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30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304A
KR20210086304A KR1020190180131A KR20190180131A KR20210086304A KR 20210086304 A KR20210086304 A KR 20210086304A KR 1020190180131 A KR1020190180131 A KR 1020190180131A KR 20190180131 A KR20190180131 A KR 20190180131A KR 20210086304 A KR20210086304 A KR 2021008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ing
disposed
generating device
support memb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8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진
김태형
유영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8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6304A/ko
Priority to US17/112,099 priority patent/US11797260B2/en
Priority to JP2020202905A priority patent/JP7136877B2/ja
Priority to CN202410306775.5A priority patent/CN118197190A/zh
Priority to CN202410306772.1A priority patent/CN118197189A/zh
Priority to CN202410306769.XA priority patent/CN118197188A/zh
Priority to CN202011417977.5A priority patent/CN113126340B/zh
Publication of KR2021008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304A/ko
Priority to JP2022139000A priority patent/JP7504171B2/ja
Priority to US18/375,340 priority patent/US202400282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 언급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할 때 음향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음질 또는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음질 또는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압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진동 발생 모듈을 구성하므로,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음압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모듈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명세서의 효과 외에도,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지지부재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4의 진동 발생 모듈의 양단이 상방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4의 진동 발생 모듈의 양단이 하방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음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음향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의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의 일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로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로 구성할 경우 고음역대의 음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음역대의 출력이 강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역압전 특성)를 갖는 압전 소자 또는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압전 진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진동 장치를 더 구성할 경우 압전 진동 장치에 음향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며, 압전 진동 장치의 낮은 임피던스로 인하여 앰프 출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음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 및 압전 진동 장치를 함께 구성할 경우 보이스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와 압전 진동 장치의 음압 특성의 변화로 인하여 안정적인 음압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은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진동 발생 장치(또는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진동하여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전방(FD) 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음향 발생을 위한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화면 전방(FD)으로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출력함으로써 음향 전달이 가능하며,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패널 가이드(200), 지지부재(300), 및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모듈,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모듈,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패널 가이드(200)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는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 또는 금속 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는 철(Fe) 재질, 알루미늄(Al) 재질, 마그네슘(Mg) 합금 재질,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재질 및 알루미늄(Al) 합금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310), 및 후면부(3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연결되고 패널 가이드(200)를 지지하는 측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의 후면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후면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백라이트(130)를 지지하고,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310)는 반사 시트(133)의 후면과 접촉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진동을 백라이트(130)의 반사 시트(13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측면부(330)는 후면부(310)의 가장자리로부터 벤딩되어 패널 가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부(330)는 백라이트(130)의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백라이트(130)의 수납 공간에 수납(또는 지지)된 백라이트(130)의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측면부(33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해 후면부(310)에 발생되는 음진동을 패널 가이드(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된 시스템 후면 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후면 커버(6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후면 커버(600)는 세트 커버, 후면 세트 커버, 최외곽 세트 커버, 제품 커버, 또는 최외곽 제품 커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부 기판(111), 하부 기판(113), 하부 편광 부재(115), 및 상부 편광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판(111)은 제 1 기판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어레이(또는 표시부 또는 표시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판(111)은 제 1 가장자리(또는 제 1 비표시부)에 마련된 패드부, 및 제 2 가장자리(또는 제 2 비표시부)에 마련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화소 어레이 및/또는 게이트 구동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 및/또는 게이트 제어 신호 라인을 통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패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는 하부 기판(113)의 제 1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패드부는 지지부재(300)를 향하는 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기판(111)의 크기는 하부 기판(113)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도록 상부 기판(111)의 제 2 가장자리에 내장(또는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 구동 회로는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부 기판(111)에 내장되지 않고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되어 패널 구동 회로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하부 기판(113)은 제 2 기판 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상부 기판(111)에 형성된 화소 영역에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화소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기판(113)은 상부 기판(1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부 기판(113)은 상부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하부 기판(113)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부 기판(1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합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상부 기판(111) 및 하부 기판(113)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각 화소마다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편광 부재(115)는 하부 기판(113)의 하면에 부착되어 백라이트 (130)로부터 입사되어 액정층으로 진행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상부 편광 부재(117)는 상부 기판(11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 기판(11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111)이 영상 표시면을 구성하므로,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 없이 전면(前面)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부 기판(111)이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기판(113)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상하 반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는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완충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각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15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보호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150)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정 택 타임(Tact Time)을 고려할 경우, 완충 부재(150)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150)는 유색, 예를 들면, 청색, 적색, 청록색, 또는 흑색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150)는 측면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유색 수지 또는 광 차단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150)의 상면 일부는 상부 편광 부재(117)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편광 부재(117)는 완충 부재(150)의 전면(前面) 일부를 덮도록 상부 기판(111)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측면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완충 부재(150)의 전면(前面) 일부에 부착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50)와 상부 기판(111) 간의 접합면(또는 완충 부재(150)와 상부 기판(111) 사이의 경계부)은 상부 편광 부재(117)의 연장부에 의해 은폐되어 시청자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완충 부재(15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은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FD)으로 노출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제거하거나 베젤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전체를 전방(FD)으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완충 부재(1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130)는 도광판(131), 광원부, 반사 시트(133), 및 광학 시트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중첩되도록 지지부재(300)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마련된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31)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31)은 광원부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또는 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131)은 광 가이드 부재 또는 평면 광원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는 도광판(131)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는 광원용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도광판(131)의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133)는 도광판(131)의 후면을 덮도록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133)는 도광판(13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31)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35)는 도광판(131)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31)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부(135)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35)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한 