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51A -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51A
KR20190030451A KR1020170117914A KR20170117914A KR20190030451A KR 20190030451 A KR20190030451 A KR 20190030451A KR 1020170117914 A KR1020170117914 A KR 1020170117914A KR 20170117914 A KR20170117914 A KR 20170117914A KR 20190030451 A KR20190030451 A KR 2019003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hamber
fish
cook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592B1 (ko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주)오대양씨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대양씨푸드 filed Critical (주)오대양씨푸드
Priority to KR1020170117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5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산물 조리장치는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이 분사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순환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산물이 적재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공급부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팀 분사부들과 각각의 공급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수산물 조리방법은, 이송부에 순차적으로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적재하여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여 수산물을 찌는 단계;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는 그릴부를 가열하여 수산물의 일 면을 굽는 단계; 및 상기 수산물을 뒤집어 수산물의 양 면을 고르게 굽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of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선 등의 수산물을 연속해서 스팀에 의해 찜과 동시에 표면 부위를 구워서 자동으로 조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육류는 물론 어류 즉, 생선을 비롯한 각종 수산물들의 섭취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등어, 꽁치, 삼치 등과 같이 등이 푸른 생선의 경우 오메가3가 다량 함유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그 섭취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생선 등의 수산물 조리방법으로는, 구이나 찜 또는 튀김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 생선 등의 수산물을 굽거나 찌는 경우 또는 튀기는 경우에 제때에 뒤집어 주지 못함에 따라 태우기 쉽고, 또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한 비린내 등으로 인해 조리하기에 여러 에로사항이 있어 쉽게 조리해서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난방을 위해 실내를 밀폐시키는 경우 더욱 생선 등의 수산물을 조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많은 가정에서 수산물 조리를 꺼리는 경향이 있는바, 미리 조리된 수산물을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19222호(2016.1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선 등의 수산물을 스팀에 의해 찜과 동시에 표면 부위를 구워서 자동으로 조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최적의 상태로 찜이 이루어지고 겉 표면이 구워진 생선 등의 수산물을 진공 포장된 상태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각 가정에서 수산물 조리에 따른 에로 사항 없이 간단히 데워서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는,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이 분사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 및 상기 챔버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순환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산물이 적재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공급부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팀 분사부들과 각각의 공급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와 상기 스팀 공급부 사이에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분사된 스팀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와, 상기 한 쌍의 구동 풀리에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되, 양 측에 일정 두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 및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면에 구이 표시가 형성되도록 하는 그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부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이고, 전원 공급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구이 표시를 형성하거나, 상기 스팀에 의한 열 전도에 의해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구이 표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들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들의 일 측 방향으로는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안착되되, 상기 회전축들의 회전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뒤집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착 봉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 봉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그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그릴부에는 상기 안착 봉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안착 봉을 회전시키는 주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동 기어는,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치합됨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안착된 안착 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산물이 뒤집히도록 하는 제1 주동 기어와, 상기 챔버의 외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치합됨에 따라 상기 제1 주동 기어와의 치합에 의해 회전된 상기 안착 봉을 다시 원 상태로 회전시키는 제2 주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방법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장치에 의해 수산물을 조리하는 것으로서, (a) 이송부에 순차적으로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적재하여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단계; (b)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여 수산물을 찌는 단계; (c) 상기 이송부에 배치되는 그릴부를 가열하여 수산물의 일 면을 굽는 단계; 및 (d) 상기 수산물을 뒤집어 수산물의 양 면을 고르게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의하면, 생선 등의 수산물이 스팀에 의해 쪄짐과 동시에 표면 부위가 마치 석쇠로 구운 것과 같이 표시되면서 자동으로 조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진공 상태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바, 소비자는 조리된 수산물을 간단히 데워서 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최적의 상태로 찜이 이루어지고 겉 표면이 구워진 생선 등의 수산물이 진공 포장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소비자는 각 가정에서 수산물 조리에 따른 에로 사항 없이 간단히 데워서 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에 의해 조리된 수산물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에 의해 수산물이 조리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는,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00)와, 공급되는 스팀을 분사하며 설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300) 및 이 챔버(300) 내부와 외부를 순환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생선(500) 등의 수산물이 적재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 및 조리방법에서는, 수산물로서 생선(500)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생선(500)을 