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91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918B1
KR102491918B1 KR1020220084794A KR20220084794A KR102491918B1 KR 102491918 B1 KR102491918 B1 KR 102491918B1 KR 1020220084794 A KR1020220084794 A KR 1020220084794A KR 20220084794 A KR20220084794 A KR 20220084794A KR 102491918 B1 KR102491918 B1 KR 102491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igid member
display module
adhesive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081A (ko
Inventor
윤승환
김기덕
임동균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9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08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separated by air or other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후면 구조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강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 전계방출 표시 장치, 유기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또는 상하단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색의 명료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이 저하되어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감소하고, 음압 레벨의 손실을 보강하기 위하여 인가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출원은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강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를 배치하여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질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강성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변 방향으로 나열된 강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후면 구조물, 디스플레이 모듈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는 강성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리의 진행 방향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강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를 배치하여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질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성 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변 방향으로 나열된 강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소비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에 따른 진동 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 대비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의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진동 발생 장치(200), 후면 구조물(300),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전면(Front Surface) 및 백라이트 유닛(12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후면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부착되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과 이격될 수 있다. 광학 시트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부(11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과 확산된 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모두 가지는 복합 광학 시트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마주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진동 발생 장치(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체 면을 진동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모듈 접착 부재(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도광판(121) 및 반사 시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21)은 반사 시트(123)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Front Surface)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광판(121)은 입광면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121)은 입광면을 통해서 입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광판(121)은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121)은 사파이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가이드 용도의 글라스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 시트(123)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을 구성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시트(123)는 그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된 도광판(121)을 지지할 수 있고, 도광판(12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 시트(123)는 도광판(121)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모듈 접착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가장자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전면 사이에 갭 공간(130S)을 마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진동 발생 장치(20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갭 공간(130S)의 음압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듈 접착 부재(130)는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130S)을 감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발생된 음압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모듈 접착 부재(1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직접 전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우레탄 계열의 재질 중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 접착 부재(13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폼 패드, 및 폼 패드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마련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은 아크릴 계열의 재질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빛샘 차단 특성을 가지므로, 빛샘 방지를 고려할 경우, 모듈 접착 부재(130)는 우레탄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에 고정되고, 백라이트 유닛(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과 함께 진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을 관통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접촉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을 직접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의 상부는 후면 구조물(300)에 마련된 관통홀(310)에 삽입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연결되고, 진동 발생 장치(200)의 하부는 후면 구조물(300)의 후면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을 지지대로 하여 영상과 관련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백라이트 유닛(12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통해 진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음향 장치의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과 하방이 아닌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후면 구조물(300)을 통해 고정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영역에 중첩되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 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영역을 진동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백라이트 유닛(120) 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과 함께 진동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 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일직선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으로 우선 전달되지만,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를 통해 모듈 접착 부재(130)에 우선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발생 모듈(21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되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가 연장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멀리 이격된 경우보다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장하고,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의 관통홀(310)에 삽입될 수 있고, 관통홀(310)의 위치는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관통홀(310)이 접착 부재(500)와 너무 근접하게 되면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관통홀(3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완전 중첩될 수 없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홀(31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3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동 발생 장치(200)는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장하고,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관통홀(310)의 위치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200)는 스피커(speaker)로서, 음향 액츄에이터(Sound Actuator), 음향 여진기(Sound Exciter), 또는 압전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구조물(300)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전체를 이격되게 덮는 것으로,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후면 구조물(3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후면 구조물(300)은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은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거울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면 구조물(300)은 진동 발생 장치(200)가 삽입되는 관통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10)은 진동 발생 장치(200)가 삽입되기 위하여, 후면 구조물(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후면 구조물(30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관통홀(310)은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완전 중첩될 수는 없지만, 후면 구조물(300)의 강성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강성 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방향(X)과 나란한 한 쌍의 제1 가장자리,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방향(X)과 나란한 한 쌍의 제1 가장자리,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제1 접착 부재(51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 증가 비율보다 강성을 더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예를 들어, 로렌츠의 힘)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진동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71796985-pat00001
