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537A -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537A
KR20190025537A KR1020187026155A KR20187026155A KR20190025537A KR 20190025537 A KR20190025537 A KR 20190025537A KR 1020187026155 A KR1020187026155 A KR 1020187026155A KR 20187026155 A KR20187026155 A KR 20187026155A KR 20190025537 A KR20190025537 A KR 2019002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orming agent
resin
film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와타나베
카즈야 이노마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22Organic solvents containing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청정화 대상면에의 피막 형성 및 오염의 제거가 행하기 쉽고, 강고하게 부착한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A)성분 : (메타)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와, (B)성분 : 물과, (C)성분 :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A)성분/상기 (C)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30∼450인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이다.

Description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6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6-129920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그릇 또는 인체 등에 부착한 오염을 제거하는 청정화 처리를 행할 때에는, 물, 계면활성제, 또는 용제 등을 포함하는 세정제와, 스펀지 또는 걸레 등의 청정구와의 조합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창유리나 알루미늄 섀시의 레일 등, 큰 요철이나 홈이 있는 표면이나, 작은 간극이 있는 표면에 대해 청정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종래에는 상기 조합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인 청정구는 일정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요철이나 간극이 있는 표면의 청정화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무리하게 청정화 처리를 행하려고 하면, 오염을 간극의 속에 압입하거나, 오염을 눌러 찌부러트리거나 함에 의해, 역으로 오염의 제거를 곤란하게 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오염면에 피막 형성성 고분자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시킨 피막을 박리함에 의해 오염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들의 기술은, 도포하는 시점에서는 유동성을 갖고 있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요철이 있는 표면의 오염에 대응하려고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3에는, 에어졸용 분사제와 가압하에서 가용의 피막 형성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는, 피막 형성성 고분자의 용해성이나 유동성을 조정하기 위해, 알코올계나 글리콜에테르계 등의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기술은, 상온에서 기체의 에어졸용 분사제를 이용함으로써 건조 속도가 빠르고, 또한 양호한 청정화 처리 능력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4에는, 오염면에 수성 분산체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시킨 피막을 박리함에 의해 오염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고분자 수분산액과 글리콜계 용제의 조합에 의해, 비교적 달라붙음이 강한 기름 오염에 대해 제거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10-3146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10-9592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6-16494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소59-189200호 공보
그렇지만, 이들 종래의 기술에서는, 강고한 오염에 대한 청정화 처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청정화 처리의 대상 중, 요철부를 많이 갖는 주거 내의 창 섀시는 오염이 특히 고이기 쉬운 장소의 하나이다. 섀시는 옥외에 통하여 있기 때문에, 비나 직사 일광에 의한 「젖음」과 「건조」의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다른 부위에 비하여 청정화 대상면에 강고하게 부착한 흙오염이 형성되기 쉽다. 특허 문헌 1∼3의 기술은, 부착이 경도인 티끌이나 먼지, 방사성 물질, 또는 피부상의 피지오염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상기 흙오염 등의 강고한 오염에 대해 청정화 처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는 것이 있다.
특허 문헌 4의 기술은, 비교적 강하게 부착한 오염이 많은 기름오염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홈부를 갖는 섀시 레일 또는 창틀 등에 부착한 강고한 흙오염에 이용하면, 청정화 처리 능력이 충분하지 않는 것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의 기술에서의 피막은 찢어지기 쉽고, 홈부가 많은 청정화 대상면의 면부터의 박리의 조작에 수고를 필요로 하고, 청정화 처리가 행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정화 대상면에의 피막 형성 및 오염의 제거가 행하기 쉽고, 강고하게 부착한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갖는다.
[1] (A)성분 : (메타)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와,
(B)성분 : 물과,
(C)성분 :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A)성분/상기 (C)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30∼450인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2] 상기 (C)성분이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인 [1]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3] 상기 (A)성분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100℃인 [1] 또는 [2]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4] (D)성분 : 킬레이트제를 더욱 함유하는 [1]부터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5] 상기 (D)성분이 칼륨염인 [4]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6] [1]부터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청정화 대상면에 대해 도포하고, 상기 청정화 대상면상에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피막을 청정화 대상면부터 박리함에 의해 상기 청정화 대상면의 청정화 처리를 행하는 청정화 처리 방법.
