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923A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923A
KR20190026923A KR1020197004842A KR20197004842A KR20190026923A KR 20190026923 A KR20190026923 A KR 20190026923A KR 1020197004842 A KR1020197004842 A KR 1020197004842A KR 20197004842 A KR20197004842 A KR 20197004842A KR 20190026923 A KR20190026923 A KR 20190026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unit
data
programmable logic
logic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224B1 (ko
Inventor
유 오기쿠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5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logic state machines, consisting only of a memory or a programmable logic device containing the logic for the controlled machine and in which the state of its outputs is dependent on the state of its inputs or part of its own output states, e.g. binary decision controllers, finite state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통신부로 수신된 요구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처리부와,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주변 기기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데이터 격납부에,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을 획정시키는 설정 처리부(5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주변 기기를 구비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는 외부 기기인 표시기, 컴퓨터, 혹은 다른 PLC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 가능하게 된다. PLC는 외부 기기에 의한 기입 요구에 따라,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으로의 기입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PLC는 데이터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중요한 연산 데이터를, 악의를 가진 제삼자에 의한 위조(falsify), 혹은 오조작에 의한 재기입(rewrite)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연산 데이터의 격납을 위한 메모리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을 금지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PLC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PLC는 기입 금지의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연산 데이터를 보호 가능하게 한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기입이 금지되는 영역은,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평 8-179991호 공보
외부 기기로부터의 통신에 의한 기입이 금지되는 영역을, 기입이 가능하게 되는 영역으로부터 획정하기 위한 설정은, 설정을 행하는 유저에게 있어서 간이하고 또한 알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하고 또한 알기 쉬운 설정에 의해, 기입이 금지되는 영역을 획정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접속된 주변 기기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통신부로 수신된 요구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처리부와,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한다. 주변 기기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데이터 격납부에,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을 획정시키는 설정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간이하고 또한 알기 쉬운 설정에 의해, 기입이 금지되는 영역을 획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PLC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PLC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PL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설정 처리부에서의 제2 영역의 설정을 위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기입 관리부에 의한 판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에 의한 PLC의 동작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PLC와, PLC에 접속된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PLC 시스템에 포함되는 PL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PLC 시스템에 포함되는 PL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PLC 시스템(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LC 시스템(6)은 PLC(1)와, PLC(1)에 접속된 주변 기기인 컴퓨터(5)를 구비한다. 컴퓨터(5)는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퍼스널 컴퓨터이다. 네트워크 케이블(7)은 PLC(1)와 컴퓨터(5)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킨다. 네트워크 케이블(7)의 하나의 예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이다. 컴퓨터(5)는 PLC(1)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프로젝트 데이터를 PLC(1)로 송신한다.
PLC(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대상인 기계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계는 제조 장치, 가공 장치 혹은 설비 장치로서, FA(Factory Automation) 시스템에 사용되는 어느 장치여도 된다. FA 시스템은 공장에 있어서의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는 시스템이다. 또, PLC(1)는 외부 기기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외부 기기와, 제어 대상인 기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PLC(1)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PLC(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PLC(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메모리(22),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I/F)(23), 버스 인터페이스(I/F)(24) 및 기억부(25)를 구비한다. PLC(1)의 각부는, 내부 버스(B1)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통신 I/F(23)는 외부 기기, 및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5)와의 접속 인터페이스이다. 버스 I/F(24)는 내부 버스(B1)와 확장 버스를 연락하는 버스 브릿지 회로이다. 제어 대상인 기계는, 확장 버스에 접속된다. 도 2에서는, 확장 버스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외부 기억 장치인 기억부(25)는, 컴퓨터(5)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트 데이터(27)를 격납한다. 기억부(25)는 SSD(Solid State Drive) 혹은 HDD(Hard Disk Drive)이다. 프로젝트 데이터(27)는 제어 프로그램(27a)과, 제어 파라미터(27b)와, 메모리 정보(27c)와, 접속 정보(27d)를 포함한다.
