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9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95B1
KR102668395B1 KR1020190029808A KR20190029808A KR102668395B1 KR 102668395 B1 KR102668395 B1 KR 102668395B1 KR 1020190029808 A KR1020190029808 A KR 1020190029808A KR 20190029808 A KR20190029808 A KR 20190029808A KR 102668395 B1 KR102668395 B1 KR 10266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disposed
substrate
display pane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562A (ko
Inventor
임재우
원병희
안이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395B1/ko
Priority to US16/739,104 priority patent/US11039235B2/en
Priority to JP2020010352A priority patent/JP7483388B2/ja
Priority to EP20161428.6A priority patent/EP3709673A1/en
Priority to CN202010169317.3A priority patent/CN111698610A/zh
Publication of KR2020011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562A/ko
Priority to US17/338,722 priority patent/US115825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04R9/027Air gaps using a magnetic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기판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제1 진동자, 및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진동자를 포함하며, 제1 진동자와 제2 진동자는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과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스피커는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은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표시 장치의 배면 방향 또는 표시 장치의 일 측 방향으로 출력되므로, 음향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제1 진동자, 및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자와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한다.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는 제1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2 진동자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는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진동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층은 상기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2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제3 진동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와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보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 및 상기 제2 진동자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제2 진동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의 제1 마그넷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의 제1 마그넷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진동자의 일 측면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진동자의 일 측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3 진동자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섀시와 상부 섀시, 상기 상부 섀시와 마주보는 상기 하부 섀시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 보드, 상기 제2 보이스 코일이 수납되는 보이스 코일 홈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넷, 및 상기 상부 섀시와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이스 코일은 상기 상부 섀시와 마주보는 상기 연성 회로 보드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자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향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회로 보드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회로 보드는 상기 보빈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열 필름은 상기 음향 회로 보드가 통과하는 수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수용 홈과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차단 부재는 상기 음향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마그넷 상에 배치되며, 제1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로 보드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표시 패널을 진동판으로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며, 이로 인해 표시 장치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로 인하여, 종래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일 측에 배치되던 별도의 스피커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진동자와 제2 진동자는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와 제2 진동자가 동시에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와 제2 진동자가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는 중음 대역과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진동자와 제2 진동자, 및 제1 진동자와 제3 진동자는 각각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 제2 진동자, 및 제3 진동자가 동시에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 제2 진동자, 및 제3 진동자가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을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는 저음 대역, 중음 대역, 및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자에 연결되는 음향 회로 보드가 방열 필름과 제1 진동자의 보빈 사이에 배치되거나 방열 필름의 수용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진동자가 제1 진동자의 보빈에 의해 둘러싸이더라도, 음향 회로 보드가 제2 진동자와 소스 회로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전파 차단 부재와 음향 발생 장치의 배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5의 Ⅰ-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진동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1 진동자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2는 제2 진동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1 진동자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4b 및 도 14c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진동자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15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Ⅳ-Ⅳ’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Ⅴ-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의 Ⅶ-Ⅶ’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진동자를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Ⅶ-Ⅶ’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가 발광 소자로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발광 소자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또는 무기 반도체(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세트 커버(100), 세트 지지대(103), 표시 패널(110), 소스 구동 회로(121)들, 연성 필름(122)들, 방열 필름(130), 소스 회로 보드(140)들, 케이블(150)들, 제어 회로 보드(160), 타이밍 제어 회로(170), 및 하부 커버(18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제2 기판(112)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방열 필름(13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11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 “우”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세트 커버(100)는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트 커버(100)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트 커버(100)는 도 2와 같이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는 표시 패널(110)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덮고, 하부 세트 커버(102)는 표시 패널(110)의 하면과 측면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101)와 하부 세트 커버(10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플라스틱과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세트 지지대(103)는 하부 세트 커버(102)의 하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가 세워지도록 표시 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세트 지지대(103)는 저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우퍼용 스피커(103a)를 포함할 수 있다. 