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68A -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 Google Patents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68A
KR20190023368A KR1020170109041A KR20170109041A KR20190023368A KR 20190023368 A KR20190023368 A KR 20190023368A KR 1020170109041 A KR1020170109041 A KR 1020170109041A KR 20170109041 A KR20170109041 A KR 20170109041A KR 20190023368 A KR20190023368 A KR 2019002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upport
pair
winding drum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현
Original Assignee
장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현 filed Critical 장성현
Priority to KR102017010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368A/ko
Publication of KR2019002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3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r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권취드럼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하고 현장으로 케이블 권취드럼을 운반한 후 다시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된 케이블 권취드럼을 하역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크기에 상관없이 상.하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팅 작업과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 권취드럼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합 기능으로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현장으로 운반해 바로 포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차량 본체의 후방측에 일체로 다수의 가변지지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접고 펼쳐질 수 있게 다수 중첩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 중에 최종 가변지지대에 한 쌍의 포크A,B를 갖는 포크부가 결합되어 상기 최종 가변지지대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포크A,B는 포크구동부에 의해 좌,우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에 삽입 설치되어 케이블 권취드럼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공의 외곽 원형돌부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한 쌍의 권취드럼 지지구A,B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부를 포함한 다수의 가변지지대는 틸팅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Multi function vehicle for feeding cable}
본 발명은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권취드럼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하고 현장으로 케이블 권취드럼을 운반한 후 다시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된 케이블 권취드럼을 하역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크기에 상관없이 상.하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팅 작업과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 권취드럼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합 기능으로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현장으로 운반해 바로 포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포설은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운반차에 실어 현장으로 옮기고, 현장에서는 지게차가 축 방향으로 포크를 삽입하여 운반차로부터 권선드럼을 들어 올려 포설 위치로 운반하여 권선드럼을 내려 놓게 된다. 따라서, 권선드럼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과 운반차의 권선드럼을 포설 위치로 운반하는 지게차가 별도로 구비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권선드럼에 감겨진 케이블을 풀기 위해서는 권선드럼이 회전되어야만 하는데, 권선드럼이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가설물의 설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가설물의 설치는 많은 인원과 비용, 도로의 점유로 차량 소통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168061호(2012.07.24.공고.)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블 권취드럼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하고 현장으로 케이블 권취드럼을 운반한 후 다시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에 적재된 케이블 권취드럼을 하역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크기에 상관없이 상.하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팅 작업과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 권취드럼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합 기능으로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 없이 직접 케이블 권취드럼을 현장으로 운반해 바로 포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 기능을 갖는 케이블 권취드럼 운반용 차량의 한 형태는, 차량 본체의 후방측에 일체로 다수의 가변지지대가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접고 펼쳐질 수 있게 다수 중첩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 중에 최종 가변지지대에 한 쌍의 포크A,B를 갖는 포크부가 결합되어 상기 최종 가변지지대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포크A,B는 포크구동부에 의해 좌,우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에 삽입 설치되어 케이블 권취드럼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공의 외곽 원형돌부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한 쌍의 권취드럼 지지구A,B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부를 포함한 다수의 가변지지대는 틸팅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 유압실린더를 수직 방향으로 입설하되, 수직 실린더로드의 단부를 최종 가변지지대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포크부는 최종 가변지지대의 전방측에 포크 지지프레임을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은 수평 방향의 가이드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포크 지지플레이트A,B의 배면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며; 상기 포크 구동부는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를 서로 대칭되게 평행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 각각의 수평 실린더로드A,B를 상기 각각의 포크 지지플레이트A,B의 배면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부는,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 후방측 차량 본체 양측에 틸팅용 유압실린더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의 틸팅용 실린더로드를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 중에 최초 가변지지대의 측면에 연결하되, 상기 틸팅용 실린더로드의 하부측 최초 가변지지대의 양측면을 차량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드럼 지지구는, 포크A,B와 동일 방향으로 수직의 판상으로 된 지지구 몸체와 관 형태를 이루는 포크 삽입관을 상.하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 몸체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의 권취드럼 지지홈을 가지며, 상기 수직의 지지구 몸체와 포크 삽입관의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본체의 후방측에 한 쌍의 포크A,B를 갖는 포크부를 구비하되, 한 쌍의 포크A,B는 포크구동부에 의해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는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다수 중첩된 가변지지대에 의해 상.