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657A - 전해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0657A KR20190030657A KR1020187037250A KR20187037250A KR20190030657A KR 20190030657 A KR20190030657 A KR 20190030657A KR 1020187037250 A KR1020187037250 A KR 1020187037250A KR 20187037250 A KR20187037250 A KR 20187037250A KR 20190030657 A KR20190030657 A KR 201900306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ic
- water
- flow path
- switching
- polar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 Y02E60/36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해수 생성 장치는, 전해실의 제 1 극실 또는 제 2 극실의 일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송출하는 제 1 유로와, 타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송출하는 제 2 유로와, 유량 조정 밸브 (74) 및 유로 전환 밸브 (85) 가 연동하는 더블 오토 체인지 크로스 라인 밸브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 (51) 과, 극성 전환 수단 (51)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52) 을 구비한다. 판정 수단 (52) 은, 전해실 (40) 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을 적산하고,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적산한 전기 분해 시간 (t) 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T) 에 이르렀을 때에,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을 전기 분해하여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격막으로 나누어진 양극실과 음극실을 갖는 전해조를 구비하고, 전해조에 공급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전해수 생성 장치의 음극실에서는, 수소 가스가 용해된 전해 수소수 (전해 환원수) 가 생성된다.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는, 토수를 개시한 직후, 전해조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충분히 전기 분해되지 않고 토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토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수초간) 이 경과할 때까지의 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해조에 의해 전기 분해되는 원수에는, 미량이지만 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금속 이온은, 필터 등으로는 잘 제거되지 않고, 전해조에 진입하면 급전체를 포함하는 음극실의 내부나 음극실의 하류측에 접속된 유로의 내부에 스케일로서 석출된다.
스케일이 급전체의 표면에 부착되면, 물이 전기 분해되기 어려워져, 전해 수소수의 용존 수소 농도가 저하한다. 그래서, 전기 분해의 정지 후, 전해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체의 극성을 적절히 전환하는 것에 의해, 급전체로의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전해수 생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는, 급전체의 극성을 전환할 때에, 유로 전환 밸브를 동작시켜 전해조의 상류 및 하류의 수로를 동기하여 전환함으로써, 토수구로부터 전환 전과 동종의 전해수를 토출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그러나, 급전체의 극성을 전환한 직후의 전해조 및 유로 전환 밸브에는,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잔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와의 혼합을 방지하여, 원하는 전해수를 얻기 위해서는, 이들 물이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기다려 취수할 필요가 있어, 상응하는 대기 시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급전체의 극성을 전환한 경우에 있어서의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배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은, 극성을 전환하지 않는 경우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 전해수 생성 장치의 사용의 편리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극에서 생성된 물은, 통상적으로, 버리는 물로서 폐기 처분되는 경우가 많아, 물의 유효 이용을 방해하는 일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급전체로의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함께, 버리는 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분해될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과, 상기 전해실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급전체 및 제 2 급전체와, 상기 제 1 급전체와 상기 제 2 급전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해실을 상기 제 1 급전체측의 제 1 극실과, 상기 제 2 급전체측의 제 2 극실로 구분하는 격막을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 1 극실 또는 상기 제 2 극실의 일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1 토수구에 송출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극실 또는 상기 제 2 극실의 타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2 토수구에 송출하는 제 2 유로와, 상기 제 1 극실 및 상기 제 2 극실과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의 접속을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와,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유로 전환 밸브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전해실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전기 분해 시간의 적산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실로의 통수를 검출하는 통수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전기 분해 시간의 적산치가 상기 임계치에 이른 후, 상기 통수 검출 수단이 상기 전해실로의 통수를 검출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 및 상기 유로를 전환한 후의 상기 전류의 적산치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 및 상기 유로를 전환한 후의 상기 전압과 상기 전류의 비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는, 판정 수단은, 전해실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을 적산하고, 각 급전체의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전기 분해 시간의 적산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이르렀을 때에,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시간에 기초하여 극성의 전환을 관리함으로써, 스케일의 부착을 예측하여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전해실에 물이 공급된 시간이 아니라, 전해실 내에서 실제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시간의 적산치를 감시하여 전환 시기의 도래를 판정하기 때문에, 양호한 정밀도로 전환 시기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적은 전환 빈도로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수 생성 장치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함께, 버리는 물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유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은 도 2 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의, 극성 및 유로의 전환 동작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 는 도 3 의 극성 및 유로의 전환 동작의 변형예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도 4 에 이어지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은 도 2 의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의, 극성 및 유로의 전환 동작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 는 도 3 의 극성 및 유로의 전환 동작의 변형예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도 4 에 이어지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로서, 예를 들어, 가정의 음용수의 생성에 사용되는 가정용 전해수 생성 장치가 나타나 있다. 도 1 에서는, 음용의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고 있는 상태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가 나타나 있다.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카트리지 (2) 와, 정화된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 (40) 이 형성된 전해조 (4) 를 구비하고 있다.
