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724A - 겔 마스크용 부직포 - Google Patents

겔 마스크용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724A
KR20190029724A KR1020197005175A KR20197005175A KR20190029724A KR 20190029724 A KR20190029724 A KR 20190029724A KR 1020197005175 A KR1020197005175 A KR 1020197005175A KR 20197005175 A KR20197005175 A KR 20197005175A KR 20190029724 A KR20190029724 A KR 20190029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gel
gel mask
mask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코 마치오카
쇼고 우메
치히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3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fluid j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겔의 침투성이 높고,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부 접촉성이 우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 마스크용 부직포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이 부직포의 부피 밀도가 0.02 g/㎤ 초과 0.15 g/㎤ 이하이다,
(2) 이 관통 구멍의 개공 면적의 평균이 0.40 ㎟ 이상 1.00 ㎟ 이하이다,
(3) 이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이 16% 이상 50% 이하이다,
(4) 이 부직포의 두께가 0.10 ㎜ 이상 0.40 ㎜ 이하이다.

Description

겔 마스크용 부직포
겔 침투성이 높고,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부 접촉성이 우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겔 마스크는 피부 표면의 보수성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미용 등에 이용되는 팩 재료나 첩부 재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직포나 부직포를 지지체로 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겔 시트가 보고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얇은 부직포이면서, 겔의 유지량이나 습윤시의 투명도가 높은 셀룰로오스 부직포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수요가 확대되어 온 미용을 위한 겔 마스크용 전용의 부직포의 개발은 충분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지지체에의 겔 침투 시간이 느려, 가공 속도를 올릴 수 없다;
(2) 겔 마스크에 기포가 남아, 약액 이행성에 있어서 균일성이 불충분하다;
(3) 겔 마스크의 밀착성이 불충분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00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6-701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겔의 침투성이 높고,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부 접촉성이 우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부피 밀도가 0.15 g/㎤ 이하이고, 관통 구멍당 개공 면적이 0.40 ㎟ 이상이며,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이 16% 이상인 겔 마스크용 부직포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예상 외로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 이하의 특징을 갖는 상기 겔 마스크용 부직포:
(1) 이 부직포의 부피 밀도가 0.02 g/㎤ 초과 0.15 g/㎤ 이하이다,
(2) 이 관통 구멍의 개공 면적의 평균이 0.40 ㎟ 이상 1.00 ㎟ 이하이다,
(3) 이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이 16% 이상 50% 이하이다,
(4) 이 부직포의 두께가 0.10 ㎜ 이상 0.40 ㎜ 이하이다.
[2] 통기 저항이 7 ㎩·S/m 이상 35 ㎩·S/m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
[3] 습윤시 20% 모듈러스가 0.20 N/50 ㎜ 이상 1.50 N/50 ㎜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
[4]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연속 장섬유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
[5]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 100 중량%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포함하는 겔 마스크.
