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382B1 - 표시 장치 유닛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382B1
KR101569382B1 KR1020130150087A KR20130150087A KR101569382B1 KR 101569382 B1 KR101569382 B1 KR 101569382B1 KR 1020130150087 A KR1020130150087 A KR 1020130150087A KR 20130150087 A KR20130150087 A KR 20130150087A KR 101569382 B1 KR101569382 B1 KR 10156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aphragm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492A (ko
Inventor
강하윤
오준학
이종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3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3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및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는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진동 물질층; 및 상기 진동 물질층에 전계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이며,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통화시 상대방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전달하는 리시버인 표시 장치 유닛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유닛{DISPLAY DEVICE UNI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유닛에 대한 것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유닛에 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기존의 음극선관을 이용한 CRT(cathode ray tube) 방식에서 발전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WD(electrowetting Display), EPD(electrophoretic display), EMD(embedded micro cavity display), NCD (nano crystal display) 등의 다양한 평면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과 색필터(color filter)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해 놓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해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표시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방출 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모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며,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터치 감지의 표시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터치 감지를 위해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패널을 추가 형성하거나, 표시 장치 내에 터치 센서를 함께 형성하여야 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안고서도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거나 별도의 터치 패널/터치 센서의 추가 없이도 터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 표시 장치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은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소자는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진동 물질층; 및 상기 진동 물질층에 전계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음향 소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음향 소자의 배면이며,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백 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섀시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음향 소자와 접하고 있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일측과 상기 진동판을 부착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타측과 상기 백 섀시를 부착하는 또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한 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음향 소자의 배면이며,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백 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섀시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음향 소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백 섀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상기 진동 물질층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이며,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음성을 전달하는 리시버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에서 상기 리시버가 부착된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일측에는 스페이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는 표시 장치 내의 다른 부분과 부착되어 상기 음향 소자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소자의 상기 진동 물질층은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진동도 발생시키며, 상기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 유닛에서는 백라이트의 반사 시트나 확산 시트와 같은 광학 시트에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PVDF나 PZT 등의 물질을 형성하여 표시 장치가 스피커 없이 소리도 제공한다. 또한, 백라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 유닛과 수광형 표시 장치 유닛에서는 표시 패널의 배면 측에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PVDF나 PZT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음향 소자를 형성하여 스피커 없이 소리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청 주파수가 아닌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 한 경우 이를 피드백 받아서 터치 감지를 하도록 할 수 있어 별도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휴대폰의 리시버로 적용되어 상대방의 통화 내용을 제공하는 경우 윈도우에 별도의 리시버용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진동에 기초하여 상대방의 통화 내용을 들을 수 있어 윈도우의 가공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물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에서 음향 소자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으로 리시버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음향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의 표시 장치 유닛은 윈도우(30), 백섀시(35), 음향 소자(27) 및 표시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의 표시 장치(100)는 광원(12)을 포함하고 있어 수광형 표시 장치이며, 다양한 수광형 표시 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이하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100)는, 크게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20)과 광을 공급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로 이루어진다. 이외에, 이들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탑 섀시(60), 몰드 프레임(22) 및 바텀 섀시(28)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백라이트 유닛(20)은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에 광을 제공하며, 백라이트 유닛(20)위에 위치하는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는 백라이트 유닛(20)이 공급하는 광을 제어하여 계조를 표현하고 그에 따라서 화상이 표시된다.
*먼저,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는 액정 표시 패널(75), 집적 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77) 및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79)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75)은 다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TFT 기판과 TFT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기판 및 이들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집적 회로 칩(77)은 TFT 기판상에 실장되어 액정 표시 패널(75)을 제어할 수 있다.
TFT 기판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선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선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75)의 데이터선 및 게이트선은 연성 회로 기판(79)에 연결되어 연성 회로 기판(79)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TFT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이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고, 이중 게이트선을 통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데이터선을 통하여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화상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전달 또는 차단된다. 연성 회로 기판(79)은 액정 표시 패널(75)의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액정 표시 패널(75)의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에 각각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TFT 기판에 대향하여 그 위에 상부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기판은 빛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RGB 컬러 필터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며, 컬러 필터 위에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증착되어 있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면, 화소 전극과 상부 기판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TFT 기판과 상부 기판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연성 회로 기판(79)은 액정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화상 신호와 주사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75)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각각 인가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79)에서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하는 앰프(80)도 형성되어 있다. 앰프(8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백라이트 유닛(20)의 확산 시트(25)로 음향 신호를 전달한다. 음향 신호 배선(80-1)은 연성 회로 기판(79)과 동일한 재질의 플렉서블한 기판 위에 배선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거나, 별도의 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75)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실시예의 액정 표시 패널(75)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이나 컬러 필터는 TFT 기판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며, 인쇄 회로 기판과 TFT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앰프(80)가 연성 회로 기판(79)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의 수광형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하부에는 액정 표시 패널(75)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20)이 구비되어 바텀 섀시(28)상에 수납되어 있다.