제어 파라미터(27b)는 제어 프로그램(27a)의 실행에 있어서 참조되는 파라미터이다. 메모리 정보(27c)는 메모리(22) 내의 작업 영역(26)에 있어서의 연산 데이터마다의 데이터 영역에 대한 규정이 기술된 정보이다. 연산 데이터는 제어 프로그램(27a)에 의한 연산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로서, 제어 대상인 기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기계의 내부 데이터와, PLC(1)의 내부 데이터를 포함한다. 접속 정보(27d)는 PLC(1)와 기계의 접속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어 프로그램(27a)은 래더 언어로 기술된 래더 프로그램이다. 제어 프로그램(27a)은 래더 언어 이외의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구조화 래더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 혹은 펑션 블록 다이어그램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메모리(22)는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제어 프로그램(27a)은 메모리(22)에 로드된다. CPU(21)는 메모리(22) 내의 프로그램 격납 영역에서 제어 프로그램(27a)을 전개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22)는 각종 처리의 실행에 있어서의 데이터 격납 영역인 작업 영역(26)을 포함한다. 작업 영역(26)에는, 메모리 정보(27c)로 규정되는 복수의 데이터 영역이 확보된다. 각 데이터 영역은 연산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를 격납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PLC(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처리에 관계하는 기능부를 나타내고 있다. PLC(1)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부인 통신부(31)와 제어 처리부인 커맨드 처리부(35)를 구비한다. 커맨드 처리부(35)는,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프로그램(27a)을 실행하고, 또한 통신부(31)에서 수신된 요구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부이다.
또, PLC(1)는 제어 프로그램(27a)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격납부(41)와, 커맨드 처리부(35)의 동작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파일이 격납되는 파라미터 격납부(42)를 구비한다. 파라미터 격납부(42)에는, 컴퓨터(5)에서 작성된 파라미터 파일이 격납된다. 하나의 예에서는, 파라미터 파일에는 PLC(1)의 동작 모드의 지정을 위한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또, 파라미터 파일에는, 데이터 격납부(41) 중,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이 금지된 영역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데이터 격납부(41)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모리(22)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파라미터 격납부(42)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기억부(25)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통신부(31)는 PLC(1)와 외부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이다. 통신부(31)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한다.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I/F(23)는, 통신부(31)의 기능을 구비한다.
커맨드 수신부(32)는 통신부(31)에서 수신된 커맨드의 수신 처리를 실행하고, 커맨드 버퍼(34)로 커맨드를 격납한다. 커맨드 버퍼(34)는 커맨드 수신부(32)로부터의 커맨드를 일시 격납하고,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FIFO) 방식에 의해 커맨드 처리부(35)로 커맨드를 송출한다.
커맨드 처리부(35)는 커맨드 버퍼(34)로부터의 커맨드를 순서대로 처리한다. 커맨드 송신부(33)는 커맨드 처리부(35)에서의 커맨드 처리의 결과에 대한 응답 프레임을 작성하여, 응답 프레임의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부(31)는 외부 기기로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커맨드 수신부(32), 커맨드 송신부(33) 및 커맨드 처리부(35)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CPU(21)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기입 관리부(37)는 커맨드 처리부(35)로 입력된 커맨드를 해석한다. 기입 관리부(37)는 파라미터 격납부(42)로부터 읽어내진 파라미터를 기초로, 기입 요구의 커맨드의 실행에 의한 기입의 허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터 격납부(41)로의 기입을 관리한다. 기입의 허가를 기입 관리부(37)가 결정했을 경우에, 커맨드 처리부(35)는 커맨드를 실행한다. 데이터 기입부(36)는 커맨드 처리부(3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데이터 격납부(41)로의 기입 처리를 실행한다. 또, 기입의 거부를 기입 관리부(37)가 결정했을 경우에, 커맨드 처리부(35)는 커맨드의 실행을 중지하고,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기입부(36) 및 기입 관리부(37)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CPU(21)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파라미터 해석부(39)는 파라미터 격납부(42)로부터 읽어내진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파라미터의 정합성을 확인한다. 파라미터 관리부(38)는 파라미터 해석부(39)에서의 해석을 거친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유지된 파라미터를 커맨드 처리부(35)와 기입 관리부(37)로 제공한다. 기입 관리부(37)는 데이터의 기입이 금지된 영역의 설정에 대한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관리부(38)로부터 취득한다. 파라미터 해석부(39)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CPU(21)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파라미터 관리부(38)의 기능은, 도 2에 도시하는 메모리(22)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5)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5)는 엔지니어링 툴부(50)를 구비한다. 엔지니어링 툴부(50)는 컴퓨터(5)의 하드웨어로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엔지니어링 툴부(50)는 제어 프로그램(27a)에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데이터 격납부(41)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을 획정시키는 기능부인 설정 처리부(51)를 구비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설정 처리부(51)는 제2 영역의 지정을 포함하는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설정 처리부(51)는 제2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제2 영역과, 제2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1 영역을 획정시킨다.