하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포크부를 포함한 가변지지대는 틸팅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에 케이블 권취드럼의 축삽입공 외곽에 돌출 형성된 원형돌부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받쳐 지지해주는 권취드럼 지지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케이블 권취드럼을 현장으로 운반할 때, 케이블 권취드럼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으로 운반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현장에 도착한 상태에서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으로부터 케이블 권취드럼을 하역하고 별도의 가설물을 설치하는 작업없이 즉시 케이블 포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케이블 포설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은 물론 부수적인 장비와 작업 인력의 현저한 감소로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협소한 지형에서도 보다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케이블 권취드럼의 회전 및 포설을 위한 가설물의 설치 및 케이블 권취드럼의 축삽입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축봉의 돌출된 길이로 인한 도로 점유로 발생하는 교통의 방해없이 차량 소통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권취드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은 종래의 가설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포크부 상승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포크부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틸팅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포크부 상승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은 차량 본체(1)의 후방측에 상부측으로 펼쳐지고 하부측으로 접혀지는 가변지지대(2)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지지대(2)의 전방측에 포크부(4)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부(4)는 가변지지대(2)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지지대(2)는 다수개로 접혀져 구성되는 것으로서, 승강구동부(3), 즉 좌.우 한 쌍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수직 유압실린더(3a)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 유압실린더(3a)의 수직 실린더로드(3b)가 상부측으로 전진하면, 다수개의 가변지지대(2) 중에 가장 안쪽에 접혀져 있던 최종 가변지지대(2a)가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 가변실린더가 차례로 상부측으로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되고, 수직 실린더로드(3b)가 하부측으로 후진하면, 최종 가변지지대(2a)와 그 다음 가변지지대가 순서대로 하강하면서 접혀지게 됨으로써 포크부(4)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지지대(2)는 틸팅부(7)에 의해서 차량 본체(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차량 본체(1)에 틸팅용 유압실린더(70)가 고정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70)의 틸팅용 실린더로드(70a)는 경사지게 가변지지대(2)에 고정 및 연결되어 상기 틸팅용 실린더로드(70a)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에 의해 가변지지대(2)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룰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포크부(4)는 포크A(41a)와 포크B(41b)로 분리 구성되고, 각각의 단부는 포크 지지프레임(42)에 연결되며,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42)은 가변지지대(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포크부(4)의 포크A(41a) 및 포크B(41b)가 가변지지대(2)의 작동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포크부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4)는 포크구동부(5)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의 좌,우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에 케이블 권취드럼(10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공(100a)의 외곽 원형돌부(100b)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한 쌍의 권취드럼 지지구A,B(6a)(6b)가 삽입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포크부(4)는 최종 가변지지대(2a)의 전방측에 포크 지지프레임(42)을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42)은 수평 방향의 가이드(42a)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42a)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포크 지지플레이트A,B(43a)(43b)의 배면이 결합되어 포크구동부(5)에 의해 좌.우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의 좌,우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포크구동부(5)는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42)의 내부에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51)(52)를 서로 대칭되게 평행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51)(52) 각각의 수평 실린더로드A,B(51a)(51b)를 상기 각각의 포크 지지플레이트A,B(43a)(43b)의 배면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드럼 지지구A,B(6a)(6b)는, 포크A,B(41a)(41b)와 동일 방향으로 수직의 판상으로 된 지지구 몸체(61)와 관 형태를 이루는 포크 삽입관(62)을 상.하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 몸체(61)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의 권취드럼 지지홈(63)을 가지며, 상기 수직의 지지구 몸체(61)와 포크 삽입관(62)의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64)가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의 틸팅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 사진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부(7)는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2) 후방측 차량 본체(1) 양측에 틸팅용 유압실린더(70)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70)의 틸팅용 실린더로드(70a)를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2) 중에 최초 가변지지대(2b)의 측면에 연결하되, 상기 틸팅용 실린더로드(70a)의 하부측 최초 가변지지대(2b)의 양측면을 차량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서 된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본체(1)의 후방측에 한 쌍의 포크A,B(41a)(41b)를 갖는 포크부(4)를 구비하되, 한 쌍의 포크A,B(41a)(41b)는 포크구동부(5)에 의해 좌.우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4)는 승강구동부(3)에 의해 상.하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다수 중첩된 가변지지대(2)에 의해 상.하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포크부(4)를 포함한 가변지지대(2)는 틸팅부(7)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에 케이블 권취드럼(100)의 축삽입공(100a) 외곽에 돌출 형성된 원형돌부(100b)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받쳐 지지해주는 권취드럼 지지구A,B(6a)(6b)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케이블 권취드럼을 현장으로 운반할 때, 케이블 권취드럼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으로 운반 차량에 적재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현장에 도착한 상태에서도 별도의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해 운반 차량으로부터 케이블 권취드럼을 하역하고 별도의 가설물을 설치하는 작업없이 즉시 케이블 포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케이블 포설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은 물론 부수적인 장비와 작업 인력의 현저한 감소로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협소한 지형에서도 보다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케이블 권취드럼의 회전 및 포설을 위한 가설물의 설치 및 케이블 권취드럼의 축삽입공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축봉의 돌출된 길이로 인한 도로 점유로 발생하는 교통의 방해없이 차량 소통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본체 2: 가변지지대