몰드 프레임(22)에 고정되며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에 광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12), 광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12-1), 광원(1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여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로 공급하는 도광판(10), 도광판(10)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26), 그리고 광원(12)으로부터의 광의 휘도 특성을 확보하여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로 제공하기 위한 확산 시트(25) 및 광학 시트(24)를 구비한다. 광학 시트(24)는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휘도 향상 필름이나 프리즘 구조를 가지는 프리즘 시트 등의 다양한 광학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2)으로 CCFL과 같은 형광 램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 에셈블리(70)상에는 연성 회로 기판(79)을 몰드 프레임(22)의 외부로 절곡시키면서 액정 표시 패널 어셈블리(70)가 바텀 섀시(2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탑 섀시(60)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는 강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윈도우(30)가 위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100)가 외부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윈도우(30)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전면에 위치하며,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나 기타 전자 기기의 표시측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윈도우(30)에 대응하며,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측에는 백 섀시(35)가 위치하고 있다. 백 섀시(35)는 윈도우(30)와 부착되어 액정 표시 장치(100)을 감쌀 수도 있다.
백 섀시(35)와 액정 표시 장치(100)의 사이에는 음향 소자(27)가 위치하고 있다. 음향 소자는 도 2를 참고하면, 진동 물질층(27-1) 및 한 쌍의 전극(27-2)을 포함한다.
진동 물질층(27-1)은 전계를 인가받아 진동하여 소리를 제공하는 피에조(piezo) 물질, 예를 들면,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의 진동 물질을 포함한다.
PVDF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을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한 물질 특성을 가진다. 그 결과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넓은 영역에 걸쳐 진동 물질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한편, PZT는 PVDF에 비하여 필름 형태로 제적하기는 어려우며, 도 2와 같이 일부 영역에만 형성하기 용이하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PZT를 진동 물질층으로 사용하면서도 필름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PZT와 PVDF(또는 PVDF-TrFE)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진동 물질층(27-1)에 전계를 제공한다. 전극(27-2)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나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및 탄소 나노 튜브(CNT) 등 다양한 도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음향 소자(27)와 액정 표시 장치(100)의 사이에는 진동판(50)이 위치하고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 즉, 백라이트 유닛(20)의 반사 시트(26)의 배면이나 바텀 섀시(28)의 배면에 접착제(51)에 의하여 진동판(50)이 부착되고, 진동판(50)의 위에 접착제(51)에 의하여 음향 소자(27)가 부착되어 있다. 진동판(50)은 꺾인 구조를 가져 음향 소자(27)가 제공하는 소리를 울리는 울림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100)가 직접 진동에 의하여 떨리는 것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백 섀시(35)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 돌출부(35-1)가 위치하고 있다. 고정 돌출부(35-1)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 돌출부(35-1)는 음향 소자(27)와 접할 수 있다. 즉, 고정 돌출부(35-1)는 음향 소자가 진동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음향 소자(27)는 음향 신호를 인가받는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연성 회로 기판(79)에 앰프(80)를 포함하여 앰프(80)로부터 증폭된 음향 신호를 인가받고 있다.
즉, 연성 회로 기판(79)에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하는 앰프(80)도 형성되어 있다. 앰프(8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음향 소자(27)내의 한 쌍의 전극(27-2)으로 전달되어 진동 물질층(27-1)을 진동시킨다. 음향 신호 배선(80-1)은 연성 회로 기판(79)과 동일한 재질의 플렉서블한 기판 위에 배선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거나, 별도의 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동판(50)이 생략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 또는 바텀 섀시(28)의 배면에 직접 음향 소자(27)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진동 물질층(27-1)에 의한 음향 발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물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진동 물질층으로 피에조 물질(PVDF 또는 PZT)을 사용하고, 양측 전극으로 도전성 폴리머 전극(conducting polymer electrode)로 형성하고 있다. 폴리머 전극에는 앰프(amp; 80)에서 증폭된 음향 신호가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인가된다.