본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한 겔 마스크는, 겔 가공시의 겔 침투성이 높고, 얻어진 겔 마스크는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부 접촉성이 우수한 겔 마스크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는, 필름형이나 직물, 편물이 아니라 부직포이다. 필름형의 경우는, 겔 가공시의 겔 침투성이 현저히 나쁜 점,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피부 접촉성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나빠지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직물이나 편물의 경우는, 겔 마스크 단면(端面)으로부터 지지체가 풀려 버려, 겔 마스크 착용시에 피부에 닿음으로써 따끔거리는 느낌이 있는 것, 가공시에 유제(油劑)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리적·화학적 양측면으로부터 보아도 피부에의 자극성이 나빠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이용하는 섬유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으나,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텐셀(라이오셀), 폴리노직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코튼, 펄프, 삼베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으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다. 연속 장섬유여도 단섬유여도 상관없으나, 연속 장섬유는, 단섬유의 것보다 보다 린트프리성이 우수하여 겔 마스크 착용시의 따끔거리는 느낌이 없고, 흡액성이나 강도도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의 부직포에는,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셀룰로오스 섬유가 50 중량% 미만이면, 겔의 유지성이나 흡액 속도가 충분하지 않고, 지지체로서의 투명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는, 바인더나 계면 활성제를 부여한 부직포는, 흡수성의 저하나, 성분의 용출이 염려되기 때문에, 노바인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단위 중량으로서는, 8 g/㎡ 이상 3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 25 g/㎡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 20 g/㎡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단위 중량이 8 g/㎡ 미만이면, 지나치게 얇기 때문에 취급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실용적이지 않고, 한편, 30 g/㎡보다 크면, 취급성은 우수하지만, 투명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두께는, 0.10 ㎜ 이상 0.4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7 ㎜ 이상 0.37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9 ㎜ 이상 0.35 ㎜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두께가 0.10 ㎜ 미만이면, 지나치게 얇기 때문에 겔 가공시에 천 절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0.40 ㎜보다 크면, 겔 가공시의 침투 속도가 저하된 결과, 한쪽 면에만 겔이 유지된 겔 마스크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는 부피 밀도가 0.02 g/㎤ 초과 0.15 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g/㎤ 이상 0.10 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g/㎤ 이상 0.08 g/㎤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부피 밀도가 0.15 g/㎤보다 크면, 겔 마스크에 기포가 남아, 약액 이행성에 있어서 균일성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0.02 g/㎤ 미만이면, 공극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겔의 유지력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는, 관통 구멍당 개공 면적이 평균값으로 0.40 ㎟ 이상 1.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40 ㎟ 이상 0.9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 이상 0.90 ㎟ 이하이다. 관통 구멍이란, 부직포의 한쪽 면측으로부터 다른 면측으로 직선으로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 구멍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관통 구멍당 개공 면적이 0.40 ㎟ 미만이면, 겔 가공시의 침투 속도가 저하된다. 한편, 1.00 ㎟보다 크면, 관통 구멍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부직포 강도가 저하되어 버려 가공시의 변형이나 겔의 유지력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은 16% 이상 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7% 이상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50%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부직포 표면의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이 16% 미만이면,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져, 겔 가공시의 침투 속도가 저하되고, 겔 마스크에 기포가 남는다. 한편, 50%보다 크면, 부직포로서의 강도가 저하되어 겔 가공시에 폭이 감소하는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통기 저항은 7 ㎩·S/m 이상 35 ㎩·S/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S/m 이상 35 ㎩·S/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S/m 이상 33 ㎩·S/m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통기 저항이 35 ㎩·S/m보다 크면, 겔 가공시의 겔 침투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7 ㎩·S/m 미만이면, 공극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겔의 유지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습윤시 20% 모듈러스는 0.20 N/50 ㎜ 이상 1.50 N/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N/50 ㎜ 이상 1.50 N/50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N/50 ㎜ 이상 1.00 N/50 ㎜ 이하이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습윤시 20% 모듈러스가 0.20 N/50 ㎜ 미만인 경우, 겔 가공시에 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50 N/50 ㎜보다 큰 경우, 부직포의 감촉이 딱딱해져 겔 마스크로서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에 적용하는 겔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젤라틴, 한천, 아가, 콜라겐, 히알루론산, 천연 겔(알로에 등)을 포함한 젤 상태의 것일 수 있다. 겔 마스크란, 미용액(화장액)을 냉각해서 굳혀 만든 페이스 마스크를 말한다. 겔이 부직포 전면(全面)을 덮으며, 상온에서는 겔상으로 취급성이 좋고, 피부와의 밀착 시에는 피부 온도로 겔이 액상화하여 피부에의 약액 침투성이 높은 마스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제법은, 예컨대, 이하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방출(紡出)한 실을 네트 상에 흔들어 떨어뜨려 시트형으로 적층한 후, 수류 교락시키고, 건조 공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제법상의 특징으로서, 섬유 개수를 종래품보다 20% 적게 하는 것이나 수류 교락시의 하층 네트를 크게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관통 구멍을 크게 하고, 두께를 작게 하여, 적당한 공극을 가짐으로써 겔이 확산되지 않고 신속히 부직포 이면까지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겔 가공 속도를 올릴 수 있고, 겔 가공 후도 기포가 남지 않는 겔 마스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을 크게 하고 섬유 개수를 적게 함으로써 강도 등의 역학 물성 저하가 생각되었으나, 방사한 실을 네트 상에 흔들어 떨어뜨릴 때, 흔들림 폭을 20% 크게 한 결과, 단사(單絲) 접점이 증가하여, 겔 가공시에 폭이 감소하는 일이 없고 강도 부족에 의한 가공 속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었다.
