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678B1 -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678B1
KR101325678B1 KR1020120005065A KR20120005065A KR101325678B1 KR 101325678 B1 KR101325678 B1 KR 101325678B1 KR 1020120005065 A KR1020120005065 A KR 1020120005065A KR 20120005065 A KR20120005065 A KR 20120005065A KR 101325678 B1 KR101325678 B1 KR 10132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ody
piezoelectric drive
main piezoelectric
fram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358A (ko
Inventor
이충희
이동수
박인석
Original Assignee
(주)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스 filed Critical (주)필스
Priority to KR102012000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678B1/ko
Priority to PCT/KR2013/000603 priority patent/WO2013109128A2/ko
Publication of KR2013008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Abstract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음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모듈은 메인 압전 구동체,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고정점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DISPLAY PANEL INCLUDING ULTRA THIN PIEZOELECTRIC SPEAKE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스피커 기능도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유기LED 모듈와 같은 영상 모듈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들 모듈은 수mm 이하의 두께로 제공되며, 우수한 성능으로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태블릿 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태블릿 기기(10)는 전면의 유리판(20), 유리판(20)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0), 그리고 내부 부품을 수용하면서 배면을 덮는 케이스(4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태블릿 기기(10)의 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배터리(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등이 주요 부피를 차지하며, 그 사이 공간에 PCB 등이 제공되어 내부를 구성하고 있다.
태블릿 기기(10)의 용도가 단순 인터넷 서핑에서 영화 감상, TV 시청, 음악 감상 등 다양한 용도로 확장되면서, 소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부피나 실장 공간 등의 문제로 현재 스피커 모듈을 모노로 제공되며, 모노로 제공되는 스피커도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여 내부 부품의 배치 설계에 큰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태블릿 기기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평판형 텔레비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평판형 텔레비전은 테두리도 점점 얇아지고 있으며, 두께도 점점 얇아져서 내부 실장 공간에 대한 여유가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초박형 스피커로 압전 스피커가 일부 개발된 적이 있다. 압전 스피커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소리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PZT 계열 압전 물질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면 소리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는 진동판의 테두리가 프레임에 고정되고, 진동판의 중심에서 압전 구동체가 접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압전 스피커는 고역대의 소리를 주로 발생시키는 데에 적합하며, 저역대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기회로형 스피커가 낼 수 있는 소리 음역대를 같이 발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한계로 인해 압전 스피커는 주로 부저 등 한정된 소리를 내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는 진동판의 외주가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되는 부분의 거리(λ/2)가 압전 스피커에서 재생 가능한 최저주파수이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는 상기 최저주파수 이상의 고음주파수만 가능하고, 실제로 특정주파수 재생용 또는 고음재생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되 고역대 및 저역대 소리를 모두 고르게 발생할 수 있는 사운드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래 두께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음향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종래의 스피커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여 전체 기기의 슬림화 및 실장 공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전 소자가 갖는 재료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물리적 구조를 갖는 사운드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되 전기적 연결이나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음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모듈은 메인 압전 구동체,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고정점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진동판 또는 그 확대판의 외주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제한된 음역대의 소리만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여 더 넓은 음역대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즉,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의 진동이 진동판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에서 지지부가 압전 구동체 또는 진동판을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을 지지부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반사시트의 배면에서 음향모듈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음향모듈을 2개 이상 부착되는 경우 기존의 모노 사운드보다 개선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반사시트를 음향 진동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사시트보다 더 개선된 음향특성을 갖는 증폭시트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음향모듈 및 지지부에 의해서 증가되는 두께는 약 0.5~1mm 또는 그 이하에 불과하므로,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음질은 물론 혁신적인 실장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다.