이와 같은 음향 신호가 인가되면 도 4와 같이 진동 물질층이 진동하면서 음파를 생성한다.
도 4의 (A) 및 (B)에서는 진동 물질층에 일 방향의 전압이 인가될 때 진동 물질층에 인가되는 힘(F)의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전압의 방향에 따라서 힘(F)의 방향이 다르므로, 교류가 인가(도 4의 (C)참고)되면, 진동 물질층이 진동하고 그 진동에 따라서 소리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음향 소자(27)가 위치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에서 음향 소자의 배치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27)를 두 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에서는 두 개의 음향 소자가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한 쌍의 전극(27-2)이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진동판(50)과 접착된 전극(27-2; 이하 접착 전극이라 함)의 크기가 크고, 이에 대향하는 전극(27-2; 이하 대향 전극이라 함)의 크기가 작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진동 물질층(27-1)은 대향 전극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음향 소자는 진동판(50)의 좌우 대칭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A)에서는 좌상측과 우상층에 각각 음향 소자가 위치하고 있는데, 음향 소자가 부착되는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접착 전극(27-2)은 타원형 구조를 가지며, 진동 물질층(27-1) 및 대향 전극(27-2)은 원형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이다.
도 5(C)에서는 접착 전극(27-2)은 사각형 구조를 가지며, 진동 물질층(27-1) 및 대향 전극(27-2)은 원형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이다.
도 5(D)에서는 접착 전극(27-2)은 진동판(50)의 좌우측의 변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진동 물질층(27-1) 및 대향 전극(27-2)은 원형 구조를 가지며, 접착 전극(27-2)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5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로, 진동판(50)의 양측에 한 쌍의 음향 소자(27)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도 2와 달리 음향 소자(27)의 접착 전극(27-2)과 진동판(50) 사이에 접착제(51)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접착제(51)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향 소자(27)가 부착되는 또 다른 방식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6과 달리 음향 소자(27)의 전체가 진동판(50)에 부착되지 않는다.
진동 물질층(27-1)을 포함하는 음향 소자는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진동하게 되는데, 도 2 및 도 6과 같이 진동판(50)에 직접 음향 소자(27)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음향 소자(27)가 미세하게 진동하는 경우 진동판(50)으로 인하여 진동이 감소될 여지가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동판(50)과 음향 소자(27)를 전체적으로 밀착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과 같이 음향 소자(27)를 진동판(50)과 일부분만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트려 놓으면, 미세 진동도 용이하게 소리로 변경될 수 있으며, 소리가 울리는 울림 공간도 확보할 수 있다.
먼저, 도 7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7에서는 진동판(50)의 배면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백 섀시(35)는 실시예에 따라서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어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진동판(50)의 배면에는 진동 물질층(27-1) 및 한 쌍의 전극(27-2)을 포함하는 음향 소자(27)가 위치하고 있다. 진동판(50)과 음향 소자(27)는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접촉하고 있다. 스페이서(27-4)는 테이프, 접착제, 고무, 절연 물질 및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 소자(27)와 진동판(50)을 접촉시킨다.
도 7에서는 진동판(50)의 배면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서는 진동판(50)이 판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또는 도 6과 같이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판(50)은 진동하여 소리를 증폭시킬 울림 공간을 가지므로 도 7과 같이 판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보다는 도 2 또는 도 6과 같이 꺾인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도 7에서와 같이 음향 소자(27)가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이 울림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진동판(50)이 울림 공간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과 달리 진동판(50)은 제외되고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음향 소자(27)가 부착되는 위치가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바텀 섀시(28)의 배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 1의 실시예에서 진동판(50)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8에서도 진동판(50)의 배면 측을 도시하고 있으며, 백 섀시(35)까지 도시하고 있다.
진동판(50)과 백 섀시(35)의 사이에는 진동 물질층(27-1) 및 한 쌍의 전극(27-2)을 포함하는 음향 소자(27)가 위치하고 있다. 진동판(50)과 음향 소자(27)는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접촉하고 있으며, 백 섀시(35)와 음향 소자(27)도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접촉하고 있다. 스페이서(27-4)는 테이프, 접착제, 고무, 절연 물질 및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 소자(27)와 진동판(50) 또는 백 섀시(35)를 접촉시킨다.