[7]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20∼70질량%인 [1]부터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8]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25∼75질량%인 [1]부터 [5]의 어느 하나 또는 [7]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9]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1∼2.5질량%인 [1]부터 [5]의 어느 하나, [7] 또는 [8]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정화 대상면에의 피막 형성 및 오염의 제거가 행하기 쉽고, 강고하게 부착한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례에 관한 청정화 처리 능력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그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에 관해,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는, 하기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한다.
[(A)성분]
(A)성분은, (메타)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이다.
(A)성분에 이용하는 고분자는, 피막 형성성을 갖는다. 여기서 피막 형성성이란, 박리 가능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성질이다. 예를 들면, 대기압 조건하에서 2×10㎝의 범위에 고분자의 수분산액 또는 수용액을 두께 0.05∼0.5㎜가 되도록 도포하고, 48시간 방치한 때에, 피막이 형성되는 성질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피막은, 물(水) 등으로 박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피막 형성성을 갖는 고분자로서는, (메타)아크릴 수지, 또는 아세트산비닐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비닐 수지이다. 피막 형성성 고분자에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청정화 처리 능력을 얻을 수 있다.
(A)성분에 이용하는 고분자는, 상술한 종류의 화합물의 단량체를 1종만 포함하는 중합체라도 좋고, 2종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라도 좋다.
(A)성분의 함유량은,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당 20∼70질량%가 바람직하다. 20질량% 이상임으로써, 피막이 찢어지기 쉬워지고 청정화 처리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70질량% 이하임으로써, 물에의 용해성 또는 분산성이 저하되어 응집물이 생기는 일이 없다.
(A)성분은, 유리전이 온도가 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성분의 유리전이 온도를 0℃ 이상으로 함으로써 찢어지지 않는 강인한 피막을 형성하기 쉽고, 100℃ 이하로 함으로써 상온에서 피막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유리전이 온도는 JIS-K-7121에 규정하는 플라스틱 전이 온도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메타)아크릴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에 의거한 구성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의 총칭이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총칭이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sec-부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데실,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페닐, (메타)아크릴 벤질,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또는(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페닐에틸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 가능한 비닐기를 갖는 것이면 좋다. 이와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쇄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피롤리돈 등의 복소환식 비닐 화합물,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이나 알칸산비닐로 대표되는 비닐에스테르류, 모노올레핀류(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등), 공역(共役)디올레핀류(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 α, β-불포화모노 또는 디카르본산(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말산 등),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화합물, 아크롤레인이나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의 카르보르닐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또는 p-톨루엔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 또는 아세트산비닐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제외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아세트산비닐 수지로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의 아세트산비닐의 함유량은, 25∼99mol%로 하면 요철면을 포함하는 복잡한 형상이라도 찢어지기 어렵고 강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겔 분율(分率)은, 20∼60%가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이 범위 내라면, 요철면을 포함하는 복잡한 형상이라도 찢어지기 어렵고 강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겔 분율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측정된 톨루엔 불용분이다.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수분산액 또는 수용액을 기재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필름(피막)을 형성한다. 건조한 피막을 잘게 잘라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약 0.250∼0.350g)의 질량을 1㎎까지 칭량한다(질량 A). 다음에, 프라스코에 톨루엔을 100㎖ 달아 취하고, 상기 시료를 가하고 완전 밀봉한다. 완전 밀봉한 상태에서 실온에서 16±2시간 정치시킨 후, 상기 프라스코 내의 용액을 마그네틱 스티어러로 1시간 교반한다. 그 후, 이 용액을 No. 2 여과지로 여과한다. 미리, 알루미늄 접시의 질량을 측정하고(질량 B), No. 2 여과지로 여과한 액을 알루미늄 접시에 20㎖ 달아 취한다. 알루미늄 접시를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질량(알루미늄 접시 및 여과액의 건조물의 합계량)을 1㎎까지 칭량하고(질량 C), 톨루엔 불용분(질량%)을 하기 식(1)에 의해 계산한다.
