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084A -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084A
KR20190018084A KR1020170101804A KR20170101804A KR20190018084A KR 20190018084 A KR20190018084 A KR 20190018084A KR 1020170101804 A KR1020170101804 A KR 1020170101804A KR 20170101804 A KR20170101804 A KR 20170101804A KR 20190018084 A KR20190018084 A KR 2019001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isplay panel
acoustic
dispose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554B1 (ko
Inventor
안이준
김성철
노정훈
송근규
추혜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554B1/ko
Priority to US15/988,990 priority patent/US10671114B2/en
Priority to CN201810883826.5A priority patent/CN109389917B/zh
Priority to EP18187475.1A priority patent/EP3442243A1/en
Publication of KR2019001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084A/ko
Priority to US16/888,259 priority patent/US1107979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01L27/32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41/09
    • H01L51/5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ISPLAY PANEL, BRACKE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브라켓은 표시 패널 등의 소자들을 수납할 수 있고, 이들을 발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모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며,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에 별도의 스피커가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진동음향소자가 결합된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진동음향소자가 결합된 표시 패널과 브라켓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한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각각 고음역대, 중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 제2 진동음향소자 및 제3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부분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중 낮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진동보강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보강재는 상기 낮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중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 상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의 진동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판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브라켓은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홀 각각의 주변부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동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복수의 수용홀은 서로 관통 면적이 다를 수 있다.
상기 진동공간이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공간은 서로 부피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홀은, 주변부에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된 진동음향소자 수용홀 및 주변부에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되지 않은 배터리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판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홀 각각의 주변부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동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된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공간이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와 상기 브라켓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이격되어 형성된 배터리 수용홀이 더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상기 배터리 수용홀 주변부에는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평면상 틀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개구가 정의된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가 정의된 진동음향소자는 평면상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음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를 위한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브라켓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진동음향소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진동음향소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진동음향소자 및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브라켓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브라켓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또는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브라켓(300)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적용된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장치(1)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일 방향(x)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다른 방향(y)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후술할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란, 진동을 이용하여 스피커 기능을 구현하거나 마이크로 폰 기능을 구현하는 소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 중 일부는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모두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 및 표시 패널(200)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과 윈도우(100) 사이에 배치된 입력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2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 즉 z방향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2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 즉 z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00-DA) 및 투광부(100-DA)에 인접한 차광부(100-NDA)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100)의 차광부(100-NDA)의 내부 표면은 불투명한 마스킹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2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양 단변에서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양 장변에서도 윈도우(100)가 표시 패널(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윈도우(100)는 리지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은 표시부(200-DA) 및 비표시부(200-NDA)를 포함한다. 표시부(200-DA)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100)의 투광부(100-DA)와 중첩한다. 비표시부(200-NDA)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부(200-DA)에 인접하고, 윈도우(100)의 차광부(100-NDA)와 중첩한다.
표시 패널(200)은 유리,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구동 소자와 표시 소자가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은 표시 소자로서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200)은 발광층이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또는 발광층이 양자점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200)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입력감지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패널 하부 부재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 기능, 차광 또는 광흡수 기능, 완충 기능,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로서, 상술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층, 막, 필름, 시트, 플레이트, 패널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하는 소자이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예를 들면 자석 및 상기 자석을 감싸고, 상기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리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진동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진동물질층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물질층은 상기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기계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기계적 변형에 의해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물질층은 예를 들면, 압전체(piezoelectric), 압전 필름(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및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진동물질층을 포함하는 압전소자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압전소자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양 전극(211, 213)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물질층(212a, 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200)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전극(211a, 211b), 제1 전극(211a, 211b) 하부에 위치하는 진동물질층(212a, 212b) 및 진동물질층(212a, 212b)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전극(213a, 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1a, 211b)은 표시 패널(2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전극(211a, 211b) 및 제2 전극(213a, 213b)은 진동물질층(212a, 212b)에 전계를 제공한다. 제1 전극(211a, 211b) 및 제2 전극(213a, 213b)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도성 물질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및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일 수 있다.