장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1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광의 확산과 집광 기능을 갖는 한 장의 복합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과 중첩되도록 지지부재(300)에 지지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200)는 패널 지지부(210) 및 가이드 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200)는 패널 지지부(210)와 가이드 측부(23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자 또는 "┏"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 지지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되고 지지부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지지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영역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사각 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널 지지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지지부(210)의 개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또는 표시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패널 지지부(210)는 백라이트(130)의 최상면,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135)의 최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광학 시트부(135)의 최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측부(230)는 패널 지지부(21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3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측부(230)는 패널 지지부(210)로부터 지지부재(300)의 측면 쪽으로 벤딩되어 지지부재(300)의 측면들을 둘러싸거나 지지부재(300)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20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금속 재질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패널 가이드(2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00, 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손실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전달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가이드(200)는 제 1 연결 부재(25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과 패널 가이드(200)의 패널 지지부(21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패널 가이드(200)에 배치하거나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250)는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부재(250)는 패널 가이드(20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250)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폼 접착 패드 또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수지 경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250)의 전면(前面)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기판(113) 또는 하부 편광 부재(115)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2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하부 기판(113)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250)는 하부 기판(113)의 후면 가장자리 영역에 부착되어 하부 편광 부재(115)의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하부 편광 부재(115)에서 발생되는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250)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패널 가이드(200)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 부재(250)는 패널 가이드(200)의 패널 지지부(210)에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 1 연결 부재(250)는 패널 가이드(200)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후면과 백라이트(130)의 최상면 사이에 밀폐된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함으로써 음 전달 공간(STS)에 전달되는 음압의 누설(또는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음 전달 공간(STS)은 백라이트(130)의 진동에 따라 음압이 발생되는 음압 발생 공간 또는 음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패널 진동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또는 배면)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의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의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제 4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5 진동 발생 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각각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각각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제 1 포밍부(371)에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제 1 플레이트(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 상에 제 1 플레이트(3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51)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351)는 철(Fe) 재질, 알루미늄(Al) 재질, 마그네슘(Mg) 합금 재질,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재질, 알루미늄(Al) 합금 재질, 및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플레이트(351)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으로 인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열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재(300)와 제 1 플레이트(351) 사이에는 제 1 접착부재(513)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513)에 의해 지지부재(300)와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513)는 단면 테이프, 단면 접착 패드, 단면 접착 갭 패드, 단면 접착 폼 패드, 양면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양면 접착 폼 패드, 또는 본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플레이트(351) 상에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는 압전 복합층을 포함하는 압전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영역, 예를 들면, 좌측 후면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으로 인한 지지부재(3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켜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영역을 진동시켜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으로 인한 제 1 영역의 진동에 따라 갭 공간(GS)에 음압이 발생되고, 이 음압에 따른 백라이트(130)의 진동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음향(S1)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에 의해 출력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제 2 음향(S2)은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에 의해 출력되며,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중음역대는 200Hz 이상에서 3kHz 이하일 수 있으며,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80Hz~40kHz 또는 150Hz~40k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제 2 포밍부(372)에 구성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제 2 플레이트(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372) 상에 제 2 플레이트(3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352)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진동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52)는 철(Fe) 재질, 알루미늄(Al) 재질, 마그네슘(Mg) 합금 재질,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재질, 알루미늄(Al) 합금 재질, 및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플레이트(352)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진동으로 인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열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재(300)와 제 2 플레이트(352) 사이에는 접착부재(513)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513)에 의해 지지부재(300)와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513)는 단면 테이프, 단면 접착 패드, 단면 접착 갭 패드, 단면 접착 폼 패드, 양면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양면 접착 폼 패드, 또는 본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진동 발생 모듈(700)의 두께(또는 높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또는 높이) 증가를 줄이거나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지지부재(300)로부터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지지부재(3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사각 형태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향하는 전면 방향과 반대되는 후면 방향을 따라 지지부재(30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제 1 플레이트(61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홈부, 오목부, 돌출부, 음각부, 수용부, 수납부, 또는 강성 보강부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프레스포밍 또는 프레스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를 패터닝하거나, 화학적 식각, NC가공(예를 들면, 수치제어공작기에 의한 가공), 드릴링,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은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일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음향을 분리하거나 채널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음향의 간섭으로 인한 투명하지 않은 음향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파티션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가 파티션일 경우, 파티션과 일체화된 진동 발생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2 플레이트(352) 상에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52) 상에는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는 압전 복합층을 포함하는 압전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필름형 트랜스듀서(transducer), 음향발생모듈, 음향발생장치,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영역, 예를 들면, 우측 후면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이 음향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진동으로 인한 지지부재(30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켜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영역을 진동시켜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이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진동으로 인한 제 2 영역의 진동에 따라 갭 공간(GS)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라 백라이트(130)의 진동에 의해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음향(S1)은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에 의해 출력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제 2 음향(S2)은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에 의해 출력되며,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중음역대는 200Hz 이상에서 3kHz 이하일 수 있으며,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80Hz~40kHz 또는 150Hz~40k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이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보다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는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보다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중앙으로 갈수록 저음역대를 출력하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이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는 제 1 음향(S1)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은 제 2 음향(S2)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음향(S1)은 저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으며, 제 2 음향(S2)은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은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진동 발생 장치가 지지부재의 포밍부에 의해 구조화됨으로써,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의 후면은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에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5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후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5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5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430, 530)는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상에 구성될 수도 있다.