톨루엔 불용분(질량%)=100-[(질량 C-질량 B)×5/질량 A]×100 …(1)
이상의 조작을 3회 반복하고(즉, 측정 n수는 3으로 한다) 그들의 평균치를 그 아세트산비닐 수지의 겔 분율(질량%)로 한다.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폴리에틸렌,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무수말레인산 3원(元)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염화비닐-부타디엔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소화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아세트산비닐 3원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인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각종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염화비닐 수지로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수지이다. 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단독 또는 병용으로 이용되고, 아크릴우레탄 수지는 아크릴 폴리올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우레탄 수지로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이용한 에테르형,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형,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이용한 에스테르·에테르형,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이용한 카보네이트형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에스테르형과 에스테르·에테르형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에테르형이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로서는, 비누화도 65.0∼99.0mol%, 중합도 300∼4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누화도 85.0∼99.0mol%, 중합도 500∼25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는 수산기량 20∼40mol%, 아세틸기량 20mol%, 부틸알화도 55∼80mol%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는 아세탈화도 5∼30mol%, 중합도 500∼4000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토아세탈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B)성분]
(B)성분은 물이다. 본 실시 형태의 (B)성분은 증류수, 이온교환수, 또는 고순도수가 바람직하다. (B)성분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서의 함유량은, 다른 성분의 양에 응하여, 그 나머지 분량으로부터 적절히 정하면 좋다. 예로서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 25∼80질량%가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량은, 25∼7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
(C)성분은,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유기 용제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해도 파라미터(SP값)란,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인 것을 가리키고, 2성분계 용액의 용해도의 기준(目安)이 되는 지표이다.
(C)성분에 이용하는 각 유기 용제의 SP값(δ)((cal/㎤)1/2)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식(2)을 통하였다.
δ=((δd2+δp2+δh2)/4.2)1/2 …(2)
여기서, δd는 London 분산력항, δp는 분자 분극항, δh는 수소 결합항이라고 한다.
또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소프트웨어(HSPipver. 4.1.x), 또는, "HANSEN SOL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Second Edition에 기재된 값(δd, δp, δh : 단위(J/㎤)1/2)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C)성분에 유기 용제를 복수 이용하는 경우의 SP값은, 하기 식(3)에 의해, 각 유기 용제의 SP값의 가중평균으로서 구하였다.
m=δ1φ1+δ2φ2 …(3)
여기서 δ1, δ2는 각 용제 성분의 SP값이고, φ1, φ2는 각 용제 성분의 체적분율이다.
(C)성분에 이용하는 유기 용제의 SP값은, 7.5∼11.0이다. 상기 SP값이 7.5 이상임으로써, 피막 형성 고분자의 응집물이 생기기 어렵다. 상기 SP값이 11.0 이하임으로써, 충분한 조막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SP값은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8.5∼10.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C)성분에 이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하기 구조식(4)으로 표시되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가 바람직하다.
RO-(AO)n-R' …(4)
식 중, R은 탄소수 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이고, R'은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직쇄상의 알킬기, 아세틸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AO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는 평균부가 몰수로 0.1∼20을 나타낸다.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R이 탄소수 4∼8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AO가 탄소수 2의 옥시에틸렌기, n이 0.1∼10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막성의 관점에서 R'이 수소 원자의 글리콜에테르, R'이 아세틸기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고, R'이 수소 원자의 글리콜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R'이 수소 원자의 글리콜에테르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SP값=10.7),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SP값=10.7),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SP값=10.9),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SP값=10.2),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SP값=10.0),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SP값=10.0),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SP값=9.1),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SP값=9.9),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SP값=9.7),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SP값=9.3), 에틸렌글리콜모노알릴에테르(SP값=10.8), 에틸렌글리콜모노페 에테르(SP값=10.8), 에틸렌글리콜모노벤질 에테르(SP값=10.9),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SP값=10.0),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SP값=9.7),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SP값=9.4),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SP값=9.6),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SP값=9.8),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SP값=9.0),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SP값=9.6) 등을 들 수 있다.
R'이 알킬기의 디알킬글리콜에테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SP값=8.6),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SP값=8.8),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SP값=8.7), 또는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SP값=8.3) 등을 들 수 있다.
R'이 아세틸기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로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10.0),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6),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8.9),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4),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4),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0),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SP값=9.2)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서의 함유량은,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2.5질량%가 바람직하다. (C)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이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오염에 침투시켜서 오염을 제거할 때에, 강고하게 부착한 흙 등의 오염에 대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침투력을 얻을 수 있고, 청정화 처리 능력이 충분히 얻어지기 쉽다. (C)성분의 함유량이 2.5% 이하면, 피막이 찢어지기 어렵고 청정화 처리를 알맞게 행하기 쉽다.
또한, 필수 성분인 (A), (B) 및 (C)성분은, 각각의 함유량의 합계가 100질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D)성분]
(D)성분은 킬레이트제이다. (D)성분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킬레이트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기카르본산류, 아미노카르본산류, 포스폰산류, 포스포노카르본산류, 또는 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서는, 이들 중에서도 아미노카르본산류, 또는 포스폰산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카르본산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의 염이다.