진동물질층(212a, 212b)은 제1 전극(211a, 211b) 및 제2 전극(213a, 213b)에서 제공되는 전계에 의하여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피에조 물질의 예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지르콘 티탄산 납 세라믹)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패널(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표시 패널(200)의 하면과 직접 접하여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별도의 접착부재 등을 통해 표시 패널(200)의 하면에 부착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패널(200)의 베이스 기판에 결합될 수 있고, 패널 하부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 패널 하부 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표시 패널(200)의 최하부 층에 직접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표시 패널(200)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진동하며, 이러한 진동은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결합된 표시 패널(200)에 전달되어 표시 패널(2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즉, 표시 패널(200)의 적어도 일부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진동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판(diaphragm)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제1 진동음향소자(210a) 및 제2 진동음향소자(21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진동음향소자(210a)와 제2 진동음향소자(210b)는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일 방향(y)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진동음향소자(210a)와 제2 진동음향소자(210b)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가청 주파수(audio frequency)인 약 20~20,000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진동음향소자(210a)는 상대적으로 고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반면 제2 진동음향소자(210b)는 상대적으로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진동음향소자(210a)가 출력하는 고음역대의 가청주파수는 2kHz ~ 20kHz 범위 내의 값일 수 있고, 제2 진동음향소자(210b)가 출력하는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는 20Hz ~ 2kHz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를 다소 벗어나는 주파수가 출력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기 범위 내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음향소자(210a)가 출력하는 주파수와 제2 진동음향소자(210b)가 출력하는 주파수는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제1 진동음향소자(210a)와 제2 진동음향소자(210b)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크기는 각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표시 패널(200)과 중첩하는 면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동음향소자(210a)의 크기는 제2 진동음향소자(210b)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진동음향소자(210a)는 제2 진동음향소자(210b)보다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진동음향소자는 그 크기에 따라 고유의 음역대를 갖는 주파수를 출력하기 때문에 하나의 진동음향소자만으로는 다양한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의 표시 장치와 같이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를 복수 개 배치하면 보다 넓은 범위의 음역대를 커버함으로써 다양한 음역대를 갖는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윈도우(100) 및 표시 패널(200)을 수납한다. 브라켓(300)은 바닥판 및 바닥판 테두리와 연결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바닥판은 상면이 표시 패널(200)의 하면과 대향할 수 있고, 브라켓(300)의 측벽은 윈도우(100) 및 표시 패널(200)의 측면에 대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300)은 합성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이 결합된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300)의 일부는 표시 장치(1)의 측면에 노출되어 표시 장치(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300)의 하부에는 외부 하우징(도면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바닥판에는 관통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310a, 310b)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홀(310a, 310b)은 바닥판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홀(310a, 310b)은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를 수용하는 홀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용홀(310a, 310b)은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수용홀(310a, 310b)은 대응되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이 브라켓(300)에 수납될 경우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각각 제1 수용홀(310a)과 제2 수용홀(310b)에 수용되기 때문에, 표시 패널(200)은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의한 별도의 단차 발생 없이 브라켓(300)에 수납될 수 있다.
각 수용홀(310a, 310b)은 대응되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크기에 따라 관통 면적, 즉 z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면적이 다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브라켓(300)과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서로 접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용홀(310a, 310b)은 대응되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두께는 브라켓(30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브라켓(300)의 하면보다 하부 방향(z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300)의 바닥판에는 수용홀(310a, 310b)의 주변부가 두께 방향(z 반대방향), 즉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진동공간(311a, 311b)이 정의될 수 있다. 진동공간(311a, 311b)은 수용홀(310a, 310b)의 주변부가 바닥판의 전체 두께보다 얕게 파인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진동공간(311a, 311b)은 하나 이상의 수용홀(310a, 310b) 주변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제1 수용홀(310a) 주변부에 정의된 제1 진동공간(311a)과 제2 수용홀(310b) 주변부에 정의된 제2 진동공간(311b)이 도시된다.
