야 하며, 이 경우에 상기 커플링은 1에 가까울 수 있다.
변압기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인덕터들은 분리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인덕터들의 커플링은 0.04 아래가 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들의 디커플링은 상기 공유 페라이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은 전력 전송기의 충전 플랫폼에 근접하는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력 전송기는 전력 수신기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수신기가 전송기 상부나 주위에 배치되면서, 부하 임피던스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유 페라이트층 및 상호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권선들을 갖는 인덕터 시스템은 인덕터 요소들에 대해 요구되는 공간의 양을 감소시켜 보다 낮은 프로파일 전력 전송기들 및/또는 전력 수신기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력 전송기들은 전기 차량들을 충전하기 위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에너지 전송을 제공한다. 고전력 충전소의 크기 및/또는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한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수신기는 약 2㎝의 높이를 가지며, 전력 전송기는 약 10㎝부터 약 25㎝까지의 범위가 될 수 있는 최저 지상고(ground clearance)를 구비하는 약 5㎝의 높이를 가진다. 이들 치수들은 단지 예시적인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4a는 대문자 "E"의 경우와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코어(402)를 포함하는 평형 인덕터 시스템(400)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부분(400)은 상기 코어(402)에 연결되는 페라이트층(404)을 포함한다. 플레이스 홀더(placeholder) 물질(406)은 상기 코어(402)에 대한 권선들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코어에 인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페라이트층(404)은 상기 권선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코어(402)에 고정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시스템은 권선들이 주위에 감길 수 있는 선택적인 보빈(bobbin)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은 임의의 적합한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물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균등하게 크기가 조절된 권선들을 구현하고, 권선들 및 페라이트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E자 형상의 코어와 함께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CC(또는 UU), EC, ETD, PQ, POT 코어 및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실제적인 코어 형상들 및/또는 유형들이 사용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페라이트 또는 자성 물질의 단일 조각이 영역들(402, 404)의 결합의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개재되는 공유 페라이트층(454)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평형 인덕터들(450, 452)을 포함하는 인덕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공유 페라이트층(454)은 상기 제1 및 제2 평형 인덕터들(450, 452)을 서로로부터 자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의 커플링은 .06, .05, .04, .03, .02, .01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450, 452)은 갭(gap)으로 분리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450, 452)의 권선들(456, 458)은 순 자속(net flux)이 실질적으로 영이 될 수 있도록 상기 권선들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감긴 방향으로 구성된다. 즉, 순 자속 제거를 위해 하나의 권선의 자속이 다른 하나의 권선의 자속을 제거하며, 그 역으로도 된다. 상기 통합 인덕터의 권선들(456, 458)은 상기 제1 인덕터(450)의 인덕턴스(및 임피던스) 값들 및 상기 제2 인덕터(452)의 인덕턴스(및 임피던스) 값들이 실질적으로 정합되도록 상기 공유 페라이트층(454)에 대칭이 될 수 있다.
도 5a는 각각의 상기 인덕터들에 대해 페라이트 내에 유사한 자속을 가져오는 동일한 전류를 운반하도록 임피던스가 정합되는 이상적인 분리된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도시한다. 도 5b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이 완전히 함께 가압되고(이들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음), 전류가 도 5a에 도시한 경우와 동일한 배향을 가지는 이상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인덕터들은 콘택을 갖는 상기 공유 페라이트의 일부들 내에 대략 영의 순 자속을 가져오는 동일한 강도를 가지고 대향하는 방향들로 진행하는 자속을 나른다. 완전한 자속 제거를 방지하는 상기 두 개의 인덕터들 사이의 공기의 층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분리된 인덕터들을 함께 가압하여 이러한 이상적인 경우를 구현하기가 실제로 불가능한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5c는 자속 제거를 가져오는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페라이트의 플레이트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권선들(W1, W2)을 도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 권선들(W1, W2)은 페라이트의 일부를 공유하지만, 상기 페라이트의 공유된 부분이 하나의 권선에 의해 링크된 자속이 다른 하나에 의해 링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인덕터들이 상당하게 자기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권선들(W1, W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들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을 제거하기 위해 감긴다. 즉, 상기 제1 권선(W1)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은 상기 제2 권선(W2)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을 제거하며(상기 공유 페라이트 플레이트 내에서), 그 반대로도 된다. 상기 공유 페라이트가 상대적으로 낮은 순 자속을 보이기 때문에, 상기 페라이트의 두께는 포화를 야기하지 않고 분리된 인덕터 구성보다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페라이트 물질 체적 및 중량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도 5c의 구성 내에 제공되는 자속 제거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들 사이의 영역 내의 도 5b와 관련하여 알 수 있다. 제1 자속(F1)은 상기 제1 권선(W1)에 의해 발생되고, 제2 자속(F2)은 제2 권선(W2)에 의해 발생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1 및 F2는 대향하는 방향이다. F1 및 F2는 도 5c의 공유 페라이트 인덕터 시스템의 공유 페라이트층 내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5c에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들(W1, W2) 사이에 자속이 나타나지 않는다(영의 순 자속).