상기 유기카르본산류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상기 카르복시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카르본산류는, 관능기로서 카르복시기만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카르복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카르복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카르본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카르본산(염)을 들 수 있다. 유기카르본산류의 구체례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아디핀산, 모노클로르 아세트산, 수산(蓚酸), 호박산, 옥시다호박산, 카복시메틸호박산, 카복시메틸옥시호박산, 글리콜산, 디글리콜산, 유산(乳酸), 주석산, 카복시메틸주석산, 구연산, 사과산, 또는 글루콘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본산류로서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이미노디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미노펜타아세트산, 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푸로피온아세트산, 트리에틸렌테트라헥사아세트산, 에틸렌글리콜에텔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 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트산, 시클로헥산-1,2-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메틸글리신이아세트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폰산류로서는, 에탄-1,1-디포스폰산, 에탄-1,1,2-트리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지포스폰산 및 그 유도체, 1-히드록시에탄-1,1,2-트리포스폰산, 에탄-1,2-디카르복시-1,2-디포스폰산, 메탄히드록시포스폰산, 또는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포노카르본산류로서는, 2-노스호노부탄-1,2-디카르본산, 1-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르본산, 또는 α-메틸포스포노호박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류로서는,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트리폴리인산, 메타인산, 헥사메타인산, 또는 피틴산 등의 축합인산, 또는 그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서는, 나트륨 또는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서는, 그 중에서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칼륨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의 킬레이트제는 어느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D)성분은, 무수의 산으로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3.5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에 의해, 청정화 처리 능력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D)성분은, 무수의 산으로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체 질량에 대해 0.1∼2.5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에 의해, 청정화 처리 능력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된다.
[(A)성분/(C)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
(A)성분/(C)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이하, A/C비)는 30∼450이다. A/C비가 30 이상이면, 피막이 찢어지기 어려워져서 청정화 처리를 알맞게 행할 수 있다. A/C비가 450 이하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오염에 침투시켜서 오염을 제거할 때에, 강고하게 부착한 흙 등의 오염에 대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침투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청정화 처리 능력이 충분히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30∼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A/C비를 이들의 범위로 함으로써 강고하게 부착한 흙 등의 오염에 대해서도 특히 우수한 청정화 처리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는, 또한 상기 이외의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용화제, 유화제, 가소제, ph 조정제, 박리 향상제, 제균제, 항균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증점제, 무기 미립자, 자외선 흡수제, 고미제, 색소, 안료, 충전제, 또는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알칸올아민(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이나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칼리제 ; 염산 또는 황산 등의 무기산 ; 구연산, 사과산 또는 주석산 등의 유기산 ; 또는,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타크실렌술폰산, 또는 안식향산 등의 산제(酸劑)를 들 수 있다.
[조제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조정 방법의 한 예로서는, 비커 등의 용기에 (B)성분의 일부(예를 들면, 50∼80질량%)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A)성분을 점차로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얻는다. 또한, 미리 (A)성분이 (B)성분에 용해 또는 분산된 시판품을 용기에 직접 투입하여도 좋다.
다음에, 필요에 응하여 ph 조정제를 적량 가하여 pH를 조정한 후, (C)성분, (D)성분, (B)성분(수)의 잔분 및 박리 향상제 등을 가하고 다시 교반함으로써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얻을 수 있다.
[청정화 처리 방법]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 처리 방법에서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청정화 대상면에 대해 도포하고,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건조시켜서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피막을 청정화 대상면으로부터 박리함에 의해, 상기 청정화 대상면의 청정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청정화 처리란, 청정화 대상면의 물질 표면에 부착한 오염을 제거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오염이란, 청정화 대상면을 구성한 물질 이외의 물질을 넓게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 주된 오염으로서는 먼지, 흙먼지 등이나, 그것들이 수분을 포함하여 부착한 후, 수분을 잃어버린 것이 있다. 청정화 처리 능력이란, 오염을 제거하는 성능을 넓게 가리키지만, 주로 효율(시간당 표면상의 오염의 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양), 특히 1회의 청정화 처리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정화 대상면상에 1회 피막을 형성하고, 제거하는 조작)에 의해 청정화 대상면의 표면부터 얼마만큼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지를 가리킨다.
