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08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089A
KR20150005089A KR20130078391A KR20130078391A KR20150005089A KR 20150005089 A KR20150005089 A KR 20150005089A KR 20130078391 A KR20130078391 A KR 20130078391A KR 20130078391 A KR20130078391 A KR 20130078391A KR 20150005089 A KR20150005089 A KR 20150005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display panel
protruding
protruding region
vibra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786B1 (ko
Inventor
이태희
배종성
이종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786B1/ko
Priority to US14/285,985 priority patent/US9398359B2/en
Priority to CN201410320442.4A priority patent/CN104282232B/zh
Publication of KR2015000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보호하며,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측으로 추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2 돌출 영역을 가지는 배면 섀시;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이며,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입구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는 한 쌍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기존의 음극선관을 이용한 CRT(cathode ray tube) 방식에서 발전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WD(electrowetting Display), EPD(electrophoretic display), EMD(embedded micro cavity display), NCD (nano crystal display) 등의 다양한 평면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과 색필터(color filter)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해 놓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표시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방출 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모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며,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터치 감지의 표시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터치 또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패널을 추가 형성하거나, 표시 장치 내에 터치 센서를 함께 형성하여야 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거나 별도의 터치 패널/터치 센서의 추가 없이도 터치 또는 동작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보호하며,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측으로 추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2 돌출 영역을 가지는 배면 섀시;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이며,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입구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는 한 쌍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제2 돌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경계를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비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음향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소자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접착제가 형성되어 부착되며, 상기 제2 음향 소자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상기 내측면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상기 음향 소자와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향 소자도 두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면 섀시의 돌출 영역에는 앰프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는 음향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배선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과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진동 물질층의 측면을 통하여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을 총 3개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총 4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진동 물질층은 3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3층 구조의 상기 진동 물질층의 최외측 및 그 사이에 상기 4개의 전극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이 상기 3층 구조의 진동 물질층의 측면을 통하여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상기 전극은 두 개씩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및 상기 앰프로부터의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소자에 전달하는 음향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하여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앰프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상기 진동 물질층은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진동도 발생시키며, 상기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생성된 전압을 이용하여 압력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에서 방출된 가청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진동이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도플러 효과에 따라 변조된 후 상기 마이크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가 진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피에조(piezo) 물질(예를 들어, PVDF나 PZT 등의 물질)을 형성하여 표시 장치에서 소리를 제공한다. 또한, 가청 주파수가 아닌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 한 경우 이를 피드백 받아서 터치 감지를 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플러 효과에 의하여 표시 장치의 주변에서 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어 별도의 동작 센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음향 소자를 연결하는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음향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앰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사용 가능한 구동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70)와 표시 패널(70)을 수납하고 그 배면을 보호하며, 돌출 영역(28-1, 28-2)을 가지는 배면 섀시(28),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27)를 포함한다. 제2 돌출 영역(28-2)은 음향 소자(27)에서 방출되는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의 표시 패널(70)은 빛을 스스로 발광하는 표시 패널이거나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빛을 스스로 발광하는 표시 패널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등이 있으며, 수광형 표시 패널로는 액정 표시 패널 등이 있다. 수광형 표시 패널에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70)은 다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TFT 기판을 포함하며, TFT 기판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선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선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70)의 상세 구조는 표시 패널의 종류 및 실시예 별로 다양할 수 있다.
