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80B1 -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80B1
KR101846180B1 KR1020110034453A KR20110034453A KR101846180B1 KR 101846180 B1 KR101846180 B1 KR 101846180B1 KR 1020110034453 A KR1020110034453 A KR 1020110034453A KR 20110034453 A KR20110034453 A KR 20110034453A KR 101846180 B1 KR101846180 B1 KR 10184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coil part
rece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798A (ko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권선수 및 와이어 길이로 보다 높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A SOLENOID TYPE COIL}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일한 권선수 및 와이어 길이로 보다 높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이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자기장을 일으키기 위한 코일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공진코일의 공진주파수는 자체 인덕턴스 성분과 기생성분의 캐패시턴스로 결정된다. 코일의 권선 수가 증가할수록 자체 인덕턴스 성분과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공진코일에서 일정 공진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코일이 필요하다.
이 때 충분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코일에 의해 권선수를 확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적은 길이의 코일을 이용하여 동일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회로는, 막대형 보빈; 및 상기 보빈 상에 두개 이상의 층으로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소스와 연결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부와 상기 송신 코일부와 커플링되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부 또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는 각각, 막대형 보빈; 및 상기 보빈 상에 두개 이상의 층으로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용 공진 코일부; 및 상기 수신용 공진 코일부가 수신한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로 전달하는 수신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부 또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는 각각, 막대형 보빈; 및 상기 보빈 상에 두개 이상의 층으로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생성분의 캐패시턴스 성분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일정 공진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 보다 더 짧은 길이의 코일로 일정 공진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21)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와 송신부(20)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 평활 회로(40) 및 부하(50)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전력 소스(10)에서 생성된 전력은 송신기(20)로 전달되고, 자기 공진 현상에 의해 송신부(20)와 공진을 이루는 즉, 공진 주파수 값이 동일한 수신기(30)로 전달된다. 수신기(3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회로(40)를 거쳐 부하(50)로 전달된다. 부하(50)는 충전지 또는 기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력 소스(1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력 소스이다.
송신기(20)는 송신 코일(21)과 송신용 공진 코일(22)로 구성된다. 송신 코일(21)은 전력 소스(10)와 연결되며,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송신 코일(21)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송신용 공진 코일(22)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 송신용 공진 코일(22)로 전달된 전력은 자기 공진에 의해 송신기(20)와 공진 회로를 이루는 수신기(30)로 전달된다.
자기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간에 전력이 전송되는 현상으로써,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보다 먼 거리까지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수신기(30)는 수신용 공진 코일(31)과 수신 코일(32)로 구성된다. 송신용 공진 코일(22)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수신용 공진 코일(31)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용 공진 코일(31)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수신용 공진 코일(31)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코일(32)로 전달된다. 수신코일(32)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 회로(4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50)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21)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일(21)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가변 캐패시터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용 공진 코일(22),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의 등가 회로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10)와 송신부(20)의 등가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일(21)과 송신용 공진 코일(22)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L2)와 캐패시터(C1,C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용 공진 코일(31), 수신 코일(32), 평활 회로(40) 및 부하(50)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용 공진 코일(31)과 수신 코일(32)은 각각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L4)와 캐패시터(C3,C4)로 구성될 수 있다. 평활 회로(40)는 다이오드(D1)와 평활 캐패시터(C5)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부하(50)는 1.3V의 직류 전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의 자체 인덕턴스(L)와 기생 캐패시턴스(C)는 아래 (식 1) 및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1027252587-pat00001
[μH] (식 1)
Figure 112011027252587-pat00002
[Farads] (식 2)
여기서, l은 솔레노이드 코일의 길이, r은 솔레노이드의 반지름, D는 솔레노이드의 직경, N은 권선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은 막대형 보빈(41), 및 상기 보빈(41) 상에 두 층 이상으로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42)로 구성된다. 보빈(41)을 관통하여 코어(4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코어(43)는 공기일 수도 있고, 자속을 강화시키기 위해 페라이트 코어가 삽입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1) 내에 코어(43)가 삽입되고, 보빈(41) 위에 와이어(42)가 두 층 이상으로 권선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코일은 도 1의 송신 코일(21), 송신용 공진 코일(22), 수신 코일(31) 또는 수신용 공진 코일(32)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코일 구조에서는 종래의 도 5와 같이 단층으로 권선되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코일에 비해, 권선수가 동일할 경우, 자체 인덕턴스 성분은 동일하지만 기생 캐패시턴스 값은 증가한다. 와이어 간 간격이 가까워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실험 결과 1.6MHz의 공진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종래 방식의 경우 26회의 권선 수로, 코일 높이는 31.2mm가 되었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중 구조의 경우에는 22회의 권선 수가 필요하고, 11회 권선 수가 중첩되는 것이므로 코일 높이는 13.2mm가 되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조는 종래의 감는 방식보다 더 적은 권선 수로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어, 더 짧은 전선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두께가 2배로 증가하더라도, 코일의 높이는 2배 이하로 증가한다. 코일의 높이가 낮을 필요가 있는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력 소스
20 : 송신기
21 : 송신 코일
22 : 송신용 공진 코일
30 : 수신기
31 : 수신용 공진 코일
32 : 수신 코일
40 : 정류회로
50 : 부하
41 : 보빈
42 : 와이어
43 : 코어