여기에서, k는 물체의 강성(Stiffness), m은 물체의 질량(Mass)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상기 공식에 따라, 물체의 강성(k)을 증가시키거나 질량(m)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발생 장치(200)는 물체의 질량(m)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물체의 강성(k)을 질량(m)의 증가 비율보다 더 증가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질량(m)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k)을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작용하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에서, 강성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 각각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부재(400)의 두께는 접착 부재(500)의 두께보다 얇게 구현됨으로써, 강성 부재(400)의 후면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 각각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보다 진동 전달 특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과 이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후면 구조물(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에서, 강성 부재(400)는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강성 부재(400) 및 접착 부재(500) 각각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부재(400)의 두께는 접착 부재(500)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현됨으로써, 강성 부재(400)의 후면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Front Surface)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의 진동 변위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의 사이에서 고정된 강성 부재(400)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착 부재(50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강성 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접착 부재(500)만 존재할 때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 변위를 감소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강성(Stiffness)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 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부재(4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 증가 비율보다 강성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작용하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압 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강성 부재(400)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보다 강성(Stiffness)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00)는 광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광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또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강성 부재(400)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을 접착하면서 빛샘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및 후면 구조물(30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을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500)는 일정한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도록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4변 밀폐형 또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5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가장자리 사이에 마련되어 후면 구조물(300)을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사이에 갭 공간(500S)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갭 공간(500S)은 강성 부재(400)가 배치되는 공간 및 진동 발생 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후면 구조물(30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진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과 후면 구조물(300) 사이에 형성되는 갭 공간(500S)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아크릴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폼 패드, 및 폼 패드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마련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500)는 광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광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또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좌측 영역, 우측 영역 및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진동 발생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진동시키는 제1 내지 제3 음향 발생 모듈(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음향 발생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좌측 영역에 중첩되고, 제2 음향 발생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우측 영역에 중첩되며,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전달하고,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 영역에 저주파 영역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에서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가장자리, 모듈 접착 부재(13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고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은 백라이트 유닛(120),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간의 갭 공간(130S),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저주파 영역의 음향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장치(10)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모듈(210, 220)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에 전달하고, 제3 음향 발생 모듈(230)에서 발생된 저주파 영역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 영역에 전달함으로써, 저주파 및 고주파 영역 모두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성 부재(400)는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방향(X)과 나란한 한 쌍의 제1 가장자리,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강성 부재(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제2 강성 부재(42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단변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또는 단변 길이 방향(X, Y)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성 부재(400)는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강성 부재(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강성 부재(4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제2 접착 부재(5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강성 부재(42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이격될 수 있고, 제2 강성 부재(42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제1 접착 부재(51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강성 부재(420)는 제2 접착 부재(5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강성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52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단변 길이 방향(Y)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 증가 비율보다 강성을 더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강성 부재(400)는 제1 및 제3 강성 부재(41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방향(X)과 나란한 한 쌍의 제1 가장자리,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강성 부재(430)는 제2 방향(Y)과 나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제3 강성 부재(43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중심을 지나도록 백라이트 유닛(120)의 단변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강성 부재(4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3 강성 부재(410, 430)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또는 단변 길이 방향(X, Y)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강성 부재(400)는 접착 부재(5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성 부재(400)는 제1 및 제3 강성 부재(41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강성 부재(430)는 제2 방향(Y)과 나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심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장변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강성 부재(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단변 가장자리와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심을 가로지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성 부재(4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강성 부재(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서 제2 접착 부재(5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강성 부재(40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에서 "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접촉할 수 있고, 제3 강성 부재(430)의 양단 각각은 제1 강성 부재(410)의 중앙부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와 이격될 수 있고, 제3 강성 부재(430)의 양단 각각은 제1 강성 부재(410)의 중앙부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제1 접착 부재(51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3 강성 부재(430) 및 제2 접착 부재(52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단변 길이 방향(Y)을 따라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게 증가 비율보다 강성을 더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 방향(X)과 나란한 한 쌍의 제1 가장자리,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장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하고,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단변과 나란한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제1 접착 부재(510)의 사이에 개재된 제1 강성 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 및 제1 접착 부재(510)의 전면(Front Surface)의 사이에 개재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강성 부재(41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장변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보완하여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 사이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는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가 중첩되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 사이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는 제2 접착 부재(520)만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사이의 갭 공간(500S)의 높이는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면서, 제2 접착 부재(5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접착 부재(520)의 높이는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의 높이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강성 부재(410)는 제1 접착 부재(510)와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가 제1 접착 부재(510)와 중첩되게 배치되면,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강성 부재(410)가 제1 접착 부재(510)와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더 보완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착 부재(520)는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사이의 갭 공간(500S)의 양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 외부로의 빛샘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강성 부재(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강성 부재(4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강성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51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 사이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에는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가 중첩되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후면 구조물(300) 사이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에는 제2 강성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520)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120)의 후면과 후면 구조물(300)의 전면 사이의 갭 공간(500S)의 높이는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면서, 제2 강성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5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강성 부재(410) 및 제1 접착 부재(510)의 높이의 합은 제2 강성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52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 각각은 제1 및 제2 접착 부재(510, 520)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성 부재(410)가 제1 접착 부재(510)와 중첩되게 배치되면, 제1 접착 부재(5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 각각은 제1 및 제2 접착 부재(510, 520) 각각과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접착 부재(510, 520)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더 보완하여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이 높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에 따른 진동 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진동 발생 장치의 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 진동 발생 장치(200)의 후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성 부재(400)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함으로써, 강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그 후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진동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2071796985-pat00002