우퍼용 스피커(103a)로 인해 표시 장치(10)는 중고음 대역의 음향뿐만 아니라 저음 대역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높은 품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도 2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시 패널(110)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은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112)은 유리, 플라스틱,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은 복수의 무기막들이 적층된 필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9와 같이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광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및 박막 봉지층(TFEL)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제2 기판(112)은 광 파장 변환층(QDL)과 컬러필터층(CFL)이 형성되는 컬러필터 기판이며, 제1 기판(111)의 박막 봉지층(TFEL)과 제2 기판(112)의 광 파장 변환층(QDL) 사이에는 충진재(FL)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광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 측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부착되며, 타 측은 소스 회로 보드(1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11)의 크기가 제2 기판(11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기판(111)의 일 측은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기판(111)의 일 측에는 연성 필름(122)들이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제1 기판(111)의 일면과 소스 회로 보드(1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 필름(122)들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하부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스 회로 보드(140)들, 케이블(150)들, 및 제어 회로 보드(160)는 방열 필름(13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8 개의 연성 필름(122)들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연성 필름(122)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면 상에는 소스 구동 회로(121)가 배치될 수 있다. 소스 구동 회로(121)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 구동 회로(121)들 각각은 타이밍 제어 회로(170)의 소스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연성 필름(122)을 통해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케이블(150)들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1A 커넥터(15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은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150)들은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케이블(150)들을 통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 보드(160)는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1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4 개의 케이블(150)들이 소스 회로 보드(140)들과 제어 회로 보드(160)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케이블(15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2 개의 소스 회로 보드(140)들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소스 회로 보드(14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성 필름(122)들의 개수가 적은 경우, 소스 회로 보드(140)들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필름(122)들은 제어 회로 보드(16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타이밍 제어 회로(170)가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시스템 회로 보드의 시스템 온 칩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으며, 타이밍 신호들에 따라 소스 구동 회로(121)들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은 다른 연성 케이블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되는 시스템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은 스마트 TV의 프로세서(processor),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그래픽 카드, 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시스템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전원 공급 회로가 추가로 접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시스템 회로 보드로부터 인가되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들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회로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및 초기화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회로는 소스 구동 회로(121)들, 타이밍 제어 회로(170)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원 공급 회로는 제어 회로 보드(160) 외에 별도로 형성되는 전원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지 않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즉 제1 기판(111)의 하면 상에는 방열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과 마주보지 않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방열 필름(130)의 하면 상에는 음향 발생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은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방열 필름(130)은 열 전도율이 높은 그라파이트(graphite), 은(Ag),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필름(130)은 제3 방향(Z축 방향)이 아닌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그라파이트층 또는 복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폭 방향(또는 가로 방향), 제2 방향(Y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높이 방향(또는 세로 방향), 제3 방향(Z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방열 필름(130)으로 인해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열이 표시 패널(1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열이 표시 패널(1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열 필름(130)의 두께(D1)는 제1 기판(111)의 두께(D2) 및 제2 기판(112)의 두께(D3)보다 두꺼울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의 크기는 제1 기판(11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기판(111)의 일면의 가장자리가 방열 필름(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200)는 표시 패널(110)을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 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 장치(200)는 도 10,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로 구현되는 제1 진동자(210), 도 12, 도 13, 및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를 갖는 제2 진동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중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중음용 음향 발생 장치로 역할을 하며, 제2 진동자(220)는 제1 진동자(210)의 음역보다 높은 고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고음용 음향 발생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진동자(210)에 의해 제공하기 어려운 고음 대역의 음향을 제2 진동자(220)에 의해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진동자(220)에 의해 제공하기 어려운 중음 대역의 음향을 제1 진동자(210)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10)는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 장치(200)를 통해 중고음 대역의 음향을 제공하고, 우퍼용 스피커(103a)를 통해 저음 대역의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높은 품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시 장치(10)가 1 개의 음향 발생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음향 발생 장치(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향 발생 장치(200)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표시 장치(10)는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는 하부 커버(18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80)는 제1 접착 부재(115)를 통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의 일면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5)는 폼(foam)과 같은 완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하부 커버(180)는 금속 또는 강화 유리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며, 이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200)로 인하여, 종래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일 측에 배치되던 별도의 스피커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가 복수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표시 장치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하나의 소스 구동 회로(121)를 포함하는 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필름(122)들과 소스 회로 보드(140)들, 및 케이블(150)들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소스 구동 회로(121)와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통합되어 하나의 연성 회로 보드 상에 접착되거나,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중대형 표시 장치의 예로는 모니터, TV 등이 있으며, 소형 표시 장치의 예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있다.