전력 인가 시에, 상기 낮은 자속의 페라이트의 부분은, 예를 들면 열로 인하여 무시할 수 있는 손실들을 나타낸다. 보다 많은 열이 상기 공유 페라이트에 대하여 나머지 페라이트 물질 내에서 소실되는 반면에 자속 제거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페라이트 물질의 공유 부분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남아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유 페라이트는 효율적인 회로 동작을 증진시킨다.
도 6은 공유 페라이트층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권선들을 갖는 공유 페라이트 인덕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적외선 사진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권선들 사이의 페라이트층은 상대적으로 차갑다. 상기 페라이트층이 이근의 구성 요소들로부터의 열전달로 인하여 시간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페라이트가 파손되는 상대적으로 부서지기 쉬운 물질이 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두께는, 예를 들면 네트(net)가 실질적으로 영으로 될 수 있는 자속 레벨들을 처리하기 위한 것보다는 구조적인 완전성을 향상시키도록 보다 커질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형 권선들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평면형 권선들을 구비하는 인덕터 실시예들이 특정 응용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코어 물질, 표준 크기 유용성, 권회의 숫자 및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원하는 구현예를 달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덕터 시스템은 공간 감소의 이유를 위해서나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과 같은 특정 응용의 필요성을 만족시키도록 다중의 페라이트층들을 구비하는 두 개 이상, 예를 들어 네 개의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유 페라이트 조각들(704a, 704b) 및 상응하는 자속 제거를 구비하는 네 개의 코어들(702a, 702b, 702c, 702d)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공유 페라이트 인덕터 시스템(700)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거된 자속을 겪는 4개의 권선의 인덕터 시스템(712)의 일부들(708, 710)은 네 개의 분리된 인덕터들을 위해 원래 필요한 것보다 얇을 수 있는 페라이트의 조각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 페라이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각들은 참조 부호708로(일점쇄선들로) 표기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유 페라이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각들은 참조 부호 710으로(파선들로) 표기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페라이트 또는 자성 물질의 단일 조각이 영역들(708, 710)의 결합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무전 전력 전송기 또는 수신기는 무전 전력 전송 또는 수신의 부품으로 자성 물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은 자성 물질(804)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면형 조각들 상에 배치되는 공진기 코일(802)을 포함하는 무전 전력 전송기(800)를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러한 자성 물질(804)의 부분은 전력 전송을 위해 상기 공진기 코일(80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관련하여 낮은 자속을 가질 수 있다. 자성 물질(802)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각들 아래에는 IMN 또는 구동 구성 요소들과 같은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는 공간(806)이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덕터들(L3sa, L3sb, L3da 또는 L3db)을 위한 것과 같이 상기 IMN 내의 인덕터 내에 사용되는 E-코어(808)는 자성 물질(804) 상부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물질(804)의 일부는 상기 IMN 또는 다른 회로들 내에 사용되는 인덕터를 완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진기 코일(802) 및 인덕터(L3sa)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위상에 따라, 상기 자성 물질(804)의 일부 내의 상기 자속의 일부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진기 코일(802)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위상은 상기 전력 레벨, 부하 조건 그리고 무전 전력 시스템의 가변 파라미터들(전류, 전압, 효율,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이들과 유사한 것과 같은)의 상태에 기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저활용되는(underutilized) 자성 물질의 일부는 상기 무전 전력 시스템 내의 상기 IMN 또는 다른 회로 내의 인덕터의 구성과 관련된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력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형인 인덕터들을 위한 자속 제거를 가질 수 있는 인터리브(interleaved) 정류기를 포함한다. 