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484B1 -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484B1
KR102675484B1 KR1020190002972A KR20190002972A KR102675484B1 KR 102675484 B1 KR102675484 B1 KR 102675484B1 KR 1020190002972 A KR1020190002972 A KR 1020190002972A KR 20190002972 A KR20190002972 A KR 20190002972A KR 102675484 B1 KR102675484 B1 KR 10267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peripheral device
dat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641A (ko
Inventor
안이준
노정훈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5Generation or adaptation of centre channel in multi-channel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주변 기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MULTI CHANNEL SOUND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을 보다 높은 음질로 시청하기 위해 5.1 채널 또는 7.1 채널과 같은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5.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은 프론트(front) 중앙 스피커, 프론트 좌측 스피커, 프론트 우측 스피커, 리어(rear) 좌측 스피커, 리어 우측 스피커, 및 서브 우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7.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은 5.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의 스피커들에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와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5.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의 경우 6 개의 스피커들과 멀티 채널 앰프를 연결하는 6 개의 배선들이 필요하며, 7.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의 경우 8 개의 스피커들과 멀티 채널 앰프를 연결하는 8 개의 배선들이 필요하다. 즉, 5.1 채널 또는 7.1 채널의 음향 시스템은 많은 배선들이 필요하므로, 멀티 채널 앰프와 스피커들의 연결이 복잡하다.
또한, 5.1 채널의 음향 시스템에서 배선들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리어 좌측 스피커와 리어 우측 스피커를 무선 연결하고 7.1 채널의 음향 시스템에서 배선들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및 리어 우측 스피커를 무선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및 리어 우측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여전히 별도의 배선들이 필요하거나 배터리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변 기기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 프론트 우측 스피커,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리어 우측 스피커, 또는 서브 우퍼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변 기기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 프론트 우측 스피커,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리어 우측 스피커, 또는 서브 우퍼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주변 기기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A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는 음향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A 음향 신호와 상기 제1B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A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1B 음향 신호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는 음향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로부터 제2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의 반대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A 음향 신호와 상기 1B 음향 신호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3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4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향,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향, 및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C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의 반대 측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A 음향 신호, 상기 제1B 음향 신호, 및 상기 제1C 음향 신호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3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4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C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5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4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6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5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4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7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6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8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7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4 주변 기기는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 주변 기기는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표시 장치와 제1 주변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와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주변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 단일 채널 모드와 멀티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단일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멀티 채널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주변 기기의 역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멀티 채널 모드에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 프론트 좌측 스피커, 프론트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리어 우측 스피커,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또는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 프론트 좌측 스피커, 프론트 우측 스피커, 리어 좌측 스피커, 리어 우측 스피커,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 또는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연성 필름들이 구부러지지 않은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연성 필름들이 구부러진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Ⅰ-Ⅰ’의 일 예로,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9는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가지 전극과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방법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진동에 의한 표시 패널의 진동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14는 도 1a의 서브 우퍼로부터 출력된 저음의 지향성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6a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6a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9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0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1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1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2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은 표시 장치(10)와 제1 주변 기기로서 서브 우퍼(Subwoofer)(SW)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Front Left Speaker)(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ont Right Speaker)(F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1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 및 서브 우퍼(SW)로부터 출력된 저음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하는 반면에, 서브 우퍼(SW)는 저주파수 영역의 음향, 즉 저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주파수 영역은 대략 100Hz 이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1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화소(PX)들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124), 타이밍 제어 회로(170),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좌측 음향을 발생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우측 음향을 발생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P)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 패널(110)은 데이터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에 접속된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들 각각은 도 4와 같이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데이터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스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유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복수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 각각은 타이밍 제어 회로(17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소스 제어 신호(DCS)를 입력 받는다. 복수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 각각은 소스 제어 신호(DCS)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DV)로 변환하여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24)는 타이밍 제어 회로(170)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입력 받는다. 스캔 구동부(124)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의 스캔 라인들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24)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부(124)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의 하부 기판(111)에 부착되는 게이트 연성 필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TS)을 입력 받는다. 타이밍 신호들(TS)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 sig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및 도트 클럭(dot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과 스캔 구동부(12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구동부(120)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 신호(DCS)와 스캔 구동부(12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SC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부터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를 입력 받는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표시 패널(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부터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입력 받는다.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표시 패널(1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iter)거나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FL)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11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세서(1100)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표시 패널(110)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화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TS)을 타이밍 제어 회로(17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100)는 외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단일 채널 모드와 멀티 채널 모드에 따라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부(1300)에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단일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생성하여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단일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단일 채널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1300)에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일 채널 모드는 표시 장치(10)의 스피커(들)가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드를 가리키며,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음향의 입체감을 느끼기 어렵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와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멀티 채널 모드는 표시 장치(10)의 스피커(들)와 표시 장치(10)와 연결된 스피커(들)가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출력하는 모드를 가리키며,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음향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생성할 수 있다. 단일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는 상이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디지털 신호인 음향 데이터(SDATA)를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하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향 데이터(SDATA)를 아날로그 신호인 복수의 음향 신호들(FLS, FRS)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입력 받는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기 위해 서브 우퍼(SW)가 필요하므로, 무선 통신부(13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브 우퍼(SW)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1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서브 우퍼(SW)로 사용되는 제1 주변 기기는 저음을 출력하므로, 도 14와 같이 360° 전방위로 고르게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4에서 0°,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및 330°는 방위각을 가리키며, 저음의 주파수가 40Hz, 63Hz, 80Hz, 및 100Hz인 경우 방위각에 따른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dB)이 나타나 있다. 즉, 서브 우퍼(SW)의 저음은 무지향성으로 360° 전방위로 고르게 음향이 출력되므로, 서브 우퍼(SW)는 배치 위치에 상관 없이 시청자(VER)에게 저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고음으로 서브 우퍼(SW)의 저음에 비해 지향성을 가진다.