도 3은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Ⅰ-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제1 접착 부재(115), 방열 필름(130), 전파 차단 부재(190),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들(210, 220, 230, 240)만을 도시하였다. 즉, 도 5에서는 소스 구동 회로(121)들, 연성 필름(122)들, 소스 회로 보드(140)들, 케이블(150)들, 제어 회로 보드(160), 타이밍 제어 회로(170), 및 하부 커버(180)는 생략하였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연성 필름(122)들은 방열 필름(130)의 하부로 벤딩되며, 이로 인해 소스 회로 보드(14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140)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비해, 제어 회로 보드(160)는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즉, 소스 회로 보드(14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소스 회로 보드(140)의 제1A 커넥터(151a)에 연결된 케이블(150)은 하부 커버(180)를 관통하는 제1 케이블 홀(CH1)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의 제2 커넥터(152)에 연결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 케이블 홀(CH1)은 제어 회로 보드(160)와 소스 회로 보드(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마그넷(magnet, 211), 보빈(212), 제1 보이스 코일(213), 및 하부 플레이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2)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양면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213)은 보빈(212)의 외주면에 권취(또는 권선)될 수 있다.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므로, 보빈(212)의 내측에는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가 배치되며, 보빈(212)의 외측에는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의 하면에는 하부 플레이트(2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플레이트(215)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216)를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마그넷(211)은 제어 회로 보드(160)에 형성된 홀과 하부 커버(180)에 형성된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고정되므로, 제어 회로 보드(160)의 홀은 하부 커버(180)의 홀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고정되고, 제1 마그넷(211)은 제어 회로 보드(160)에 고정된다. 또한, 제어 회로 보드(160)에는 하부 플레이트(215)보다 작으나, 제1 마그넷(210)보다 큰 크기의 홀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에 따라 보이스 코일(213)이 권취된 보빈(212)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제2 진동자(22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양면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음향 회로 보드(250)에 의해 소스 회로 보드(140)의 제1B 커넥터(151b)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의 일 측에는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의 타 측에는 소스 회로 보드(140)의 제1B 커넥터(151b)에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자(220)는 음향 회로 보드(250)에 의해 소스 회로 보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가요성 케이블(flexible cable)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즉,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동시에 동일한 진동면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는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고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키고, 제2 진동자(220)는 중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발생 장치(200)는 중음 대역과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진동자(220)는 보빈(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빈(2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회로 보드(250)가 제2 진동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도 6과 같이 방열 필름(130)과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음향 회로 보드(250) 상에는 보빈(212)이 배치되며, 보빈(212)은 음향 회로 보드(250)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또는, 음향 회로 보드(250)는 도 8과 같이 방열 필름(130)에 형성된 수용 홈(AG)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의 수용 홈(AG)은 방열 필름(130)의 일면의 일부가 파인 홈일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의 수용 홈(AG)의 높이는 음향 회로 보드(25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의 수용 홈(AG)은 도 4와 같이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과 방열 필름(130)의 일면 사이의 접착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 회로 보드(250)가 보빈(212)에 의해 눌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진동자(210)와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는 타이밍 제어 회로(170)뿐만 아니라, 음향 구동 회로(171)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시스템 회로 보드로부터 디지털 신호인 음향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제어 회로 보드(160) 또는 시스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디지털 신호인 음향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구동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은 정극성 구동 전압과 부극성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진동자(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진동자(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음향 구동 회로(171)로부터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진동자(200)는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음향 구동 회로(171)와 제1 진동자(210)의 하부 플레이트(215)가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음향 구동 회로(171)와 제1 진동자(210)의 제1 보이스 코일(213)은 제어 회로 보드(160)의 금속 라인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음향 구동 회로(171)로부터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도 3과 같이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배치되고, 제2 진동자(22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2 음향 신호는 케이블(150), 소스 회로 보드(140), 및 음향 회로 보드(250)를 통해 제2 진동자(220)로 전송될 수 있다.
방열 필름(130)의 크기는 도 5와 같이 제1 기판(11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기판(111)의 일면의 네 측 가장자리는 방열 필름(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5)는 방열 필름(13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기판(111)의 일면의 네 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5)는 도 5와 같이 제1 기판(111)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을 접착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5)는 폼(foam)과 같은 완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전파 차단 부재(190)는 방열 필름(130)의 네 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전파 차단 부재(19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방열 필름(130)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전파 차단 부재(190)는 음향 회로 보드(25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회로 보드(250)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을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차단 부재(190)는 연성 필름(12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연성 필름(122)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을 접착할 수 있다. 전파 차단 부재(190)가 도 6과 같이 완충층(192)을 포함하므로, 음향 회로 보드(250)의 두께와 연성 필름(122)의 두께에 따라 전파 차단 부재(190)의 두께는 도 6과 같이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회로 보드(250)의 두께가 연성 필름(122)의 두께보다 얇으므로, 음향 회로 보드(250) 상에 배치된 전파 차단 부재(190)의 두께는 연성 필름(122) 상에 배치된 전파 차단 부재(19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방열 필름(130)의 일면과 하부 커버(180)의 타면에 접착된 전파 차단 부재(190)의 두께는 음향 회로 보드(250) 상에 배치된 전파 차단 부재(19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파 차단 부재(190)는 도 6과 같이 베이스 필름(191), 완충층(192), 희생층(193), 제1 접착층(194), 및 제2 접착층(19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91)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19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층(192)은 베이스 필름(19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층(192)은 탄성을 갖는 폼(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층(192)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 또는 에어로겔(aerogel)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희생층(193)은 완충층(19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희생층(193)은 전파 차단 부재(190)가 잘못 부착되어 전파 차단 부재(190)를 탈착하여야 하는 경우, 분리되는 층으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하부 커버(180)의 타면 상에는 제1 접착층(194)과 희생층(193)의 일부가 남아 있을 수 있다. 