청정화 대상면으로서는, 화장실, 욕실, 부엌, 싱크대, 또는 리빙 등 다양한 장소에 존재하는 물질의 표면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은 미세한 간극 또는 요철면을 갖는 것이 있고, 그들의 면을 청정화 대상면으로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청정화 대상면의 재질로서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 또는 고무 등의 종류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특히, 종래의 청정화 처리제나 기구로는 대응이 곤란하였던 옥외 근처의 가옥 부재의 접합부(예를 들면, 창 섀시)나, 옥외의 가옥 부재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청정화 대상면의, 요철이 많고, 강고하게 부착한 흙오염 등이 생기기 쉽고, 플라스틱 등이 변질되기 쉬운 소재의 면에 대해서도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오염이 부착한 청정화 대상면에 대해 도포한다.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도포 방법은, 붓 또는 펜 등에 의한 도포, 또는 에어졸 또는 스프레이 등에 의해 청정화 대상면에 불어붙임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상기 도포를 에어졸 또는 스프레이 등에 의해 행하는 경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는, 분사 조작이 행하기 쉬운 듯이 선택한 용기에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충전하는 용기의 형상은 원주, 각주, 또는 원추 등이라도 좋고, 재질로서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 또는 캔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이때, 후에 피막을 벗기는 목적을 위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도포전의 청정화 대상면, 또는 도포 후의 유동 상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 대해, 손잡이가 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판을 설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계속해서, 청정화 대상면상에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 의한 피막을 형성한다. 피막이란, 형성된 상태(후술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가 유동성을 갖지 않게 된 상태)에서, 목표로서 0.05∼10㎜ 정도의 두께를 갖는 막이다. 피막의 형성은,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고체(유동성을 갖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로는, 피막의 형성은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건조시켜서 행한다. 여기서 건조는, 수분 등의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다. 건조를 행할수록, 즉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함수율을 저하시키는 양으로서는, 기준으로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가 고체가 될 때까지 행하면 좋다.
건조할 때는, 자연 건조 즉 설치 후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방치하여 표면부터 자연스럽게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것을 피막이 형성될 때까지 행하여도 좋다. 드라이어, 선풍기, 또는 환기 팬 등에 의한 바람을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 맞게 한다는 수단을 병용하여도 좋다.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도포 후, 도포한 면에 흡수성을 갖는 분말을 뿌려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도 좋다.
상기 청정화 대상면에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청정화 대상면의 표면상의 오염이, 청정화 대상면으로부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측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청정화 대상면으로부터 오염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피막을 형성하는 과정, 예를 들면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방치하고 있는 과정에서도, 청정화 대상면으로부터의 오염의 제거가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청정화 대상면상에 형성된 피막을 박리한다. 피막을 박리할 때에는, 본 실시 형태의 피막이라면, 끝을 손가락으로 쥐고 벗기는 등으로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는, 주걱 또는 대나무 꼬치 등 선단이 예리한 도구를 이용하여, 청정화 대상면의 표면부터 피막을 벗겨 떼는 조작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손잡이가 되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판을 설치하여 둔 경우는, 피막의 형성에 따라 이 손잡이가 피막과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쥐고 피막을 벗겨도 좋다. 피막이 딱딱하고 벗겨지기 어려운 경우는, 피막이 재차 유동화하지 않을 정도까지 물을 내뿜어, 연하게 된 피막을 손에 쥐고 벗기고,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벗겨도 좋다.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이용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이용 방법으로서, 상술한 청정화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상술한 청정화 처리 방법으로서의 이용) 외에, 상술한 청정화 처리 방법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그 구성에 포함하고 있는 각종의 방법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대상에 도장 등을 행하는 전처리로서, 처리 대상에 상술의 청정화 처리 방법을 실시하는 도장 방법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A)성분 : (메타)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
A1 :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멀션(쇼와전기공주식회사, 제품명 : 폴리졸(등록상표)AP604, 고형분 : 40%, 유리전이 온도(Tg) : 8℃).
A2 :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의 에멀션(BASF재팬주식회사, 제품명 : YJ2720Dap, 고형분 : 48%, 유리전이 온도(Tg) : 9℃).
A3 :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에멀션(닛신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명 : 비니부란(등록상표)GV6181, 고형분 50%, 유리전이 온도(Tg) : 30℃).
A4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션(스미카켐텍스주식회사, 제품명 : SUMIKAFLEX S-752, 고형분 : 50%, 유리전이 온도(Tg) : 15℃).
