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278A -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278A
KR20220097278A KR1020210189238A KR20210189238A KR20220097278A KR 20220097278 A KR20220097278 A KR 20220097278A KR 1020210189238 A KR1020210189238 A KR 1020210189238A KR 20210189238 A KR20210189238 A KR 20210189238A KR 20220097278 A KR20220097278 A KR 2022009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isposed
hole
vibration device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슬기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121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105325A/ja
Priority to TW110149460A priority patent/TW202228447A/zh
Priority to CN202111640538.5A priority patent/CN114697819A/zh
Priority to US17/564,801 priority patent/US11917346B2/en
Priority to TW112134556A priority patent/TW202402065A/zh
Publication of KR2022009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278A/ko
Priority to JP2023148712A priority patent/JP202316927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제 1 커버,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덮는 진동 장치, 및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 및 진동 장치를 둘러싸는 제 1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본 명세서는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에 별도의 스피커를 배치할 경우, 스피커는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장치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음향(또는 음파)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 또는 사용자의 몰입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음향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진동 부재(또는 표시 부재)를 진동시켜 장치의 전방으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음향 특성 및/또는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제 1 커버,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덮는 진동 장치, 및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 및 진동 장치를 덮는 제 1 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홀과 제 2 홀을 포함하는 제 1 부재, 제 1 홀에 배치된 제 1 진동 장치, 제 2 홀에 배치된 제 2 진동 장치, 및 진동 부재의 후면에 연결되고 가이드 부재와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를 덮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패널 또는 진동 부재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음질과 음향 성능 및 음압 특성이 개선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또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장치의 후면에 있는 부재를 구성하므로,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이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부재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음질과 음향 성능 및/또는 음압 특성이 개선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청자(또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부재를 구성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에어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음역대를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므로, 고음역대를 포함한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이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림한 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진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C'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장치의 연결 구조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장치의 연결 구조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구성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된 경우, 제 3 구성요소 또는 층이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1-1, 제 1-2, 제 2-1, 제 2-2, 제 1, 제 2, A, B, (a), (b)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 위에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거나, 개재되는 구성 요소 또는 층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거나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제 2, 및 제 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각 개별의 구성요소, 제 1, 제 2, 및 제 3 구성요소의 각각뿐만 아니라, 세 개의 구성요소의 두 개의 모든 세 개의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발광 표시 장치(OLED)와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LCD 또는 OLED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차량용 또는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장치는 LCD 또는 OLED등과 같은 표시 장치 자체, 및 LCD 또는 OLED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D 또는 OLED를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D 또는 OLED를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PCB를 포함할 수 있다. 세트장치는 소스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구동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는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 통제 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장치는 장치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는 영상, 예를 들면,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 또는 정지 영상(still image) 또는 비디오 영상(video 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장치는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음향 및/또는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는 일 영역에서 제 1 음향 및/또는 제 1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고, 타 영역에서 제 2 음향 및/또는 제 2 햅틱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음향(S1, S2)(또는 진동 음향 또는 디스플레이 진동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에서, 표시 부재(200)는 진동 장치에 의해 진동하여 음향(S1, S2)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부재(200)를 음향 발생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위한 진동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부재(200)를 음향 발생을 위한 진동판으로 하여 화면 전방(FD)으로 음향(S1, S2)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음향 전달이 가능하며, 음질이 개선되고 시청자 또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는 진동 부재, 진동 대상물, 표시 패널, 또는 진동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면 부재(100), 표시 부재(200), 가이드 부재(300), 제 1 커버(400),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 제 1 부재(600), 및 제 2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부재(100)는 장치의 최전방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전면에 배치되고, 표시 부재(200)의 화면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전면(前面)을 덮음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부재(20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함으로써 음향(S)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서로 다른 영역에서 서로 다른 음향(S1, S2)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글라스 재질,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부재(1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부재(1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부재(10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전면 구조물, 전면 윈도우, 커버 윈도우, 글라스 윈도우, 커버 스크린, 스크린 커버, 또는 윈도우 글라스 등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비표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투명 영역과, 표시 부재(200)의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투명 영역(또는 차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투명 영역은 표시 부재(200)의 비표시 영역뿐만 아니라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가릴 수 있다.
전면 부재(100)는 표시 부재(200)의 외형 또는 외곽 테두리와 상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직사각 형태 또는 정사각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 형태를 가지거나 곡선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한 변 이상을 포함하는 비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 1 연결 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의 각 측면과 각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와 제 2 커버(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와, 제 2 커버(700)의 상부 내측면 사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전면 부재(100)와 제 2 커버(700)를 연결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전면 부재(100)와 제 2 커버(700)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전면 부재(100)와 제 2 커버(700) 사이로 빛이 새는 것(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부재(110)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재(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공정 택 타임(Tact Time)을 고려할 경우,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110)는 유색(예를 들면, 청색, 적색, 청록색, 또는 흑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부재(110)는 측면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유색 수지 또는 광 차단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부재(200)는 전면 부재(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은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 또는 정지 영상(still image) 또는 비디오 영상(video 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부재(20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는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전자 습윤 표시 패널, 또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등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부재(200)의 후면(또는 배면)은 중간 부분(CP) 및 가장자리 부분(E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의 후면은 중간 부분(CP) 및 중간 부분(C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한 2개의 가장자리 부분(EP1, EP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200)의 중간 부분(CP)은 제 1 중간 부분(C1) 및 제 2 중간 부분(C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중간 부분(C1)은 중간 부분(CP)의 좌측 부분(또는 좌측 중간 부분)일 수 있으며, 제 2 중간 부분(C2)은 중간 부분(CP)의 우측 부분(또는 우측 중간 부분)일 수 있다. 제 1 중간 부분(C1)과 제 2 중간 부분(C2)은 표시 부재(200)의 제 1 방향(X)(또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표시 부재(200)의 제 1 중간 라인(또는 가로 중간 라인)(CL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제 1 중간 부분 (C1)과 제 1 가장자리 부분(EP1)은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또는 좌측 부분)(P1)을 구성하고, 제 2 중간 부분(C2)과 제 2 가장자리 부분(EP2)은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또는 우측 부분)(P2)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부재(200)는 표시 패널(210) 및 백라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2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의 후면에 배치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은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 또는 정지 영상(still image) 또는 비디오 영상(video image)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백라이트(2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에 대한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패널 본딩 부재(또는 연결 부재 또는 투명 점착 부재)를 이용한 본딩 공정을 통해 전면 부재(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본딩 부재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직사각 형태 또는 정사각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 형태를 가지거나 곡선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한 변을 포함하는 비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거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면 부재(100)는 비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비다각 형태 또는 직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또는 구동)에 따라 진동하여 전방(FD)으로 음향(S1, S2)을 출력하는 진동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10)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 및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전방(FD)으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음역대와 제 2 음역대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은 표시 패널(210)의 제 1 부분(또는 좌측 부분)(P1)에서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은 표시 패널(210)의 제 2 부분(또는 우측 부분)(P2)에서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는 진동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10)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좌측 부분(P1)에서 제 1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고 우측 부분(P2)에서 제 2 햅틱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10)은 제 1 가장자리 부분(EP1)에서 제 1 햅틱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 2 가장자리 부분(EP2)에서 제 2 햅틱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제 1 기판(211), 제 2 기판(213), 제 1 편광 부재(215), 및 제 2 편광 부재(217)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기판(211)은 하부 기판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판(211)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211)은 제 1 가장자리에 마련된 패드부, 및 제 2 가장자리에 마련된 게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화소 어레이 및 게이트 구동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 및 게이트 제어 신호 라인을 통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에 내장(또는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 회로는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일 수 있다. 또는,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기판(211)에 내장되지 않고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되어 구동 회로에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기판(213)은 상부 기판 또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기판(213)은 제 1 기판(211)에 형성된 각 화소 영역에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화소 패턴, 및 개구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판(213)은 제 1 기판(2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기판(213)은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제 2 기판(213)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합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제 1 기판(211) 및 제 2 기판(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층은 각 화소마다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 분자들의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편광 부재(215)는 제 1 기판(211)의 후면에 부착되어 백라이트(230)로부터 입사되어 액정층으로 진행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제 2 편광 부재(217)는 제 2 기판(213)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2 기판(213)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켜 장치의 전면(a front surface)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전면 부재(100)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층은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은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자기(self) 정전 용량 방식에 따라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센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전극층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은 애드-온(add-on) 방식의 터치 패널이거나 인-셀(in cell) 방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제 1 기판이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기판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이 상하 반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패드부는 별도의 기구물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10)은 곡면 형태 또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벤딩되거나 휘어진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의 벤딩부는 표시 패널(210)에서 서로 나란한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타측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현될 수 있다. 