희생층(193)은 저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희생층(193)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희생층(193)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94)은 희생층(193)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94)은 하부 커버(180)의 타면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95)은 제2 베이스 필름(201)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95)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94)과 제2 접착층(195)은 아크릴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열 필름(130)의 일면은 도 5와 같이 전파 차단 부재(200)에 의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음향 발생 장치(20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음향 발생 장치(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전파 차단 부재(2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소스 회로 보드(140)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소스 회로 보드(14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전파 차단 부재(2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으로 인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 소스 구동 회로(121)들, 연성 필름(122)들이 제1 내지 제4 영역들(A1~A4)의 음향 발생 장치(200)의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200)는 중음 대역과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회로 보드(250)가 방열 필름(130)과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 사이에 배치되거나 방열 필름(130)의 수용 홈(AG)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진동자(220)가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에 의해 둘러싸이더라도, 음향 회로 보드(250)가 제2 진동자(220)와 소스 회로 보드(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회로 보드(250)를 통해 제2 진동자(220)와 소스 회로 보드(140)를 연결하며, 소스 회로 보드(140)에 연결된 케이블(150)이 하부 커버(180)를 관통하는 제1 케이블 홀(CH1)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와 연결되므로, 제2 진동자(220)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어 회로 보드(160)가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배치되더라도,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2 진동자(220)는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전파 차단 부재(200)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음향 발생 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표시 패널(110)의 진동이 소스 회로 보드(140)들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제2 기판(112),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충진재(FL), 파장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는 버퍼막(30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11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335)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302)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게이트 절연막(336), 층간 절연막(337), 보호막(338), 및 평탄화막(339)을 포함한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5)는 액티브층(331), 게이트전극(332), 소스전극(333) 및 드레인전극(334)을 포함한다. 도 9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액티브층(33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33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331) 사이에는 액티브층(33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33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3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 상에는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337)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 상에는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과 드레인전극(33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336)과 층간 절연막(337)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33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3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339)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339)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는 발광 소자층(EML)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들, 및 캐소드 전극(343)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보호막(338)과 평탄화막(33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35)의 소스전극(333)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339) 상에서 애노드 전극(34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344)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 및 캐소드 전극(3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애노드 전극(341)으로부터의 정공과 캐소드 전극(34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34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애노드 전극(341)과 화소 정의막(344) 상에는 발광층(342)들이 형성된다. 발광층(342)은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342)은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450㎚ 내지 490㎚일 수 있으며, 자외선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450㎚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342)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 파장 변환층(QDL), 및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각각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34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34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은 발광층(34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343)은 발광층(34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제2 기판(112)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또한, 캐소드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상에는 봉지막(345)이 형성된다. 봉지막(345)은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막(345)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막(345)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막(345)을 뚫고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마주보는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컬러필터층(CFL)이 배치된다. 컬러필터층(CFL)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컬러필터들(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360)가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지 않고, 화소 정의막(344)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단할 수 있는 블랙 염료를 포함하거나 불투명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371)들은 제1 서브 화소(PX1)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2 컬러필터(372)들은 제2 서브 화소(PX2)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며, 제3 컬러필터(373)들은 제3 서브 화소(PX3)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는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색의 광 투과 필터이고, 제2 컬러필터(372)는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색의 광 투과 필터이며, 제3 컬러필터(373)는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3 색의 광 투과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은 적색, 제2 색은 녹색,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한 적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620㎚ 내지 750㎚이고,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한 녹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500㎚ 내지 570㎚이며,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한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450㎚ 내지 490㎚일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컬러필터들의 가장자리들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중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광이 인접한 서브 화소의 컬러필터로 진행하여 발생하는 혼색이 블랙 매트릭스(36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 상에는 컬러필터들(370)과 블랙 매트릭스(360)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해 오버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은 생략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 상에는 파장 변환층(QDL)이 배치된다. 파장 변환층(QDL)은 제1 캡핑층(351),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제2 캡핑층(355), 층간 유기막(356), 및 제3 캡핑층(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컬러필터층(C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컬러필터층(CFL)을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캡핑층(351)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 상에는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베이스 수지, 제1 파장 시프터(shifter), 및 제1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는 광 투과율이 높고, 제1 파장 시프터와 제1 산란체에 대한 분산 특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 광의 파장 범위를 변환 또는 시프트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quantum dot),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일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인 경우,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로서 그의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 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된 광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시프터는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코어를 이루는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쉘은 상기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여 반도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 역할 및/또는 양자점에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전층(charging lay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쉘은 단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며, 쉘의 예로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베이스 수지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규소(S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또는, 제1 산란체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와 같은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을 랜덤한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경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한 색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컬러필터(371)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서브 화소(PX1)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층(352)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필터(371)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된 제1 색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시프터, 및 제2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의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쉬프터, 및 제2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파장 쉬프터와 제2 파장 시프터가 양자점인 경우, 제2 파장 쉬프터의 직경은 제1 쉬프터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컬러필터(372)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서브 화소(PX2)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 