제1 주변 기기는 블루투스 스피커(Bluetooth Speaker)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일 수 있다. 제1 주변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2 음향 데이터(SDATA2)에 따라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우퍼(SW)는 제1 통신부(SWC)와 제1 스피커(SWO)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제2 음향 데이터(SDATA2)로부터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를 생성하여 제1 스피커(SWO)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WO)는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에 따라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1 주변 기기를 서브 우퍼(SW)로 활용하여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로 활용함으로써,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a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0), 소스 구동 회로(121)들, 연성 필름(122)들, 소스 회로 보드(140)들, 연성 케이블(150)들, 제어 회로 보드(160), 및 타이밍 제어 회로(17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을 기준으로 제2 기판(112)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110)의 제2 기판(112)을 기준으로 제1 기판(111)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11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 “우”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표시 패널(110)은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도 2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시 패널(110)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은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은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기판(112)은 유리, 플라스틱,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은 복수의 무기막들이 적층된 필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 배치된 표시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113)은 도 4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봉지층(345), 충진재(FIL), 광 파장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및 봉지층(345)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제2 기판(112)은 광 파장 변환층(QDL)과 컬러필터층(CFL)이 형성되는 컬러필터 기판이며, 제1 기판(111)의 봉지층(345)과 제2 기판(112)의 광 파장 변환층(QDL) 사이에는 충진재(FIL)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표시층(1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제1 기판(111)의 크기가 제2 기판(11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기판(111)의 일 측은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제2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기판(111)의 일 측에는 연성 필름(122)들이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제1 기판(111)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스 구동 회로(121)들은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은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성 필름(122)들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제1 기판(111)의 하면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과 같이 소스 회로 보드(140)들, 연성 케이블(150)들, 및 제어 회로 보드(160)는 제1 기판(11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8 개의 연성 필름(122)들이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 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연성 필름(122)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면 상에는 소스 구동 회로(121)가 접착될 수 있다. 소스 구동 회로(121)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 구동 회로(121)들 각각은 타이밍 제어 회로(170)의 소스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연성 필름(122)을 통해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연성 필름(122)들 각각의 일 측은 표시 패널(110)의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부착되며, 타 측은 소스 회로 보드(1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연성 케이블(150)들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 각각은 연성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1 커넥터(1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회로 보드(140)들은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연성 케이블(150)들을 통해 소스 회로 보드(140)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 보드(160)는 연성 케이블(150)들에 연결되기 위한 제2 커넥터(1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4 개의 연성 케이블(150)들이 소스 회로 보드(140)들과 제어 회로 보드(160)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연성 케이블(15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2 개의 소스 회로 보드(140)들을 예시하였으나, 소스 회로 보드(140)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타이밍 제어 회로(170)가 접착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시스템 온 칩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으며, 타이밍 신호들에 따라 소스 구동 회로(121)들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 각각은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는 다른 연성 케이블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되는 시스템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스마트 TV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그래픽 카드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160)의 일면 상에는 전원 공급 회로가 추가로 접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시스템 회로 보드로부터 인가되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들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회로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위 전압, 저전위 전압, 및 초기화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회로는 소스 구동 회로(121)들, 타이밍 제어 회로(170)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지 않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즉 제1 기판(111)의 하면 상에는 제1 방열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1)과 마주보지 않는 제1 방열 필름(130)의 일면, 즉 제1 방열 필름(130)의 하면 상에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 필름(130)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방열 필름(130)은 열 전도율이 높은 그라파이트(graphite), 은(Ag),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 필름(130)은 제3 방향(Z축 방향)이 아닌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폭 방향, 제2 방향(Y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높이 방향, 제3 방향(Z축 방향)은 표시 패널(1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열 필름(130)으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발생된 열이 표시 패널(1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발생된 열이 표시 패널(1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방열 필름(130)의 두께(D1)는 제1 기판(111)의 두께(D2) 및 제2 기판(112)의 두께(D3)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방열 필름(130)이 제1 기판(111)의 일면 전체를 덮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표시 패널(110)을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 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각각은 도 7,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iter)거나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음향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로 인하여, 종래 표시 패널의 하면 또는 일 측에 배치되던 별도의 스피커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가 복수의 소스 구동 회로(121)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표시 장치, 예를 들어 TV, 모니터, 및 노트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하나의 소스 구동 회로(121)를 포함하는 소형 표시 장치, 예를 들어 10인치 이하의 노트북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필름(122)들과 소스 회로 보드(140)들, 및 연성 케이블(150)들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소스 구동 회로(121)와 타이밍 제어 회로(170)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통합되어 하나의 연성 회로 보드 상에 접착되거나, 표시 패널(110)의 제2 기판(112)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 4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표시 패널(110)이 발광 소자로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발광 소자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또는 무기 반도체(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발광 소자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하고, 광 파장 변환층을 이용하여 단파장의 광을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으로 변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의 발광 소자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컬러필터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10)의 발광 소자는 백색 광을 발광할 수 있고,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제2 기판(112),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봉지층(345), 충진재(FIL), 파장 변환층(QDL), 및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는 버퍼막(30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11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335)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302)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게이트 절연막(336), 층간 절연막(337), 보호막(338), 및 평탄화막(339)을 포함한다.