또, 엔지니어링 툴부(50)는, 도 2에 도시하는 프로젝트 데이터(27)를 작성하는 기능부인 프로그래밍 처리부(52)와,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부인 입력부(54)와, 엔지니어링 툴부(50)에서의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부인 표시부(55)를 구비한다. 입력부(54)는 프로그래밍 처리부(52)에서의 프로젝트 데이터(27)의 작성을 위한 입력 조작과, 설정 처리부(51)에 의한 제2 영역의 설정을 위한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제어부(53)는 엔지니어링 툴부(50)의 각부를 제어하는 기능부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컴퓨터(5)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5)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1)와, 프로그램 격납 영역 및 데이터 격납 영역을 포함하는 RAM(62)과, 불휘발성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63)과, PLC(1)와의 접속 인터페이스인 통신 인터페이스(I/F)(64)를 구비한다. 또, 컴퓨터(5)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인 기억 장치(65)와,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디바이스(66)와, 각종 화면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7)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컴퓨터(5)의 각부는, 버스(6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65)는 HDD 혹은 SSD이다. 입력 디바이스(66)는 포인팅 디바이스 및 키보드이다. 디스플레이(67)의 하나의 예는,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CPU(61)는 ROM(63) 및 기억 장치(65)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OM(63)에는 컴퓨터(5)의 기본이 되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인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혹은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가 격납되어 있다. 기억 장치(65)에는, 컴퓨터(5)에서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ROM(63) 및 기억 장치(6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RAM(62)에 로드된다. CPU(61)는 RAM(62) 내의 프로그램 격납 영역에서 프로그램을 전개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덧붙여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은, 컴퓨터(5)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것이어도 된다. 컴퓨터(5)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65)로 격납해도 된다. 기억 매체는 플렉서블 디스크인 휴대형 기억 매체, 혹은 반도체 메모리인 플래쉬 메모리여도 된다.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은, 다른 컴퓨터 혹은 서버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5)로 인스톨되어도 된다.
다음에, PLC 시스템(6)에 의한 제2 영역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설정 처리부(51)에서의 제2 영역의 설정을 위한 화면(56)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표시부(55)는, 제어 프로그램(27a)에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을 위한 화면(56)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2 영역의 설정에 사용되는 변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프로그램(27a)인 래더 프로그램은, 복수의 회로 블록에 의해서 구성된다. 회로 블록은 접점이 직렬 혹은 병렬로 접속된 일련의 회로인 조건부와, 1개 이상의 코일이 직렬로 접속된 일련의 회로인 동작부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동작부는 조건부의 접점이 도통되었을 때 실행되는 연산 처리의 내용을 나타낸다.