2a: 최종 가변지지대 2b: 최초 가변지지대
3: 승강구동부 3a: 수직 유압실린더
3b: 수직 실린더로드
4: 포크부
41a,41b: 포크A,B 42: 포크 지지프레임
42a: 가이드 43a,43b: 포크 지지플레이트A,B
5: 포크구동부
51,52: 수평 유압실린더A,B 51a,52a: 수평 실린더로드A,B
6a,6b: 권취드럼 지지구A,B
61: 지지구 몸체 62: 포크 삽입관
63: 권취드럼 지지홈 64: 보강리브
7: 틸팅부
70: 틸팅용 유압실린더 70a: 틸팅용 실린더로드

Claims (4)

  1. 차량 본체(1)의 후방측에 일체로 다수의 가변지지대(2)가 승강구동부(3)에 의해 상.하로 접고 펼쳐질 수 있게 다수 중첩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2) 중에 최종 가변지지대(2a)에 한 쌍의 포크A,B(41a)(41b)를 갖는 포크부(4)가 결합되어 상기 최종 가변지지대(2a)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는 포크구동부(5)에 의해 좌,우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A,B(41a)(41b)에 삽입 설치되어 케이블 권취드럼(10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삽입공(100a)의 외곽 원형돌부(100b)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한 쌍의 권취드럼 지지구A,B(6a)(6b)가 구비되며, 상기 포크부(4)를 포함한 다수의 가변지지대(2)는 틸팅부(7)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3)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 유압실린더(3a)를 수직 방향으로 입설하되, 수직 실린더로드(3b)의 단부를 최종 가변지지대(2a)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고;
    상기 포크부(4)는 최종 가변지지대(2a)의 전방측에 포크 지지프레임(42)을 일체로 구비하되,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42)은 수평 방향의 가이드(42a)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42a)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포크 지지플레이트A,B(43a)(43b)의 배면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며;
    상기 포크구동부(5)는 상기 포크 지지프레임(42)의 내부에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51)(52)를 서로 대칭되게 평행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 유압실린더A,B(51)(52) 각각의 수평 실린더로드A,B(51a)(51b)를 상기 각각의 포크 지지플레이트A,B(43a)(43b)의 배면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7)는,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2) 후방측 차량 본체(1) 양측에 틸팅용 유압실린더(70)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70)의 틸팅용 실린더로드(70a)를 상기 다수의 가변지지대(2) 중에 최초 가변지지대(2b)의 측면에 연결하되, 상기 틸팅용 실린더로드(70a)의 하부측 최초 가변지지대(2b)의 양측면을 차량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 지지구()는, 포크A,B()와 동일 방향으로 수직의 판상으로 된 지지구 몸체(61)와 관 형태를 이루는 포크 삽입관(62)을 상.하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 몸체(61)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반원형의 권취드럼 지지홈(63)을 가지며, 상기 수직의 지지구 몸체(61)와 포크 삽입관(62)의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6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KR1020170109041A 2017-08-29 2017-08-29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KR20190023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41A KR20190023368A (ko) 2017-08-29 2017-08-29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41A KR20190023368A (ko) 2017-08-29 2017-08-29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68A true KR20190023368A (ko) 2019-03-08

Family

ID=6580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41A KR20190023368A (ko) 2017-08-29 2017-08-29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3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9B1 (ko) 2019-10-28 2021-04-12 주식회사 우성특수중기 지중관로용 케이블 포설장치
CN115149460A (zh) * 2022-07-25 2022-10-04 中建五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安装用电缆铺设装置
CN116477533A (zh) * 2023-06-21 2023-07-25 成都航发机器人有限公司 一种整体可开合的盘型工件运输车及运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61B1 (ko) 2011-06-24 2012-07-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061B1 (ko) 2011-06-24 2012-07-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9B1 (ko) 2019-10-28 2021-04-12 주식회사 우성특수중기 지중관로용 케이블 포설장치
CN115149460A (zh) * 2022-07-25 2022-10-04 中建五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安装用电缆铺设装置
CN116477533A (zh) * 2023-06-21 2023-07-25 成都航发机器人有限公司 一种整体可开合的盘型工件运输车及运输方法
CN116477533B (zh) * 2023-06-21 2023-09-15 成都航发机器人有限公司 一种整体可开合的盘型工件运输车及运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1771A (en) Mobile crane with telescopic boom and jib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latter
JP5475960B2 (ja) 高容量移動式リフトクレーン用のマスト起き上げ構造及び工程
KR20190023368A (ko) 다기능 케이블 포설용 차량
RU2353746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в особенности буровая, машина
US9522812B2 (en) Raisable-lowerable member for crane
KR101244222B1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
US9140025B2 (en) Long travel lift system
US20100282700A1 (en) Telescopic crane with self-mounting brac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a bracing device
CN109476467B (zh) 具有配重调整装置的起重机及调整起重机上的配重的方法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JP2010018355A (ja) ブーム起伏装置
JP5223908B2 (ja) ジブ付クレーン
JP5350896B2 (ja) ラフィングジブ組立用シーブ装置
US4050586A (en) Apparatus for raising & lowering a mast and boom on a mobile crane
US10065841B2 (en) Compact stowable luffing jib for a crane
JP6220187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JP6579175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ウエイト用ガイラインの格納方法、クレーンのウエイト用ガイラインの輸送方法
JP6874747B2 (ja) 上部スプレッダ取付装置
JP2008239327A (ja) ジブ付クレーン
EP3339237B1 (en) Hydraulic crane
US11618656B2 (en) Mobile crane having a separable a frame
JP3949766B2 (ja) ラフィングジブ付きブームクレーンにおけるラフィングジブ支持装置
JP7188424B2 (ja) 足場装置
JP2020104998A (ja) クレーンの分解構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