비롯하여 새우나 오징어 등 각종 수산물을 조리하는 장치 및 방법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스팀 공급부(200)는, 입력 신호에 의해 설정 온도의 스팀을 챔버(3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챔버(300) 내부에서 분사되어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진 스팀을 회수하여 다시 설정 온도로 승온시킨 후, 챔버(30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공급부(200)는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300)는, 선단과 후단에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에 설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사각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챔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와 출구를 통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송부(400)가 통과될 수 있으며, 통과되는 이송부(400) 일부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는 스팀 공급부(200)와 각각 공급 배관(210,220)들을 통해 연결된 스팀 분사부(310,3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챔버(300) 내부를 통과하는 이송부(400) 일부의 상측 영역에는 제1 공급 배관(210)에 의해 스팀 공급부(200)와 연결되는 제1 스팀 분사부(310)가 배치되고, 하측 영역에는 제2 공급 배관(220)에 의해 스팀 공급부(200)와 연결되는 제2 스팀 분사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의해 스팀 공급부(200)로부터 제1 공급 배관(210) 및 제2 공급 배관(220)을 통해 각각 제1 스팀 분사부(310) 및 제2 스팀 분사부(320)에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 챔버(30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이송부(400)의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스팀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스팀 공급부(200)는 챔버(300)와 회수 배관(230)으로도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스팀 분사부(310) 및 제2 스팀 분사부(320)를 통해 분사되어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진 스팀은 회수 배관(230)에 의해 회수된 후 다시 스팀 공급부(200)로 회수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수 배관(230) 상에는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진 스팀을 설정 온도로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 및 스팀 저장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송부(400)는, 입력 신호에 의해 챔버(300) 내부와 외부를 무한궤도 식으로 순환하게 됨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생선(500) 등의 수산물이 적재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구동 풀리(420)와, 이 한 쌍의 구동 풀리(420)에 감합되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벨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이송부의 회전축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구동 풀리(420)에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벨트부(410)는, 양측 사이드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들 사이에는 격자 형태의 그릴부(4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릴부(430)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등의 금속재인 것이 적용될 수 있는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또는 스팀 분사부(310.320)들에 의해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부(430)에 올려진 생선(500) 등의 수산물 표면은 가열된 그릴부(430)에 의해 마치 석쇠로 구운 것과 같이 구운 표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들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440)들이 배치되며, 각각의 회전축(440)들의 일측 방향으로는 생선(500) 등의 수산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봉(444)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전축(440)들 일 단 및/또는 타 단에는 종동 기어(44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종동 기어(442)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440)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안착 봉(444)은 180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그릴부(4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봉(444)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쪽으로 인입되기 위한 수용 홈(4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 봉(444)이 그릴부(430)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그릴부(430)의 수용 홈(432)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생선(500) 등의 수산물은 그릴부(430)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챔버(300)의 내부 공간에는 입력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챔버(300) 내부 공간을 이동하는 이송부(400)의 회전축(440)과 치합됨에 따라 회전축(440)을 회전시킴으로써, 안착 봉(444)이 180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주동 기어(3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챔버(300)의 외부 공간에도 입력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챔버(300) 외부 공간을 이동하는 이송부(400)의 회전축(440)과 치합됨에 따라 회전축(440)을 회전시킴으로써, 안착 봉(444)이 다시 180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주동 기어(352)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벨트부(410)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회전축(440)들 즉, 서로 인접하는 회전축(440)들 사이의 공간은 하나의 수산물이 놓여지는 공간을 이루는 너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산물 조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생선(500) 등의 수산물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키게 되면, 한 쌍의 구동 풀리(42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송부(40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이송부(400)의 컨베이어 벨트부(410)가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송부(400)는 일부씩 챔버(300)의 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다시 출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이송부(400)에서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들 사이에 배치되는 그릴부(430)는 전원 공급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챔버(300)의 입구를 통해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전의 그릴부(430)에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 즉, 생선(500)을 순차적으로 올려 놓게 되면, 놓여진 생선(500)은 챔버(300)의 입구를 통해 순차적으로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인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수산물 조리장치(100)가 작동될 때, 입력 신호에 의해 스팀 공급부(200)는 제1 공급 배관(210) 및 제2 공급 배관(220)을 통해 챔버(300) 내부 공간의 상하 영역에 걸쳐 배치된 제1 스팀 분사부(310) 및 제2 스팀 분사부(320)에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게 되는바, 제1 스팀 분사부(310) 및 제2 스팀 분사부(320)를 통해 이송되는 생선(500)의 상하 방향에 걸쳐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며, 이에 따라 챔버(300) 내부 공간을 이송하는 생선(500)은 훈제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부(400)의 그릴부(430)는 전원 공급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온의 스팀에 의한 열 전도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조리하고자 하는 생선(500)의 일 면에 마치 석쇠로 구운 것과 같이 격자 형상을 형성하면서 표면을 굽게 된다.