도 8에서 진동판(50) 또는 백 섀시(35)가 판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또는 도 6과 같이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판(50)은 진동하여 소리를 증폭시킬 울림 공간을 가지므로 도 7과 같이 판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보다는 도 2 또는 도 6과 같이 꺾인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음향 소자(27)가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27-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이 울림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진동판(50)이 울림 공간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백 섀시(35)와 음향 소자(27)의 사이에도 스페이서(27-4)가 형성되어 있어 진동판(50)과 백 섀시(35)의 사이에 울림 공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진동판(50)에는 울림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동판(5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진동판(50)이 생략되는 경우 음향 소자(27)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도 1의 실시예에서는 바텀 섀시(28)의 배면)과 백 섀시(35)의 사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하나의 음향 소자(27)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5 및 도 6과 같이 한 쌍의 음향 소자를 형성하거나 그 이상의 개수의 음향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달리 바텀 섀시(28)의 내측에 음향 소자(27)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음향 소자(27)가 진동판(50)의 배면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하지만, 음향 소자(27)가 부착되는 위치는 표시 장치의 배면에 진동판(50)없이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며, 백 섀시(35)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윈도우(30)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진동판(50)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백 섀시(35)의 내측에 음향 소자(27)가 접착제(51)에 의하여 부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백 섀시(35)의 내측에 접착제(51)에 의하여 음향 소자(27)가 부착되어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달리 진동판(50)은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백 섀시(35)가 도 2의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백 섀시(35)는 음향 소자가 제공하는 소리를 울리는 울림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표시 장치(100)가 직접 진동에 의하여 떨리는 것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접착제(51)에 의하여 백 섀시(35)가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백 섀시(35)가 진동판의 역할을 할 때 진동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착제(51)에 의하여 백 섀시(35)가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의 백 섀시(35)에서도 중앙 부분에는 고정 돌출부(35-1)가 위치하고 있지만, 도 2와 달리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백 섀시(35)의 고정 돌출부(35-1)는 액정 표시 장치(100)가 별도의 기기(휴대폰, 노트북 등 기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내에 형성되는 경우에 본체에 표시 장치(윈도우 및 백 섀시 포함)가 삽입될 때 본체와 돌출부(35-1)가 접하도록 한다. 그 결과 돌출부(35-1)는 음향 소자가 진동에 의하여 본체 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액정 표시 장치(100)에는 백라이트 유닛(20)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가 적용되어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통하여 음향 소자(27)에서 출력되는 진동 중 가청 주파수가 아닌 진동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음향 소자(27)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주파수에 따른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을 도 10에서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진동에 의하여는 가청 주파수 범위의 소리뿐만 아니라 가청 주파수 이외의 진동(도 10의 원 부분)도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은 실제 소리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표시 장치에서는 별 필요 없는 진동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을 이용하여 별도의 터치 센서나 터치 패널을 추가로 형성하지 않고서도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음향 소자에 의하여 표시 장치에는 전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며, 그 중 가청 주파수가 아닌 낮은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터치하였을 때 변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의 감지는 터치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의 감지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햅틱(haptic) 기능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진동 물질층은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진동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청 주파수 외의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진동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그래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음향 소자(27)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고품질의 음향을 제공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저품질의 음향을 제공하면 충분한 표시 장치에는 별도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저품질의 음향의 예로는 저가의 스피커를 사용해서 음악 및 기타 소리를 제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휴대폰에서 통화시 상대방의 사용자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경우(리시버 역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리시버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으로 리시버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먼저, 도 11은 도 1과 달리 음향 소자인 리시버(15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음향 소자(27)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인 리시버(150)가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위치하며, 윈도우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다.
윈도우(30)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전면에 위치하며,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나 기타 전자 기기의 표시측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휴대 전화의 경우 전화 기능을 포함하므로 음성을 송신하는 부분과 음성을 수신하는 부분(리시버(150))이 존재한다. 그 중 음성을 수신하는 리시버(150)는 도 11과 같이 윈도우(30)의 내측면이며,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측면에 위치한다. 리시버(150)는 윈도우(30)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된다.