겔 마스크용 부직포는 겔 마스크의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부직포 관통 구멍의 개공 면적,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부직포에 겔을 가공할 때, 겔이 이면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이면에 있어서 겔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겔 가공시에 들어가는 공기의 도피로가 생기기 때문에, 겔 마스크로서 기포가 거의 남지 않는다. 이와 같이, 균일성이 높은 겔 마스크가 얻어짐으로써, 겔 마스크 착용시에 피부에 고르게 약액 성분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관통 구멍이 아닌 부분(섬유가 차지하는 부분)은 겔 마스크의 지지체로서 기능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아닌 부분의 비율을 크게 함으로써, 겔을 가공할 때, 지지체가 폭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강도가 커짐으로써, 겔 마스크의 취급성이 좋아진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부직포 관통 구멍의 개공 면적과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을 최적화함으로써, 부직포의 폭 감소 저감, 겔 침투 속도의 향상, 겔 분산의 균일성의 향상, 겔 마스크로서의 기포의 저감, 겔 마스크로서의 취급성의 향상 모두를 달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사용한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단위 중량(g/㎡)
0.05 ㎡ 이상의 면적의 겔 마스크 부직포를 105℃에서 일정 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 후,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하고, 그 질량을 측정하여, 부직포 ㎡당 질량(g)을 구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10개소 샘플링한 시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단위 중량(g/㎡)으로 하였다.
(2) 두께(㎜)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JIS-L1096 준거의 두께 시험에 따라, 하중 1.96 ㎪로 하여 50개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두께(㎜)로 하였다.
(3) 부피 밀도(g/㎤)
하기 식으로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부피 밀도를 산출하였다.
부피 밀도(g/㎤)={단위 중량(g/㎡)/두께(㎜)}/1000
(4) 개공 면적(㎟)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현미경(40배)에 의해 관찰하고, 얻어진 화상을 Image.JJ를 이용하여 해석하며, 0.15 ㎟ 이상의 관통 구멍 1점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관통 구멍을 10개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개공 면적(㎟)으로 하였다.
(5) 부직포 표면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얻어진 화상을 Image.JJ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0.15 ㎟ 이상의 관통 구멍이 10점 들어가는 것과 같은 부직포 면적 A(㎟)에 있어서, 0.15 ㎟ 이상의 관통 구멍부의 합계 면적 B(㎟)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부직포 표면의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10개소 샘플링한 시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부직포 표면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B/A)×100
(6) 통기 저항(㎩·S/m)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4장 겹쳐 통기성 시험기(KES-F8 가토테크 제조)를 이용하여 통기 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10개소 샘플링한 시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통기 저항(㎩·S/m)으로 하였다.
(7) 습윤시의 20% 모듈러스(N/50 ㎜)
습윤 상태(순수에 16시간 침지 후, 수직으로 매달아 액 떨어짐이 없어진 상태)에 있어서, 겔 마스크용 부직포의 기계 방향에 있어서 JIS-L1096 준거의 인장 시험으로 20% 신장시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10개소 샘플링한 시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습윤시의 20% 모듈러스(N/50 ㎜)로 하였다.
(8) 겔 침투성(초)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가로세로 10 ㎝ 1장)를 직경 5 ㎝ 이상의 구멍이 뚫린 삼각대(높이 13 ㎝)의 위 중앙에 세트한다. 부직포 상부 1 ㎝ 이내의 거리로부터 화장액(시세이도, 보습 크림으로 만든 화장수)을 2 mL 떨어뜨리기 시작하고 나서(1 mL/초), 화장액이 부직포를 통과하여 지면에 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임의로 10개소 샘플링한 시료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겔 침투성(초)으로 하였다.