즉, 생선(500) 등의 수산물은 그릴부(430)에 직접 얹혀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생선(500) 등의 수산물 일 면은 그릴부(430)에 의해 일 면에 마치 석쇠로 구운 것과 같은 구운 표시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에 의해 조리된 수산물의 사시도로서, 조리된 수산물 즉, 생선(500)의 표면은 그릴부(430)에 의해 구워져서 격자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생선(500)은 일 면뿐만이 아니라 양 면이 고르게 구워져야 맛도 좋고 보기에도 좋기 때문에,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어 스팀에 의해 쪄짐과 동시에 그릴부(430)에 의해 표면이 구워지는 생선(500)은 중간 부위에서 뒤집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부(40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440)들이 배치되고, 이 회전축(440)들의 일 단 및/또는 타 단에는 종동 기어(442)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종동 기어(442)들은 이송부(400)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챔버(300) 내부 공간의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제1 주동 기어(350)와 치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55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440)의 일 측에 연결된 안착 봉(444)이 180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 안착 봉(444)에 안착되어 있는 생선(500)을 인접하는 공간 즉, 선행 공간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뒤집게 된다.
따라서, 챔버(30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스팀에 의해 쪄짐과 동시에 그릴부(430)에 의해 표면이 구워지는 생선(500)은 양 면이 고르게 구워짐으로써, 생선(500)의 양 면에 그릴부(430)에 의한 구운 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300)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찜과 동시에 양 면에 구이가 완성된 생선(500)은 챔버(300)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작업자는 조리가 완성된 생선(500)을 픽업(Pick up)하여 포장 단계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한편, 제1 주동 기어(350)에 의해 회전축(440)들이 챔버(300) 내부 공간에서 회전됨에 따라 안착 봉(444)들은 챔버(300)의 입구를 통해 인입될 때의 반대 방향 즉, 180도로 회전된 상태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회전축(440)들은 챔버(300) 외측에 배치된 제2 주동 기어와의 치합에 의해 다시 원 상태 즉, 챔버(300)의 입구를 통해 인입될 때의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진 후, 챔버(300)의 입구 측을 향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챔버(300)의 내부에는 스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되는 스팀의 온도에 따라 챔버(300)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회수 배관(230)을 통해 챔버(300) 내부 공간의 스팀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300) 내부 공간의 스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회수 배관(230)을 통해 온도가 낮아진 스팀을 회수함과 아울러 스팀 공급부(200)는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스팀의 공급량을 늘려서 챔버(30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균일한 품질로 조리된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에 의해 수산물이 조리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산물 조리장치(100)에 의한 수산물 조리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산물 조리장치(100)의 작동을 온(On) 시킴에 따라 가동(S10)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리하고자 하는 생선(500) 등의 수산물을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하는 이송부(400)에 순차적으로 적재(S20)하여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킨다.
이와 동시에, 챔버(300) 내부 공간을 이송하는 생선(500)의 상하 측에서 동시에 설정 온도의 스팀을 분사하여 찜(S30)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되는 생선(500)이 안착되는 이송부(400)에 설정 온도로 가열되는 그릴부(430)를 배치시킴에 따라 그릴부(430)에 의해 생선(500)의 일 면이 구워지도록 하고(S40), 일정 지점에서 이송되는 생선(500)을 뒤집음(S50)에 따라 그릴부(430)에 의해 생선(500)의 양 면이 고르게 구워지도록 한다(S60).
