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61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12B1
KR102040612B1 KR1020130098949A KR20130098949A KR102040612B1 KR 102040612 B1 KR102040612 B1 KR 102040612B1 KR 1020130098949 A KR1020130098949 A KR 1020130098949A KR 20130098949 A KR20130098949 A KR 20130098949A KR 102040612 B1 KR102040612 B1 KR 10204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igid bar
display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682A (ko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12B1/ko
Priority to US14/904,378 priority patent/US9591773B2/en
Priority to PCT/KR2014/002678 priority patent/WO2015026035A1/ko
Publication of KR2015002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제2 접착테이프로 결합되는 강성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에 강성바와 후면패널을 동시에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무게를 줄이고 두께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부재의 개수를 줄이고 두께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충분한 강성의 지지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는 기본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리 패널과 중간 프레임 후면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중간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키는 각종 회로의 배치 및 유리 패널과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중간 틀 역할을 한다. 반면 후면 커버는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확보하고 유리 패널 및 회로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발산하는 역할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감소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선 간소화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 됨에 따라 후면 커버의 기구적인 강성의 개선과, 방열 특성 확보를 위한 소재 발굴 및 구조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는 극적으로 얇아질 수 있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패널도 얇으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와 구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하는 부재의 개수를 줄이고 두께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충분한 강성의 지지구조를 구비함과 동시에 후면패널을 분리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제2 접착테이프로 결합되는 강성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강성바는 너트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강성바의 너트홀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거나 바닥에 안치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는 상기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가 후면패널 사이에에 구비되며 상기 강성바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갭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패드의 두께는 상기 강성바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테이프는 상기 강성바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및 상기 갭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은 전면에 상기 강성바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전면은 오목하고 후면은 볼록하게 돌출된 포밍부를 안착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포밍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벤트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밍부의 면적은 전체 후면패널 면적의 20%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성바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적착층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 배면 전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제2 접착층의 배면은 상기 강성바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이형지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결합되어 구동기판이 실장되는 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바는 상기 보드패널이 결합되는 위치 이외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성바는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바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면적의 40%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성바의 강도는 상기 백커버 강도의 2배 이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강성바와 후면패널을 동시에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무게를 줄이고 두께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방식과 스크류 결합방식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패널(140), 강성바(130), 제1 접착테이프(120) 및 제2 접착테이프(125)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화면은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되며, 픽셀당 색상·명도·채도 등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디지털화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따라 픽셀의 색상·명도·채도를 맞추어 빛을 사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두께가 얇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등의 구조가 생략되면서 구조가 단순해지고 얇은 두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후면패널(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을 보호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강성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뿐만 아니라 후면패널(140)의 두께도 가능한 얇게 구성하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스크류(170) 등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디스플레이 패널(110) 배면에 부착하기 어려워, 후면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바로 접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류(170) 등에 의한 결합방식은 수리가 필요한 경우 후면패널(140)을 디스플레이 패널(1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었는데 반해,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부터 후면패으널(140)을 분리하기 위해 힘을 가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면패널(140)을 분리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후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결합시 접착 방식과 스크류(170) 체결구조를 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비해 휨 현상이 잘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패널(140)의 지지능력이 중요한 인자가 됨에 따라, 사출성형물보다 더 강한 소재를 이용하여 후면패널(140)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철과 같은 강성이 큰 금속은 얇으면 휨 변형에 약한 문제가 있어, 원하는 강성을 얻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워져, 후면패널(140)의 무게가 증가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후면패널(140)의 두께를 얇게 하고 무게를 줄이기 위해 금속 대신 고강도 합성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과 같은 고강도 합성소재는 비강도는 철강의 6배이고, 비탄성률은 철강의 3배이다. 정적 강도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마찰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다만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은 고가이기 때무에 후면패널을 전부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충분한 강성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지지구조를 제공하면서 저렴하고, 무게 및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지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과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을 조합하여 배면 구조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과 같은 금속재질의 후면패널(140)과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의 강성바(130)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한다. 강성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바(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휨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인바, 사선방향보다 직접적으로 휨변형이 일어나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H자 형상이나 격자 형상으로 강성바(130)를 배치한다.
도면상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2개의 강성바(130)가 세로 방향으로는 한 개의 강성바(130)가 위치한다. 가로방향으로 휨변형이 크기 때문에 가로방향으로 강성바(130)를 더 많이 배치할 수 있다.
