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21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215B1
KR102405215B1 KR1020170146437A KR20170146437A KR102405215B1 KR 102405215 B1 KR102405215 B1 KR 102405215B1 KR 1020170146437 A KR1020170146437 A KR 1020170146437A KR 20170146437 A KR20170146437 A KR 20170146437A KR 102405215 B1 KR102405215 B1 KR 10240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dule
vibration transmitting
display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121A (ko
Inventor
윤승환
김기덕
임동균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215B1/ko
Priority to US16/051,784 priority patent/US10405098B2/en
Publication of KR2019005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21A/ko
Priority to KR1020220066014A priority patent/KR102530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08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separated by air or other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후면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유기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색의 명료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감소하고, 음압 레벨의 손실을 보강하기 위하여 인가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 및 모듈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후면 구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 및 모듈 접착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에서, 진동의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절단선 IV-I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V-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VI-V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절단선 VII-V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절단선 VIII-V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절단선 IX-IX'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절단선 X-X'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 대비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의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진동 발생 장치(200), 후면 구조물(300),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Front Surface)(110a) 및 백라이트 유닛(12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후면(110b)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110b)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110b)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후면 커버(310)의 전면(Front Surface)(310a)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110b)과 마주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은 후면 커버(310)의 전면(Front Surface)(310a)과 마주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에지형 백라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발광 소자층을 갖는 백색 조명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접착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사이에 갭 공간(130S)을 마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진동 발생 장치(20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갭 공간(130S)의 음압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듈 접착 부재(130)는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을 감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음압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직접 전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우레탄 계열의 재질 중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폼 패드, 및 폼 패드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마련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은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빛샘 차단 특성을 가지므로, 빛샘 방지를 고려할 경우, 모듈 접착 부재(130)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백라이트 유닛(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과 함께 진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을 관통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에 접촉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의 상부는 후면 구조물(300)에 마련된 천공부(311)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 장치(200)의 하부는 후면 커버(310)의 후면(310b)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 커버(310)를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과 함께 진동하여 전면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통해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후면 커버(310)를 통해 고정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 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백라이트 유닛(120) 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과 함께 진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일직선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으로 우선 전달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통해 모듈 접착 부재(130)에 우선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발생 모듈(21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되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가 연장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된 경우보다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커버(31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장하고,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에 삽입될 수 있고,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의 위치는 후면 커버(31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가 접착 부재(500)와 너무 근접하게 되면 후면 커버(310)의 강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는 후면 커버(31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커버(31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장하고,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후면 커버(310)의 천공부(311)의 위치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 및 후면(120b)을 둘러싸면서 진동 발생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을 덮는 후면 커버(3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커버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3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 전체를 이격되게 덮는 것으로,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후면 커버(31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후면 커버(31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후면 커버(31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후면 커버(310)는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은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거울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면 커버(310)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천공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부(311)는 후면 커버(3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후면 커버(31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측면 커버 부재(3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측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커버 부재(3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면 커버 부재(330)는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조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측면 커버 부재(330)는 폼 패드, 폼 테이프, 또는 접착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커버 부재(3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이 후면 커버(3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크릴 계열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커버 부재(3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를 실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커버 부재(3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및 후면 커버(310) 사이의 결합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400)는 진동 발생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일직선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으로 우선 전달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및 모듈 접착 부재(130)에 우선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의 전달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천공부(311)와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 모듈(210)은 천공부(311)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에 부착된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210)의 위치는 천공부(311)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음향 발생 모듈(210)은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천공부(311)와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됨으로써, 천공부(311)와 중첩된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로부터 발생한 진동의 경로를 유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열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시켜,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는 동시에,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및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500)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되어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 커버(310)를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에 결합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120b)과 후면 커버(310)의 전면(310a) 사이에 갭 공간(500S)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갭 공간(500S)은 후면 구조물(300)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일부가 배치되는 삽입 공간 및 진동 발생 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위한 패널 진동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커버(310)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50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진동 전달 부재(40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진동 전달 부재(400)의 폭만큼 절단됨으로써, 진동 전달 부재(400)의 양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양 측면 각각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전달 부재(40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진동 전달 부재(400)와 접촉한 접착 부재(50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광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광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또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양 측면 각각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은 후면 커버(310)의 전면(Front Surface)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은 갭 공간(500S)을 사이에 두고 후면 커버(31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에서, 진동의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일직선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SW1)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SW2)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으로 우선 전달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및 모듈 접착 부재(130)에 우선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의 전달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고주파 영역의 음향(SW2)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으로 우선 전달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통해 모듈 접착 부재(130)에 우선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발생 모듈(21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되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가 연장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된 경우보다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SW2)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절단선 IV-I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500)는 진동 전달 부재(400)의 후면 및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진동 전달 부재(400)의 측면의 넓이만큼 절단됨으로써, 진동 전달 부재(400)의 후면 및 양 측면을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양 측면 각각과 후면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전달 부재(40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진동 전달 부재(400)와 접촉한 접착 부재(50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접촉하여 음향 발생 모듈(210)의 진동을 전달받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은 접착 