벤딩부를 구현하는 표시 패널(21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 및/또는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비표시 영역만을 포함하거나,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의 벤딩에 의해 구현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210)은 일측 베젤 벤딩 구조 또는 양측 베젤 벤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과 비표시 영역의 벤딩에 의해 구현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210)은 일측 액티브 벤딩 구조 또는 양측 액티브 벤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백라이트(23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210)의 후면에 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230)는 표시 패널(210)과 제 1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커버(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230)는 도광판(231), 광원부(233), 반사 시트(235), 및 광학 시트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2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판(231)은 표시 패널(210)과 중첩되도록 제 1 커버(400)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마련된 입광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231)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31)은 광원부(233)로부터 입광면 위에 입사되는 광을 표시 패널(210) 쪽으로 진행(또는 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231)은 광 가이드 부재 또는 평면 광원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부(233)는 도광판(231)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233)는 표시 패널(21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도록 도광판(231)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233)는 가이드 부재(300)와 제 1 커버(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233)는 가이드 부재(300)의 지지부(310)와 제 1 커버(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부(232)는 광원용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도광판(231)의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패널 가이드 또는 가이드 패널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시트(235)는 도광판(2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시트(235)는 도광판(231)의 후면과 제 1 커버(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235)는 도광판(23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231) 뒤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237)는 도광판(231)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237)는 도광판(231)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237)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부(237)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1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광의 확산과 집광 기능을 갖는 한 장의 복합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부재(200)는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210)의 제 1 가장자리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 패널(210)의 각 화소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210)의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210)의 터치 전극층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통해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부는 제 1 커버(4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210)의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커버(400)의 측면 및 후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인쇄 회로 기판, 제어 회로, 및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부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는 유저 커넥터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각각은 표시 패널(210)의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에 마련된 패드부에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각각은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또는 제 1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되어 제 1 커버(400)의 후면의 일 가장자리(또는 제 1 후면 가장자리)에서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각각에 개별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는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화소별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각각은 칩 본딩 공정에 의해 제 1 기판(211)의 제 1 가장자리에 직접 실장되어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은 생략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각각과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을 통해 표시 패널(21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하는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 각각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회로 필름 각각의 벤딩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1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는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동기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메인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회로는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스타트 신호, 복수의 게이트 쉬프트 클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는 소스 스타트 신호, 소스 쉬프트 클럭,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제어 회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210)의 터치 전극층에 연결된 터치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구동 회로는 터치 전극층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 각각을 통해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여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로우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의 좌표 정보를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또는 호스트 시스템)은 메인 보드, 메인 보드에 실장된 각종 회로, 각종 저장 매체, 주변 장치, 키보드, 및 전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에 실장된 각종 회로는 각종 정보 처리를 위한 중앙 제어 회로, 중앙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 회로, 및 중앙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음향을 처리하는 음향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은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타이밍 동기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 회로에 제공하며, 음향 신호 또는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회로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음향 신호는 영상 데이터와 동기되거나 영상 데이터와 동기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은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의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터치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호스트 시스템은 터치 구동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터치의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과 백라이트(230)의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EP)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백라이트(230)의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제 1 커버(400)의 측면을 덮고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EP)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CP)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사각 형상 (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가 개구부를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므로, 가이드 부재(300)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표시 패널(210)의 최후면과 백라이트(230)의 최상면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함으로써 음 전달 공간(STS)에 전달되는 음압의 누설(또는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음 전달 공간(STS)은 백라이트(2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압 발생 공간일 수 있다. 음 전달 공간(STS)은 음압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는 패널 진동 공간으로서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 부재(35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연결 부재(370)는 백라이트(230)의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는 제 2 연결 부재(350)를 매개로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에 배치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제 3 연결 부재(370)를 매개로 백라이트(230)의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결 부재(350)의 전면이 표시 패널(210)의 제 1 기판(211)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에 배치되거나 연결되고, 제 2 연결 부재(350)의 후면이 가이드 부재(300)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연결됨으로써, 표시 패널(210)과 가이드 부재(300)는 제 2 연결 부재(3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210)는 제 2 연결 부재(350)를 통해 가이드 부재(300)에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350)는 제 1 기판(211)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에 배치되어 제 1 편광 부재(215)의 측면을 둘러쌈으로써 제 1 편광 부재(215)에서 발생되는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350)는 표시 패널(210)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 전달 공간(STS)은 가이드 부재(300) 및 제 2 연결 부재(35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연결 부재(370)의 전면이 가이드 부재(300)의 후면에 배치되거나 연결되고, 제 3 연결 부재(370)의 후면이 백라이트(230)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부재(300)와 백라이트(230)는 제 3 연결 부재(3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230)는 제 3 연결 부재(370)를 통해 가이드 부재(300)에 고정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는 제 3 연결 부재(370)가 삽입(또는 수용)되는 홈(390)을 더 포함하고, 제 3 연결 부재(370)는 홈(390)에 삽입(또는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390)은 백라이트(230)의 전면과 중첩하는 가이드 부재(3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연결 부재(370)는 홈(390)에 삽입(또는 수용)되더라도 백라이트(230)와 가이드 부재(300)를 연결할 수 있는 두께(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연결 부재(370)는 홈(390)의 두께(또는 높이)와 같거나 오차 범위 내에서 홈(390)보다 큰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연결 부재(370)가 홈(390) 내에 삽입되거나 수용되므로, 제 3 연결 부재(370)에 의한 장치의 두께 증가를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음 전달 공간(STS)의 높이를 설정할 시에 제 3 연결 부재(390)의 높이 또는 두께를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음 전달 공간(STS)의 높이는 가이드 부재(300)와 제 2 연결 부재(350)의 두께 또는 높이의 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및 제 3 연결 부재(350, 370)는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연결 부재(350, 370)는 가이드 부재(300)의 진동이 표시 패널(21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및 제 3 연결 부재(350, 370)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층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양면 폼 접착 패드를 포함하거나 아크릴 계열의 접착 수지 경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30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금속 재질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3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표시 패널(210)의 가장자리 부분(EP)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손실 없이 가이드 부재(300)에서 표시 패널(2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표시 패널(210)의 강성을 유지시키면서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표시 패널(210)에 전달하기 위해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는 지지부(310), 및 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300)는 지지부(310)와 측부(3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자 (또는 감마 형상) 또는 "┏"자 형상(또는 회전된 "┓"자 )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10)는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1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과 백라이트(230)의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10)는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10)는 표시 패널(210)과 백라이트(230) 사이에 음 전달 공간(ST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10)는 표시 패널(210)의 후면의 가장자리 부분(EP)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CP)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사각 형상(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부(3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결 부재(350)는 지지부(3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연결 부재(370)는 지지부(3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390)은 지지부(3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측부(330)는 지지부(310)에 연결되며, 백라이트(2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330)는 제 1 커버(4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330)는 지지부(310)로부터 제 1 커버(400)의 측면 쪽으로 벤딩되어 제 1 커버(400)의 측면을 덮고 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400)는 표시 부재(200)를 지지하며, 표시 부재(200)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400)는 진동 장치(5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400)는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 또는 금속 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400)는 알루미늄(Al) 재질, 마그네슘(Mg) 재질, 마그네슘(Mg) 합금 재질, 마그네슘 리튬(Mg-Li) 합금 재질, 및 알루미늄(Al) 합금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커버(400)는 후면부(410) 및 측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410)는 표시 부재(2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부(430)는 후면부(4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어 표시 부재(2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제 1 커버(4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부(410)는 표시 부재(20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표시 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는 표시 부재(200)의 백라이트(230)를 지지하고, 진동 장치(5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는 백라이트(23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는 백라이트(230)의 반사 시트(235)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는 백라이트(23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백라이트(230)로 전달할 수 있다.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는 중간 영역(또는 제 1 커버 영역)(MA) 및 가장자리 영역(또는 제 2 커버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중간 영역(또는 제 1 커버 영역)(MA)은 표시 부재(200)의 중간 부분(CP)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가장자리 영역(또는 제 2 커버 영역)(EA)은 표시 부재(200)의 가장자리 부분(EP)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중간 영역(MA)은 제 1 중간 영역(또는 좌측 중간 영역)(MA1) 및 제 2 중간 영역(또는 우측 중간 영역)(M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1 중간 영역(또는 좌측 중간 영역)(MA1)은 표시 부재(200)의 제 1 중간 부분(C1)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2 중간 영역(또는 우측 중간 영역)(MA2)은 표시 부재(200)의 제 2 중간 부분(C2)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가장자리 영역(EA)은 제 1 가장자리 영역(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EA1) 및 제 2 가장자리 영역(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E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1 가장자리 영역(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EA1)은 표시 부재(20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2 가장자리 영역(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EA2)은 표시 부재(200)의 제 2 가장자리 부분(EP2)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중간 영역(MA1)과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은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또는 좌측 영역)(A1)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중간 영역(MA2)과 제 2 가장자리 영역(EA2)는 후면부(410)(또는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또는 우측 영역)(A2)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은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과 대응(또는 중첩)되고, 제 2 영역(A2)은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측면부(430)는 백라이트(230)와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430)는 백라이트(230)의 측면과 가이드 부재(300)의 측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부(430)는 제 4 연결 부재(430a)를 매개로 백라이트(2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연결 부재(430a)는 측면부(430)와 백라이트(23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부(430)는 제 5 연결 부재(430b)를 매개로 가이드 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연결 부재(430b)는 제 1 커버(400)의 측면부(430)와 가이드 부재(300)의 측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연결 부재(430a) 및 제 5 연결 부재(430b)는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4 연결 부재(430a) 및 제 5 연결 부재(430b)는 가이드 부재(300))의 진동이 표시 패널(21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400)는 제 1 홀(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홀(411)은 진동 장치(500)와 중첩되는 제 1 커버(400)에 배치되고, 제 