래더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코드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회로 기호 및 변수를 포함한다. 회로 기호에는 PLC(1)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접점 및 코일이 포함된다. 변수는 제어 프로그램(27a)상에 있어서의 제어의 대상으로서, 회로 기호로 나타내진 처리의 대상을 나타내고 있다. 변수는 구성요소의 타입을 나타내는 알파벳과 구성요소의 식별을 위한 숫자의 조합에 의해 기술된다. 변수는,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영역(26)의 각 데이터 영역에 대응지어져 있다. 각 데이터 영역에는, 구성요소마다에 있어서의 연산 데이터가 격납된다. 연산 데이터에는, 온과 오프의 구별을 표현하는 비트 데이터와, 수치를 표현하는 워드 데이터가 포함된다. 유저는 처리의 대상마다, 변수에 포함되는 숫자를 임의로 할당할 수 있다. 덧붙여 래더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사용되는 변수, 혹은 변수가 대응지어져 있는 데이터 영역은, 「디바이스」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변수가 대응지어져 있는 데이터 영역에 격납되는 연산 데이터는, 「디바이스값」이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화면(56)에는, 제2 영역의 설정을 위한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기입 금지 설정」의 타이틀이 나타내져 있다. 화면(56)에서는 구성요소의 타입마다 변수의 범위의 지정이 입력됨으로써, 구성요소마다 제2 영역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면(56)에 표시되는 「타입」의 란에는, 구성요소의 타입의 명칭이 기재되어 있다. 「기호」의 란에는, 타입을 나타내는 기호인 알파벳이 기재되어 있다. 「타입」의 란에 기재되는 명칭과, 「기호」의 란에 기재되는 알파벳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기입 금지 범위」의 란은, 변수에 포함되는 숫자의 범위에 의해, 제2 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영역의 범위를 지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영역의 범위는, 범위의 선두가 되는 변수를 나타내는 숫자와, 최후가 되는 변수를 나타내는 숫자에 의해 지정된다. 「선두」의 란에는, 범위의 선두가 되는 변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입력된다. 「최후」의 란에는, 범위의 최후가 되는 변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화면(56)은 제2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변수의 입력을 접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구성요소의 타입의 하나인 「입력 릴레이」에 대해서, 「선두」의 란에 「1000」, 「최후」의 란에 「1500」이 각각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내용은, 「입력 릴레이」에 대해서, 제2 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영역의 범위가 X1000부터 X1500의 범위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설정 처리부(51)는 이러한 내용으로의 제2 영역의 설정에 의해, 「입력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 중 X1000부터 X1500의 범위에 제2 영역을 획정시킨다. 설정 처리부(51)는 「입력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 중, X1000부터 X1500의 범위 이외의 범위인 X0부터 X999의 범위와 X1501 이후의 범위로, 제1 영역을 획정시킨다.
또, 설정 처리부(51)는 「출력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 중 Y100부터 Y250의 범위로 제2 영역을 획정시킨다. 설정 처리부(51)는 「출력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 중, Y100부터 Y250의 범위 이외의 범위인 Y0부터 Y99의 범위와 Y251 이후의 범위로, 제1 영역을 획정시킨다. 이와 같이, 설정 처리부(51)는 입력 내용에 변수가 포함된 입력 조작을 화면(56)에서 접수함으로써,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획정시킨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내부 릴레이」에 대한 「선두」 및 「최후」의 각 란이 미입력으로 되어 있다. 「선두」 및 「최후」의 각 란을 미입력으로 함으로써, 「내부 릴레이」에 대해서는, 제2 영역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내진다. 설정 처리부(51)는 「내부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는, 제2 영역을 마련하지 않고, 「내부 릴레이」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의 전체를 제1 영역인 채로 한다.
덧붙여 화면(56)에서는, 구성요소의 타입마다 설정 가능하게 하는 제2 영역의 범위는, 1개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56)에서는, 구성요소의 종목 1개당, 제2 영역으로 하는 복수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유저는 입력 디바이스(66)로의 입력 조작에 의해, 화면(56)으로 변수의 범위를 입력한다. 하나의 예에서는, 입력 조작의 주체인 유저는,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의 사용에 의한 프로그래밍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설정 처리부(51)는 화면(56)으로 입력된 정보를, 도 2에 도시하는 CPU(21)가 해석 가능한 형식의 파라미터로 변환한다. 컴퓨터(5)는 설정 처리부(51)에서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파라미터를, 도 5에 도시하는 통신 I/F(64)로부터 PLC(1)로 송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기입 관리부(37)는, PLC(1)로부터의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격납부(42)로 격납한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6)은 데이터 격납부(41)의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의 제2 영역을 설정한다.