정수 카트리지 (2) 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 공급된 원수를 여과함으로써, 정수를 생성하여, 전해실 (40) 에 공급한다. 원수에는, 일반적으로는 수도물이 이용되지만, 그 외, 예를 들어, 우물물, 지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수 카트리지 (2) 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에 의해 또는 시간 경과에 의해 수명을 맞이한 정수 카트리지 (2) 는, 신품의 정수 카트리지 (2) 로 교환될 수 있다.
정수 카트리지 (2) 는, 전해조 (4) 의 상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 카트리지 (2) 에 의해 정화된 물이, 전해조 (4) 에 공급된다.
정수 카트리지 (2) 에 의해 정화된 물은, 전해실 (40) 에서 전기 분해된다. 전해실 (40) 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와, 제 1 급전체 (41) 와 제 2 급전체 (42) 사이에 배치된 격막 (43) 이 형성되어 있다.
격막 (43) 은, 전해실 (40) 을 제 1 급전체 (41) 측의 제 1 극실 (40a) 과, 제 2 급전체 (42) 측의 제 2 극실 (40b) 로 구분한다. 격막 (43) 은, 전기 분해로 발생한 이온을 통과시키고, 격막 (43) 을 개재하여 제 1 급전체 (41) 와, 제 2 급전체 (42) 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급전체 (41) 와 제 2 급전체 (42) 사이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면, 전해실 (40) 내에서 물이 전기 분해되어, 전해수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나는 상태에서는, 제 1 급전체 (41) 에는 정 (正) 의 전하가 대전하고, 제 1 극실 (40a) 은, 양극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한편, 제 2 급전체 (42) 에는 부 (負) 의 전하가 대전하고, 제 2 극실 (40b) 은, 음극실로서 기능하고 있다. 즉, 제 2 극실 (40b) 에서는 발생한 수소 가스가 용해된 환원성의 전해 수소수가, 제 1 극실 (40a) 에서는 발생한 산소 가스가 용해된 전해 산성수가 각각 생성된다.
도 2 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전해조 (4) 등의 각 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 (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와 제어 수단 (5) 은, 전류 공급 라인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 1 급전체 (41) 와 제어 수단 (5) 사이의 전류 공급 라인에는, 전류 검출 수단 (44) 이 형성되어 있다. 전류 검출 수단 (44) 은, 제 2 급전체 (42) 와 제어 수단 (5) 사이의 전류 공급 라인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류 검출 수단 (44) 은,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에 공급하는 직류 전류 (전해 전류) (I) 를 항상 또는 정기적으로 검출하고, 그 값에 상당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 수단 (5) 에 출력한다.
제어 수단 (5) 은, 예를 들어, 전류 검출 수단 (44) 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 (전해 전압) (V) 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 (5) 은, 유저 등에 의해 설정된 용존 수소 농도에 따라, 전류 검출 수단 (44) 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 (I) 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인가하는 전압 (V) 을 피드백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류 (I) 가 과대한 경우, 제어 수단 (5) 은, 상기 전압 (V) 을 감소시키고, 전류 (I) 가 과소인 경우, 제어 수단 (5) 은, 상기 전압 (V) 을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공급하는 전류 (I) 가 적절히 제어되어, 전해실 (40) 에서 원하는 용존 수소 농도의 수소수가 생성된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은, 제어 수단 (5) 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 (51) 으로서 기능한다. 제어 수단 (5) 이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을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가 양극실 또는 음극실로서 기능할 기회가 균등화된다. 그리고, 극성의 전환 전에 음극으로서 기능하고 있던 급전체는, 극성의 전환 후에는 양극으로서 기능하고, 전환 전에 석출된 스케일을 세정한다. 이에 의해,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등으로의 스케일의 부착이 억제된다.