진동공간(311a, 311b)은 수용홀(310a, 310b)에 위치하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서 제공되는 진동 또는 음파를 증폭시키는 울림통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진동공간(311a)은 제1 진동음향소자(210a)에 대한 울림통 역할을 하며, 제2 진동공간(311b)은 제2 진동음향소자(210b)에 대한 울림통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진동공간(311a, 311b)은 그 공간이 클수록 저음역대의 음파 또는 진동에 대한 증폭 효과가 크기 때문에, 저음역대 특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진동공간(311a, 311b)의 크기는 진동공간(311a, 311b)의 부피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진동공간(311a, 311b)의 부피는 진동공간(311a, 311b)의 평면상 면적과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진동공간(311a)과 제2 진동공간(311b)은 동일한 부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기 위해 그 부피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 수용홀(310a, 310b) 및 진동공간(311a, 311b)이 평면상 사각형상을 갖는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음향소자(210a, 210b)는 평면상 사각형상 이외에도 다각형상, 곡선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용홀(310a, 310b) 및 진동공간(311a, 311b) 또한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 및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에는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이 도시된다. 도 6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가 제1, 2 및 3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는 고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220a), 중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진동음향소자(220b) 및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제3 진동음향소자(220c)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진동음향소자(220a)가 출력하는 고음역대의 가청주파수는 2kHz ~ 20kHz 범위 내의 값일 수 있고, 제2 진동음향소자(220b)가 출력하는 중음역대의 가청주파수는 500Hz ~ 2kHz 범위 내의 값일 수 있으며, 제3 진동음향소자(220c)가 출력하는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는 20Hz ~ 500Hz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를 다소 벗어나는 주파수가 출력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상기 범위 내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가 출력하는 주파수는 다른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가 출력하는 주파수와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2 및 3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가 출력하는 주파수는 특정 값으로 제한되지 않고 서로 상대적인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진동음향소자(220a)는 제2 진동음향소자(220b)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고, 제2 진동음향소자(220b)는 제3 진동음향소자(220c)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한다면, 그 주파수 값들은 특정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2 및 3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2 및 3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일 방향(y)을 따라 표시 패널(20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배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2 및 3 진동음향소자(220a, 220b, 220c)는 상술한 것처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할수록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220a)의 크기가 가장 작고, 저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3 진동음향소자(220c)의 크기가 가장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고, 중, 저음역대의 주파수를 각각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를 모두 배치함으로써 고, 중, 저음역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1) 및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에는 표시 패널(201)의 배면 측이 도시된다. 도 7 및 8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1)의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배치된 부분이 함몰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201)은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배치된 부분이 두께 방향(z 반대 방향), 즉 표시 패널(201)의 하면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201)은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배치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1)의 함몰된 부분은 표시 패널(201)의 하층에 위치한 베이스 기판이 일부 식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진동음향소자(210a, 210b)가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면 진동음향소자(210a, 210b)로부터 제공된 진동에 의해 표시 패널(201)이 보다 큰 폭으로 진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1)의 두께에 따라 증폭되는 음역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동음향소자(210a)가 배치된 부분과 제2 진동음향소자(210b)가 배치된 부분의 함몰된 깊이는 다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함몰된 깊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 및 진동음향소자(210a, 210b)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에는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이 도시된다. 도 9의 표시 장치는 제2 진동음향소자(210b)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된 진동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진동음향소자(210b)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진동보강재(S)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보강재(S)는 진동음향소자(210a, 210b)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의 강도를 보강하고, 표시 패널(200)이 진동음향소자(210a, 210b)의 진동에 보다 정확하게 응답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보강재(S)는 특히, 제2 진동음향소자(210b)로부터 제공되는 저음역대의 진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보강재(S)는 금속 판, 폼 층, 다른 지지 재료 또는 보강 구조물,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보강재(S)는 상부의 표시 패널(200)과 하부의 제2 진동음향소자(210b)에 모두 결합되어 제2 진동음향소자(210b)가 표시 패널(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진동보강재(S)가 제2 진동음향소자(210b)에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보강재(S)는 제1 진동음향소자(210a)의 출력을 보강하기 위해 제1 진동음향소자(210a)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 및 진동음향소자(230a, 210b)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이 도시된다. 