PLC 시스템(6)에 있어서, 유저는 제어 프로그램(27a)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이용되는 변수를 사용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획정을 위한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유저는 제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는 임의의 변수 범위의 연산 데이터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재기입를 저지 가능하게 한다. 유저는 변수마다의 연산 데이터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의 제2 영역의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PLC(1)는 제2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연산 데이터를, 외부 기기를 취급하는 조작자의 과오 혹은 고의로 인한 재기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PLC 시스템(6)은 변수를 사용하는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메모리(22)의 어드레스에 의한 영역의 설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비해, 프로그래밍을 행하는 유저에게 있어서 간이하고 또한 알기 쉬운 설정에 의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획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영역이 설정된 PLC(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파라미터 관리부(38)는, 제2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격납부(42)로부터 읽어내고, 읽어내진 파라미터를 유지한다. 외부 기기로부터의 커맨드가 커맨드 처리부(35)로 입력되면, 기입 관리부(37)는 커맨드의 내용을 해석한다. 또, 기입 관리부(37)는 제2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파라미터 관리부(38)로부터 읽어낸다. 기입 관리부(37)는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의 기입의 선두의 위치와, 기입되는 대상인 데이터의 사이즈를 기초로,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이, 제2 영역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기입 관리부(37)에 의한 판단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래더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X」에 대한 데이터 영역(44) 중, 「NA」부터 「NB」의 숫자가 부여된 변수인 XNA부터 XNB에 대응하는 범위로, 제2 영역(43)이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영역(26)에는, 「X」에 대한 데이터 영역(44)과 래더 프로그램의 그 외의 구성요소에 대한 데이터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작업 영역(26) 중 데이터 영역(44)을, 변수에 부여된 번호에 대응지어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영역 R1부터 R7은,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영역 R1, R2는, 어느 것도 전체가 제2 영역(43)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기입 관리부(37)는 영역 R1, R2로의 기입이 요구되었을 경우에, 기입 처리를 허가한다. 영역 R4는 전체가 제2 영역(43)에 포함되어 있다. 기입 관리부(37)는 영역 R4로의 기입이 요구되었을 경우에, 기입 처리를 거부한다.
기입 관리부(37)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가 제2 영역(43)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외, 영역의 일부가 제2 영역(43)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기입 처리를 거부한다. 영역 R3, R5, R6은, 어느 것도 일부가 제2 영역(43)에 포함되어 있다. 기입 관리부(37)는 영역 R3, R5, R6으로의 기입이 요구되었을 경우에, 기입 처리를 거부한다. 영역 R7은 3개로 나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3개의 영역 중 하나가 제2 영역(43)에 포함되어 있다. 기입 관리부(37)는 1개의 커맨드에 의해 영역 R7으로의 기입이 요구되었을 경우에, 기입 처리를 거부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에 의한 PLC(1)의 동작의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기입 관리부(37)는 PLC(1)에서 커맨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입 관리부(37)는 커맨드 버퍼(34)로부터 커맨드 처리부(35)로의 커맨드의 입력을 감시하고, 커맨드 처리부(35)로의 커맨드의 입력에 의해, 커맨드의 수신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PLC(1)가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No), 기입 관리부(37)는 커맨드의 수신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PLC(1)가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Yes), 기입 관리부(37)는 커맨드 처리부(35)로 입력된 커맨드를 해석한다. 스텝 S2에서는, 기입 관리부(37)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기입이 금지되어 있는 영역인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2:No), 기입 관리부(37)는 기입의 허가를 결정한다. 커맨드 처리부(35)는 기입 허가의 결정을 받고, 커맨드를 실행한다. 커맨드 처리부(35)에서의 커맨드의 실행에 의해, 데이터 기입부(36)는 스텝 S3에 있어서 데이터 격납부(41)의 데이터 영역으로 데이터를 기입한다. 커맨드 송신부(33)는 커맨드 처리부(35)에서의 커맨드의 실행에 의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기입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프레임을 작성하여, 응답 프레임의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부(31)는 외부 기기로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한편,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2:Yes), 기입 관리부(37)는 기입의 거부를 결정한다. 커맨드 처리부(35)는 기입 거부의 결정을 받고, 커맨드의 실행을 중지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커맨드 처리부(35)는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커맨드 송신부(33)는 커맨드 처리부(35)에서의 에러 처리의 실행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이 거부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 프레임을 작성하여, 응답 프레임의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부(31)는 외부 기기로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PLC(1)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수신에 의한 동작을 종료한다.