제어 수단 (5) 은, 예를 들어, 각종 연산 처리, 정보 처리 등을 실행하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 CPU 의 동작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등을 가지고 있다. 제어 수단 (5) 의 각종 기능은, CPU, 메모리 및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제어 수단 (5) 에 의한 제어하에서, 각종 운전 모드로 동작한다.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운전 모드에는,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여 토출하는 「수소수 모드」,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여 토출하는 「산성수 모드」 및 정수를 생성하여 토출하는 「정수 모드」 가 포함된다.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수단 (61) 을 갖는다. 조작 수단 (61) 은, 예를 들어,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운전 모드를 변경할 때에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 수단 (61) 은, 각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 또는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 등을 갖는다. 또한, 유저는, 조작 수단 (61) 을 조작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 (1) 가 생성하는 물을 선택할 수 있다. 유저는, 조작 수단 (61) 을 조작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 (1) 가 생성하는 전해 수소수의 용존 수소 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해 조작 수단 (61) 이 조작되면, 조작 수단 (61) 은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 수단 (5) 에 출력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전해조 (4) 의 상류측에 형성된 입수부 (7) 와, 전해조 (4) 의 하류측에 형성된 출수부 (8)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입수부 (7) 는, 급수관 (71) 과, 유량 센서 (72) 와, 분기부 (73) 와, 유량 조정 밸브 (74) 등을 가지고 있다. 급수관 (71) 은, 정수 카트리지 (2) 에 의해 정화된 물을 전해실 (40) 에 공급한다. 유량 센서 (72) 는, 급수관 (71) 에 형성되어 있다. 유량 센서 (72) 는, 전해실 (40) 에 공급되는 물의 단위 시간 당의 유량 (이하, 간단히 「유량」 이라고 적는 경우도 있다) (F1) 을 정기적으로 검출하고, 그 값에 상당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 (5) 에 출력한다.
분기부 (73) 는, 급수관 (71) 을 급수관 (71a, 71b) 의 2 방향으로 분기한다. 유량 조정 밸브 (74) 는, 급수관 (71a, 71b) 을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에 접속한다. 제 1 극실 (40a) 및 제 2 극실 (40b) 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제어 수단 (5) 의 관리하에서, 유량 조정 밸브 (74) 에 의해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센서 (72) 는, 분기부 (73) 의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극실 (40a) 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과 제 2 극실 (40b) 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의 총합, 즉, 전해실 (40) 에 공급되는 물의 제 1 유량 (F1) 을 검출한다.
출수부 (8) 는, 유로 전환 밸브 (85) 와, 제 1 유로 (81) 와, 제 2 유로 (82) 등을 가지고 있다. 유로 전환 밸브 (85) 는, 제 1 극실 (40a) 및 제 2 극실 (40b) 과 제 1 유로 (81) 및 제 2 유로 (82) 의 접속을 전환한다.
제 1 유로 (81) 의 선단부에는, 제 1 토수구 (8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 (81) 는,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의 일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1 토수구 (83) 에 송출한다. 동일하게, 제 2 유로 (82) 의 선단부에는, 제 2 토수구 (8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로 (82) 는,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의 타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2 토수구 (84) 에 송출한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의 전환과 유로 전환 밸브 (85) 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동기시킴으로써,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전해수 (도 1 에서는 전해 수소수) 가 항상 일방의 토수구 (예를 들어, 제 1 토수구 (83)) 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의 전환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 (5) 이, 유량 조정 밸브 (74) 와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극성의 전환 전후에 있어서, 제 1 토수구 (83) 에 접속되어 있는 극실로의 물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제 2 토수구 (84) 에 접속되어 있는 극실로의 물의 공급량을 억제하여, 물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량 조정 밸브 (74) 와 유로 전환 밸브 (85) 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80920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의 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즉, 유량 조정 밸브 (74)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는, 원통 형상의 외통체와 내통체 등에 의해 구성된다. 내통체의 내측 및 외측에는, 유량 조정 밸브 (74)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구성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각 유로는, 유량 조정 밸브 (74)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적절히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밸브 장치는, 「더블 오토 체인지 크로스 라인 밸브」 라고 칭해지고,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구성 및 제어의 간소화에 기여하여,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상품 가치를 보다 더욱 높인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는,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표면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을 적절히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의 전환 시기는, 제어 수단 (5) 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의 전환과 동기하여, 제어 수단 (5) 은,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제어하여, 제 1 극실 (40a) 및 제 2 극실 (40b) 과 제 1 유로 (81) 및 제 2 유로 (82) 의 접속을 전환한다. 즉,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52) 으로서 기능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유저의 조작을 안내하는 각종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62) 를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 (62) 는, 제어 수단 (5) 에 의해 제어된다.