1 홀(411)을 통해 백라이트(230)의 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투과하는 제 1 커버(400)의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230)의 반사 시트(235)는 제 1 홀(411)을 통해 제 1 커버(400)의 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제 1 영역(A1)에 배치되는 제 1-1 홀(411-1), 및 제 2 영역(A2)에 배치되는 제 1-2 홀(4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1 홀(411-1) 및 제 1-2 홀(411-2)은 제 1 홀 및 제 2홀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400)에 있거나 제 1 커버(400)를 통과하는 제 1-1 홀(411-1)은 제 1 중간 영역(MA1) 또는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되거나, 제 1 중간 영역(MA1) 및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버(400)에 있거나 제 1 커버(400)를 통과하는 제 1-2 홀(411-2)은 제 2 중간 영역(MA2) 또는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되거나, 제 2 중간 영역(MA2) 및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홀(411)은 표시 부재(200)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1 갭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표시 부재(200)의 백라이트(230)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1 갭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홀(411)은 백라이트(230)의 반사 시트(235)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1 갭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갭 공간은 진동 장치(500)의 구동에 따른 진동 공간,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음압이 발생되는 음압 공간(또는 울림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가 표시 부재(200)에 직접적으로 전파되는 음파 전파 경로(또는 음향 에너지 입사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홀(411)의 크기(또는 넓이)는 진동 장치(500)의 크기(또는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홀(411)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가 해당하는 진동 장치(500)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보다 큰 경우, 진동 장치(500)는 제 1 홀(411)에 삽입(또는 수용)됨에 따라 별도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 장치(500)가 후면부(410)에 배치되거나 위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 1 홀(411)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가 해당하는 진동 장치(500)의 전체 크기(또는 전체 넓이)보다 작은 경우, 별도의 기구물 없이도 진동 장치(500)가 제 1 홀(411)과 중첩되도록 후면부(410)에 배치되거나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홀(411)은 진동 장치(5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거나,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400)는 보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450)는 제 1 커버(400)의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450)는 후면부(410)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후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제 1 커버(400)의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450)는 제 1 커버(400)의 포밍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450)는 후면부(41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450)는 후면부(410)와 측면부(430)가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450)는 후면부(410)의 끝단 또는 일측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후면부(410)의 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부(430)가 보강부(450)의 끝단 또는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450)는 제 1 보강 부분(또는 경사면)(451) 및 제 2 보강 부분(또는 평탄면)(4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강 부분(또는 경사면)(451)은 후면부(410)의 끝단 또는 일측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또는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강 부분(또는 평탄면)(453)은 제 1 보강 부분(451)의 끝단 또는 일측으로부터 측면부(430)를 향해 제 1 방향(X)으로 수평하게 배치(또는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강 부분(453)의 끝단 또는 일측은 측면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 장치(50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 부재(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제 1 커버(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 홀(411)을 덮도록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필름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압전 소자, 플렉서블 음향 발생기, 플렉서블 액츄에이터, 플렉서블 스피커,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음향 신호 또는/및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표시 부재(200)를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른 음향(S)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500)는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켜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장치(500)는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켜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500)는 복수의 진동 장치,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진동 장치(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1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는 하나의 제 1-1 진동 장치(5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1 진동 장치(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1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30)는 하나의 제 2-1 진동 장치(53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2 진동 장치(5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1 진동 장치(510-1), 제 1-2 진동 장치(510-2), 제 2-1 진동 장치(530-1), 및 제 2-2 진동 장치(530-2)의 각각은 제 1 진동 장치, 제 3진동 장치, 제 2 진동 장치, 및 제 4 진동 장치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 및 제 2-1 진동 장치(530-1) 각각은 플레이트(511, 531) 및 진동 발생기(513,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진동 장치(510-1) 및 제 2-1 진동 장치(530-1) 각각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플레이트(511, 531)에서 플레이트(511)는 제 1 플레이트이고, 플레이트(531)는 제 2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 커버(400)(또는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 1 영역(A1)에 배치된 제 1-1 홀(411-1)을 덮을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10)는 음향 신호 또는/및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제 1-1 홀(411-1)의 내부(또는 제 1 갭 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켜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제 1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510)가 제 1 구동 신호에 의해 진동되면, 제 1 진동 장치(510)의 진동에 의한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의 진동에 따라 제1커버(400)에 있거나 제 1커버(400)를 통과하는 제 1-1 홀(411-1)의 내부(또는 제 1 갭 공간)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른 백라이트(230)의 진동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라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이 표시 패널(210)의 전방(FD)으로 출력되거나, 제 1 햅틱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1-1 홀(411-1)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51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1-1 홀(411-1)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30)는 음향 신호 또는/및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2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30)는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진동 장치(530)는 제 2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제 1커버(400)에 있거나 제 1커버(400)를 통과하는 제 1-2 홀(411-2)의 내부(또는 제 1 갭 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켜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제 2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진동 장치(530)가 제 2 구동 신호에 의해 진동되면,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에 의한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의 진동에 따라 제 1-2 홀(411-2)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른 백라이트(230)의 진동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라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이 표시 패널(210)의 전방(FD)으로 출력되거나, 제 2 햅틱 피드백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1-2 홀(411-2)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1-2 홀(411-2)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11, 531)는 제 6 연결 부재(515, 53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11, 53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있거나 제 1커버(400)를 통과하는 제 1 홀(411-1, 411-2)을 각각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11, 531) 각각은 제 1 홀(411-1, 411-2)보다 큰 크기(또는 넓이)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6 연결 부재(515, 535)에서 제 6 연결 부재(515)는 제 6 연결 부재이고, 제 6 연결 부재(535)는 제 7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플레이트(또는 제 1 플레이트)(51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플레이트(또는 제 1 플레이트)(511)는 제 6-1 연결 부재(51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플레이트(또는 제 1 플레이트)(511)는 후면부(410)의 제 1-1 홀(411-1)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플레이트(또는 제 1 플레이트)(511)의 크기는 진동 발생기(51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플레이트(또는 제 2 플레이트)(53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플레이트(또는 제 2 플레이트)(531)는 제 6-2 연결 부재(53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플레이트(또는 제 2 플레이트)(531)는 후면부(410)의 제 1-2 홀(411-2)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플레이트(또는 제 2 플레이트)(531)의 크기는 진동 발생기(53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플레이트(또는 제 1 플레이트)(51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1 홀(411-1)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또는 제 2 플레이트)(531)는 후면부(410)의 제 1-2 홀(411-2)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511, 531)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및 알루미늄(Al)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6-1 연결 부재(515)는 제 1-1 홀(411-1) 주변의 후면부(410)와 플레이트(511)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기(513)를 후면부(410)에 연결(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제 6-1 연결 부재(515)는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6-1 연결 부재(515)의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1 연결 부재(515)의 접착층은 진동 발생기(513)의 진동이 후면부(4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보다는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6-2 연결 부재(535)는 제 1-2 홀(411-2) 주변의 후면부(410)와 플레이트(5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6-2 연결 부재(535)는 진동 발생기(533)를 후면부(4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 6-2 연결 부재(535)는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6-2 연결 부재(535)의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2 연결 부재(535)의 접착층은 진동 발생기(533)의 진동이 후면부(4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보다는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발생기(513, 533)는 플레이트(511, 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3, 533)는 플레이트(511, 531)에 배치되어 플레이트(511, 531)를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기(513, 533)는 후면부(410)의 제 1 홀(411-1, 411-2)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3, 533)는 후면부(410)의 제 1 홀(411-1, 411-2)과 중첩되도록 플레이트(511, 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3, 533)는 제 7 연결 부재(517, 537)를 매개로 플레이트(511, 53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7 연결 부재(517)는 제 8 연결 부재이고, 제 7 연결 부재(537)는 제 9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제 1 플레이트(5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제 7-1 연결 부재(517)를 매개로 제 1 플레이트(5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1 홀(411-1)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2 진동 발생기)(533)는 제 2 플레이트(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2 진동 발생기)(533)는 제 7-2 연결 부재(537)를 매개로 제 2 플레이트(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2 진동 발생기)(533)는 후면부(410)의 제 1-2 홀(411-2)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버(70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700)는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가 배치된(또는 결합된) 표시 부재(200)를 수납(또는 수용)하고, 제 1 커버(400)의 후면, 제 1 커버(400)의 측면, 및 표시 부재(2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커버(700)는 세트 커버, 후면 세트 커버, 최외곽 커버, 최외곽 세트 커버, 제품 커버, 또는 최외곽 제품 커버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700)는 후면 구조물(710) 및 측면 구조물(73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구조물(710)은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최외곽 후면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구조물(710)은 하나 이상의 진동 장치(500)가 배치된 표시 부재(200)를 지지하고, 표시 부재(20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측면 구조물(730)은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최외곽 측면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구조물(730)은 후면 구조물(7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제 1 커버(400)의 후면, 제 2 커버(700)의 측면, 및 표시 부재(200)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덮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커버(700)는 커버 박스(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박스(750)는 진동 장치(500)를 전체적으로 수납(또는 수용)할 수 있고, 진동 장치(50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후면 구조물(71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박스(75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와 후면 구조물(710)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진동 장치(500)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박스(750)에 의해 마련된 밀폐 공간은 공명 효과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진동 장치(500)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은 커버 박스(750) 내부에서 공명 효과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박스(750)는 음향 상자, 울림통, 또는 공명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 1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8 연결 부재(650)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1 커버(400)와 제 2 커버(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진동 장치(500)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1 커버(400)에 배치된 제 1 홀(411)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진동 장치(500)가 배치된 공간을 음향적으로 밀폐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1 진동 장치(510)가 배치된 공간과 제 2 진동 장치(530)가 배치된 공간을 음향적으로 밀폐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부재(600)는 제 1 진동 장치(510)가 배치된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향과 제 2 진동 장치(530)가 배치된 공간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줄임으로써 음향 특성 저하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제 1 부재(600)는 인클로저(enclosure), 후면 인클로저, 진동 모듈 박스, 진동 모듈 커버, 진동 박스, 또는 음향 박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모듈 프레임 부재 또는 제 2 부재일 수 있으며,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8 연결 부재(650)는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8 연결 부재(650)의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재(600)는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는 제 1 부재(또는 제 1 인클로저 부재) 및 제 2부재(또는 제 2 인클로저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1 홀(411-1)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를 덮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형상과 같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가 정사각 형상을 가질 경우,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또는 큰 넓이)를 갖는 정사각 형상을 가지거나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에 의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또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에서, 제 1-1 부재(61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 1 부분(P1)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여 좌측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에서, 