도 1의 표시 패널(70)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 일 수 있다. 즉, 도 1의 표시 패널(70)은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로 표시 패널 외에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및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70)의 데이터선 및 게이트선은 연성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연성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TFT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이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고, 이중 게이트선을 통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데이터선을 통하여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화상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전달 또는 차단된다. 연성 회로 기판은 표시 패널의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 패널의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에 각각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연성 회로 기판은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를 표시 패널(70)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각각 인가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에서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하는 앰프(도 6 또는 도 11 참고)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앰프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을 통하여 음향 소자(27)로 음향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패널(70)은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몰드 프레임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70)의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탑 섀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70)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면 섀시(28)가 포함되어 있다. 배면 섀시(28)는 바텀 섀시 또는 백 섀시 등의 이름으로 불릴 수도 있는데, 표시 패널(70)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표시 패널(70)을 수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배면 섀시(28)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70)의 몰드 프레임이나 탑 섀시와 결합하여 표시 패널(70)을 보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배면 섀시(28)는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영역(28-1, 28-2)을 포함한다. 도 1에서의 돌출 영역(28-1, 28-2)의 돌출 정도 및 넓이는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실제 돌출된 정도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시인되지 않을 정도일 수도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은 배면 섀시(28)의 일 부분에 원형 구조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2 돌출 영역(28-2)은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에 원형 구조로 추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돌출 영역(28-1, 28-2)의 돌출 모양 및 돌출 정도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이며, 제2 돌출 영역(28-2)의 입구에는 음향 소자(27)가 위치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27)는 원형 구조를 가지며, 제2 돌출 영역(28-2)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음향 소자(27)는 제1 돌출 영역(28-1)과 접착제(51)에 의하여 접착되며, 제2 돌출 영역(28-2)을 막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음향 소자(27)는 제2 돌출 영역(28-2)을 덮으며, 음향 소자(27)가 차지하는 영역이 제2 돌출 영역(28-2)이 차지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의 경계를 따라서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측에 접착제(51)가 위치하며, 접착제(51)를 통하여 음향 소자(27)가 부착된다. 접착제(51)는 비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51)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을 가하거나 자연 건조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음향 소자(27)에 열을 가하는 경우 진동 물질층(27-1)의 특성 저하가 발생한다. 이는 신뢰성 테스트 결과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에 음향 소자(27)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자연 건조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음향 소자(27)에서 제공하는 음질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전화기에서 상대방의 음성을 제공하는 리시버 등)에는 열을 가하여 건조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돌출 영역(28-2)의 적어도 일부가 음향 소자(27)로 가리지 않아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이 서로 통해있을 수도 있다.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은 음향 소자(27)에서 제공되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울림통 역할을 한다. 제1 돌출 영역(28-1)만으로도 울림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제2 돌출 영역(28-2)을 추가함으로서 음향 소자(27)가 진동하는 진동 방향을 양측 모두 가질 수도 있도록 하여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돌출 영역(28-2)을 추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음향 소자(27)는 한 쌍의 전극(27-2)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27-1)을 포함한다. 진동 물질층(27-1)은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27-2)에서 제공되는 전계에 의하여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하며, 피에조 물질의 예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이 있다.
PVDF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을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한 물질 특성을 가진다. 한편, PZT는 PVDF에 비하여 필름 형태로 제적하기는 어려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기 어려운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PZT를 진동 물질층으로 사용하면서도 필름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PZT와 PVDF(또는 PVDF-TrFE)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진동 물질층(27-1)에 전계를 제공한다. 전극(27-2)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및 탄소 나노 튜브(CNT) 등 다양한 도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돌출 영역(28-1)은 원형 구조를 가지며, 원형 구조의 일단에는 선형으로 뻗어있는 배선 연결부(28-3)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 연결부(28-3)는 앰프로부터 음향 소자(27)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신호 배선이 돌출되어 있는 배선 연결부(28-3)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배선 연결부(28-3)는 돌출 영역(28-1)과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그보다 돌출 정도가 작을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70)의 전면에 강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윈도우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윈도우는 표시 패널(70)의 전면이 외부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윈도우는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나 기타 전자 기기의 표시측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27)가 하나 포함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음향 소자(27)의 개수는 2 이상의 복수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돌출 영역(28-1, 28-2)에 의한 음향 특성에 대하여 도 3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음향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 소자(27)는 배면 섀시(28)의 제1 돌출 영역(28-1)의 내면에 부착되어 진동한다. 음향 소자(27)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된 소리는 제1 및 제2 돌출 영역(28-1, 28-2)내에서 증폭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음향 소자(27)와 제1 돌출 영역(28-1)의 접촉 면적이 크지 않으므로 진동이 제1 돌출 영역(28-1)을 통하여 배면 섀시(28)로는 전달되는 양이 크지 않다. 즉, 도 3의 화살표를 참고하면, 음향 소자(27)의 진동은 음향 소자(27) 자체가 상하로 진동하도록 하는데, 원 형태로 접착제(5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음향 소자(27)의 중심이 상하로 진동 운동하도록 한다.