버퍼막(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5)는 액티브층(331), 게이트전극(332), 소스전극(333) 및 드레인전극(334)을 포함한다. 도 22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302) 상에는 액티브층(33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33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331) 사이에는 액티브층(33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33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3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 상에는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337)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 상에는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과 드레인전극(33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336)과 층간 절연막(337)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33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3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339)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339)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는 발광 소자층(EML)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들, 및 캐소드 전극(343)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보호막(338)과 평탄화막(33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35)의 소스전극(333)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339) 상에서 애노드 전극(34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344)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서브 화소들(PX1, PX2, PX3) 각각은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 및 캐소드 전극(3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애노드 전극(341)으로부터의 정공과 캐소드 전극(34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34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애노드 전극(341)과 화소 정의막(344) 상에는 발광층(342)들이 형성된다. 발광층(342)은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342)은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450㎚ 내지 490㎚일 수 있으며, 자외선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450㎚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342)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blue) 광 또는 자외선(ultraviolet)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 파장 변환층(QDL), 및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각각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34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34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은 발광층(34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343)은 발광층(34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제2 기판(112)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또한, 캐소드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상에는 봉지층(345)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345)은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345)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층(345)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층(345)을 뚫고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345)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진재(FIL)가 봉지층(345)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마주보는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컬러필터층(CFL)이 배치된다. 컬러필터층(CFL)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컬러필터들(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2)의 일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360)가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지 않고, 화소 정의막(344)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360)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단할 수 있는 블랙 염료를 포함하거나 불투명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은 서브 화소들(PX1, PX2, PX3)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371)들은 제1 서브 화소(PX1)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2 컬러필터(372)들은 제2 서브 화소(PX2)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며, 제3 컬러필터(373)들은 제3 서브 화소(PX3)들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는 제1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색의 광 투과 필터이고, 제2 컬러필터(372)는 제2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색의 광 투과 필터이며, 제3 컬러필터(373)는 제3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3 색의 광 투과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은 적색, 제2 색은 녹색, 제3 색은 청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한 적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620㎚ 내지 750㎚이고,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한 녹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500㎚ 내지 570㎚이며,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한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대략 450㎚ 내지 490㎚일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컬러필터들의 가장자리들은 블랙 매트릭스(360)와 중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광이 인접한 서브 화소의 컬러필터로 진행하여 발생하는 혼색이 블랙 매트릭스(36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370) 상에는 컬러필터들(370)과 블랙 매트릭스(360)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해 오버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은 생략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 상에는 파장 변환층(QDL)이 배치된다. 파장 변환층(QDL)은 제1 캡핑층(351),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제2 캡핑층(355), 층간 유기막(356), 및 제3 캡핑층(3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컬러필터층(CF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컬러필터층(CFL)을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캡핑층(351)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51) 상에는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서브 화소(PX1)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베이스 수지, 제1 파장 시프터(shifter), 및 제1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는 광 투과율이 높고, 제1 파장 시프터와 제1 산란체에 대한 분산 특성이 우수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 광의 파장 범위를 변환 또는 시프트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quantum dot),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일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는 양자점인 경우,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로서 그의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 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파장 시프터는 입사된 광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시프터는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코어를 이루는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쉘은 상기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여 반도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 역할 및/또는 양자점에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전층(charging lay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쉘은 단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며, 쉘의 예로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베이스 수지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규소(S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또는, 제1 산란체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와 같은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을 랜덤한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투과하는 광의 경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한 색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장 변환층(352)은 제1 컬러필터(371)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서브 화소(PX1)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층(352)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필터(371)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1 파장 변환층(352)에 의해 변환된 제1 색의 광은 제1 컬러필터(371)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서브 화소(PX2)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시프터, 및 제2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층(353)의 제2 베이스 수지, 제2 파장 쉬프터, 및 제2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파장 쉬프터와 제2 파장 시프터가 양자점인 경우, 제2 파장 쉬프터의 직경은 제1 쉬프터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파장 변환층(353)은 제2 컬러필터(372)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서브 화소(PX2)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에 의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 변환층(353)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2 컬러필터(372)에 입사되는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제2 파장 변환층(353)에 의해 변환된 제2 색의 광은 제2 컬러필터(372)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서브 화소(PX3)의 발광층(342)에서 발광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제3 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장 변환층(354)의 제3 베이스 수지와 제3 산란체는 제1 파장 변환층(35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 파장 변환층(354)은 제3 컬러필터(373)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서브 화소(PX3)로부터 제공된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은 제3 파장 변환층(354)을 그대로 투과할 수 있으며, 제3 파장 변환층(353)을 투과한 광은 제3 컬러필터(373)를 투과하여 제2 기판(112)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제3 파장 변환층(354), 및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캡핑층(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55)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가 제1 파장 변환층(352), 제2 파장 변환층(353), 및 제3 파장 변환층(354)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캡핑층(355)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제2 캡핑층(3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파장 변환층들(352, 353, 354)로 인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층일 수 있다. 