제 1-1 부재(610)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제 1 부분(P1)의 진동 영역이 감소하여 좌측 음향의 고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1 부재(610)의 크기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진동으로 인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요구되는 음역대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부재(6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2 홀(411-2)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2 부재(630)는 제 2진동 장치(530)를 덮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형상과 같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30)가 정사각 형상을 가질 경우,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또는 큰 넓이)를 갖는 정사각 형상을 가지거나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2 부재(630)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 간의 대칭성을 위해, 제 1-1 부재(6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표시 부재(200)의 제 1 중간 라인(CL1)을 기준으로 제 1-1 부재(610)와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에 의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또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에서, 제 1-2 부재(63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 2 부분(P2)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여 우측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에서, 제 1-2 부재(630)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제 2 부분(P2)의 진동 영역이 감소하여 우측 음향의 고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 부재(630)의 크기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으로 인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요구되는 음역대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는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함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의 좌우 대칭성을 향상시키고 좌우 음향 각각의 음압 특성 및/또는 재생 음역 대역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511, 531), 진동 발생기(513, 533), 및 제 1 부재(610, 630)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511), 제 1 진동 발생기(513), 및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 제 2 진동 발생기(533), 및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600)를 구성하므로, 해당하는 진동 장치(500)의 에어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음역대를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므로, 고음역대를 포함한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이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림한 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511, 53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두께(T1)보다 얇은 제 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장치(510, 530)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우수한 중고음역대 음향(S)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511, 531)의 제 2 두께(T2)가 후면부(410)의 제 1 두께(T1)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진동 발생기(513, 533)의 진동이 제 1 홀(411-1, 411-2)의 내부로 충분히 전파될 수 없다. 플레이트(511, 531)는 진동 발생기(513, 533)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3kHz 이상의 중고음역대의 음향(또는 음압)을 발생시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홀(411-1, 411-2)의 내부로 전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도 5의 제 1-1 진동 장치(510-1))를 독립적으로 덮을 수 있으며,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1 홀(411-1)을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1 부재(610)의 내부에 제 1 에어 갭(AG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내부는 단일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2 부재(630)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경우, 장치의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제 1-2 부재(630)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경우, 2 개 이상의 공간은 관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밀폐된 구조 또는 통기구(예를 들면, vent구조)를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8-1 연결 부재(651)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1 부재(610)는 바닥부(611) 및 측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610)의 바닥부(611)는 제 1 진동 장치(510)(도 5에서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1 진동 장치(51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의 측부(613)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 1 진동 장치(5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는 바닥부(611)의 일측(또는 끝단)과 연결될 수 있고, 바닥부(6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의 일측(또는 끝단)은 제 8-1 연결 부재(651)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의 바닥부(611)는 제 1 바닥 프레임 또는 제 1 바닥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의 측부(613)는 측벽부, 제 1 측면 프레임, 제 1 측벽 프레임, 또는 제 1 측벽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에 의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또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에서, 제 1-1 부재(61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 1 부분(P1)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여 좌측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에서, 제 1-1 부재(610)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제 1 부분(P1)의 진동 영역이 감소하여 좌측 음향의 고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의 크기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진동으로 인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요구되는 음역대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도 6에서 제 2-1 진동 장치(530-1))를 독립적으로 덮을 수 있으며,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2 홀(411-2)을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2 부재(630)의 내부에 제 2 에어 갭(AG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내부는 단일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2 부재(630)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경우, 장치의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제 1-2 부재(630)가 2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경우, 2 개 이상의 공간은 관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밀폐된 구조 또는 통기구(예를 들면, vent구조)를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부재(6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8-2 연결 부재(653)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8-1 연결 부재(651)는 제 10 연결 부재이고, 제 8-2 연결 부재(653)는 제 11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2 부재(630)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 간의 대칭성을 위해, 제 1-1 부재(6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표시 부재(200)의 제 1 중간 라인(CL1)을 기준으로 제 1-1 부재(610)와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2 부재(630)는 바닥부(631) 및 측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부재(630)의 바닥부(631)는 제 2 진동 장치(530)(도 6에서 제 1-2 진동 장치(530-1))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2 진동 장치(53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측부(633)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 2 진동 장치(53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33)는 바닥부(631)의 일측(또는 끝단)과 연결될 수 있고, 바닥부(6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33)의 일측(또는 끝단)은 제 8-2 연결 부재(653)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바닥부(631)는 제 2 바닥 프레임 또는 제 2 바닥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측부(633)는 측벽부, 제 2 측면 프레임, 제 2 측벽 프레임, 또는 제 2 측벽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도 6에서 제 2-1 진동 장치(530-1))에 의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또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에서, 제 1-2 부재(630)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 2 부분(P2)의 진동 영역이 증가하여 우측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에서, 제 1-2 부재(630)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제 2 부분(P2)의 진동 영역이 감소하여 우측 음향의 고음역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의 크기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으로 인한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요구되는 음역대의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는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진동 영역(또는 진동 면적)을 한정함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좌측 음향과 우측 음향의 좌우 대칭성을 향상시키고 좌우 음향 각각의 음압 특성과 재생 음역 대역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511, 531), 진동 발생기(513, 533), 및 제 1 부재(610, 630)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511), 제 1 진동 발생기(513), 및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 제 2 진동 발생기(533), 및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3, 533)는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3, 533)는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두께 방향(Z)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부재(2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513, 533)는 사각 형상 또는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3, 533) 각각은 진동부(또는 진동층)(PCL), 제 1 전극층(E1), 및 제 2 전극층(E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부(PCL), 제 1 전극층(E1), 및 제 2 전극층(E2)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진동 소자(PCM)라 할 수 있다.
진동부(PCL)는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 복합 압전 물질, 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PCL)는 진동층, 압전 물질층, 압전 복합층, 전기 활성층, 압전 물질부, 압전 복합부, 전기 활성부, 압전 구조물, 압전 복합체, 또는 압전 세라믹 복합체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CL)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부(PCL)는 1-3 복합 구조(composite) 또는 2-2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 방향(Z)에 따른 진동부(PCL)의 압전 변형 계수(d33)는 1,000pC/N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전극층(E1)은 진동부(PCL)의 제 1 면(또는 윗면 또는 전면)에 배치되고, 진동부(PCL)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층(E1)은 진동부(PCL)의 제 1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상(또는 단일 전극 또는 공통 전극)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층(E1)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층(E2)은 진동부(PCL)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또는 하면) 상에 배치되고, 진동부(211)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E2)은 진동부(PCL)의 제 2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상(또는 단일 전극 또는 공통 전극)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층(E2)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과 다른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진동부(PCL)는 일정한 온도 분위기 또는 고온에서 상온으로 변화되는 온도 분위기에서 제 1 전극층(E1)과 제 2 전극층(E2)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또는 폴링)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3, 533)는 제 1 보호 부재(501) 및 제 2 보호 부재(5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501)는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501)는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층(E1)을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보호 부재(501)는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 또는 제 1 전극층(E1)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호 부재(501)는 제 1 접착층(503)을 매개로,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501)는 제 1 접착층(503)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에 연결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 2 보호 부재(502)는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502)는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층(E2)을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보호 부재(502)는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 또는 제 2 전극층(E2)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호 부재(502)는 제 2 접착층(504)을 매개로,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502)는 제 2 접착층(504)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에 연결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호 부재(501) 및 제 2 보호 부재(502) 각각은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501) 및 제 2 보호 부재(502) 각각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접착층(503)은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03)은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보호 부재(501)의 후면(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504)은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접착층(504)은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2 보호 부재(502)의 전면(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소자(PCM)는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은 진동 소자(PCM) 전체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은 커버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이 커버 부재로 구성될 때, 제 1 보호 부재(501)는 커버 부재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제 2 보호 부재(502)는 커버 부재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하나의 접착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 각각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압축과 복원이 가능한 전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03) 및 제 2 접착층(504) 각각은 에폭시(epoxy)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실리콘(silicone) 수지, 또는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3, 533)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패드부(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보호 부재(50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소자(PCM)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보호 부재(50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진동 소자(PCM)의 제 1 전극층(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진동 소자(PCM)의 제 1 전극층(E1)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진동 소자(PCM)의 제 1 전극층(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접착층(503)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진동 소자(PCM)의 제 1 전극층(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보호 부재(50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진동 소자(PCM)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보호 부재(502)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진동 소자(PCM)의 제 2 전극층(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진동 소자(PCM)의 제 2 전극층(E2)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진동 소자(PCM)의 제 2 전극층(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접착층(504)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진동 소자(PCM)의 제 2 전극층(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505)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505)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각각의 일측(또는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진동 발생기(513, 53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505)는 제 1 패드 전극 및 제 2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드 전극은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패드 전극은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513, 533)는 플렉서블 케이블(5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506)은 진동 발생기(513, 533)에 배치된 패드부(5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향 처리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진동 소자(PCM)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506)은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는 패드부(505)의 제 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단자는 패드부(505)의 제 2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케이블(506)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 케이블 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향 처리 회로(또는 진동 구동 회로)는 음향 소스에 기초하여 제 1 극성의 구동 신호 및 제 2 극성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교류형의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극성의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극성의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극성의 구동 신호는 플렉서블 케이블(506)의 제 1 단자와 패드부(505)의 제 1 패드 전극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을 통해서 진동 발생기(513, 533)의 제 1 전극층(E1)에 공급될 수 있다. 