음향 소자(27)의 배면이 전체적으로 접착제(51)에 의하여 배면 섀시(28)에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향 소자(27)의 진동이 배면 섀시(28)를 통하여 표시 장치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배면 섀시(28)로 인하여 배면 섀시(28)를 향하여 진동하고자 하는 방향이 막히는 단점이 있다. 이는 도 3의 아래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파형이 인가되어 음향 소자(27)가 상하로 진동하고자 할 때 이 중 상측으로만 진동이 가능하고, 하측으로는 진동이 막히면, 파형 중 일부만 정상적으로 소리가 전달되고, 일부는 손실되어 전달되므로 음향 특성이 저하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음향 소자(27)가 외측에만 접착제(51)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하로 진동할 수 있어 음파의 파형의 손실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보다 손실 없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향 소자(27)에서 발생한 소리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배면 섀시(28)의 어딘가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구멍에는 개방되어 있어 소리가 외부로 직접 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스피커 등에 사용되는 스폰지 재질의 물질이 배치되어 스폰지를 지난 후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 음향 소자(27')를 추가적으로 더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27')가 접착제(51)에 의하여 부착될 때 음향 소자(27')의 배면이 전체적으로 부착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접착제(51)로 부착되고 사이에는 공간(S)이 위치하고 있다. 공간(S)이 형성됨에 의하여 음향 소자(27')가 아랫 방향으로도 진동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70)와 표시 패널(70)을 수납하고 그 배면을 보호하며, 돌출 영역(28-1, 28-2)을 가지는 배면 섀시(28), 제1 돌출 영역(28-1) 내와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두 개의 음향 소자(27, 27')를 포함한다. 제2 돌출 영역(28-2)은 제1 돌출 영역(28-1)에 위치하는 제1 음향 소자(27)에서 방출되는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돌출 영역(28-2)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음향 소자(27')는 제1 및 제2 돌출 영역(28-1, 28-2)을 울림통으로 사용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의 표시 패널(70)은 빛을 스스로 발광하는 표시 패널이거나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빛을 스스로 발광하는 표시 패널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등이 있으며, 수광형 표시 패널로는 액정 표시 패널 등이 있다. 수광형 표시 패널에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70)은 다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TFT 기판을 포함하며, TFT 기판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선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선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70)의 상세 구조는 표시 패널의 종류 및 실시예 별로 다양할 수 있다.
도 4의 표시 패널(70)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 일 수 있다. 즉, 도 4의 표시 패널(70)은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어셈블리로 표시 패널 외에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및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70)의 데이터선 및 게이트선은 연성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연성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TFT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이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고, 이중 게이트선을 통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데이터선을 통하여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화상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전달 또는 차단된다. 연성 회로 기판은 표시 패널의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 패널의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에 각각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연성 회로 기판은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를 표시 패널(70)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각각 인가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에서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하는 앰프(도 11 참고)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앰프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을 통하여 음향 소자(27)로 음향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패널(70)은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몰드 프레임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70)의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탑 섀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70)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면 섀시(28)가 포함되어 있다. 배면 섀시(28)는 바텀 섀시 또는 백 섀시 등의 이름으로 불릴 수도 있는데, 표시 패널(70)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표시 패널(70)을 수납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배면 섀시(28)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70)의 몰드 프레임이나 탑 섀시와 결합하여 표시 패널(70)을 보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배면 섀시(28)는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영역(28-1, 28-2)을 포함한다. 도 4에서의 돌출 영역(28-1, 28-2)의 돌출 정도 및 넓이는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실제 돌출된 정도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시인되지 않을 정도일 수도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은 배면 섀시(28)의 일 부분에 원형 구조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2 돌출 영역(28-2)은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에 원형 구조로 추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돌출 영역(28-1, 28-2)의 돌출 모양 및 돌출 정도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이며, 제2 돌출 영역(28-2)의 입구에는 제1 음향 소자(27)가 위치하며,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는 제2 음향 소자(27')가 위치한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27, 27')는 원형 구조를 가지며, 제1 음향 소자(27)는 제2 돌출 영역(28-2)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제2 음향 소자(27')는 제2 돌출 영역(28-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다. 제2 돌출 영역(28-2)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제1 음향 소자(27)는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에 위치하며, 제2 돌출 영역(28-2)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 음향 소자(27')는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두 개의 음향 소자(27, 27')는 접착제(51)에 의하여 부착된다. 제1 음향 소자(27)는 제1 돌출 영역(28-1)과 접착제(51)에 의하여 접착되며, 제2 돌출 영역(28-2)을 막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 음향 소자(27')는 배면 중 일부 영역에 접착제(51)가 배치되어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과 부착된다. 제2 음향 소자(27')의 부착시 접착제(51)가 제2 음향 소자(27')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위치하고, 그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공간(S)은 제2 음향 소자(27')가 아랫 방향으로도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울림통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소자(27. 27')를 부착시키는 접착제(51)는 비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51)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을 가하거나 자연 건조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음향 소자(27)에 열을 가하는 경우 진동 물질층(27-1)의 특성 저하가 발생한다. 이는 신뢰성 테스트 결과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에 음향 소자(27)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자연 건조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음향 소자(27)에서 제공하는 음질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전화기에서 상대방의 음성을 제공하는 리시버 등)에는 열을 가하여 건조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돌출 영역(28-2)의 입구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음향 소자(27)로 가리지 않아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이 서로 통해있을 수도 있다.