층간 유기막(356)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층간 유기막(35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5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재(FIL)는 제1 기판(111) 상에 배치된 봉지층(345)과 제2 기판(112) 상에 배치된 제3 캡핑층(3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FIL)는 완충 기능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7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접착하는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충진재(FIL)는 접착층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이 청색 광 또는 자외선 광과 같은 단파장의 광을 발광하며, 제1 서브 화소(PX1)의 광을 제1 파장 변환층(352)을 통해 제1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1 컬러필터(CF1)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서브 화소(PX2)의 광을 제2 파장 변환층(353)을 통해 제2 색의 광으로 변환한 후 제2 컬러필터(CF2)를 통해 출력하며, 제3 서브 화소(PX3)의 광을 제3 파장 변환층(354)과 제3 컬러필터(CF3)를 통해 출력하므로, 백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서브 화소들(PX1, PX2, PX3)이 제2 기판(112), 즉 상부 방향으로 광을 발광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그라파이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방열 필름은 제1 기판(1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연성 필름들이 구부러지지 않은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연성 필름들이 구부러진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저면도이므로, 도 5와 도 6에서는 도 2와 비교할 때 표시 장치(10)의 좌우가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표시 패널(110)의 좌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표시 패널(110)의 우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의 좌측 전면(前面)으로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의 우측 전면(前面)으로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입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가 원 형태를 갖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타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3 음향 배선(WL3)과 제4 음향 배선(WL4)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 필름(122)들이 도 6과 같이 제1 방열 필름(130)의 하면으로 벤딩되는 경우, 제어 회로 보드(160)는 제1 방열 필름(13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 각각은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음향 배선(WL1)과 제2 음향 배선(WL2)을 통해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를 공급 받을 수 있다.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음향 배선(WL1)을 통해 제1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제2 음향 배선(WL2)을 통해 제2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음향 배선(WL3)과 제4 음향 배선(WL4) 각각은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3 음향 배선(WL3)과 제4 음향 배선(WL4)을 통해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공급 받을 수 있다.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는 제3 구동 전압과 제4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3 음향 배선(WL3)을 통해 제3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제4 음향 배선(WL4)을 통해 제4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제3 구동 전압과 제4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Ⅰ-Ⅰ’의 일 예로,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cite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마그넷(magnet, 211), 보빈(212), 보이스 코일(213), 및 댐퍼(2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211)은 영구 자석으로, 바륨 훼라이트(barium ferrite) 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마그넷(211)의 재질은 삼산화이철(Fe2O3), 탄산바륨(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strontium ferrite), 알루미늄(Al), 니켈(Ni), 또는 코발트(Co)의 합금 주조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마그넷(211)은 플레이트(211a), 플레이트(211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중앙 돌출부(211b), 및 플레이트(211a)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측벽부(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그넷(211)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원기둥의 어느 한 밑면에는 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는 N극의 자성을 갖고, 플레이트(211a)와 측벽부(211c)는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와 플레이트(211b) 사이와 중앙 돌출부(211b)와 측벽부(211c) 사이에는 외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의 내부에는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212)은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빈(212)의 외부에는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는 보빈(2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2)과 마그넷(211)의 중앙 돌출부(211b) 사이와 보빈(212)과 마그넷(211)의 측벽부(211c)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2)의 일 단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방열 필름(13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보이스 코일(213)은 보빈(212)의 외주면에 권취(또는 권선)된다. 보빈(212)의 일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213)의 일 단은 제1 음향 배선(WL1)에 연결되고, 보빈(212)의 타 단에 인접한 보이스 코일(213)의 타 단은 제2 음향 배선(WL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배선(WL1)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음향 배선(WL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보이스 코일(213)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는 인가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인 경우와 제1 구동 전압이 부극성의 전압이고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의 전압인 경우 보이스 코일(21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그러므로,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의 교류 구동에 따라 보이스 코일(213)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의 N극과 S극은 변경되며, 이로 인해 마그넷(211)과 보이스 코일(213)은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이스 코일(213)이 권취된 보빈(212)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과 제1 방열 필름(130)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측 일부와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 사이에 배치된다. 댐퍼(214)는 보빈(212)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12)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14)가 보빈(212)과 마그넷(211)의 가장자리 돌출부(211c)에 연결되기 때문에 보빈(212)의 상하 운동은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12)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14)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12)은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진동층(511), 제1 전극(512), 제2 전극(513), 제1 패드 전극(512a), 및 제2 패드 전극(5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12)은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1 가지 전극(51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2 줄기 전극(5131)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다른 일 측면에 배치되거나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진동층(511)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제2 줄기 전극(5131)이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제1 줄기 전극(5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2 줄기 전극(5131)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평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512a)은 제1 전극(5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512a)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 배치된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513a)은 제2 전극(5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513a)은 진동층(511)의 일 측면에 배치된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패드 전극(512a)과 제2 패드 전극(513a)은 각각 진동층(511)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512a)과 제2 패드 전극(513a)은 제1 연성 회로 보드(710)의 리드 라인들 또는 패드 전극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성 회로 보드(710)의 리드 라인들 또는 패드 전극들은 제1 음향 회로 보드(53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에 인가된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변형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진동층(511)의 제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녹는점이 높은 은(Ag) 또는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의 녹는점을 높이기 위해,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이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은(Ag)의 함량이 팔라듐(Pd)의 함량보다 높을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들과 제2 가지 전극(5132)들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같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상부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지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진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하부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지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진다.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이용하여 진동층(511)에 전계를 가하는 폴링(poling) 공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1 힘(F1)은 수축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제2 힘(F2)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과 제2 가지 전극(5132)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가지 전극(512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제2 가지 전극(5132)에 정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부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신장력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 전극(5132)에 부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정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511)은 수축력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512)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진동하게 된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가 표시 패널(110)의 하면에 배치되므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의 진동층(511)이 수축과 팽창하는 경우, 표시 패널(110)은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응력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이 진동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5를 참조하면, 첫 번째로, 시청자(VER)는 리모콘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음향 모드를 단일 채널 모드와 멀티 채널 모드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한다. (도 15의 S101)