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 1 가장자리 영역(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 2 가장자리 영역(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 및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의 음향은 고음역대일 수 있다.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 및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음향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후면 영역을 진동시키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으로 인하여 시스템 후면 커버(600)와 지지부재(300) 사이의 공간에 제 1 음향 경로(SP1)가 발생되고, 제 1 음향 경로(SP1)는 시스템 후면 커버(600)의 측면에서 방사될 수 있다. 시스템 후면 커버(600)와 지지부재(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 경로(SP1)는 시스템 후면 커버(600)의 측면에서 방사되어 제 2 음향 경로(SP2)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저중고음역대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고음역대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거나 측면 방향으로 방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음향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내재화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고, 저음역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반사 시트(13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13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13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대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반사 시트(13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반사 시트(13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반사 시트(133)와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반사 시트(133), 도광판(131), 및 광학 시트부(135)를 진동판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13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영역, 예를 들면, 좌측 후면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켜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영역을 진동시켜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으로 인한 제 1 영역의 진동에 따라 갭 공간(GS)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라서 반사 시트(133)를 포함한 백라이트(130)의 진동에 의해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 및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음향(S1)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에 의해 출력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제 2 음향(S2)은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에 의해 출력되며,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일 수 있다.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중음역대는 200Hz 이상에서 3kHz 이하일 수 있으며,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에서도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13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133)와 제 1 플레이트(351) 사이에 접착부재(513)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513)에 의해 반사 시트(133)와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513)는 단면 테이프, 단면 접착 패드, 단면 접착 갭 패드, 단면 접착 폼 패드, 양면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양면 접착 폼 패드, 또는 본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에는 제 1 플레이트(351)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반사 시트(133)의 배면에 접착부재에 의하여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부재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과 동일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위에서 설명한 접착부재(513)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의 후면은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에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5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후면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4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진동 발생 장치(5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5 진동 발생 장치(430)는 제 3 플레이트(353)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6 진동 발생 장치(530)는 제 4 플레이트(3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플레이트(353) 및 제 4 플레이트(354)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430)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530)는 지지부재(300)의 일측 및 타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 1 가장자리 영역(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 2 가장자리 영역(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을 진동시켜 음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 및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의 음향은 고음역대일 수 있다.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5 음향 발생 장치(430) 및 제 6 음향 발생 장치(5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음향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의 일측에는 제 1 홀(371s)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의 일측에는 제 2 홀(372s)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은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의 공간에 연통된 복수의 홀일 수 있다.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은 지지부재(300)에 대한 패터닝 공정 또는 천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은 지지부재(300)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에서의 음향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을 진동시키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으로 인하여 지지부재(300)의 후면 방향으로 제 3 음향 경로(SP3)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3 음향 경로(SP3)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가이드(200)는 홈(200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200s)은 슬릿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 가이드(200)의 홈(200s)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의하여 음향이 측면방향 또는 전면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패널 가이드(200)의 홈(200s)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으로 제 4 음향 경로(SP4)가 발생되고, 제 4 음향 경로(SP4)가 패널 가이드(200)의 측면에서 방사되어 제 5 음향 경로(SP5)으로 되고, 제 5 음향 경로(SP5)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경로(SP4)는 패널 가이드(200)의 가이드 측부(230)에서 방사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저중고음역대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 영역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하여 고음역대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 또는 음파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거나 측면 방향으로 방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음향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내재화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고, 저음역대, 중음역대, 및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상에는 제 1 플레이트(35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51)는 제 1 플레이트(351)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1 플레이트(351) 사이에는 제 1 접착부재(5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51) 상에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410)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420)는 제 1 포밍부(351)에 수용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의 일측에는 제 1 홀(371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제 1 홈(301s)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301s)은 슬릿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제 1 홈(301s)에는 제 5 음향발생장치(4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1 후면 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제 5 음향발생장치(4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 상에는 제 2 플레이트(35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372)는 제 2 플레이트(352)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351) 상에는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510)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520)는 제 2 포밍부(352)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 및 제 2 플레이트(352) 사이에는 제 2 접착부재(5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의 일측에는 제 2 홀(372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는 제 2 홈(302s)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2 홈(302s)은 슬릿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제 2 홈(302s)에는 제 6 음향발생장치(5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 2 후면 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제 6 음향발생장치(5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의 후면에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의 진동 발생 장치가 구성되므로, 저중고 음역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후면의 가장자리에는 고음역대를 출력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성함으로써, 고음역대의 음압이 더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f을 참조하면, 지지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포밍부에 배치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좌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우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에는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저중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포밍부(371)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고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포밍부(371)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에는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저중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제 2 포밍부(372)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고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제 2 포밍부(372)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2 포밍부(372)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과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 배치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포밍부(372)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포밍부(371)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2 포밍부(372)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과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포밍부(372)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제 4 진동 발생 장치 및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제 3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밍부에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모듈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의 각각에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구성하며,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는 각각의 진동 발생 모듈의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에 의해, 음향 및 채널의 분리에 의해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의 각각에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모듈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371)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홀(371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포밍부(372)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홀(372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은 지지부재(300)와 진동 발생 모듈 사이에서의 음향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포밍부의 돌출부 및 홀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301s) 및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302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제 1 포밍부(371) 및 제 2 포밍부(372)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배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에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471) 및 제 2 포밍부(472)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471)에는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472)에는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471) 및 제 2 포밍부(472)에는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3a와 같이 제 1 포밍부(471) 및 제 2 포밍부(472)에는 제 1 홀(371s) 및 제 2 홀(372s)이 배치되는 돌출부가 생략될 수 있다. 