A5 : 폴리염화비닐의 에멀션(닛신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명 : 비니부란603E㎖, 고형분 50%, 유리전이 온도(Tg) : 10℃).
A6 :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션(스미카켐텍스주식회사, 제품명 : SE1010, 고형분 : 50%, 유리전이 온도(Tg) : 0℃).
A7 : 폴리우레탄의 에멀션(다이이치공업주식회사, 제품명 : 스파후렉스(등록상표)150, 고형분 : 30%, 유리전이 온도(Tg) : 40℃).
A8 : 아크릴우레탄의 에멀션(중앙 리카 공업 주식회사, 제품명 : 리카본도SU-100, 고형분 : 33.5%, 유리전이 온도(Tg) : 0℃).
A9 : 폴리비닐알코올(쿠라레주식회사, 제품명 : 쿠라레포발VA-217).
A10 :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용액(쿠라레주식회세키스이화학공업주식회사사, 제품명 : 에스렉(등록상표)KW-10, 고형분 : 25%, 유리전이 온도(Tg) : 65℃).
[(B)성분 : 수]
B1 : 이온교환수
[(C)성분 :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유기 용제]
C1 :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헥실디글리콜, SP값=9.7).
C2 :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2에틸헥실디글리콜, SP값=9.3).
C3 :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메틸디글리콜, SP값=10.7).
C4 :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부 글리콜, SP값=10.2).
C5 :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디에틸디글리콜, SP값=8.7).
C6 :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닙폰유화제주식회사, 제품명 : 디부틸디글리콜, SP값=8.3).
C7 : 아세톤(와코순약공업주식회사, SP값=9.7).
C8 : 아세트산메틸(와코순약공업주식회사, SP값=9.1).
[(C')성분 : C 성분의 대용]
C'1 : n-헥산(와코순약공업주식회사, SP값=7.3).
C'2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닙폰유화·BR>와주식회사, 제품명 : 메틸글리콜, SP값=12.1).
[(D)성분 : 킬레이트제]
(D)성분의 함유량은 킬레이트제의 무수의 산으로서의 함유량을 실시레의 표에 나타냈다. D1 :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칼륨(키레스토주식회사, 제품명 : 키레스토(등록상표)2K-SD)
D2 :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키레스토주식회사, 제품명 : 키레스토 2B-SD).
D3 :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나트륨염(키레스토주식회사, 제품명 : 키레스토 G-50).
D4 :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칼륨염(키레스토주식회사, 제품명 : 키레스토 GA를 칼륨으로 pH 7로 조정한 것을 이용하였다).
D5 : 구연산3나트륨(후소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명 : 구연산나트륨).
또한, ph 조정제는 수산화칼륨 수용액(고형분 25%) 또는 0.1N 황산을 이용하였다.
[실시례 1∼27, 비교례 1∼5의 조제 방법]
표 1∼3의 조성(질량%)에 따라, 300㎖ 비커에 (B)성분(물) 전 투입량의 8할을 투입하고, 마그네틱 스티어러(일신리화제 : SW-R800, 1200rpm)로 교반하고 있는 곳에 (A)성분(고분자 화합물)을 5중량부/분의 속도로 투입하고, 25℃로 60분간 교반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얻었다. 다음에, ph 조정제를 pH가 7.0이 될 때 까지 가한 후, (C)성분(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조막(造膜) 조제(助劑)), (D)성분(킬레이트제) 및 (B)성분의 잔분을 가하고 다시 30분간 교반함으로써,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얻었다.
표 중의 「밸런스」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전량이 조성분의 합계로 100질량%가 되는 양이다.
[평가 방법]
(청정화 처리 능력)
청정화 대상면으로서 일반 가정용의 알루미늄제 섀시 레일(폭 2×길이 5)을 이용하였다. 이 청정화 대상면상에, 흑토(黑土)(주식회사말케이)를 약100㎎ 달아, 수도물 0.5g를 가하여 스패츌러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자연 건조시키는 것으로 흙오염을 작성하였다.