발생하는 소리를 개선하기 위해 증폭부가 사용될 수 있다. 증폭부는 메인 압전 구동체의 작동에 대응하여 지지부의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자유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부를 이동시켜 진동판의 진폭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출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압전 소자가 갖는 변형의 한계를 구조적으로 극복할 수가 있다.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메인 압전 구동체의 고정점 위치를 진동판의 중심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편심된 위치에 형성할 수가 있다. 고정점을 중심으로 진동판의 외주까지의 거리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다양한 치수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즉, 고정점으로부터 진동판의 외주 중 최원점(最遠點) 및 최근점(最近點)까지의 거리가 다름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역대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래의 평판 형상 및 슬림한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고역대 및 저역대 소리를 모두 고르게 발생할 수 있는 사운드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래의 스피커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여 전체 기기의 슬림화 및 실장 공간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압전 소자가 갖는 재료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물리적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되 전기적 연결이나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는 압전 세라믹의 소재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지만, 압전 세라믹의 개발 자체가 더디게 진행되어 압전 스피커의 기능 개선이 전반적으로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단층 또는 복층의 증폭판을 이용하여 음향모듈의 기능을 구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압전 스피커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개선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태블릿 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향모듈과 프레임 간의 지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음향모듈의 음향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음향모듈의 개선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음향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음향모듈의 개선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음향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증폭부를 포함하는 음향모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원리에 따라 도 9의 음향모듈이 작동하는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음향모듈과 프레임 간의 지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모듈(110), 반사시트(120), 음향모듈(140) 및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작게는 개인휴대단말기, 휴대폰, 태블릿 기기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크게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음향모듈(140)은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메인 압전 구동체(142)의 양면으로 공급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이 진동을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판(144)을 통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의 내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모듈(110)은 종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은 물론, 유기발광다이오드 모듈도 사용이 가능하다.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 영상모듈(110)은 액정은 물론, 전후면에 제공될 수 있는 광학시트, 그리고 배면 또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는 백라이팅모듈 등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모듈인 경우, 영상모듈(110)은 OLED 기판 및 광학시트 등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상모듈(110)은 현재 또는 미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대체가 가능하다.
영상모듈(110)의 배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구성된 프레임(1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30)과 영상모듈(110) 사이에는 반사시트(120)가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영상모듈(110) 및 반사시트(120)를 수용하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대해 영상모듈(110) 등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0)와 프레임(130) 사이에는 음향모듈(140)이 장착되며, 이를 위해서 반사시트(120) 및 프레임(130) 사이에는 약 0.5~1.0mm 정도의 공간이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음향모듈(140)은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을 포함하며, 지지부(148)에 의해서 특정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지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음향모듈(140)는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을 포함하며, 지지부(148)에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의해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30)은 후면이 개방되지만, 경사지게 형성된 브릿지부(132)를 포함하고, 브릿지부(132)와 반사시트(120) 사이에서 음향모듈(140)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148)는 프레임(130)의 브릿지부(132) 중 일부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148)가 고정점(147)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를 지지하고,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은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진동을 하여,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의 외주가 자유단으로서 진동을 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42)로는 PbO, ZrO2, TiO2를 배합한 PZT계열 또는 PMN-PT(압전단결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압전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142)는 평판 형상 또는 기타 플렉시블한 입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진동판(144)은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인 경우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음향모듈의 음향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은 다양한 파형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고정점(147)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파장(λ)의 파형이 특정될 수 있으며, ③과 같은 단파장(短波長)에서 ②와 같은 장파장(長波長)까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변환의 전반적인 대역이 확장될 수가 있다. 