도 10의 표시 장치는 제1 진동음향소자(230a)가 코일(C)과 압전소자(P)를 모두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230a)는 코일(C) 및 압전소자(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음향소자(230a)는 코일(C)과 압전소자(P)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고음역대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압전소자(P)는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코일(C)은 압전소자(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C)이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압전소자(P)가 코일(C)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진동음향소자(230a)만이 코일(C)과 압전소자(P)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진동음향소자(210b) 또한 코일과 압전소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 진동음향소자(240a, 240b) 및 브라켓(301)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에는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과 브라켓(301)의 전면 측이 각각 도시된다. 도 11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40a, 240b)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고 브라켓(301)에 정의된 복수의 진동공간(321a, 321b)의 크기는 서로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진동음향소자(240a)와 제2 진동음향소자(240b)의 크기는 동일한 반면, 브라켓(301)에 정의된 제1 진동공간(321a)과 제2 진동공간(321b)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진동음향소자(240a)에 대응되는 제1 진동공간(321a)의 크기는 제2 진동음향소자(240b)에 대응되는 제2 진동공간(321b)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1)에 정의된 제1 및 2 진동공간(321a, 321b)의 크기만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40a, 240b)가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의 음역대가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진동공간(321a, 321b)이 작을수록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음향소자(240a, 240b)의 크기는 진동음향소자(240a, 240b)가 표시 패널(200)과 중첩하는 면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진동공간(321a, 321b)의 크기는 진동공간(321a, 321b)의 부피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 진동음향소자(250a, 250b) 및 브라켓(302)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에는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과 브라켓(302)의 전면 측이 각각 도시된다. 도 12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50a, 250b)간의 크기와 복수의 진동공간(331a, 331b)간의 크기가 모두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진동음향소자(250a)와 제2 진동음향소자(250b)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브라켓(302)에 정의된 제1 진동공간(331a)과 제2 진동공간(331b)의 크기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50a, 250b)간의 크기와 제1 및 2 진동공간(331a, 331b)간의 크기를 모두 다르게 함으로써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50a, 250b)가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의 음역대가 서로 다르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진동음향소자(250a, 250b) 및 진동공간(331a, 331b)이 작을수록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음향소자(250a, 250b)의 크기는 진동음향소자(250a, 250b)가 표시 패널(200)과 중첩하는 면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진동공간(331a, 331b)의 크기는 진동공간(331a, 331b)의 부피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브라켓(303)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 장치(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의 표시 장치(2)는 브라켓(303)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홀(B1)이 정의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브라켓(303)의 바닥판에는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60a, 260b)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홀(340a, 340b) 이외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홀(B1)이 더 정의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홀(B1)은 브라켓(303)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는 표시 장치(2)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 크기, 소재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수용홀(B1)의 형상 및 크기는 배터리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홀(B1)은 복수의 수용홀(340a, 340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상 배터리 수용홀(B1)은 브라켓(303)의 일측 하단에 배치되고, 제1 수용홀(340a)은 브라켓(303)의 타측 하단에 배치되며, 제2 수용홀(340b)은 배터리 수용홀(B1)과 제1 수용홀(340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260a)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수용홀(340a)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배터리 수용홀(B1)과 나란히 배치되고, 낮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 진동음향소자(260b) 및 이에 대응되는 제2 수용홀(340b)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 수용홀(B1)과 제1 수용홀(340a)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수용홀(B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진동음향소자(260a, 260b) 및 수용홀(340a, 340b)의 위치, 크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홀(340a, 340b) 주변부에 정의된 각 진동공간(341a, 341b)은 배터리 수용홀(B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홀(B1)에는 진동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진동공간(341a)과 제2 진동공간(341b)은 서로 크기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2 진동음향소자(260a, 260b)간의 크기 관계에 따라 제1 진동공간(341a)과 제2 진동공간(341b)간의 크기 관계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브라켓(304)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표시 패널(200)의 배면 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19의 표시 장치(3)는 내측에 개구(B2)가 정의된 제3 진동음향소자(260c)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3 내지 1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의 하면 상에 제3 진동음향소자(260c)가 더 배치되고, 브라켓(304)의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 수용홀(340c)이 더 정의될 수 있다.