통수 개시 직후에 제 1 토수구 (83) 등으로부터 토출되는 전해수는, 원하는 pH 및 용존 가스 농도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는, 제 1 토수구 (83) 로부터 토출되는 전해수의 pH 및 용존 가스 농도가 안정되어, 원하는 전해수가 얻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T1 초의 경과 후, 스피커 (62) 로부터 멜로디를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T1 은, 전해실 (40) 의 사양 및 제 1 유로 (81) 의 길이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수 초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직후의 제 1 극실 (40a), 제 2 극실 (40b)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에는,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잔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직후에 생성된 전해수는,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혼합되어 있다. 그래서, 본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는, 이극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제 1 토수구 (83) 로부터 배출되었다고 추정되는 T2 (T1 보다 크다) 초의 경과 후, 스피커 (62) 로부터 멜로디를 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T2 는,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사양 및 제 1 유로 (81) 의 길이 등에 따라, 예를 들어, T1 의 2 배 정도로 설정된다.
T1 초 및 T2 초 등의 시간은, 제어 수단 (5) 에 의해 계수된다. 즉, 제어 수단 (5) 은, 클록 신호 등에 기초하여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 (53) 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는, T1 초 또는 T2 초 등의 시간은, 통수의 개시 후, 원하는 전해수가 토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으로서 설정된다. 상기 T1 초의 경과 후 및 T2 의 경과 후 울리는 멜로디에 의해, 유저는, 조작 수단 (61) 을 조작하여 선택한 원하는 전해수가 생성된 것을 지득할 수 있어,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 은,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의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의 판정에는, 극성을 전환한 후의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를 실시할 때마다 전기 분해 시간 Δt 를 계수하고, 그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를 계산한다. 즉, t = ΣΔt 로 변수 (t) 가 계산된다. 그리고, 전기 분해의 정지 후, 제어 수단 (5) 은, 변수 (t) 를 미리 정해진 임계치 (T) 와 비교함으로써,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 수단 (5) 은,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 변수 (t) 를 0 으로 리셋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S1에서는, 제어 수단 (5) 은, 변수 (t) 를 초기치인 0 으로 리셋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운전 모드가 전환되지 않고 (S2 에 있어서 Y), 유량 센서 (72) 를 통하여 통수가 검출되었을 때 (S3 에 있어서 Y),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직류 전압 (V) 을 인가하여 전기 분해를 개시시킨다 (S4). 통수 및 통수 정지의 검출은, 유량 센서 (72) 로부터 제어 수단 (5) 에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즉, 유량 센서 (72) 및 제어 수단 (5) 은, 통수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제어 수단 (5) 은, 유량 센서 (72) 에서의 유량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통수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유량 센서 (72) 에서의 유량이 임계치 미만일 때, 통수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S4 에 있어서 전기 분해가 개시하면,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계수를 개시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 (5) 은, 변수 (t) 가 0 일 때 (S5 에 있어서 Y),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직후의 전기 분해인 것으로 판정하고, T2 초의 경과 후, 스피커 (62) 로부터 멜로디를 출력시킨다 (S6). 한편, 제어 수단 (5) 은, 변수 (t) 가 0 이 아닐 때 (S5 에 있어서 N), T1 초의 경과 후, 스피커 (62) 로부터 멜로디를 출력시킨다 (S7).
그 후, 유량 센서 (72) 를 통하여 통수 정지가 검출되면 (S8),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대한 직류 전압 (V) 의 인가를 정지함으로써 전기 분해를 정지한다 (S9). 이에 수반하여,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계수를 정지한다. 전기 분해 시간 (Δt) 은, S4 로부터 S9 에 이르는 시간으로서 계수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 (5) 은, 계수한 전기 분해 시간 (Δt) 을 변수 (t) 에 더함으로써,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를 계산하고 (S10), 변수 (t) 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T) 에 이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11). 변수 (t) 가 상기 임계치 (T) 에 이르지 않는 경우 (S11 에 있어서 N), S2 로 돌아가 S11 까지의 루프가 반복된다. 이 경우, 극성의 전환은 실시되지 않고, 변수 (t) 에 전기 분해 시간 (Δt) 이 가산된다.
한편, 변수 (t) 가 상기 임계치 (T) 에 이르는 경우 (S11 에 있어서 Y), 제어 수단 (5) 은,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다 (S16).