변환층(353)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2 컬러필터(372)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된 제2 색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3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의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컬러필터(373)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서브 화소(PX3)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3 파장 변환층(354)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으며, 제3 파장 변환층(353)을 투과한 광은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및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캡핑층(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캡핑층(355)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제2 캡핑층(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층일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층간 유기막(35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FL)는 제1 기판(111)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L)과 제2 기판(112) 상에 배치된 제3 캡핑층(3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FL)는 완충 기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7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접착하는 밀봉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충진재(FL)는 밀봉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밀봉재는 유리 프릿(glass frit) 또는 실런트(sealant)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이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제1 서브 화소(PX1)의 광을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통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1 컬러필터(CF1)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서브 화소(PX2)의 광을 제2 파장 변환층(353)을 통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2 컬러필터(CF2)를 통해 출력하며, 제3 서브 화소(PX3)의 광을 제3 파장 변환층(354)과 제3 컬러필터(CF3)를 통해 출력하므로, 백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이 제2 기판(112), 즉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발광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방열 필름(130)은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진동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1 진동자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는 도 6의 A 영역의 확대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진동자(210)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회로 보드(160)에서 제1 진동자(21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제1 마그넷(magnet, 211), 보빈(212), 제1 보이스 코일(213), 댐퍼(214), 및 하부 플레이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은 영구 자석으로,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의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은 플레이트(211a), 플레이트(211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중앙 돌출부(211b), 및 플레이트(211a)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측벽부(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211)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원기둥의 어느 한 밑면에는 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는 N극의 자성을 갖고, 플레이트(211a)와 측벽부(211c)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와 플레이트(211b) 사이와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외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의 내부에는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212)은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212)의 외부에는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는 보빈(2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 사이와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의 일 단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방열 필름(13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213)은 보빈(212)의 외주면에 권취(또는 권선)된다. 보빈(212)의 일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213)의 일 단은 제1A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보빈(212)의 타 단에 인접한 제1 보이스 코일(213)의 타 단은 제1B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A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1B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1A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1B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제1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제1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의 N극과 S극은 변경되며, 이로 인해 제1 마그넷(211)과 제1 보이스 코일(213)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보이스 코일(213)이 권취된 보빈(212)은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과 방열 필름(130)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측 일부와 제1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 사이에 배치된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12)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14)가 보빈(212)과 제1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에 연결되기 때문에 보빈(212)의 상하 운동은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12)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12)은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1 마그넷(2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1 마그넷(2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마그넷(211)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가 제1 마그넷(211)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마그넷(211)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215)에 접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5)는 스크루(screw)와 같은 고정 부재(216)를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진동자(200)의 제1 마그넷(211)은 제어 회로 보드(16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진동자(200)의 제1 마그넷(211)과 하부 플레이트(215)가 제어 회로 보드(160)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진동자(200)의 제1 마그넷(211)과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어 회로 보드(160) 대신에 시스템 회로 보드, 전원 회로 보드, 또는 더미 회로 보드에 고정될 수 있다. 더미 회로 보드는 제1 진동자(200)가 고정되는 이외에 다른 회로가 배치되지 않는 회로 보드를 가리킨다. 더미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회로보드 또는 인쇄회로보드일 수 있다. 또는, 제1 진동자(200)의 제1 마그넷(211)과 하부 플레이트(215)는 제어 회로 보드(160)가 아닌 하부 커버(18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제2 진동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1 진동자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4b 및 도 14c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진동자의 진동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진동자(22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진동자(220)는 진동층(511),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12)은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1 가지 전극(51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도 12와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2 줄기 전극(5131)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다른 일 측면에 배치되거나 도 12와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2와 같이 제2 줄기 전극(5131)이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제1 줄기 전극(5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2 줄기 전극(5131)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평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음향 회로 보드(250) 또는 제2 음향 회로 보드(260)의 금속 라인들 또는 패드 전극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 또는 제2 음향 회로 보드(260)의 금속 라인들 또는 패드 전극들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24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에 인가된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변형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진동층(511)의 제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녹는점이 높은 은(Ag) 또는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의 녹는점을 높이기 위해,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이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은(Ag)의 함량이 팔라듐(Pd)의 함량보다 높을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서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상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지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진다. 또한, 도 13에서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하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지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진다.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이용하여 진동층(511)에 전계를 가하는 폴링(poling) 공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14a와 같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1 힘(F1)은 수축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2 힘(F2)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신장력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A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수축력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2 힘(F2)은 수축력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512)에 인가되는 제2A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B 구동 전압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진동자(220)는 진동하게 된다.