수신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정류기는, 예를 들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DC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인덕터 자속 제거를 가질 수 있는 인터리브 정류기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수신기는 평형 전자 구성 요소들(902A, 902B)을 갖는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IMN)의 제1 스테이지(902)에 연결되는 공진기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들 전자 구성 요소들(902A, 902B)은 조정 가능한 커페시터들 및/또는 인덕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N의 이러한 제1 스테이지(902)는 상기평형 전자 구성 요소들을 갖는 IMN의 제2 스테이지(904)에 연결된다. 평형이 되는 구성 요소들은,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의 섭동(perturbation)들로 인해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공통 모드 신호를 거부할 수 있기 위해 중요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분기(branch)들(904A, 904C)이 양의 리액턴스(reactance)(+jX)를 가지며, 각각의 하부 분기들(904B, 904D)이 음의 리액턴스(-jX)를 가지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제2 스테이지(904)의 상기 양의 리액턴스(+jX)의 분기들(904A, 904C)은 제1 정류기(906A)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스테이지(904)의 상기 음의 리액턴스(-jX)의 분기들(904B, 904D)은 제2 정류기(906B)에 연결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양 및 음의 리액턴스 값들의 절대값이 서로 같을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양의 리액턴스의 절대값은 상기 음의 리액턴스 이상 또는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들 정류기들(906A, 906B)의 출력들은 배터리 또는 배터리 관리기와 같은 상기 부하(909)에 연결되도록 함께 추가된다. 상기 "인터리브 정류(interleaved rectification)"의 효과가 서로에 대해 잠재적으로 위상이 다를 수 있는 정류된 신호들의 재결합인 점에 유의한다. 이는 상기 결합된 신호 출력에 대해 평활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터 자속 제거를 구비할 수 있는 인터리브 정류기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심 조각의 페라이트는 인터리브 정류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쌍으로 된 인덕터들을 자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의 커플링은 0.04 아래이다. 상기 수신기는 커패시터(C1A) 및 커패시터(C1B)에 직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C2)에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L1)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들(N1, N2)에는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C3A")에 직렬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고정 커패시터(C3A') 및 커패시터(C3B")에 직렬로 연결되는 선택적인 고정 커패시터(C3B')가 연결된다(조정 가능한 커패시터들에 대한 앞서의 예들 참조). 상기 상부 분기들 상의 구성 요소들이 상기 하부 분기들 상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의 구성 요소들과 평형이 되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C1A)는 커패시터(C1B)와 평형이 된다. 또한, 이러한 평형은 상기 공진기 코일(L1)의 중심점에 나타낸 가상의 접지(302)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노드(N3)에는 커패시터(C4A)에 연결되는 인덕터(L4A)를 포함하는 제1 분기 및 커패시터(C4B)에 연결되는 인덕터(L4B)를 포함하는 제2 분기가 연결된다. 상기 인덕터들 및 커패시터들이 서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제1 분기에서, 양의 리액턴스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상기 인덕터(L4A)의 리액턴스는 상기 커패시터(C4A)의 리액턴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분기에서, 음의 리액턴스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상기 인덕터(L4B)의 리액턴스는 상기 커패시터(C4B)의 리액턴스보다 작을 수 있다.