덧붙여 설정 처리부(51)는 제2 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영역을, 변수의 범위에 의해 설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설정 처리부(51)는 변수의 범위에 의한 설정 이외에, 변수를 핀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설정 처리부(51)에서의 제2 영역의 설정에 의해 획정되는 것 외에, 제1 영역의 설정에 의해 획정되어도 된다. 설정 처리부(51)는 제1 영역의 지정을 포함하는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제1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설정 처리부(51)는 제1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제1 영역과 제1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영역을 획정시킨다.
화면(56)에서의 입력 조작에 있어서 사용되는 변수는, 래더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사용되는 변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수는 래더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사용되는 변수여도 된다. 하나의 예에서는, 변수는 구조화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사용되는 변수인 「라벨」이어도 된다. 유저는 처리의 대상마다, 「라벨」인 임의의 명칭을 할당할 수 있다. 설정 처리부(51)는 「라벨」의 범위에 의한 설정 혹은 「라벨」의 핀포인트로의 설정에 의해, 제2 영역으로 하는 데이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PLC(1)와 외부 기기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PLC(1)와, PLC(1)에 접속된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PLC(1)는, 입출력 제어와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유닛(10)과, PLC(1)의 각 유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1)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12)을 구비한다. 하나의 예에서는, 통신 유닛(12)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PLC와의 통신을 행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은, 제어 유닛(10)에 마련되어 있다. 파라미터 격납부(42)에는, 제2 영역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격납되어 있다.
PLC(1)의 각 유닛은, 버스가 내장된 베이스 유닛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 9에서는, 베이스 유닛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PLC(1)는, 도 9에 도시하는 유닛 이외의 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PLC(1)는 제어 대상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유닛과, 제어 유닛(1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외부 기기인 표시기(2)는 USB 케이블(3)에 의해 제어 유닛(10)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기(2)는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PLC(1)로 송신한다. 커맨드에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선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입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도 3에 도시하는 통신부(31)는, USB 케이블(3)을 전송한 커맨드를 수신한다. 기입 관리부(37)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기입이 금지되어 있는 영역인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PLC(1)는 표시기(2)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한다.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가 제2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PLC(1)는 표시기(2)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하지 않고,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PLC(1)는 표시기(2) 이외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외부 기기는 PLC(1)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 컴퓨터, 혹은 다른 PLC여도 된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PLC 시스템(6)은 제어 프로그램(27a)에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사용하여, PLC(1)에 있어서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획정을 가능하게 한다. PLC 시스템(6)은 변수를 사용하는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로그래밍을 행하는 유저에게 있어서 간이하고 또한 알기 쉬운 설정에 의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획정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덧붙여 PLC(1)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PLC(1)는 USB 인터페이스 이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2 및 3에서는, USB 인터페이스 이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PLC(1)가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PLC 시스템(6)에 포함되는 PLC(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는 PLC(1)와, PLC(1)에 접속된 외부 기기인 표시기(2)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유닛(10)과, 외부 기기인 표시기(2)는, LAN 네트워크(70)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는, LAN 네트워크(70)는 이더넷(등록상표)에 의한 네트워크이다. 도 3에 도시하는 통신부(3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LAN 네트워크(70)의 통신 규격에는, 임의의 통신 규격을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한다.
표시기(2)는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PLC(1)로 송신한다. 커맨드에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선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입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 커맨드에는 기입의 요구처인 PLC(1)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통신부(31)는 LAN 네트워크(70)를 전송한 커맨드를 수신한다.