제2 진동자(220)가 방열 필름(130)의 일면에 배치되므로, 제2 진동자(220)의 진동층(511)이 수축과 팽창하는 경우, 표시 패널(110)은 도 14b 및 도 14c와 같이 응력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진동자(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이 진동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Ⅳ-Ⅳ’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는 연성 필름(122)들이 하부 커버(180)의 하부로 벤딩되며, 소스 회로 보드(140)가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연성 필름(122)들은 하부 커버(180)의 하부로 벤딩되며, 이로 인해 소스 회로 보드(140)는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스 회로 보드(140)와 제어 회로 보드(160)를 연결하는 케이블(150)들은 하부 커버(180)를 관통하는 제1 케이블 홀(CH1)을 통과할 필요 없이 바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진동자(220)에 연결된 음향 회로 보드(250)는 하부 커버(180)를 관통하는 제2 케이블 홀(CH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의 제2B 커넥터(152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자(220)는 음향 회로 보드(250)에 의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2 음향 신호는 음향 회로 보드(250 )를 통해 제2 진동자(2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CH2)은 음향 구동 회로(171)와 인접한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블 홀(CH2)은 제어 회로 보드(160)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진동자(220)에 연결된 음향 회로 보드(250)가 하부 커버(180)를 관통하는 제2 케이블 홀(CH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와 연결되므로, 제2 진동자(220)가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어 회로 보드(160)가 하부 커버(180)의 일면 상에 배치되더라도,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2 진동자(220)는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Ⅴ-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이 제2 진동자(220) 상에 배치되는 것에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Ⅵ-Ⅵ’의 단면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진동자(22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양면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은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양면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는 도 20과 같이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1)과 중첩하지 않게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1)은 음향 회로 보드(25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음향 회로 보드(25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마그넷(211)의 측벽부와 중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의 동일한 위치에서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가 동시에 동일한 진동면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는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자(210)는 고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키고, 제2 진동자(220)는 중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발생 장치(200)는 중음 대역과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의 Ⅶ-Ⅶ’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는 음향 발생 장치(200)가 제3 진동자(230)를 더 포함하는 것에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21 내지 도 23에서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Ⅷ-Ⅷ’의 단면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를 포함한다. 제1 진동자(210)는 도 10,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도 12, 도 13, 및 도 14a 내지 도 14c와 같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진동자(230)는 제2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 또는 편심 모터(eccentric rotating mass, ERM)일 수 있다.
제3 진동자(230)가 도 24에 도시된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RA)인 경우, 하부 섀시(610), 연성 회로 보드(620), 제2 보이스 코일(630), 제2 마그넷(640), 스프링(650), 및 상부 섀시(6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섀시(610)와 상부 섀시(6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회로 보드(620)는 상부 섀시(660)와 마주보는 하부 섀시(6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음향 배선(WL1) 및 제2 음향 배선(WL2)에 접속된다. 제2 보이스 코일(630)은 상부 섀시(660)와 마주보는 연성 회로 보드(62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보이스 코일(630)의 일 단은 제1 음향 배선(W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은 제2 음향 배선(W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40)은 영구 자석으로, 제2 보이스 코일(630)과 마주보는 일면에는 제2 보이스 코일(630)이 수납되는 보이스 코일 홈(6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그넷(640)과 상부 섀시(660) 사이에는 스프링(650)이 배치된다.
제1 음향 배선(WL1)에 인가되는 제3A 구동 전압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인가되는 제3B 구동 전압에 따라 제3 진동자(230)의 제2 보이스 코일(6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보이스 코일(63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제2 보이스 코일(630)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A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3B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3A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3B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제2 보이스 코일(6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제2 마그넷(640)과 제2 보이스 코일(630)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 마그넷(640)은 스프링(650)에 의해 제2 보이스 코일(630)과 상부 섀시(660)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 섀시(660) 상에 배치된 진동면, 즉 표시 패널(110)이 진동함으로써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상부 섀시(660)는 표시 패널(110)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중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중음용 음향 발생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제1 진동자(210)의 음역보다 높은 고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고음용 음향 발생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진동자(230)는 저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저음용 음향 발생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진동자(210)와 제3 진동자(230)에 의해 제공하기 어려운 고음 대역의 음향을 제2 진동자(220)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에 의해 제공하기 어려운 중음 대역의 음향을 제1 진동자(210)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에 의해 제공하기 어려운 저음 대역의 음향을 제3 진동자(230)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즉,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동시에 동일한 진동면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는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고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키고, 제2 진동자(220)는 중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키며, 제3 진동자(230)는 저음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표시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저음 대역, 중음 대역, 및 고음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높은 품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으며, 세트 지지대(103)의 우퍼용 스피커(103a)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는 보빈(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빈(2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진동자(220)는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는 제2 진동자(220)뿐만 아니라 제3 진동자(23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회로 보드(250)는 제2 진동자(220)의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연결되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회로 보드(250)는 제3 진동자(230)의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연결되는 