S1 내지 S16 의 처리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운전에 있어서, 항상 루프하면서 실행된다. 즉, S16 의 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S1 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S16 에 있어서, 제어 수단 (5) 은,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하여, 다음 회의 루프의 유량 센서 (72) 에 의한 통수의 검출 (S3) 에 대비한다. 이에 의해, 전회의 루프에서 음극으로서 기능하여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고 있던 급전체가, 양극으로서 기능하여 석출된 스케일을 세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루프가 반복됨으로써, 전해 수소수의 생성 스텝과 스케일의 세정 스텝이 교대로 반복되어,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표면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이, 계속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상기 S2 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운전 모드가 전환된 경우 (S2 에 있어서 N), S21 로 이행하고, 제어 수단 (5) 은,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다. 그리고, 유량 센서 (72) 를 통하여 통수가 검출되었을 때 (S22 에 있어서 Y),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직류 전압 (V) 을 인가하여 전기 분해를 개시한다 (S23). 이에 수반하여,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계수를 개시한다. 그 후, 제어 수단 (5) 은, 변수 (t) 를 0 으로 리셋한 후 (S24), S5 로 이행한다. 이 경우, 계수되는 전기 분해 시간 (Δt) 은, S23 에 있어서 전기 분해를 개시하고 나서, S9 에 있어서 전기 분해를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그리고, S24 에 있어서, 변수 (t) 가 0 으로 리셋되어 있기 때문에, S10 에 있어서 계산되는 변수 (t) 는, 상기 전기 분해 시간 (Δt) 과 동등하다. 또한, S2 에 있어서 운전 모드가 정수 모드로 전환된 경우 (S2 에 있어서 N), 정수 카트리지 (2) 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전기 분해를 실시하지 않고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을 통과시키면 되기 때문에, S21 및 S23 은 스킵된다.
도 3 의 S2 내지 S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 (5) 은, 전해실 (40) 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 (Δt) 을 적산하고,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T) 에 이르렀을 때에,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시간 (Δt) 의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에 기초하여 극성의 전환을 관리함으로써, 스케일의 부착을 예측하여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전해실 (40) 에 물이 공급된 시간이 아니라, 전해실 (40) 내에서 실제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시간 (Δt) 의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를 감시하여 전환 시기의 도래를 판정하기 때문에, 양호한 정밀도로 전환 시기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적은 전환 빈도로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함께, 버리는 물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 및 도 5 는,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의 제 1 급전체 (41),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동작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 에 있어서, S1 내지 S11 및 S21 내지 S24 의 처리는, 도 3 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하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 시간 (Δt) 의 적산치에 상당하는 변수 (t) 에 더하여, 전기 분해가 정지된 후의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의 전환 시기를 판정한다. 즉, 도 4 의 S11 에 있어서, 변수 (t) 가 상기 임계치 (T) 에 이르는 경우 (S11 에 있어서 Y), 도 5 의 S12 로 이행하여, 제어 수단 (5) 은, 전기 분해를 정지한 후의 시간을 계수한다 (S12). 그리고, 운전 모드의 전환 및 통수가 검출되지 않고 (S13 에 있어서 Y, S14 에 있어서 N),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δT) 이 경과했을 때 (S15 에 있어서 Y), 제어 수단 (5) 은,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다 (S16).
나아가 또한, 상기 S14 에 있어서, 유량 센서 (72) 에 의해 통수가 검출되었을 때 (S14 에 있어서 Y),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직류 전압 (V) 을 인가하여 전기 분해를 개시하고 (S31), T1 초의 경과 후, 스피커 (62) 로부터 멜로디를 출력시킨다 (S32). 그 후, 유량 센서 (72) 를 통하여 통수 정지가 검출되면 (S33), 제어 수단 (5) 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대한 직류 전압 (V) 의 인가를 정지함으로써 전기 분해를 정지하여 (S34), S12 로부터 계수하고 있는 시간을 0 으로 리셋트하여 (S35), S12 로 돌아간다. 이 경우, 극성의 전환은 실시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의 동작에서는, 제어 수단 (5) 은, 상기 변수 (t) 가 임계치 (T) 에 이른 후 (S11 에 있어서 Y), 운전 모드의 전환 및 통수가 검출되지 않고 (S13 에 있어서 Y, S14 에 있어서 N), 미리 정해진 시간 (δT) 이 경과했을 때에 (S15 에 있어서 Y),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리 중 등에 있어서, 단시간 동안에 복수 회에 걸쳐서 전해실 (40) 에 통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S14 에 있어서 Y), 그 동안 극성의 전환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에 수반하여, 다음 회의 루프에서의 S1 내지 S6 에 이르는 처리로 이행하지 않고, 원하는 전해수가 토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은, T1 초로 유지된다 (S32). 따라서, 극성의 전환에 수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이 T1 초로부터 T2 초로 길어지는 사태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여,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보다 더욱 높아진다.