제1 돌출 영역(28-1)과 제2 돌출 영역(28-2)은 음향 소자(27, 27')에서 제공되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울림통 역할을 한다. 제1 돌출 영역(28-1)만으로도 울림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제2 돌출 영역(28-2)을 추가함으로서 제1 음향 소자(27)가 진동하는 진동 방향을 양측 모두 가질 수도 있도록 하여 음향 특성을 향상시킨다.
음향 소자(27, 27')는 한 쌍의 전극(27-2)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27-1)을 포함한다. 진동 물질층(27-1)은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27-2)에서 제공되는 전계에 의하여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하며, 피에조 물질의 예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이 있다.
PVDF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을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한 물질 특성을 가진다. 한편, PZT는 PVDF에 비하여 필름 형태로 제적하기는 어려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기 어려운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PZT를 진동 물질층으로 사용하면서도 필름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PZT와 PVDF(또는 PVDF-TrFE)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진동 물질층(27-1)에 전계를 제공한다. 전극(27-2)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및 탄소 나노 튜브(CNT) 등 다양한 도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70)의 전면에 강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윈도우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윈도우는 표시 패널(70)의 전면이 외부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윈도우는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나 기타 전자 기기의 표시측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는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각각 하나의 제1 및 제2 돌출 영역(28-1, 28-2)를 가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하지만, 모양 및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서는 배면 섀시(28)에서의 돌출 영역(28-1, 28-2)의 다양한 변형예를 살펴본다.
도 5에서는 돌출 영역(28-1)의 다양한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배선 연결부(28-3)를 제외하고 배면 섀시(28)에 형성된 제1 돌출 영역(28-1) 및 제2 돌출 영역(28-2)을 간단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은 배면의 형상이 원형 외에도 타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4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달리 모서리가 각진 4각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구조, 모서리가 각진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돌출 영역(28-2)은 제1 돌출 영역(28-1)의 내에 제1 돌출 영역(28-1)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향 소자(27)는 기본적으로 제2 돌출 영역(28-2)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제2 돌출 영역(28-2)을 덮으면서 형성된다. 돌출 영역(28-1)내에는 하나의 음향 소자(27)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4와 같이 2 이상의 음향 소자(27)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음향 소자(27)가 위치할 경우에는 돌출 영역(28-1)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제1 돌출 영역(28-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면 섀시(28)에 형성된 실시예도 도시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제1 돌출 영역(28-1)이 형성된 실시예도 도시되어 있다. 제1 돌출 영역(28-1)에는 각각 제2 돌출 영역(2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돌출 영역(28-2)을 덮으며 음향 소자(27)가 위치할 수 있다. 음향 소자(27)는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에서는 두 개의 제1 돌출 영역(28-1)이 중첩하는 모양을 가지는 제1 돌출 영역(28-1)도 도시되어 있다. 즉, 두 개의 서로 다른 원형의 제1 돌출 영역(28-1)이 일부 영역을 서로 중첩하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제1 돌출 영역(28-1)을 구성하는 구조도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돌출 영역(28-1)에도 이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며, 크기가 작은 제2 돌출 영역(2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돌출 영역(28-2)을 덮으며, 음향 소자(27)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돌출 영역(28-2)을 덮으며 두 개의 음향 소자(27)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제2 돌출 영역(28-2)의 내측면에 음향 소자(27')가 추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해당 음향 소자(27')도 두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음향 소자(27, 27')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돌출 영역(28-1, 28-2)을 두 개의 원형의 돌출 영역으로 가상 분할하여 각 원형의 중앙에 두 개의 음향 소자(27, 27')가 각각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돌출 영역(28-1, 28-2)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5의 돌출 영역(28-1, 28-2)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돌출 영역(28-1)의 모양과 제2 돌출 영역(28-2)의 모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음향 소자(27)와 음향 신호 배선(80-1)이 연결되는 구조를 살펴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음향 소자를 연결하는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 음향 소자(27)로 음향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음향 신호 배선(80-1)이 연결되어야 한다. 음향 신호 배선(80-1)이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데, 배면 섀시(28)가 돌출 영역(28-1, 28-2)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배선 연결부(28-3)가 제1 돌출 영역(28-1)과 같이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돌출 영역(28-1)과 연결되어 있다. 배선 연결부(28-3)는 돌출 영역(28-1)과 동일한 정도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그보다 돌출 정도가 작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음향 신호 배선(80-1)이 배선 연결부(28-3)를 통하여 진입하여 용이하게 제1 돌출 영역(28-1) 내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27)와 연결될 수 있다. 배선 연결부(28-3)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음향 신호 배선(80-1)은 배면 섀시(28)의 내면을 따라서 제1 돌출 영역(28-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통하여 음향 소자(27)의 변형예를 살펴본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음향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음향 소자(27)를 살펴본다.