제3 패드와 제4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는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2 음향 신호의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3 패드와 제4 패드에는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3 음향 신호의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와 제3 진동자(230)는 제2 진동자(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제3 진동자(230)가 제2 진동자(220) 상에 배치된 음향 회로 보드(250)를 덮는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제3 진동자(230)는 음향 회로 보드(250)가 배치되지 않은 제2 진동자(220)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진동자(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진동자(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신호를 생성하며, 제3 진동자(230)를 구동하기 위한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3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진동자(210)는 음향 구동 회로(171)로부터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1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진동자(200)는 제1A 구동 전압과 제1B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와 제1 진동자(210)의 하부 플레이트(215)가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음향 구동 회로(171)와 제1 진동자(210)의 제1 보이스 코일(213)은 제어 회로 보드(160)의 금속 라인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음향 구동 회로(171)로부터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진동자(220)는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진동자(230)는 음향 구동 회로(171)로부터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제3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3 진동자(230)는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구동 회로(171)는 도 3과 같이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배치되고, 제2 진동자(220)는 방열 필름(13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3 진동자(230)는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2 음향 신호와 제3 음향 신호는 케이블(150), 소스 회로 보드(140), 및 음향 회로 보드(250)를 통해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는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저음 대역, 중음 대역, 및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하부 커버와 제어 회로 보드를 생략한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Ⅸ-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가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고, 평면 상 나란히 배치되는 것에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서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Ⅹ- Ⅹ’의 단면도는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가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의 내 측에서 평면 상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자(220)의 일 측면과 제3 진동자(230)의 일 측면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서는 서로 인접한 제2 진동자(220)의 일 측면과 제3 진동자(230)의 일 측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서로 인접한 제2 진동자(220)의 일 측면과 제3 진동자(230)의 일 측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는 타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방향과 타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는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의 내측에 배치되어 보빈(21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 각각은 제1 진동자(210)와 중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 각각은 제1 진동자(210)의 제1 마그넷(211)과 중첩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250)는 제2 진동자(220)의 일면 상에서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연결되고, 제3 진동자(230)의 일면 상에서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동자(220)와 제3 진동자(230)가 일 방향으로 인접하게 평면 상에서 나란히 배치되므로, 음향 회로 보드(250)의 일 단은 제1 연결부(250a)와 제2 연결부(250b)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a)는 제2 진동자(220)의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연결되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50b)는 제3 진동자(230)의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연결되는 제3 패드와 제4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a)의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는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2 음향 신호의 제2A 구동 전압과 제2B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연결부(250b)의 제3 패드와 제4 패드에는 음향 구동 회로(171)의 제3 음향 신호의 제3A 구동 전압과 제3B 구동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제1 연결부(250a)와 제2 연결부(250b)가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의 외측에서 음향 회로 보드(250)로부터 분리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연결부(250a)와 제2 연결부(250b)는 제1 진동자(210)의 보빈(212)의 내측에서 음향 회로 보드(2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200)의 제1 진동자(210)와 제2 진동자(220), 및 제1 진동자(210)와 제3 진동자(230)는 각각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동시에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자(210), 제2 진동자(220), 및 제3 진동자(230)가 음역대를 분배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으므로, 음향 발생 장치(200)는 저음 대역, 중음 대역, 및 고음 대역을 모두 갖는 품질 높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세트 커버
101: 상부 세트 커버 102: 하부 세트 커버
110: 표시 패널 111: 제1 기판
112: 제2 기판 121: 소스 구동 회로
122: 연성 필름 130: 방열 필름
140: 소스 회로 보드 150: 연성 케이블
160: 제어 회로 보드 170: 타이밍 제어 회로
180: 하부 커버 190: 전파 차단 부재
200: 음향 발생 장치 210: 제1 진동자
211: 제1 마그넷 212: 보빈
213: 제1 보이스 코일 214: 댐퍼
215: 하부 플레이트 220: 제2 진동자
230: 제3 진동자 250: 음향 회로 보드
511: 진동층 512: 제1 전극
513: 제2 전극 5121: 제1 줄기 전극
5122: 제1 가지 전극 5131: 제2 줄기 전극
5132: 제2 가지 전극 610: 하부 섀시
620: 연성 회로 보드 630: 제2 보이스 코일
640: 제2 마그넷 650: 스프링
660: 상부 섀시

Claims (24)

  1.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제1 진동자; 및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자와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는 제1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5.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제1 진동자; 및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자와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는 제1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2 진동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는,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진동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층은 상기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2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제3 진동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와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보빈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 및 상기 제2 진동자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제2 진동자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의 제1 마그넷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진동자의 제1 마그넷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진동자의 일 측면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진동자의 일 측면은 서로 접하는 표시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진동자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섀시와 상부 섀시;
    상기 상부 섀시와 마주보는 상기 하부 섀시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 보드;
    상기 제2 보이스 코일이 수납되는 보이스 코일 홈을 포함하는 제2 마그넷; 및