참고로 ①은 동일 치수의 종래 압전 스피커와 비교할 때, 파장을 길이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의 진동은 반사시트(120)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반사시트(120)의 진동을 이용하여 더욱 풍부한 중저역대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진동판(144)과 반사시트(120)가 링 형상의 접착시트로 상호 직접 결속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진동판(144)이 결합되는 증폭시트를 별도로 제공하고, 음향모듈(140)이 부착된 증폭시트를 반사시트(120)와 프레임(130) 사이에 개재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반사시트(120)는 이미 완성품 조립업체에 의해서 반사에 우수한 특성으로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증폭에서 최적화되지 않은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음향에 최적화된 증폭시트와 빛 반사에 최적화된 반사시트를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음향모듈의 개선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릿지부(132)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전도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모듈(140)과 브릿지부(132) 사이에는 절연필름(150)이 개재될 수가 있다. 다만,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절연필름(150)에는 홀 또는 홈 형상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146)는 관통부(152)를 통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음향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로부터 음악 또는 음향에 대한 제어된 신호는 전압증폭앰프(160)를 통해 음향모듈(140)로 전달될 수 있다. 종래의 스피커는 전류증폭앰프를 사용하는 것과 대비하여, 메인 압전 구동체(142)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압증폭앰프(160)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음향모듈(140)이 80~100Hz 또는 그 이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전압증폭앰프(160)로 음향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진동제어신호도 함께 공급하여 별도의 진동액츄에이터 없이 음향모듈(140)로 음향 발생 및 진동 발생을 겸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음향용 앰프와 진동용 앰프를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한 것과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모듈(140)의 진동영역을 증가시켜 하나의 전압증폭앰프(160)를 사용하여 음향 및 진동을 모두 또는 동시에 발생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이는 부품 비용 및 실장 공간에 대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4의 음향모듈의 개선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모듈는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을 포함하며, 지지부(148')에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의해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48')는 브릿지부(132)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고정점(147)에 대응하여 음향모듈 및 브릿지부(132)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돌기로 제공될 수가 있다. 물론, 메인 압전 구동체(142)에 부착되거나 브릿지부(132)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지지부(148')가 고정점(147)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142)를 지지하고,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은 고정점(147)을 중심으로 진동을 하여, 메인 압전 구동체(142) 및 진동판(144)의 외주가 자유단으로서 진동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음향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증폭부를 포함하는 음향모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원리에 따라 도 9의 음향모듈이 작동하는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음향모듈(240)는 브릿지부(232)에 의해서 지지된다. 기본적으로 음향모듈(240)은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을 포함하며, 지지부(248)에 고정점(247)을 중심으로 의해서 지지된다.
추가로 음향모듈(240)은 증폭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270)는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지지부(248)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248)는 증폭부(270)의 높이 변화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부(248)에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이 차례로 결합 및 접착될 수 있다.
지지부(248)는 고정점(247)을 기준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과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은 지지부(248)에 의해서 고정되며, 음향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고정점(247)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점(247)은 메인 압전 구동체(242)의 중앙부, 즉 외주가 아닌 그 내측의 일 지점에 정의될 수 있다. 음향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지지부(248)에 대해서 고정점(247)은 정지하며,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의 외주 부분은 자유단으로서 위아래로 진동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242)의 진동은 진동판(244)으로 전달되어 소리 에너지를 공기로 전달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증폭부(270)는 메인 압전 구동체(242)의 작동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증폭부(270) 역시 다른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압전 구동체(242)가 음향 전기신호에 반응하는 것과 같이, 다른 압전 소자도 음향 전기신호에 반응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음향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동시에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재 및 구조, 장치라면 증폭부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증폭부(270)에도 음향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그 신호에 따라 높이(h)가 변화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보면,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의 외주가 위로 향하는 것에 대응하여, 증폭부(270)의 높이도 일정량(Δh)만큼 증가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248)에 대한 원래 변화량(Δw)에 대해서 상기 일정량만큼 증가한 변화량(Δw+Δh)만큼 진동판(244)의 외주가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를 보면, 메인 압전 구동체(242) 및 진동판(244)의 외주가 아래로 향하는 것에 대응하여, 증폭부(270)의 높이도 일정량(Δh)만큼 감소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248)에 대한 원래 변화량(-Δw)에 대해서 상기 일정량만큼 감소한 변화량(-Δw-Δh)만큼 진동판(244)의 외주가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증폭부(270)에 의해서 진동판(244) 외주의 변화량(-Δw~ +Δw)은 더 진폭이 증가한 변화량(-Δw-Δh ~ +Δw+Δh)으로 진동을 할 수가 있다. 