돌출부가 없는 제 1 포밍부(471)의 체적은 돌출부가 있는 제 1 포밍부(371)의 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471) 또는 제 2 포밍부(472)의 체적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702Hz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의 제 1 포밍부(371) 또는 제 2 포밍부(372)의 체적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590Hz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가 없는 도 13b로 구성하는 경우의 주파수가 돌출부가 있는 도 13a의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포밍부 또는 제 2 포밍부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3a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c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571), 제 2 포밍부(572), 제 3 포밍부(581), 및 제 4 포밍부(582)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571) 및 제 3 포밍부(58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좌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571) 및 제 3 포밍부(58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572) 및 제 4 포밍부(58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우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572) 및 제 4 포밍부(58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의 각각에는 다른 음역대를 갖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포밍부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571) 및 제 2 포밍부(572)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포밍부(581) 및 제 4 포밍부(582)에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1 포밍부(571) 및 제 4 포밍부(582)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572) 및 제 3 포밍부(581)에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는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며,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가 각각의 진동 발생 장치의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에 의해, 음향 및 채널의 분리에 의해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와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301s) 및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302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배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에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a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포밍부(571, 572, 581, 582)에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671), 제 2 포밍부(672), 제 3 포밍부(681), 및 제 4 포밍부(682)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671), 제 2 포밍부(672), 제 3 포밍부(681), 및 제 4 포밍부(68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671) 및 제 3 포밍부(68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좌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671) 및 제 3 포밍부(68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672) 및 제 4 포밍부(68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우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672) 및 제 4 포밍부(68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각각에는 음역대가 다른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포밍부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671) 및 제 2 포밍부(672)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포밍부(681) 및 제 4 포밍부(682)에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1 포밍부(671) 및 제 4 포밍부(682)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672) 및 제 3 포밍부(681)에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며,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가 각각의 진동 발생 장치의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에 의해 음향 및 채널의 분리에 의해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를 배치하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을 파티션으로 구성하여, 진동 발생 장치 및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3 포밍부(681) 및 제 4 포밍부(682)의 크기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1 포밍부(671) 및 제 2 포밍부(67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3 포밍부(681) 및 제 4 포밍부(682)의 크기가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1 포밍부(671) 및 제 2 포밍부(672)의 크기보다 클 경우 진동 면적 및 공기 체적이 증가하므로, 저음역대의 음압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301s) 및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302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제 1 내지 제 4 포밍부(671, 672, 681, 682)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에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771), 제 2 포밍부(772), 및 제 3 포밍부(780)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771), 제 2 포밍부(772), 및 제 3 포밍부(78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77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좌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77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포밍부(7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우측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포밍부(772)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3 포밍부(78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 중 중앙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의 각각에는 음역대가 다른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포밍부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771) 및 제 2 포밍부(772)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포밍부(780)에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며,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가 각각의 진동 발생 장치의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에 의해 음향 및 채널의 분리에 의해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771, 772, 780)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와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포밍부(771, 772, 780)의 각각에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하고, 제 1 내지 제 4 포밍부(771, 772, 780)를 파티션으로 구성하여 진동 발생 장치와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3 포밍부(780) 의 크기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1 포밍부(771) 및 제 2 포밍부(77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3 포밍부(780)의 크기가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제 1 포밍부(771) 및 제 2 포밍부(772)의 크기보다 클 경우 저음역대의 음압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301s) 및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302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제 1 내지 제 3 포밍부(771, 772, 78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301s) 및 제 2 홈(302s)에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f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포밍부(890)가 구성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89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포밍부(890)에는 음역대가 다른 진동 발생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890)에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1 포밍부(890)에는 중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장치 및 좌측에 배치되는 중음역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장치, 좌측에 배치되는 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와 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음역대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장치 및 우측에 배치되는 중음역 또는 중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진동 발생 모듈은 지지부재(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장치, 우측에 배치되는 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저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와 고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중음역대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포밍부(890)에 음역대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구성하며, 제 1 포밍부(890)가 진동 발생 모듈의 파티션일 수 있다. 