다음에, 흙먼지(土埃) 오염이 형성된 상기 섀시 레일(rail)상에, 10㎠ 면적의 범위에 두께 0.1∼0.3㎜의 막두께의 피막이 형성되도록 적량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원액)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정치 후, 피막을 박리한 때의 피막의 상태 및 흙먼지 오염의 제거 상태를 하기 기준으로 육안 평가(N=10)하고, 평균점을 평가 점수로 하였다. 평가 방법은, 피막 박리 후의 레일을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을 2치화 처리(Windows 어플리케이션 「페인트」로 그레이 스케일 보존)하고, 도 1에도시하는 바와 같은, 별도 작성한 표준 견본과 비교하여 채점하였다. 3점에 상당하는 것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피막 박리성)
피막 박리성에 관해, 이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피막을 찢어지지 않고 벗길 수 있다.
△ : 피막의 일부가 찢어져서 남는다.
× : 피막이 찢어져서 벗길 수 없다.
이들의 저온 청정화 처리 능력 및 피막 박리성을 표 1∼표4의 평가 결과에 표시하였디.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함유한 실시례 1에 대해, 또한 (D)성분을 함유하는 실시례 2는 세척력이 향상하였다. (C)성분을 실시례 1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에 대신하여 아세톤 및 아세트산메틸로 한 실시례 2, 3은 청정화 처리 능력이 저하되었지만, 합격의 범위 내였다. (C)성분의 함유량을 감소시킨 실시례 5∼8에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이 저하되었지만, 합격의 범위 내였다.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C)성분의 SP값이, 가장 바람직한 범위인 9∼10보다도 낮은 것을 이용한 실시례 9 및 상기 범위보다도 높은 것을 이용한 실시례 12에서는 처리 능력이 저하되었다. SP값이 9∼10에 뒤이어 바람직한 범위인 8.5∼10.5보다 낮은 것을 이용한 실시례 10 및 상기 범위보다도 높은 것을 이용한 실시례 13에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이 더욱 저하되었다. 그러나, 실시례 5∼10의 청정화 처리 능력은 합격의 범위 내였다. (D)성분에 실시례 2와 같은 것을 이용한 실시례 14 및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K를 이용한 실시례 16에서는 실시례 2와 같은 효과가 얻어졌다. 다른 성분을 이용한 실시례 15, 17 및 18에서는 청정화 처리 능력이 저하되었지만, 합격의 범위 내였다. (D)성분에 관해서는, 칼륨염을 이용한 쪽이 나트륨염을 이용한 것보다 청정화 처리 능력이 양호해졌다.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A)성분에 다른 것을 이용한 실시례 19∼27에서는, 다른 성분은 동일한 실시례 2보다는 세척력은 저하되었지만, 합격의 범위 내였다.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인 실시례 1∼27은, 모두 합격의 범위 내의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C)성분을 갖지 않는 비교례 1, A/C비가 본 실시레의 범위 외의 비교례 2 및 3, (C)성분의 SP값이 본원의 범위 외의 것을 이용한 비교례 4 및 5는, 모두 청정화 처리 능력이 합격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았다. 비교례 4 및 5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의 오염의 성분에의 침투가 적고, 오염의 성분을 제거하는 능력이 충분히 발휘할 수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는, 양호한 저온에서의 청정화 처리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 분명하여졌다.

Claims (6)

  1. (A)성분 : (메타)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와,
    (B)성분 : 물과,
    (C)성분 :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7.5∼11.0인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A)성분/상기 (C)성분으로 표시되는 질량비가 30∼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이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성분 : 킬레이트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성분이 칼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를 청정화 대상면에 대해 도포하고,
    상기 청정화 대상면상에 상기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피막을 청정화 대상면부터 박리함에 의해 상기 청정화 대상면의 청정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화 처리 방법.