이는 결국 음향변화장치의 출력과 연관될 수 있으며, 종래와 동일한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더라도 더욱 증가된 출력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증폭부(270)는 보조 압전 구동체(272) 및 증폭판(274)를 포함하며, 2개 층을 형성하는 압전 구동체 및 증폭판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동판(244)의 외주 변화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디스플레이 패널 110:영상모듈
120:반사시트 130:프레임
140:음향모듈 142:메인 압전 구동체
144:진동판 148:지지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음향모듈 및 상기 반사시트 사이에 증폭시트가 더 개재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증폭시트의 배면에 직접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점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점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모듈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고정점에서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은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음향모듈은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이동량을 증가시키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보조 압전 구동체 및 상기 보조 압전 구동체가 부착되는 증폭판을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는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작동에 동기화되어 상기 진동판의 운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증폭판 및 상기 보조 압전 구동체를 적어도 하나의 층 구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영상모듈, 반사시트 및 상기 영상 모듈과 상기 반사시트의 배면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모듈은 상기 반사시트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며,
    상기 음향모듈은 상기 진동판으로 공급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압증폭앰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20005065A 2012-01-17 2012-01-17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132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65A KR101325678B1 (ko) 2012-01-17 2012-01-17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PCT/KR2013/000603 WO2013109128A2 (ko) 2012-01-17 2013-01-25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065A KR101325678B1 (ko) 2012-01-17 2012-01-17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58A KR20130084358A (ko) 2013-07-25
KR101325678B1 true KR101325678B1 (ko) 2013-11-05

Family

ID=4879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065A KR101325678B1 (ko) 2012-01-17 2012-01-17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5678B1 (ko)
WO (1) WO20131091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58B1 (ko) * 2012-12-05 2013-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6107B1 (ko)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04517B1 (ko)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0237656B2 (en) 2016-03-28 2019-03-19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KR102405215B1 (ko) * 2017-11-06 2022-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739A (ko) * 2005-09-27 2008-04-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피커 기능을 가진 평평한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
KR100959763B1 (ko) * 2009-10-01 2010-05-25 조광호 압전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739A (ko) * 2005-09-27 2008-04-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피커 기능을 가진 평평한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
KR100959763B1 (ko) * 2009-10-01 2010-05-25 조광호 압전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58A (ko) 2013-07-25
WO2013109128A3 (ko) 2013-09-19
WO2013109128A2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831205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6023122B2 (ja) 電子機器
JP3907616B2 (ja) 電子機器
JP734897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
KR101325678B1 (ko) 초박형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TW201724832A (zh) 行動終端
JP4725469B2 (ja) 平型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4279819B2 (ja) 発音体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
WO2014132639A1 (ja) 電子機器
JP6479745B2 (ja) 音響振動板を兼ねる光反射板を具備するled照明装置、音響振動板を兼ねる光反射板を具備するled照明装置からの音の取り出し方法、ちらつきを抑制することが可能なled照明装置用の音響振動板を兼ねる光反射板
JP4355860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2023134562A (ja) 表示装置
KR101358447B1 (ko)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458174B1 (ko) 전자 기기
JP6005999B2 (ja) 電子機器
JP6480074B1 (ja) 音響振動板を兼ねる光反射板を具備するled照明装置、及び、音響振動板を兼ねる光反射板を具備するled照明装置からの音の取り出し方法
KR1026608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US11228826B2 (en) Display apparatus
KR1026608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JP2023164832A (ja) 表示装置および振動装置
JP202101843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含む車両
WO2013175776A1 (ja) 電子機器
JP2015195421A (ja) 画像表示装置
JP2014027621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