파티션에 의해, 음향 및 채널의 분리에 의해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포밍부(890)에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모듈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3e와 같이, 지지부재(3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 및 지지부재(3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 및 제 2 홈은 제 1 포밍부(89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 및 제 2 홈은 지지부재(3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홈 및 제 2 홈은 지지부재(300)의 배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 및 제 2 홈에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음역대의 음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3c 내지 도 13f에서 포밍부의 일측에 배치된 돌출부 및 돌출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포밍부에 서로 다른 음역대를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모듈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압전 복합층(PCL), 제 1 전극(23), 및 제 2 전극(24)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복합층(PCL)은 복수의 제 1 부분(21), 및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 2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복수의 제 1 부분(21)과 복수의 제 2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21)은 압전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부분(22)은 제 1 부분(21)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고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무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무기 물질부는 전기 활성 물질(Electro A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활성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전계에 의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진동하는 무기 물질 또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전기 활성부, 무기 물질부, 압전 물질부, 또는 진동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압전 및 역압전 효과를 가지며, 배향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AB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A는 2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며, B는 4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ABO3의 화학식에서, A 및 B는 cations일 수 있고, O는 anio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bTiO3, PbZr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중앙이온, 예를 들면, PbTiO3일 경우, Ti이온의 위치가 변동되어 분극(polarization)이 변화하여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대칭인(symmetric) 구조인 큐빅(cubic) 형상에서 대칭이 아닌(unsymmetric) 구조인 사각형(tetragonal), 직방형(orthorhombic), 및 마름모(rhombohedral) 등의 형상으로 변함으로써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대칭이 아닌 구조를 갖는 사각형(tetragonal) 및 마름모(rhombohedral)의 상전이 경계영역(Morphotropic Phase Boundary)에서 분극이 높고, 분극의 재배열이 용이하므로 높은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 물질부는 납(Pb), 지르코늄(Zr), 티탄(Ti),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 물질부는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를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기 물질부는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유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부분(21)인 무기 물질부 사이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 사이마다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 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무기 물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stress)를 릴리징(releasing)하여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동발생장치(5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과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21)들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21)과 연결되거나 접착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제 2 부분(22)에 의해 제 1 부분(21)의 단위 격자 내의 링크에 의한 진동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증가할 수 있으며, 압전특성과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가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일측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X)을 따라 제 2 부분(22)과 제 1 부분(21)이 동일 평면 상에서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단일층 구조를 갖는 대면적 복합체 필름(또는 유무기 복합체 필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대면적 복합체 필름은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므로, 구동 전압의 상승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무기 물질부 및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며, 얇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및/또는 기구물에 간섭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화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화하거나 내재화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다각 형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과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21)들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21)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소정의 제 2 넓이(d2)를 갖는 라인 패턴일 수 있으며, 제 1 부분(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오차(또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넓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제 2 부분(22)의 크기는 제 1 부분(2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 각각의 크기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 특성 및/또는 유연성 등의 요구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제 1 부분(21) 대비 낮은 모듈러스(modulus)와 점탄성을 가짐으로써 취성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취약한 제 1 부분(2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내충격성과 고강성을 가질 경우 최대의 진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가 내충격성과 고강성을 갖기 위해서,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은 댐핑 벡터(damping factor)(tan δ)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stiffness)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0.1 ~ 1[Gpa]의 댐핑 벡터(tan δ)와 0 ~ 10[Gpa]의 강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댐핑 벡터(tan δ)와 강성 특성은 손실 계수와 모듈러스의 상관 관계로도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0.01 ~ 1의 손실 계수와 1 ~ 10[Gpa]의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에 구성되는 유기 물질부는 제 1 부분(21)인 무기 물질부와 비교하여 유연한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유기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유기 물질, 유기 폴리머, 유기 압전 물질, 또는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접착부, 신축부, 벤딩부, 댐핑부, 또는 연성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물질부는 유기 압전 물질 및 유기 비압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또는 제 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압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압전 물질은 전기 활성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베타-PVDF(
Figure pat00001
-Polyvinylidene fluoride) 및 PVDF-TrFE(Polyvinylidene-trifluoro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물질부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성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 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비압전 물질은 에폭시 계열 폴리머, 아크릴 계열 폴리머, 및 실리콘 계열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물질부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요구되는 고강성 특성을 위해, 에폭시 수지 및 무기 물질부와의 부착성을 위해 부착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증진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 계 등이 될 수 있다. 유기 물질부는 열경화 및 광경화 중 적어도 하나의 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유기 물질부의 경화 시, 솔벤트의 휘발에 의한 유기 물질부의 수축에 의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두께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용제(solvent free) 타입의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물질부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고강성 이외에 댐핑(damping) 특성을 위해,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제는 코어 쉘 타입(core shell type)의 MBS(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등이 될 수 있으며, 보강제의 함량은 5~40w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제는 코어 쉘 타입의 탄성체로서, 쉘 부분은 아크릴계 폴리머와 같은 에폭시 수지와 높은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진동발생장치(50)의 내충격성 또는 댐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전 복합층(PCL)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압전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21)과, 유기 물질로 이루어져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제 2 부분(22)이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연결됨으로써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 복합층(PCL)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형상과 대응되어 휘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설정된 진동 특성 또는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21)의 크기 및 제 2 부분(22)의 크기는 압전특성 및 유연성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보다 압전특성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1 부분(21)의 크기가 제 2 부분(22)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압전특성보다 유연성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 2 부분(22)의 크기가 제 1 부분(21)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압전 복합층(PCL)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압전 복합층(PCL)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 1 전극(23)은 압전 복합층(PCL)의 제 1 면(또는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23)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24)은 압전 복합층(PCL)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또는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24)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24)은 제 1 전극(23)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제 1 보호층(25) 및 제 2 보호층(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층(25)은 제 1 전극(23) 상에 배치되고 압전 복합층(PCL)의 제 1 면 또는 제 1 전극(2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층(25)은 PI(polyimide)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보호층(26)은 제 2 전극(24) 상에 배치되고 압전 복합층(PCL)의 제 2 면 또는 제 2 전극(24)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층(26)은 PI(polyimide)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넓이(d1)를 가지면서 제 2 방향(Y)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은 제 1 넓이(d1)와 동일한 제 2 넓이(d2)를 가지면서 제 2 방향(Y)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라인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이 동일 평면에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또는 연결)됨으로써 단일 또는 하나의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진동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2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 제 2 부분(22)에 의해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은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의 측면 결합(또는 연결)에 의해 원하는 크기 또는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이 배치된 압전 복합체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이 배치되며, 제 1 전극(23) 및 제 2 전극(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이 배치되며, 제 1 전극(23) 및 제 2 전극(24)과 제 1 보호층(25) 및 제 2 보호층(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무기 물질부(제 1 부분) 및 유기 물질부(제 2 부분)가 동일층에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로 전달되는 충격이 유기 물질부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무기 물질부의 파손 및 파손에 의한 진동 성능 저하(또는 음향 성능 저하)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또는 기계적 변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발생장치(50)는 무기 물질부(제 1 부분)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무기 물질부가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휨 방향이 교대로 바뀌는 휨 현상에 의해 진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 또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전기 