유로 전환 밸브 (85) 는,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은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에는, 모터의 동작음을 수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시간 (δT) 을 적절히 (예를 들어, 수 분 내지 수십 분 정도로) 정함으로써, 유저가 전해수 생성 장치 (1) 로부터 떨어진 장소까지 이동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시기에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모터의 동작음에 방해 받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에서는, 상기 서술한 극성 전환 후의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 및 전기 분해 정지 후의 시간에 더하여 (AND 조건), 전기 분해의 횟수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 (5) 이 전환 시기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 은,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전기 분해가 실시된 횟수를 계수하고, 상기 S12 의 처리에 앞서, 상기 횟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S12 로 이행하고, 상기 횟수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S2 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전기 분해의 횟수를 가미하여 극성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구성에 의하면,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보다 고정밀도로 극성을 전환하는 빈도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높아짐과 함께, 버리는 물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 분해의 횟수에 기초하는 전환 시기의 판정은, 극성 전환 후의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 및 전기 분해 정지 후의 시간에 의한 판정과 OR 조건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스케일의 부착을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공급되는 전류 (I) 는, 유량 센서 (72) 에 의해 검출된 단위 시간 당의 유량에 의존한다. 또한, 상기 전류 (I) 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용존 수소 농도에 의존한다. 즉, 전해조 (4) 에 공급되는 물의 단위 시간 당의 유량이 커짐에 따라, 제어 수단 (5) 은, 상기 전류 (I) 가 커지도록,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인가되는 전압 (V) 을 제어한다. 또한, 용존 수소 농도가 높게 설정됨에 따라, 제어 수단 (5) 은, 상기 전류 (I) 가 커지도록,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에 인가되는 전압 (V) 을 제어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스케일의 석출량은, 상기 전류 (I) 및 전기 분해를 실시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수단 (5) 이,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각 급전체 (41, 42) 에 공급되는 전류 (I) 의 적산치 (전류 (I) 의 시간 적분치) 에 기초하여, S11 에 있어서의 임계치 (T) 및 S15 에 있어서의 시간 (δT) 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류 (I) 의 적산치는, 전류 검출 수단 (44) 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 (5) 이 계산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전류 (I) 의 적산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 (변수 (t)) 에 대하여 스케일의 석출량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계치 (T) 를 크게, 또는 시간 (δT) 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극성을 전환하는 빈도를 삭감하여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전류 (I) 의 적산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의 석출량은 비교적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계치 (T) 를 작게, 또는 시간 (δT) 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극성을 전환하는 빈도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전류 (I) 의 적산치에 기초하여, 임계치 (T) 및 시간 (δT) 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더욱 치밀하게 전환 시기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케일의 석출량은, 전해실 (40) 에 공급되는 물의 성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물이 전해실 (40) 에 공급된 경우, 스케일의 석출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네랄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물은 저항치가 적은 것으로부터, 유량 및 원하는 용존 수소수 농도에 대응하는 전류 (I) 가, 비교적 낮은 전압 (V) 으로 얻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수단 (5) 이,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각 급전체 (41, 42) 에 인가하는 전압 (V) 과 공급되는 전류 (I) 의 비 (V/I) 에 기초하여, 임계치 (T) 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수단 (5) 은, 피드백하는 전압 (V) 을 항상 또는 정기적으로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비 (V/I) 는, 전류 검출 수단 (44) 으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 및 피드백 제어한 전압 (V) 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 (5) 이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제어 수단 (5) 은, 각 급전체 (41, 42) 에 인가하는 전압 (V) 과 공급되는 전류 (I) 를 정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비 (V/I) 를 계산하고, 나아가 그 평균치를 계산한다. 