PLC(1)는 표시기(2) 이외의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외부 기기는 PLC(1)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 컴퓨터, 혹은 다른 PLC여도 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PLC(1)는 LAN 네트워크(70)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2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연산 데이터를 재기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PLC 시스템(6)에 포함되는 PLC(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PLC(1)와, PLC(1)에 접속된 외부 기기인 PLC(81)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PLC(1)의 통신 유닛(12)과, PLC(81)는, 산업용 네트워크(80)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는, 산업용 네트워크(80)는 CC-Link(등록상표) 네트워크이다. 산업용 네트워크(80)는 CC-Link 네트워크 이외의 산업용 네트워크여도 된다. 산업용 네트워크(8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인 RS-232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여도 된다. 또, 산업용 네트워크(80)는 마스터국과 로컬국 사이의 복수의 계층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PLC(1)에 있어서, 제어 유닛(10)은 통신 유닛(12)을 관리한다. 통신 유닛(12)은 산업용 네트워크(8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PLC(81)의 CPU는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통신 유닛(12)으로 송신한다. 도 11에서는, PLC(81)의 CPU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커맨드에는, 기입이 요구되고 있는 영역의 선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기입되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 커맨드에는 산업용 네트워크(80)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식별 정보에 의해, 기입의 요구처인 PLC(1)의 통신 유닛(12)이 산업용 네트워크(80)상에서 특정된다. 통신 유닛(12)은 산업용 네트워크(80)를 전송한 커맨드를 수신한다. 식별 정보는 통신의 계층마다 설정된 네트워크 번호와, 기입의 요구처인 통신 유닛(12)을 나타내는 국번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통신 유닛(12)은 산업용 네트워크(80)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하면, 통신 유닛(12)의 관리를 행하고 있는 제어 유닛(10)으로, 수신된 커맨드를 송신한다. PLC(1)는 통신 유닛(12)으로부터의 커맨드를, 베이스 유닛을 통해서, 제어 유닛(10)으로 송신시킨다. 도 11에서는, 베이스 유닛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통신부(31)는, 통신 유닛(12)으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PLC(1)는 산업용 네트워크(80)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의 커맨드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2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연산 데이터를 재기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이 금지되어 있는 제어 유닛(10) 이외의 유닛으로 기입 요구의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PLC(1)는 제어 유닛(10) 내에 격납되어 있는 연산 데이터를 재기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제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81: PLC 2: 표시기
3: USB 케이블 5: 컴퓨터
6: PLC 시스템 7: 네트워크 케이블
10: 제어 유닛 11: 전원 유닛
12: 통신 유닛 21, 61: CPU
22: 메모리 23, 64: 통신 I/F
24: 버스 I/F 25: 기억부
26: 작업 영역 27: 프로젝트 데이터
27a: 제어 프로그램 27b: 제어 파라미터
27c: 메모리 정보 27d: 접속 정보
31: 통신부 32: 커맨드 수신부
33: 커맨드 송신부 34: 커맨드 버퍼
35: 커맨드 처리부 36: 데이터 기입부
37: 기입 관리부 38: 파라미터 관리부
39: 파라미터 해석부 41: 데이터 격납부
42: 파라미터 격납부 43: 제2 영역
44: 데이터 영역 50: 엔지니어링 툴부
51: 설정 처리부 52: 프로그래밍 처리부
53: 제어부 54: 입력부
55: 표시부 56: 화면
62: RAM 63: ROM
65: 기억 장치 66: 입력 디바이스
67: 디스플레이 68: 버스
70: LAN 네트워크 80: 산업용 네트워크

Claims (8)

  1.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접속된 주변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요구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처리부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격납부에,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을 획정시키는 설정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상기 변수의 사용에 의한 상기 입력 조작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상기 설정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 영역 혹은 상기 제2 영역의 범위를 기초로,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 처리의 허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격납부로의 기입을 관리하는 기입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처리부의 동작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파일이 격납되는 파라미터 격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라미터 파일에는, 상기 범위의 정보인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상기 기입 관리부는 상기 파라미터 격납부로부터 읽어내진 상기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지정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이외의 영역인 상기 제1 영역과 획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의 타입을 나타내는 기호와, 상기 구성요소의 식별을 위한 숫자의 조합으로서,
    상기 설정 처리부는 상기 기호와, 상기 제1 영역 혹은 상기 제2 영역의 범위의 선두가 되는 상기 변수를 나타내는 상기 숫자와, 상기 범위의 최후가 되는 상기 변수를 나타내는 상기 숫자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획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7. 주변 기기에 접속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로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요구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처리부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격납부와,
    상기 제어 처리부의 동작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 파일이 격납되는 파라미터 격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변 기기에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이 상기 데이터 격납부에 획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 격납부는 상기 제1 영역 혹은 상기 제2 영역의 범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파라미터 파일을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8.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의 제어의 대상인 변수를 포함한 입력 조작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한 처리에서 다루어지는 연산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 영역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기입이 가능하게 된 제1 영역과, 상기 요구에 의한 기입이 금지된 제2 영역을, 상기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획정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KR1020197004842A 2017-04-24 2017-04-24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KR10200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6233 WO2018198174A1 (ja) 2017-04-24 2017-04-24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923A true KR20190026923A (ko) 2019-03-13