신호에 의해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기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내장된 터치 패널(또는 터치 센서층)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동기되는 햅틱 피드백 신호(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킬 수 있는 햅틱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피드백을 출력하는 햅틱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또는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6a는 도 14의 진동 발생 모듈의 양단이 상방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4의 진동 발생 모듈의 양단이 하방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하는 압전 복합체는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이 인가되는 신호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제 1 길이 방향(X)의 양단(EP)이 상방(+Z)으로 접히거나 하방(-Z)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채워지거나 배치된 복수의 제 2 부분(22) 각각이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압전 복합층(PCL)의 양단(EP)이 상방(+Z) 또는 하방(-Z)으로 휘어져도, 제 1 부분(21)인 무기 물질부의 파손 또는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체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휘어진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나선 형태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감기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bendable display apparatus), 또는 손목에 감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apparatus)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지 벤딩 디스플레이 장치, 베젤 벤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액티브 벤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은 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복합층(PCL)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21), 및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을 둘러싸는 제 2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 특성을 갖는 무기 물질부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22)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배치되거나 채워져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 2 부분(22)은 전술한 바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유기 물질부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22)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압전 복합층(PCL)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이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의 변형에 대응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원판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타원 형태, 다각 형태, 또는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이 미세한 원 형태, 타원 형태, 다각 형태, 또는 도넛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22)의 유연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라인 형태를 갖는 제 1 부분(21)(또는 무기 물질부)으로 인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한 2차원 형태로만 변형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 형태를 갖는 제 1 부분(21)(또는 무기 물질부)으로 인하여 2차원 형태뿐만 아니라 3차원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을 갖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에 따른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2차원 또는 3차원 형태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은 삼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복합층(PCL)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21), 및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을 둘러싸는 제 2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삼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삼각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 특성을 갖는 무기 물질부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로서, 복수의 제 1 부분(21) 중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21)은 사각 형태(또는 정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21) 각각의 꼭지점은 사각 형태의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부분(21) 중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21)은 육각 형태(또는 정육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육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21) 각각의 꼭지점은 육각 형태의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21) 중 인접한 2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부분(21)은 2N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22)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배치되거나 채워져 복수의 제 1 부분(21) 각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 2 부분(22)은 전술한 바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유기 물질부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22)은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압전 복합층(PCL) 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이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의 변형에 대응하여 2차원 형태뿐만 아니라 3차원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을 갖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다양한 3차원 형태의 변형에 상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삼각 형태 또는 육각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21)은 다양한 형상에 대응될 수 있는 미세 패턴일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의 제 1 부분(21) 사이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22)의 유연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음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음향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3은 도 10에서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가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플레이트(353, 354)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는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플레이트(353, 354)의 후면에 배치된 것이다. 도 20b는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플레이트(353, 354)의 측면에 배치된 것이다. 도 20c는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플레이트(353, 354)의 배면 및 측면에 배치되며, 측면에서 테이퍼를 갖고 배치한 것이다. 테이퍼를 갖고 배치되는 것은 전반사 조건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도 20d는 진동 발생 장치(430, 530)가 플레이트(353, 354)의 후면 및 측면에 배치되며, 측면에서 플랫하게 배치된 것이다. 플랫하게 배치되는 것은 전반사 조건을 갖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도 20a 내지 도 20d에서 진동 발생 장치가 플레이트에 배치된 실시예를 설명하나, 진동 발생 장치가 지지부재에 배치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예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의 후면 또는 지지부재의 후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후면일 수 있다.
도 21은 도 20a 내지 도 20c의 음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압은 음향 방사위치의 중앙을 측정위치의 중앙으로 하고, Free field microphone으로 측정하였다. 주파수는 B&K Pulse LAN-XI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0a의 진동 발생 모듈인 A의 음압은 약 78.8 dB임을 알 수 있다. 도 20b의 진동 발생 모듈인 B의 음압은 약 87.7 dB임을 알 수 있다. 도 20c의 진동 발생 모듈인 C의 음압은 약 79.1 dB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0b와 같이 진동 발생 모듈이 지지부재 또는 플레이트의 측면에 배치될 경우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공간은 제한적이므로, 측면의 공간에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기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지지부재의 측면을 포함하고 지지부재의 후면에 배치될 경우에 대해서 음향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도 22a는 도 20d의 음향특성이고, 도 22b는 도 20c의 음향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향속도는 음향 방사위치의 전면 중앙을 측정 위치의 중앙으로 하고 Intensity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인 신호로 7.7Vrms 전압을 인가하였다. 분석장비는 B&K Pulse LAN-XI FFT Analyzer로 측정하였다.
도 22a 및 도 22b에서 Min. 에서 Max.로 갈수록 음속(acoustic velocity)이 커지게 된다. 도 22a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 장치가 플레이트 또는 지지부재의 측면에 플랫하게 배치될 경우에는 음속의 최대값(Max.)이 514.01mm/s이고, 최대값을 기준으로 원형을 이루며 전면방사됨을 알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또는 지지부재의 후면 및 측면에 진동 발생 장치가 테이퍼를 갖고 배치될 경우에는 음속의 최대값(Max.)이 710.83mm/s이고, 최대값이 넓게 분포되며,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반사를 갖도록 테이퍼를 갖고 배치될 경우, 지지부재의 후면과 측면과의 사이에서 음향이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가 플레이트 또는 지지부재의 측면에서 테이퍼를 갖고 배치될 경우 음속방향이 방사 위치로 방향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23에서 실선은 도 20c의 음향출력특성이고, 점선은 도 20d의 음향출력특성이다. 음향출력특성은 음향 방사위치의 전면에서 10cm의 간격을 두고 측정하였으며, 사인 신호로 7.7Vrms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LAN-XI FFT Analyzer의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공기에서 방사되는 음압을 측정하였다. 도 2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또는 지지부재의 후면 및 측면에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고 측면에서 테이퍼를 갖고 배치될 경우, 도 20d와 비교하여 5kHz 내지 20kHz에서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 장치가 플레이트 또는 지지부재의 측면에 배치될 경우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의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음압을 고려하여 지지부재의 측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테이퍼를 갖도록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경우, 음압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패널 가이드(200), 지지부재(300),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및 구조물(9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의 후면에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지지부재(300)의 제 1 및 제 2 포밍부(371, 37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의 기울어진 정도는 지지부재(3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부재(800)가 배치된 측이 지지부재(300)의 일측일 경우, 지지부재(30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지지부재(300)의 기울어진 정도는 커질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800)는 지지부재(300)와 구조물(9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800)는 단면 접착제, 단면 폼 접착제, 단면 테이프, 단면 폼 테이프, 양면 접착제, 양면 폼 접착제,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또는 본드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9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9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므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구조물(900)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9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900)은 바닥부(910), 음향 안내부(920), 및 측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910)는 지지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9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바닥부(910)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안내부(920)는 바닥부(910)와 측부(9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측부(930)의 내측면과 바닥부(910) 사이의 