리시버(150)는 도 2의 음향 소자(27)와 같이 진동 물질층 및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도 연성 회로 기판(79)에서는 음향 신호를 증폭하고 전달하는 앰프(80)도 형성되어 있다. 앰프(8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하여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리시버(150) 내의 전극으로 전달되어 진동 물질층을 진동시킨다. 음향 신호 배선(80-1)은 연성 회로 기판(79)과 동일한 재질의 플렉서블한 기판 위에 배선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거나, 별도의 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앰프(80)에서 출력된 음향 신호는 음향 신호 배선(80-1)과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리시버용 배선(150-1)을 통하여 리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리시버용 배선(150-1)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외부에서 리시버(150)와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와 연결되어 있다.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윈도우(30)는 리시버(150)가 부착된 위치에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리시버(150)는 음향 소자의 진동 물질층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윈도우(30)에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휴대 전화에서는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을 전달하기 때문에 윈도우(30)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해당 개구부를 통하여 소리가 전달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는 리시버(150)가 진동에 의하여 소리를 발생하기 때문에 윈도우(30)에는 소리를 전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가 리시버 역할을 하는 경우 윈도우(30)에 별도의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진동에 기초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말하는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30)는 강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데, 개구부를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더라도 가공 공정이 추가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윈도우(30)를 가공하지 않을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27)가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달리 음향 소자(27)는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진동판(50)도 생략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의 실시예처럼 진동판(50)이나 음향 소자(27)가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앰프(80)는 음향 소자(27)로도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앰프(80)가 전달하는 음향 신호는 리시버(150)와 음향 소자(27)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2는 도 11과 달리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를 모두 결합하고, 내측면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의 윈도우(30)는 내측면이 보이는 상태이고, 내측면에 부착된 리시버(150)와 표시 패널 어셈블리(70)의 하부면이 보이는 상태이다.
리시버(150)와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는 리시버용 배선(150-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시버용 배선(150-1)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70) 내의 앰프(80)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리시버(150)로 인가되는 음향 신호는 도 12와 달리 표시 패널 어셈블리(70)로부터 인가받지 않고, 별도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표시 장치(100)로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일 예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통하여 음향 소자(27)가 필름 형태를 가지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3을 통하여 단면 구조를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단면도에 대응하며,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진동판(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음향 소자(27’)도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음향 소자(27’)가 백 섀시(35)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백 섀시(35)와 액정 표시 장치(100)의 사이, 즉,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바텀 섀시(28)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액정 표시 장치(100) 대신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자발광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윈도우(30)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며,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나 기타 전자 기기의 표시측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백 섀시(35)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배면과 측면을 보호하며, 윈도우(30)와 결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감싼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윈도우(30) 및 백 섀시(35)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필름 형태의 음향 소자(27’)는 도 14에서 상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의 음향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27’)는 진동 물질층(27-1), 한 쌍의 전극(27-2) 및 패드(27-5)를 포함한다.
진동 물질층(27-1)은 전계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여 소리를 제공하는 피에조 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물질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지르콘 티탄삽 납 세라믹) 등이 있으며, 필름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PVDF를 사용하거나 PVDF에 PZT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27-1)의 양측면(상측면 및 하측면)에는 각각 전극(27-2)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27-2)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나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및 탄소 나노 튜브(CNT)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27-2)은 진동 물질층(27-1)의 상하측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진동 물질층(27-1)의 상하면 중 일부 영역에는 한 쌍의 패드(27-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패드(27-5)는 각각 전극(27-2)과 연결되어 있다. 패드(27-5)는 투명한 도전체 또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27-5)를 통하여 앰프(80)에서 증폭된 음향 신호가 음향 신호 배선(80-1)을 통하여 전극(27-2)으로 인가되고, 이러한 음향 신호에 의하여 진동 물질층(27-1)이 진동하면서 음향이 발생된다.
도 14와 같은 필름 형태의 음향 소자(27’)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시트의 제조 방법을 살펴본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음향 소자(27’)에서 진동 물질층(27-1) 및 한 쌍의 전극(27-2)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진동 물질층(27-1)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있는 진동 물질(PVDF 등; 도 15(A)의 27-11 참고)을 자른다.
그 후, 도 15(B) 내지 도 15(D)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와 같은 도전성 폴리머나 탄소 나노 튜브(CNT)를 진동 물질층(27-1)의 일측면에 코팅하고(도 15(C)의 27-21 참고) 그 후, 건조(drying) 공정을 통하여 전극(27-2)을 완성한다.