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및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중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과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500)는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양 측면 각각과 후면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후면은 접착 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V-V'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접착 부재(500)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접착 부재(500) 간의 최단 거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접착 부재(500)의 측면까지 연장되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측면은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전달 부재(40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진동 전달 부재(400)와 접촉한 접착 부재(50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접착 부재(500)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전달 부재(40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진동 전달 부재(400)의 타단의 측면은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접착 부재(500)의 측면까지 연장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VI-V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절단선 VII-V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4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전달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제1 진동 전달부(410)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진동 전달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진동 전달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동 전달부(410)는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제2 진동 전달부(420)로 전달할 수 있고,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제1 진동 전달부(410)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진동 전달부(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가 증가할수록,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전달 부재(400)는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를 포함함으로써, 제2 진동 전달부(420)의 넓이에 비례하여 고주파 영역의 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제2 진동 전달부(4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제2 진동 전달부(420)의 길이만큼 절단됨으로써,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양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진동 전달부(410)는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진동 전달부(420)까지 연장되고,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양 측면 각각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진동 전달부(41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제2 진동 전달부(4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제1 진동 전달부(41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양 측면 각각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의 후면은 후면 커버(310)의 전면(Front Surface)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의 후면은 갭 공간(500S)을 사이에 두고 후면 커버(31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비례하여 고주파 영역의 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절단선 VIII-V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절단선 IX-IX'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5 실시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500)는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 및 후면 커버(3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측면의 넓이만큼 절단됨으로써,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 및 양 측면을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진동 전달부(410)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진동 전달부(420)까지 연장되고,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양 측면 각각과 후면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진동 전달부(41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제2 진동 전달부(4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비례하여 고주파 영역의 전달 특성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전달부(41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접촉하여 음향 발생 모듈(210)의 진동을 전달받고,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은 접착 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및 제2 진동 전달부(42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중 제2 진동 전달부(420)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500)는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제1 진동 전달부(41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양 측면 각각과 후면은 접착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후면은 접착 부재(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비례하여 고주파 영역의 전달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절단선 X-X'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제6 실시예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진동 전달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진동 전달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210)로부터 제2 진동 전달부(420)까지 연장되고,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전달부(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음향 발생 모듈(210)과 제2 진동 전달부(420) 간의 최단 거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진동 전달부(410)가 음향 발생 모듈(210)과 중첩되면서 제2 진동 전달부(420)까지 연장되면, 제2 진동 전달부(420)의 측면은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진동 전달부(41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장변 방향이면, 제2 진동 전달부(420)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비례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410, 420)의 전면 전체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접촉하고, 제1 진동 전달부(410)의 일단의 후면은 음향 발생 모듈(210)의 전면 전체와 접촉하며, 제2 진동 전달부(420)의 타단의 측면은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전달부(420)는 접착 부재(50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에 비례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음압 레벨(SPL)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 대비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의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구조(Structure 1)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고, 제2 구조(Structure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조는 진동 전달 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뚜렷한 감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의 전달 경로가 길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 전달 특성이 낮아, 고주파 영역의 진동이 감쇄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감소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에 비하여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진동 전달 부재(400)가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방향을 가이드하고, 진동 전달 부재(400)의 진동 전달 특성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 전달 특성보다 높아, 고주파 영역의 진동 감쇄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보다 뚜렷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고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로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전달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 전달 부재(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까지 전달하여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까지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400)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모듈 접착 부재
200: 진동 발생 장치 210, 22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
300: 후면 구조물 400: 진동 전달 부재
410, 420: 제1 및 제2 진동 전달부 500: 접착 부재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고정시키는 후면 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는 모듈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일단과 상기 모듈 접착 부재는 중첩되며,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기 모듈 접착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및 상기 후면 구조물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진동 전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폭만큼 절단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후면 및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상기 접착 부재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일단의 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접촉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의 타단의 측면은 상기 접착 부재와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의 일부가 삽입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상기 천공부와 중첩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발생 모듈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 제1 진동 전달부; 및
    상기 제1 진동 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진동 전달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진동 전달부 및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진동 전달부의 후면 및 양 측면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전달부는 상기 접착 부재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접착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46437A 2017-11-06 2017-11-0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37A KR102405215B1 (ko) 2017-11-06 2017-11-06 디스플레이 장치
US16/051,784 US10405098B2 (en) 2017-11-06 2018-08-01 Display device
KR1020220066014A KR102530239B1 (ko) 2017-11-06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37A KR102405215B1 (ko) 2017-11-06 2017-11-06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014A Division KR102530239B1 (ko) 2017-11-06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21A KR20190051121A (ko) 2019-05-15
KR102405215B1 true KR102405215B1 (ko) 2022-06-02

Family

ID=66327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37A KR102405215B1 (ko) 2017-11-06 2017-11-0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66014A KR102530239B1 (ko) 2017-11-06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014A KR102530239B1 (ko) 2017-11-06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05098B2 (ko)
KR (2) KR102405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554B1 (ko) *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4035B1 (ko) * 2018-08-06 2023-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22181B2 (en) *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76223B2 (en) * 2019-02-25 2021-07-27 Denso Ten Limited Speaker device
KR102653775B1 (ko) * 2019-07-04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34341B2 (ja) * 2020-12-31 2023-03-0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KR20230060347A (ko) * 2021-10-27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4034250A1 (ja) * 2022-08-12 2024-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1998B1 (en) * 2001-06-28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698256B1 (ko) * 2004-07-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이용한 스피커 장치
TW200706049A (en) * 2005-05-12 2007-02-01 Kenwood Corp Screen speaker system
KR101325678B1 (ko) * 2012-01-17 2013-11-05 (주)필스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96410B1 (ko) * 2016-03-25 202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804A (ko) 2022-06-14
KR102530239B1 (ko) 2023-05-08
KR20190051121A (ko) 2019-05-15
US10405098B2 (en) 2019-09-03
US20190141450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2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06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2609B1 (ko) 표시장치
KR102491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56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858944B (zh) 显示装置
KR102402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68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20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22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