모서리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92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음향 안내부(920)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구조물(900)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920)는 곡면 형태 또는 모서리 라운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안내부(920)가 곡면 형태 또는 모서리 라운딩 형태일 경우,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서 진행하는 음향의 반사가 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모듈(400)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경로는 제 6 음향 경로(SP6)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경로(SP6)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경로(SP6)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서 진행하는 측면 방향 및 전면 방향(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경로(SP6)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 사이의 갭 공간(GS)(또는 음방출공간)에서 반사되는 측면방향 및 전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의 후면 사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및/또는 구조물(9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및/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해서 지지부재(300)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의 음향이 반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지지부재(300)의 중심부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는 프레스포밍 또는 프레스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측면에서의 음향출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일측에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지지부재(300)의 중심부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지지부재(300)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에서의 음향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420)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 및/또는 구조물(9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해서 지지부재(300)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의 음향이 반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내용에서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이 반사 시트에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패널 가이드(200), 지지부재(300),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및 구조물(9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반사 시트(13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과, 지지부재(300)의 후면 사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은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어진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및/또는 구조물(9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및/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지지부재(300) 및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의 음향이 반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은 지지부재(300)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에서의 음향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420)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 및/또는 구조물(9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는 음향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지지부재(300) 및 적어도 하나의 홀(300s)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00)는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 사이의 음향이 반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900)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파티션(600)이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60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파티션(600)은 음향을 분리하거나 채널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음향의 간섭으로 인한 투명하지 않은 음향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파티션(6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제 1 파티션(6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파티션(610)은 지지부재(300O의 전면 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파티션(61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갭은 진동 공간, 음압 공간, 울림통, 울림부, 공명통 또는 공명부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파티션(610)은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파티션(61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파티션(610)은 단면 접착제, 단면 폼 접착제, 단면 테이프, 단면 폼 테이프, 양면 접착제, 양면 폼 접착제,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또는 본드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제 1 포밍부(371)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파티션일 수 있고, 제 2 포밍부(372)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의 파티션일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제 1 파티션(6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전체를 둘러싸는 제 2 파티션(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62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반사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 2 파티션(620)은 제 1 파티션(6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6c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제 1 파티션(6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을 둘러싸는 제 3 파티션(63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둘러싸는 제 4 파티션(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파티션(6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파티션(630)은 제 1 포밍부(371)의 형태와 같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포밍부(371)가 정사각 형태를 가질 경우, 제 3 파티션(630)은 정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3 파티션(630)은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의 형태와 같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3 파티션(630)은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영역 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하거나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파티션(63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영역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므로, 좌측 음향의 저중음역대 또는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다.
제 4 파티션(6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파티션(64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의 대칭성을 위해서, 제 3 파티션(63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4 파티션(640)은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영역 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하거나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파티션(64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영역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므로, 우측 음향의 저중음역대 또는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이 향상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파티션(630, 640)은 제 1 파티션(6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3 및 제 4 파티션(630, 64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진동 영역 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의 좌우 대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좌우 음향 각각의 음압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 3 및 제 4 파티션(630, 640)이 배치될 경우, 제 1 파티션(61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을 구성하는 압전 복합체가 표시 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모듈의 진동 특성은 진동 발생 모듈을 기준으로 장축방향일 경우 진동이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 모듈의 장축방향(또는 후면 커버의 세로방향)과 직교하도록 압전 복합체가 배치될 경우 진동 발생 모듈의 진동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압전 복합체는 표시 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과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a를 참조하면, 파티션(600)은 제 1 파티션(610) 및 제 2 파티션(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620)은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파티션(620)은 제 1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400, 500)의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제 2 파티션(620)은 제 1 파티션(6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b를 참조하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을 둘러싸는 제 3 파티션(630) 및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둘러싸는 제 4 파티션(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파티션(6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진동 발생 모듈(400)을 둘러싸는 원형태일 수 있다. 제 4 파티션(6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진동 발생 모듈(500)을 둘러싸는 원형태일 수 있다. 나머지 설명은 도 26c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스피커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극장용 장치, 극장용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진동 발생 모듈은 유기발광 조명장치 또는 무기발광 조명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진동 발생 모듈이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경우 스피커 또는 리시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포밍부 상에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 1 플레이트 상에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1 포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 및 제 2 홈, 및 제 1 홈 및 제 2 홈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와 제 5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지지부재와 제 6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되는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제 1 후면 영역 및 제 2 후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후면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후면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와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 및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제 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의 일측에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및 제 3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1 진동 발생 장치 또는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제 3 포밍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제 3 포밍부, 및 제 4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제 3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제 4 포밍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 내지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지지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지지부재의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지지부재의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와 제 5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지지부재와 제 6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되며,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 지지부재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 제 1 홈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홈에 배치되는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플레이트 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는 저중음역대 또는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2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및 제 3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2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3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제 3 포밍부, 및 제 4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제 1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2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3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4 포밍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4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며,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지는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적어도 하나의 홈의 각각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지지부재의 측면 및 후면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지지부재의 측면 및 후면에 배치되며 테이퍼를 갖도록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진동 발생 모듈은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모듈을 둘러싸는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30: 백라이트 200: 패널 가이드