KR102005224B1 KR102005224B1 (ko) 2019-07-29

Family

ID=6351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42A KR102005224B1 (ko) 2017-04-24 2017-04-24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6674B2 (ko)
JP (1) JP6388736B1 (ko)
KR (1) KR102005224B1 (ko)
CN (1) CN109643096B (ko)
WO (1) WO2018198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9648A (zh) * 2018-10-05 2021-05-11 三菱电机株式会社 Cpu单元、可编程逻辑控制器、方法、程序以及工程设计工具
JP6821101B1 (ja) * 2019-09-12 2021-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6950772B2 (ja) * 2020-03-13 2021-10-13 株式会社安川電機 生産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9991A (ja) 1994-12-22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11305807A (ja) * 1998-04-23 1999-11-05 Fanuc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12194666A (ja) * 2011-03-15 2012-10-11 Omron Corp Plcのcpuユニット、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12242889A (ja) * 2011-05-16 2012-12-10 Digital Electronics Corp アドレス設定ファイル作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071862A (ja) * 2012-10-02 2014-04-21 Jtekt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663B2 (en) * 2007-10-31 2010-05-25 Agere Systems Inc. Memor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4976991B2 (ja) * 2007-11-22 2012-07-1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検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70536A (ja) * 2008-12-26 2010-08-05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5119204B2 (ja) 2009-05-26 2013-01-1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データ書き込み方法、及び受信モジュール
JP5204291B1 (ja) * 2011-12-02 2013-06-05 株式会社東芝 ホスト装置、装置、システム
US20160062954A1 (en) * 2012-09-15 2016-03-03 Numbergun Llc Flexible high-speed generation and formatting of application-specified strings
WO2014064846A1 (ja) * 2012-10-26 2014-05-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変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5886173B2 (ja) 2012-11-14 2016-03-1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9092647B2 (en) * 2013-03-07 2015-07-2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grammable direct memory access channe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9991A (ja) 1994-12-22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11305807A (ja) * 1998-04-23 1999-11-05 Fanuc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12194666A (ja) * 2011-03-15 2012-10-11 Omron Corp Plcのcpuユニット、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12242889A (ja) * 2011-05-16 2012-12-10 Digital Electronics Corp アドレス設定ファイル作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4071862A (ja) * 2012-10-02 2014-04-21 Jtekt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98174A1 (ja) 2019-06-27
CN109643096A (zh) 2019-04-16
CN109643096B (zh) 2020-11-10
WO2018198174A1 (ja) 2018-11-01
KR102005224B1 (ko) 2019-07-29
US20190204803A1 (en) 2019-07-04
US10466674B2 (en) 2019-11-05
JP6388736B1 (ja)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1656A (en) Programming system for sequence control and control unit for executing program for sequence control
KR102005224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엔지니어링 툴 프로그램
KR101889631B1 (ko)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JP4554570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制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033570A (ja)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150953B2 (ja) デバッグ装置、デバッグ方法及びデバッグプログラム
CN111095195A (zh) 控制器、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
JP2006277691A (ja) プログラマブル・ターミナル・システム
CN111095194A (zh) 控制系统、控制器以及控制方法
WO2014162575A1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05259079A (ja) ツール
JP5207310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
ES2962496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generar un proyecto de automatización de edificios
JP4666172B2 (ja) 制御システム設定管理システム
JP6505591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4588364B2 (ja) 操作器画面生成装置
EP3842879B1 (en) Programming assistance device, programming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TW464821B (en) Programmer/feeder system task linking program
JP5951041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2007252162A (ja) 電動機駆動装置
JP2007094979A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画面作成装置、画面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5011600A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関連制御デバイス特定方法
JP4919092B2 (ja) 制御プログラムの開発支援装置
JP5429891B2 (ja) データ書き込み装置およびデータ書き込み方法
JP2022186107A (ja) エレベーター保守支援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保守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