노드(N4)에는 커패시터(C4C)에 연결되는 인덕터(L4C)를 포함하는 제3 분기 및 커패시터(C4D)에 연결되는 인덕터(L4D)를 포함하는 제4 분기가 연결된다. 상기 인덕터들 및 커패시터들이 서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C4)에 직렬로 연결되는 상기 인덕터(L4)는 상기 정류기의 입력으로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통과시키도록 필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3 분기에서, 양의 리액턴스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상기 인덕터(L4C)의 리액턴스는 상기 커패시터(C4C)의 리액턴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4 분기에서, 음의 리액턴스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동작 주파수에서의 상기 인덕터(L4D)의 리액턴스는 상기 커패시터(C4D)의 리액턴스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인덕터들(L4) 및/또는 커패시터들(C4) 중의 임의의 것이 조정 가능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제1 분기의 출력은 상기 제1 정류기(Rec1)의 입력(I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분기의 출력은 Rec1의 입력(I2)에 연결된다. 상기 제3 분기의 출력은 상기 제2 정류기(Rec2)의 입력(I3)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분기의 출력은 Rec2의 입력(I4)에 연결된다. 각각의 상기 정류기들이 하프-브리지, 풀-브리지, 수동(다이오드)형 또는 능동(스위칭)형 정류기가 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10㎾, 15㎾, 20㎾ 이상의 출력을 갖는 무선 전력 시스템은 상기 부하에 높은 효율의 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스위칭 정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특정 전력 레벨들에서, 다이오드 정류기가 매우 높은 전력 레벨들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정류기(Rec2)의 출력(O3)은 출력들(O1, O3)이 전기적으로 추가되도록 노드(N5)에서 연결된다. 정류기(Rec2)의 출력(O4)은 출력들(O2, O4)이 전기적으로 추가되도록 노드(N6)에서 연결된다. 결합된 출력들(O1+O2 및 O3+O4)은 평활(smoothing) 커패시터(C5)에 병렬로 연결된다. 배터리 또는 배터리 관리기와 같은 부하(114)가 상기 평활 커패시터(C5)에 병렬도 연결된다.
도 10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터(L4A) 및 인덕터(L4C)는 코어(SC1)를 공유하고, 페라이트층(SF1)을 공유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덕터(L4A) 및 인덕터(L4C)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은 흐름이 대항하는 방향들이기 때문에 상기 공유 페라이트층(SF1) 내에서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인덕터(L4A)와 인덕터(L4C)는 추가로 자기적으로 분리된다. 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인덕터들(L4B, L4D)은 공유 페라이트층(SF2) 내의 자속이 이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제거되는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인덕터(L4B)와 인덕터(L4D)는 추가로 자기적으로 분리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터리브 정류기를 구비하는 무전 전력 장치를 위한 인덕터들(L4A, L4C, L4B, L4D)은 도 7에 도시한 경우와 일부 유사성을 가질 수 있는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권선 구성들이 특정 응용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도록 다중의 자속 제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네 개의 인덕터들(L4A, L4B, L4C, L4D)은 상기 페라이트의 공유된 부분들이 하나의 인덕터에 의해 링크된 자속이 다른 하나에 의해 링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자기적으로 상당하게 연결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념들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들 또한 이용될 수 있는 점이 분명해질 것이다. 여기서 언급된 모든 공개 문헌들과 참조 문헌들은 전체적으로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여기서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앞서 상세하게 설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단일 실시예의 내용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한 별도로 제공될 수 있거나 임의의 적합한 하위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에너지 소스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진동 전류(oscillating current)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인덕터;
    제2 에너지 소스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 물질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진동 전류로 각기 구동될 때에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자성 물질의 층 내의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상기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ze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무선 공진 전력 전송기의 소스 코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기는 충전 플랫폼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평면형 권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의 층은 다른 회로 구성 요소들과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 및 제2 인덕터들 사이에 자성 물질의 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덕터는 제1 에너지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덕터는 제2 에너지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자속에 의해 제거되도록 진동 전류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무선 공진 전력 전송기의 소스 코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기는 충전 플랫폼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각의 평면형 권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의 층은 다른 회로 구성 요소들과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인덕터;
    제2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 인덕터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에 배치되는 자성 물질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이 각각의 진동 전류에 의해 구동될 때, 상기 제1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자성 물질의 층 내의 상기 제2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은 각기 제1 및 제2 E자 형상의 코어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로부터의 제거된 자속의 네트(net)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을 통한 상기 진동 전류가 실질적으로 정합될 때에 상기 자성 물질층의 일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층은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과 결합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 동안에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97006714A 2016-08-08 2017-08-08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KR102017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2034P 2016-08-08 2016-08-08