도 7은 음향 소자(27)의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한 쌍의 전극(27-2)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27-1)을 포함한다. 진동 물질층(27-1)은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27-2)에서 제공되는 전계에 의하여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하며, 피에조 물질의 예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이 있다.
진동 물질층(27-1)을 기준으로 하나의 전극(27-2)은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27-2)은 하부에 위치하는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에 위치하는 전극의 일부가 진동 물질층(27-1)의 측면을 타고 올라가서 일부 진동 물질층(27-1)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전극 패드(27-21)를 구성한다. 진동 물질층(27-1)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하여 두 전극(27-2)에 배선을 연결해야 하는데, 도 7과 같이 하부 전극(27-2)의 전극 패드(27-21)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부에서 두 전극에 바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음향 소자(27)의 하부는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더라고 상부를 통하여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음향 소자(27)를 상부에서 보면 도 8과 같을 수 있다. 음향 소자(27)의 상부에는 두 개의 전극(27-2)이 위치하지만, 대부분은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27-2)이 차지하고, 일부 영역만 하부 전극(27-2)의 전극 패드(27-21)가 위치하고 있으며, 전극 패드(27-21)는 상부 전극(27-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전극 패드(27-21)는 사각형 구조를 가지며, 원형 중 전극 패드(27-21)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부의 전극(27-2)이 위치하고 있다. 그 아래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27-1)도 원형 구조를 가지며, 하부 전극(27-2)도 원형 구조이며, 하부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측면을 따라서 전극 패드(27-21)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음향 소자(27)는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전극(27-2)이 위치하는 것이 기본인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전극을 다른 구조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음향 소자(27)는 상부의 전극(27-2) 하나와 그 아래의 진동 물질층(2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물질층(27-1)의 아래에는 배면 섀시(28)가 위치하고 있다. 배면 섀시(28)가 도전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배면 섀시(28)와 상부의 전극(27-2)이 한 쌍의 전극 역할을 하여 진동 물질층(27-1)에 전계를 제공한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27)가 부착되는 구성 요소가 도전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일측의 전극을 생략하고, 해당 구성 요소(도 9에서는 배면 섀시(28))를 이용하여 전극 역할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때 배면 섀시(28)와 같은 전극을 대체하는 구성 요소는 앰프로부터의 신호외에는 다른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전극 역할을 하는 배면 섀시(28)가 음향 소자(27)에 비하여 매우 넓어 전선을 연결할 위치가 많으므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진동 물질층(27-1)의 측면을 따라서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 패드(27-21)는 별도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통하여 다층의 음향 소자(27)를 살펴본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27)는 3개의 진동 물질층(27-1)과 총 4개의 전극(27-2)을 포함한다. 3개의 진동 물질층(27-1)은 3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3층 구조의 진동 물질층(27-1)의 최 외측 및 그 사이에 총 4개의 전극(27-2)이 위치하고 있다. 총 4개의 전극은 각각 두 개씩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맨 아래에 위치하는 전극(27-2)과 맨 위에 위치하는 전극(27-2)은 서로 다른 신호를 인가 받으며, 중간에 위치하는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측면을 따라서 맨 위의 전극(27-2) 또는 맨 아래의 전극(27-2)과 연결되어 있다. 맨 아래에 위치하는 전극(27-2)은 전극 패드(27-21)를 맨 위에 위치하는 전극(27-2)의 옆에 위치시켜 배선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 결과 각 진동 물질층(27-1)은 상하로 접하고 있는 전극(27-2)이 서로 다른 신호를 인가하므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하여 진동 물질층(27-1)이 진동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10의 실시예는 진동 물질층(27-1)이 3개 존재하여 하나만 존재하는 음향 소자(27)에 비하여 높은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음향 소자(27)에 신호를 제공하는 앰프(8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앰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 앰프(80)는 인쇄 회로 기판(78)상에 위치하고 있다. 앰프(80)는 표시 장치(100)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앰프(80)의 출력은 연성 회로 기판(79)을 따라 표시 패널(70)로 전달되며, 표시 패널(70)에 형성되어 있는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음향 소자(27)로 신호가 인가된다.