제3 진동음향소자(260c)는 내측에 개구(B2)가 형성된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B2)는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과 브라켓(304)이 결합될 경우 제3 진동음향소자(260c)는 제3 수용홀(340c)의 테두리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진동음향소자(260c)의 개구(B2)는 배터리 수용홀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라켓(304)의 제3 수용홀(340c) 주변부에는 제3 진동음향소자(260c)의 진동을 증폭하기 위한 제3 진동공간(34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3 진동음향소자(260c)가 사각틀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진동음향소자(260c)는 다각형 또는 폐곡선형의 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술한 틀 형상의 일부(예를 들어 평행한 두 선분 형상이나 'ㄱ'자 형상)에 해당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내측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B2)가 정의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윈도우
200: 표시 패널
210a: 제1 진동음향소자
210b: 제2 진동음향소자
300: 브라켓

Claims (20)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각각 고음역대, 중음역대 및 저음역대의 가청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 진동음향소자, 제2 진동음향소자 및 제3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부분마다 서로 다른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중 낮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진동보강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보강재는 상기 낮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된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중 높은 음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진동음향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코일 및 상기 코일 상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의 진동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판인 표시 장치.
  9.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용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홀 각각의 주변부가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동공간이 정의된 표시 장치용 브라켓.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홀은 서로 관통 면적이 다른 표시 장치용 브라켓.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공간이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공간은 서로 부피가 다른 표시 장치용 브라켓.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홀은, 주변부에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된 진동음향소자 수용홀; 및 주변부에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되지 않은 배터리 수용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브라켓.
  13.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진동음향소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바닥판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홀;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홀 각각의 주변부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동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공간이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가 출력되는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와 상기 브라켓은 서로 접하지 않는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수용홀과 이격되어 형성된 배터리 수용홀이 더 정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기 배터리 수용홀 주변부에는 상기 진동공간이 정의되지 않은 표시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음향소자는, 평면상 틀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개구가 정의된 진동음향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정의된 진동음향소자는 평면상 사각틀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70101804A 2017-08-10 2017-08-10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2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04A KR102420554B1 (ko) 2017-08-10 2017-08-10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988,990 US10671114B2 (en) 2017-08-10 2018-05-24 Display panel, brack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883826.5A CN109389917B (zh) 2017-08-10 2018-08-06 支架及包括该支架的显示装置
EP18187475.1A EP3442243A1 (en) 2017-08-10 2018-08-06 Display panel, bracke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6/888,259 US11079792B2 (en) 2017-08-10 2020-05-29 Display panel, bracke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04A KR102420554B1 (ko) 2017-08-10 2017-08-10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084A true KR20190018084A (ko) 2019-02-21
KR102420554B1 KR102420554B1 (ko) 2022-07-14

Family

ID=6336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04A KR102420554B1 (ko) 2017-08-10 2017-08-10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71114B2 (ko)
EP (1) EP3442243A1 (ko)
KR (1) KR102420554B1 (ko)
CN (1) CN10938991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617A (ko) * 2019-02-28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20200110570A (ko) * 2019-03-15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477553B2 (en) 2019-08-20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24609B2 (en) 2019-03-29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30311B2 (en) 2019-12-10 2024-03-12 Sony Group Corporation Sound output apparatus and oscillation provising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6946B (en) * 2018-02-13 2023-08-1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951992B2 (en) * 2018-12-31 2021-03-16 Lg Display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4913792B (zh) 2018-12-31 2024-03-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608894B1 (ko) * 2019-03-11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2668395B1 (ko) 2019-03-15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2671B1 (ko) * 2019-03-29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CN110351402B (zh) * 2019-06-28 2022-04-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移动终端
KR20210006117A (ko) * 2019-07-08 2021-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7076A (ko) *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1306A (ko)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12492065B (zh) * 2019-09-12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
KR20210048345A (ko) * 2019-10-23 2021-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304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5954A (ko)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진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13316060A (zh) * 2020-02-27 2021-08-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振子模组及电子设备