여기에서, k는 물체의 강성(Stiffness), m은 물체의 질량(Mass)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강성 부재(410, 420)가 배치되면,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질량(m)이 증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k)은 질량(m)의 증가 비율보다 더 증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질량(m)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k)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장치(1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이 낮아,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 변위(d1)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400)를 구비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고,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진동 변위(d2)가 감소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공진 주파수(f0)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공진 주파수(f0)를 증가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작용하는 진동 발생 장치(200)의 전자기력을 향상시켜,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 대비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의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구조(Structure 1)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해당하고, 제2 구조(Structure 2)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조는 강성 부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뚜렷한 감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이 낮아 진동 전달 특성이 저하되어, 고주파 영역의 진동이 감쇄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는 2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감소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에 비하여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가장자리에 강성 부재(400)가 부착되기 때문에,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성이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 전달 특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강성 부재(4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 변위를 감소시켜 고주파 영역의 진동 감쇄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는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2)보다 뚜렷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Structure 1)는 강성 부재(400)를 통해 진동 발생 장치(200)에서 발생된 진동의 전달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SPL)의 감소를 방지하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SPL)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음향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모듈 접착 부재
200: 진동 발생 장치 300: 후면 구조물
400: 강성 부재 500: 접착 부재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가장자리 및 상기 후면 구조물의 가장자리를 접착시키는 접착 부재;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상기 후면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접착 부재 내측과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부재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갖고, 상기 접착 부재의 진동 전달 특성보다 높은 진동 전달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가 긴 장변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제1부; 그리고
    제2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부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부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강성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제2 접착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 강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와 중첩하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3 강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강성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강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후면 구조물의 전면(Front Surface)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후면 구조물의 전면(Front Surface)과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음향 발생 모듈;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음향 발생 모듈; 그리고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음향 발생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모듈 및 상기 제2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고주파 영역의 진동을 전달하고,
    상기 제3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3 영역에 저주파 영역의 진동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후면에 배치된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와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모듈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알루미늄(Al), 구리(Cu), 스테인리스(Stainless), 강화 플라스틱 화합물 중 어느 한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사면 밀봉형 혹은 페곡선형 밀봉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84794A 2017-11-20 2022-07-1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94A KR102491918B1 (ko) 2017-11-20 2022-07-1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31A KR102420817B1 (ko) 2017-11-20 2017-11-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84794A KR102491918B1 (ko) 2017-11-20 2022-07-11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31A Division KR102420817B1 (ko) 2017-11-20 2017-11-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081A KR20220103081A (ko) 2022-07-21
KR102491918B1 true KR102491918B1 (ko) 2023-01-26

Family

ID=66532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31A KR102420817B1 (ko) 2017-11-20 2017-11-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84794A KR102491918B1 (ko) 2017-11-20 2022-07-11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31A KR102420817B1 (ko) 2017-11-20 2017-11-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698243B2 (ko)
KR (2) KR102420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84B1 (ko) * 2018-09-28 2023-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89247B1 (ko) 2018-12-20 2023-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492065B (zh) * 2019-09-12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
JPWO2022075168A1 (ko) * 2020-10-07 2022-04-14
KR20230018953A (ko) * 2021-07-30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FR3142857A1 (fr) * 2022-12-01 2024-06-07 Psa Automobiles Sa Haut-parleur pour véhicule automobile et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haut-parleu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8072A (en) * 1969-01-07 1971-11-02 Discon Corp Thin-line digicator display
JP4035494B2 (ja) * 2003-09-10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気密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9214507B2 (en) * 2012-08-17 2015-12-15 Apple Inc. Narrow borde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102061748B1 (ko) *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25786B1 (ko) * 2013-07-04 2019-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40612B1 (ko) * 2013-08-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188800B2 (en) * 2013-11-05 2015-11-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491552B2 (en) * 2013-11-08 2016-11-0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US9690128B2 (en) * 2014-07-25 2017-06-27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308941B1 (ko) * 2015-01-21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겸용 외장 커버
JP6339963B2 (ja) * 2015-04-06 2018-06-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
KR101786884B1 (ko) * 2015-11-30 2017-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을 구비한 이형 디스플레이
KR102589751B1 (ko) * 2016-07-26 2023-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8243B2 (en) 2020-06-30
US20200301194A1 (en) 2020-09-24
KR20190057556A (ko) 2019-05-29
KR102420817B1 (ko) 2022-07-13
US20190155087A1 (en) 2019-05-23
US11009730B2 (en) 2021-05-18
KR20220103081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2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0539B1 (ko) 표시장치
CN112822573B (zh) 显示装置及包括该显示装置的计算装置
KR102612609B1 (ko) 표시장치
CN110858944B (zh) 显示装置
KR1024910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68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56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99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22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75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318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20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