    상기 상부 섀시와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이스 코일은 상기 상부 섀시와 마주보는 상기 연성 회로 보드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성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자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향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8. 제1 기판,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제1 진동자; 및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자와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감싸는 제1 보이스 코일; 및
    상기 보빈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제1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자는,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2 전극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진동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자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향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향 회로 보드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회로 보드는 상기 보빈과 접하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필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열 필름은 상기 음향 회로 보드가 통과하는 수용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수용 홈과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필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보드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되는 전파 차단 부재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제1 마그넷 상에 배치되며, 제1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 또는 상기 회로 보드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29808A 2019-03-15 2019-03-15 표시 장치 KR10266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08A KR102668395B1 (ko) 2019-03-15 2019-03-15 표시 장치
US16/739,104 US11039235B2 (en) 2019-03-15 2020-01-09 Display device
JP2020010352A JP7483388B2 (ja) 2019-03-15 2020-01-24 表示装置
EP20161428.6A EP3709673A1 (en) 2019-03-15 2020-03-06 Display device
CN202010169317.3A CN111698610A (zh) 2019-03-15 2020-03-12 显示设备
US17/338,722 US11582543B2 (en) 2019-03-15 2021-06-0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08A KR102668395B1 (ko) 2019-03-15 2019-03-1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562A KR20200110562A (ko) 2020-09-24
KR102668395B1 true KR102668395B1 (ko) 2024-05-23

Family

ID=6977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8A KR102668395B1 (ko) 2019-03-15 2019-03-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39235B2 (ko)
EP (1) EP3709673A1 (ko)
JP (1) JP7483388B2 (ko)
KR (1) KR102668395B1 (ko)
CN (1) CN1116986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405B1 (ko) 2019-03-15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07060A (ko)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117315A (zh) * 2020-09-23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屏设备
KR20220080939A (ko) 2020-12-08 2022-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3041A1 (en) * 2013-06-05 2014-12-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way coaxial loudspeaker with internal magnet motor and permanent magnet cylind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1331A1 (en) 2001-07-31 2003-02-13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acoustic panel
CN1813488A (zh) 2003-07-02 2006-08-02 西铁城电子股份有限公司 板式扬声器
JP4507252B2 (ja) * 2004-12-27 2010-07-2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パネル型スピーカ
JP4355860B2 (ja) 2005-09-27 2009-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2007300578A (ja) 2006-05-08 2007-11-15 Goto Denshi Kk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340704B1 (ko) 2007-01-02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를 위한 스피커 시스템
WO2008084546A1 (ja) 2007-01-11 2008-07-17 Akito Hanada 電気音響変換器
JP2010526478A (ja) 2007-05-03 2010-07-29 アギ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集積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出力デバイス
US20130257744A1 (en) * 2012-03-29 2013-10-03 Intermec Technologies Corporation Piezoelectric tactile interface
US20170289661A1 (en) * 2013-03-14 2017-10-05 SoundWall, Inc. Intelligent flat speaker panel system
JP2014187528A (ja) 2013-03-22 2014-10-02 Nippon Hoso Kyokai <Nhk> 表示装置の画素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KR102025786B1 (ko) * 2013-07-0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044361A1 (en) 2014-09-19 2016-03-24 Corning Incorporated Thin panel loudspeakers
KR102404723B1 (ko) * 2015-10-30 2022-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A3005457A1 (en) 2015-11-25 2017-06-01 The University Of Rochester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scene generation by effecting spatial and temporal control of the vibrations of a panel
KR102546842B1 (ko) * 2016-05-31 2023-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865347B1 (ko) * 2016-06-10 2018-06-07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음향 출력 장치
US10368452B2 (en) 2016-12-30 2019-07-30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830761B1 (ko) 2017-01-18 2018-02-22 주식회사 알머스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
KR102369212B1 (ko)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8042B1 (ko) 2017-07-28 2021-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12266B1 (ko) * 2017-08-03 2021-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0554B1 (ko)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56794B1 (ko) * 2017-09-27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55501B1 (ko) * 2017-12-20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9065B1 (ko) 2018-08-24 2019-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웃 폴더블 표시 장치용 케이스 조립체 및 아웃 폴더블 표시 장치
CN109326709B (zh) * 2018-10-10 2022-05-1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感测膜及其制备方法、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3041A1 (en) * 2013-06-05 2014-12-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way coaxial loudspeaker with internal magnet motor and permanent magnet c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3388B2 (ja) 2024-05-15
JP2020150534A (ja) 2020-09-17
EP3709673A1 (en) 2020-09-16
KR20200110562A (ko) 2020-09-24
CN111698610A (zh) 2020-09-22
US11039235B2 (en) 2021-06-15
US20200296496A1 (en) 2020-09-17
US11582543B2 (en) 2023-02-14
US20210297761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8665B1 (ko) 표시 장치
KR102668395B1 (ko) 표시 장치
KR102668284B1 (ko) 표시 장치
KR102652124B1 (ko) 표시 장치
US1195439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ound generator and vibration damping member
KR102668290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US11323652B2 (en) Display device
KR20200140973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KR102675484B1 (ko)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US11599327B2 (en) Display device
KR20200040641A (ko)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