그 후, 도 15(E)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진동 물질층(27-1)의 타측면이 위로 오도록 회전 시킨 후 다시, 도 15(B) 내지 도 15(D)의 공정을 통하여 반대측면에도 전극(27-2)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음향 소자(27’) 중 진동 물질층(27-1)의 일부 영역에 패드(27-5)를 형성한다. 패드(27-5)는 한 쌍의 전극(27-2)에 음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진동 물질층(27-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B)에서는 패드(27-5)를 통하여 한 쌍의 전극(27-2)에 음향 신호를 인가함에 의하여 진동 물질층(27-1)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 형태의 음향 소자(27’)는 표시 장치(100)의 배면 또는 백 섀시(35)의 배면에 부착되어 진동에 기초하여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필름 형태의 음향 소자(27’)가 전화기의 리시버(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0: 도광판
12: 광원 20: 백라이트 유닛
22: 몰드 프레임 24: 광학 시트
25: 확산 시트 26: 반사 시트
27, 27’ 음향 소자 27-1: 진동 물질층
27-2: 전극 27-4: 스페이서
27-5: 패드 28: 바텀 섀시
30: 윈도우 35: 백 섀시
35-1: 고정 돌출부 50: 진동판
51: 접착제 60: 탑 섀시
70: 표시 패널 어셈블리 75: 액정 표시 패널
77: 집적 회로 칩 79: 연성 회로 기판
80: 앰프 80-1: 음향 신호 배선
150: 리시버 150-1: 리시버용 배선

Claims (6)

  1.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음향 소자;
    상기 표시 장치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음향 소자; 및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제2 음향 소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백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음향 소자는,
    전계를 인가받아 소리를 제공하는 진동 물질층; 및
    상기 진동 물질층에 전계를 제공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소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면이며,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통화 시 상대방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전달하는 리시버이며,
    상기 윈도우 중 상기 리시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백 섀시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배면 또는 상기 백 섀시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유닛.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음향 소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유닛.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음향 소자의 일측과 상기 진동판을 부착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유닛.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음향 소자의 타측에 위치하는 또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유닛.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음향 소자와 상기 표시 장치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위치하며, 상기 스페이서에 의하여 상기 제1 음향 소자와 상기 표시 장치가 부착되어 상기 제1 음향 소자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유닛.
KR1020130150087A 2013-12-04 2013-12-04 표시 장치 유닛 KR10156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87A KR101569382B1 (ko) 2013-12-04 2013-12-04 표시 장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87A KR101569382B1 (ko) 2013-12-04 2013-12-04 표시 장치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01A Division KR101383702B1 (ko) 2012-12-12 2012-12-12 표시 장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492A KR20140076492A (ko) 2014-06-20
KR101569382B1 true KR101569382B1 (ko) 2015-11-17

Family

ID=511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087A KR101569382B1 (ko) 2013-12-04 2013-12-04 표시 장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145B1 (ko) * 2014-08-18 2021-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0953B1 (ko) * 2017-12-21 2022-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58174B1 (ko) * 2017-12-28 2022-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2612609B1 (ko) * 2017-12-29 2023-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14485B1 (ko) * 2018-05-10 2023-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4577B1 (ko) * 2018-08-22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217B1 (ko) 2003-11-08 2006-08-14 아이필유(주) 체감음향, 골 전도 및 진동모터 특성을 보유한 다기능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217B1 (ko) 2003-11-08 2006-08-14 아이필유(주) 체감음향, 골 전도 및 진동모터 특성을 보유한 다기능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492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702B1 (ko) 표시 장치 유닛
KR101293558B1 (ko) 표시 장치
JP6728276B2 (ja) 表示装置
US10983637B2 (en) Display device
JP6474562B2 (ja) 表示装置
KR102025786B1 (ko) 표시 장치
KR101569382B1 (ko) 표시 장치 유닛
US11843711B2 (en) Display apparatus
KR20070027879A (ko) 스피커 겸용 터치 패널
CN111355909B (zh) 声音产生模块和显示设备
TW201724832A (zh) 行動終端
KR102458174B1 (ko) 전자 기기
KR102186361B1 (ko) 표시 장치
KR102332256B1 (ko) 표시 장치
KR102183085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