이와 같이, 찜과 더불어 양 면의 구이 공정에 의해 조리가 완성된 생선(500) 등의 수산물은 작업자가 픽업(S70)한 후, 포장 단계(S80)를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조리장치 200 : 스팀 분사부
210 : 제1 공급 배관 220 : 제2 공급 배관
230 : 회수 배관 300 : 챔버
310 : 제1 스팀 분사부 320 : 제2 스팀 분사부
350 : 제1 주동 기어 352 : 제2 주동 기어
400 : 이송부 410 : 컨베이어 벨트부
420 : 구동 풀리 430 : 그릴부
432 : 수용 홈 440 : 회전축
442 : 종동 기어 444 : 안착 봉
500 : 생선(수산물)

Claims (9)

  1.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00);
    상기 스팀이 분사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300); 및
    상기 챔버(300)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순환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수산물이 적재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공급부(200)는, 상기 챔버(300)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상기 이송부(400)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팀 분사부(310,320)들과 각각의 공급 배관(210,220)에 의해 연결되는, 수산물 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0)와 상기 스팀 공급부(200) 사이에는 상기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분사된 스팀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배관(230)이 연결되는, 수산물 조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입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420)와,
    상기 한 쌍의 구동 풀리(420)에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되, 양 측에 일정 두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 및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들 사이에 배치되되,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면에 구이 표시가 형성되도록 하는 그릴부(430)를 포함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430)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이고,
    전원 공급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구이 표시를 형성하거나,
    상기 스팀에 의한 열 전도에 의해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구이 표시를 형성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부(410)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440)들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440)들의 일 측 방향으로는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안착되되, 상기 회전축(440)들의 회전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뒤집는 기능을 수행하는 안착 봉(444)이 연결되는, 수산물 조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봉(444)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그릴부(430)에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그릴부(430)에는 상기 안착 봉(44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432)이 형성되는, 수산물 조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40)에는 종동 기어(442)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 기어(442)와 치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440)을 회전시켜서 상기 안착 봉(444)을 회전시키는 주동 기어(350,352)를 포함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 기어(350,352)는,
    상기 챔버(300)의 내부 공간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440)과 치합됨에 따라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안착된 안착 봉(444)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산물이 뒤집히도록 하는 제1 주동 기어(350)와,
    상기 챔버(300)의 외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440)과 치합됨에 따라 상기 제1 주동 기어(350)와의 치합에 의해 회전된 상기 안착 봉(444)을 다시 원 상태로 회전시키는 제2 주동 기어(352)를 포함하는, 수산물 조리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리장치에 의해 수산물을 조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송부(400)에 순차적으로 조리하고자 하는 수산물을 적재하여 상기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단계;
    (b) 상기 챔버(300) 내부 공간으로 설정 온도의 스팀을 공급하여 수산물을 찌는 단계;
    (c) 상기 이송부(400)에 배치되는 그릴부(430)를 가열하여 수산물의 일 면을 굽는 단계; 및
    (d) 상기 수산물을 뒤집어 수산물의 양 면을 고르게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물 조리방법.
KR1020170117914A 2017-09-14 2017-09-14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KR10197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14A KR101979592B1 (ko) 2017-09-14 2017-09-14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14A KR101979592B1 (ko) 2017-09-14 2017-09-14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51A true KR20190030451A (ko) 2019-03-22
KR101979592B1 KR101979592B1 (ko) 2019-05-17

Family

ID=6594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14A KR101979592B1 (ko) 2017-09-14 2017-09-14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111A (ko) * 1992-03-18 1993-10-18 유완수 숯불구이햄의 제조방법
JPH11332751A (ja) * 1998-05-27 1999-12-07 Ugazin Seisakusho:Kk 連続式食品蒸し焼き乾燥殺菌装置
JP2001149018A (ja) * 1999-11-24 2001-06-05 Fumitaka Shoda 煎餅自動両面焼き装置
JP2010041995A (ja) * 2008-07-14 2010-02-25 Nichiwa Denki Kk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KR101319222B1 (ko) 2011-06-03 2013-10-16 이대규 균일한 굽기가 가능한 생선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111A (ko) * 1992-03-18 1993-10-18 유완수 숯불구이햄의 제조방법
JPH11332751A (ja) * 1998-05-27 1999-12-07 Ugazin Seisakusho:Kk 連続式食品蒸し焼き乾燥殺菌装置
JP2001149018A (ja) * 1999-11-24 2001-06-05 Fumitaka Shoda 煎餅自動両面焼き装置
JP2010041995A (ja) * 2008-07-14 2010-02-25 Nichiwa Denki Kk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KR101319222B1 (ko) 2011-06-03 2013-10-16 이대규 균일한 굽기가 가능한 생선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592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3955B (zh) 自動油炸機
WO2021253821A1 (zh) 多锅联动的智能炒菜装置及其方法
JP2001520793A (ja) マイクロ波と加熱用オイルを使用した調理器
CN104873121B (zh) 自动料理设备
JPH06133705A (ja) フライ食品の衣付方法及び装置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1979592B1 (ko) 수산물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US67434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oned pork products
CN211299477U (zh) 智能高效自动烹饪设备
KR102284617B1 (ko) 자동연속 취반시스템
KR200481685Y1 (ko) 숯을 이용한 김 구이장치
KR100423569B1 (ko) 장어구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06246828A (ja) 連続式加熱調理装置および調理方法
JP2006212349A (ja) 調理ラインシステム
KR20140018509A (ko) 전열 훈증식 육류구이장치
TWI280113B (en) Intellectually cooking method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CN101258933A (zh) 一种真空包装的快餐田螺
KR102463244B1 (ko) 대용량 생선 구이기
JP2009112210A (ja) 炙り牡蠣の製造方法
KR101439197B1 (ko)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KR20050055292A (ko) 식품 자동조리기용 식품 공급장치
JP2004208837A (ja) 厚玉子焼の焼成方法および焼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