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387A -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 Google Patents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387A
KR20190020387A KR1020170105257A KR20170105257A KR20190020387A KR 20190020387 A KR20190020387 A KR 20190020387A KR 1020170105257 A KR1020170105257 A KR 1020170105257A KR 20170105257 A KR20170105257 A KR 20170105257A KR 20190020387 A KR20190020387 A KR 2019002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filter
stopper
liquid
contai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785B1 (ko
Inventor
서상일
Original Assignee
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일 filed Critical 서상일
Priority to KR102017010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27Valves
    • B43K5/1836Valves automatically closing
    • B43K5/1863Valves automatically closing opened by actuation of the rear-side of the 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12Ink reservoirs with ink-level insp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유광성, 무광성 화이트보드(white board)에 필기구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은
액상 잉크를 수용하고, 일단이 막혀 있는 투명체의 잉크 수용부;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잔유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1개소 이상의 잔유량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이 불투명처리되어 상기 잉크 수용부를 감싸게 되는 필름;
상기 잉크 수용부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내측단이 감싸지는 심(nib)이 결합되는 심 지지부;
상기 잉크 수용부와 상기 필터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수용부 또는 상기 필터측 액상 잉크를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한 두 개의 잉크통로가 관통형성되는 잉크 스토퍼;
상기 심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a board marker having ink stopper}
본 명세서는 보드용 마카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광성, 무광성 화이트보드(white board)에 필기구로서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킹펜은 마카펜, 마커, 펠트펜, 보드마카 등으로 지칭되며, 자체 잉크 공급원이 구비되고 심(nib)을 갖는 펜으로, 화이트보드 등에 필기할 수 있고 필기된 내용을 쉽게 지울 수 있는 필기구이다.
마킹펜은 필터가 액상잉크를 흡수하게 되므로 필터로부터 잉크를 심으로 이동시켜 필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방식으로, 필터타입 마카펜으로 지칭된다.
필터타입 마카펜은 잉크가 필터를 경유하게 되므로 않은 량의 잉크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필터 자체가 잉크를 흡수하게 되므로 화이드보드에 진하게 필기하는 것이 어렵고, 마킹펜을 장시간동안 보관시 액상 잉크가 건조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반면에, 탱크타입의 마카펜은 필터가 구비되지않고, 잉크탱크라고 지칭되는 펜몸체 내부에 잉크가 수용됨에 따라 잉크탱크의 액상 잉크가 심으로 이동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방식으로, 탱크타입 마카펜은 필터타입 마카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나, 일정시간 경과후 지움성이 오히려 필터타입 마카펜보다 불량한 문제점을 갖는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보드용 마카펜은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부(barrel)와, 심(nib)을 지지하는 필터(filter)사이에 배치되어 잉크 수용부에 충진된 잉크를 필터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잉크 스토퍼(ink stopper)를 구비하는 필터타입의 마카펜에 있어서, 잉크 스토퍼는 잉크 수용부측 액상 잉크를 필터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필터측 액상 잉크를 잉크 수용부로 복귀시키기 위한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마카펜의 심이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파지하여 화이트보드에 판서할 경우, 잉크 수용부 또는 필터측 액상 잉크가 관통공을 통해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게 되므로 잉크 수용부에 액상 잉크가 일정량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이트보드에 판서되는 문자 또는 숫자가 흐리게 된다.