두 번째로, 시청자(VER)가 표시 장치(10)의 음향 모드를 단일 채널 모드로 선택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한다. (도 15의 S102)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의 프로세서(1100)는 단일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에 따라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생성하여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단일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단일 채널 모드는 표시 장치(10)의 스피커(들)가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드를 가리키며,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음향의 입체감을 느끼기 어렵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가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가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단일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시청자(VER)가 표시 장치(10)의 음향 모드를 멀티 채널 모드로 선택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도 15의 S103)
표시 장치(10)와 제1 주변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장치(10)는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하고, 제1 주변 기기는 제1 통신부(SWC)를 포함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멀티 채널 시스템에서 제1 주변 기기의 역할을 설정한다. (도 15의 S104)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시청자(VER)는 리모콘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설정 화면에서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된 주변 기기들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주변 기기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시청자(VER)는 제1 주변 기기의 입력 수단을 통해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설정 화면에서 멀티 채널 시스템에서 제1 주변 기기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는 2.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a 및 도 16b와 같이 3.0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0)에 두 개의 주변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주변 기기가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의 역할을 하고, 제3 주변 기기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19a 및 도 19b와 같이 3.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0)에 3 개의 주변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고, 제2 주변 기기가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의 역할을 하며, 제3 주변 기기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20a 및 도 20b와 같이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0)에 3 개의 주변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고, 제4 주변 기기가 리어 좌측 스피커(RL)의 역할을 하며, 제5 주변 기기가 리어 우측 스피커(R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21a 및 도 21b와 같이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0)에 5 개의 주변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고, 제2 주변 기기가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의 역할을 하며, 제3 주변 기기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의 역할을 하고, 제4 주변 기기가 리어 좌측 스피커(RL)의 역할을 하며, 제5 주변 기기가 리어 우측 스피커(R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22a 및 도 22b와 같이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10)에 5 개의 주변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고, 제4 주변 기기가 리어 좌측 스피커(RL)의 역할을 하며, 제5 주변 기기가 리어 우측 스피커(RR)의 역할을 하고, 제6 주변 기기가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의 역할을 하며, 제7 주변 기기가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는 이미 등록된 주변 기기의 역할을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기기는 고유의 장치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가지며,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시에 고유의 장치 식별자를 표시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의 장치 식별자와 주변 기기의 역할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으며, 제어 회로 보드(16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의 장치 식별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장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별도의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설정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주변 기기의 역할을 메모리에 저장된 역할로 설정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표시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와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생성한다. (도 15의 S105)
표시 장치(1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표시 장치(10)가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생성하고, 제1 주변 기기, 즉 서브 우퍼(SW)에 의해 저음을 출력하도록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와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SW)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은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멀티 채널 모드는 표시 장치(10)의 스피커(들)와 표시 장치(10)와 연결된 스피커(들)가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을 출력하는 모드를 가리키며,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음향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여섯 번째로, 표시 장치(10)는 무선 통신으로 제1 주변 기기, 즉 서브 우퍼(SW)에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전송한다. (도 15의 S106)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브 우퍼(SW)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의 제1 통신부(SW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일곱 번째로, 표시 장치(1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프론트 좌측 음향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고, 서브 우퍼(SW)는 제2 음향 데이터(SDTA2)에 따라 저음을 출력한다. (도 15의 S107)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으로써,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함으로써,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와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는 상이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의 제1 통신부(SWC)는 제2 음향 데이터(SDATA2)로부터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를 생성하여 제1 스피커(SWO)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WO)는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에 따라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단일 채널 모드에서 단일 음향을 출력하고, 멀티 채널 모드에서 제1 주변 기기와 함께 멀티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 채널 모드에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실시예는 표시 장치(10)가 프론트 중앙 스피커(Front Center Speaker)(FC)를 포함하고, 제2 주변 기기가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의 역할을 하며, 제3 주변 기기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의 역할을 함으로써, 3.0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것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A)은 표시 장치(10), 제2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제3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16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3.0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16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중앙 음향을 발생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10)은 도 17과 같이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중앙 음향을 발생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표시 패널(110)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도 7,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iter)일 수 있다. 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는 제1A 음향 신호,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는 제1B 음향 신호,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는 제1C 음향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 각각은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를 공급 받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는 제5 구동 전압과 제6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을 통해 제5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제6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구동 전압과 제6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10)은 도 18과 같이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중앙 음향을 발생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는 표시 패널(110)의 좌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표시 패널(110)의 우측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표시 패널(110)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7과 같이 표시 패널(110)이 표시 패널(110)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된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3 음향 데이터(SDATA3), 및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3 음향 데이터(SDATA3)는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며, 제4 음향 데이터(SDATA4)는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및 프론트 우측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3 음향 데이터(SDATA3)와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가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포함하는 경우,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가 도 18과 같이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포함하는 경우,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제2 음향 발생 장치(220),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출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3 음향 데이터(SDATA3)와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출력하고,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출력한다.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2 주변 기기이고,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3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제2 주변 기기와 제3 주변 기기는 각각 스마트폰(smartphone)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블루투스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도 16a에서는 제2 주변 기기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며, 제3 주변 기기의 일 예로 태블릿 PC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주변 기기가 태블릿 PC이고 제3 주변 기기가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는, 제2 주변 기기와 제3 주변 기기가 모두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일 수 있다.