제 2 극성의 구동 신호는 플렉서블 케이블(506)의 제 2 단자와 패드부(505)의 제 2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을 통해서 진동 발생기(513, 533)의 제 2 전극층(E2)에 공급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진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CL)는 복수의 제 1 부분(PCLa)과 복수의 제 1 부분(PCLa) 사이에 있는 복수의 제 2 부분(PCL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PCLa)은 무기물질을 포함하고, 제 2 부분(PCLb)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PCLa)과 제 2 부분(PCL)이 평면 상에서 서로 연결되므로,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는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여러 개의 압전체를 적층한 구조와 비교하여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얇은 두께의 진동 장치(510, 530)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 장치(510, 530)의 배치로 인한 장치의 두께 증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은 전계에 의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진동하는 무기 물질 또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은 전기 활성부, 무기 물질부, 압전 물질부, 또는 진동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압전 및 역압전 효과를 가지며, 배향성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AB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A는 2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며, B는 4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ABO3의 화학식에서, A 및 B는 cations일 수 있고, O는 anio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BO3의 화학식은 PbTiO3, PbZr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중앙이온, 예를 들면, PbTiO3일 경우, Ti이온의 위치가 변동되어 분극(polarization)이 변화하여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 응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대칭인(symmetric) 구조인 큐빅(cubic) 형상에서 대칭이 아닌(unsymmetric) 구조인 사각형(tetragonal), 직방형(orthorhombic), 및 마름모(rhombohedral) 등의 형상으로 변함으로써 압전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대칭이 아닌 구조를 갖는 사각형(tetragonal) 및 마름모(rhombohedral)의 상전이 경계영역(Morphotropic Phase Boundary)에서 분극이 높고, 분극의 재배열이 용이하므로 높은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물질은 납(Pb), 지르코늄(Zr), 티탄(Ti), 아연(Zn), 니켈(Ni), 니오븀(Nb), 마그네슘(Mg), 망간(Mn), 및 인듐(In)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물질은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을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지르코늄(Zr),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MN(lead magnesium niobate)계 물질, PNN(lead nikel niobate)계 물질, PZN(lead zirconate niobate)계 물질, 또는 PIN(lead indium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MN계 물질은 납(Pb), 마그네슘(Mg),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Mg, Nb)O3일 수 있다. PNN계 물질은 납(Pb), 니켈(Ni),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Ni, Nb)O3일 수 있다. PIN계 물질은 납(Pb), 인듐(In),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In, Nb)O3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물질은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제 1 부분(PCLa) 대비 낮은 모듈러스(modulus)(또는 영률(Young's modulus))와 점탄성을 가짐으로써 취성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취약한 제 1 부분(PCLa)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가 내충격성과 고강성을 갖기 위해서,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상대적으로 높은 댐핑 벡터(damping factor)(tan δ)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stiffness)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0.1 ~ 1GPa(gigapascals)의 댐핑 벡터(tan δ)와 0 ~ 10GPa(gigapascals)의 강성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댐핑 벡터(tan δ)와 강성 특성은 손실 계수와 모듈러스의 상관 관계로도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0.01 ~ 1의 손실 계수와 0.1 ~ 10GPa(gigapascals)의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에 구성되는 유기물질은 제 1 부분(PCLa)인 무기물질과 비교하여 유연한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유기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유기 물질, 유기 폴리머, 유기 압전 물질, 또는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접착부, 신축부, 벤딩부, 댐핑부, 또는 연성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물질은 유기 압전 물질 및 유기 비압전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질은 무기물질(또는 제 1 부분(PCLa))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압전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압전 물질은 전기 활성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질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성됨으로써 무기 물질(또는 제 1 부분(PCLa))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자이(53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비압전 물질은 에폭시 계열 폴리머, 아크릴 계열 폴리머, 및 실리콘 계열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질은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에 요구되는 고강성 특성을 위해, 에폭시 수지 및 무기 물질과의 부착성을 위해 부착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증진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계 등이 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은 열경화 및 광경화 중 적어도 하나의 경화 방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유기물질의 경화 시, 솔벤트의 휘발에 의한 유기물질의 수축에 의해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두께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용제(solvent free) 타입의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질은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고강성 이외에 댐핑(damping) 특성을 위해,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제는 코어 쉘 타입(core shell type)의 MBS(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등일 수 있으며, 보강제의 함량은 5~40w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제는 코어 쉘 타입의 탄성체로서, 쉘 부분은 아크릴계 폴리머와 같은 에폭시 수지와 높은 결합력을 가짐으로써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의 내충격성 또는 댐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CL)의 복수의 제 1 부분(PCLa)과 복수의 제 2 부분(PCLb)은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은 진동부(PCL)의 가로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Y)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진동부(PCL)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은 진동부(PCL)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Y)은 진동부(PCL)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도 9a및 도 9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은 복수의 제 2 부분(PCL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폭을 가지며 제 2 방향(Y)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2 폭을 가지며 제 2 방향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폭은 제 2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과 복수의 제 2 부분(PCLb)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또는 폭)를 가질 수 있고,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라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진동부(PCL)는 2-2 복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20kHz 이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부(PCL)의 공진 주파수는 진동부의 형상, 길이, 및 두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부분(PCLb) 각각이 인접한 복수의 제 1 부분(PCLa) 사이의 갭을 채우거나 복수의 제 1 부분(PCLa)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9c, 도 9d, 도 9e, 도 9f).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9c).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원 형상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9d).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타원 형상, 다각 형상 또는 도넛 형상 등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PCLa)은 삼각 형상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9e, 도 9f).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CL)은 복수의 제 1 부분(PCLa) 과 제 2 부분(PCLb)이 동일 평면에 배치(또는 연결)됨으로써 단일의 얇은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부(PCL)는 진동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PCL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고, 유연성 또는 연성을 갖는 제 2 부분(PCLb)에 의해 곡면 형상으로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CL)에서, 제 1 부분(PCLa)의 크기 및 제 2 부분(PCLb)의 크기는 진동부(PCL)에 요구되는 압전 특성 및 유연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보다 압전 특성을 요구하는 진동부(PCL)의 경우, 제 1 부분(PCLa)의 크기가 제 2 부분(PCLb)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는, 압전 특성보다 유연성을 요구하는 진동부(PCL)의 경우, 제 2 부분(PCLb)의 크기가 제 1 부분(PCLa)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PCL)의 크기가 요구되는 압전 특성 및 유연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진동부(PCL)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서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 플레이트(511)를 변경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변경된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기술되거나 생략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 제 1 플레이트(511)에 대한 설명은 제 2 진동 장치(530)의 제 2 플레이트(53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플레이트(511)는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511)의 휘어짐 방향은 장축, 단축, 및 대각선 방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홀(411-1)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제 1 플레이트(511)의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511)의 제 1-1 홀(411-1)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부분은 제 1-1 홀(411-1)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511)의 제 1-1 홀(411-1)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부분은 제 1-1 홀(411-1)의 반대 방향을 향해 휘어지거나 제 1-1 홀(411-1)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플레이트(531)는 제 1 플레이트(5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는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의 휘어짐 방향은 장축, 단축, 및 대각선 방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홀(411-2)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제 2 플레이트(531)의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의 제 1-2 홀(411-2)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부분은 제 1-2 홀(411-2)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의 제 1-2 홀(411-2)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부분은 제 1-2 홀(411-2)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휘어지거나 제 1-2 홀(411-2)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질 수 있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B'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C' 부분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3에서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 플레이트(511)를 변경한 것이고, 도 13은 도 3에서 제 2 진동 장치(530)의 제 2 플레이트(531)를 변경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변경된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설명되거나 생략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플레이트(511) 및 제 2 플레이트(531)는 제 2 홀(511a, 53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511)의 제 2 홀(511a)은 도 10의 제 1 플레이트(511)에도 적용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531)의 제 2 홀(531a)은 도 11에 도시된 제 2 플레이트(53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홀(511a, 531a)은 제 1 홀(411-1, 411-2)과 대응(또는 중첩)되는 플레이트(511, 531)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홀(511a, 531a)은 진동 장치(510,530)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홀(511a, 531a)은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에 요구되는 음향 특성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홀(511a, 531a)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폭 등은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에 요구되는 음향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2 홀(511a) 및 제 2 홀(531a)은 제 3 홀 및 제4홀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 플레이트(511)에 배치된 제 2 홀(또는 제 2-1 홀)(511a)의 전체 면적은 제 2 진동 장치(530)의 제 2 플레이트(531)에 배치된 제 2 홀(또는 제 2-2 홀)(531a)의 전체 면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511)에 배치된 제 2-1 홀(511a)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폭은 제 2 플레이트(531)에 배치된 제 2-2 홀(531a)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홀(511a)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 2-2 홀(531a)의 개수, 형상, 길이, 및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제 2 홀(511a, 531a)은 플레이트(511, 531)의 변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진동 장치(510) 및 제 2 진동 장치(530)에 요구되는 음향 특성에 따라 제 2 홀(511a, 531a)을 플레이트(511, 531)에 배치하므로, 장치는 요구되는 음향 특성을 갖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7 연결 부재(517, 537)는 제 2 홀(511a, 531a)과 중첩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 구조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제 1 커버, 진동 장치, 및 부재를 변경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변경된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기술되거나 생략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400)는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3 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홀(413)은 진동 장치(510, 5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이 장치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홀(413)은 진동 장치(510, 530)와 중첩되는 제 1 커버(400)에 배치되고, 제 3 홀(413)을 통해 백라이트(230)의 후면이 진동 장치(510, 530)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230)의 후면은 제 3 홀(413)을 통해 진동 장치(510, 530)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230)의 반사 시트(235)는 제 3 홀(413)을 통해 제 1 커버(400)의 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230)의 반사 시트(235)는 제 3 홀(413)을 통해 진동 장치(510, 530)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홀(413)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홀(413)은 제 3-1 홀(413-1) 및 제 3-2 홀(4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1 홀(413-1)은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2 홀(413-2)은 제 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1 홀(413-1)은 제 1 중간 영역(MA1) 또는 제 1 가장자리 영역(EA1)에 배치되거나, 제 1 중간 영역(MA1) 및 제 1 가장자리 영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2 홀(413-2)은 제 2 중간 영역(MA2) 또는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배치되거나, 제 2 중간 영역(MA2) 및 제 2 가장자리 영역(E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3-1 홀(413-1) 및 제 3-2 홀(413-2)은 제 1 홀 및 제 2홀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3 홀(413)은 표시 부재(200)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2 갭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홀(413)은 표시 부재(200)의 백라이트(230)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2 갭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갭 공간은 진동 장치(500)의 구동에 따른 진동 공간,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음압이 발생되는 음압 공간(또는 울림부), 또는 진동 장치(5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가 표시 부재(200)에 직접적으로 전파되는 음파 전파 경로(또는 음향 에너지 입사부)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진동 