따라서, 잉크 수용부에 액상 잉크 잔유량이 있는 마케펜을 폐기처분할 경우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과, 마카펜에 남아 있는 액상 잉크로 인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1-0009675호에 보드 마카가 공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필터 타입의 마카펜에 있어서, 잉크 수용부 또는 필터측 액상 잉크가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공급 또는 복귀되도록 하여 화이트보드에 글씨를 선명하게 판서할 수 있도록 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를 모두 소진시킨 후 마카펜을 폐기처분함에 따라 경제적이고, 액상 잉크의 잔량으로 인한 환경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액상 잉크를 수용하고, 일단이 막혀 있는 투명체의 잉크 수용부;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잔유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1개소 이상의 잔유량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이 불투명처리되어 상기 잉크 수용부를 감싸게 되는 필름;
상기 잉크 수용부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내측단이 감싸지는 심(nib)이 결합되는 심 지지부;
상기 잉크 수용부와 상기 필터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수용부 또는 상기 필터측 액상 잉크를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한 두 개의 잉크통로가 관통형성되는 잉크 스토퍼;
상기 심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필터 타입의 마카펜에 있어서, 잉크 수용부 또는 필터측 액상 잉크가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함에 따라 화이트보드에 글씨를 선명하게 판서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를 모두 소진시킨 후 마카펜을 폐기처분함에 따라 자원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액상 잉크의 잔량으로 인한 환경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카펜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카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카펜에 내설되는 잉크 스토퍼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카펜에서, 잉크수용부로부터 필터로 잉크 순환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카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은
적색, 청색, 흑색, 녹색 등의 액상 잉크를 수용하고, 단면이 원통형태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일단이 막혀 있는 투명체의 잉크 수용부(10)(barrel);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잔유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1개소 이상의 잔유량 표시부(11)를 제외한 영역이 불투명처리되어 잉크수용부(10)를 감싸게 되는 PET 필름(12);
잉크 수용부(10)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심(13)(nib)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심 지지부(14)(front barrel)(이때, 심(13)은 액상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과 동시에 화이드보드에 판서시 내구성을 갖도록 다소 딱딱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심 지지부(14)에 결합되고, 심(13) 내측단을 감싸 지지하는 필터(15)(filter);
잉크 수용부(10)와 필터(15)사이에 배치되고, 잉크 수용부(10) 또는 필터(15)측 액상 잉크를 필터(15) 또는 잉크 수용부(10)측으로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한 두 개의 잉크통로(16,17)가 관통 형성되는 잉크 스토퍼(18);
액상 잉크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심(13)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심 지지부(14) 외측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9)(cap);을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색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필름(10) 일측에 1개소 이상으로 형성되는 색상표시부(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15)에 의해 감싸지는 잉크 스토퍼(18)의 잉크통로(16,17) 중 어느 하나의 잉크통로(17) 외측단(필터(15)에 의해 감싸지는 부위를 말함)에 필터(15)측 액상 잉크를 잉크통로(17)를 통해 잉크 수용부(10)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경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잉크통로(16,17)의 단면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잉크통로(16,17)의 내경이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는 화이드보드에 대해 필기성, 지움성이 우수하도록 안료, 알콜, 글리콜에테르류 용매, 수지, 가소제 및 평활제를 포함하고, 점도 12 내지 15 cP(centi-poise)인 화이드보드 마카펜용 액상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2는 필터(15)측 액상 잉크가 심(13)에 원활하게 공급될수 있도록 심(13)과 심 지지부(14)사이에 형성되고 외부공기를 필터(15)에 주입하기 위한 공기통로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의한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는 잉크 스토퍼(18)의 잉크통로(16,17)와, 필터(15)를 차례로 통과하여 심(13)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달되므로, 보드마카펜(A)의 잉크 수용부(10)로부터 캡(19)을 분리시킨 후 화이트보드에 문자 또는 숫자 등을 판서하거나, 또는 도형을 표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드마카펜(A)을 반복하여 사용함에 따라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가 소모되는 경우, 잉크 수용부(10)가 투명체로 형성되고 잔유량 표시부(11)를 제외한 잉크 수용부(10)를 감싼 필름(12)에 