제2 주변 기기와 제3 주변 기기는 각각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3 음향 데이터(SDATA3)에 따라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는 제2 통신부(FLC)와 제2 스피커(FLO)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FL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2 통신부(FL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FLC)는 제3 음향 데이터(SDATA3)로부터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를 생성하여 제2 스피커(FLO)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피커(FLO)는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에 따라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4 음향 데이터(SDATA4)에 따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제3 통신부(FRC)와 제3 스피커(FRO)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FR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3 통신부(FR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FRC)는 제4 음향 데이터(SDATA4)로부터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생성하여 제3 스피커(FRO)로 출력할 수 있다. 제3 스피커(FRO)는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에 따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고,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2 주변 기기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활용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3 주변 기기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활용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활용함으로써, 3.0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청자(VER)가 3.0 채널의 입체 음향을 높은 품질로 듣기 위해서는, 도 16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프론트 중앙 스피커(FC)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0°에 배치되고, 프론트 좌측 스피커(FL)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며, 프론트 우측 스피커(F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19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함으로써, 3.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것에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B)은 표시 장치(10), 제1 주변 기기로서 서브 우퍼(SW), 제2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제3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19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 및 서브 우퍼(SW)로부터 출력된 저음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저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3.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19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및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SW)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며, 제3 음향 데이터(SDATA3)는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4 음향 데이터(SDATA4)는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및 프론트 우측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및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및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하고,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출력하며,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1 주변 기기이고,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2 주변 기기이며,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3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제1 주변 기기는 블루투스 스피커(Bluetooth Speaker)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일 수 있다. 제1 주변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2 음향 데이터(SDATA2)에 따라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우퍼(SW)는 제1 통신부(SWC)와 제1 스피커(SWO)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SWC)는 제2 음향 데이터(SDATA2)로부터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를 생성하여 제1 스피커(SWO)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피커(SWO)는 서브 우퍼 음향 신호(SWS)에 따라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고,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1 주변 기기를 서브 우퍼(SW)로 활용하여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2 주변 기기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활용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3 주변 기기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활용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활용함으로써, 3.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0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0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는 표시 장치(10)가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포함하고, 제1 주변 기기가 서브 우퍼(SW)의 역할을 하며, 제4 주변 기기가 리어 좌측 스피커(Rear Left Speaker)(RL)의 역할을 하고, 제5 주변 기기가 리어 우측 스피커(Rear Right Speaker)(RR)의 역할을 함으로써,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것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0a 및 도 20b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C)은 표시 장치(10), 제1 주변 기기로서 서브 우퍼(SW), 제4 주변 기기로서 리어 좌측 스피커(RL), 제5 주변 기기로서 리어 우측 스피커(R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20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스피커(RL)로부터 출력된 리어 좌측 음향, 리어 우측 스피커(RR)로부터 출력된 리어 우측 음향, 및 서브 우퍼(SW)로부터 출력된 저음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FR),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하고, 서브 우퍼(SW)는 저음을 재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20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18과 같이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중앙 음향을 발생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좌측 음향을 발생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210),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역할을 하기 위해 프론트 우측 음향을 발생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출력되는 프론트 좌측 음향,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출력되는 프론트 우측 음향,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출력되는 프론트 중앙 음향은 상이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는 도 1a 및 도 1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와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표시 패널(110)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도 7,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보이스 코일을 이용하여 자력을 생성함으로써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여진기(Exiter)일 수 있다. 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인가된 전압(또는 전류)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10)은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두께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1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 각각은 제어 회로 보드(160)와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 인해,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과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를 공급 받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는 제5 구동 전압과 제6 구동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음향 배선(WL5)을 통해 제5 구동 전압을 인가 받고, 제6 음향 배선(WL6)을 통해 제6 구동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3 음향 발생 장치(230)는 제5 구동 전압과 제6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110)을 진동 시킴으로써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및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SW)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5 음향 데이터(SDATA5)는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며, 제6 음향 데이터(SDATA6)는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음향, 및 리어 우측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입력 받는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에 따라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중앙 음향 신호(FCS),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좌측 음향 신호(FLS),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인 프론트 우측 음향 신호(FRS)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하고, 제5 음향 데이터(SDATA5)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출력하며,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1 주변 기기이고, 리어 좌측 스피커(R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4 주변 기기이며,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5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제4 주변 기기와 제5 주변 기기는 각각 스마트폰(smartphone)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블루투스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도 20a에서는 제4 주변 기기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며, 제5 주변 기기의 일 예로 태블릿 PC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4 주변 기기가 태블릿 PC이고 제5 주변 기기가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는, 제4 주변 기기와 제5 주변 기기가 모두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일 수 있다.