이에 의해, 제어 수단 (5) 은, 전해수 생성 장치 (1) 가 사용되는 지역의 수질에 따라,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빈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비 (V/I) 의 평균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의 석출량은 비교적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계치 (T) 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극성을 전환하는 빈도를 증가시켜 스케일의 부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급전체 (41, 42) 의 극성 및 유로 전환 밸브 (85) 를 전환한 후의 비 (V/I) 의 평균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전기 분해의 적산 시간에 대하여 스케일의 석출량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임계치 (T) 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극성을 전환하는 빈도를 삭감하여 전해수 생성 장치 (1) 의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 (1) 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양태로 변경하여 실시된다. 즉, 전해수 생성 장치 (1) 는, 적어도, 전기 분해될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 (40) 과, 전해실 (40)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와, 제 1 급전체 (41) 와 제 2 급전체 (42) 사이에 배치되고, 전해실 (40) 을 제 1 급전체 (41) 측의 제 1 극실 (40a) 과, 제 2 급전체 (42) 측의 제 2 극실 (40b) 로 구분하는 격막 (43) 을 구비하고,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의 일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1 토수구 (83) 에 송출하는 제 1 유로 (81) 와, 제 1 극실 (40a) 또는 제 2 극실 (40b) 의 타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2 토수구 (84) 에 송출하는 제 2 유로 (82) 와, 제 1 극실 (40a) 및 제 2 극실 (40b) 과 제 1 유로 (81) 및 제 2 유로 (82) 의 접속을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85) 와, 제 1 급전체 (41) 및 제 2 급전체 (42) 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 (51) 과, 극성 전환 수단 (51) 및 유로 전환 밸브 (85) 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52) 을 추가로 구비하고, 판정 수단 (52) 은, 전해실 (40) 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을 적산하고,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적산한 전기 분해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T) 에 이르렀을 때에,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 전해수 생성 장치
5 제어 수단
40 전해실
40a 제 1 극실
40b 제 2 극실
41 제 1 급전체
42 제 2 급전체
43 격막
44 전류 검출 수단
51 극성 전환 수단
52 판정 수단
72 유량 센서 (통수 검출 수단)
81 제 1 유로
82 제 2 유로
83 제 1 토수구
84 제 2 토수구
85 유로 전환 밸브
5 제어 수단
40 전해실
40a 제 1 극실
40b 제 2 극실
41 제 1 급전체
42 제 2 급전체
43 격막
44 전류 검출 수단
51 극성 전환 수단
52 판정 수단
72 유량 센서 (통수 검출 수단)
81 제 1 유로
82 제 2 유로
83 제 1 토수구
84 제 2 토수구
85 유로 전환 밸브
Claims (4)
- 전기 분해될 물이 공급되는 전해실과,
상기 전해실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급전체 및 제 2 급전체와,
상기 제 1 급전체와 상기 제 2 급전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전해실을 상기 제 1 급전체측의 제 1 극실과, 상기 제 2 급전체측의 제 2 극실로 구분하는 격막을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제 1 극실 또는 상기 제 2 극실의 일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1 토수구에 송출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극실 또는 상기 제 2 극실의 타방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제 2 토수구에 송출하는 제 2 유로와,
상기 제 1 극실 및 상기 제 2 극실과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의 접속을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와,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유로 전환 밸브의 전환 시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전해실에서의 전기 분해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전기 분해 시간의 적산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실로의 통수를 검출하는 통수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이 전환되지 않고, 상기 전기 분해 시간의 적산치가 상기 임계치에 이른 후, 상기 통수 검출 수단이 상기 전해실로의 통수를 검출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전환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 및 상기 유로를 전환한 후의 상기 전류의 적산치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변경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체 및 상기 제 2 급전체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극성 및 상기 유로를 전환한 후의 상기 전압과 상기 전류의 비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치를 변경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43628 | 2016-07-21 | ||
JP2016143628A JP6209255B1 (ja) | 2016-07-21 | 2016-07-21 | 電解水生成装置 |
PCT/JP2017/026257 WO2018016576A1 (ja) | 2016-07-21 | 2017-07-20 | 電解水生成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657A true KR20190030657A (ko) | 2019-03-22 |
Family
ID=5999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37250A KR20190030657A (ko) | 2016-07-21 | 2017-07-20 | 전해수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292733B2 (ko) |
EP (1) | EP3486222B1 (ko) |
JP (1) | JP6209255B1 (ko) |
KR (1) | KR20190030657A (ko) |
CN (1) | CN109311706B (ko) |
TW (1) | TWI719230B (ko) |