(9) 겔 마스크의 기포 상태를 확인
20℃, 65% RH의 항온실에 16시간 이상 방치한 겔 마스크용 부직포(가로세로 30 ㎝)에 점도 3000 cps, 60℃의 액체를 나이프 코터(자동 도공기(컨트롤 코터) 사양)에 의해 20 ㎜/초로 도공하였다. 얻어진 마스크에 있어서 기포 상태를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임의로 5개소 샘플링한 시료에 대해 도공하고, 하기 판단 기준에 의해 판정한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평가 기준>
○: 기포 없음.
△: 기포는 있으나 작아 눈에 띄지 않는다.
×: 기포가 있고 크며 수도 많다.
(10) 페이스 마스크로서의 착용감(점)
페이스 마스크의 부착감을 어떻게 느끼는지, 피험자 20명에서의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고, 20명의 평균값을 그 샘플의 착용감 관능 평가의 값으로 하였다.
평가 방법: 페이스 마스크형의 부직포를 증류수에 침지시키고 10분 후, 액 떨어짐이 없을 정도로 가볍게 짜서, 얼굴에 붙이고, 이하의 평가 항목에 대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평가 항목>
(1) 10분 경과 후도 벗겨지기 어렵고 밀착성이 높다.
(2) 착용시에 따끔거리지 않기 때문에 불쾌감이 없다.
<평가 기준>
3점: 상기 평가 항목을 모두 만족시킨다.
2점: 상기 평가 항목을 하나 만족시킨다.
1점: 상기 평가 항목을 어느 것도 만족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1]
코튼 린터를 구리암모니아 용액으로 용해하여(코튼 린터 10 중량%, 암모니아 7 중량%, 구리 3 중량%) 방사 원액을 준비하였다. 방사 원액을 유하(流下) 긴장하에서 연속하여 네트 상에 4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었다. 얻어진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묽은 황산으로 재생하고, 수세 후 얻어진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2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 상에서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45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2.7 g/㎡, 두께는 0.20 ㎜, 부피 밀도는 0.064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네트 스피드를 35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6.0 g/㎡, 두께는 0.25 ㎜, 부피 밀도는 0.064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네트 스피드를 28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8.8 g/㎡, 두께는 0.30 ㎜, 부피 밀도는 0.063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방사 원액을 유하 긴장하에서 연속하여 네트 상에 5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은 것, 네트 스피드를 35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9.8 g/㎡, 두께는 0.32 ㎜, 부피 밀도는 0.062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 용액으로 용해하여(펄프 10 중량%, NMMO 55 중량%, 물 45 중량%) 방사 원액을 준비하였다. 방사 원액을 멜트 블로우법으로 연속하여 네트 상에 5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었다. 얻어진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묽은 NMMO로 재생하고, 수세 후 얻어진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2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 상에서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4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1.5 g/㎡, 두께는 0.31 ㎜, 부피 밀도는 0.069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네트 스피드를 23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9.5 g/㎡, 두께는 0.21 ㎜, 부피 밀도는 0.141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네트 스피드를 58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9.8 g/㎡, 두께는 0.13 ㎜, 부피 밀도는 0.075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얻어진 부직포를 20메시 컨베이어 네트 상에서 더욱 고압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3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0.4 g/㎡, 두께는 0.31 ㎜, 부피 밀도는 0.034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컨베이어 네트를 10메시로 한 것, 네트 스피드를 45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5.2 g/㎡, 두께는 0.30 ㎜, 부피 밀도는 0.051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컨베이어 네트를 30메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5.2 g/㎡, 두께는 0.25 ㎜, 부피 밀도는 0.061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컨베이어 네트를 10메시로 한 것, 네트 스피드를 57 m/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10.1 g/㎡, 두께는 0.18 ㎜, 부피 밀도는 0.056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은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직포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부직포를 중첩시키고 플랫 롤을 이용해서 가압하여, 복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시트를 1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을 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1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7.8 g/㎡, 두께는 0.27 ㎜, 부피 밀도는 0.103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텐셀(라이오셀) 섬유(섬도 1.7 dtex×섬유 길이 38 ㎜, 단위 중량 27.1 g/㎡)의 부직포를 1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을 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1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5.2 g/㎡, 두께는 0.36 ㎜, 부피 밀도는 0.070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코튼 린터를 구리암모니아 용액으로 용해하여(코튼 린터 10 중량%, 암모니아 7 중량%, 구리 3 중량%) 방사 원액을 준비하였다. 