KR1020187026155A 2016-06-30 2017-06-23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KR20190025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9920A JP6695749B2 (ja) 2016-06-30 2016-06-30 清浄化用皮膜形成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清浄化処理方法
JPJP-P-2016-129920 2016-06-30
PCT/JP2017/023158 WO2018003683A1 (ja) 2016-06-30 2017-06-23 清浄化用皮膜形成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清浄化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37A true KR20190025537A (ko) 2019-03-11

Family

ID=6078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155A KR20190025537A (ko) 2016-06-30 2017-06-23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5749B2 (ko)
KR (1) KR20190025537A (ko)
CN (1) CN109072142A (ko)
WO (1) WO2018003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5220B2 (ja) * 2018-02-09 2022-08-09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インク収容容器、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EP3988634A1 (en) * 2020-10-23 2022-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udsing
CN117098658A (zh) * 2021-03-30 2023-11-21 日东电工株式会社 层叠片处理方法及层叠片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200A (ja) 1983-04-11 1984-10-26 株式会社日本触媒 物体表面の清浄化法
JPH1095922A (ja) 1996-09-24 1998-04-14 Daicel Chem Ind Ltd 水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314688A (ja) 1997-03-14 1998-12-02 Kajima Corp 構造物表面の洗浄方法
JP2006016494A (ja) 2004-07-01 2006-01-19 Lion Corp 清浄用皮膜形成剤及びこれを用いた清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756B2 (ja) * 1980-08-22 1984-06-04 花王株式会社 皮膜型洗浄剤組成物
CN1074476A (zh) * 1992-01-14 1993-07-21 张鸿斌 免水洁手剂
JP2002045811A (ja) * 2000-05-22 2002-02-12 Shimizu Corp 表面の清浄化方法
JP2006192341A (ja) * 2005-01-12 2006-07-27 Air Water Sol Kk エアゾール型膜クリーナ形成組成物
EP2162498B1 (en) * 2007-06-19 2011-04-13 Cellular Bioengineering, Inc. Method for protecting substrates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such substrates
CN103146514B (zh) * 2013-03-27 2014-11-26 江松节 一种除油污清洁剂
JP6350080B2 (ja) * 2014-07-31 2018-07-04 Jsr株式会社 半導体基板洗浄用組成物
CN105331450B (zh) * 2014-08-11 2018-07-31 南京海杰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延时成膜的液体厨房油烟清洁剂
CN105132213B (zh) * 2015-07-28 2019-02-15 浙江大学 一种壁画加固材料的清除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200A (ja) 1983-04-11 1984-10-26 株式会社日本触媒 物体表面の清浄化法
JPH1095922A (ja) 1996-09-24 1998-04-14 Daicel Chem Ind Ltd 水性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314688A (ja) 1997-03-14 1998-12-02 Kajima Corp 構造物表面の洗浄方法
JP2006016494A (ja) 2004-07-01 2006-01-19 Lion Corp 清浄用皮膜形成剤及びこれを用いた清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3683A1 (ja) 2018-01-04
JP2018002828A (ja) 2018-01-11
CN109072142A (zh) 2018-12-21
JP6695749B2 (ja)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4517B1 (en) Aqueous compositions for coating metallic surfaces, methods, and articles
EP2129763B1 (de) Mitte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KR20190025537A (ko) 청정화용 피막 형성제 및 이것을 이용한 청정화 처리 방법
EP2487231B1 (de) Mittel zur Behandlung harter Oberflächen
EP0551378B1 (en) Method of activating n-methyl-2-pyrrolidone (nmp) and/or gamma-butyrolactone (blo) varnish and paint remover solvents
JPH08510770A (ja) 泡沫表面洗浄剤
CN108884332B (zh) 用于涂覆金属表面的含两性离子聚合物的组合物、方法和制品
US4366002A (en) Non-volatile hot stripper
US8574370B2 (en) Use of alkane sulphonic acid for rust removal
WO1995001417A1 (en) Graphic ink remover
CN107438659A (zh) 链烷磺酸用于制糖业中的清洗的用途
JP6796412B2 (ja) 清浄化用皮膜形成剤及びこれを用いた清浄化処理方法
JP6910287B2 (ja) 清浄化用皮膜形成剤
WO2016014763A1 (en) Mixed solvent based compositions for removal of paint and varnish
HUE032637T2 (hu) Hígított alkalmazásnál jobb tisztítási teljesítménnyel rendelkezõ általános tisztítószer
JP2018002839A (ja) 清浄化用皮膜形成剤及び清浄化処理方法
US20230058960A1 (en) Oven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5217640A (en) Method of activating α-butyrolactone (BLO) with ethyl 3-ethoxypropionate (EEP) to provide improved varnish and paint remover solvents
US6624128B1 (en) Water miscible composition containing a carboxylic acid diester and a fatty acid salt
CA2276165A1 (en) Cleaning composition for removing mildew, soap scum and hard water scale
JP2018002838A (ja) 清浄化用皮膜形成剤及び清浄化処理方法
JP2903012B2 (ja) ペイント、ワニスまたはラッカー剥離用組成物
US3832305A (en) Halogenated alkylene glycol aryl ether stripping composition and method
DE102009025411A1 (de) Korrosionsschutzmittel für Glas
JPH05179294A (ja) 汚染物の洗浄除去剤および汚染物の洗浄除去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