장치(500)는 제 1 진동 장치(510)(제 1 영역(A1)에 있는 제 1-1 진동 장치(510-1) 포함), 및 제 2 진동 장치(530)(제 2 영역(A2)에 있는 제 2-1 진동 장치(530-1) 포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 1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제 1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진동 장치(510)는 제 1-1 진동 장치(510-1), 제 1-2 진동 장치(510-2), 및 제 2 부재(5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 및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510-3)는 제 1 지지 부재 또는 제 1 가이드 부재 또는 제 1 부재일 수 있으며,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서로 호환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가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1진동 장치(510-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음향 신호 또는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1-1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제 1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제 1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필름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플렉서블 음향 발생기, 플렉서블 액츄에이터, 플렉서블 스피커,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1 진동 장치(510-1)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1-1 홀(411-1)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과 대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진동 장치(510)의 제 1-1 진동 장치(510-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1 연결 부재(51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511), 및 제 7-1 연결 부재(517)를 매개로 제 1 플레이트(511)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511)와 제 1 진동 발생기(51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6-1 연결 부재(51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1 진동 발생기(513), 및 제 7-1 연결 부재(517)를 매개로 제 1 진동 발생기(513)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3-1 홀(또는 제 1-1 홀)(413-1)을 덮도록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재(510-3)가 구성되는 경우,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2 부재(510-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9-1 연결 부재(510-3c)를 매개로 제 2 부재(510-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코일형 진동 장치(또는 진동 발생기)일 수 있으며, 자석,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또는 진동 발생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1 연결 부재(510-3c)는 제 2 부재(510-3)의 후면과 제 1-2 진동 장치(510-2)의 보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진동 장치는 프레임(또는 플레이트), 센터폴, 및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또는 영구 자석)은 보빈의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은 보빈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은 외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은 보빈의 승강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코일에 음향 신호가 인가되면, 코일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전기장과 자석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빈이 진동, 예를 들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센터폴은 자석 상에 배치되며, 보빈의 진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폴은 보빈의 중공부에 삽입(또는 수용)됨으로써 보빈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폴은 보빈의 중공부에 수용되도록 자석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는 프레임과 보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일측과 타측 사이에 주름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빈의 진동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는 복원력을 통해 보빈의 진동 거리(예를 들면,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은 댐퍼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코일형 진동 장치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홀(413)은 저음역대에서 제 1-2 진동장치(510-2)의 변위량이 증가하므로, 진동 장치(510)와 광학 시트부(237) 사이에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장치(510-2)에 의한 장치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 1 부재(610, 630)는 제 1-2 진동장치(510-2)의 보빈이 제 3 홀(413)에 노출되거나 제 3 홀(413)에 삽입(또는 수용)되도록 구성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음향 신호 또는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1-2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른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는 제 1 햅틱 피드백(또는 제 1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1-2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을 진동시켜 제 3-1 홀(413-1)의 내부(또는 제 2 갭 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부재(200)의 제 1 부분(P1)을 진동시켜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진동 장치(510-2)가 제 1-2 구동 신호에 의해 진동되면, 제 1-2 진동 장치(510-2)의 진동에 의한 제 1 커버(400)의 제 1 영역(A1)의 진동에 따라 제 3-1 홀(413-1)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른 백라이트(230)의 진동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제 1 부분(P1)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제 1 음역대의 제 1 음향(S1)이 표시 패널(2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 진동 장치(510-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3-1 홀(413-1)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1 음향(S1)의 음압 특성 및/또는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부재(510-3)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와 제 1 진동 장치(5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510-3)는 제 1-2 진동 장치(510-2)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510-3)는 제 10-1 연결 부재(510-3d)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재(510-3)는 제 4-1 홀(510-3a) 및 제 4-2 홀(510-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4-1 홀(510-3a) 및 제 4-2 홀(510-3b)은 제 5 홀 및 제 6홀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4-1 홀(510-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1 홀(510-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4-1 홀(510-3a)의 크기(또는 넓이)는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1 홀(510-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의 변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1 홀(510-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제 1 플레이트(51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513)는 제 1 플레이트(5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513)는 제 1 플레이트(5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4-2 홀(510-3b)은 제 1 커버(400)의 제 3-1 홀(413-1)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2 홀(510-3b)은 제 1-2 진동 장치(510-2)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2 홀(510-3b)은 제 1 커버(400)의 제 3-1 홀(413-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4-2 홀(510-3b)의 크기(또는 넓이)는 제 1 커버(400)의 제 3-1 홀(413-1)의 크기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2 홀(510-3b)의 크기는 제 3-1 홀(413-1)의 크기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4-2 홀(510-3b)은 제 1-2 진동 장치(510-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2 부재(510-3)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4-2 홀(510-3b)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4-2 홀(510-3b)을 통해 제 2 음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는 제 4-2 홀(510-3b)을 통해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부재(510-3)는 제 1-1 부재(610)의 내부에 수납(또는 수용)되어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1-2 진동 장치(51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510-3)는 제 1-1 부재(61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재(510-3)는 제 1 지지 부재, 제 1 지지 프레임, 제 1 지지 패널, 제 1 가이드 패널, 또는 제 1 가이더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4-1 홀(510-3a)과 제 4-2 홀(510-3b)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재(510-3)의 부분은 제 1-1 진동 장치(510-1)가 배치된 공간과 제 1-2 진동 장치(510-2)가 배치된 공간을 음향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제 1 음압(또는 음파)과 제 1-2 진동 장치(510-2)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제 1 음압과 다른 제 2 음압(또는 음파)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줄임으로써 음향 특성 저하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진동 장치(5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진동 장치(530)는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에 배치되고, 제 2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제 2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진동 장치(530)는 제 2-1 진동 장치(530-1), 제 2-2 진동 장치(530-2), 및 제 3 부재(53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1 진동 장치(530-1) 및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0-3)는 제 2 가이드 부재 또는 제 1 부재일 수 있으며,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음향 신호 또는/및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2-1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제 2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제 2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1 진동 장치(530-1)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2 연결 부재(53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531), 및 제 7-2 연결 부재(537)를 매개로 제 2 플레이트(531)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기(5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531)와 제 2 진동 발생기(53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6-2 연결 부재(535)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2 진동 발생기(533), 및 제 7-2 연결 부재(537)를 매개로 제 2 진동 발생기(533)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5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3-2 홀(또는 제 1-2 홀)(413-2)을 덮도록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부재(530-3)가 구성되는 경우,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3 부재(530-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9-2 연결 부재(530-3c)를 매개로 제 3 부재(530-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코일형 진동 장치(또는 진동 발생기)일 수 있으며, 자석,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또는 진동 발생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2 연결 부재(530-3c)는 제 3 부재(530-3)의 후면과 제 2-2 진동 장치(530-2)의 보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9-1 연결 부재(510-3c)는 제 12 연결 부재이고, 제 9-2 연결 부재(530-3c)는 제 13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음향 신호 또는/및 햅틱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는 제 2-2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른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키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제 2 햅틱 피드백(또는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2-2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을 진동시켜 제 3-2 홀(413-2)의 내부(또는 제 2 갭 공간)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부재(200)의 제 2 부분(P2)을 진동시켜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진동 장치(530-2)가 제 2-2 구동 신호에 의해 진동되면, 제 2-2 진동 장치(530-2)의 진동에 의한 제 1 커버(400)의 제 2 영역(A2)의 진동에 따라 제 3-2 홀(413-2)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음압에 따른 백라이트(230)의 진동에 따라 음 전달 공간(STS)에 음압이 발생되며, 음 전달 공간(STS)에 발생되는 음압에 따른 표시 패널(210)의 제 2 부분(P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제 2 음역대의 제 2 음향(S2)이 표시 패널(210)의 전방(FD)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2 진동 장치(530-2)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는 제 3-2 홀(413-2)을 통해 표시 부재(200)로 직접적으로 전달(또는 전파)됨으로써 제 2 음향(S2)의 음압 특성과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 3 부재(530-3)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와 제 2 진동 장치(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0-3)는 제 2-2 진동 장치(530-2)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0-3)는 제 10-2 연결 부재(530-3d)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0-1 연결 부재(510-3d)는 제 14 연결 부재이고, 제 10-2 연결 부재(530-3d)는 제 15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부재(530-3)는 제 5-1 홀(530-3a) 및 제 5-2 홀(530-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5-1 홀(530-3a)은 제 7 홀이고, 제 5-2 홀(530-3b)은 제 8 홀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5-1 홀(530-3a)은 제 2-1 진동 장치(530-1)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1 홀(530-3a)은 제 2-1 진동 장치(530-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5-1 홀(530-3a)의 크기는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1 홀(530-3a)은 제 2-1 진동 장치(530-1)의 변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1 홀(530-3a)은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제 2 플레이트(53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533)는 제 2 플레이트(53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533)는 제 2 플레이트(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5-2 홀(530-3b)은 제 1 커버(400)의 제 3-2 홀(413-2)과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2 홀(530-3b)은 제 2-2 진동 장치(530-2)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2 홀(530-3b)은 제 1 커버(400)의 제 3-2 홀(413-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5-2 홀(530-3b)의 크기는 제 1 커버(400)의 제 3-2 홀(413-2)의 크기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2 홀(530-3b)의 크기는 제 3-2 홀(413-2)의 크기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5-2 홀(530-3b)은 제 2-2 진동 장치(530-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3 부재(530-3)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5-2 홀(530-3b)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5-2 홀(530-3b)을 통해 제 2 음압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는 제 5-2 홀(530-3b)을 통해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부재(530-3)는 제 1-2 부재(630)의 내부에 수납(또는 수용)되어 제 2-1 진동 장치(530-1)와 제 2-2 진동 장치(53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0-3)는 제 1-2 부재(63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0-3)는 제 2 지지 부재, 제 2 지지 프레임, 제 2 지지 패널, 제 2 가이드 패널, 또는 제 2 가이더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5-1 홀(530-3a)과 제 5-2 홀(530-3b)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부재(530-3)의 부분(530-3e)은 제 2-1 진동 장치(530-1)가 배치된 공간과 제 2-2 진동 장치(530-2)가 배치된 공간을 음향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또는 음파)과 제 2-2 진동 장치(530-2)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또는 음파)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줄임으로써 음향 특성 또는 음질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재(600)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재(600)를 변경한 것으로, 통과 홀(670)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재(60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재(60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600)는 제 4-1 홀(510-3a)과 제 4-2 홀(510-3b) 각각과 중첩될 수 있으며, 제 5-1 홀(530-3a)과 제 5-2 홀(530-3b) 각각과 중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재(600)는 제 1-1 부재(610) 및 제 1-2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장치(510)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1-1 진동 장치(510-1) 및 제 1-2 진동 장치(510-2)를 함께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8-1 연결 부재(651)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부재(61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3-1 홀(413-1)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1 부재(610)는 바닥부(611), 측부(613), 및 제 1 통과 홀(또는 제 1 홀)(67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611)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4-1 홀(510-3a)과 제 4-2 홀(510-3b) 각각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후면 및 제 1-2 진동 장치(510-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1-1 진동 장치(510-1)의 후면 및 제 1-2 진동 장치(510-2)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613)는 제 1 진동 장치(5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진동 장치(51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는 바닥부(611)의 일측(또는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는 바닥부(6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의 일측(또는 끝단)은 제 8-1 연결 부재(651)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과 홀(671)은 바닥부(6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과 홀(671)은 제 1-2 진동 장치(510-2)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과 홀(671)은 제 1-2 진동 장치(510-2)의 변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2 진동 장치(510-2)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통과 홀(671)은 제 1-2 진동 장치(510-2)의 일부분이 통과하는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진동 장치(510-2)의 중심 부분이 제 1 통과 홀(671)을 통해 제 1-1 부재(610)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과 홀(671)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과 홀(671)은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일부분이 통과하는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일부분이 제 1 통과 홀(671)을 통해 제 1-1 부재(610)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다.