Claims (5)

  1. 막대형 보빈; 및
    이중 구조로 중첩되어 권선되며 상기 보빈 상에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 삽입된 강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회로.
  4. 전력 소스와 연결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송신 코일부와 상기 송신 코일부와 커플링되어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코일부 또는 송신용 공진 코일부는 각각,
    막대형 보빈; 및
    이중 구조로 중첩되어 권선되며 상기 보빈 상에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5. 송신용 공진 코일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용 공진 코일부; 및
    상기 수신용 공진 코일부가 수신한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로 전달하는 수신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부 또는 수신용 공진 코일부는 각각,
    막대형 보빈; 및
    이중 구조로 중첩되어 권선되며 상기 보빈 상에 소정 횟수 권선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110034453A 2011-04-13 2011-04-13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KR10184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53A KR101846180B1 (ko) 2011-04-13 2011-04-13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53A KR101846180B1 (ko) 2011-04-13 2011-04-13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98A KR20120116798A (ko) 2012-10-23
KR101846180B1 true KR101846180B1 (ko) 2018-05-28

Family

ID=4728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453A KR101846180B1 (ko) 2011-04-13 2011-04-13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250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쉴드캔용 전자파 차폐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842A (ja) 2004-07-29 2008-03-21 ジェーシー プロ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磁波増幅中継器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8842A (ja) 2004-07-29 2008-03-21 ジェーシー プロ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磁波増幅中継器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798A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0172B2 (ja) 磁束消去のための共有材料を有するインダクタシステム
JP5476917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4911148B2 (ja) 非接触給電装置
JP5743613B2 (ja) 無線電力送信システム
TWI470896B (zh) 無線功率傳輸器
US9680311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KR10138292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KR101875942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KR20120116802A (ko) 중계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수신기
KR101241499B1 (ko) 공진 코일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189298B1 (ko) 공진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US11735955B2 (en) Resonant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 energy
KR20130033837A (ko) 무선 전력 전송 기기 및 그 방법
KR101846180B1 (ko) 솔레노이드 타입 코일
US10879736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ing non-resonant power receiver
KR20120116801A (ko) 무선 전력 전송 회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833744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및 상기 코일을 사용한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30579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1786086B1 (ko) 누설 자속을 최소화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US20170149292A1 (en) Resonant coil,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ing the same,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same
US11539245B2 (en) Resonant circuit for transmitting electric energy without a power amplifier
KR101294581B1 (ko)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단말기
KR101369157B1 (ko) 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349448B1 (ko) 무선전력 전달장치
CN113922519A (zh) 用于大磁场空间的轻量化能量接收装置、能量耦合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