앰프(8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음향 소자(27)로 음향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앰프(80)는 다양한 집적 회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중 일 실시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앰프(80)는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을 포함하며, 그 주변의 코일, 커패시터 및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를 살펴보면,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은 총 16개의 입출력단을 가진다. 각 입출력단은 하나의 전원 전압 입력단(VDD)과, 두 개의 접지 전압 입력단(PGND, SGND), 두 개의 일정 전압 입력단(SW, VBST), 4개의 입력 신호단(IN1+, IN1-, IN2+, IN2-), 2개의 출력 신호단(OUT+, OUT-) 및 4개의 선택 신호 입력단(SHDN, SCL/GAIN, SW/RW, SDA/SEL)이다. 4개의 선택 신호 입력단에 의하여 선택된 신호에 따라서 4개의 입력 신호가 증폭 및 변환되어 두 개의 출력단으로 제공된다.
앰프(80)로 인가되는 음향 신호는 표시 장치 외부로부터 제공되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 단말의 경우 휴대 단말의 제어 유닛(MPU)에서 앰프(80)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향 소자(27)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것 외에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사용 가능한 구동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에서는 음향 소자(27)의 진동 중 가청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를 사용하여 햅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살펴본다.
음향 소자(27)에 의하여 표시 장치(100)에는 전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며, 그 중 가청 주파수가 아닌 낮은 진동도 도 13과 같이 함께 발생된다. 이 주파수는 사용자가 들을 수 없으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더라도 음질에는 영향이 없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터치하였을 때 변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의 감지는 터치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의 감지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햅틱(haptic) 기능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음향 소자(27)가 제공하는 가청 주파수 외의 진동을 사용하여 그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확인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청 주파수가 아닌 저주파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 구비할 수 있으며, 센서를 이용하여 햅틱을 구현하는 것은 표시 장치(100)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신호 제어부나 휴대 단말에서는 휴대 단말의 제어 유닛(MPU)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통하여 압력 감지 센서로서의 역할을 살펴본다.
음향 소자(27)에 포함되어 있는 진동 물질층(27-1)은 전계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진동 물질층(27-1)이 전계없이 진동시키는 경우에는 진동 물질층(27-1)으로부터 전압이 발생한다. 발생하는 전압을 감지하면 진동 물질층(27-1)에 변위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압력에 의하여 눌리면서 발생한 변위임을 확인하여 압력 감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소자(27)를 이용한 압력 감지에는 음향 소자(27)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8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앰프(80)의 구조를 변경하고, 앰프(80)로서의 구동과 센서(85)로서의 구동을 시분할로 구동시켜 하나의 앰프(80)로 압력 센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음향 소자(27)에서 가청 주파수가 아닌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음파가 발생될 때,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서 손을 움직이면, 발생한 음파가 변동되면서 휴대 단말의 마이크(130)로 음파가 입력된다. 도 1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의한 도플로 효과로 음파는 음압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면서 마이크(130)로 전달되며, 마이크(130)로 제공된 음파의 변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싱이 가능하다.
음향 소자(27)를 사용하여 모션 센싱을 하기 위해서는 마이크(130)가 반드시 필요하며, 마이크(13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음향 소자(27)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모션 센싱이 가능하다.