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장치(530)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2-1 진동 장치(530-1) 및 제 2-2 진동 장치(530-2)를 함께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8-2 연결 부재(653)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제 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부재(630)는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에 배치된 제 3-2 홀(413-2)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2 부재(630)는 바닥부(631), 측부(633), 및 제 2 통과 홀(또는 제 2 홀)(67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631)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31)는 제 5-1 홀(530-3a)과 제 5-2 홀(530-3b) 각각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31)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후면 및 제 2-2 진동 장치(530-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611)는 제 2-1 진동 장치(530-1)의 후면 및 제 2-2 진동 장치(530-2)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613)는 제 2 진동 장치(5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진동 장치(5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는 바닥부(611)의 일측(또는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는 바닥부(6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부(613)의 일측(또는 끝단)은 제 8-2 연결 부재(653)를 매개로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과 홀(673)은 바닥부(6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과 홀(673)은 제 2-2 진동 장치(530-2)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과 홀(373)은 제 1-2 진동 장치(510-2)의 변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2 진동 장치(510-2)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과 홀(673)은 제 2-2 진동 장치(530-2)의 일부분이 통과하는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2 진동 장치(530-2)의 중심 부분이 제 2 통과 홀(673)을 통해 제 1-2 부재(630)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과 홀(673)은 제 2-1 진동 장치(530-1)와 대응(또는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과 홀(673)은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일부분이 통과하는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일부분이 제 2 통과 홀(673)을 통해 제 1-2 부재(630)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510-1), 제 1-2 진동 장치(510-2), 제 2 부재(510-3), 및 제 1-1 부재(610)는 제 1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진동 장치(530-1), 제 2-2 진동 장치(530-2), 제 3 부재(530-3), 및 제 1-2 부재(630)는 제 2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제 3-1 홀(413-1)은 제 1-1 홀일 수 있고, 제 3-2 홀(413-2)은 제 1-2 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 장치 또는/및 제 2 진동 발생 장치와 대응되는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 대상물(또는 진동 부재)에 연결되어 진동 대상물(또는 진동 부재)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대상물은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진동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거나 목재, 플라스틱, 유리, 천, 섬유, 종이, 고무, 및 가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일 비금속 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의 하나 이상의 시트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대상물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거나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발광 조명 패널, 및 무기발광 조명 패널 중 어느 하나의 비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대상물은 차량 내장재, 차량 유리창, 건물의 천장, 건물의 유리창, 건물의 내장재, 항공기의 내장재, 및 항공기의 유리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진동 장치(500)의 에어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음역대를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므로, 고음역대를 포함한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이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림한 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진동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진동부(또는 진동층)(PE), 제 1 전극층(E1), 및 제 2 전극층(E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부(PE)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플레이트(51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들면,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511)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부(PE)는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진동부(PE)는 진동층, 압전층, 압전 물질층, 전기 활성층, 압전 진동부, 압전 물질부, 전기 활성부, 압전 구조물, 무기 물질층, 또는 무기 물질부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부(PE)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진동부(PE)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압전 및 역압전 효과를 가지며, 배향성을 갖는 판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AB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A 사이트는 2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며, B 사이트는 4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ABO3의 화학식에서, A 사이트 및 B 사이트는 cations일 수 있고, O는 anio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bTiO3, PbZrO3, PbZr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E)는 납(Pb), 지르코늄(Zr), 티탄(Ti), 아연(Zn), 니켈(Ni), 니오븀(Nb), 마그네슘(Mg), 망간(Mn), 및 인듐(In)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E)는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를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지르코늄(Zr),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PE)는 PMN(lead magnesium niobate)계 물질, PNN(lead nikel niobate)계 물질, PZN(lead zirconate niobate)계 물질, 또는 PIN(lead indium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MN계 물질은 납(Pb), 마그네슘(Mg),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Mg, Nb)O3일 수 있다. PNN계 물질은 납(Pb), 니켈(Ni),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Ni, Nb)O3일 수 있다. PIN계 물질은 납(Pb), 인듐(In), 및 니오븀(N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b(In, Nb)O3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PE)는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PE)는, 도 17에 도시된 사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 타원 형상, 3각 이상의 다각 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층(E1)은 진동부(PE)의 제 1 면(또는 윗면)에 배치되고, 진동부(PE)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층(E1)은 진동부(PE)의 제 1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층(E1)는 진동부(PE)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층(E1)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층(E2)은 진동부(PE)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상에 배치되고, 진동부(PE)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E2)은 진동부(PE)의 제 2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E2)은 진동부(PE)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진동부(PE)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층(E2)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제 2 전극층(E2)은 제 1 전극층(E1)과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부(PE)는 일정한 온도 분위기 또는 고온에서 상온으로 변화되는 온도 분위기에서 제 1 전극층(E1)과 제 2 전극층(E2)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또는 폴링)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진동부(PE)는 외부로부터 제 1 전극층(E1)과 제 2 전극층(E2)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연결 구조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연결 부재를 추가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변경된 구성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간략히 기술되거나 생략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1 진동 장치(510-1)는 제 1 플레이트(511) 및 진동 발생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1 진동 발생기)(513)는 제 7-1 연결 부재(517)를 매개로 제 1 플레이트(5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1 진동 장치(530-1)는 제 2 플레이트(531) 및 진동 발생기(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발생기(또는 제 2 진동 발생기)(533)는 제 7-2 연결 부재(537)를 매개로 제 2 플레이트(53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 11 연결 부재(519, 5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 11-1 연결 부재(519) 및 제 11-2 연결 부재(5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6 연결 부재이고,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17 연결 부재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2부재(510-3)와 제 1 플레이트(5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플레이트(511)는 제 11-1 연결 부재(519)를 매개로 제 2부재(510-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2 부재(51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2 부재(51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 플레이트(51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 플레이트(51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2 부재(51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과 제 1 플레이트(51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 부재(600)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1 부재(610)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1-1 부재(610)의 바닥부(611)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1 연결 부재(519)는 제 4-1 홀(510-3a)과 중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4-1 홀(510-3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3부재(530-3)와 제 2 플레이트(5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플레이트(531)는 제 11-2 연결 부재(539)를 매개로 제 3부재(530-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3 부재(53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3 부재(53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2 플레이트(53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2 플레이트(53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3 부재(530-3)의 일측(또는 가장자리)과 제 2 플레이트(531)의 일측(또는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1 부재(600)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1-2 부재(630)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1-2 부재(630)의 바닥부(631)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2 연결 부재(539)는 제 5-1 홀(530-3a)과 중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5-1 홀(530-3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 3 에어 갭(AG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에어 갭(AG3)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2-1 진동 장치(530-1) 각각과 제 1 커버(4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에어 갭(AG3)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2-1 진동 장치(530-1) 각각과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에어 갭(AG3)은 제 1 진동 발생기(513)와 제 2 진동 발생기(533) 각각과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 에어 갭(AG3)은 제 1-1 진동 장치(510-1)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장치의 전면으로 투과시키고 제 1-1 진동 장치(510-1)의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3 에어 갭(AG3)은 제 2-1 진동 장치(530-1)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장치의 전면으로 투과시키고,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에어 갭(AG3)은 제 3-1 에어갭(AG3a) 및 제 3-2 에어갭(AG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 3-1 에어갭(AG3a)은 제 3 에어갭이고, 제 3-2 에어갭(AG3b)은 제 4 에어갭일 수 있으며, 이 숫자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3-1 에어갭(AG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1 커버(4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1 에어갭(AG3a)은 제 1-1 진동 장치(510-1)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1 에어갭(AG3a)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와 제 1진동 발생기(51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1 에어 갭(AG3a)은 제 1진동 발생기(513)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장치의 전면으로 투과시키고, 제 1진동 발생기(513)의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 3-2 에어갭(AG3b)은 제 2-1 진동 장치(530-1)와 제 1 커버(4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2 에어갭(AG3b)은 제 2-1 진동 장치(530-1)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2 에어갭(AG3b)은 제 1 커버(400)의 후면부(410)와 제 2진동 발생기(53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2 에어 갭(AG3b)은 제 2진동 발생기(533)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을 장치의 전면으로 투과시키고, 제 2-1 진동 장치(530-1)의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400)와 진동 장치(500) 사이에 제 3 에어갭(AG3)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음압 특성 및/ 또는 음질이 더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진동 장치(500)의 에어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음역대를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를 포함하므로, 고음역대를 포함한 음압 특성 및/또는 음향 특성이 향상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슬림한 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dB)을 나타낸다. 