제4 주변 기기와 제5 주변 기기는 각각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도 1a 및 도 1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 우퍼(SW)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어 좌측 스피커(RL)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5 음향 데이터(SDATA5)에 따라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좌측 스피커(RL)는 제4 통신부(RLC)와 제4 스피커(RLO)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부(RL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5 음향 데이터(SDATA5)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4 통신부(RL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부(RLC)는 제5 음향 데이터(SDATA5)로부터 리어 좌측 음향 신호(RLS)를 생성하여 제4 스피커(RLO)로 출력할 수 있다. 제4 스피커(RLO)는 리어 좌측 음향 신호(RLS)에 따라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6 음향 데이터(SDATA6)에 따라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제5 통신부(RRC)와 제5 스피커(RRO)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통신부(RR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5 통신부(RR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통신부(RRC)는 제6 음향 데이터(SDATA6)로부터 리어 우측 음향 신호(RRS)를 생성하여 제5 스피커(RRO)로 출력할 수 있다. 제5 스피커(RRO)는 리어 우측 음향 신호(RRS)에 따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1 주변 기기를 서브 우퍼(SW)로 활용하여 저음을 출력하고, 제4 주변 기기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활용하여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5 주변 기기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활용하여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활용함으로써,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청자(VER)가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높은 품질로 듣기 위해서는, 도 20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프론트 중앙 스피커(FC)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0°에 배치되고, 리어 좌측 스피커(RL)가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며, 리어 우측 스피커(R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C)에서, 서브 우퍼(SW)로 역할을 하는 제1 주변 기기가 생략되는 경우, 5.0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1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1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4 주변 기기가 리어 좌측 스피커(Rear Left Speaker)(RL)의 역할을 하고, 제5 주변 기기가 리어 우측 스피커(Rear Right Speaker)(RR)의 역할을 함으로써,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것에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1a 및 도 21b에서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C)은 표시 장치(10), 제1 주변 기기로서 서브 우퍼(SW), 제2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제3 주변 기기로서 프론트 우측 스피커(FR), 제4 주변 기기로서 리어 좌측 스피커(RL), 제5 주변 기기로서 리어 우측 스피커(R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21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스피커(RL)로부터 출력된 리어 좌측 음향, 리어 우측 스피커(RR)로부터 출력된 리어 우측 음향, 및 서브 우퍼(SW)로부터 출력된 저음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FR),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하고, 서브 우퍼(SW)는 저음을 재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21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제4 음향 데이터(SDATA4),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SW)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3 음향 데이터(SDATA3)는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4 음향 데이터(SDATA4)는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5 음향 데이터(SDATA5)는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6 음향 데이터(SDATA6)는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음향, 및 리어 우측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제4 음향 데이터(SDATA4),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3 음향 데이터(SDATA3), 제4 음향 데이터(SDATA4), 제5 음향 데이터(SDATA5), 및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하고, 제3 음향 데이터(SDATA3)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출력하며, 제4 음향 데이터(SDATA4)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5 음향 데이터(SDATA5)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출력하고,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1 주변 기기이고,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2 주변 기기이며, 프론트 우측 스피커(R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3 주변 기기일 수 있다. 리어 좌측 스피커(R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4 주변 기기이며,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5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제2 주변 기기, 제3 주변 기기, 제4 주변 기기, 및 제5 주변 기기는 각각 스마트폰(smartphone)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블루투스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도 21a에서는 제2 주변 기기와 제3 주변 기기의 일 예로 태블릿 PC를 도시하였으며, 제4 주변 기기와 제5 주변 기기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주변 기기, 제3 주변 기기, 제4 주변 기기, 및 제5 주변 기기는 각각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도 19a 및 도 19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 우퍼(SW)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는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리어 좌측 스피커(RL)와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도 20a 및 도 20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리어 좌측 스피커(RL)와 리어 우측 스피커(RR)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고,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1 주변 기기를 서브 우퍼(SW)로 활용하여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변 기기를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 활용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3 주변 기기를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 활용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4 주변 기기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활용하여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5 주변 기기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활용하여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RL),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활용함으로써,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RL),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청자(VER)가 5.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높은 품질로 듣기 위해서는, 도 20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프론트 중앙 스피커(FC)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0°에 배치되고, 프론트 좌측 스피커(FL)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며, 프론트 우측 스피커(F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고, 리어 좌측 스피커(RL)가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며, 리어 우측 스피커(R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D)에서, 서브 우퍼(SW)로 역할을 하는 제1 주변 기기가 생략되는 경우, 5.0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2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2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6 주변 기기가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urround Left Speaker)(SL)의 역할을 하고, 제7 주변 기기가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urround Right Speaker)(SR)의 역할을 함으로써,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것에서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2a 및 도 22b에서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D)은 표시 장치(10), 제1 주변 기기로서 서브 우퍼(SW), 제4 주변 기기로서 리어 좌측 스피커(RL), 제5 주변 기기로서 리어 우측 스피커(RR), 제6 주변 기기로서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 제7 주변 기기로서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및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자(VER)는 도 22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스피커(FL)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스피커(FR)로부터 출력된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스피커(RL)로부터 출력된 리어 좌측 음향, 리어 우측 스피커(RR)로부터 출력된 리어 우측 음향,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로부터 출력된 서라운드 좌측 음향,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로부터 출력된 서라운드 우측 음향, 및 서브 우퍼(SW)로부터 출력된 저음을 들을 수 있다. 프론트 중앙 스피커(FC), 프론트 좌측 스피커(FL), 프론트 우측 스피커(FR), 리어 좌측 스피커(RL), 리어 우측 스피커(RR),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 및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는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용 스피커로 역할을 하고, 서브 우퍼(SW)는 저음을 재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청자(VER)는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도 22b와 같이 표시 패널(110), 프로세서(1100), 음향 신호 출력부(1200), 및 무선 통신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도 20a 및 도 20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00)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데이터로부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음향 데이터(SDATA1”),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제6 음향 데이터(SDATA6), 제7 음향 데이터(SDATA7), 및 제8 음향 데이터(SDATA8)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데이터(SDATA1”)는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및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는 서브 우퍼(SW)의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5 음향 데이터(SDATA5)는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며, 제6 음향 데이터(SDATA6)는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제7 음향 데이터(SDATA7)는 서라운드 좌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이고, 제8 음향 데이터(SDATA8)는 서라운드 우측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 채널 모드에서 프론트 중앙 음향, 프론트 좌측 음향, 프론트 우측 음향, 리어 좌측 음향, 리어 우측 음향, 서라운드 좌측 음향, 서라운드 우측 음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제1 음향 데이터(SDATA1’)를 음향 신호 출력부(1200)로 출력하고,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제6 음향 데이터(SDATA6), 제7 음향 데이터(SDATA7), 및 제8 음향 데이터(SDATA8)를 무선 통신부(1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1200)는 도 16a 및 도 16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음향 신호 출력부(120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제2 음향 데이터(SDATA2), 제5 음향 데이터(SDATA5), 제6 음향 데이터(SDATA6), 제7 음향 데이터(SDATA7), 및 제8 음향 데이터(SDATA8)를 입력 받는다.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2 음향 데이터(SDATA2)를 서브 우퍼(SW)로 출력하고, 제5 음향 데이터(SDATA5)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출력하고, 제6 음향 데이터(SDATA6)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으로 제7 음향 데이터(SDATA7)를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로 출력하고, 제8 음향 데이터(SDATA8)를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로 출력한다.
서브 우퍼(SW)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1 주변 기기이고, 리어 좌측 스피커(RL)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4 주변 기기이며,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5 주변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은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6 주변 기기이며,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는 표시 장치(10)에 무선 연결되는 제7 주변 기기일 수 있다.