WO (1) | WO20180165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44772B (zh) * | 2017-12-29 | 2023-07-11 | 宁波欧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净化水槽电解片检测的方法及系统 |
CN108918595A (zh) * | 2018-04-28 | 2018-11-30 |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水质检测装置、储水式电热水器及水质检测方法 |
KR20200132601A (ko) * | 2019-05-17 | 2020-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7434828B2 (ja) * | 2019-11-21 | 2024-02-21 | 中国電力株式会社 | 水素含有水生成装置、及び電極交換時期の予測方法 |
CN111268767A (zh) * | 2020-01-21 | 2020-06-12 | 广东原之生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电解槽自动酸洗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73426A (ja) | 2001-03-16 | 2002-09-24 | Zojirushi Corp | イオン水生成器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9871U (ja) * | 1983-06-03 | 1984-12-17 | 岡崎 龍夫 | 水の電解装置 |
JP3358234B2 (ja) * | 1993-05-31 | 2002-12-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
JPH091145A (ja) * | 1995-06-16 | 1997-01-07 | Tokico Ltd | 電解水生成器 |
JPH0985244A (ja) * | 1995-09-20 | 1997-03-31 | Tokico Ltd | 電解水生成器 |
JPH09155356A (ja) * | 1995-12-05 | 1997-06-17 | Sanden Corp | 水供給装置 |
JP3766848B2 (ja) * | 1995-12-25 | 2006-04-19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解水生成装置 |
JP3443308B2 (ja) * | 1998-03-06 | 2003-09-02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電解水生成装置 |
JP5103015B2 (ja) * | 2004-08-11 | 2012-12-19 | ミズ株式会社 | 電解機能水生成装置における性能維持方法 |
JP5470088B2 (ja) * | 2010-02-22 | 2014-04-16 |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 有隔膜電解槽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の電解運転方法 |
JP2012125715A (ja) * | 2010-12-16 | 2012-07-05 | Toto Ltd | 電気分解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KR101893006B1 (ko) * | 2011-10-14 | 2018-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해 환원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TWI485291B (zh) * | 2012-09-28 | 2015-05-21 |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 電解水製造裝置、電解水之製造方法及電解槽 |
KR101579154B1 (ko) * | 2012-12-07 | 2015-12-21 |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 살균수 생성장치 |
JP5809208B2 (ja) | 2013-07-31 | 2015-11-10 | 株式会社日本トリム | 電解水生成装置 |
JP5639724B1 (ja) * | 2014-03-17 | 2014-12-10 | 株式会社日本トリム |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2016
- 2016-07-21 JP JP2016143628A patent/JP6209255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07-20 CN CN201780037546.6A patent/CN109311706B/zh active Active
- 2017-07-20 US US16/319,095 patent/US11292733B2/en active Active
- 2017-07-20 EP EP17831092.6A patent/EP3486222B1/en active Active
- 2017-07-20 KR KR1020187037250A patent/KR201900306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7-20 WO PCT/JP2017/026257 patent/WO2018016576A1/ja unknown
- 2017-07-20 TW TW106124414A patent/TWI719230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73426A (ja) | 2001-03-16 | 2002-09-24 | Zojirushi Corp | イオン水生成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803503A (zh) | 2018-02-01 |
CN109311706A (zh) | 2019-02-05 |
EP3486222A1 (en) | 2019-05-22 |
US20200024160A1 (en) | 2020-01-23 |
EP3486222A4 (en) | 2020-02-19 |
JP6209255B1 (ja) | 2017-10-04 |
US11292733B2 (en) | 2022-04-05 |
CN109311706B (zh) | 2021-12-21 |
EP3486222B1 (en) | 2020-12-09 |
JP2018012076A (ja) | 2018-01-25 |
TWI719230B (zh) | 2021-02-21 |
WO2018016576A1 (ja) | 2018-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30657A (ko) | 전해수 생성 장치 | |
KR20190030658A (ko) | 전해수 생성 장치 | |
KR20190030656A (ko) | 전해수 생성 장치 | |
JP2016165668A (ja) | 電解水生成装置 | |
US20200361795A1 (en) |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Device and a Method of Producing Electrolytic Water | |
JP6836944B2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7165119B2 (ja) | 電解水生成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 |
CN114162924A (zh) | 制水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制水设备 | |
JP2009028598A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H06165983A (ja) | 電解イオン水生成器 | |
JP5886894B2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H08182987A (ja) | 電解水生成装置 | |
JPH09122646A (ja) | 電解水生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1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117 Effective date: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