도 20에서, 점선은 부재를 포함하지 않은 장치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은 부재를 포함한 장치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1에서, 점선은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커버를 포함하지 않은 장치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은 부재와 제 2 커버를 포함한 장치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1 부재(600)를 포함한 경우(실선)에 측정된 저주파수 대역(약 300Hz 이하)의 음압 레벨이 제 1 부재(600)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점선)에 측정된 음압 레벨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치에 제 1 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저음역대의 음압 특성 및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측정 주파수 범위 전 영역에서, 제 1 부재(600)와 제 2 커버(700)를 포함한 경우(실선)에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과, 제 1 부재(600)를 포함하고 제 2 커버(7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점선)에 측정된 음압 레벨 특성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치에 제 1 부재(600)를 구성하므로, 제 2 커버(700)의 적용 유무와 무관하게 일관된 음압 레벨을 갖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장치에 배치되는 진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슬라이딩 기기(sliding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 장치, 차량용 장치, 극장용 표시 장치, 극장용 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유기발광 조명장치 또는 무기발광 조명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진동 장치가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경우 스피커, 리시버, 및 햅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동 부재, 진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제 1 커버,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덮는 진동 장치, 및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1 홀 및 진동 장치를 덮는 제 1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덮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제 1 커버의 후면의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 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홀과 중첩되는 다른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홀은 제 1-1 홀 및 제 1-2 홀을 포함하고, 제 1-1 홀은 제 1 커버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1-2 홀은 제 1 커버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1-1 홀을 덮는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제 1-2 홀을 덮는 제 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부재는 제 1 진동 장치와 제 1-1 홀을 덮는 제 1-1 부재, 및 제 2 진동 장치와 제 1-2 홀을 덮는 제 1-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는 진동 부재의 중간 라인을 기준으로 제 1-2 부재와 대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부재는 바닥부 및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는 제 1 진동 장치의 후면에 있으며, 제 1 진동 장치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측부는 제 1 진동 장치의 측부에 있으며, 제 1 진동 장치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제 1-1 부재의 측부는 바닥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1 부재의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2 부재는 바닥부 및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는 제 2 진동 장치의 후면에 있으며, 제 2 진동 장치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측부는 제 1 진동 장치의 측부에 있으며, 제 2 진동 장치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제 1-2 부재의 측부는 바닥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 1-2 부재의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1-1 홀을 덮는 제 1 플레이트, 및 제 1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제 2 진동 장치는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제 1-2 홀을 덮는 제 2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는 제 1-1 홀과 중첩되는 제 2-1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는 제 1-2 홀과 중첩되는 제 2-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는 제 1-1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제 1-1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고, 제 2 플레이트는 제 1-2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제 1-2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기 및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기 및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전극층 위에 배치되며, 제 1 전극층을 덮는 제 1 보호 부재 및 제 2 전극층 위에 배치되며, 제 2 전극층을 덮는 제 2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기 및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은 진동 소자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보호 부재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은 진동 소자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보호 부재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1 진동 발생기 및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홀은 제 3-1 홀 및 제 3-2 홀을 포함하고, 제 3-1 홀은 제 1 커버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3-2홀은 제 1 커버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3-1 홀을 덮는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제 3-2 홀을 덮는 제 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부재는 제 1 진동 장치와 제 3-1 홀을 덮는 제 1-1 부재, 및 제 2 진동 장치와 제 3-2 홀을 덮는 제 1-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1 진동 장치, 및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제 3-1 홀을 덮는 제 1-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제 2 진동 장치는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1 진동 장치, 및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제 3-2 홀을 덮는 제 2-2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1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거나,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와 제 1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 2-1 진동 장치는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거나,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와 제 2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진동부의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진동 장치 및 제 2-2 진동 장치 각각은 코일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 1-2 진동 장치는 제 2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2 진동 장치는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 2-2 진동 장치는 제 3 부재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부재는 제 1-1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4-1 홀과 제 1-2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4-2 홀을 포함하고, 제 3 부재는 제 2-1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5-1 홀과 제 2-2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5-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4-2 홀은 제 3-1 홀과 대응할 수 있고, 제 5-2 홀은 제 3-2 홀과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발광 조명 패널, 및 무기발광 조명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섬유, 천, 종이,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단일 비금속 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표시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조명 패널, 샤이니지 패널, 운송 수단의 내장재, 운송 수단의 유리창, 운송 수단의 외장재, 건물의 천장재, 건물의 내장재, 건물의 유리창, 항공기의 내장재, 항공기의 유리창, 금속,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섬유, 천, 종이, 가죽,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부재를 더 포함하고, 표시 부재는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및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있는 제 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표시 부재에 인가되는 터치를 센싱하도록 더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진동 장치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부재, 표시 부재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부재,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 부재, 제 1 커버, 진동 장치 및 제 1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커버는 커버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박스는 제 1 커버의 후면부와 제 2 커버의 후면 구조물 사이에 밀폐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 1 커버와 진동 장치 사이에 마련된 에어 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제 1 홀과 제 2 홀을 포함하는 제 1 부재, 제 1 홀에 배치된 제 1 진동 장치, 제 2 홀에 배치된 제 2 진동 장치, 및 진동 부재의 후면에 연결되고 제 1 부재와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를 덮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홀을 통해 진동 부재에 제 1 음압을 출력할 수 있고, 제 2 진동 장치는 제 2 홀을 통해 진동 부재에 제 1 음압과 다른 제 2 음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압전 소자를 갖는 진동 발생기일 수 있고, 제 2 진동 장치는 코일형 진동 발생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홀을 덮을 수 있으며, 제 2 진동 장치는 제 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홀을 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재는, 제 1 부재와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 각각의 후면을 덮는 바닥부, 및 제 1 부재와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 각각의 측면을 덮도록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진동 대상물에 연결된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부재는 바닥부에 배치되며, 제 2 진동 장치와 중첩하는 통과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제 1 홀을 덮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진동 발생기는 플레이트와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제 1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제 1 홀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진동 장치는 필름형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면 부재 200 : 표시 부재
300 : 제 2 부재 400 : 제 1 커버
500 : 진동 장치 510 : 제 1 진동 장치
510-1 : 제 1-1 진동 장치 510-2 : 제 1-2 진동 장치
530 : 제 2 진동 장치 530-1 : 제 2-1 진동 장치
530-2 : 제 2-2 진동 장치 600 : 제 1 부재

Claims (33)

  1.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홀을 포함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덮는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홀 및 상기 진동 장치를 덮는 제 1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덮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 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부의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상기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홀과 중첩되는 다른 홀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제 1-1 홀 및 제 1-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홀은 상기 제 1 커버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홀은 상기 제 1 커버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홀을 덮는 제 1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홀을 덮는 제 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진동 장치와 상기 제 1-1 홀을 덮는 제 1-1 부재, 및 상기 제 2 진동 장치와 상기 제 1-2 홀을 덮는 제 1-2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1 홀을 덮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 홀을 덮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1-1 홀과 중첩되는 제 2-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2 홀과 중첩되는 제 2-2 홀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제 1-1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상기 제 1-1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2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상기 제 1-2 홀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부의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부의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제 3-1 홀 및 제 3-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1 홀은 상기 제 1 커버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홀은 상기 제 1 커버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1 홀을 덮는 제 1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홀을 덮는 제 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제 1 진동 장치와 상기 제 3-1 홀을 덮는 제 1-1 부재, 및 상기 제 2 진동 장치와 상기 제 3-2 홀을 덮는 제 1-2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1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1 홀을 덮는 제 1-2 진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1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2 홀을 덮는 제 2-2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1 진동 발생기와 상기 제 1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2 진동 발생기와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물질의 복수의 제 1 부분과, 상기 복수의 제 1 부분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질의 복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부의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제 2 진동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는,
    압전 물질을 포함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전극층; 및
    상기 진동부의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2-2 진동 장치 각각은 코일형 진동 장치인,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부재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된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3 부재의 후면에 배치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1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4-1 홀과 상기 제 1-2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4-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1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5-1 홀과 상기 제 2-2 진동 장치와 대응하는 제 5-2 홀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2 홀은 상기 제 3-1 홀과 대응하고, 상기 제 5-2 홀은 상기 제 3-2 홀과 대응하는,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발광 다이오드 조명 패널, 유기발광 조명 패널, 및 무기발광 조명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거나, 목재, 고무, 플라스틱, 유리, 섬유, 천, 종이, 및 가죽 중 하나 이상의 단일 비금속 또는 복합 비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를 갖는 표시패널, 표시장치로부터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패널, 조명 패널, 샤이니지 패널, 운송 수단의 내장재, 운송 수단의 유리창, 운송 수단의 외장재, 건물의 천장재, 건물의 내장재, 건물의 유리창, 항공기의 내장재, 항공기의 유리창, 및 거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있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부재;
    상기 표시 부재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부재; 및
    상기 제 1 커버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부재, 상기 제 1 커버, 상기 진동 장치 및 상기 제 1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 1 홀과 제 2 홀을 포함하는 제 1 부재;
    상기 제 1 홀에 배치된 제 1 진동 장치;
    상기 제 2 홀에 배치된 제 2 진동 장치; 및
    진동 부재의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를 덮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홀을 통해 상기 진동 부재에 제 1 음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진동 부재에 상기 제 1 음압과 다른 제 2 음압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압전 소자를 갖는 진동 발생기이며,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코일형 진동 발생기인, 진동 발생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홀을 덮으며,
    상기 제 2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홀을 덮는, 진동 발생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 각각의 후면을 덮는 바닥부; 및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진동 장치 및 제 2 진동 장치 각각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 부재에 연결된 측부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홀을 덮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홀로부터 이격되어 휘어지거나 상기 제 1 홀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진동 발생 장치.
KR1020210189238A 2020-12-31 2021-12-28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KR20220097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215237A JP2022105325A (ja) 2020-12-31 2021-12-28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TW110149460A TW202228447A (zh) 2020-12-31 2021-12-29 裝置以及振動產生裝置
CN202111640538.5A CN114697819A (zh) 2020-12-31 2021-12-29 电子设备和振动产生设备
US17/564,801 US11917346B2 (en) 2020-12-31 2021-12-29 Electronic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TW112134556A TW202402065A (zh) 2020-12-31 2021-12-29 聲音輸出裝置以及振動產生裝置
JP2023148712A JP2023169274A (ja) 2020-12-31 2023-09-13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64 2020-12-31
KR20200190064 2020-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278A true KR20220097278A (ko) 2022-07-07

Family

ID=8239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238A KR20220097278A (ko) 2020-12-31 2021-12-28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72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1724B (zh) 振动产生装置以及包括该振动产生装置的显示设备和车辆
CN111757220B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CN113126340B (zh) 显示设备
KR20200114911A (ko) 표시 장치
KR20200083208A (ko) 진동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
KR20220097278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JP7234341B2 (ja)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KR20230004190A (ko) 진동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운송 장치
KR20220097279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US1191734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20210086027A (ko) 표시장치
JP723806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TW202410702A (zh) 聲音輸出裝置以及振動產生裝置
KR20210142887A (ko) 표시 장치
KR202200809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