제4 주변 기기, 제5 주변 기기, 제6 주변 기기, 및 제7 주변 기기는 각각 스마트폰(smartphone)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블루투스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도 22a에서는 제4 주변 기기와 제6 주변 기기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며, 제5 주변 기기와 제7 주변 기기의 일 예로 태블릿 PC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주변 기기, 제5 주변 기기, 제6 주변 기기, 및 제7 주변 기기는 각각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서브 우퍼(SW)는 도 20a 및 도 20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 우퍼(SW)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리어 좌측 스피커(RL)와 리어 우측 스피커(RR)는 도 20a 및 도 20b를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리어 좌측 스피커(RL)와 리어 우측 스피커(RR)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7 음향 데이터(SDATA7)에 따라 서라운드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는 제6 통신부(SLC)와 제6 스피커(SLO)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통신부(SL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7 음향 데이터(SDATA7)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6 통신부(SL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통신부(SLC)는 제7 음향 데이터(SDATA7)로부터 서라운드 좌측 음향 신호(SLS)를 생성하여 제6 스피커(SLO)로 출력할 수 있다. 제6 스피커(SLO)는 서라운드 좌측 음향 신호(SLS)에 따라 서라운드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는 무선 통신부(1300)로부터 전송 받은 제8 음향 데이터(SDATA8)에 따라 서라운드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는 제7 통신부(SRC)와 제7 스피커(SRO)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통신부(SRC)는 무선 통신부(1300)와 무선 통신하여 제8 음향 데이터(SDATA8)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7 통신부(SRC)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통신부(SRC)는 제8 음향 데이터(SDATA8)로부터 서라운드 우측 음향 신호(SRS)를 생성하여 제7 스피커(SRO)로 출력할 수 있다. 제7 스피커(SRO)는 서라운드 우측 음향 신호(SRS)에 따라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장치(10)는 제3 음향 발생 장치(23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중앙 음향을 출력하고, 제1 음향 발생 장치(21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제2 음향 발생 장치(22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을 진동하여 프론트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1 주변 기기를 서브 우퍼(SW)로 활용하여 저음을 출력하고,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4 주변 기기를 리어 좌측 스피커(RL)로 활용하여 리어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5 주변 기기를 리어 우측 스피커(RR)로 활용하여 리어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6 주변 기기를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로 활용하여 서라운드 좌측 음향을 출력하며, 표시 장치(10)에 연결된 제7 주변 기기를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RL)로 활용하여 서라운드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별도의 주변 기기를 표시 장치(10)와 무선 연결하여 서브 우퍼(SW),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 및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로 활용함으로써,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우퍼(SW), 리어 좌측 스피커(RL), 및 리어 우측 스피커(RR),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 및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를 항시 갖춰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피커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청자(VER)가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높은 품질로 듣기 위해서는, 도 22a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프론트 중앙 스피커(FC)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0°에 배치되고, 프론트 좌측 스피커(FL)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며, 프론트 우측 스피커(F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22° 내지 30°에 배치되고,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SL)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며,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S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90° 내지 110°에 배치되고, 리어 좌측 스피커(RL)가 방위각 -135° 내지 -150°에 배치되며, 리어 우측 스피커(RR)가 시청자(VER)로부터 방위각 130° 내지 15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E)에서, 표시 장치(10)가 프론트 중앙 스피커(FC)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E)은 프론트 좌측 스피커(FL)의 역할을 하는 제2 주변 기기와 프론트 우측 스피커(FR)의 역할을 하는 제3 주변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1E)에서, 서브 우퍼(SW)로 역할을 하는 제1 주변 기기가 생략되는 경우, 7.0 채널의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11: 제1 기판 112: 제2 기판
121: 소스 구동 회로 122: 연성 필름
130: 제1 방열 필름 140: 소스 회로 보드
150: 연성 케이블 160: 제어 회로 보드
170: 타이밍 제어 회로 180: 제2 방열 필름
210: 제1 음향 발생 장치 220: 제2 음향 발생 장치
230: 제3 음향 발생 장치

Claims (27)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연결된 음향 신호 출력부에 제1 음향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주변 기기를 구비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음향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A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A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A 음향 신호와 상기 제1B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A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1B 음향 신호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로 출력하는 음향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로부터 제2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의 반대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음향 신호와 상기 제1B 음향 신호는 상이한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3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4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향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출력된 음향은 동일한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C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의 반대 측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음향 신호, 상기 제1B 음향 신호, 및 상기 제1C 음향 신호는 동일한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7. 삭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B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C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5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4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6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5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4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7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6 주변 기기; 및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8 음향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제7 주변 기기를 더 구비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중앙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3 음향 발생 장치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주변 기기는 서브 우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주변 기기는 리어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주변 기기는 리어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4 주변 기기는 서라운드 좌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 주변 기기는 서라운드 우측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
  24. 표시 장치의 무선 통신부와 제1 주변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의 프로세서가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제1 음향 데이터와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외부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제1 음향 발생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음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주변 기기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이전에,
    단일 채널 모드와 멀티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채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의 제1A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상기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외부의 음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음향 데이터와 상기 제2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주변 기기의 역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 채널 음향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90002972A 2018-10-08 2019-01-09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KR102675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0051 2018-10-08
KR1020180120051 2018-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41A KR20200040641A (ko) 2020-04-20
KR102675484B1 true KR102675484B1 (ko) 2024-06-17

Family

ID=7046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972A KR102675484B1 (ko) 2018-10-08 2019-01-09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197A1 (en) * 2014-09-04 2016-03-10 PWV Inc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6965B2 (en) * 2016-02-08 2018-01-09 Sony Corporation Auto-configurable speaker system
KR102663406B1 (ko) * 2016-04-04 202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양면 표시 장치
KR102259805B1 (ko) *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197A1 (en) * 2014-09-04 2016-03-10 PWV Inc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41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8284B1 (ko) 표시 장치
KR102668665B1 (ko) 표시 장치
KR102652124B1 (ko) 표시 장치
KR102708253B1 (ko) 표시 장치
KR102535015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2668395B1 (ko) 표시 장치
KR102668290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2706667B1 (ko) 표시 장치
KR102601564B1 (ko) 표시 장치
US12026426B2 (en) Display device
KR102652079B1 (ko) 표시 영상 연계 음향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675484B1 (ko) 멀티 채널의 음향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KR20240144016A (ko) 표시 장치
KR20240033552A (ko)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