의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의 잔유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드마카펜(A)을 화이트보드에 직접 판서하기 전에도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 잔유량을 잔유량 표시부(11)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잉크 수용부(10)를 감싸는 필름(10) 일측에 1개소 이상으로 형성된 색상표시부(20)에 의해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의 색상(흑색, 적색, 청색, 녹색 등을 말함)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는 잉크 스토퍼(18)에 의해 필터(15)측으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즉 잉크 수용부(10)에 수용된 액상 잉크는 잉크 스토퍼(18)의 잉크통로(16,17)를 통해 필터(15)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보드마카펜(A)에 의해 화이트보드에 판서하기 위해 심(13)이 위쪽을 향하도록 파지할 경우, 필터(15)에 과잉 공급된 액상 잉크가 잉크통로(일 예로서, 17)측 개구부의 단면이 잉크 수용부(10)측 개구부 단면보다 크게 되므로 필터(15)측 잉크가 경사부(21)를 통해 잉크통로(17)의 입구에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5)에 과잉 공급된 액상 잉크 일부를 경사부(21) 및 잉크통로(17)를 통해 잉크 수용부(10)로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잉크 수용부(barrel)
11; 잔유량 표시부
12; 필름
13; 심(nib)
14; 심 지지부(front barrel)
15; 필터(filter)
16,17; 잉크통로
18; 잉크 스토퍼
19; 캡(cap)
20; 색상 표시부
21; 경사부

Claims (3)

  1. 액상 잉크를 수용하고, 일단이 막혀 있는 투명체의 잉크수용부;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잔유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1개소 이상의 잔유량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이 불투명처리되어 상기 잉크 수용부를 감싸게 되는 필름;
    상기 잉크 수용부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내측단이 감싸지는 심(nib)이 결합되는 심 지지부;
    상기 잉크 수용부와 상기 필터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잉크 수용부 또는 상기 필터측 액상 잉크를 상대측으로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한 두 개의 잉크통로가 관통형성되는 잉크 스토퍼;
    상기 심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상 잉크의 색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일측에 1개소 이상으로 형성되는 색상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측 액상 잉크를 상기 잉크 수용부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잉크 스토퍼의 잉크통로 중 어느 하나의 잉크통로 외측단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KR1020170105257A 2017-08-21 2017-08-21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KR10200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57A KR102007785B1 (ko) 2017-08-21 2017-08-21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57A KR102007785B1 (ko) 2017-08-21 2017-08-21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87A true KR20190020387A (ko) 2019-03-04
KR102007785B1 KR102007785B1 (ko) 2019-08-07

Family

ID=6576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57A KR102007785B1 (ko) 2017-08-21 2017-08-21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3796A (zh) * 2019-07-04 2019-10-08 铜仁职业技术学院 一种职业教育学课程使用教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280A (ja) * 2001-08-31 2003-03-12 Pentel Corp 筆記具
CN103465684A (zh) * 2013-09-03 2013-12-25 宁波五云笔业有限公司 一种自动平衡出墨的直液式书写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280A (ja) * 2001-08-31 2003-03-12 Pentel Corp 筆記具
CN103465684A (zh) * 2013-09-03 2013-12-25 宁波五云笔业有限公司 一种自动平衡出墨的直液式书写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3796A (zh) * 2019-07-04 2019-10-08 铜仁职业技术学院 一种职业教育学课程使用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85B1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9704B (en) Double-head writing instrument
US9688092B2 (en) Refill for writing tool and writing tool
US7237970B2 (en) Marker pens
JP7321331B2 (ja) 筆記具
JP2016040133A (ja) 筆記具
JP7011893B2 (ja) 筆記具
JP2006256045A (ja) 筆記具
KR20190020387A (ko)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JP6370024B2 (ja) 筆記具
JP7158203B2 (ja) 塗布具
KR101849221B1 (ko) 다색 보드마카
JP6143429B2 (ja) 筆記具
JP2017124544A (ja) 筆記具
JP2018118420A (ja) 筆記具
JP6464231B2 (ja) 筆記具
JP2015042483A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及びそれに用いる液材貯留部材
JP6902357B2 (ja) 塗布具
JP2004066478A (ja) 筆記具
JP7224136B2 (ja) 筆記具
JP2019135093A (ja) ペン先及びこのペン先を備えた筆記具
JP2005238577A (ja) 筆記具
KR20021178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JP2000272287A (ja) 筆記具
JP6748040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4132608B2 (ja) 水変色体用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