US62/372,034 2016-08-08
PCT/US2017/045901 WO2018031547A1 (en) 2016-08-08 2017-08-08 Inductor system having shared material for flux cance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765A true KR20190030765A (ko) 2019-03-22
KR102017524B1 KR102017524B1 (ko) 2019-09-03

Family

ID=5968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714A KR102017524B1 (ko) 2016-08-08 2017-08-08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959972B2 (ko)
EP (1) EP3497778B1 (ko)
JP (1) JP6880172B2 (ko)
KR (1) KR102017524B1 (ko)
CN (1) CN109690903B (ko)
AU (1) AU2017308819B2 (ko)
CA (1) CA3032765C (ko)
WO (1) WO2018031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3535B2 (en) 2010-04-08 2019-07-0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antenna alignment adjustment system for vehicles
US9561730B2 (en) * 2010-04-08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electric vehicles
CN107134358A (zh) * 2016-02-26 2017-09-0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电感绕制方法及装置
JP6059837B1 (ja) * 2016-03-22 2017-01-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ンテナ制御装置、アンテナ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アンテナ制御システム
WO2018031547A1 (en) * 2016-08-08 2018-02-15 Witricity Corporation Inductor system having shared material for flux cancellation
CN106685233B (zh) * 2017-01-12 2019-04-05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无源升压网络和应用其的dc-dc升压变换器
WO2019036501A1 (en) * 2017-08-14 2019-02-21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Inc. LOW VOLTAGE WIRELESS POWER TRANSFER BUFFER
JP6885834B2 (ja) * 2017-09-19 2021-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用の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
CN115148476A (zh) * 2017-12-23 2022-10-04 乾坤科技股份有限公司 耦合电感器及其制作方法
US11462943B2 (en) 2018-01-30 2022-10-04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DC link charging of capacitor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pad
US11437854B2 (en) 2018-02-1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EP3534494B1 (en) * 2018-02-28 2022-04-06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 Ltd. Wireless high power transfer
JP6965793B2 (ja) * 2018-03-05 2021-11-10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11418165B2 (en) * 2018-03-16 2022-08-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Matching networks, inductors, and coupled-inductor capac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circuit and related techniques
ES2730451B2 (es) * 2018-05-09 2020-10-06 Power Electronics Espana S L Inversor solar fotovoltaico modular
KR20210096131A (ko) 2018-11-30 2021-08-04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고전력 무선 전력 시스템에서의 저전력 여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713804A (zh) * 2018-12-24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谐振补偿装置、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US11749433B2 (en) * 2019-03-05 2023-09-05 Astec International Limited Transformers having integrated magnetic structures for power converters
WO2020242990A1 (en) 2019-05-24 2020-12-03 Witricity Corporation Protection circuits for wireless power receivers
US11783984B2 (en) * 2019-06-10 2023-10-10 Crestron Electronics, Inc. Inductor apparatus optimized for low power loss in class-D audio amplifier appli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4022739A1 (en) 2019-08-26 2022-07-06 Witricity Corporation Control of active rectifica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US20220393510A1 (en) * 2019-09-11 2022-12-08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Active electromagnetic shielding for high power dynamic wireless charging
CN115023879A (zh) 2020-01-29 2022-09-06 韦特里西提公司 用于无线电力传输系统的辅助电源掉电保护
KR102659781B1 (ko) 2020-03-06 2024-04-22 위트리시티 코포레이션 무선 전력 시스템들에서의 능동 정류
US11936196B2 (en) * 2020-04-16 2024-03-19 Inductev Inc. Failsafe safety circuits for protection from faults or loss of rectification control during wireless power transf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8577A (ja) * 2012-10-10 2014-05-01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フェーズコンバータ用の複合リアク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フェーズコンバータ
KR20150036460A (ko) * 2012-07-09 2015-04-07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자속 결합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자기 구조물
JP2015115434A (ja) * 2013-12-11 2015-06-2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磁気結合インダクタおよびマルチポートコンバータ
JP2016063050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磁気結合リアクトル及び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824A (en) 1976-09-27 1978-04-13 Hitachi Ltd Combining circuit