300: 지지부재 400, 500: 진동 발생 모듈
410, 420, 430, 510, 520, 530: 진동 발생 장치

Claims (40)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밍부 상에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상기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상기 제 1 포밍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 및 제 2 홈; 및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5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6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대응하는 상기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은 제 1 후면 영역 및 제 2 후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후면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후면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와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 및
    상기 제 1 포밍부 및 상기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제 2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밍부 및 상기 제 2 포밍부의 일측에는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2 포밍부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및 제 3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또는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3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제 3 포밍부, 및 제 4 포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2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3 포밍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4 포밍부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내지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5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6 진동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진동 발생 장치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1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 2 후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1 홈;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 2 홈;
    상기 제 1 홈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홈에 배치되는 제 6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다른 음역대를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는 저중음역대 또는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및 제 2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4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및 제 3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 1 포밍부, 제 2 포밍부, 제 3 포밍부, 및 제 4 포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1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2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4 포밍부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 중 제 3 진동 발생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에 배치되며,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4 진동 발생 장치는 중음역대 또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달라지는 복수의 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진동 발생 장치는 압전 복합체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각각에 배치되는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제 6 진동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진동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6 진동 발생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및 후면에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및 후면에 배치되며 테이퍼를 갖도록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 모듈은 반사 시트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모듈을 둘러싸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80131A 2019-12-31 2019-12-31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131A KR20210086304A (ko) 2019-12-31 2019-12-31 디스플레이 장치
US17/112,099 US11797260B2 (en) 2019-12-31 2020-12-04 Display apparatus
JP2020202905A JP7136877B2 (ja) 2019-12-31 2020-12-07 ディスプレイ装置
CN202410306775.5A CN118197190A (zh) 2019-12-31 2020-12-07 显示设备
CN202410306772.1A CN118197189A (zh) 2019-12-31 2020-12-07 显示设备
CN202410306769.XA CN118197188A (zh) 2019-12-31 2020-12-07 显示设备
CN202011417977.5A CN113126340B (zh) 2019-12-31 2020-12-07 显示设备
JP2022139000A JP7504171B2 (ja) 2019-12-31 2022-09-01 ディスプレイ装置
US18/375,340 US20240028290A1 (en) 2019-12-31 2023-09-2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131A KR20210086304A (ko) 2019-12-31 2019-12-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304A true KR20210086304A (ko) 2021-07-08

Family

ID=7654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80131A KR20210086304A (ko) 2019-12-31 2019-12-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97260B2 (ko)
JP (2) JP7136877B2 (ko)
KR (1) KR20210086304A (ko)
CN (4) CN1181971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2085B (zh) * 2021-09-07 2024-02-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移動終端
KR20230103732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치
WO2023182088A1 (ja) * 2022-03-25 2023-09-28 ソニー イーエムシーエス (マレーシア) センディリアン ベラハッド 表示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955A (ja) 1991-09-10 1993-03-26 Sony Corp テレビセツト
JPH07327297A (ja) 1994-05-31 1995-12-12 Hitachi Metals Ltd 圧電スピーカ
JP3101992B2 (ja) 1994-09-26 2000-10-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における音響装置
EP1271998B1 (en) * 2001-06-28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049056B2 (ja) 2003-08-27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パネル型表示装置
TW200610266A (en) * 2004-06-03 2006-03-16 Sony Corp Thi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697095B2 (ja) * 2006-08-29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電子機器および遊技機器
JP4301300B2 (ja) 2007-02-05 2009-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56038B2 (ja) 2007-02-06 2012-10-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5060443B2 (ja) 2008-09-25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ネル状スピーカー
JP5884048B2 (ja) 2010-12-02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圧電スピーカおよび圧電スピーカアレイ
JP5626461B2 (ja) * 2011-05-11 2014-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WO2014097632A1 (ja) * 2012-12-20 2014-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映像音響機器、携帯型情報処理装置、移動体、およびイヤーホン
WO2014115697A1 (ja) * 2013-01-28 2014-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6015497B2 (ja) 2013-03-01 2016-10-26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25786B1 (ko) * 2013-07-0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01870B1 (ko) 2013-07-05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6107B1 (ko) *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5180053A (ja) 2014-02-26 2015-10-08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102119583B1 (ko) * 2014-03-31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6021738A (ja) 2014-06-18 2016-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70114471A (ko) * 2016-04-05 2017-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102259805B1 (ko)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0990B1 (ko) * 2016-12-09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489291B2 (ja) 2016-12-27 2019-03-27 ソニ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KR102671346B1 (ko) * 2017-02-08 2024-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73433B1 (ko) * 2017-04-29 2022-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409913B2 (ja) 2017-06-27 2018-10-24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420554B1 (ko) *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8383B1 (ko) 2017-12-13 2023-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US10440848B2 (en) * 2017-12-20 2019-10-08 Immersion Corporation Conformable display with linear actuator
KR20200145972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3578B1 (ko) * 2019-06-24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02500A (ja) 2023-01-10
US11797260B2 (en) 2023-10-24
CN118197189A (zh) 2024-06-14
US20240028290A1 (en) 2024-01-25
US20210200503A1 (en) 2021-07-01
CN118197188A (zh) 2024-06-14
CN118197190A (zh) 2024-06-14
CN113126340B (zh) 2024-04-05
CN113126340A (zh) 2021-07-16
JP2021111966A (ja) 2021-08-02
JP7136877B2 (ja) 2022-09-13
JP7504171B2 (ja) 202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171574B (zh) 声音生成装置
JP750417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683447B1 (ko) 표시 장치
US20230222986A1 (en)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20200083208A (ko) 진동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
CN114615606A (zh) 显示设备和包括该显示设备的车辆
KR20210086027A (ko) 표시장치
KR20210112112A (ko) 표시장치
US1191734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JP723806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20097278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KR20220097279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KR20210142887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