강성바(130)는 후면패널(140) 보다 약 2배 이상의 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며, 예를 들면 후면패널(140)을 구성하는 철보다 강성이 큰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강성바(130)의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은 철보다 최소 2배이상 강성이 크게 형성할 수 있어, 후면패널(140)의 두께를 줄이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강성바(130)는 함성소재로 구성되어 성분비를 조정하여 강성이나 열팽창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강성바(130)의 성분을 글래스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도록 조절하여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열팽창율의 차이에 의한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강성바(130)의 단면적이 클 수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은 커지나, 두께 및 무게 증가 및 비용적인 측면으로 고려하여 적정 사이즈를 디자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성바(130)의 단면적은 9x10-5m2 이상 1.2x10-5m2이하,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되는 부분의 너비는 약 15~20mm로 두께는 약 6mm인 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강성바(130)가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배치되는 면적이 넓을수록 강성이 커지나, 너무 많이 배치하면 비용이 상승하고 후면패널을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 것과 다름이 없어지는 바, 디스플레이 패널 면적의 40%이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40)의 배면에 구동기판(151) 등이 실장되는 보드패널(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드패널(15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후면패널(140)에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휨변형에 대해 지지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후면패널(140)의 배면에 보드패널(150)이 부착되면 보드패널(150)이 부착된 부분에는 강성바(130)를 생략할 수 있다.
강성바(13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휘는 힘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강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테이프(125)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후면패널(140)은 강성바(130)를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된다. 너무 강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의 분리가 어렵다. 반면, 약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휨변형이 일어날 때 이를 상쇄하지 못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에 약한 접착력의 접착테이프(12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 배면 일부(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둘레부분)에 부착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170)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단면도로서, 강성바(130) 부분에 너트홀(131)을 형성하고, 배면에서 스크류(170)를 후면패널(140)을 관통하여 너트홀(131)에 삽입하여 후면패널(140)과 강성바(130)를 체결한다. 강성바(130)는 강한 접착력의 접착테이프(125)에 의해 부착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세우기 위한 스탠드(180)나 벽에 고정하는 벽걸이 구조(미도시)와 같은 설치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너트홀(131)을 이용할 수 있다. 설치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가해지는바, 디스플레이 패널과 설치구조는 단단하게 결합해야한다.
상기 너트홀(131)에 스크류(170)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구조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고정할 수 있다. 강성바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강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125)로 고정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에 고정되거나 바닥에 안치될 수 있다.
또한 하중이 설치부재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결합부에만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강성바(130)전체에 분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분적으로 힘이 가해져 눌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을 부착하는 접착테이프를 제1 접착테이프(120)라고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강성바(130)를 부착하는 접착테이프를 제2 접착테이프(125)라고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패널(140)은 강성바(13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가운데 부분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접착테이프(120)가 배치되는 둘레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닿도록 상대적으로 전면방향에 위치한다.
다만, 이러한 후면패널(140)을 이용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바(130) 사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에 빈 공간(121)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공기는 열전도율이 낮아 공기층에 열이 갖혀 온도가 계속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빈 공간(121)에 의한 공기층을 없애고자 상기 빈 공간(121)에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진 갭패드(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갭패드(135)로 실리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갭패드(135)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부착가능하며, 접착력이 약한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공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테이프(125)를 제1 접착테이프(120)가 부착된 영역을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전체에 붙인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2 접착테이프(125)는 강성바(130)를 고정함과 동시에 갭패드(135)를 함께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패널(140)은 전면에 강성바(130)의 위치에 상응하는 안착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의 이격공간(121)은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가 채워지므로 방열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사이에 강성바(13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착부는 후면패널(140)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고 절삭가공 등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후면패널(140)의 무게가 증가하고 재료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패널(140)을 프레스 가공하여 전면은 오목하고 후면은 돌출된 포밍부(145)가 형성된다.
판형상의 부재에 접힘가공이나 포밍부(145)를 형성하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면패널(140)에 포밍부(145)를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휨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더 커지게 된다.
포밍부(145)를 형성하면 강성이 증가하나, 포밍부(145)를 구비한 후면패널(140)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포밍부를 약 40%이상 형성해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포밍부(145)가 너무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가 포밍부의 돌출된 높이만큼 증가하게 되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고려하면, 포밍부는 전체 면적의 20%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순되는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강성바(130)와 포밍부(145)를 함께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강성바(130)와 포밍부(145)를 함께 적용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 면적의 20% 이하의 면적에만 포밍부(145)와 강성바(130)를 배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변형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에 접착테이프(120, 125)의 두께에 상응하는 이격공간(122)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122)에 공기가 열을 잡아두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바, 벤트홀(143)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의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때 벤트홀(143)이 배면에서 바로 보이지 않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부(145)중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벤트홀(14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의 공간을 메꾸기 위해 제2 접착테이프(125)를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에 부착한다.
다만, 제2 접착테이프(125)에 의해 후면패널(140)이 결합되면 접착력이 크기 때문에 후면패널(140)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2 접착테이프(125)와 후면패널(140) 사이에 필름부재를 개재한다.