JPH05244028A (ja) 1992-02-28 1993-09-21 Aiphone Co Ltd 高周波電力分配装置
JPH07139545A (ja) * 1993-11-15 1995-05-30 Toshiba Corp 磁気軸受装置
JP2729937B2 (ja) * 1996-02-28 1998-03-1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複合コイル
JPH11186054A (ja) * 1997-12-22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気部品
JPH11340058A (ja) * 1998-03-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複合磁気部品
JP5297076B2 (ja) 2008-04-24 2013-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磁気相殺型変圧器
CA2738654C (en) 2008-09-27 2019-02-2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9601266B2 (en) * 2008-09-27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Multiple connected resonators with a single electronic circuit
JP5062439B2 (ja) * 2009-04-28 2012-10-31 Tdk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用pfcチョークコイル
JP5307105B2 (ja) 2010-01-06 2013-10-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複合型巻線素子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変圧器、変圧システムおよびノイズカットフィルタ用複合型巻線素子
PL221896B1 (pl) 2011-03-23 2016-06-30 Akademia Górniczo Hutnicza Im Stanisława Staszica W Krakowie Zintegrowany element indukcyjny
AU2012289855A1 (en) * 2011-08-04 2014-03-13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power architectures
WO2013114978A1 (ja) 2012-02-01 2013-08-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端末装置
WO2015129915A1 (ja) * 2014-02-28 2015-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接触給電装置
US9876437B2 (en) * 2014-09-26 2018-01-2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Interleaved transformer/inductor
EP3034002B1 (en) * 2014-12-18 2017-03-29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Inductive rotary joint with multimode inverter
EP3369177B1 (en) * 2015-10-29 2019-05-29 WiTricity Corporation Controllers for wireless power systems
US20170256991A1 (en) * 2016-03-07 2017-09-07 Witricity Corporation Cross-Connection Detec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CN109219914B (zh) * 2016-05-05 2022-08-02 韦特里西提公司 用于通过电压调节来进行阻抗匹配的方法和设备
CN109478871B (zh) * 2016-06-30 2022-08-02 韦特里西提公司 二极管导通传感器
WO2018031547A1 (en) * 2016-08-08 2018-02-15 Witricity Corporation Inductor system having shared material for flux cance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6460A (ko) * 2012-07-09 2015-04-07 오클랜드 유니서비시즈 리미티드 자속 결합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자기 구조물
JP2014078577A (ja) * 2012-10-10 2014-05-01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フェーズコンバータ用の複合リアク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フェーズコンバータ
JP2015115434A (ja) * 2013-12-11 2015-06-2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磁気結合インダクタおよびマルチポートコンバータ
JP2016063050A (ja) * 2014-09-17 2016-04-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磁気結合リアクトル及び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1547A1 (en) 2018-02-15
US20180218832A1 (en) 2018-08-02
AU2017308819B2 (en) 2019-06-06
CA3032765A1 (en) 2018-02-15
CN109690903A (zh) 2019-04-26
US10199160B2 (en) 2019-02-05
CN109690903B (zh) 2020-06-09
AU2017308819A1 (en) 2019-02-14
EP3497778A1 (en) 2019-06-19
JP2019527939A (ja) 2019-10-03
US9959972B2 (en) 2018-05-01
JP6880172B2 (ja) 2021-06-02
EP3497778B1 (en) 2021-01-13
KR102017524B1 (ko) 2019-09-03
US20180040416A1 (en) 2018-02-08
CA3032765C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524B1 (ko) 자속 제거를 위한 공유 물질을 구비하는 인덕터 시스템
KR102230564B1 (ko) 인터리빙된 정류기들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9923584B2 (en) Rectifier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with impedance inverting filters for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2013542700A (ja) 共振電力送信システムの電力変換器及び共振電力送信装置
KR101312532B1 (ko) 공진형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위한 커패시티브 및 트랜스포머 커플링 방법
KR101189298B1 (ko) 공진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US11735955B2 (en) Resonant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 energy
US10985574B2 (en) Resonant power transfer
WO2020189351A1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20116801A (ko) 무선 전력 전송 회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US11539245B2 (en) Resonant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 energy without a power amplifier
KR101846180B1 (ko)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KR101786086B1 (ko) 누설 자속을 최소화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833744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및 상기 코일을 사용한 송신기 및 수신기
US11037735B2 (en) Voltage-controllable capacitive device,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and a device of a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US20190156985A1 (en) High accuracy tuning of resonant network
RU2661888C1 (ru) Резонанс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CN117438764A (zh) 一种抑制磁控变压器谐波的调谐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