방사 원액을 유하 긴장하에서 연속하여 네트 상에 5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었다. 얻어진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묽은 황산으로 재생하고, 수세 후 얻어진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4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 상에서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35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0.4 g/㎡, 두께는 0.28 ㎜, 부피 밀도는 0.073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코튼 린터를 구리암모니아 용액으로 용해하여(코튼 린터 10 중량%, 암모니아 7 중량%, 구리 3 중량%) 방사 원액을 준비하였다. 방사 원액을 유하 긴장하에서 연속하여 네트 상에 5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었다. 얻어진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묽은 황산으로 재생하고, 수세 후 얻어진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상층 네트 18메시(1인치당 값의 그물코의 수가 18개), 하층 네트 10메시의 네트에 끼우며, 15 ㎏/㎠의 압력을 가하여 워터 니들에 의해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48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0.4 g/㎡, 두께는 0.28 ㎜, 부피 밀도는 0.073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시판의 나일론제의 트리코의 특성 측정과 평가를 행하였다. 단위 중량이 16.3 g/㎡, 두께는 0.15 ㎜, 부피 밀도는 0.109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방사 원액을 유하 긴장하에서 연속하여 네트 상에 4층 겹침으로 방사하여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웹을 얻은 것, 네트 스피드를 90 m/분으로 한 것, 컨베이어 네트를 40메시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생 셀룰로오스 연속 장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7.5 g/㎡, 두께는 0.09 ㎜, 부피 밀도는 0.083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부직포 2장을 중첩시키고 플랫 롤을 이용해서 가압하여, 복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 시트를 4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을 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2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39.5 g/㎡, 두께는 0.24 ㎜, 부피 밀도는 0.164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코튼 섬유(단위 중량 35.1 g/㎡)의 부직포를 4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을 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3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32.3 g/㎡, 두께는 0.43 ㎜, 부피 밀도는 0.075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비교예 6에서 얻어진 부직포를 10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을 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1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9.4 g/㎡, 두께는 0.39 ㎜, 부피 밀도는 0.075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6에서 얻어진 부직포를 5메시의 컨베이어 네트로 고압 수류 교락시킨 후, 건조시켰다. 한편, 네트 스피드는 10 m/분이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중량은 25.6 g/㎡, 두께는 0.34 ㎜, 부피 밀도는 0.075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시판의 면 거즈(면제의 트리코)의 특성 측정과 평가를 행하였다. 단위 중량이 12.3 g/㎡, 두께는 0.64 ㎜, 부피 밀도는 0.019 g/㎤였다. 얻어진 부직포의 특성을 이하의 표 1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이용한 겔 마스크는, 겔 가공시의 침투성, 기포의 적음, 착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이용한 겔 마스크는, 겔의 침투성이 높고,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부 접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겔 마스크용 부직포로서,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겔 마스크용 부직포:
    (1) 이 부직포의 부피 밀도가 0.02 g/㎤ 초과 0.15 g/㎤ 이하이다,
    (2) 이 관통 구멍의 개공 면적의 평균이 0.40 ㎟ 이상 1.00 ㎟ 이하이다,
    (3) 이 부직포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차지하는 비율이 16% 이상 50% 이하이다,
    (4) 이 부직포의 두께가 0.10 ㎜ 이상 0.40 ㎜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통기 저항이 7 ㎩·S/m 이상 35 ㎩·S/m 이하인 겔 마스크용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습윤시 20% 모듈러스가 0.20 N/50 ㎜ 이상 1.50 N/50 ㎜ 이하인 겔 마스크용 부직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연속 장섬유인 겔 마스크용 부직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 100 중량%인 겔 마스크용 부직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 마스크용 부직포를 포함하는 겔 마스크.