도 15에 의한 모션 센싱은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션 센싱에 비하여 카메라에 의한 화상 처리가 불필요하고, 마이크(130)로 입력되는 음압만 고려하면 되므로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통하여 음향 소자(27)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의 배터리 충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향 소자(27)에 포함되어 있는 진동 물질층(27-1)이 전계없이 진동하는 경우에는 진동 물질층(27-1)으로부터 전압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되는 전압을 커패시터나 배터리(87)에 저장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휴대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시에 함께 소지하고 다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진동에는 노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음향 소자(27)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음향 소자(27) 자체적으로 진동하게 되어 전압이 발생되는데, 이를 배터리(87)로 전달하여 배터리(87)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경우 사용자가 음향 소자(27)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흔들거나 손가락을 사용하여 수십 내지 수백 차례 터치함으로 인하여 배터리(87)가 충전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3 내지 도 17에서 살펴본 음향 소자(27)의 또 다른 효과는 하나의 음향 소자(27)를 사용하여 음향 소자(27)가 소리를 제공하는 중간에 시분할 구동을 통하여 함께 진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음향 소자(27)를 추가로 형성하고, 음향 소자(27)가 앰프와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센서나 배터리와 연결되어 감지 동작이나 배터리 충전 동작만 수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향 소자(27)가 표시 장치(100)의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도 13 내지 도 17의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음향 소자(27)가 표시 장치(100)가 사용되는 휴대 단말의 어딘가에만 있으면 충분하고, 반드시 표시 장치(100)의 내에 위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장치 27, 27': 음향 소자
27-1: 진동 물질층 27-2: 전극
27-21: 전극 패드 28: 배면 섀시
28-1, 28-2: 돌출 영역 28-3: 배선 연결부
51: 접착제 70: 표시 패널
78: 인쇄 회로 기판 79: 연성 회로 기판
80: 앰프 80-1: 음향 신호 배선
85: 센서 87: 배터리
130: 마이크

Claims (19)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보호하며,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측으로 추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2 돌출 영역을 가지는 배면 섀시;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내이며,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입구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는 한 쌍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 물질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제2 돌출 영역을 덮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경계를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비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음향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음향 소자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접착제가 형성되어 부착되며, 상기 제2 음향 소자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상기 내측면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는 표시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상기 음향 소자와 일대일 대응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은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향 소자도 두 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배면 섀시의 돌출 영역에는 앰프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달받는 음향 신호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배선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2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과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 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진동 물질층의 측면을 통하여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을 총 3개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총 4개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진동 물질층은 3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3층 구조의 상기 진동 물질층의 최외측 및 그 사이에 상기 4개의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진동 물질층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이 상기 3층 구조의 진동 물질층의 측면을 통하여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4개의 상기 전극은 두 개씩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14. 제2항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및
    상기 앰프로부터의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소자에 전달하는 음향 신호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기판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하여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앰프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의 상기 진동 물질층은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진동도 발생시키며,
    상기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한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음향 소자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생성된 전압을 이용하여 압력 감지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에서 방출된 가청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진동이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도플러 효과에 따라 변조된 후 상기 마이크에서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표시 장치.
  19. 제1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가 진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표시 장치.
KR1020130078391A 2013-07-04 2013-07-04 표시 장치 KR10202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91A KR102025786B1 (ko) 2013-07-04 2013-07-04 표시 장치
US14/285,985 US9398359B2 (en) 2013-07-04 2014-05-23 Display device
CN201410320442.4A CN104282232B (zh) 2013-07-04 2014-07-0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391A KR102025786B1 (ko) 2013-07-04 2013-07-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089A true KR20150005089A (ko) 2015-01-14
KR102025786B1 KR102025786B1 (ko) 2019-09-27

Family

ID=5213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391A KR102025786B1 (ko) 2013-07-04 2013-07-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98359B2 (ko)
KR (1) KR102025786B1 (ko)
CN (1) CN104282232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8805B2 (en) 2016-04-05 2017-11-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10009683B2 (en) 2016-03-28 2018-06-26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129646B2 (en) 2016-03-28 2018-11-13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409325B2 (en) 2016-04-04 2019-09-10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double-face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20159150A1 (en) * 2019-01-29 2020-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20103081A (ko) * 2017-11-20 2022-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2019948B2 (en) 2019-07-04 2024-06-2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748B1 (ko) *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3412B1 (ko) * 2015-12-31 2022-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19454B1 (ko)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20554B1 (ko) *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508086B (zh) * 2017-09-15 2022-09-2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433745B1 (ko) * 2017-11-13 2022-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434124B (zh) 2017-12-07 2022-06-28 索尼公司 显示面板及显示设备