상기 필름부재는 이형지(126)를 이용하면 더욱 용이하다. 이형지(126)는 제2 접착테이프(125)를 이용하기 전에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부재로 제2 접착테이프(125) 사용시 떼어내고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바(130)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는 이형지(126)를 제거하여 제2 접착테이프(12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에 강성바(130)를 결합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형지(126)를 그대로 남겨두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이 제2 접착테이프(125)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접착테이프(125)가 제1 접착테이프(120)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 전체에 부착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패널(140) 사이의 이격공간(122)이 메꿔지고 공기층에 의한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강성바(130)와 후면패널(140)을 동시에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결합하는 부재의 개수를 줄이고 두께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강성의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방식과 스크류(170) 결합방식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제1 접착테이프 125: 제2 접착테이프
126: 이형지 130: 강성바
135: 갭패드 140: 후면패널
143: 벤트홀 145: 포밍부
150: 보드패널 160: 후면 케이스
170: 스크류 180: 스탠드

Claims (16)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된 제1 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하는 후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제2 접착테이프로 결합되는 강성바;
    상기 강성바에 형성된 너트홀; 및
    상기 후면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강성바의 너트홀에 체결되는 스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거나 바닥에 안치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는 상기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상기 강성바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갭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갭패드의 두께는 상기 강성바의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테이프는
    상기 강성바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및 상기 갭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은 전면에 상기 강성바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후면패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전면은 오목하고 후면은 볼록하게 돌출된 포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벤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의 면적은 전체 후면패널 면적의 2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테이프는 상기 제1 접착테이프를 제외한 디스플레이부 배면 전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이고;
    상기 제2 접착테이프의 배면은 상기 강성바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이형지로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배면에 결합되어 구동기판이 실장되는 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바는 상기 보드패널이 결합되는 위치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는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면적의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의 강도는 상기 후면패널 강도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98949A 2013-08-21 2013-08-2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49A KR102040612B1 (ko) 2013-08-21 2013-08-21 디스플레이 장치
US14/904,378 US9591773B2 (en) 2013-08-21 2014-03-28 Display device
PCT/KR2014/002678 WO2015026035A1 (ko) 2013-08-21 2014-03-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49A KR102040612B1 (ko) 2013-08-21 2013-08-2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682A KR20150021682A (ko) 2015-03-03
KR102040612B1 true KR102040612B1 (ko) 2019-11-05

Family

ID=5248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949A KR102040612B1 (ko) 2013-08-21 2013-08-2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1773B2 (ko)
KR (1) KR102040612B1 (ko)
WO (1) WO2015026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632B1 (ko) * 2014-11-07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273564A1 (en) * 2015-03-20 2016-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flush circuit board mounting screw
CN104820305B (zh) * 2015-05-19 2018-12-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EP3163362B1 (en) * 2015-10-27 2019-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170076382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051749B2 (en) * 2016-07-24 2018-08-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695748B1 (ko) 2016-09-26 2024-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20817B1 (ko) * 2017-11-20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6023B1 (ko) * 2017-11-30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574295B1 (ko) * 2018-08-17 2023-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168279B (zh) * 2018-09-27 2020-12-01 湖州达立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无线电船用通信器显控单元固定支架
KR102309317B1 (ko) * 2020-01-06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22168659A (ja) * 2021-04-26 2022-11-08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用取付構造、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取付構造の取付方法
US20230015716A1 (en) * 2021-07-13 2023-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657B1 (ko) * 2004-12-16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1066145B1 (ko) * 2004-07-12 2011-09-20 소니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455B1 (ko) * 2004-01-09 201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457120B2 (en) * 2004-04-29 2008-11-2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90131552A (ko) * 2008-06-18 2009-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82005B1 (ko) * 2008-12-05 2010-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21165A (ko) * 2009-05-08 201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2011005533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104832A (ko) 2010-03-17 201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7272A (ko) 2009-12-30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30114196A1 (en) * 2010-05-31 2013-05-09 Nec Display Solutions, Ltd. Fixing structure for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ixing
TW201309011A (zh) * 2011-08-10 2013-02-16 Nueteq Technology Inc 影像裝置
JP5269965B2 (ja) * 2011-10-0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2013102420A (ja) * 2011-10-17 2013-05-23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2029048B1 (ko) 2011-12-19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163200A1 (en) * 2011-12-27 2013-06-27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KR101945890B1 (ko) * 2011-12-30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5948B1 (ko) * 2011-12-30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110322B2 (en) * 2012-12-14 2015-08-1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9706842B2 (en) * 2013-01-31 2017-07-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mount adapter
KR101447437B1 (ko) * 2013-07-29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보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145B1 (ko) * 2004-07-12 2011-09-20 소니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장치
KR100708657B1 (ko) * 2004-12-16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5305A1 (en) 2016-05-12
KR20150021682A (ko) 2015-03-03
US9591773B2 (en) 2017-03-07
WO2015026035A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6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6340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KR1023395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3192327U (zh) 显示装置和电视
JP633624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10176331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12242445A (ja) 表示装置
KR1007410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US112315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racket
KR201300885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499548B2 (en) Display device
JP2020181185A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
KR1020948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21486084U (zh) 一种加强型显示器背板
WO2022176272A1 (ja) 画像表示装置
JP7533097B2 (ja) 壁面構造体及び壁面構造体の製造方法
US20240237242A1 (en) Structural support for a display apparatus
US20240231423A1 (en) Structural support for a display apparatus
KR202301636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어셈블리
KR20200133097A (ko) 부품간 결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111832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어셈블리
KR20210025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JP2020118911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