KR20210121976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20220182744A1 (en) * 2020-12-09 2022-06-0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CN114827318A (zh) 2021-01-29 2022-07-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30096545A (ko) * 2021-12-23 2023-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211A (ko) * 2009-09-01 2011-03-0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진동부재 및 이를 이용한 압전 스피커
US20120028679A1 (en) * 2010-07-28 2012-02-02 Kenichi Ozas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20140969A1 (en) * 2010-12-02 2012-06-07 Akiko Fujise Piezoelectric speaker and piezoelectric speaker array
US20160150318A1 (en) * 2014-11-24 2016-05-26 Apple Inc. Mechanically actuated panel acoustic system
US20170013334A1 (en) * 2014-03-26 2017-01-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5474A (en) * 1987-09-29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with image projection screen
US5930376A (en) * 1997-03-04 1999-07-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 channel speaker system for a portable computer
CN100584107C (zh) * 1998-01-16 2010-01-20 索尼公司 扬声装置及内部安装了扬声装置的电子设备
DE19955867A1 (de) 1999-11-22 2001-06-21 Harman Audio Electronic Sys Flachlautsprecheranordnung für Tieftonwiedergabe
DE60226098T2 (de) * 2001-06-2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Lautsprechersystem, Mobilendgerät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
JP3886391B2 (ja) 2002-02-15 2007-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ード型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GB0405475D0 (en) * 2004-03-11 2004-04-2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TW200706049A (en) * 2005-05-12 2007-02-01 Kenwood Corp Screen speaker system
JP4192187B2 (ja) * 2005-05-24 2008-1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携帯端末機
WO2007052835A1 (ja) * 2005-11-02 2007-05-10 Nec Corporation スピーカ、画像素子保護スクリーン、端末装置の筐体、および端末装置
KR200408511Y1 (ko) * 2005-11-24 2006-02-13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JP4237748B2 (ja) * 2005-12-09 2009-03-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US20070223744A1 (en) *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80063699A (ko)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스피커 시스템
JP4655243B2 (ja) * 2008-09-0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JP5084945B2 (ja) * 2011-01-07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8934228B2 (en)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5841175B2 (ja) 2011-03-21 2016-01-1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伴う電子装置
JP5597583B2 (ja) * 2011-03-28 2014-10-01 太陽誘電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KR102061748B1 (ko) *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25786B1 (ko) * 2013-07-0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6107B1 (ko) *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09145B1 (ko) * 2014-08-18 2021-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491474A (zh) * 2014-10-07 2016-04-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具有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JP2016184786A (ja) * 2015-03-25 2016-10-20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6292856B (zh) * 2015-06-03 2020-04-07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5142077B (zh) * 2015-08-13 2017-05-31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骨传导扬声器漏音的方法及骨传导扬声器
JP6834489B2 (ja) * 2015-09-18 2021-02-24 東レ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0219079B2 (en) *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CN207939678U (zh) * 2017-01-13 2018-10-02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扬声器配件安装支架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05215B1 (ko) * 2017-11-06 2022-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79671A (zh) * 2017-11-22 2018-05-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416381B1 (ko) * 2017-12-29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5188B1 (ko) * 2018-01-23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8137B1 (ko) * 2018-09-20 2023-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211A (ko) * 2009-09-01 2011-03-0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진동부재 및 이를 이용한 압전 스피커
US20120028679A1 (en) * 2010-07-28 2012-02-02 Kenichi Ozas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20140969A1 (en) * 2010-12-02 2012-06-07 Akiko Fujise Piezoelectric speaker and piezoelectric speaker array
US20170013334A1 (en) * 2014-03-26 2017-01-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US20160150318A1 (en) * 2014-11-24 2016-05-26 Apple Inc. Mechanically actuated panel acoustic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617A (ko) * 2019-02-28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20200110570A (ko) * 2019-03-15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924609B2 (en) 2019-03-29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477553B2 (en) 2019-08-20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930311B2 (en) 2019-12-10 2024-03-12 Sony Group Corporation Sound output apparatus and oscillation provis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2243A1 (en) 2019-02-13
KR102420554B1 (ko) 2022-07-14
US11079792B2 (en) 2021-08-03
CN109389917B (zh) 2022-04-01
US20200293084A1 (en) 2020-09-17
CN109389917A (zh) 2019-02-26
US20190050024A1 (en) 2019-02-14
US10671114B2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554B1 (ko)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983637B2 (en) Display device
JP6728276B2 (ja) 表示装置
US11522470B2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06113A (ko)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2019948B2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05089A (ko) 표시 장치
KR202000676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8131B1 (ko)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45744B1 (ko) 전자 기기
KR102386650B1 (ko) 전자 기기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6361B1 (ko) 표시 장치
KR102183085B1 (ko) 표시 장치
CN210518433U (zh) 电子设备
KR102332256B1 (ko) 표시 장치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056830A (ko) 전자 기기
KR20190058006A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