KR102434276B1 (ko) * 2017-12-08 2022-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12609B1 (ko) 2017-12-29 2023-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30589B1 (ko) * 2018-09-20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28490B1 (ko) * 2018-11-13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383563B (zh) * 2018-12-31 2022-07-0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668395B1 (ko) * 2019-03-15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4326A (ko) 2019-07-04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43539B (zh) * 2019-08-22 2021-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其適用的顯示裝置
KR20210086304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I20205029A1 (en) * 2020-01-14 2021-07-15 Aito Bv HAPPTIC EFFECT DEVICE
JP2022105325A (ja) 2020-12-31 2022-07-1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JP7234341B2 (ja) * 2020-12-31 2023-03-0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386A (ko) * 2002-04-08 2003-10-17 이태헌 휴대용 자동 충전기
US20060039575A1 (en) * 2004-08-23 2006-02-23 Hiroshi Wada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71259A1 (en) * 2005-09-27 2007-03-29 Casio Computer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having speaker function
US20070097073A1 (en) * 2005-10-28 2007-05-03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20070223744A1 (en) *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33426A (ko) * 2010-06-29 2013-04-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연속파 초음파 신호들을 이용한 무접촉식 감지 및 제스쳐 인식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054A (en) * 1984-08-09 1987-02-03 Nippon Ceramic Company, Limited Piezoelectr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TW511391B (en) * 2000-01-24 2002-11-21 New Transducers Ltd Transducer
JP4386078B2 (ja) 2007-01-2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JP2009188801A (ja) * 2008-02-07 2009-08-20 Panasonic Corp 圧電スピーカ
KR100934957B1 (ko) * 2008-02-22 2010-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압전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기소자와 그제조방법
EP2288179B1 (en) 2008-05-29 2015-09-3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speaker, speaker device and tactile feedback device
JP2010157037A (ja) * 2008-12-26 2010-07-15 Nissha Printing Co Ltd 振動素子を有するパネル部材
JP2010267541A (ja) * 2009-05-15 2010-11-25 Canon Inc 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EP2541972B1 (en) * 2010-02-23 2017-07-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iezoelectric acoustic transducer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386A (ko) * 2002-04-08 2003-10-17 이태헌 휴대용 자동 충전기
US20060039575A1 (en) * 2004-08-23 2006-02-23 Hiroshi Wada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71259A1 (en) * 2005-09-27 2007-03-29 Casio Computer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having speaker function
US20070097073A1 (en) * 2005-10-28 2007-05-03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20070223744A1 (en) * 2006-03-23 2007-09-27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33426A (ko) * 2010-06-29 2013-04-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연속파 초음파 신호들을 이용한 무접촉식 감지 및 제스쳐 인식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073B2 (en) 2016-03-28 2020-02-04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129646B2 (en) 2016-03-28 2018-11-13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1950068B2 (en) 2016-03-28 2024-04-02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142739B2 (en)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US10142738B2 (en)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219079B2 (en)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US10237656B2 (en) 2016-03-28 2019-03-19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1736858B2 (en) 2016-03-28 2023-08-22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841699B2 (en) 2016-03-28 2020-11-1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US10547945B2 (en) 2016-03-28 2020-01-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1265655B2 (en) 2016-03-28 2022-03-01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009683B2 (en) 2016-03-28 2018-06-26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412500B2 (en) 2016-03-28 2019-09-10 Lg Display Co., Ltd. Actuator fixing device an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40482B2 (en) 2016-03-28 2021-10-05 Lg Display Co., Ltd. Actuator fixing device an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19425B2 (en) 2016-03-28 2021-05-25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0409325B2 (en) 2016-04-04 2019-09-10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double-face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10847585B2 (en) 2016-04-05 2020-11-2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9818805B2 (en) 2016-04-05 2017-11-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KR20220103081A (ko) * 2017-11-20 2022-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12823B2 (en) 2019-01-29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20159150A1 (en) * 2019-01-29 2020-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2019948B2 (en) 2019-07-04 2024-06-2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2232B (zh) 2019-03-12
US9398359B2 (en) 2016-07-19
KR102025786B1 (ko) 2019-09-27
CN104282232A (zh) 2015-01-14
US20150010187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276B2 (ja) 表示装置
KR102025786B1 (ko) 표시 장치
US10983637B2 (en) Display device
KR102204384B1 (ko) 표시 장치
KR101383702B1 (ko) 표시 장치 유닛
KR101293558B1 (ko) 표시 장치
KR101569382B1 (ko) 표시 장치 유닛
KR102186361B1 (ko) 표시 장치
KR102183085B1 (ko) 표시 장치
KR102332256B1 (ko) 표시 장치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