KR1020197005175A 2016-09-28 2017-09-20 겔 마스크용 부직포 KR20190029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9590 2016-09-28
JPJP-P-2016-189590 2016-09-28
PCT/JP2017/033966 WO2018061947A1 (ja) 2016-09-28 2017-09-20 ゲルマスク用不織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724A true KR20190029724A (ko) 2019-03-20

Family

ID=6176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175A KR20190029724A (ko) 2016-09-28 2017-09-20 겔 마스크용 부직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521497A4 (ko)
JP (1) JPWO2018061947A1 (ko)
KR (1) KR20190029724A (ko)
CN (1) CN109642376A (ko)
TW (1) TWI655004B (ko)
WO (1) WO2018061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0579B2 (ja) * 2019-04-19 202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スキンケアシート
CN112438931A (zh) * 2019-09-02 2021-03-05 山东艾茉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凝胶状面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8006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16000701A (ja) 2014-06-11 2016-01-07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ゲルマスク用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0914B1 (fr) * 1987-09-25 1991-11-08 Oreal Materiau en feuille pour realiser un traitement cutane ou capillair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articles realises en ce materiau
JP3907872B2 (ja) * 1999-07-06 2007-04-18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ボディ用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EP1327442B1 (en) * 2000-10-16 2009-12-16 Sekisui Kaseihin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gel sheet for application to living body, gel sheet for application to living body obtained by the production process, and method of skin care with the same
JP2003095861A (ja) * 2001-09-27 2003-04-03 Lion Corp スキンケアシート
JP4369093B2 (ja) * 2002-04-02 2009-11-18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シート状基材
JP2005095495A (ja) * 2003-09-26 2005-04-14 Lion Corp 身体清浄用シート
JP4937603B2 (ja) * 2006-02-24 2012-05-23 ミドリホクヨー株式会社 繊維シート及びパック化粧料
JP5683453B2 (ja) * 2009-03-31 2015-03-11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ート状化粧料
TWI495442B (zh) * 2011-03-28 2015-08-11 Ozu Corp 化妝品浸漬片及其製造方法
JP6158178B2 (ja) * 2012-06-12 2017-07-05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8006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16000701A (ja) 2014-06-11 2016-01-07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ゲルマスク用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1947A1 (ja) 2018-04-05
JPWO2018061947A1 (ja) 2019-06-24
EP3521497A4 (en) 2019-09-11
TWI655004B (zh) 2019-04-01
TW201813636A (zh) 2018-04-16
CN109642376A (zh) 2019-04-16
EP3521497A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4072B2 (ja) フェイスマスク用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
JP6385191B2 (ja)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6005977B2 (ja) 化粧用シート
JP6267913B2 (ja) フェイスマスク用不織布
KR102440015B1 (ko) 적층 부직포
JP2009297535A (ja) 化粧用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皮膚洗浄用シート
KR20190029724A (ko) 겔 마스크용 부직포
JP4471620B2 (ja) 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不織布製品
EP3241936B1 (en) Fiber aggregate, liquid-absorbing sheet-shaped object includ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fiber aggregate
JP2018153632A (ja) 薬液含浸用シート
KR102490724B1 (ko)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부직포, 약액 함침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JP4873836B2 (ja) 化粧用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皮膚洗浄用シート
JP2016069762A (ja) 不織布
JP2016000701A (ja) ゲルマスク用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
JP2021050434A (ja) セルロース系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H0327662B2 (ko)
JP2021025160A (ja) 長繊維不織布
KR20200019949A (ko) 스킨케어 제품용 부직포
JP2018127744A (ja) フェイスマスク用セルロース系繊維不織布
WO2022225056A1 (ja) セルロース繊維を含む不織布
JP6208549B2 (ja) セルロース繊維を用いた不織布
JP7392651B2 (ja) スキンケア製品用不織布、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クレンジングシート
JP2005245752A (ja) 拭き取り布
JP2019090148A (ja) 保液性不織布および該不織布を含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
JP4481104B2 (ja) 湿潤清拭部材用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湿潤清拭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